KR20230113969A - 맨홀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맨홀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969A
KR20230113969A KR1020220009868A KR20220009868A KR20230113969A KR 20230113969 A KR20230113969 A KR 20230113969A KR 1020220009868 A KR1020220009868 A KR 1020220009868A KR 20220009868 A KR20220009868 A KR 20220009868A KR 20230113969 A KR20230113969 A KR 20230113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unit
build
support body
man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188B1 (ko
Inventor
원명수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09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188B1/ko
Publication of KR2023011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21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haft elements, e.g. of rings forming said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02D2200/115Height being adjustable with separate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구축부 형성단계; 상기 맨홀구축부 외측 둘레로 링형의 지지바디부 형성단계; 및 상기 지지바디부 내부로 드럼 형태의 맨홀몸체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맨홀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맨홀 구축방법{Manhol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이 구축되는 작업확경 및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신속하게 구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맨홀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건축공사 및 도로공사를 함에 있어서, 우수, 오수, 폐수 등을 처리하기 위한 하수관거 공사가 필요하다. 맨홀은 관거 내의 검사, 청소, 통풍, 환기, 접합, 분기 등의 목적으로 상기 하수관거의 중간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맨홀의 제조방법은, 크게 현장타설 방법과 기성(旣成) 맨홀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별된다.
현장타설 방법은, 실제 맨홀이 설치되는 장소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조립한 후, 소정의 재료를 혼합하여 생성된 콘크리트를 상기 거푸집 내에 타설하고 소정의 양생기간을 거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맨홀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현장타설 방법에 있어서 제조된 맨홀은 유입관 및 유출관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정밀하게 시공되지 못하여 완전한 누수 차단이 어렵고,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기 때문에 맨홀의 높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기간이 필요함으로 인해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고, 이로 인하여 교통체증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민원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공사비도 상대적으로 높은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현장타설 방법의 대안으로서 기성 맨홀을 이용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기성 맨홀 구축방법의 경우에도 몰탈의 혼합, 타설, 내부거푸집의 설치 등 접속관 연결을 위해 여러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시공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104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맨홀 구축용 장비의 투입이 용이하는 등 현장 시공이 용이하며 전체 시공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는 맨홀 구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장의 시공 안전성을 높이면서 내부관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맨홀 구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맨홀구축부 형성단계; 상기 맨홀구축부 외측 둘레로 링형의 지지바디부 형성단계; 및 상기 지지바디부 내부로 드럼 형태의 맨홀몸체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맨홀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디부는 콘크리트 타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디부는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진 프리 캐스트 설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디부의 상부는 주변 지반 상부에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디부 상측으로 가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맨홀구축부 내부로 드럼 형태의 맨홀몸체부 형성단계는, 상기 설정 높이를 가지는 드럼 형태의 단위맨홀 복수 개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맨홀구축부는 상기 단위맨홀의 적층 시마다 기 설정 깊이 굴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디부 상측으로 가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맨홀구축부 내부로 드럼 형태의 맨홀몸체부 형성단계는, 상기 맨홀구축부를 굴착하는 단계와, 상기 굴착된 맨홀구축부로 기 설정 높이의 단위맨홀을 상측으로부터 적층시키되 상기 가압장치를 이용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복수 개의 단위맨홀이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맨홀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각각 아치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단위블록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위블록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맨홀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맨홀들은 결합로드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디부 상측으로 가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맨홀구축부 내부로 드럼 형태의 맨홀몸체부 형성단계는, 상기 맨홀구축부를 굴착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바디부 내측으로 단위맨홀을 설치한 후, 상기 지지바디부 내측에 설치된 단위맨홀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단위맨홀이 적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맨홀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각각 아치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단위블록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위블록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맨홀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맨홀들은 결합로드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에 의하면, 장비의 투입에 매우 용이한 환경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작업 환경을 향상시키고 맨홀 구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에 의하면,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하고 작업장 외부에서 장비를 이용 맨홀을 구축함으로써 작업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몸체부에 의하면, 대형 크기의 맨홀 구축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단위블록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단위블록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단위맨홀들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연결관용 굴착작업이 수행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단위블록이 결합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단위블록이 결합되는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상기 도 20에 적용된 지시링부의 단면도; 및
도 22는 상기 도 20에 적용된 결합볼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은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맨홀을 구축하고자 하는 지반에 맨홀구축부(15)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맨홀구축부(15)는 구축하고자 하는 맨홀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여 이루어지되,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드럼 형태의 맨홀이 구축되므로 원형으로 상기 맨홀구축부(1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맨홀구축부(15) 주변 둘레부에는 링 형태의 마진부(18)가 함께 굴착된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맨홀구축부(15) 상측으로 최초 단위맨홀(110)을 구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단위맨홀(110)은 최종 구축되는 맨홀몸체부 일부를 이루게 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단위맨홀(110)은 복수 개의 단위블록(111)이 링 형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단위맨홀(110)의 보다 자세한 결합방법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맨홀구축부(15)의 외측 둘레 마진부(18)에 지지바디부(2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디부(20)는 콘크리트재로 기 구축된 프리캐스트 방식이 적용되어 단위맨홀(110)과 결합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디부(20)의 상부는 맨홀 구축에 필요한 인력이나 장비의 출입이 편리하도록 주변 지반 상부에 평행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단위맨홀(110)을 적층하는 형태로 맨홀몸체부(10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맨홀몸체부(100)는 각각 기 설정 높이를 가지며 상하 개구된 드럼 형태의 단위맨홀(110)이 복수 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맨홀몸체부(110)는 최초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디부(20) 내측으로 단위맨홀(110)이 형성되도록 한 후, 추가적으로 기 설치된 단위맨홀(110) 하측으로 추가 단위맨홀(110)이 설치될 수 있을 정도 깊이로 포크레인 등을 이용 맨홀구축부(15)를 굴착장비를 이용 굴착한 후, 최초 설치된 단위맨홀(110) 상측으로 새로운 단위맨홀(110)이 구축되되 상기 맨홀구축부(15)의 굴착과 추가적인 단위맨홀(110)의 설치가 계획된 맨홀 깊이에 대응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바디부(20) 외측으로 최상단에 위치된 단위맨홀(110) 상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장치(미도시)가 필요 위치로 복수 개 설치되되, 최상단에 설치된 단위맨홀(110) 상부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전체 설치된 단위맨홀(110)들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맨홀몸체부(110)의 구축작업이 계획된 높이에 이를 때까지 수행된다.
한편, 상기 단위맨홀(110)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아치형의 단위블록(111) 복수 개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 8은 단위블록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단위블록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단위블록(111)은 복수 개가 측방향으로 연결 시 전체적으로 일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아치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측으로 인접하는 단위블록(111)끼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113)이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단위블록(111) 내측으로 상기 결합공(113)과 연결된 홈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단위블록(111)의 결합공(113)에 동시에 삽입되면서 양측이 홈부(112)에 노출되도록 이루어진 연결로드부(122)와, 상기 연결로드부(122) 양측에 체결되는 결합볼트(121, 123)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볼트(121, 123)가 상기 양측 단위블록(111) 홈부(112) 대응되는 측부를 가압하며 체결됨으로써 상기 단위블록(111) 한 쌍이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은 단위맨홀들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맨홀(110)들은 단위블록(111)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결합홀(131)에 상부와 하부가 각각 일정 길이 삽입되는 결합로드(130)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필요 시에는 상기 단위블록(111) 상하부에 단위블록(111) 사이로 지하수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몰탈작업이 추가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최하단의 단위맨홀(110) 하부가 폐쇄되도록 콘크리트 등의 작업이 수행되고, 최종 완료된 맨홀(110) 하부에서 다른 위에 형성된 맨홀(110) 하부가 연결되도록 연결관이 설치되도록 굴착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도 12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에 의하면, 장비의 투입에 매우 용이한 환경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작업 환경을 향상시키고 맨홀 구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하고 작업장 외부에서 장비를 이용 맨홀을 구축함으로써 작업 안전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도 먼저 맨홀을 구축하고자 하는 지반에 맨홀구축부(15)와 마진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맨홀구축부(15)의 상부로 단위맨홀(110)을 구축하고, 단위맨홀(110) 외측 둘레로 링형의 지지바디부(2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지지바디부(20)의 상부는 맨홀 구축에 필요한 인력이나 장비의 출입이 편리하도록 주변 지반 상부에 평행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축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부(20)는 상기 단위맨홀(11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히다.
그리고,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지지바디부(20)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바디부(20) 내측에 설치된 단위맨홀(110)과 지지바디부(2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별도의 시멘트작업이나 볼트작업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위맨홀(110) 상측으로 일단 또는 이단의 단위맨홀(110) 구축 작업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최초 설치된 단위맨홀(110) 하측으로 추가 단위맨홀(110)이 설치될 수 있을 정도 깊이로 굴착작업이 수행된 후, 최초 설치된 단위맨홀(110) 하측으로 새로운 단위맨홀(110)이 구축되되 상기 맨홀구축부(15)의 굴착과 추가적인 단위맨홀(110)의 설치가 계획된 맨홀 깊이에 대응될 때까지 반복 수행되어 이루어진다(도 15 내지 도 18 참조).
이때, 상기 지지바디부(20) 상부에 단위블록(111)을 하측으로 이동하는 이동용 크레인 등이 설치된 후, 상기 크레인을 이용 상기 단위맨홀(110) 하측으로 단위블록(111)을 이동시키면서 단위맨홀(110)을 추가 구축하는 단계가 번갈아 수행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위맨홀(110)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아치형의 단위블록(111)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맨홀(110) 사이는 결합로드부(130)가 적용되게 됨은 물론이다.
도 19는 단위블록이 결합되는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단위블록(111)은 양측으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끼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113) 주면에는 홈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13)에 삽입되는 연결로드부(122)와, 상기 연결로드부(122) 양측에 체결되는 결합볼트(121, 123)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볼트(121, 123)가 상기 단위블록(111) 홈부(112) 대응되는 측부를 가압하며 체결됨으로써 상기 단위블록(111) 한 쌍이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부(112) 내측에 접하는 부위로 상기 결합볼트(121, 123) 사이에 상기 연결로드부(122)에 관통되며 설치되는 탄성링부(125)가 추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링부(125)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부 충격에 상기 결합볼트(121, 123)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0은 단위블록이 결합되는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은 상기 도 20에 적용된 지시링부의 단면도이며, 도 22는 상기 도 20에 적용된 결합볼트의 단면도이다.
상기 단위블록(111)도 양측으로 인접하는 단위블록끼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113)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113) 주면에는 홈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13)에 삽입되는 연결로드부(122)와, 상기 연결로드부(122) 양측에 체결되는 결합볼트(121, 123)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볼트(121, 123)가 상기 단위블록(111) 홈부(112) 대응되는 측부를 가압하며 체결됨으로써 상기 단위블록(111) 한 쌍이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부(112) 내측에 접하는 부위로 상기 결합볼트(121, 123) 사이에 상기 연결로드부(122)에 관통되며 설치되는 중앙관통공(127)이 형성된 지시링부(126)가 추가 설치된다.
상기 지시링부(126) 내부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일정 외력 이상이 장시간 작용 시 지시링부(126)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시링부(126) 내부 공간부에는 지시액(126a)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결합볼트(121, 123)는 중앙체결공(225)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연결로드부(122)에 체결되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양측이 관통된 관통홀(228)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위블록(111) 사이에 일정 시간에 걸쳐 과도한 외력이 발생 시 상기 지시링부(126)가 파손된 후, 상기 지시링부(126) 내부 지시액(126a)이 상기 관통홀(22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맨홀의 점검 필요성을 알려주게 된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홈부(112)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천재질로 이루어지며 삽입부 외측이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커버부가 적용되도록 하여 상기 커버부 내부 천재질에 지시액(126a)이 묻어 있는지를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맨홀 상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링부(125)와 지시링부(126)는 동시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맨홀몸체부
110: 단위맨홀
111: 단위블록

Claims (16)

  1. 맨홀구축부 형성단계;
    상기 맨홀구축부 외측 둘레로 링형의 지지바디부 형성단계;
    상기 지지바디부 내부로 드럼 형태의 맨홀몸체부 형성단계;
    를 포함하는,
    맨홀 구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부는 콘크리트 타설로 이루어지는 맨홀 구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부는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진 프리 캐스트 설치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맨홀 구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부의 상부는 주변 지반 상부에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맨홀 구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부 상측으로 가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맨홀 구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구축부 내부로 드럼 형태의 맨홀몸체부 형성단계는,
    기 설정 높이를 가지는 드럼 형태의 단위맨홀 복수 개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맨홀구축부는 상기 단위맨홀의 적층 시마다 기 설정 깊이 굴착되도록 하는,
    맨홀 구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부 상측으로 가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맨홀구축부 내부로 드럼 형태의 맨홀몸체부 형성단계는,
    상기 맨홀구축부를 굴착하는 단계와,
    상기 굴착된 맨홀구축부로 기 설정 높이의 단위맨홀을 상측으로부터 적층시키되 상기 가압장치를 이용 하측으로 가압하면서 복수 개의 단위맨홀이 적층되도록 하는,
    맨홀 구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맨홀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각각 아치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단위블록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맨홀 구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위블록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맨홀 구축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하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맨홀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맨홀 구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맨홀들은 결합로드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맨홀 구축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부 상측으로 가압장치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맨홀구축부 내부로 드럼 형태의 맨홀몸체부 형성단계는,
    상기 맨홀구축부를 굴착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바디부 내측으로 단위맨홀을 설치한 후,
    상기 지지바디부 내측에 설치된 단위맨홀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단위맨홀이 적층되도록 하는,
    맨홀 구축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맨홀은 원주 방향을 따라서 각각 아치형태를 이루는 복수 개의 단위블록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맨홀 구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단위블록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맨홀 구축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하로 인접하는 상기 단위맨홀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맨홀 구축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맨홀들은 결합로드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맨홀 구축방법.
KR1020220009868A 2022-01-24 2022-01-24 맨홀 구축방법 KR102592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868A KR102592188B1 (ko) 2022-01-24 2022-01-24 맨홀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868A KR102592188B1 (ko) 2022-01-24 2022-01-24 맨홀 구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969A true KR20230113969A (ko) 2023-08-01
KR102592188B1 KR102592188B1 (ko) 2023-10-20

Family

ID=8756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868A KR102592188B1 (ko) 2022-01-24 2022-01-24 맨홀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1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40Y1 (ko) 2009-09-16 2012-06-19 안수현 이종소재의 접속관이 일체로 성형된 맨홀
KR20120127473A (ko) * 2010-01-27 2012-11-21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풍력 발전소 및 풍력 발전소 타워 세그먼트
KR20130081932A (ko) * 2012-01-10 2013-07-18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세그먼트용 체결장치
KR102176930B1 (ko) * 2020-06-24 2020-11-10 주식회사 태명실업 하향식 세그먼트 수직구 구조물 정밀 시공방법
KR20210059485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직구 설치구조
KR20220001424A (ko) *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네오시티 하향식 공법을 이용한 수직구 구조물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40Y1 (ko) 2009-09-16 2012-06-19 안수현 이종소재의 접속관이 일체로 성형된 맨홀
KR20120127473A (ko) * 2010-01-27 2012-11-21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풍력 발전소 및 풍력 발전소 타워 세그먼트
KR20130081932A (ko) * 2012-01-10 2013-07-18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세그먼트용 체결장치
KR20210059485A (ko) * 2019-11-15 2021-05-25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직구 설치구조
KR102176930B1 (ko) * 2020-06-24 2020-11-10 주식회사 태명실업 하향식 세그먼트 수직구 구조물 정밀 시공방법
KR20220001424A (ko) *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네오시티 하향식 공법을 이용한 수직구 구조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188B1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858B1 (ko) 지반 굴착기용 케이싱 가이드 장치
KR100927186B1 (ko) 흙막이 및 차수용 연속 벽체 시공방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KR100752397B1 (ko)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보조케이싱
JP2018188816A (ja) 建物構築方法及び建物の構造
KR20210009509A (ko) 보강그라우팅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08740A (ko)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KR101840226B1 (ko) 지반굴착기의 오거용 가이드홀 거푸집
KR102247848B1 (ko) 가압그라우팅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0382877B1 (ko) 교각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티형 교각 가설공법
KR20230113969A (ko) 맨홀 구축방법
JP3728653B2 (ja) フラットスラブと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との接合構造及びフラットスラブの施工方法
KR102156277B1 (ko) 연약지반의 기초 파일 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연약지반의 기초 파일장치
KR102021496B1 (ko)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JP5288356B2 (ja) マンホール部の既設配管と新規配管の接続方法
KR101452185B1 (ko) 강관 콘크리트 복합말뚝과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4475116B2 (ja) 立坑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219450B1 (ko) 지중 차수벽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241295Y1 (ko) 교각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티형 교각 가설구조
KR102601694B1 (ko) 지하건축물 신속 철거방법
KR101285987B1 (ko) 토목, 도로, 철도, 단지, 수자원, 구조, 항만, 상하수도 및 환경분야에 적용되는 개량된 복합형 루프식 터널 공법
KR20120032368A (ko)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KR101026112B1 (ko) 메가스트럭쳐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18066220A (ja) 地下躯体の改築方法
KR101758280B1 (ko) 현장타설말뚝 기초철근망의 상단 지오튜브 고정용 와이어 결속공법 및 그 결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