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740A -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 Google Patents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740A
KR20190108740A KR1020180030142A KR20180030142A KR20190108740A KR 20190108740 A KR20190108740 A KR 20190108740A KR 1020180030142 A KR1020180030142 A KR 1020180030142A KR 20180030142 A KR20180030142 A KR 20180030142A KR 20190108740 A KR20190108740 A KR 2019010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cast
main
place pil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하균
이성진
허완
Original Assignee
은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은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740A/ko
Publication of KR2019010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without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철근 및 외측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결속부가 형성된 띠철근을 포함하며, 주철근이 띠철근의 측부에서 결속부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띠철근의 측부에 주철근들이 억지끼워지되, 주철근이 띠철근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배치됨으로써 주철근과 띠철근 간의 결속력이 강화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시 주철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철근의 기준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양생 이후에 철근 콘크리트 필요강도가 균일하게 발현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Structure of rebar cage for cast in place pile}
본 발명은, 철근망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현장 제작되던 띠철근을 형상이 변형된 띠철근으로 기성 제품화(사전 제작)함으로써, 시공의 간편화 및 정확한 시공이 가능토록 하고, 주철근들이 정해진 간격으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힘의 균형을 도모하며, 그 결과 당초 설계한대로 일정하게 공사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공사 시,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차수작업을 목적으로 여러 형태의 흙막이 공법이 실시된다. 대표적인 흙막이 공법으로는, CIP(Cast In Placed Pile) 공법, H파일 토류벽 공법, SCW(Soil Cement Wall) 공법 및 SCW(Soil Cement Wall) 병용 H파일 토류벽 공법 등이 있고, 차수 및 흙막이 기능을 동시에 달성하는 공법으로는 시트 파일(Sheet Pile) 공법이 있다.
이중, CIP 공법은, 주열식으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현장에서 타설하여 설치하는 공법으로,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설치할 때마다, 지반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고, 이 천공홀에 중공의 케이싱을 삽입한 다음, 주철근과 이를 감싸는 띠철근으로 구성된 원기둥 형태의 철근망을 수직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시멘트, 자갈 및 모래 등이 혼합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다음, 이를 양생시킴으로써 주열식 벽을 형성하여 흙막이 하는 공법이다. 이때, 일정 간격마다 H빔을 심재로 사용한 콘크리트 기둥을 사용하여 이웃하는 주열식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지지하도록 시공된다.
한편, 종래의 CIP 공법에 사용되는 철근망 구조는, 복수의 수직 주철근과, 주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철근들의 외측을 회오리 형태로 감싸는 띠철근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주철근과 띠철근 간의 결속은 별도의 철선을 사용하여 이 둘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철근망은,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철근망을 조립해 왔다. 즉, 주철근들을 감싸는 띠철근을 마련하기 위해 철근을 둥근 회오리 형태로 직접 가공하여 그 형태를 변형시켜야 했으며, 주철근들과 띠철근을 서로 결속하기 위해 별도의 철선을 사용해야만 했다.
이렇게, 작업자에 의해 현장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철근망은, 작업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려 결과적으로 공기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주철근 간의 배치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고, 주철근들과 이를 고정하는 띠철근 간의 결속력이 매우 약하여 천공홀에 철근망 조립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면, 타설 압력으로 인해 주철근들과 띠철근 간의 결속이 쉽게 해제되어 주철근이 휘어져 버리고, 주철근들의 최초 배치위치가 크게 벗어나기 때문에 이 상태로 콘크리트 양생이 이루어지면, 콘크리트 필요강도가 어느 한쪽으로만 쏠려 철근 콘크리트 강도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3840호(2016년 06월 27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형상 변형을 통해 기성 제품화한 띠철근에 주철근들을 억지끼움으로써 주철근들과 띠철근 간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는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주철근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띠철근에 강하게 결속되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이후에도 주철근들의 최초 기준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할 수 있는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로서, 복수의 주철근 및 외측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결속부가 형성된 띠철근을 포함하며, 상기 주철근이 상기 띠철근의 측부에서 결속부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띠철근의 내측 중심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홈 및 상기 끼움홈의 개구부 양측에서 서로 대응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 간의 간격은, 상기 주철근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띠철근의 측부에 주철근들이 억지끼워지되, 주철근이 띠철근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배치됨으로써 주철근과 띠철근 간의 결속력이 강화됨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시 주철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주철근의 기준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양생 이후에 철근 콘크리트 필요강도가 균일하게 발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띠철근의 형상 변형을 통해 띠철근을 기성 제품화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공기가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는, 주철근(100) 및 띠철근(200)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철근(100)은, 천공홀 내부에서 서로 이격하여 수직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주철근(100)을 천공홀 내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배치하기 위해 띠철근(200)이 사용된다.
띠철근(200)은, 주철근(100)에 수평한 상태로 결속되며, 외측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 결속부(210)를 구비한다. 여기서, 띠철근(200)은 복수 마련되며, 주철근(100)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주철근(100)과 결속한다.
이때, 주철근(100)과 띠철근(200)은 원형철근 또는 이형철근일 수 있는데, 리브와 마디가 형성된 이형철근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주철근(100)과 띠철근(200)이 이형철근인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한편, 결속부(210)는, 끼움홈(211)과 걸림턱(212)으로 구성된다. 끼움홈(210)은, 주철근(100)의 몸체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띠철근(200)의 내측 중심을 향해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걸림턱(212)은, 끼움홈(211)의 개구부를 통해 끼움홈(211)의 내측으로 수용된 주철근(100)의 몸체가 끼움홈(211)의 개구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끼움홈(211)의 개구부 양측에서 서로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때, 걸림턱(212) 간의 간격은, 주철근(100)의 지름 보다 작아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직한 상태의 주철근(100)이 수평한 상태의 띠철근(200)의 측부에 마련된 상태로 띠철근(200)에 형성된 결속부(210)에 억지끼워지는데, 이때 끼움홈(211)의 개구부에 주철근(100)의 몸체가 강하게 가압되면, 철근 특성상 탄성이 발현되어 주철근(100)의 가압으로 걸림턱(212) 간의 간격이 벌어지고, 주철근(100)의 몸체가 끼움홈(211)에 수용된 직후, 철근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걸림턱(212) 간의 간격이 좁아져 주철근(100)과 띠철근(200)이 서로 견고히 결속되면서 주철근(100)이 띠철근(2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띠철근(200)에 억지끼워진 주철근(10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철근망이 천공홀에 삽입된 상태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더라도, 이형철근인 주철근(100)과 띠철근(200)에 형성된 마디로 인해 콘크리트의 압력이 가해지더라고 마디에 걸려 띠철근(200)이 아래로 미끄러내리지 않고 그 결속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주철근
200: 띠철근
210: 결속부
211: 끼움홈
212: 걸림턱

Claims (3)

  1. 복수의 주철근(100); 및
    외측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결속부(210)가 형성된 띠철근(200); 을 포함하며,
    상기 주철근(100)이 상기 띠철근(200)의 측부에서 결속부(210)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210)는,
    상기 띠철근(200)의 내측 중심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끼움홈(211); 및
    상기 끼움홈(211)의 개구부 양측에서 서로 대응하는 걸림턱(212);
    을 포함하는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12) 간의 간격은, 상기 주철근(100)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KR1020180030142A 2018-03-15 2018-03-15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KR20190108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42A KR20190108740A (ko) 2018-03-15 2018-03-15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142A KR20190108740A (ko) 2018-03-15 2018-03-15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740A true KR20190108740A (ko) 2019-09-25

Family

ID=6806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142A KR20190108740A (ko) 2018-03-15 2018-03-15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7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8964A (zh) * 2020-11-17 2021-03-19 中国葛洲坝集团机械船舶有限公司 一种圆形充气芯模支撑装置及使用方法
KR102321410B1 (ko) * 2020-10-08 2021-11-02 이창호 흙막이 시공법
KR102561315B1 (ko) * 2023-01-26 2023-07-28 주식회사 지온이앤씨 개선된 차수성을 지닌 흙막이 벽체 구조물
CN117365014A (zh) * 2023-09-11 2024-01-09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预制叠合梁上部纵筋与封闭箍筋的连接方法
CN117365015A (zh) * 2023-09-11 2024-01-09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预制叠合梁上部后置纵筋与下挠箍筋的连接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40B1 (ko) 2014-08-27 2016-06-27 (주)백경지앤씨 H-cip공법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840B1 (ko) 2014-08-27 2016-06-27 (주)백경지앤씨 H-cip공법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410B1 (ko) * 2020-10-08 2021-11-02 이창호 흙막이 시공법
CN112518964A (zh) * 2020-11-17 2021-03-19 中国葛洲坝集团机械船舶有限公司 一种圆形充气芯模支撑装置及使用方法
CN112518964B (zh) * 2020-11-17 2022-03-18 中国葛洲坝集团机械船舶有限公司 一种圆形充气芯模支撑装置及使用方法
KR102561315B1 (ko) * 2023-01-26 2023-07-28 주식회사 지온이앤씨 개선된 차수성을 지닌 흙막이 벽체 구조물
CN117365014A (zh) * 2023-09-11 2024-01-09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预制叠合梁上部纵筋与封闭箍筋的连接方法
CN117365015A (zh) * 2023-09-11 2024-01-09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预制叠合梁上部后置纵筋与下挠箍筋的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8740A (ko) 현장타설 말뚝용 철근망 구조
KR101777176B1 (ko)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스틸관들을 이용한 cip 공법
KR102382616B1 (ko)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1241566B1 (ko) 띠장 겸용 캡 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KR101846455B1 (ko) 겹침형 주열식 벽체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주열식 벽체
KR101901392B1 (ko) 소구경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JP2019124036A (ja) 自立式擁壁及び連結ブロック
KR102052591B1 (ko) 지오벨트 지지구, 지오벨트 고정장치 및 옹벽 시공방법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JP6228836B2 (ja) 逆巻き工法
JPH1018424A (ja) 鉄骨柱等の柱脚部の根巻き型補強構造
KR20080059951A (ko) 가시설 겸용 파일기초와 지하옹벽 시공방법 및 그를 위한전단마찰 보강재
KR102347950B1 (ko) P-cip 흙막이 벽체용 파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220002858U (ko)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KR20190030084A (ko) 연약지반의 기초 파일 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연약지반의 기초 파일장치
KR102022203B1 (ko) 비틀림 제어 가능한 강관말뚝 두부 보강장치 및 그 공법
KR200410469Y1 (ko) 강관말뚝두부보강장치
KR102110260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KR20090000818U (ko) 다중 중첩 철근망을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JPS5945073B2 (ja) 立坑用ライナ−プレ−ト及びその使用法
KR102633929B1 (ko) 흙막이 벽체 시공용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102397600B1 (ko) 결합이 용이한 버팀보 교차 연결장치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2580200B1 (ko) 흙막이 구조물 및 그에 따른 시공공법
JP2014173305A (ja) 円弧型枠と擁壁の構造
JP3450807B2 (ja) 地下連続壁の構築方法及び地下連続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