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858U -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 Google Patents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858U
KR20220002858U KR2020210001666U KR20210001666U KR20220002858U KR 20220002858 U KR20220002858 U KR 20220002858U KR 2020210001666 U KR2020210001666 U KR 2020210001666U KR 20210001666 U KR20210001666 U KR 20210001666U KR 20220002858 U KR20220002858 U KR 202200028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steel pipe
foundation
concret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환
정기세
Original Assignee
(주)세림철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림철탑산업 filed Critical (주)세림철탑산업
Priority to KR2020210001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2858U/ko
Publication of KR202200028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8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하가 개방되고 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배출공(111)이 구비된 기초 강관(110), 중앙과 외곽에 각각 제1 결합공부(122)와 복수의 제1 고정공부(123)를 구비하고, 기초 강관(11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템플릿(120), 중앙과 외곽에 각각 제2 결합공부(132)와 복수의 제2 고정공부(133)를 구비하고, 상부 템플릿(120)과 일정간격을 두고 기초 강관(110)에 고정되는 하부 템블릿(130), 및 상부 템플릿(120)의 제1 고정공부(123)와 하부 템플릿(130)의 제2 고정공부(133)에 상하단부의 일부가 상하로 노출되게 삽입되어 상부 템플릿(120)과 하부 템블릿(130)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 볼트(140)를 포함하는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에 있어서, 제1 템플릿(120)의 제1 고정공부(123)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투입공부(121), 제2 템플릿(130)의 제2 고정공부(133)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투입공부(131), 및 기초 강관(110)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 절곡된 복수의 앵커 볼트(140)의 하단부의 절곡부(141)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Base assembly for supporting steel pillar for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본 고안은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의 타설공과 이에 삽입되는 기초 강관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빈틈 없이 타설하고, 콘크리트 내에 매몰 고정된 앵커 볼트가 외력에도 쉽게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휴대전화를 필수적으로 휴대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휴대전화 이용자는 기지국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원하는 상대방과 통화하거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기 위하여, 통신업체는 상부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강관주(강관 전주)를 지상 또는 건물의 옥상, 산 등에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강관주는 하나의 강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보관, 운송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장소의 주변 환경에 따라 분리결합이 용이한 다단의 강관으로 구성되고, 최하단에 위치한 강관은 지면에 고정된다.
상기 강관주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콘크리트 기초를 양생해야 하는데, 이러한 콘크리트 기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을 일정깊이 굴착한 후 바닥에 버림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기초부(1)를 형성하기 위하여 버림 콘크리트(C') 상부에 바닥 철근(2)을 배근하고, 기초부(1)의 상부에 지지부(3)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초부(1)보다 폭은 좁으면서 높이는 높게 철근(4)을 배근한 후 바닥 철근(2)과 함께 기초 철근(4) 사이로 앵커 볼트(5)를 고정시킨다.
또한, 기초부(1)와 지지부(3)의 테두리를 갱폼으로 고정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하게 되면, 콘크리트 기초가 완성되며, 거푸집을 해체한 후 지면의 굴착 부분을 흙으로 메워 정리한다. 그리고, 강관주(10)를 콘크리트 기초 상부로 돌출된 앵커 볼트(5)에 끼운 후 너트(6)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기초는 기초부와 지지부를 제작하는 공정이 어렵고 공기도 길뿐 아니라 최하단의 지지부와 강관주의 결합력이 취약하고,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지거나 지진 등의 발생시 횡력에 저항하지 못하고 강관주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기초 구조를 견고하게 하기 위해 특허문헌 1(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통신용 철탑 기초구조)과 같이, 특허 출원되어 공개되었는데, 이는 제1 프리캐스트 패널로 기초 기둥을 구성하고, 제2 프리캐스트 패널로 기초반을 구성하고, 기초반과 기초기둥 중 어느 하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나머지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고 기초판과 기초 기둥에는 긴장재가 배치되는 강재덕트가 매입되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초구조는 기초판과 기초기둥이 프리캐스트 패널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다는 이점은 있으나, 철탑과 기초판의 결합구조가 취약하고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이나 횡력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19-0171112호(통신용 기초 구조 및 시공방법)와 같이, 특허 출원하였는데, 이는 도 2와 같이, 다수의 배출공(11)을 가지는 기초 파이프(12) 외주면의 상부에 판 형상의 상부 템플릿(13)과 하부 템플릿(14)을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하고, 상부 템플릿(13)과 하부 템플릿(14)을 상하로 관통하는 복수의 앵커 볼트(15)를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한 후 이를 지반에 타설된 하부 굴착공(16)과 상부 굴착공(17)에 내입시켜 기초 파이프(12) 안팎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통신용 기초 구조는 기초 파이프(12)와 하부 굴착공(16) 또는 기초 파이프(12)와 상부 굴착공(17) 사이의 공간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C)가 기초 파이프(12)의 배출공(11)이나 상부 템플릿(13)과 상부 굴착공(17)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만 제한적으로 타설되므로, 상부 템플릿(13)이나 하부 템플릿(14) 바로 밑의 공간(A)(B)을 포함하는 모든 공간에 충분히 타설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일자형의 앵커 볼트(15)와 콘크리트(C)와 마찰력이 크지 않아 외력이 가해지거나 진동 발생시 앵커 볼트(15)가 콘크리트(C)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2-0042413호(2012. 05. 03. 공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 템플릿과 하부 템플릿의 바로 밑에 위치하는 지반의 타설공과 이에 삽입되는 기초 강관 사이의 공간까지 콘크리트를 빈틈 없이 타설하고, 콘크리트 내에 매몰 고정된 앵커 볼트가 외력에도 쉽게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가 개방되고 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배출공부가 구비된 기초 강관; 중앙과 외곽에 각각 제1 결합공부와 복수의 제1 고정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초 강관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템플릿; 중앙과 외곽에 각각 제2 결합공부와 복수의 제2 고정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템플릿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기초 강관에 고정되는 하부 템블릿; 및 상기 상부 템플릿의 제1 고정공부와 상기 하부 템플릿의 제2 고정공부에 상하단부의 일부가 상하로 노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상부 템플릿과 상기 하부 템블릿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 볼트를 포함하는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템플릿의 제1 고정공부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투입공부; 상기 제2 템플릿의 제2 고정공부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투입공부; 및 상기 기초 강관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 절곡된 복수의 앵커 볼트의 하단부의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제1, 제2 콘크리트 투입공부가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 템플릿과 하부 템플릿에 각각 상하를 관통하는 콘크리트 투입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부 템플릿과 하부 템플릿의 바로 밑에 위치하는 지반의 타설공과 이에 삽입되는 기초 강관 사이의 공간까지 콘크리트를 빈틈 없이 타설할 수 있고, 앵커 볼트의 하단부에 기초 강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부를 연장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내에 매몰 고정된 앵커 볼트가 외력이나 진동에도 쉽게 흔들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통신용 강관주 콘크리트 기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개시된 제1, 제2 철망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개시된 일체형으로 결합된 기초 강관, 상하부 템플릿 및 앵커볼트를 시공하기 위해 지반에 굴착된 상부 굴착공부와 하부 굴착공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개시된 하부 굴착공부의 바닥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부 굴착공부의 바닥에 제1 철망을 안착시킨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상부 템플릿과 하부 템플릿이 상부 굴착공부 내에 위치하도록 상하부 굴착공부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를 삽입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기초 강관 내부와 기초 강관의 외주면과 하부 굴착공부 내주면 사이의 공간 그리고 기초 강관의 외주면과 상부 굴착공부 내주면 사이의 공간 일부에 1차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1차로 타설한 콘크리트 상부에 제2 철망을 안착시킨 후 기초 강관의 외주면과 상부 굴착공부 내주면 사이의 나머지 공간에 2차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하부 조립체를 지반에 시공한 후 이에 통신용 강관주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개시된 제1, 제2 철망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조립체(100)는, 상하가 개방되고 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배출공부(111)를 구비한 기초 강관(110)과, 중앙의 제1 결합공부(122)와 외곽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1 고정공부(123)를 구비하고, 기초 강관(110)의 상단부에 수평되게 배치되어 용접 고정되는 판 형상의 상부 템플릿(120)과, 중앙의 제2 결합공부(132)와 외곽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2 고정공부(133)를 구비하고, 상부 템플릿(120)과 일정간격을 두고 기초 강관(110)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용접 고정되는 판 형상의 하부 템블릿(130)과, 상부 템플릿(120)의 제1 고정공부(123)와 하부 템플릿(130)의 제2 고정공부(133)에 상하단부의 일부가 상하로 노출되게 삽입되어 상부 템플릿(120)과 하부 템블릿(130)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 볼트(140)를 포함하는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에 있어서, 제1 템플릿(120)의 제1 고정공부(123)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투입공부(121), 제2 템플릿(130)의 제2 고정공부(133)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투입공부(131), 및 상기 기초 강관(110)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 절곡된 상기 복수의 앵커 볼트(140)의 하단부의 절곡부(141)를 포함한다.
위 실시예에서, 제1, 제2 콘크리트 투입공부(121)(131)는 상부 템플릿(120)과 하부 템플릿(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위 실시예에서, 기초 강관(110)의 외주면과 상부 굴착공부(160)와 하부 굴착공부(170)의 내주면 사이에 콘크리트(C) 타설시 일체형으로 매몰되는 중앙에 제1 중공부(181)를 가지는 제1 철망(180)이 상부 굴착공부(160)의 저면에 배치되고, 기초 강관(110)의 외주면과 상부 굴착공부(160)와 하부 굴착공부(170)의 내주면 사이에 콘크리트(C) 타설시 일체형으로 매몰되는 중앙에 제2 중공부(191)를 가지는 제2 철망(190)이 상부 템플릿(120) 저면과 간격을 두고 상부 굴착공부(160) 내에 배치되는데, 이 제1, 제2 철망(180)(190)은 콘크리트(C)를 견고히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제2 철망(180)(190)은 중공(181)(191)의 직경이 상부 템플릿(120) 및 하부 템플릿(1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기초 강관(110)에 일체형으로 용접된 상부 템플릿(120)이나 하부 템플릿(130)을 상하부 굴착공(160)(170)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도 제1, 제2 철망(180)(190)을 상부 굴착공(160)에 내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3에 개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100)를 시공하기 위해 지반에 굴착된 상부 굴착공부와 하부 굴착공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개시된 하부 굴착공부의 바닥에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부 굴착공부의 바닥에 제1 철망을 안착시킨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상부 템플릿과 하부 템플릿이 상부 굴착공부 내에 위치하도록 상하부 굴착공부에 기초 강관을 삽입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기초 강관 내부와 기초 강관의 외주면과 하부 굴착공부 내주면 사이의 공간 그리고 기초 강관의 외주면과 상부 굴착공부 내주면 사이의 공간 일부에 1차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1차로 타설한 콘크리트 상부에 제2 철망을 안착시킨 후 기초 강관의 외주면과 상부 굴착공부 내주면 사이의 나머지 공간에 2차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를 지반에 시공한 후 이에 통신용 강관주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에 의하면, 작업자는 기초 강관(110), 상부 템플릿(120), 하부 템플릿(130) 및 앵커 볼트(140)를 일체형으로 용접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도 5와 같이, 오거 크레인을 이용하여 통신용 강관주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반의 소정 위치에 하부 굴착공부(170)를 우선 굴착한 후 해당 하부 굴착공부(170)의 상부에 하부 굴착공부(170)보다 큰 직경의 상부 굴착공부(160)를 굴착한다.
이때 하부 굴착공부(170)는 기초 강관(110)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와 직경을 가지고, 상부 굴착공부(160)는 상부 템플릿(120)과 하부 템플릿(130)을 수용할 수 있는 깊이와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부 굴착공부(160)와 하부 굴착공부(170)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100)를을 형성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져야 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하부 굴착공부(160)(170)를 굴착한 작업자는 도 6과 같이, 하부 굴착공부(170)의 바닥에 버림 콘크리트(151)를 평평하게 타설하여 기초 강관(110)을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부 굴착공부(160)의 바닥에 제2 철망(190)을 투입하여 콘크리트(C)와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100) 즉, 상하부 템플릿(120)(130)과 앵커 볼트(140)가 일체형으로 용접된 기초 강관(110)을 하부 타설공부(170)의 바닥에 타설된 버림 콘크리트(151) 위에 도 7과 같이, 수직으로 삽입한다. 이때 상부 템플릿(120)의 상단면과 지표면이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한다.
상하부 굴착공부(160)(170)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100)를 삽입한 후 작업자는 통상의 콘크리트 공급장치(레미콘)를 이용하여 도 8와 같이, 기초 강관(110) 내부에 1차로 콘크리트(152)를 타설한다.
기초 강관(110) 내로 타설되는 1차 콘크리트(152)는 기초 강관(110) 하부로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채워짐과 동시에 기초 강관(110)의 배출공부(111)를 통해 기초 강관(110) 밖으로 배출되어, 기초 강관(110)과 상하부 토출공부(160)(170) 사이의 공간에도 하부로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기초 강관(110)의 상부와 함께 상하부 템플릿(120)(130)의 제1, 제2 콘크리트 투입공부(121)(131)를 통해서도 콘크리트가 투입되므로, 기초 강관(110)의 배출공부(111)를 통해 배출되어 채워지지 않는 하부 템플릿(130)의 바로 밑부분에도 1차 콘크리트(152)가 빈틈없이 채워지게 된다.
이렇게 1차 콘크리트(152)를 하부 템플릿(130)과 상부 템플릿(120) 사이의 일정높이까지 빈틈없이 채워지도록 타설한 후 작업자는 도 9와 같이, 1차 콘크리트(152) 위에 제1 철망(180)을 투입한 후 기초 강관(110)과 상부 템플릿(120)의 제1 콘크리트 투입공부(121)를 통해 2차 콘크리트(153)를 투입하여 상부 템플릿(120)과 같은 높이로 채우게 된다. 이 경우에도 기초 강관(110)의 배출공부(111)를 통해 배출되어 채워지지 않는 상부 템플릿(120)의 바로 밑부분에도 상부 템플릿(120)의 제1 콘크리트 투입공부(121)를 통해 투입되는 2차 콘크리트(153)가 빈틈없이 채워지게 된다.
이렇게 기초 강관(110)의 내부공간과 기초강관(110)과 상하부 템플릿(120)(13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150)를 빈틈없이 타설한 작업자는 콘크리트(150) 상부를 평탄화하여 양생시킨 후 도 10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통신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100)의 상부 템플릿(120) 위에 통신용 강관주(200)를 세워 앵커 볼트(140)의 나사부(142)가 통신용 강관부의 체결공에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하고, 나사부(142)에 너트(141)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기초 조립체 110 : 기초 강관
111 : 배출공부 120 : 상부 템플릿
121 : 제1 콘크리트 투입공부 122 : 제1 결합공부
123 : 제1 고정공부 130 : 하부 템플릿
131 : 제2 콘크리트 투입공부 132 : 제2 결합공부
133 : 제2 고정공부 140 : 앵커 볼트
141 : 절곡부 142 : 나사부
143 : 너트 150 : 콘크리트
151 : 버림 콘크리트 152 : 1차 콘크리트
153 : 2차 콘크리트 160 : 상부 굴착공부
170 : 하부 굴착공부 180 : 제1 철망
181 : 제1 중공부 190 : 제2 철망
191 : 제2 중공부 200 : 통신용 강관주

Claims (2)

  1. 상하가 개방되고 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배출공부(111)가 구비된 기초 강관(110); 중앙과 외곽에 각각 제1 결합공부(122)와 복수의 제1 고정공부(123)를 구비하고, 상기 기초 강관(11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템플릿(120); 중앙과 외곽에 각각 제2 결합공부(132)와 복수의 제2 고정공부(133)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템플릿(120)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기초 강관(110)에 고정되는 하부 템블릿(130); 및 상기 상부 템플릿(120)의 제1 고정공부(123)와 상기 하부 템플릿(130)의 제2 고정공부(133)에 상하단부의 일부가 상하로 노출되게 삽입되어 상기 상부 템플릿(120)과 상기 하부 템블릿(130)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앵커 볼트(140)를 포함하는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템플릿(120)의 제1 고정공부(123)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1 콘크리트 투입공부(121);
    상기 제2 템플릿(130)의 제2 고정공부(133)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제2 콘크리트 투입공부(131); 및
    상기 기초 강관(110)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 절곡된 상기 복수의 앵커 볼트(140)의 하단부의 절곡부(14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콘크리트 투입공부(121)(131)가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통신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KR2020210001666U 2021-05-27 2021-05-27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KR202200028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66U KR20220002858U (ko) 2021-05-27 2021-05-27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666U KR20220002858U (ko) 2021-05-27 2021-05-27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58U true KR20220002858U (ko) 2022-12-06

Family

ID=8439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666U KR20220002858U (ko) 2021-05-27 2021-05-27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285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73B1 (ko) * 2023-05-16 2024-04-03 (주)렉스코 강재기둥과 연결된 ㄱ형 전단보강근을 갖는 강합성 프리캐스트 교각 및 이의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413A (ko)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파워텍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통신용 철탑 기초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413A (ko) 2010-10-25 2012-05-03 주식회사 에이치케이파워텍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통신용 철탑 기초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73B1 (ko) * 2023-05-16 2024-04-03 (주)렉스코 강재기둥과 연결된 ㄱ형 전단보강근을 갖는 강합성 프리캐스트 교각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2552A (ko)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72561B1 (ko) 엄지말뚝 시공을 위한 강재조립체
KR102337785B1 (ko) 지하 연속벽체 철근 겹이음을 위한 프로텍터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JP5372289B1 (ja) 境界壁構造物
KR101247201B1 (ko) 펀칭전단 방지용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기초판 시공 방법
JP2008045370A (ja) 鋼製橋脚と杭の定着方法及び装置
KR20130006420A (ko) 신설 지하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052591B1 (ko) 지오벨트 지지구, 지오벨트 고정장치 및 옹벽 시공방법
JP5490300B1 (ja) 擁壁構造物及び擁壁構築方法
KR101734026B1 (ko) Phc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220002858U (ko)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KR101262357B1 (ko) 지주식 흙막이 공법
KR101587062B1 (ko) 강재합성 지중토류벽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101383817B1 (ko) 역타공법
JPH1018424A (ja) 鉄骨柱等の柱脚部の根巻き型補強構造
KR102570715B1 (ko) 통신용 강관주 지지용 기초 조립체
JP2019148158A (ja) 壁高欄施工方法と壁高欄
KR102092645B1 (ko) 강관 파일과 쉬트 파일을 이용한 지중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539697B1 (ko) 와이어를 이용한 합벽 시공방법 및 유로폼 레이커 시스템
KR20210098162A (ko) 주열식 강관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633929B1 (ko) 흙막이 벽체 시공용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JP4475116B2 (ja) 立坑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472423B1 (ko) 자립 배치형 형상유지패널을 사용하는 흙막이 파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