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791A -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791A
KR20230113791A KR1020237022103A KR20237022103A KR20230113791A KR 20230113791 A KR20230113791 A KR 20230113791A KR 1020237022103 A KR1020237022103 A KR 1020237022103A KR 20237022103 A KR20237022103 A KR 20237022103A KR 20230113791 A KR20230113791 A KR 20230113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convex portion
damping force
stato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호 시마자키
밀톤 무즈비드지와
고이치 야마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1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3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characterised by pulling-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6Characteristics of dampers, e.g. mechanica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60G2500/11Damp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6Suspen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1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characterised by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5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using servo control, the servo pressure being created by the flow of damping fluid, e.g. controlling pressure in a chamber downstream of a pilot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솔레노이드는, 몰드 코일과, 앵커와, 아마추어를 구비하고 있다. 앵커에는, 외주 볼록부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비통전 시에 있어서, 아마추어는, 앵커에 대해, 외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아마추어 외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가, 내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아마추어 내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보다 작다. 환언하면, 아마추어는, 앵커에 대해, 외주 볼록부와 아마추어 외주부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을, 내주 볼록부와 아마추어 내주부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과 상이하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본 개시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4륜 자동차 등의 차량은, 차체(스프링상)측과 각 차륜(스프링하)측 사이에 완충기(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의 완충기로서, 예컨대, 주행 조건, 차량의 거동 등에 따라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하는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가 알려져 있다.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는, 예컨대, 차량의 세미액티브식 서스펜션을 구성하고 있다.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는, 감쇠력 조정 밸브의 밸브 개방압을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에 이용하는 전자석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가동 철심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고정 철심에 볼록부를 형성한 전자석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4315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33909호 공보
예컨대,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고정자의 내측 볼록부와 가동자 사이의 축 방향 거리」와 「고정자의 외측 볼록부와 가동자 사이의 축 방향 거리」를 동일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자의 스트로크에 대해, 고정자와 가동자의 정점부에서 발생하는 힘의 피크가 동일해져, 가동자의 추력(推力)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가동자의 추력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솔레노이드로서,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통전 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외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내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감쇠력 조정 기구로서,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통전 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외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내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 기구를 구비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는,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통전 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외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내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동자의 추력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솔레노이드 및 감쇠력 조정 기구가 편입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감쇠력 조정 밸브 및 솔레노이드를 취출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솔레노이드를 취출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중의 고정자(앵커) 및 가동자(아마추어)를 취출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가동자의 스트로크와 추력의 관계로서, (A) 볼록부가 외경측만인 경우와, (B) 내경측의 볼록부와 외경측의 볼록부가 동일한 높이인 경우와, (C) 내경측의 볼록부와 외경측의 볼록부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의 3가지 예를 도시한 특성 선도이다.
도 6은 가동자의 스트로크와 추력의 관계로서,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를 각각 상이하게 한 11가지 예를 도시한 특성 선도이다.
도 7은 오목부와 볼록부의 비를 각각 상이하게 한 11가지 예의 치수비, 평가를 일람표로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의한 고정자(앵커) 및 가동자(아마추어)를 도시한 도 4와 동일 위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의한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를,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에 이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1)[이하, 완충기(1)라고 함]는, 솔레노이드(33)를 구동원으로 하는 감쇠력 조정 기구(17)를 구비하고 있다. 즉,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의 완충기(1)는, 실린더로서의 외통(2) 및 내통(4)과, 피스톤(5)과, 피스톤 로드(8)와, 로드 가이드(9)와, 감쇠력 조정 기구(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유압 완충기인 완충기(1)는, 외각을 이루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외통(2)을 구비하고 있다. 외통(2)의 하단측은, 보텀 캡(3)에 의해 용접 수단 등을 이용하여 폐색되어 있다. 외통(2)의 상단측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굴곡된 코킹부(2A)로 되어 있다. 코킹부(2A)와 내통(4) 사이에는, 로드 가이드(9)와 시일 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외통(2)의 하부측에는, 중간통(12)의 접속구(12C)와 동심으로 개구(2B)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2)의 하부측에는, 개구(2B)와 대향하여 감쇠력 조정 기구(17)가 부착되어 있다. 보텀 캡(3)에는, 예컨대 차량의 차륜측에 부착되는 부착 아이(3A)가 설치되어 있다.
외통(2) 내에는, 외통(2)과 동축 상에 내통(4)이 설치되어 있다. 내통(4)의 하단측은, 보텀 밸브(13)에 감합(嵌合)되어 부착되어 있다. 내통(4)의 상단측은, 로드 가이드(9)에 감합되어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로서의 외통(2) 및 내통(4) 내에는, 작동액(작동 유체)으로서의 오일액이 봉입되어 있다. 작동액으로서는 오일액, 오일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첨가제를 혼재시킨 물 등이어도 좋다.
내통(4)과 외통(2) 사이에는, 환형의 리저버실(A)이 형성되어 있다. 리저버실(A) 내에는, 오일액과 함께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이 가스는, 대기압 상태의 공기여도 좋고, 또한 압축된 질소 가스 등의 기체를 이용해도 좋다. 리저버실(A)은, 피스톤 로드(8)의 진입 및 퇴출을 보상한다. 내통(4)의 길이 방향(축 방향)의 도중 위치에는, 로드측 오일실(B)을 환형 오일실(D)에 상시 연통(連通)시키는 오일 구멍(4A)이 직경 방향으로 뚫려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5)은, 내통(4)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5)은, 내통(4) 내를 로드측 오일실(B)과 보텀측 오일실(C)의 2실로 구획 형성(구획)하고 있다. 피스톤(5)에는, 로드측 오일실(B)과 보텀측 오일실(C)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오일 통로(5A, 5B)가 각각 복수 개,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피스톤(5)의 하단면에는,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6)가 설치되어 있다.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6)는,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에서 피스톤(5)이 상향으로 슬라이딩 변위할 때에, 로드측 오일실(B) 내의 압력이 릴리프 설정압을 초과하면 밸브 개방되어, 이때의 압력을, 각 오일 통로(5A)를 통해 보텀측 오일실(C)측으로 릴리프한다. 릴리프 설정압은, 감쇠력 조정 기구(17)가 하드로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 개방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피스톤(5)의 상단면에는, 피스톤 로드(8)의 축소 행정에서 피스톤(5)이 하향으로 슬라이딩 변위할 때에 밸브 개방되고, 이 이외일 때에는 밸브 폐쇄되는 축소측 역지 밸브(7)가 설치되어 있다. 역지 밸브(7)는, 보텀측 오일실(C) 내의 오일액이 로드측 오일실(B)을 향해 각 오일 통로(5B) 내를 유통하는 것을 허락하고, 이와는 반대 방향으로 오일액이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역지 밸브(7)의 밸브 개방압은, 감쇠력 조정 기구(17)가 소프트로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 개방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설정되고,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란, 피스톤(5)이나 시일 부재(10)의 프릭션 이하의 힘이며, 차의 운동에 대해 영향을 주지 않는다.
피스톤 로드(8)는, 내통(4) 내를 축 방향(도 1의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8)의 하단측은, 내통(4) 내에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8)는, 너트(8A) 등에 의해 피스톤(5)에 고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8)의 상단측은, 로드 가이드(9)를 통해 외통(2) 및 내통(4)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즉, 피스톤 로드(8)는, 피스톤(5)에 연결되어 내통(4) 및 외통(2)의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로드(8)의 하단을 더욱 연장시켜 보텀부[예컨대, 보텀 캡(3)]측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시켜, 소위, 양 로드로 해도 좋다.
내통(4)의 상단측에는, 단차를 갖는 원통형의 로드 가이드(9)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 가이드(9)는, 내통(4)의 상측 부분을 외통(2)의 중앙에 위치 결정하고, 그 내주측에서 피스톤 로드(8)를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있다. 로드 가이드(9)와 외통(2)의 코킹부(2A) 사이에는, 환형의 시일 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10)는, 예컨대, 중심에 피스톤 로드(8)가 삽입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금속제의 원륜판에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베이킹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10)는, 탄성 재료의 내주가 피스톤 로드(8)의 외주측에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피스톤 로드(8)와의 사이를 시일한다.
시일 부재(10)는, 하면측에 로드 가이드(9)와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체크 밸브로서의 립 시일(10A)이 형성되어 있다. 립 시일(10A)은, 오일 저장실(11)과 리저버실(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립 시일(10A)은, 오일 저장실(11) 내의 오일액 등이 로드 가이드(9)의 복귀 통로(9A)를 통해 리저버실(A)측을 향해 유통되는 것을 허락하고, 반대 방향의 흐름을 저지한다.
외통(2)과 내통(4) 사이에는, 통체를 포함하는 중간통(12)이 배치되어 있다. 중간통(12)은, 예컨대, 내통(4)의 외주측에 상, 하의 통형 시일(12A, 12B)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중간통(12)은, 내통(4)의 외주측을 전체 둘레에 걸쳐 둘러싸도록 연장된 환형 오일실(D)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환형 오일실(D)은, 리저버실(A)과는 독립된 오일실로 되어 있다. 환형 오일실(D)은, 내통(4)에 형성한 직경 방향의 오일 구멍(4A)에 의해 로드측 오일실(B)과 상시 연통되어 있다. 환형 오일실(D)은, 피스톤 로드(8)의 이동에 의해 작동 액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유로(流路)로 되어 있다. 중간통(12)의 하단측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접속 관체(20)가 부착되는 접속구(12C)가 형성되어 있다.
보텀 밸브(13)는, 내통(4)의 하단측에 위치하여 보텀 캡(3)과 내통(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보텀 밸브(13)는, 보텀 캡(3)과 내통(4) 사이에서 리저버실(A)과 보텀측 오일실(C)을 칸막이하는(구획하는) 밸브 보디(14)와, 밸브 보디(14)의 하면측에 설치된 축소측의 디스크 밸브(15)와, 밸브 보디(14)의 상면측에 설치된 신장측 역지 밸브(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밸브 보디(14)에는, 리저버실(A)과 보텀측 오일실(C)을 연통 가능하게 하는 오일 통로(14A, 14B)가 각각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축소측의 디스크 밸브(15)는, 피스톤 로드(8)의 축소 행정에서 피스톤(5)이 하향으로 슬라이딩 변위할 때에, 보텀측 오일실(C) 내의 압력이 릴리프 설정압을 초과하면 밸브 개방되어, 이때의 압력을, 각 오일 통로(14A)를 통해 리저버실(A)측으로 릴리프한다. 릴리프 설정압은, 감쇠력 조정 기구(17)가 하드로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 개방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어 있다.
신장측 역지 밸브(16)는,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에서 피스톤(5)이 상향으로 슬라이딩 변위할 때에 밸브 개방되고, 이 이외일 때에는 밸브 폐쇄된다. 역지 밸브(16)는, 리저버실(A) 내의 오일액이 보텀측 오일실(C)을 향해 각 오일 통로(14B) 내를 유통하는 것을 허락하고, 이와는 반대 방향으로 오일액이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역지 밸브(16)의 밸브 개방압은, 감쇠력 조정 기구(17)가 소프트로 설정되었을 때의 밸브 개방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설정되고,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음으로, 완충기(1)의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하기 위한 감쇠력 조정 기구(17)에 대해, 도 1에 더하여, 도 2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실린더[내통(4)] 내의 피스톤(5)의 슬라이딩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고, 완충기(1)의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하는 기구이다. 또한, 도 2의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솔레노이드(33)의 코일(34A)에의 통전(예컨대, 하드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제어)을 외부로부터 행함으로써, 아마추어(48)[작동 핀(49)]가 도 2의 좌측[즉, 파일럿 밸브체(32)가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에 착좌(着座)하는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그 기단측(도 1의 좌단측)이 리저버실(A)과 환형 오일실(D)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되고, 선단측(도 1의 우단측)이 외통(2)의 하부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환형 오일실(D)로부터 리저버실(A)로의 오일액의 유통을, 감쇠력 조정 밸브(18)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개방압을,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로서 이용되는 솔레노이드(33)로 조정함으로써,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한다. 이와 같이,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내통(4) 내의 피스톤(5)의 슬라이딩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 유체(오일액)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감쇠력 조정 기구(17)는, 환형 오일실(D)로부터 리저버실(A)로의 오일액의 유통을 가변으로 제어함으로써 하드 또는 소프트한 특성의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와,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개폐 동작을 조정하는 솔레노이드(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개방압은,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로서 이용되는 솔레노이드(33)에 의해 조정되고, 이에 의해, 발생 감쇠력은 하드 또는 소프트한 특성으로 가변으로 제어된다. 감쇠력 조정 밸브(18)는, 솔레노이드(33)에 의해 밸브 개폐 동작이 조정되는 밸브이며, 피스톤 로드(8)의 이동에 의해 작동 액체의 흐름이 발생하는 유로[예컨대, 환형 오일실(D)과 리저버실(A)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감쇠력 조정 밸브(18)는, 그 기단측이 외통(2)의 개구(2B) 주위에 고착되고 선단측이 외통(2)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밸브 케이스(19)와, 기단측이 중간통(12)의 접속구(12C)에 고정되고 선단측이 환형의 플랜지부(20A)가 되어 밸브 케이스(19)의 내측에 간극을 가지고 배치된 접속 관체(20)와, 이 접속 관체(20)의 플랜지부(20A)에 접촉하는 밸브 부재(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케이스(19)의 기단측은,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환형의 내측 플랜지부(19A)로 되어 있다. 밸브 케이스(19)의 선단측은, 밸브 케이스(19)와 솔레노이드(33)의 요크(39)[일측 통부(39G)]를 결합하는 로크 너트(53)가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수나사부(19B)로 되어 있다. 밸브 케이스(19)의 내주면과 밸브 부재(21)의 외주면 사이, 또한, 밸브 케이스(19)의 내주면과 파일럿 보디(26) 등의 외주면 사이는, 리저버실(A)에 상시 연통되는 환형의 오일실(19C)로 되어 있다. 또한, 밸브 케이스(19)와 솔레노이드(33)는, 로크 너트(53)로 결합하는 것 외에, 예컨대, 밸브 케이스의 선단측을 솔레노이드의 요크에 코킹하는 구성(로크 너트를 이용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접속 관체(20)의 내측은, 한쪽측이 환형 오일실(D)에 연통되고, 다른쪽측이 밸브 부재(21)의 위치까지 연장되는 오일 통로(20B)로 되어 있다. 또한, 접속 관체(20)의 플랜지부(20A)와 밸브 케이스(19)의 내측 플랜지부(19A) 사이에는, 원환형의 스페이서(22)가 협지(挾持)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22)에는, 오일실(19C)과 리저버실(A)을 연통하기 위해서 직경 방향의 오일 통로가 되는 절결(22A)이,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22)에 오일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절결(22A)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스페이서(22)를 대신하여, 밸브 케이스(19)의 내측 플랜지부(19A)에 오일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절결(홈)을 방사형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페이서(22)를 생략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밸브 부재(21)에는, 직경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부재(21)에는, 중심 구멍(21A) 주위에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오일 통로(2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일 통로(21B)는, 그 한쪽측(도 1 및 도 2의 좌측)이 접속 관체(20)의 오일 통로(20B)측에 상시 연통되어 있다. 또한, 밸브 부재(21)의 다른쪽측(도 1 및 도 2의 우측)의 단부면에는, 오일 통로(21B)의 타측 개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환형 오목부(21C)와, 이 환형 오목부(21C)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메인 밸브(23)가 이착좌(離着座)하는 환형 밸브 시트(21D)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 부재(21)의 각 오일 통로(21B)는, 환형 오일실(D)에 연통된 접속 관체(20)의 오일 통로(20B)와, 리저버실(A)에 연통된 밸브 케이스(19)의 오일실(19C) 사이에서, 메인 밸브(23)의 개방도에 따른 유량의 압유(壓油)가 유통되는 유로가 된다.
메인 밸브(23)는, 내주측이 밸브 부재(21)와 파일럿 핀(24)의 대직경부(24A) 사이에 협지된 디스크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23)는, 외주측이 밸브 부재(21)의 환형 밸브 시트(21D)에 이착좌한다. 메인 밸브(23)의 배면측의 외주부에는, 탄성 시일 부재(23A)가 베이킹 등의 수단으로 고착되어 있다. 메인 밸브(23)는, 밸브 부재(21)의 오일 통로(21B)측[환형 오일실(D)측]의 압력을 받아 환형 밸브 시트(21D)로부터 이좌(離座)함으로써 밸브 개방된다. 이에 의해, 밸브 부재(21)의 오일 통로(21B)[환형 오일실(D)측]는, 오일실(19C)[리저버실(A)측]에 메인 밸브(23)를 통해 연통되고, 이때에 화살표 Y 방향으로 흐르는 압유의 양(유량)은, 메인 밸브(23)의 개방도에 따라 가변으로 조정된다.
파일럿 핀(24)은, 단차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 중간부에 환형의 대직경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핀(24)은, 내주측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구멍(24B)을 갖고 있다. 중심 구멍(24B)의 일단부[접속 관체(20)측의 단부]에는, 소직경 구멍[오리피스(24C)]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핀(24)은, 일단측(도 1 및 도 2의 좌단측)이 밸브 부재(21)의 중심 구멍(21A)에 압입되어, 대직경부(24A)와 밸브 부재(21) 사이에서 메인 밸브(23)를 협지하고 있다.
파일럿 핀(24)의 타단측(도 1 및 도 2의 우단측)은,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에 감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과 파일럿 핀(24)의 타단측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일 통로(2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일 통로(25)는, 메인 밸브(23)와 파일럿 보디(26) 사이에 형성되는 배압실(27)에 연통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파일럿 핀(24)의 타단측의 측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일 통로(25)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고, 그 외의 둘레 방향 위치는,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에 압입되어 있다.
파일럿 보디(26)는, 대략 바닥이 있는 통형체로서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단차를 갖는 구멍이 형성된 원통부(26A)와, 상기 원통부(26A)를 막는 바닥부(26B)를 갖고 있다. 파일럿 보디(26)의 바닥부(26B)에는, 파일럿 핀(24)의 타단측이 감합되는 중심 구멍(26C)이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보디(26)의 바닥부(26B)의 일단측(도 1 및 도 2의 좌단측)에는, 외경측에 위치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 밸브 부재(21)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통부(26D)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돌출 통부(26D)의 내주면에는, 메인 밸브(23)의 탄성 시일 부재(23A)가 액밀하게 감합되어 있고, 이에 의해, 메인 밸브(23)와 파일럿 보디(26) 사이에 배압실(27)을 형성하고 있다. 배압실(27)은, 메인 밸브(23)에 대해 밸브 폐쇄 방향, 즉, 메인 밸브(23)를 밸브 부재(21)의 환형 밸브 시트(21D)에 착좌시키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압력(내압, 파일럿압)을 발생시킨다.
파일럿 보디(26)의 바닥부(26B)의 타단측(도 1 및 도 2의 우단측)에는, 파일럿 밸브체(32)가 이착좌하는 밸브 시트부(26E)가, 중심 구멍(26C)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파일럿 보디(26)의 원통부(26A)의 내측에는, 파일럿 밸브체(32)를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리턴 스프링(28), 솔레노이드(33)가 비통전 상태일 때[파일럿 밸브체(32)가 밸브 시트부(26E)로부터 가장 멀어졌을 때]의 페일 세이프 밸브를 구성하는 디스크 밸브(29), 중심측에 오일 통로(30A)가 형성된 유지 플레이트(30) 등이 배치되어 있다.
파일럿 보디(26)의 원통부(26A)의 개구단에는, 이 원통부(26A)의 내측에 리턴 스프링(28), 디스크 밸브(29), 유지 플레이트(30) 등을 배치한 상태에서, 캡(31)이 감합 고정된다. 캡(31)에는, 예컨대 둘레 방향에서 이격된 4개소 위치에 절결(3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31A)은, 유지 플레이트(30)의 오일 통로(30A)를 통해 솔레노이드(33)측으로 흐른 오일액을 오일실(19C)[리저버실(A)측]로 유통시키는 유로로 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32)는, 파일럿 보디(26)와 함께 파일럿 밸브(제어 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파일럿 밸브체(32)는, 단차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32)의 선단부, 즉, 파일럿 보디(26)의 밸브 시트부(26E)에 이착좌하는 선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체(32)의 내측에는, 솔레노이드(33)의 작동 핀(49)이 감합 고정되어 있고, 이 솔레노이드(33)에의 통전에 따라,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방압이 조절된다. 이에 의해, 제어 밸브로서의 파일럿 밸브[파일럿 보디(26) 및 파일럿 밸브체(32)]는, 솔레노이드(33)의 작동 핀(49)[즉, 아마추어(48)]의 이동에 의해 제어된다. 파일럿 밸브체(32)의 기단측에는, 스프링 받이가 되는 플랜지부(32A)가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2A)는, 솔레노이드(33)가 비통전 상태일 때, 즉, 파일럿 밸브체(32)가 밸브 시트부(26E)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완전 개방 위치까지 변위했을 때에, 디스크 밸브(29)의 내주부와 접촉함으로써, 페일 세이프 밸브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감쇠력 조정 밸브(18)와 함께 감쇠력 조정 기구(17)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33)에 대해, 도 1 및 도 2에 더하여, 도 3 및 도 4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우측을 상측으로 하여 부호를 붙이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의 좌, 우 방향은, 도 3 및 도 4의 상, 하 방향에 대응한다.
솔레노이드(33)는, 감쇠력 조정 기구(17)의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로서 감쇠력 조정 기구(17)에 편입되어 있다. 즉, 솔레노이드(33)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개폐 동작을 조정하기 위해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이용된다. 솔레노이드(33)는, 몰드 코일(34)과, 수납 부재로서의 하우징(36)과, 요크(39)와, 고정자로서의 앵커(41)와, 접합 부재(비자성 링)로서의 실린더(44)와, 가동자(가동 철심)로서의 아마추어(48)와, 작동 핀(49)과, 커버 부재(51)를 구비하고 있다.
몰드 코일(34)은, 코일(34A)을 코일 보빈(34B) 주위에 권회한 상태에서, 이들을 열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부재(34C)로 일체적으로 덮음(몰드 성형함)으로써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몰드 코일(34)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는, 축 방향 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케이블 취출부(34E)가 설치되고, 이 케이블 취출부(34E)에 전선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어 있다. 몰드 코일(34)의 코일(34A)은, 코일 보빈(34B) 주위에 환형으로 감겨지고, 외부로부터의 케이블을 통한 전력 공급(통전)에 의해, 전자석이 되어 자력을 발생시킨다.
몰드 코일(34)의 수지 부재(34C) 중, 요크(39)[환형부(39B)]와 대향하는 측면(축 방향 일측의 단부면)에는, 시일 홈(34D)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시일 홈(34D) 내에는, 시일 부재[예컨대, O링(35)]가 장착되어 있다. O링(35)은, 몰드 코일(34)과 요크(39)[환형부(39B)]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한다. 이에 의해, 빗물이나 흙탕물을 포함하는 더스트가 요크(39)와 몰드 코일(34) 사이를 통해 요크(39)의 통형 돌기부(39C)측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채용하는 코일은, 코일(34A), 코일 보빈(34B) 및 수지 부재(34C)를 포함하는 몰드 코일(34)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의 코일을 채용해도 좋다. 예컨대, 전기 절연성 재료를 포함하는 코일 보빈에 코일을 권회한 상태에서, 이 위(외주측)로부터 수지 재료를 몰드한 오버몰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코일의 외주를 덮는 구성이어도 좋다.
하우징(36)은, 몰드 코일(34)의 내주측[즉, 코일(34A)의 내주]에 배치하여 설치된 제1 고정 철심(수납 부재)을 구성하고 있다. 하우징(36)은, 예컨대 저탄소강, 기계 구조용 탄소강(S10C) 등의 자성 재료(자성체)에 의해 덮개가 있는 원통형의 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6)은, 몰드 코일(34)[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일단측(도 2의 좌측, 도 3의 하측)이 개구된 수납부로서의 수납 통부(36A)와, 수납 통부(36A)의 타단측(도 2의 우측, 도 3의 상측)을 폐색한 단차를 갖는 덮개부(36B)와, 수납 통부(36A)의 개구측(일측)에서, 그 외주를 직경 축소시키도록 하여 형성된 접합용의 소직경 통부(36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의 외주에는, 실린더(44)의 내주가 납땜에 의해 접합된다.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는, 그 내경 치수가 아마추어(48)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수납 통부(36A) 내에는 아마추어(48)가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즉, 하우징(36)은, 축선 방향의 일단측이 개구되고, 아마추어(48)가 수납되어 있다.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는, 개구단 내주로부터 순서대로(내경측으로부터 외경측을 향해 순서대로), 제1 단부(36D), 제2 단부(36E), 및 제3 단부(36F)를 갖고 있다.
제1 단부(36D)는, 앵커(41), 보다 구체적으로는,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직경 축소부(41C1)]와 대향하고 있다. 제1 단부(36D)는, 아마추어(48)와의 자속의 전달을 행하기 위한 자속 전달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 단부(36E)는, 실린더(44)의 축 방향의 타단(44A)과 접촉하고 있다. 제2 단부(36E)는, 실린더(44)의 타단(44A)과 접촉함으로써, 하우징(36)의 위치 맞춤(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고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3 단부(36F)는, 실린더(44)의 타단(44A)과 간극을 가지고 대향하고 있고, 이 간극은, 시일재가 되는 납땜재(구리 링)가 격납되는 납땜재 격납부로 되어 있다. 하우징(36)과 실린더(44)는,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을 실린더(44)의 내측으로 압입하여, 납땜을 행함으로써, 압력 용기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하우징(36)의 덮개부(36B)는, 수납 통부(36A)를 축 방향 타측으로부터 폐색하는 덮개가 있는 통체로서 수납 통부(36A)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36B)의 외경은, 수납 통부(36A)의 외경보다 소직경인 단차를 갖는 형상을 이루고, 덮개부(36B)의 외주측에는, 커버 부재(51)의 감합 통부(51A)가 감합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6)에는, 덮개부(36B)의 내측에 위치하며 바닥이 있는 단차를 갖는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를 갖는 구멍(37)은, 부시 부착 구멍부(37A)와, 부시 부착 구멍부(37A)보다 안쪽에 위치하며 소직경으로 형성된 소직경 구멍부(37B)를 포함한다. 부시 부착 구멍부(37A) 내에는, 작동 핀(49)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부시(3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6)의 덮개부(36B)는, 그 타측 단부면이 커버 부재(51)의 덮개판(51B)에 대해 축 방향의 간극을 가지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축 방향의 간극은, 커버 부재(51)의 덮개판(51B)측으로부터 덮개부(36B)를 통해 축 방향의 힘이 하우징(36)에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36)의 덮개부(36B)에 대해서는, 수납 통부(36A)와 반드시 일체로 동일 재료(자성체)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 경우의 덮개부(36B)는, 자성체의 재료가 아니라, 예컨대 강성을 가진 금속 재료, 세라믹스 재료 또는 섬유 강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와 덮개부(36B)의 이음매는, 자속의 전달을 고려한 위치로 한다.
요크(39)는, 아마추어(48)의 이동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요크(39)는, 하우징(36)과 함께 몰드 코일(34)[코일(34A)]의 내주측과 외주측에 걸쳐 자기 회로[자로(磁路)]를 형성하는 자성 부재이다. 요크(39)는, 하우징(36)과 마찬가지로 자성 재료(자성체)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몰드 코일(34)[코일(34A)]의 축 방향 일측(권회 축선 방향의 일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주측이 단차를 갖는 고정 구멍(39A)으로 된 환형부(39B)와, 환형부(39B)의 내주측으로부터 축 방향 타측[코일(34A)측]을 향해 고정 구멍(39A)의 축 방향을 따라 통형으로 돌출된 통형 돌기부(39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형 돌기부(39C)는, 실린더(44)와의 접합용의 돌기(통부)를 구성하고 있고, 통형 돌기부(39C) 내경측에는, 실린더(44)가 삽입된다.
환언하면, 요크(39)는, 고정 구멍(39A)을 갖고 있고, 고정 구멍(39A)의 내주면은, 앵커(41)의 측면부(41D)의 일부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고정 구멍(39A) 내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내경측으로 돌출되는 내향 플랜지부(39D)가 형성되어 있다. 내향 플랜지부(39D)의 측면[코일(34A)측의 측면]에는, 실린더(44)의 축 방향 일측의 단부면(일단면)이 접촉하고 있다. 또한, 요크(39)의 내주, 즉, 고정 구멍(39A)의 내면[환언하면,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면]에는, 실린더(44)의 축 방향 일측의 외주가 감합된다.
또한, 요크(39)는, 환형부(39B)의 외주측으로부터 축 방향 일측[감쇠력 조정 밸브(18)측]을 향해 연장되는 원통형의 일측 통부(39G)와, 환형부(39B)의 외주측으로부터 축 방향 타측[커버 부재(51)측]을 향해 연장되고, 몰드 코일(34)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형성된 타측 통부(39H)와, 타측 통부(39H)의 선단측에 설치되고 커버 부재(51)의 플랜지부(51C)를 빠짐 방지 상태로 유지하는 코킹부(39J)를 포함한 일체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에는, 몰드 코일(34)의 케이블 취출부(34E)를 타측 통부(39H)의 외측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절결(39K)이 형성되어 있다.
요크(39)의 일측 통부(39G)와 타측 통부(39H) 사이에는, 요크(39)의 외주면에 개구되도록 단면 반원 형상을 이루는 결합 오목부(39L)가 (전체 둘레에 걸쳐, 또는,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 오목부(39L)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케이스(19)에 나사식으로 부착되는 로크 너트(53)가 빠짐 방지 링(54)(도 2 참조)을 통해 결합된다. 또한, 일측 통부(39G)의 외주면에는, 시일 홈(39M)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시일 홈(39M)에는, 시일 부재로서의 O링(40)(도 2 참조)이 장착된다. O링(40)은, 요크(39)[일측 통부(39G)]와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케이스(19) 사이를 액밀하게 밀봉한다.
앵커(41)는, 아마추어(48)의 이동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앵커(41)는, 아마추어(48)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앵커(41)는, 요크(39)의 고정 구멍(39A) 내에 압입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된 제2 고정 철심(고정자)이다. 앵커(41)는, 하우징(36)(제1 고정 철심) 및 요크(39)와 마찬가지로 저탄소강, 기계 구조용 탄소강(S10C) 등의 자성 재료(자성체)에 의해,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을 내측으로부터 메우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앵커(41)는, 중심측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41A)으로 된 단척(短尺) 원통형의 환형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앵커(41)의 축 방향 일측면[도 2에 도시된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캡(31)과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은, 요크(39)의 환형부(39B)의 일측면과 마찬가지로 평탄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앵커(41)의 축 방향 타측[아마추어(48)와 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와 동축이 되도록 원형의 패임부(41B)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패임부(41B)는, 그 내측에 아마추어(48)가 자력에 의해 진입, 퇴출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아마추어(48)보다 약간 대직경의 원형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앵커(41)의 타측에는, 원통형의 외주 볼록부(41C)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 볼록부(41C)의 개구측의 외주면은, 앵커(41)와 아마추어(48) 사이에서 자기 특성이 리니어(직선적)인 특성이 되도록, 원뿔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모서리부라고도 불리는 외주 볼록부(41C)는, 앵커(41)의 외주측으로부터 축 방향 타측을 향해 통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 볼록부(41C)의 외주면(개구측의 외주면)은, 축 방향의 타측(개구측)을 향해 외경 치수가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형으로 경사진 코니칼면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는, 하우징(36)[수납 통부(36A)]의 개구[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단부(36D)]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수납 통부(36A)의 개구에 근접할 수록 외경이 직경 축소되는 직경 축소부(41C1)를 갖고 있다.
또한, 앵커(41)의 외주측에는, 외주 볼록부(41C)의 외주를 따라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41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측면부(41D) 중 개구로부터 멀어진 측의 단부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환형의 플랜지부(41E)로 되어 있다. 환형의 플랜지부(41E)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단으로부터 축 방향 일측으로 크게 이격된 위치[즉, 패임부(41B)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환형의 플랜지부(41E)는, 예컨대, 요크(39)의 고정 구멍(39A) 내에 압입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환형의 플랜지부(41E)는, 요크(39)의 고정 구멍(39A)에 대한 앵커(41)[측면부(41D)]의 고정 부분이 되고, 플랜지부(41E)와 고정 구멍(39A)이 직경 방향에서 대향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앵커(41)의 측면부(41D)[환형의 플랜지부(41E)를 제외함]는, 실린더(44)의 내주면 및 요크(39)의 내향 플랜지부(39D)의 내면과 간극(직경 방향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하고 있다.
앵커(41)는, 외주 볼록부(41C)와 측면부(41D)가 자성체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앵커(41)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외주 볼록부(41C)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측면부(41D)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의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주 볼록부(41C)의 외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측면부(41D)는, 실린더(44)의 내주면 및 요크(39)의 내향 플랜지부(39D)의 내면에 대해 간극을 갖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41)의 중심(내주)측에 형성된 단차를 갖는 관통 구멍(41A)에는, 작동 핀(49)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 부시(43)가 감합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39)의 일측 통부(39G)의 내주측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파일럿 보디(26), 리턴 스프링(28), 디스크 밸브(29), 유지 플레이트(30) 및 캡(31) 등이 삽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측 통부(39G)의 외주측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케이스(19)가 감합(외측 끼움)된다.
실린더(44)는, 직경 방향에 관해, 요크(39)와 앵커(41)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44)는,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에 관해, 요크(39)와 하우징(36)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실린더(44)는,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와 요크(39)의 통형 돌기부(39C) 사이에 위치하며 몰드 코일(34)[코일(34A)]의 내주측에 설치된 비자성의 이음 부재(접합 부재)이다. 실린더(44)는, 비자성체를 포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44)는, 예컨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등의 비자성 재료에 의해 원통체(단순한 원통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44)는, 몰드 코일(34)[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의 일단측[요크(39)측]의 외주가, 요크(39)[고정 구멍(39A), 통형 돌기부(39C)]의 내주와 접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린더(44)는, 축선 방향의 일측이 고정자가 되는 요크(3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44)는, 몰드 코일(34)[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의 타단측[하우징(36)측]의 내주가, 하우징(36)[소직경 통부(36C)]의 외주와 접합되어 있다. 즉, 실린더(44)는,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의 외측(외주측)에 감합(압입)되고, 납땜에 의해 양자는 접합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6)과 실린더(44), 및 실린더(44)와 요크(39)는, 납땜재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납땜재는, 예컨대, 순동 땜납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납땜은, 순동 땜납을 포함하는 납땜재(구리 링)를 이용하여, 예컨대 1000℃ 이상의 납땜 처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납땜재는, 순동 땜납 이외여도 좋다. 예컨대, 황동 땜납, 니켈 땜납, 금 땜납, 팔라듐 땜납 등이어도 좋다. 어떻든간에, 실린더(44)는, 하우징(36)의 소직경 통부(36C)와 요크(39)의 통형 돌기부(39C)에 대해 납땜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아마추어(48)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와 앵커(41)의 패임부(4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아마추어(48)는, 코일(34A)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이다. 아마추어(48)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 앵커(41)의 패임부(41B), 요크(39)의 통형 돌기부(39C) 및 실린더(44)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와 앵커(41)의 패임부(41B)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아마추어(48)는, 하우징(36)의 수납 통부(36A) 및 앵커(41)의 패임부(41B)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코일(34A)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제1, 제2 부시(38, 43) 및 작동 핀(49)을 통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마추어(48)는, 그 중심측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작동 핀(49)에 고정(일체화)되어 설치되고, 작동 핀(49)과 함께 이동한다. 작동 핀(49)은, 하우징(36)의 덮개부(36B)와 앵커(41)에 제1, 제2 부시(38, 43)를 통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아마추어(48)는, 예컨대 하우징(36), 요크(39) 및 앵커(41)와 마찬가지로, 철계의 자성체를 이용하여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마추어(48)는 코일(34A)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앵커(41)의 패임부(41B) 내를 향해 흡착되는 방향의 추력(흡인력)이 발생된다.
작동 핀(49)은, 아마추어(48)의 추력을 감쇠력 조정 밸브(18)(제어 밸브)의 파일럿 밸브체(32)에 전달하는 축부로, 중공 로드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작동 핀(49)의 축 방향 중간부에는, 아마추어(48)가 압입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이에 의해, 아마추어(48)와 작동 핀(49)은 서브어셈블리화되어 있다. 작동 핀(49)의 축 방향의 양측은, 하우징(36)측의 덮개부(36B)와 요크(39)[앵커(41)]에 제1, 제2 부시(38, 43)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작동 핀(49)의 일단측(도 2 중의 좌측 단부, 도 3 중의 하측 단부)은, 앵커(41)[요크(39)]로부터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단에는,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파일럿 밸브체(32)가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일럿 밸브체(32)는, 아마추어(48) 및 작동 핀(49)과 함께 축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환언하면,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방 설정압은, 코일(34A)에의 통전에 기초한 아마추어(48)의 추력에 대응한 압력값이 된다. 아마추어(48)는, 코일(34A)로부터의 자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완충기(1)의 파일럿 밸브[즉, 파일럿 보디(26)에 대한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폐를 행한다.
커버 부재(51)는,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와 함께 몰드 코일(34)을 외측으로부터 덮는 자성체 커버이다. 이 커버 부재(51)는, 몰드 코일(34)을 축 방향 타측으로부터 덮는 덮개체로서 자성 재료(자성체)에 의해 형성되고,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와 함께 몰드 코일(34)[코일(34A)]의 외측에서 자기 회로(자로)를 형성한다. 커버 부재(51)는, 전체로서 덮개를 갖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의 감합 통부(51A)와, 감합 통부(51A)의 타단측(도 2의 우측 단부, 도 3 중의 상측 단부)을 폐색하는 둥근 접시형의 덮개판(51B)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 부재(51)의 감합 통부(51A)는, 하우징(36)의 덮개부(36B)의 외주에 끼워지고, 이 상태에서 하우징(36)의 덮개부(36B)를 내측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커버 부재(51)의 덮개판(51B)은, 그 외주측이 감합 통부(51A)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플랜지부(51C)가 되고, 플랜지부(51C)의 외주 가장자리는,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에 설치한 코킹부(39J)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와 커버 부재(51)의 덮개판(51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몰드 코일(34)을 내장한 상태로 예비 조립(서브어셈블리화)된다.
이와 같이, 요크(39)의 타측 통부(39H)와 커버 부재(51)의 덮개판(51B)의 내측에 몰드 코일(34)을 내장한 상태에서는, 하우징(36)의 덮개부(36B)가 커버 부재(51)의 감합 통부(51A) 내에 끼워져 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51)의 감합 통부(51A), 덮개판(51B) 및 요크(39) 사이에서 자속의 전달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51)의 감합 통부(51A)에는, 몰드 코일(34)의 수지 부재(34C)가 감합되는 외주측에, 시일 홈(51D)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 홈(51D) 내에는, 시일 부재[예컨대, O링(52)]가 장착되어 있다. O링(52)은, 몰드 코일(34)과 커버 부재(51)[감합 통부(51A)]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한다. 이에 의해, 빗물이나 흙탕물을 포함하는 더스트가, 커버 부재(51)와 몰드 코일(34) 사이를 통해 하우징(36)과 몰드 코일(34) 사이, 나아가서는 하우징(36)과 커버 부재(51) 사이 등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크(39)와 커버 부재(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몰드 코일(34)을 내장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로서의 로크 너트(53)와 빠짐 방지 링(54)을 이용하여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밸브 케이스(19)에 체결된다. 이 경우, 요크(39)의 결합 오목부(39L)에는, 로크 너트(53)에 앞서 빠짐 방지 링(54)이 부착된다. 이 빠짐 방지 링(54)은, 요크(39)의 결합 오목부(39L)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로크 너트(53)에 의한 체결력을 요크(39)의 일측 통부(39G)에 전달하는 것이다.
로크 너트(53)는, 단차를 갖는 통형체로서 형성되고, 그 축 방향 일측에 위치하며 내주측에 밸브 케이스(19)의 수나사부(19B)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53A)와, 내경 치수가 빠짐 방지 링(54)의 외경 치수보다 작아지도록 직경 방향 내향으로 굴곡되고, 빠짐 방지 링(54)에 대해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결합 통부(53B)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너트(53)는, 요크(39)의 결합 오목부(39L)에 장착된 빠짐 방지 링(54)에 대해 결합 통부(53B)의 내측면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암나사부(53A)와 밸브 케이스(19)의 수나사부(19B)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감쇠력 조정 밸브(18)와 솔레노이드(33)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체결 부재이다.
그런데, 전술한 특허문헌 1의 전자석 장치는, 고정자에 내측 볼록부와 외측 볼록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고정자의 내측 볼록부와 가동자 사이의 축 방향 거리」와 「고정자의 외측 볼록부와 가동자 사이의 축 방향 거리」를 동일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전자석 장치는, 가동자의 스트로크에 대해, 고정자와 가동자의 정점부에서 발생하는 힘의 피크가 동일해져, 가동자의 추력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그래서, 실시형태에서는, 추력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하고, 추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자력이 집중되는 부품인 앵커(41) 및 아마추어(48)의 형상을 고안하고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앵커(41)에는,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아마추어(48)측을 향해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외주 볼록부(41C)와,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아마추어(48)측을 향해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환형의 내주 볼록부(41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아마추어(48)의 외주부, 즉,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가동자 외주부를 아마추어 외주부(48A)로 하고, 아마추어(48)의 내주부, 즉, 앵커(41)의 내주 볼록부(41F)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가동자 내주부를 아마추어 내주부(48B)로 한다. 또한,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로부터 아마추어 외주부(48A)까지의 축 방향 거리를 Xo로 하고, 앵커(41)의 내주 볼록부(41F)로부터 아마추어 내주부(48B)까지의 축 방향 거리를 Xi로 한다. 이 경우에, 비통전 시에 있어서, 축 방향 거리(Xo)는, 축 방향 거리(Xi)보다 작다(Xo<Xi).
즉, 실시형태에서는, 비통전 시에 있어서, 아마추어(48)는, 앵커(41)에 대해, 아마추어 외주부(48A)까지의 축 방향 거리(Xo)가 아마추어 내주부(48B)까지의 축 방향 거리(Xi)보다 작다. 환언하면, 아마추어(48)는, 앵커(41)에 대해, 외주 볼록부(41C)와 아마추어 외주부(48A)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을, 내주 볼록부(41F)와 아마추어 내주부(48B)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과 상이하게 하고 있다. 이 경우, 아마추어(48)가 앵커(41)에 접근하면,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와 아마추어 외주부(48A)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고 나서, 앵커(41)의 내주 볼록부(41F)와 아마추어 내주부(48B)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한다.
도 5는 가동자(아마추어)의 스트로크와 추력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A)는 비교예 A로서, 앵커(81)에 외주 볼록부(81A)만을 형성한 경우의 아마추어(82)의 스트로크와 추력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B)는 비교예 B로서, 앵커(91)에 외주 볼록부(91A)와 내주 볼록부(91B)를 형성하고 이들 높이[아마추어(92)와의 축 방향 거리]를 동일하게 한 경우의 아마추어(92)의 스트로크와 추력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C)는 실시형태로서,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와 내주 볼록부(41F)의 높이[축 방향 거리(Xo, Xi)]를 상이하게 한 경우의 아마추어(48)의 스트로크와 추력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중, 「F1」은, 앵커의 외주 볼록부와 아마추어 사이에 발생하는 추력(흡인력)에 대응하고, 「F1'」는, 앵커의 내주 볼록부와 아마추어 사이에 발생하는 추력(흡인력)에 대응하며, 「F2」는, 앵커의 패임부(바닥부)와 아마추어 사이에 발생하는 추력(흡인력)에 대응하고, 「Fsum」은, 앵커와 아마추어 사이의 합계 추력(합계 흡인력)에 대응한다. 도 5에서는, 「F1」과 「F2」의 변화를 파선의 특성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Fsum」의 변화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와 아마추어(48)의 접근 거리(스트로크)에 대한 흡인력(F1)의 피크와, 앵커(41)의 내주 볼록부(41F)와 아마추어(48)의 접근 거리(스트로크)에 대한 흡인력(F1')의 피크가 상이하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영역, 즉, 제어 밸브가 되는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방압을 제어하고 싶은 범위에서, 스트로크에 대해 추력을 일정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특히, 실시형태에서는, 앵커(41)의 내주 볼록부(41F)의 직경 방향 폭(Wi)에 대해, 내주 볼록부(41F)와 외주 볼록부(41C) 사이의 환형의 오목부(41G)의 직경 방향 폭(Wo)은, 1 내지 95배로 하고 있다(Wi≤Wo≤95Wi).
도 6은 오목부(41G)의 폭(Wo)과 내주 볼록부(41F)의 폭(Wi)의 비를 상이하게 한 경우의 가동자(아마추어)의 스트로크와 추력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a」 내지 「k」의 11가지 예의 스트로크와 추력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a」 내지 「k」의 오목부(41G)의 폭(Wo)과 내주 볼록부(41F)의 폭(Wi)의 비와, 「a」 내지 「k」의 각각의 평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41G)의 폭(Wo)을 내주 볼록부(41F)의 폭(Wi)의 1배 이상 95배 이하(Wi≤Wo≤95Wi)로 함으로써, 제어 영역에서 스트로크에 대해 추력을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솔레노이드(33), 감쇠력 조정 기구(17) 및 완충기(1)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으로, 다음으로 그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완충기(1)를 자동차 등의 차량에 실장할 때에는, 예컨대, 피스톤 로드(8)의 상단측(돌출단측)이 차량의 차체측에 부착되고, 보텀 캡(3)에 설치된 부착 아이(3A)측이 차륜측에 부착된다. 또한, 감쇠력 조정 기구(17)의 솔레노이드(33)는, 차량의 차체측에 설치된 제어 장치(컨트롤러)에 전기 배선의 케이블(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접속된다.
차량의 주행 시에는, 노면의 요철 등에 의해, 상, 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하면, 피스톤 로드(8)가 외통(2)으로부터 신장, 축소하도록 변위하여, 감쇠력 조정 기구(17) 등에 의해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차량의 진동을 완충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에 의해 솔레노이드(33)의 코일(34A)에의 전류값을 제어하여,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방압을 조정함으로써, 완충기(1)의 발생 감쇠력을 가변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 시에는, 내통(4) 내의 피스톤(5)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5)의 축소측 역지 밸브(7)가 폐쇄된다. 피스톤(5)의 디스크 밸브(6)의 밸브 개방 전에는, 로드측 오일실(B)의 오일액이 가압되어, 내통(4)의 오일 구멍(4A), 환형 오일실(D), 중간통(12)의 접속구(12C)를 통해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접속 관체(20)의 오일 통로(20B)로 유입된다. 이때, 피스톤(5)이 이동한 분만큼의 오일액은, 리저버실(A)로부터 보텀 밸브(13)의 신장측 역지 밸브(16)를 개방하여 보텀측 오일실(C)로 유입된다. 또한, 로드측 오일실(B)의 압력이 디스크 밸브(6)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크 밸브(6)가 개방되어, 로드측 오일실(B)의 압력을 보텀측 오일실(C)로 릴리프한다.
감쇠력 조정 기구(17)에서는, 접속 관체(20)의 오일 통로(20B)로 유입된 오일액은, 메인 밸브(23)의 밸브 개방 전(피스톤 속도 저속 영역)에서는, 도 2에 화살표 X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21)의 중심 구멍(21A), 파일럿 핀(24)의 중심 구멍(24B), 파일럿 보디(26)의 중심 구멍(26C)을 지나, 파일럿 밸브체(32)를 밀어서 개방하여, 파일럿 보디(26)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파일럿 보디(26)의 내측으로 유입된 오일액은, 파일럿 밸브체(32)의 플랜지부(32A)와 디스크 밸브(29) 사이, 유지 플레이트(30)의 오일 통로(30A), 캡(31)의 절결(31A), 밸브 케이스(19)의 오일실(19C)을 지나 리저버실(A)로 흐른다. 피스톤 속도의 상승에 따라, 접속 관체(20)의 오일 통로(20B)의 압력, 즉, 로드측 오일실(B)의 압력이, 메인 밸브(23)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접속 관체(20)의 오일 통로(20B)로 유입된 오일액은, 도 2에 화살표 Y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21)의 오일 통로(21B)를 지나, 메인 밸브(23)를 밀어서 개방하여, 밸브 케이스(19)의 오일실(19C)을 지나 리저버실(A)로 흐른다.
한편, 피스톤 로드(8)의 축소 행정 시에는, 내통(4) 내의 피스톤(5)의 이동에 의해 피스톤(5)의 축소측 역지 밸브(7)가 개방되고, 보텀 밸브(13)의 신장측 역지 밸브(16)가 폐쇄된다. 보텀 밸브(13)[디스크 밸브(15)]의 밸브 개방 전에는, 보텀측 오일실(C)의 오일액이 로드측 오일실(B)로 유입된다. 이와 함께, 피스톤 로드(8)가 내통(4) 내로 침입한 분만큼에 상당하는 오일액이, 로드측 오일실(B)로부터 감쇠력 조정 밸브(18)를 통해 리저버실(A)로, 신장 행정 시와 동일한 경로로 흐른다. 또한, 보텀측 오일실(C) 내의 압력이 보텀 밸브(13)[디스크 밸브(15)]의 밸브 개방 압력에 도달하면, 보텀 밸브(13)[디스크 밸브(15)]가 개방되어, 보텀측 오일실(C)의 압력을 리저버실(A)로 릴리프한다.
이에 의해, 피스톤 로드(8)의 신장 행정 시와 축소 행정 시에,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메인 밸브(23)의 밸브 개방 전에는, 파일럿 핀(24)의 오리피스(24C)와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방 압력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하고, 메인 밸브(23)의 밸브 개방 후에는, 상기 메인 밸브(23)의 개방도에 따라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33)의 코일(34A)에의 통전에 의해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방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피스톤 속도에 상관없이, 감쇠력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일(34A)에의 통전 전류를 작게 하여 아마추어(48)의 추력을 작게 하면,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방 압력이 저하되어, 소프트측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한편, 코일(34A)에의 통전 전류를 크게 하여 아마추어(48)의 추력을 크게 하면,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방 압력이 상승하여, 하드측의 감쇠력이 발생한다. 이때,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방 압력에 의해, 그 상류측의 오일 통로(25)를 통해 연통되는 배압실(27)의 내압이 변화한다. 이에 의해, 파일럿 밸브체(32)의 밸브 개방 압력을 제어함으로써, 메인 밸브(23)의 밸브 개방 압력을 동시에 조정할 수 있고, 감쇠력 특성의 조정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코일(34A)의 단선 등에 의해 아마추어(48)의 추력이 상실된 경우에는, 파일럿 밸브체(32)가 리턴 스프링(28)에 의해 후퇴[밸브 시트부(26E)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여, 파일럿 밸브체(32)의 플랜지부(32A)와 디스크 밸브(29)가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는, 디스크 밸브(29)의 밸브 개방압에 의해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코일의 단선 등의 상태 불량 시에도, 필요한 감쇠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에 의하면,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와 아마추어 외주부(48A)의 거리(Xo)」와 「앵커(41)의 내주 볼록부(41F)와 아마추어 내주부(48B)의 거리(Xi)」가 상이하다. 환언하면,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와 아마추어 외주부(48A)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과 「앵커(41)의 내주 볼록부(41F)와 아마추어 내주부(48B)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아마추어(48)의 스트로크에 대해,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피크와, 앵커(41)의 내주 볼록부(41F)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피크를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즉, 실시형태에 의하면,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와 아마추어(48)의 흡인력의 피크」와 「앵커(41)의 내주 볼록부(41F)와 아마추어(48)의 흡인력의 피크」를 어긋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아마추어(48)의 추력[앵커(41)와 아마추어(48)의 흡인력]을 스트로크에 대해 일정(플랫)하게 하고 싶은 범위(제어 영역)에서 일정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아마추어(48)의 추력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아마추어(48)]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파일럿 밸브체(32)의 특성(예컨대, 밸브 개방 특성), 메인 밸브(23)의 특성(예컨대, 밸브 개방 특성), 나아가서는, 완충기(1)의 감쇠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앵커(41)의 오목부(41G)의 직경 방향 폭(Wo)은, 앵커(41)의 내주 볼록부(41F)의 직경 방향 폭(Wi)의 1 내지 95배이다. 이 때문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48)의 추력을 일정하게 하고 싶은 범위에서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직경 방향 폭(Wo, Wi)의 비가 1배보다 작으면(또는, 95배보다 크면), 추력을 거의 일정하게 하고 싶은 범위에서 추력의 변동이 커진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앵커(41)의 오목부(41G)의 바닥부를 평평한 면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앵커(41)의 오목부(61), 즉, 앵커(41)의 외주 볼록부(41C)와 내주 볼록부(41F) 사이에, 환형의 중간 볼록부(62)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앵커(41)의 중간 볼록부(62)의 볼록단에는, 평평한 면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앵커(41)에 중간 볼록부(62)를 형성한 경우에는, 중간 볼록부(62)에 의해, 추력을 거의 일정하게 하고 싶은 범위에서 추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볼록부(62)의 볼록단에 평평한 면을 형성함으로써, 뾰족한 형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한 높이에서 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자기 포화를 완화할 수 있고, 추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48)에는, 앵커(41)의 중간 볼록부(62)와 대응하여 환형의 중간 오목부(63)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아마추어 외주부(48A)와 중간 오목부(63)의 외경측 사이가 되는 외측 접속부(64), 및/또는, 아마추어 내주부(48B)와 중간 오목부(63)의 내경측 사이가 되는 내측 접속부(65)에는, 평평한 면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평평한 면을 늘릴 수 있어, 각각이 뾰족한 형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자기 포화를 더욱 완화할 수 있고, 추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아마추어(48)의 중간 오목부(63)의 바닥부(66)에는, 평평한 면을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평평한 면에 의한 자기 포화 및 추력의 향상에 더하여, 중간 오목부(63)의 바닥부(66)의 평평한 면이 절삭 공구의 여유면이 되어, 중간 오목부(63)의 가공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하우징(36)과 실린더(44), 및 실린더(44)와 요크(39)를, 납땜재를 통해 접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하우징(36)과 실린더(44), 및 실린더(44)와 요크(39)를 용접으로 접합해도 좋다.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앵커(41)를 요크(39)의 고정 구멍(39A) 내에 압입에 의해 고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나사 등의 나사 결합 수단, 코킹 수단 등을 이용하여 앵커를 요크 내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앵커(41)와 요크(39)를 별체(別體)(다른 부품)로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앵커와 요크를 일체(일부품)로 구성해도 좋다.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실린더(44)의 일측을 요크(39)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실린더(접합 부재)의 일측을 앵커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요크(39)에 타측 통부(39H)를 설치하고, 타측 통부(39H)의 선단측(축 방향 타측)을 코킹부(39J)에 의해 커버 부재(51)의 외주측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요크의 환형부와 타측 통부를 별체로 형성하고, 이 타측 통부를 커버 부재와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솔레노이드(33)를 비례 솔레노이드로서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ON/OFF식의 솔레노이드로서 구성해도 좋다.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외통(2)과 내통(4)을 포함하는 복통식의 완충기(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단통식의 통 부재(실린더)를 포함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이용해도 좋다.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솔레노이드(33)를 완충기(1)의 감쇠력 가변 액추에이터로서 이용하는 경우, 즉, 감쇠력 조정 밸브(18)의 파일럿 밸브를 구성하는 파일럿 밸브체(32)를 솔레노이드(33)의 구동 대상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솔레노이드는, 예컨대, 유압 회로에 이용하는 밸브 등의 각종 기계 장치에 편입되는 액추에이터, 즉, 직선적으로 구동해야 할 구동 대상물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초한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예컨대 하기에 서술하는 양태의 것이 생각된다.
제1 양태로서는, 솔레노이드로서,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통전 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외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내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보다 작다.
이 제1 양태에 의하면, 「고정자의 외주 볼록부와 가동자 외주부의 거리」와 「고정자의 내주 볼록부와 가동자 내주부의 거리」가 상이하다. 이 때문에, 가동자의 스트로크에 대해, 고정자의 외주 볼록부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피크와, 고정자의 내주 볼록부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피크를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자의 추력(고정자와 가동자의 흡인력)을 스트로크에 대해 일정(플랫)하게 하고 싶은 범위(제어 영역)에서 일정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가동자의 추력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2 양태로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내주 볼록부의 직경 방향 폭에 대해, 상기 내주 볼록부와 상기 외주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의 직경 방향 폭은, 1 내지 95배이다. 이 제2 양태에 의하면, 가동자의 추력을 일정하게 하고 싶은 범위에서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직경 방향 폭의 비가 1배보다 작으면(또는, 95배보다 크면), 추력을 거의 일정하게 하고 싶은 범위에서 추력의 변동이 커진다.
제3 양태로서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외주 볼록부와 상기 내주 볼록부 사이에는, 중간 볼록부가 형성된다. 이 제3 양태에 의하면, 중간 볼록부에 의해, 추력을 거의 일정하게 하고 싶은 범위에서 추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제4 양태로서는, 제3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상기 중간 볼록부의 볼록단에는, 평평한 면을 갖는다. 이 제4 양태에 의하면, 평평한 면을 형성함으로써, 뾰족한 형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한 높이에서 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자기 포화를 완화할 수 있고, 추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양태로서는, 제3 양태 또는 제4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에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중간 볼록부와 대응하여 중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자 외주부와 상기 중간 오목부의 외경측 사이, 및/또는, 상기 가동자 내주부와 상기 중간 오목부의 내경측 사이에는, 평평한 면을 갖는다. 이 제5 양태에 의하면, 평평한 면을 늘릴 수 있고, 각각이 뾰족한 형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자기 포화를 더욱 완화할 수 있고, 추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양태로서는, 제5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의 상기 중간 오목부의 바닥부에는, 평평한 면을 갖는다. 이 제6 양태에 의하면, 평평한 면에 의한 자기 포화 및 추력의 향상에 더하여, 중간 오목부의 바닥부의 평평한 면이 절삭 공구의 여유면이 되어, 중간 오목부의 가공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7 양태로서는, 솔레노이드로서,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주 볼록부와 상기 가동자의 접근 거리에 대한 흡인력의 피크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상기 가동자의 접근 거리에 대한 흡인력의 피크가 상이하다.
이 제7 양태에 의하면, 「고정자의 외주 볼록부와 가동자의 흡인력의 피크」와 「고정자의 내주 볼록부와 가동자의 흡인력의 피크」를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자의 추력(고정자와 가동자의 흡인력)을 스트로크에 대해 일정(플랫)하게 하고 싶은 범위(제어 영역)에서 일정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가동자의 추력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8 양태로서는, 솔레노이드로서,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상기 가동자 외주부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을, 상기 내주 볼록부와 상기 가동자 내주부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과 상이하게 하고 있다.
이 제8 양태에 의하면, 「고정자의 외주 볼록부와 가동자 외주부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과 「고정자의 내주 볼록부와 가동자 내주부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가동자의 스트로크에 대해, 고정자의 외주 볼록부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피크와, 고정자의 내주 볼록부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힘의 피크를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자의 추력(고정자와 가동자의 흡인력)을 스트로크에 대해 일정(플랫)하게 하고 싶은 범위(제어 영역)에서 일정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가동자의 추력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9 양태로서는, 감쇠력 조정 기구로서,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통전 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외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내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보다 작다.
이 제9 양태에 의하면, 제1 양태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가동자)의 추력(고정자와 가동자의 흡인력)을 스트로크에 대해 일정(플랫)하게 하고 싶은 범위(제어 영역)에서 일정하게 근접시킬 수 있고, 가동자의 추력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의 특성(예컨대, 밸브 개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0 양태로서는,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 기구를 구비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는,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통전 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외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내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보다 작다.
이 제10 양태에 의하면, 제1 양태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가동자)의 추력(고정자와 가동자의 흡인력)을 스트로크에 대해 일정(플랫)하게 하고 싶은 범위(제어 영역)에서 일정하게 근접시킬 수 있고, 가동자의 추력의 안정성, 제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솔레노이드(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의 특성(예컨대, 밸브 개방 특성), 나아가서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의 감쇠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세히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대해, 다른 구성의 추가·삭제·치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은 2021년 2월 23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21-026852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2021년 2월 23일자 출원의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21-026852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전체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원에 전체로서 편입된다.
1: 완충기(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2: 외통(실린더)
4: 내통(실린더) 5: 피스톤
8: 피스톤 로드 17: 감쇠력 조정 기구
32: 파일럿 밸브체(제어 밸브) 33: 솔레노이드
34A: 코일 41: 앵커(고정자)
41C: 외주 볼록부 41F: 내주 볼록부
41G, 61: 오목부 48: 아마추어(가동자)
48A: 아마추어 외주부(가동자 외주부)
48B: 아마추어 내주부(가동자 내주부) 62: 중간 볼록부
63: 중간 오목부
64: 외측 접속부(가동자 외주부와 중간 오목부의 외경측 사이)
65: 내측 접속부(가동자 내주부와 중간 오목부의 내경측 사이)
66: 바닥부 Xo, Xi: 축 방향 거리
Wo, Wi: 직경 방향 폭

Claims (10)

  1. 솔레노이드로서,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통전 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외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내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보다 작은 것인 솔레노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 볼록부의 직경 방향 폭에 대해, 상기 내주 볼록부와 상기 외주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의 직경 방향 폭은, 1 내지 95배인 것인 솔레노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볼록부와 상기 내주 볼록부 사이에는, 중간 볼록부가 형성되는 솔레노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의 상기 중간 볼록부의 볼록단에는, 평평한 면을 갖는 솔레노이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에는, 상기 고정자의 상기 중간 볼록부와 대응하여 중간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자 외주부와 상기 중간 오목부의 외경측 사이, 및/또는, 상기 가동자 내주부와 상기 중간 오목부의 내경측 사이에는, 평평한 면을 갖는 솔레노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의 상기 중간 오목부의 바닥부에는, 평평한 면을 갖는 솔레노이드.
  7. 솔레노이드로서,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주 볼록부와 상기 가동자의 접근 거리에 대한 흡인력의 피크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상기 가동자의 접근 거리에 대한 흡인력의 피크가 상이한 것인 솔레노이드.
  8. 솔레노이드로서,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상기 가동자 외주부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을, 상기 내주 볼록부와 상기 가동자 내주부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타이밍과 상이하게 한 것인 솔레노이드.
  9. 감쇠력 조정 기구로서,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비통전 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외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내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보다 작은 것인 감쇠력 조정 기구.
  10.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상기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는,
    작동 유체가 봉입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 내의 상기 피스톤의 슬라이딩에 의해 발생하는 작동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력 조정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는,
    환형으로 감겨지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권회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가동자와,
    상기 가동자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고정자와,
    상기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 밸브
    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자에는, 외주 볼록부와 내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비통전 시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에 대해 상기 가동자는, 상기 외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외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가, 상기 내주 볼록부와 직경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상기 가동자 내주부까지의 축 방향 거리보다 작은 것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1020237022103A 2021-02-23 2022-02-09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KR202301137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26852 2021-02-23
JPJP-P-2021-026852 2021-02-23
PCT/JP2022/005009 WO2022181319A1 (ja) 2021-02-23 2022-02-09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791A true KR20230113791A (ko) 2023-08-01

Family

ID=8304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103A KR20230113791A (ko) 2021-02-23 2022-02-09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83208A1 (ko)
JP (1) JPWO2022181319A1 (ko)
KR (1) KR20230113791A (ko)
CN (1) CN116888693A (ko)
DE (1) DE112022001216T5 (ko)
WO (1) WO202218131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3909A (en) 1987-07-30 1989-02-03 Mic Kogyo Kk Electromagnet
JP2017143156A (ja) 2016-02-09 2017-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石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39Y2 (ko) 1987-08-21 1993-01-26
BR112013012121A2 (pt) * 2010-11-17 2016-09-27 Mikuni Kogyo Kk atuador eletromagnético
JP7194336B2 (ja) 2019-08-01 2022-1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3909A (en) 1987-07-30 1989-02-03 Mic Kogyo Kk Electromagnet
JP2017143156A (ja) 2016-02-09 2017-08-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石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2001216T5 (de) 2024-01-04
WO2022181319A1 (ja) 2022-09-01
US20240083208A1 (en) 2024-03-14
CN116888693A (zh) 2023-10-13
JPWO2022181319A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332B1 (ko)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US11668366B2 (en)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JP6440861B2 (ja) 緩衝器及び緩衝器の組立方法
WO2021117800A1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2023053967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ソレノイド
JP2014073018A (ja) ソレノイド
JP6383021B2 (ja) ソレノイド
KR20230113791A (ko)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WO2023157503A1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23238543A1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7446464B2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6719278B2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
KR20230048438A (ko) 솔레노이드, 감쇠력 조정 기구 및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
JP2024003373A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2024048011A (ja) ソレノイド
JP7377958B2 (ja) ソレノイド、減衰力調整機構および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22091632A1 (ja) ソレノイド、ソレノイドバルブ、緩衝器およびソレノイドの製造方法
JP2023172640A (ja) 減衰力調整式緩衝器および圧力制御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