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512A -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13512A KR20230113512A KR1020230095825A KR20230095825A KR20230113512A KR 20230113512 A KR20230113512 A KR 20230113512A KR 1020230095825 A KR1020230095825 A KR 1020230095825A KR 20230095825 A KR20230095825 A KR 20230095825A KR 20230113512 A KR20230113512 A KR 202301135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ulation
- cartridge
- unit
- dispenser
- ro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acin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085 Rhinitis allergic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316 Vitamin 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QYSXJUFSXHHAJI-XFEUOLMDSA-N Vitamin D3 Natural products C1(/[C@@H]2CC[C@@H]([C@]2(CCC1)C)[C@H](C)CCCC(C)C)=C/C=C1\C[C@@H](O)CCC1=C QYSXJUFSXHHAJI-XFEUOLMD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105 allergic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31 hyperten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350 isoniazid Drugs 0.000 description 2
- QRXWMOHMRWLFEY-UHFFFAOYSA-N isoniazide Chemical compound NNC(=O)C1=CC=NC=C1 QRXWMOHMRWLF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2
- 201000008827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710 vitamin 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6008 vitamin d Drugs 0.000 description 2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41 Pellagr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618 Premenstrual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4 caus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256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532 hypothyroid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89 hypothyroid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80 lu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56 lute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BPHJBAIARWVSC-RGZFRNHPSA-N lutein Chemical compound C([C@H](O)CC=1C)C(C)(C)C=1\C=C\C(\C)=C\C=C\C(\C)=C\C=C\C=C(/C)\C=C\C=C(/C)\C=C\[C@H]1C(C)=C[C@H](O)CC1(C)C KBPHJBAIARWVSC-RGZFRNHP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75 lutein Drugs 0.000 description 1
- ORAKUVXRZWMARG-WZLJTJAWSA-N lute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O)CC2(C)C)C ORAKUVXRZWMARG-WZLJTJAW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3 med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30 mental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368 osteomala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067 polydi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265 sto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3 trace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9 trace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KBPHJBAIARWVSC-XQIHNALSSA-N trans-lutein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2C(=CC(O)CC2(C)C)C KBPHJBAIARWVSC-XQIHNALS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FJHBOVDFOQMZRV-XQIHNALSSA-N xanthophyl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C1(C)C)C=CC=C(/C)C=CC2C=C(C)C(O)CC2(C)C FJHBOVDFOQMZRV-XQIHNALS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5—Rigid ampoules, e.g. glass ampou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81—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orking on a schedule ba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0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the dispensing means being adapted for delivering one article, or a single dose, upon each actu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내부에 제형을 수납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와 결합되어 디스펜서에 삽입되고 제형을 디스펜서 쪽으로 토출시키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되, 토출 유닛은 일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타단측으로 카트리지의 제형이 배출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제형을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내부 공간에서 회전하여 제형을 이동시키는 로터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일단에 카트리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타단측에 제형을 배출시키는 토출구와 로터부의 구동축이 노출되고, 제형은 하우징의 일단에 카트리지가 결합되어 카트리지로부터 로터부 상으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는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를 구비하는 수납 유닛,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삽입됨에 따라 로터부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로터부 구동부 및 로터부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내부에 제형을 수납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와 결합되어 디스펜서에 삽입되고 제형을 디스펜서 쪽으로 토출시키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되, 토출 유닛은 일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타단측으로 카트리지의 제형이 배출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제형을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내부 공간에서 회전하여 제형을 이동시키는 로터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일단에 카트리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타단측에 제형을 배출시키는 토출구와 로터부의 구동축이 노출되고, 제형은 하우징의 일단에 카트리지가 결합되어 카트리지로부터 로터부 상으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는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를 구비하는 수납 유닛,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삽입됨에 따라 로터부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로터부 구동부 및 로터부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미량원소(trace element)(아연, 철분, 마그네슘 등)이나 비타민 등을 포함하는 영양제는 인체에 보충하는 건강 보조식품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영양제는 필요에 따라서는 치료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치료제로 사용되는 경우,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복용량이 엄격히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골연화증(osteomalacia) 환자는 비타민 D를 처방받아 복용하여야 하며, 혈액 중 칼슘 농도에 따라 복용량이 정해진다. 환자가 비타민 D를 과량 복용할 경우, 칼슘 결석(calcium stone)이나 고혈압(hypertensive disease)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아이소나이아지드(Isonizid)는 결핵 치료 중 환자의 혈액에 포함되는 나이아신(nicotinic acid)을 급속히 소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나이아신 결핍이 발생되는 경우, 의사는 환자의 혈액 중 나이아신의 농도에 맞추어 환자에게 적합한 아이소나이아지드의 복용량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건강을 위해 복용하는 영양제도 사용자 각각의 기저질환 여부 등의 몸 상태에 따라서 건강을 해치는 독극물로 작용할 위험이 있으므로 몸에 필요한 종류를 필요한 만큼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고혈압 환자, 당뇨병 환자 및 갑상선 기능 저하증(Hypothyroidism) 환자 등과 같이, 질환의 종류에 따라서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고, 이런 경우, 해당 환자의 몸 상태에 따라 약의 복용량을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약은 50mg이나 100mg과 같이 일정 단위로 용량이 정해져 있는 알약인 경우가 많아, 의사는 환자의 상태에 적합한 정확한 용량의 약을 처방하는 대신, 단계별 용량의 약을 처방하게 된다.
예를 들어, 50mg 용량의 약을 처방받은 고혈압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면, 의사는 악화된 정도에 맞게 약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대신에 시판되는 다음 단계의 용량인 100mg의 약을 해당 환자에게 처방하게 된다.
이처럼, 건강 보조식품이나 치료 목적으로 복용하는 영양제나 알약과 같은 제형(劑形)은 복용자의 몸 상태에 맞게 적정 용량을 지정된 시간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정확하게 자신에게 맞는 종류의 제형을 챙겨 먹는 것이 어렵다. 특히, 양양제와 같이 건강 보조식품으로 제형을 복용하는 경우는, 질병의 경우와 달리, 현재 몸 건강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으므로 해당 제형을 정확한 방식으로 꾸준하게 복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제형의 복용을 편리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제형의 손상 없이 신속하게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는 내부에 제형을 수납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어 디스펜서에 삽입되고 상기 제형을 디스펜서 쪽으로 토출시키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 유닛은 일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일단에 상기 카트리지가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제형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타단측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제형이 배출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형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형을 이동시키는 로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단에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타단측에 상기 로터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제형을 상기 디스펜서쪽으로 배출시키는 토출구와 상기 로터부의 구동축이 노출되고, 상기 제형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카트리지가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로터부 상으로 유입된다.
상기 하우징의 결합 구조는 상기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나사산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막도록 구비되고, 상기 토출구와 상기 로터부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로터 삽입구를 구비하는 토출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부는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될 제형이 안착되는 제형 유도구를 구비하되, 상기 제형 유도구는 상기 안착되는 제형을 상기 로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출구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형 유도구는 상기 제형 유도구 내에서 복수의 제형이 일렬로 배열되는 폭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 유닛을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할 때 상기 토출 유닛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수납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납 가이드 돌기는 상기 디스펜서에서 상기 토출 유닛이 삽입되는 카트리지 수납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단에 상기 카트리지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디스펜서에 삽입되되, 상기 디스펜서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노출된 로터부의 구동축은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된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로터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형은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 쪽으로 투하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토출 유닛과 결합되는 일단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는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토출 유닛이 결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를 구비하는 수납 유닛,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로터부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로터부 구동부 및 상기 로터부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에 삽입될 때, 상기 토출 유닛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의 타단이 상기 카트리지 수납구를 향할 수 있다.
상기 수납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각에 장착되는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각은 함몰홈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 유닛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수납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각은 상기 수납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수납 가이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각각의 상기 토출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각각의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토출되는 제형의 개수를 감지하는 토출 개수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의 각각의 장착 상태를 표시하는 장착 상태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각각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이 외부로 토출되는 상기 수납 유닛의 하단을 밀폐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복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각각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이 토출되는 동안 상기 수납 유닛의 하단을 개방하고, 상기 복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각각으로부터의 토출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수납 유닛의 하단을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현재 사용자의 몸 상태에 따라 복용해야 하는 제형의 종류 및 복용량에 맞게 해당 제형이 토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형 토출 시, 해당 제형의 신속한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제형 토출을 위한 회전 동작으로 인한 제형 손상의 확률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사사도로서, (a)는 상부 덮개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상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c)는 수납구에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형 디스펜서를 일 방향으로 전달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를 상부의 일 방향에 얻어지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하우징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상부의 일 방향에서 얻어지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하부의 일 방향에서 얻어지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c는 일 방향을 따라 하우징을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고, 도 6d는 하우징을 아래 쪽에서 일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에서 하우징과 카트리지가 결합된 부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토출캡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8a와 8b는 각각 위쪽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사시도이고, 도 8c는 일 방향을 따라 토출캡을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고, 도 8d는 평면도이며, 도 8e는 하우징의 막음판에 장착된 제형 가이드 돌기와 토출캡의 제2 가이드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로터부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9a는 위쪽에서 일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아래쪽에서 일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일 방향을 따라 로터부를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고, 도 9d는 로터부의 제형 유도구에 제형이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서, 토출캡에 로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a는 일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평면도이고, 도 10c와 도 10d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서, 하우징과 토출캡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a는 평면도이고, 도 11b와 도 11c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이 제형을 토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각 (a)는 토출캡와 중첩되는 제형 유도구 내의 제형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각 (b)는 제형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면 사이의 이동통로에서 제형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제어 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카트리지 제어 유닛에서 제형 토출 동작에 관련된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형 디스펜서를 일 방향으로 전달할 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를 상부의 일 방향에 얻어지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하우징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상부의 일 방향에서 얻어지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하부의 일 방향에서 얻어지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c는 일 방향을 따라 하우징을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고, 도 6d는 하우징을 아래 쪽에서 일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에서 하우징과 카트리지가 결합된 부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토출캡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8a와 8b는 각각 위쪽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사시도이고, 도 8c는 일 방향을 따라 토출캡을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고, 도 8d는 평면도이며, 도 8e는 하우징의 막음판에 장착된 제형 가이드 돌기와 토출캡의 제2 가이드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로터부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9a는 위쪽에서 일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아래쪽에서 일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일 방향을 따라 로터부를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고, 도 9d는 로터부의 제형 유도구에 제형이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서, 토출캡에 로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0a는 일 방향으로 바라볼 때 얻어지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평면도이고, 도 10c와 도 10d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3에 도시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에서, 하우징과 토출캡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1a는 평면도이고, 도 11b와 도 11c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을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절단할 때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유닛이 제형을 토출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각 (a)는 토출캡와 중첩되는 제형 유도구 내의 제형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각 (b)는 제형 가이드 돌기와 제2 가이드면 사이의 이동통로에서 제형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제어 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의 카트리지 제어 유닛에서 제형 토출 동작에 관련된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이하에서 어떤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공정 상의 오차를 고려하여, 어떤 제1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가 다른 제2 구성 요소의 두께나 폭 또는 길이와 비교하여 10%의 오차 범위에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형은 영양제와 같은 건강 보조 식품이나 의약품을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맞게 고형의 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제형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원기둥형,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크기, 예를 들어, 최대 지름이나 최대 길이는 일 예로 1mm ∼ 7mm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제형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도 1a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제형 디스펜서(1)를 기준으로 제형 디스펜서(1)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x), 제1 방향(x)과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제2 방향(y),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수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제3 방향(z)이라 한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한 제형 디스펜서(1)을 기준으로 하면, 제1 방향(x)은 제형 디스펜서(1)의 전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y)은 제형 디스펜서(1)의 좌우 방향일 수 있으면, 제3 방향(z)은 제형 디스펜서(1)의 높이 방향일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1)의 일례는 수납 유닛(10), 본체(20), 디바이스 단말부(30) 및 받침대(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 유닛(10)은 제형이 각 수납되는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삽입되어 수납되는 부분으로서, 제형 디스펜서(1)의 제1 방향(x)을 따라 제형 디스펜서(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수납 유닛(10)은 일 예로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제3 방향(z)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있다. 따라서, 수납 유닛(10)의 측면은 곡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유닛(10)은, 도 1b 및 도 1 c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11), 하우징(11)에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12) 및 수납부(12)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수납부(12) 내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장착 상태를 표시하는 장착 상태 표시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케이스(111)와 케이스(111)의 내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단열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11)는 수납 유닛(1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물질이나 금속 등의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11)의 형상은 수납 유닛(10)의 형상에 따라 정해지므로, 일 예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열부(112)는 수납 유닛(10)의 내부 온도를 정해진 온도(예, 5℃ 내지 15℃)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단열 효과를 갖는 단열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수납부(12)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복수 개의 카트리지 수납구(H1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수납부(12)는 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수납부(12)는 단열 재료를 함유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수납부(12)에 의해, 수납 유닛(10)의 단열 효과는 좀 더 향상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카트리지 수납구(H12) 각각에는 하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삽입되고, 수납부(12)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H12)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여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인접한 두 카트리지 수납구(H12) 사이의 간격은 역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H12) 각각에 삽입된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서 제형이 토출될 때,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서 제형 디스펜서(1)의 외부인 받침대(40)쪽으로 해당 제형이 토출될 때까지의 시간은 동일할 수 있다.
각 카트리지 수납구(H12)의 형상 및 크기는 모두 동일하며, 삽입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평면 형상에 따라 각 카트리지 수납구(H12)의 형상 및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한 것처럼, 카트리지 수납구(H12)의 일측에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수납 가이드구(H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수납 가이드구(H121)는 카트리지 수납부(H12)의 중심부를 향해, 즉, 장착 상태 표시부(13) 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한 것처럼, 카트리지 수납구(H12)와 수납 가이드구(H121)는 서로 연결되어 통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 가이드구(H121)를 이용하여 삽입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삽입 방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원활한 삽입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b 및 도 1c에서,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H12)의 개수는 일 예로 8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 가능하여 복수의 카트리지 수납구(H12)의 개수는 8개보다 많거나 작을 수 있다.
수납부(12)에 수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제형 디스펜서(1)에서 단위 시간당 토출되는 제형(T10)의 개수 역시 증가할 수 있다.
일례로,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는 초당 5개 내지 10개 이상의 제형을 고속 토출할 수 있으며, 제형 디스펜서(1)에 삽입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제형 디스펜서(1)가 토출하는 초당 제형의 개수 역시 증가할 수 있다. 일례로, 제형 디스펜서(1)에서 1회에 토출되는 제형(T10)의 개수는 25개 내지 250개 사이일 수 있다.
장착 상태 표시부(13)는 수납부(12)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복수 개의 카트리지 수납구(H12)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상태 표시부(13)는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복수 개의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고, 장착 상태 표시부(13)의 개수는 카트리지 수납구(H12)의 개수와 동일하며 제어 모듈(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상태 표시부(13)의 동작을 위해, 각 카트리지 수납구(H12)에는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장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카트리지 수납구(H12)에 정상적으로 해당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장착되면 제어 모듈은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12)에 대응하는 해당 발광부로 제1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정해진 제1 색상(예, 녹색)의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카트리지 수납구(H12)에 해당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지 않거나 비어 있으면, 제어 모듈은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12)에 대응하는 해당 발광부로 제2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제1 색상과 다른 정해진 제2 색상(예, 적색)의 빛이 발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장착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상태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예에서,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하단, 즉 제형 서스펜서(1)의 수납 유닛(10)의 하단은 해당 제형의 토출을 위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방 상태가 방치될 경우, 개방된 부분을 통해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부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와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제형이 오염되며 변질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수납 유닛(10)은 개방된 제형 디스펜서(1)의 하단, 즉, 모든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하단을 덮을 수 있는 덮개 기능을 수행하는 밀폐부(14)와 이러한 밀폐부(14)를 제3 방향(z)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밀폐부 구동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밀폐부 구동부(15)는 모터(motor) 및 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서 제형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어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밀폐 구동부(15)는 해당 상태로 동작하여 모터를 정해진 방향(예,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러한 모터의 회전 동작에 의해 밀폐부(14)는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밀폐부(14)의 하강 동작에 의해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개방된 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로부터의 제형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서 제형의 토출 동작이 완료되면, 제어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밀폐 구동부(15)의 동작이 이루어져 제형의 토출 시와는 반대 방향(예, 반시계 방향)으로 모터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밀폐부(14)는 토출 시와는 반대로 정해진 위치까지 상승할 수 있고, 이러한 밀폐부(14)의 상승 동작에 의해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개방된 하단은 밀폐부(14)로 닫히게 된다(도 2 참고).
따라서, 이러한 밀폐부 구동부(15)에 의한 밀폐부(14)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의해,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서의 제형 토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형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는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수납 유닛(20)의 상부, 즉 하우징(11)의 상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개폐 가능한 상부 덮개(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커버(16)의 일부는 케이스(111)의 일부에 힌지(hinge) 결합될 수 있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본체(20)는 제형 디스펜서(1)의 후방에 부착되게 위치하여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 수납된 제형의 토출 제어가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본체(20)는 복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위치하는 수납부(12)를 냉장시키는 냉장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냉장 장치는 방열판 및 방열팬(fan)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방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방열판은 수납 유닛(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방열팬은 제어 모듈과 연결될 수 있어, 제어 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은 온도 감지부로부터 인가되는 온도 감지 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의 온도를 판정하고, 판정된 온도에 따라 방열팬의 동작 여부 및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열부에 의해 수납 유닛(10)의 내부 온도는 설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수납 유닛(10) 내에 수납된 제형은 적정 온도에서 보관될 수 있게 된다.
디바이스 단말부(30)는 제형 디스펜서(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1a에 도시한 것처럼, 디바이스 단말부(30)는 수납 유닛(10)의 상부와 본체(20)의 상부에 걸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 단말부(30)는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설정 동작이나 조작을 위한 메뉴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디바이스 단말부(30)는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고,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 패널 역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은 사용자의 입력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터치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형 디스펜서(1)는 디바이스 단말부(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실시간 몸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현재 필요한 서로 다른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제형의 종류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형의 종류 및 각 제형의 복용량(즉, 토출 개수)를 정해 해당 종류의 제형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 단말부(30)는 사용자의 육체적 건강 상태 또는 정신적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예, 피로, 스트레스, 운동 여부, 음주 여부, 생리전 증후군, 알르레기 비염 등)를 현재 사용자 상태 정보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디바이스 단말부(30)를 통해 입력된 현재 사용자 상태 정보는 제어 모듈(미도시)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은 현재 복용해야 하는 제형의 종류 및 복용량을 판정하고, 판정된 종류의 제형이 정해진 수량만큼 토출될 수 있도록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제형 디스펜서(1)에서는 현재 사용자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별로 현재 복용해야 하는 제형의 종류 및 복용량이 정해질 수 있다.
받침대(40)는 수납 유닛(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형 디스펜서(1)가 정해진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수납 유닛(10)에 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일 예를 설명한다.
수납 유닛(10)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형이 수용되는 카트리지(70) 및 카트리지(70)와 결합되는 토출 유닛(80)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카트리지(70)는 각각 서로 다른 영양 성분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제형(예, 비타민 A, 비타민 C, 루테인, 오메가 3 등)(T10)을 보관할 수 있다.
이들 제형(T10)의 경도는 기준치(예, 2.4kp) 이상의 일 수 있고, 본 예의 제형 디스펜서(1)에 의한 토출 동작 시 충돌이나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거나 부서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예의 제형(T10)은 적절한 최대 폭과 최대 높이를 가지고 있고, 최대 폭과 최대 높이의 비율이 적절한 범위로 형성되어, 본 예에 따른 제형 디스펜서(1)를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각 카트리지(70)는 하나의 토출 유닛(80)과 결합될 수 있으므로, 토출 유닛(80)의 개수는 수납부(12)에 수납되는 카트리지(7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각 토출 유닛(80)의 동작은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 각 카트리지(70)에 보관된 제형(T10)의 토출 여부 및 토출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카트리지(70)는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내부에 제형(T10)이 수납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카트리지(70)는 카트리지 본체(71)와 하부에 위치한 토출 유닛(8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72)를 구비할 수 있다.
카트리지 본체(71)에서, 토출 유닛(80)과 결합되는 하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부의 반대편에서 하부와 마주보고 있는 상부는 막혀 있어, 카트리지 본체(71)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본체(71)의 상부에는 외측면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 탈거홈(P71)이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탈거홈(P71)에 의해 사용자는 카트리지 수납구(H12) 내에 삽입된 카트리지(70)를 좀 더 쉽게 빼낼 수 있다.
개방된 카트리지 본체(7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결합부(72)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토출 유닛(80)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일 예로서, 카트리지(70)와 토출 유닛(80)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므로, 결합부(72)의 외측에는 나사산(721)이 위치할 수 있다.
토출 유닛(80)은 카트리지(70)와 결합되는 하우징(801), 하우징(801)의 하부에서 하우징(801)과 결합되는 토출캡(802), 그리고 토출캡(802)과 하우징(801) 사이에 위치하여 토출캡(802)과 결합되는 로터부(803)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로터부(803)가 제형(T10)을 토출시키는 방향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 회전 방향을 정회전이라 하고, 로터부(300)가 정회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 회전 방향을 역회전이라 한다.
다음, 도 6a 내지 도 6d를 추가로 참고하여, 하우징(801)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801)은 하우징 본체(811), 하우징 본체(811)의 외측 일부에서 돌출된 수납 가이드 돌기(예, 제1 수납 가이드 돌기)(812), 하우징 본체(811)의 내측면(즉, 내부면)에 위치하고 있는 삽입 제한부(813), 삽입 제한부(813)의 내측면(즉, 내부면)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차단 리브(rib)(814) 및 삽입 제한부(813)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제형 가이드 돌기(815)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811)은 가운데 부분에 빈 공간을 갖고 있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고 제3 방향(z)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 본체(811)는 하우징(801)의 외벽을 구성할 수 있고, 상부에 위치한 카트리지(70)와의 결합을 위해 내부면에 나사산(8111)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70)의 나사산(711)과 하우징 본체(811)의 나사산(8111)에 의해 카트리지(70)는 하우징 본체(81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 수납 가이드 돌기(812)는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12)에 삽입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12)의 수납 가이드구(H121)에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수납 가이드 돌기(812)는 카트리지 수납구(H12)에 연결되어 통해 있는 수납 가이드구(H12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 예로, 대략 삼각형의 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수납 가이드 돌기(812)가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12)의 수납 가이드구(H121)에 삽입되도록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삽입 방향을 정한 후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1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를 삽입시킬 수 있다.
삽입 제한부(813)는 하우징(801)과 나사 결합되는 카트리지(70)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카트리지(70)는 자신의 하단이 삽입 제한부(813)의 상단에 접할 때까지 해당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을 통해 하우징(80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제한부(813)는 하우징(801)의 내벽을 구성할 수 있고, 하우징 본체(811)의 내부면에서부터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 본체(811)의 내부에서 하우징 본체(811)와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70)와 하우징 본체(811)가 서로 결합될 때, 카트리지(70)의 내부 공간은 삽입 제한부(813)에 의해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과 연결되어 도통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70)와 삽입 제한부(813)의 공간 연결에 의해, 카트리지(70) 내에 수납된 제형(T10)은 자중(自重)에 의해 삽입 제한부(813)로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 속에 토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삽입 제한부(813)는 원형인 하우징 본체(811)의 내부면을 따라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 본체(811)와 삽입 제한부(813)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본체(811)와 삽입 제한부(813) 사이의 이격 공간은 막혀 있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하우징 본체(811)와 삽입 제한부(813)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801)은 삽입 제한부(813)의 하단과 이 하단에 인접한 하우징 본체(811)의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 본체(811)와 삽입 제한부(813) 사이의 이격 공간을 막고 삽입 제한부(813)를 하우징 본체(811)에 결합하는 막음판(813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막음판(8131)에 의해, 삽입 제한부(813)와 하우징 본체(811) 사이에는 하부는 막혀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 이격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제한부(813)는 하우징 본체(811)의 내측면과 이격 간격을 유지하면서 하우징 본체(811)와 결합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막음판(8131)의 외부면(즉, 하부면)은 삽입 제한부(813)에서부터 하우징 본체(811) 쪽으로 아래 방향(즉, 외측 하부)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예에서, 도 6b에 도시한 것처럼, 삽입 제한부(813)의 상단 높이는 하우징 본체(811)의 상단 높이보다 낮고, 삽입 제한부(813)의 하단 높이는 하우징본체(811)의 하단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제한부(813) 전체는 하우징 본체(81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하우징 본체(811)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단 리브(814)는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면에서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되게 돌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차단 리브(814)는 모두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 공간의 가운데 부분을 향해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두 차단 리브(814) 사이의 간격은 모두 동일할 수 있고, 인접한 두 차단 리브(814) 사이의 간격은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면에서 내부 공간의 가운데 상측 부분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 제한부(813)의 빈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차단 리브(814)에 의해 삽입 제한부(813)의 평면 상의 빈 공간이나 삽입 제한부(813) 상의 빈 공간은 차단 리브(814)가 위치하는 만큼 그 크기가 줄어들 수 있고, 또한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 공간 쪽으로 돌출된 각 차단 리브(814)의 단부를 가상의 선으로 연결할 때 가상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공간(DC1)의 최대 폭(D11)은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 공간의 최대 폭(D12)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대략 차단 리브(814)의 돌출 길이에 따라 최대폭(D11)의 크기 역시 정해질 수 있다.
카트리지(70)에는 내부의 습도를 낮추기 위해, 실리카겔(silica gel) 등의 제습제가 담겨있는 제습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습포는 하나의 제형(T10)보다 훨씬 큰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차단 리브(814)는 카트리지(7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제습포가 의도치 않게 카트리지(70)의 외부로 토출되어 삽입 제한부(813)로 에워싸여진 내부 공간 속으로 낙하하는 경우, 낙하하는 제습제를 차단하여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 공간 속으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거름망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차단 리브(814)는 제3 방향(z)을 따라 상부 쪽, 즉 상부에 위치한 카트리지(70)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형 디스펜서(1)의 설치면에 평행한 평탄면 또는 제3 방향(z)을 따라 하부 쪽, 즉 토출캡(802) 쪽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d에 도시한 것처럼, 삽입 제한부(813)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막음판(8131)에서 하부 쪽으로 돌출되게 부착되어 있는 제형 가이드 돌기(815)는 토출 위치에 일렬로 위치하고 있는 제형(T11, T12) 중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한 제형(T11), 즉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면에 인접하거나 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형(예, 최외측 제형)(예, 제1 제형)(11)만이 외부로 토출되고, 최외측 제형(T11)보다 내측에 위치하여 최외측 제형(T11)보다 좀 더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 공간 쪽에 위치한 제형(예, 내측 제형)(예, 제2 제형)(12)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형 가이드 돌기(815)는 토출 방향의 반대 방향인 역회전으로 제형 디스펜서(1)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최외측 제형(T11)의 토출을 방지하고 또한 토출 위치에 최외측 제형(T11)이 존재할 때 역회전 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형 가이드 돌기(815)는, 도 6c 및 도 6d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801)의 하부면을 이루는 막음판(8131)의 외부면, 즉 하부면으로서 토출캡(802)에 인접한 면의 일부로부터 정해진 두께(즉, 돌출 길이)만큼 하부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상부면은 막음판(8131)의 외부면에 막음판(81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돌출 길이는 정해진 방향(예, 정회전 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하부면은 정해진 방향(예, 역회전 방향)을 따라 위쪽 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하부면은 역회전 방향을 따라 평탄면인 제1 부분(8151)과 경사면인 제2 부분(8152)이 연속하여 위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부분(8151)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두께(즉, 하부 쪽으로의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는 반면, 제2 부분(8152)은 역회전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제1 부분(8151)의 두께는 제2 부분(8152)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분(8151)의 끝단인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시작단(S815)의 돌출 길이는 제2 부분(8152)의 끝단인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끝단(E815)의 돌출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도 6b 및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회전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돌출 길이는 점진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제2 부분(8152)은 끝단(ES815) 쪽으로 갈수록 돌출 길이가 점진적 감소하는 경사면일 수 있다[도 6b 및 도 6d 참고].
이러한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돌출 길이 차이로 인해, 로터부(803)가 정회전할 때 최외측 제형(T11)이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로터부(803)가 역회전 시 최외측 제형(T11)은 상대적으로 돌출 길이가 큰 제1 부분(8151)의 시작단(S815)에 부딪히게 되어 로터부(803)의 역회전 동작을 방지되므로, 역회전 시에는 최외측 제형(T11)의 배출이 방지되고 정회전 시에만 정상적으로 최외측 제형(T11)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내부면[즉, 하우징 본체(811)의 내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외부면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면(예, 내측면)]도 하우징 본체(811)의 내부면 쪽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폭은 제1 부분(8151)에서 제2 부분(8152)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 가이드 돌기(815)는 최외측 제형(T11)의 고속 토출을 도와주고, 외부로 토출 시 막힘 현상(jam)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 가이드 돌기(815)에 대해서는 다음에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 도 8a 내지 도 8d를 참고하여, 토출캡(802)의 일 예에 따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토출캡(802)은 하우징(801)과 결합되어 개방된 하우징 본체(811)의 일부를 막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토출캡(802)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한 것처럼, 가운데 부분에 로터 삽입구(H8211)를 구비하고 가장자리 일부에 토출구(H8212)를 구비할 수 있는 캡 본체(821), 캡 본체(821)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납 가이드 돌기(예, 제2 수납 가이드 돌기)(822) 및 토출구(H8212)에 끊김없이 연결되어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토출관(823)을 구비할 수 있다.
캡 본체(821)는 로터 삽입구(H8211)의 외주연에 위치하여 로터 삽입구(H8211)를 에워싸고 있는 제1 가이드면(S8211)과 제1 가이드면(S8211)를 에워싸고 있고 제1 가이드면(S8211)의 외주연에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는 제2 가이드면(S8212)을 구비할 수 있다.
로터 삽입구(H8211)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로터 삽입구(H8211)를 에워싸게 외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위치하고 있는 제1 가이드면(S8211)과 제2 가이드면(S8212) 역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면(S8211)은 평탄면을 갖는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가이드면(S8211)의 평탄면 상에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가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는 제2 가이드면(S8212) 상에 위치한 최외측 제형(T11)과 제1 가이드면(S8211) 상에 위치한 내측 제형(T12)을 서로 분리하여, 최외측 제형(T11)만을 토출구(H8212)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는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고, 각각 제1 가이드면(S8211)과 제2 가이드면(S8212)의 경계선에서 제1 가이드면(S8211) 쪽으로 각각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 가이드 돌기(P821)는 그 상부에 위치하는 로터부(803)와의 결합 및 로터부(803)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제2 가이드면(S8212)까지 연장되게 위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면(S8211) 및 제2 가이드면(S8212)의 경계선과 이루는 토출 가이드 돌기(P821)의 각도(예, 연장 각도) 즉, 이 경계선에 인접한 각 토출 가이드 돌기(P821) 사이의 각도(θ821)는 상이할 수 있다.
본 예에서, 가장 작은 연장 각도(θ821)는 '0도'일 수 있으며, 이때, '0도'의 연장 각도(θ821)를 갖는 토출 가이드 돌기(P821)는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 중에서 토출구(H8212)에 가장 인접한 토출 가이드 돌기(P821)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의 평균 연장 각도(θ821)는 10도 내지 50도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가 제1 가이드면(S8211)에만 주로 위치하므로, 로터부(803)의 회전 동작은 토출 가이드 돌기(821)에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가이드면(S8212)은 연결되어 있는 제1 가이드면(S8211)에서부터 외측 하부 쪽과 같이 정해진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일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면(S8212)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면(S8212)의 일부에 토출구(H8212)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토출구(H8212)는 제2 수납 가이드 돌기(822)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저장부(8221)가 위치하는 장착구(H8221)와 일렬로 위치하여 장착구(H8221)와 반대편에서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저장부(8221)는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메모리 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저장부(8221)는 자신이 장착되어 있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 담겨있는 제형의 종류, 초기 개수, 제형의 생산 업체 및 제형의 유통기한 및 사용기한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이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8221)는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장된 정보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 유닛으로 입력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면(S8212)은 제1 가이드면(S8211)의 외주연을 따라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경사 부분(G11)과 제2 경사 부분(G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 부분(G11)과 제2 경사 부분(G12)는 경사진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가이드면(S8212)의 제1 경사 부분(G11)은 캡 본체(821)의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토출구(H8212)의 일측으로부터 제1 가이드면(S8211)의 외주연을 따라 정회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경사 부분(G11)은 토출구(H8212)의 일측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토출구(H8212)의 일측으로부터 제1 가이드면(S8211)의 외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미리 결정된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 부분(G11)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는 제2 경사 부분(G12)은 토출구(H212)의 방향으로 향하게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제1 경사 부분(G11)의 끝단으로부터 제1 가이드면(S8211)의 외주연을 따라 정회전 방향으로 연장되어 토출구(H8212)의 타측에 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경사 부분(G12)은 제1 경사 부분(G11)의 끝 지점부터 제1 가이드면(S8211)의 외주연을 따라 원형으로 연장되어 토출구(H8212)의 타측과 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경사 부분(G11)은 로터부(803)가 정회전 할 때에 원심력이 작용하는 외측 방향으로 향하는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고, 제2 경사 부분(G12)은 정회전 방향으로 토출구(H8212)를 향하여 기울어진 경사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경사 부분(G11)의 경사면이 향하는 방향과 제2 경사 부분(G12)의 경사면이 향하는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8e을 참고하면, 제1 경사 부분(G11)과 제2 경사 부분(G12)이 서로 접하는 지점에서 제1 경사 부분(G11)의 연장선과 제2 경사 부분(G12) 사이에 이루어지는 평균각(O1)은 10°~50° 사이일 수 있다.
또한, 도 8e에 도시한 것처럼, 제2 경사 부분(G12)의 경사면과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경사면인 제2 부분(8152)의 경사 방향은 서로 나란하여,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제2 경사 부분(G12)은 토출구(H8212)를 향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어, 제2 경사 부분(G12)과 제1 가이드면(S8211)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로터부(803)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이 일렬로 위치할 수 있는 로터부(803)의 토출 위치의 내측 부분은 제1 가이드면(S82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토출 위치의 외측 부분은 제1 경사 부분(G11), 제2 경사 부분(G12), 토출구(H8212)의 타측, 토출구(H8212), 토출구(H8212)의 일측 및 제1 경사 부분(G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외측 제형(T11)은 제1 경사 부분(G11)의 경사면에 의해 캡 본체(821)의 외측에 인접한 하우징(801)의 내측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2 경사 부분(G12)으로 이동되는 최외측 제형(T11)은 제2 경사 부분(G12)의 경사면에 의해 토출구(H8212)의 방향으로 보다 쉽고 빠르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e에 도시한 것처럼, 토출구(H8212)의 일측에 위치하는 내측면(예, 제1 측면)(PG11)과 제1 경사 부분(G11) 사이의 경사 각도(예, 제1 경사 각도)(θ11)는 85도 내지 95도일 수 있고, 토출구(H8212)의 타측에 위치하는 내측면(예, 제2 측면)(PG12)과 제2 경사 부분(G12) 사이의 경사 각도(예, 제2 경사 각도)(θ12)는 95도 내지 175도일 수 있다.
정회전 방향으로 제2 경사 부분(G12)이 제1 경사 부분(G11)보다 먼저 토출구(H8212)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삽입 가이드 돌기(822) 쪽에서 토출구(H8212)를 바라볼 때, 제2 경사 부분(G12)은 토출구(H8212)의 우측, 즉 최외측 제형(T11)이 토출구(H8212) 속으로 토출되는 방면인 토출구(H8212)의 정회전 측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제1 경사 부분(G11)은 토출구(H8212)의 좌측, 즉 최외측 제형(T11)이 토출구(H8212)를 지나 토출구(H8212) 속으로 투하된 방면인 토출구의 역회전 측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경사 부분(G11)과 제2 경사 부분(G12)의 경사 각도 차이로 인해, 도 8a, 도 8b 및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면(S8212)의 제1 경사 부분(G11)과 토출구(H8212)가 만나는 제1 측면(PG11)의 높이는 제2 경사 부분(G12)과 토출구(H8212)가 만나는 제2 측면(PG1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측면(PG12)의 높이가 제1 측면(PG11)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제1 측면(PG11)과 제2 측면(PG12)은 각각 서로 인접한 토출구(H8122)와 제2 가이드면(G8212) 사이에 위치한 측면으로서, 상기 제2 가이드면(G8212)이 토출구(H8212)의 인접한 양 측과 각각 접해 있는 수직한 측면일 수 있고, 제2 가이드면(G8212)의 양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측면(PG11)은 삽입 가이드 돌기(822) 쪽에서 토출구(H8212)을 바라볼 때 토출구(H8212)의 좌측인 역회전 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측면(PG12)은 삽입 가이드 돌기(822) 쪽에서 토출구(H8212)을 바라볼 때 토출구(H8212)의 우측인 정회전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기술한 것처럼, 로터부(803)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로터부(803)가 토출구(H8212)에 가까워질수록 제2 경사 부분(G12)에 의해 제2 가이드면(S8212)의 경사도가 증가하므로, 최외측 제형(T11)은 토출구(H8212)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외측 제형(T11)은 제1 측면(PG11)의 내부면이나 토출관(823)의 내부면에 사선 방향으로 충돌한 후 자연스럽게 토출관(823)쪽으로 이동하여, 로터부(803)가 고속 회전하더라도 제형(T10)에 의해 토출구(H8212)가 막히는 현상이 최소화할 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 부분(G11)은 하우징(801)의 막음판(8131)과 대응되게 위치하여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면(S8212)의 경사 방향과 막음판(8131)의 경사 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외측 하부 쪽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외측 제형(T11)은 안전하고 정확하게 토출구(H8212)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 측면(PG11)이 제2 측면(PG12)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므로, 최외측 제형(T11)이 토출구(H8212)로 미끄러져 투하될 때, 최외측 제형(T11)은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1 측면(PG11)에 부딪히며 아래쪽으로 안전하고 원활하게 토출될 수 있다.
제2 수납 가이드 돌기(822)는 하우징(801)의 제1 수납 가이드 돌기(812)와 대응되게 위치하여 제1 수납 가이드 돌기(81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가이드 돌기(822)의 가운데 부분에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저장부(8221)가 위치하는 장착구(H8221)가 위치할 수 있다.
토출관(823)은 토출구(H8212)에서 하부 쪽으로 연장되어 토출구(H8212)를 통해 토출되는 제형을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관일 수 있다.
이러한 토출관(823)의 형상은 토출구(H8212)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본 예에서, 토출구(H8212)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토출관(823)은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토출구(H8212)의 하부에는 토출구(H8212)를 통해 토출되는 제형의 개수를 감지하는 토출 개수 감지부(1022)가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토출 개수 감지부(1022)는 토출관(823)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토출관(823)을 통해 이동되는 제형의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출관(823)은 투명 플라스틱과 같이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토출 개수 감지부(1022)의 빛을 이용하여 토출관(823)를 통과하는 제형(T11)의 개수를 계수할 수 있다.
본 예의 토출 개수 감지부(1022)는 토출구(H8212)의 하부에 위치하여 토출구(H8212)를 통해 토출되는 제헝(T10)의 개수를 감지할 수 있고,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1022a)와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1022b)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1022b)는 토출관(823)으로 제형(T11)이 토출되는 경우, 토출되는 제형(T11)에 막혀 발광부(1022a)에서 출력되는 빛을 수광하지 못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광부(1022b)는 발광부(1022a)에서 출력되는 빛의 수광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신호를 제어 유닛을 출력할 수 있고, 제어 유닛은 수광부(1022b)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빛이 수광 여부에 따라 제형(T11)의 토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8b에 도시한 것처럼, 투명한 토출관(823)의 양 측, 즉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양 측에 각각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1022a)와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1022b)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1022b)는 투명한 토출관(823)을 통과하여 수신되는 발광부(1022a)의 빛을 수광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9a 내지 도 9d를 참고하여 로터부(803)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터부(803)는 하우징 본체(811) 내에서 회전하여 하우징 본체(811)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형(T10)를 토출캡(802)의 토출구(H8212)쪽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로터부(803)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 본체(811)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형(T10)은 로터부(803)의 해당 위치(예, 토출 위치)로 이동하여 로딩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부(803)의 각 토출 위치에는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이 중첩되지 않고 일렬로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이후, 로터부(803)가 토출 위치에 위치한 최외측 제형(T11) 및 내측 제형(T12)을 토출하기 위해 정해진 방향으로 정회전을 계속하면, 토출 위치에 위치한 최외측 제형(T11) 및 내측 제형(T12) 역시 로터부(803)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T11, T12)의 이동에 의해, 토출 위치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최외측 제형(T11)이 토출캡(802)의 토출구(H8212) 상에 위치하게 되면, 이 최외측 제형(T11)은 토출구(H8212) 속으로 투하되어 토출관(823)을 따라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본 예의 로터부(803)는 토출캡(802)의 로터 삽입구(H8211)에 삽입되어 토출캡(802)과 결합된 후,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으로 정회전하여 최외측 제형(T11)을 토출구(H8212)로 밀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로터부(803)는, 도 9a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로터콘(831), 로터콘(83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로터레일(832), 제1 로터레일(832)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로터레일(833), 제1 및 제2 로터레일(832, 833)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형 유도구(834) 및 로터콘(831)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동축(835)을 구비할 수 있다.
로터콘(831)은 로터부(803)의 중심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가운데 부분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하여 카트리지(70)가 위치하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로터콘(831)은 경사가 완만한 원뿔(corn)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로터콘(831)은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 공간 속에 위치한 복수의 제형(T10)이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복수의 제형(T10)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한 것처럼, 로터콘(831)은, 일 예로서,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1 면부(8311), 제1 면부(8311)의 해당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곡면을 갖고 있으며 제1 로터레일(833) 쪽으로 경사져 있는 곡면부(예, 제2 면부)(8312) 및 제1 면부(8311)의 해당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평탄면을 갖고 있으며 제1 로터레일(833) 쪽으로 경사져 있는 평탄면부(예, 제3 면부)(83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면부(8311)는 삼각형과 같은 복수 개의 변을 갖고 있는 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면부(8312)와 제3 면부(8313)는 제1 면부(8311)을 중심으로 서로 교변하게 위치하므로, 제1 면부(8311)의 해당 변에 번갈아 연결되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제형(T10)은 제1 면부(8311), 제2 면부(8312) 및 제3 면부(8313)를 포함하는 로터콘(831)과 제1 로터레일(833)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로터콘(831)이 회전하는 경우, 제2 면부(8312)와 제3 면부(8313)가 복수의 제형(T10)과 맞닿은 상태로 교번하여 이동하면서, 복수의 제형(T10)에 충격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제형(T10) 중 표면이 서로 붙어 있는 제형(T10)이 충격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제1 로터레일(832)은 로터콘(831)의 외주면을 따라서 로터콘(831)을 에워싸고 있는 평탄면으로서, 토출캡(802)의 제1 가이드면(S8211) 위에 위치하여 제1 가이드면(S8211)과 중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로터레일(832)은 제1 가이드면(S821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로터레일(832)의 폭(W832)은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면(S8211)의 폭(W8211, 도 8a 참고)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로터레일(833)은 제1 로터레일(832)의 하부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며 제1 로터레일(832)의 외주연을 따라서 제1 로터레일(832)을 에워싸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로터레일(833)의 폭(W833)은 그 하부에 위치한 제2 가이드면(S8212)의 폭(W8212)보다 클 수 있고, 일 예로 제2 가이드면(S8212)의 폭(W8212)에 제1 로터레일(832)에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가이드면(S8211)의 일부 폭을 더한 것보다 클 수 있다.
경사면인 제2 가이드면(S8212)의 폭(W8212)은 제2 가이드면(S8212)의 실제 폭인 경사면의 폭이 아니라 제2 가이드면(S8212)의 양 끝단을 평행한 선으로 연결할 때의 가상의 폭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로터레일(833)에 의해 제2 가이드면(S8212)뿐만 아니라 제1 로터레일(832)에 덮이지 않고 노출된 제1 가이드면(S8211)의 일부가 덮여 제2 로터레이(833)과 중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로터레일(832)과 제2 로터레일(833)은 정해진 높이 차이를 갖는 단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로터캡(802)의 제1 가이드면(S8211)에는 상부 쪽으로 즉, 제1 로터레일(832)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가 위치하고 있다.
제2 로터레일(833)의 하면과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도 9b에 도시한 것처럼, 제1 로터레일(832)과의 경계면에 인접한 제2 로터레일(833)의 하부면에는 가이드 돌기 삽입홈(P833)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 삽입홈(P833) 속에 상부 쪽으로 돌출된 토출 가이드 돌기(P821)가 삽입되어 제2 로터레일(833)의 하부면의 부분과 토출 가이드 돌기(P821)가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터부(803)는 토출 가이드 돌기(P821)의 방해없이 원활한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a에 도시한 것처럼, 각 제형 유도구(834)는 토출구(H8212)로의 토출을 대기하고 있는 제형(T11, T12)의 토출 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형 유도구(834), 그 하부에 위치하여 제형 유도구(834)에 의해 노출되는 토출캡(802)의 일부, 즉, 제1 가이드면(S8211) 일부 및 제2 가이드면(S8212) 일부, 그리고 삽입 제한부(813)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이 제형(T11, T12)의 토출 위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형 유도구(834) 내에는 중첩되지 않고 외부 방향, 즉 제형 유도구(83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렬로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이 위치할 수 있다.
각 제형 유도구(834)는 제3 면부(8313)의 해당 끝단에서부터 제1 로터레일(832)과 제2 로터레일(833)에 걸쳐 끊김없이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 유도구(834)에 의해, 제1 로터레일(832)과 제2 로터레일(833)의 일부가 개구될 수 있어 제1 로터레일(832)과 제2 로터레일(833) 각각은 제형 유도구(834)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로터레일(832)의 구조는 서로 동일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제2 로터레일(833)의 구조 역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형 유도구(834)를 통해 제1 가이드면(S8211)과 제2 가이드면(S8212)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아울러, 로터부(803)가 회전하게 되면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각 제형 유도구(834)는 적어도 일부가 토출구(H8212)와 높이 방향인 제3 방향(z)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제형 유도구(834)의 개수는 3개인 경우를 일례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형 유도구(834)의 개수는 3개보다 많거나 작을 수 있다.
제1 로터레일(832)과 제2 로터레일(833)은, 도 9b 및 도 9d에 도시한 것처럼, 각각 하부 쪽으로 설치면과 수직하게 연장된 측면(S832, S833)을 가질 수 있다.
제1 로터레일(832)의 측면(S832)에 의해, 제1 로터레일(832)은 제2 로터레일(833)과 끊김없이 연결되는 단차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로터레일(832)의 측면(S832)은 제1 가이드면(S8212)과 접하게 위치하고 제2 로터레일(833)의 측면(S833)은 제2 가이드면(S8212)과 접하게 위치하므로, 이들 측면(S822, S833)에 의해 제1 및 제2 로터레일(832, 833)은 안정적으로 제1 및 제2 가이드면(S8311, S8212) 위에서 각각 회전하여, 안정적인 로터부(803)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9d에 도시한 것처럼, 제2 로터레일(833)의 측면(S833) 하단은 평탄면(8331)과 경사면(8332)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 가이드 돌기(822) 쪽에서 제형 유도구(834)를 바라볼 때, 경사면(8332)은 제형 유도구(834)의 우측, 즉 최외측 제형(T11)이 토출구(H8212) 속으로 토출되는 방면인 제형 유도구(834)의 정회전 측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평탄면(8331)는 정회전 측의 반대편에서 정회전 측과 대면하고 있는 제형 유도구(834)의 좌측인 제형 유도구(834)의 역회전 측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면(8332)을 구비하는 측면(S833)의 폭(즉, 돌출 길이)은 제형 유도구(834)의 정회전 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최외측 제형(T11)이 토출구(H8212)에 인접한 제2 가이드면(S8212)의 제2 경사 부분(G12)에 진입하면, 제2 로터레일(833)의 경사면(8332)에 의해 최외측 제형(T11)은 아래쪽으로 힘을 받게 되어 최외측 제형(T11)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토출구(H8212) 속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것처럼,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이 일렬로 나란히 배열되는 각 제형 유도구(834)는 상하부 쪽으로 완전히 개방된 구멍일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은 해당 제형 유도구(834) 내에서 로터콘(831)에서부터 제2 로터레일(833) 쪽으로 일렬로 나란히 중첩되지 않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제형 유도구(834)는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의 일렬 배치를 위해, 해당 폭(즉,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W834)과 해당 길이(즉, 세로 방향으로의 길이)(L834)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 제형(T11) 및 내측 제형(T12)과 같은 제형(T10)은 각각은 원통형이나 구형 등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들 제형(T10) 역시 각 해당 폭(W10)과 해당 길이(L10)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형(T10)의 폭(W10)과 길이(L10) 중 적어도 하나는 3 내지 7mm 사이일 수 있다.
여기서, 제형(T10)의 폭(W10)과 길이(L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제형(T11, T12)의 폭(W10) 대비 길이(L10)의 비율은 1:0.5 내지 1:1.5 사이일 수 있다.
제형 유도구(834)의 폭(W834)은 제형(T10)의 폭(W10)과 길이(L10)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클 수 있고, 이때, 제형 유도구(834)의 폭 방향으로 하나의 제형(T10)이 들어갈 수 있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형 유도구(834)의 폭(W834)은 제형(T10)의 폭(W10)과 길이(L10) 중 적어도 하나 대비 1.1 ~ 1.5배 사이의 비율 값을 가질 수 있다.
제형 유도구(834)의 길이(L834)는 제형 유도구(834)의 폭(W834)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형(T10)의 폭(W10) 및 길이(L10)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이 일렬로 배열되어 로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형 유도구(834)의 길이(L834)는 폭(W834) 대비 1.5 ~ 2.5배 사이의 비율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형 유도구(834)의 길이(L834)는 제형(T10)의 폭(W10) 및 길이(L10) 중 적어도 하나 대비 1.5 ~ 2.5배 사이의 비율 값을 가질 수 있다.
제형 유도구(834)의 길이(L834)가 제형(T10)의 폭(W10) 및 길이(L10) 중 적어도 하나의 것보다 2배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된 것은 제2 로터레일(833)의 끝단과 하우징 본체(811)의 외부면 사이의 유격을 고려한 것이다.
아울러, 도 10d를 참고하면, 제형 유도구(834)에 의해 노출되는 제1 가이드면(S8211)의 상부면에서부터 제1 로터레일(832)의 상부면까지의 높이(예, 제1 높이)(H11)가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제1 높이(H11)는 로터부(803)가 회전할 때 제형 유도구(834)에 위치하고 있는 제형(T11, T12)과 제형 유도구(834)에 위치하지 않는 다른 제형(T13)과의 마찰 또는 충돌을 최소화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높이(H11)는 제형(T10)의 폭(W10)과 길이(L10) 중 적어도 하나 대비 0.8 ~ 1.2배 사이의 비율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복수의 제형(T10)은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면, 로터부(803)의 로터콘(831)의 상부면 및 제1 로터레일(832)의 상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도 10c 참고). 이미 기술한 것처럼, 하우징(801)과 토출캡(802)이 결합될 때, 제2 로터레일(833)에는 주로 막음판(8131)이 위치하므로 제형(T10)은 로터부(803)의 제2 로터레일(833) 상에는 위치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복수의 제형(T10) 중 일부는 제1 가이드면(S8211)이 노출되는 제형 유도구(834)의 내측 부분, 즉 로터콘(811)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하는 내측 제형(T12)이 될 수 있다.
이후, 로터부(803)가 정회전 함에 따라 내측 제형(T12)은 제2 가이드면(S8212)이 노출되는 제형 유도구(834)의 외측 부분, 즉 내측 부분의 반대편으로 외부에 인접한 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내측 제형(T12)은 최외측 제형(T11)이 될 수 있다(도 10c 참고).
이후, 제형 유도구(834)의 외측 부분으로 이동되어 위치하는 최외측 제형(T11)은 로터부(803)의 계속적인 정회전으로 인해 제2 가이드면(S82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제형 유도구(824)가 토출구(H8212) 상에 위치하면 최외측 제형(T11) 역시 토출구(H8212) 위에 위치하게 되어, 최외측 제형(T11)은 토출구(H8212)를 통과한 후 토출관(823)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결국, 로터부(803)의 회전 동작에 의해 각 제형 유도구(834)는 하부에 위치한 토출구(H8212)와 순차적으로 중첩되어 해당 제형 유도구(834)에 위치한 최외측 제형(T11)을 토출구(H8212) 속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형 유도구(834)는 평탄면이면서 경사진 제3 면부(8313)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당 공간 속에 위치하고 있는 제형(T10)은 좀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해당 제형 유도구(834)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축(835)은 토출캡(802)의 로터 삽입구(H8211)에 삽입되어 로터부(803)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구동축(835)에는 로터부(803)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예, 모터)의 축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 구멍이 위치하여, 이 결합 구멍을 통해 구동부와의 연결이 이루어져 로터부(80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동축(835)에 의해, 로터부(803)는 토출캡(802)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캡(802)이 로터부(803)와 결합된 후, 하우징(801)과 결합되면, 하우징(801)의 삽입 제한부(813)의 개방된 하부는 로터부(802) 및 제형 유도구(834)에 의해 노출된 토출캡(802)에 의해 막히게 된다. 결국, 로터부(802)와 일부 토출캡(802)은 제형(T10)이 위치하는 삽입 제한부(813)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801)과 토출캡(802)이 결합될 때, 제1 로터레일(832)은 삽입 제한부(813)에 에워싸여져 있으므로, 제2 로터레일(833)에는 막음판(8131)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카트리지(70)에서 토출된 복수의 제형(T10)은 로터콘(831)의 상면과 제1 로터레일(832)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고, 삽입 제한부(813)에 의해 제2 로터레일(833) 쪽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제2 로터레일(833)에는 제형(T10)이 위치하지 못할 수 있다.
다음, 도 11a 내지 도 13e를 추가로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토출캡(802)의 로터 삽입구(H8211)에 로터부(803)의 구동축(835)을 삽입하여, 로터부(803)가 토출캡(802)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토출캡(802)과 로터부(803)의 결합에 의해, 로터부(803)의 제1 로터레일(832)은 제1 가이드면(S8211)을 따라 회전하고, 로터부(803)의 제2 로터레일(833)은 제1 가이드면(S8211)의 일부와 제2 가이드면(S8212)을 따라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로터부(803)가 결합된 토출캡(802)에 하우징(801)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립자는 하우징(801)의 제1 수납 가이드(812)와 토출캡(802)의 제2 수납 가이드(822)가 서로 중첩되도록 하우징(801)과 토출캡(802)을 조립하여, 토출 유닛(80)을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막음판(8131)은 제2 로터레일(833)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막음판(8131)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제형 가이드 돌기(815)는 제2 로터레일(833)위에서 제2 로터레일(833)과 중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부(803)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끝단(E815)은 토출구(H8212) 이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시작단(S815)은 토출구(H8212)와 중첩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도 6d와 같이,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시작단(S815)은 토출구(H82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예, 회전 방향 길이)(W8212)의 1/2 이상인 부분에 위치하여 토출구(H8212)과 중첩될 수 있고, 끝단(E815)은 토출구(H8212)의 시작 전에 위치하여 토출구(H8212)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H8212)의 폭(W8212)은 제형 가이드 돌기(815)와 1/2 이상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 가이드 돌기(815)와 토출구(H8212) 사이의 위치 관계에 의해, 토출구(H8212)와 제형 유도구(834)가 설정 크기 이상 중첩되지 않으면 제형 유도구(834)에 위치하는 최외측 제형(T11)의 토출 동작을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하우징 본체(801)와 토출캡(802)이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1b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 중 적어도 일부는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끝단(E815)의 위치보다 앞선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1c에 도시한 것처럼, 막음판(8131)의 경사 방향과 제2 가이드면(S8212)의 제1 경사 부분(G11)의 경사 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외측 하부 쪽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이때, 막음판(8131)과 제1 경사 부분(G11)의 경사도는 대략 10% 이내의 범위에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막음판(8131)과 제1 경사 부분(G11)의 경사 방향으로 인해, 막음판(8131)과 제1 경사 부분(G11) 사이에서 로터부(803)의 정회전 시 최외측 제형(T11)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해당 통로에서 최외측 제형(T1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막음판(8131)과 제1 경사 부분(G11) 사이의 최단 거리는 제형(T10)의 폭(W10)과 길이(L10) 중 적어도 하나의 1배보다 크고 2배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 유닛(80)의 조립이 완료되면, 제형(20)이 수용된 카트리지(70)의 결합부(72)의 나사산(721)과 하우징 본체(811)의 나사산(8111)을 이용한 나사 결합을 통해, 카트리지(70)와 토출 유닛(80)을 결합하여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70)는 입구를 막고 있던 마개가 제거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카트리지(70)에 수납된 복수의 제형(T10)는 개방된 입구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토출 유닛(80) 쪽으로 유입되어 로터부(803)의 회전에 따라 하나씩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토출캡(802)과 로터부(803)에 의해 하부가 막혀 있는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 공간 속에는 카트리지(70)로부터 토출된 복수 개의 제형(T10)이 위치할 수 있어, 로터부(803)에 위치한 각 제형 유도구(834) 내에도 일렬로 배열된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이 위치할 수 있다.
제형 토출을 위해, 제어 유닛의 동작에 의해 로터부(803)가 정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제형(T10)은 삽입 제한부(813)의 내부 공간 중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제형 유도구(834)에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이 연속해서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 로터부(803)의 회전 속도는 50rpm 내지 150rpm일 수 있다.
로터부(803)의 회전 속도는 50rpm 이상이면, 제형(T10)의 토출 속도가 설정 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제형(T10)의 이동 및 토출이 원활이 이루어지며, 로터부(803)의 회전 속도는 150rpm 이하이면, 로터부(803)의 과한 속도로 인한 제형(T10)의 파손을 방지하며 제형(T10)이 토출구(H8212)로 원활히 토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면(S8212)에 위치하는 제형(T11)의 폭(W10)과 길이(L10)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가이드면(S8212)의 상부면에서 제2 로터레일(833)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보다 커, 해당 제형(T11)은 제2 로터레일(833)의 상부면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터부(803)가 정회전할 때, 정회전하는 로터부(803)에 의해 해당 제형(T11)이 해당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제형(T11)은 원활하게 정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은 각각 하부에 위치하는 토출캡(802)의 제2 가이드면(S8212)과 제1 가이드면(S8211)을 따라 원형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면(8212)을 따라 최외측 제형(T11)이 이동할 때, 제2 가이드면(8212)의 제1 경사 부분(G11)과 상부에 위치한 하우징 본체(811)의 막음판(813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제1 이동통로라 하며, 제2 가이드면(8212)의 제2 경사 부분(G12)과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경사면인 제2 부분(815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제2 이동경로라 한다.
도 12a에 도시한 것처럼, 로터부(803)의 제형 유도구(834)가 토출구(H8212)와 중첩되지 않고 토출캡(802)의 제1 및 제2 가이드면(S8211, S8212) 위에 위치할 때, 로터부(803)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제형 유도구(834) 내에 위치하는 내측 제형(T12)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제1 이동통로로 이동하여 최외측 제형(T11)이 될 수 있다.
또한, 12b에 도시한 것처럼, 제형 유도구(834)가 토출구(H8212) 상에 위치할 때, 최외측 제형(T11)은 토출구(H8212) 속으로 투하되지만, 내측 제형(T12)은 상부에 위치한 제형 가이드 돌기(815)에 의해 차단되어 토출구(H8212) 속으로 투하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제2 로터레일(833) 상부에 제형 가이드 돌기(815)가 중첩되게 위치하고, 이때, 제2 로터레일(833)의 상부면과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하부면 사이의 간격은 제형(T12)의 폭(W10)과 길이(L10) 중 적은 것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로터레일(832) 상에 위치한 제형(13)은 제형 가이드 돌기(815)에 막혀 제2 로터레일(833)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2c에 도시한 것처럼, 제형 유도구(H8212)가 토출구(H8212)와 중첩되어 최외측 제형(T11)의 투하가 이루어지는 경우, 내측 제형(T12)는 제형 가이드 돌기(815)에 의해 막혀 토출구(H8212)로의 투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로터부(803)의 제1 로터레일(832) 위에 위치하는 제형(T13)은 하우징 본체(811)의 내부면에 의해 외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므로, 제형(T13)이 제1 연결통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3 내지 도 17을 참고하여, 제형(T10)의 토출 과정을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한 각 토출캡(802)에서, 중첩되는 제형 유도구(834)의 위치와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위치가 가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3의 (a) 및 (b)에 도시한 것처럼, 제형 유도구(834)에 일렬로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이 위치한 상태에서 로터부(803)가 정회전하면 내측 제형(T12)은 제1 가이드면(S8211)을 따라 이동되고, 최외측 제형(T11)은 제2 가이드면(S8212)과 막음판(813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일렬로 배열된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 사이에는 어떠한 물리적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아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는 접촉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후,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부(803)가 계속 정회전하면 복수 개의 제형 유도구(834) 중 해당 순번의 제형 유도구(834)는 토출캡(802)의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와 만나 일렬로 배열된 토출 가이드 돌기(P821)를 순차적으로 지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토출 가이드 돌기(P821)는 순차적으로 내측 제형(T12)과 최외측 제형(T11) 사이에 위치하여 해당 제형 유도구(834) 내의 두 제형(12,11)에 대한 물리적인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토출 가이드 돌기(P821)를 사이에 두고, 내측 제형(T12)은 토출캡(802)의 내측, 즉 로터 삽입구(H8211) 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최외측 제형(T11)은 외측, 즉 삽입 제한부(813)의 외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후,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부(803)의 계속된 정회전에 의해 제형 유도구(834)가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하부를 지나면서 최외측 제형(T11)과 내측 제형(T12)은 제형 가이드 돌기(815)에 의해 완전히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외측 제형(T11)은 제2 가이드면(S8212)의 제2 경사 부분(G12)과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하부 경사면인 제2 부분(815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이동통로를 따라 토출구(H8212)을 향하여 사선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최외측 제형(T11)이 제2 이동통로를 따라 사선 방향으로 하강함에 따라, 최외측 제형(T11)에 위치하던 제형 유도구(834)에 일부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 제형(T12)은 로터부(803)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때문에 외측으로 밀릴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형 가이드 돌기(815)는 내측 제형(T12)이 제형 유도구(834)의 외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최외측 제형(T11)이 제2 이동통로를 따라 사선 방향으로 하강하더라도 내측 제형(T12)은 제형 유도구(834)의 내측[즉, 제1 가이드면(S811) 상부]에 계속적으로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16의 (a) 및 (b)와 같이, 로터부(803)의 계속된 정회전으로 해당 제형 유도구(834)가 토출캡(802)의 토출구(H8212)와 중첩되면 최외측 제형(T11)은 토출구(H8212) 속으로 이동하여 토출관(823)을 따라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토출되는 최외측 제형(T11)은 토출구(H8212) 및 토출관(823)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벽에 사선방향으로 충돌하면서 자연스럽게 토출관(823)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이동통로는 최외측 제형(T11)이 사선 방향으로 토출관(823) 속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로터부(803)가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회전하더라도 복수의 제형(T10)이 토출구(H8212)를 막는 현상(Jam)을 방지할 수 있다.
최외측 제형(T11)이 토출구(H8212) 내로 투하될 때, 제형 유도구(834)에서 제1 가이드면(S8211) 상에 위치하는 내측 제형(T12)은, 도 16dl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형 가이드 돌기(815)에 의해 토출구(H8212) 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되므로, 내측 제형(T12)은 토출구(H8212)로 투하되지 않아 외부로 토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내측 제형(T12)의 토출 방지를 위해, 제형 가이드 돌기(815)(구체적으로, 제형가이드 돌기(815)의 하부면)와 제1 가이드면(S8211)의 상부면 사이의 수직 거리(Dt)(도 12c)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형(T10)의 폭(W10) 또는 길이(L10)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각 제형 유도구(834)가 토출구(H8212)와 중첩될 때마다 하나의 제형(즉, 최외측 제형)(11)만이 정상적으로 토출구(H8212) 속으로 투하되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후, 최외측 제형(T11)의 투하 후, 로터부(803)의 정회전으로 인해, 도 17의 (a) 및 (b)와 같이, 제형 유도구(834)가 토출구(H8212)를 지나게 되어 로터부(803)가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종단(E815)을 지난 지점에서 내측 제형(T12)은 원심력에 의해 제형 유도구(834)의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최외측 제형(T11)이 될 수 있고, 이 제형 유도구(834) 근처에 위치하는 다른 제형(T13)이 해당 제형 유도구(834)의 내로 유입되어 새로운 내측 제형(T12)으로 로딩될 수 있다.다음, 도 18을 참고하여, 본 예의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유닛(100)은, 도 18에 도시한 것처럼, 디바이스 단말부(30)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 제어 유닛(101)과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 위치하는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를 구비할 수 있고, 단말 제어 유닛(101)과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은 서로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유닛(101)은 통신부(1011), 사용자 입력부(1012), 장착 감지부(1013), 온도 감지부(1014), 이들(1011-1014)에 연결되어 있는 동작 제어부(1015), 동작 제어부(1015)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1016), 동작 제어부(1015)에 연결되어 있는 정보 출력부(1017), 동작 제어부(1015)에 연결되어 있는 장착 상태 표시부(13), 동작 제어부(1015)에 연결되어 있는 방열팬 구동부(1018) 및 동작 제어부(1015)에 연결되어 있는 밀폐부 구동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은 통신부(1021), 토출 개수 감지부(1022), 통신부(1021) 및 토출 개수 감지부(1022)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제어부(1023), 구동 제어부(1023)에 연결되어 있는 저장부(1024) 및 구동 제어부(1023)에 연결되어 있는 로터부 구동부(1025)를 구비할 수 있다.
단말 제어 유닛(101)에서, 통신부(1011)는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 사이의 통신 및 서버(server)와 같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011)는, 일 예로 와이파이(WiFi)나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인터넷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12)는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명령어 등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 터치 패널이나 조작 스위치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012)를 통해 단말 제어 유닛(101)으로 입력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예, 육체적 및 정신적 상태에 관련된 정보) 및 사용자의 신체 관련 정보(예, 나이, 성별, 병력, 직업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장착 감지부(1013)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각 카트리지 수납구(H12)의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 카트리지 수납구(H1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장착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동작 제어부(1015)는 장착 감지부(1013)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판정된 각 수납구(H12)의 상태에 따라 장착 상태 표시부(1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014)는 방열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수납부(12) 내부나 하우징(11)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해당 상태의 온도 감지 신호를 동작 제어부(1015)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작 제어부(1015)는 방열팬 구동부(1018)의 동작을 제어하여 방열팬의 회전 여부 및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1015)는 입력되거나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형 디스펜서(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로서 프로세서(processor)일 수 있다.
일 예로, 동작 제어부(1015)는 통신부(1011)를 통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제형 디스펜서(1)에서 토출될 제형(T10)의 종류와 토출 개수를 판정하여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은 복수 개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 중에서 판정된 종류의 제형(T10)이 수납되어 있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동작을 제어하여 판정된 개수만큼의 제형(T10)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1016)는 단말 제어 유닛(101)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구동 프로그램, 동작 중에 생성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016)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정보 출력부(1017)는 동작 제어부(1015)의 제어에 따라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액정 표시 패널이나 유기 발광 표시 패널과 같은 평판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출력부(1017)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 출력부(1017)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제형 디스펜서(1)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토출되는 제형(T10)의 종류 및 토출 개수 등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사용자에게 정확한 복용량의 제형(T10)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보 출력부(1017)에는 현재 제형 디스펜서(1)를 사용하고 있는 각 사용자의 정보(예, 이름 및 사용자 이미지(예, 사진)),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현재 상황, 예를 들어,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 담겨있는 제형(T10)의 종류 및 잔량(%), 제형 토출을 위한 현재 사용자의 몸 상태(예, 피로, 구내염, 알레르기비염, 과음, 야근, 운동 후 등) 선택 화면, 및 몸 상태 판단 후 조합된 영양 성분 결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장착 상태 표시부(13)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장착 감지부(101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여, 각 수납구(H1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장착되었는 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상태 표시부(13)는 서로 다른 색상(예, 제1 색상 및 제2 색상)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복수 개의 발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수납구(H1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는 경우, 제1 색상의 발광부가 점등되는 반면, 해당 수납구(H12)에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정상적으로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비어 있는 경우, 제2 색상의 발광부가 점등될 수 있다.
제1 색상의 발광부와 제2 색상의 발광부의 개수는 각각 수납구(H12)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방열팬 구동부(1018)는 방열팬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밀폐부 구동부(15)는 밀폐부(14)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 모터와 해당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제어부(1015)는 온도 감지부(1014)에서 인가되는 온도 감지 신호에 따라 판정된 온도에 따라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방열팬 구동부(1018)로 출력하여 방열팬의 회전 여부 및 회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제어부(1015)는 사용자 입력부(1012)를 통해 인가되는 동작 시작 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제형 토출을 위한 제형 디스펜서(1)의 동작 이 시작되면, 밀폐부 구동부(15)로 해당 상태를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밀폐부(14)를 하강시켜 제형 디스펜서(1)에서 제형(T10)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반면, 해당하는 제형(T10)의 토출 동작이 완료된 상태로 판단되면, 동작 제어부(1015)는 밀폐부 구동부(15)로 해당 상태를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밀폐부(14)를 상승시켜 개방된 제형 디스펜서(1)의 하단을 막아 장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를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동작 제어부(1015)는 사용자 입력부(1012)로부터 인가되는 동작 종료 신호나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사용자에 맞는 제형(T10)의 토출 동작이 완료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에 대해 설명한다.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의 통신부(1021) 역시 단말 제어 유닛(101)과의 통신을 실시하며 또한, 서버와 같은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과 인터넷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토출 개수 감지부(1022)는 토출구(H8212)를 통해 토출되는 제형(T10)의 개수를 계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토출구(H8212)로의 제형 배출 여부에 따라 해당 상태의 토출 개수 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 개수 감지부(1022)는, 일 예로, 발광 다이오드 및 수광 트랜지스터와 같은 발광부(1022a)와 수광부(1022b)를 구비한 광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023)는 토출 개수 감지부(1022)의 수광부(1022b)로부터 인가되는 토출개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토출된 제형(T10)의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023)는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로서 역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저장부(8821)는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일 수 있다.
각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 장착되는 저장부(8821)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자신이 장착되어 있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 담겨있는 제형(T10)의 종류, 초기 개수, 현재 외부로 토출된 토출 개수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유통기한 및 사용기한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될 수 있다.
로터부 구동부(1025)는 로터부(803)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시 모터 및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부(803)의 구동축(835)은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로터부 구동부(1025)는 구동 제어부(1023)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모터와 연결된 로터부(80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9a 및 도 19b를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의 제형 토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의 동작의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어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의 동작이 시작되면, 구동 제어부(1023) 역시 동작이 시작된다(S10).
따라서, 구동 제어부(1023)는 저장부(1024))에서 로터부 구동 정보를 판독하여 로터부(803)의 정회전 수를 판정할 수 있다(S11).
본 예에서, 로터부 구동 정보는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정해질 수 있고, 일 예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따라 복용해야 하는 제형(T10)의 종류 및 해당 종류의 복용량(즉, 토출 개수)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023)는 자신이 장착되어 있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에 저장되어 있는 제형(T10)이 현재 토출되는 제형(T10)에 속하는 경우, 해당 종류의 복용량에 따라 로터부(803)의 정회전 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1회의 정회전 시 3개의 제형(T10)이 토출될 수 있으므로, 구동제어부(1023)는 복용량에 따라 로터부(803)의 정회전 수를 산출할 수 있다.
해당 로터부(803)의 정회전 수가 판정되면, 구동 제어부(1023)는 판정된 정회전 수에 대응하는 정회전 시간(예, 제1 정회전 시간) 동안 정회전 구동 신호를 로터부 구동부(1025)로 출력하여(S12), 로터부(803)를 정회전시켜 해당 제형(T10)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예의 경우, 로터부(803)의 회전 속도는 이미 고정되어 있으므로, 정회전 수나 역회전 수가 정해지면 그에 대응하는 역회전 시간과 정회전 시간 역시 용이하게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터부(803)의 정회전이 시작되면, 구동 제어부(1023)는 토출 개수 감지부(1022)로부터 인가되는 토출 개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해당 종류의 제형(T10)의 현재 토출 개수를 산출한 후 저장부(1024)에 저장할 수 있다(S13).
이러한 현재 토출 개수의 산출 동작은 로터부(803)의 정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계속될 수 있다.
다음, 판정된 정회전 수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정회전 구동 신호의 출력이 완료되면(S14), 동작 제어부(1015)는 저장부(1024)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토출 개수, 즉 대응 시간 동안 토출된 해당 종류의 제형(T10)의 총 개수가 설정 개수와 동일한 지 판단할 수 있다(S15). 이때, 설정 개수는 해당 종류의 제형(T10)에 대한 복용량에 따라 정해져 저장부(1024)에 저장될 수 있다.
현재 토출 개수가 설정 개수와 동일한 경우(S15), 구동 제어부(1023)는 해당 종류의 제형(T10)이 정상적으로 정해진 복용량만큼 토출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023)는 현재 토출 개수를 '0'으로 리셋시킨 후(S16), 리턴 단계(S100)로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현재 토출 개수가 설정 개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S15), 즉, 정해진 복용량만큼 해당 종류의 제형(T10)이 토출되지 못한 경우, 구동 제어부(1023)는 토출구(H8212)의 막힘 현상이나 서로 중첩되게 위치하고 있는 복수 개의 제형(T10)에 의해 원활한 제형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023)는 로터부(803)를 정해진 시간동안 역회전시킨 후 다시 정회전 동작을 수행하여 부족한 개수만큼의 제형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구동 제어부(1023)는 저장부(102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로터부(803)의 역회전 수를 판독하여, 로터부(803)의 역회전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S17). 본 예의 경우, 1회의 역회전 제어를 위한 역회전 수는 이미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본 예에서, 1회 역회전 제어를 위한 역회전 시간을 역회전 수를 이용하여 산출되지만, 이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바로 1회의 역회전 제어를 위한 역회전 시간이 바로 저장부(1024)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 구동 제어부(1023)는, 해당 번째의 역회전 제어를 위한 역회전 시간 동안 로터부(803)의 역회전을 실시하기 위해, 로터부 구동부(1025)로 해당 상태의 제어 신호를 역회전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S18). 이때, 구동 제어부(1023)는 역회전 제어 횟수(초기값=0)를 '1' 증가시켜 저장부(1024)에 저장할 수 있다(S18).
따라서, 로터부(803)는 로터부 구동부(1025)의 제어에 의해 정해진 역회전 시간 동안 역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로터부(803)의 역회전 중, 복수 개의 제형 유도구(834) 중 적어도 하나에 최외측 제형(T11)이 존재하는 제형 유도구(834)가 존재하고, 이 제형 유도구(834)가 토출구(H8212)와 중첩되더라도 최외측 제형(T11)은 토출구(H8212) 속으로 투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형 유도구(834)에 존재하는 최외측 제형(T11)은 제형 유도구(834)를 에워싸고 있는 제2 로터레일(833) 상부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형 유도구(834)는 토출구(H8212)의 일부와 중첩되어 있는 토출구(H8212)의 일부를 막고 있을 수 있고, 또한 돌출된 최외측 제형(T11)의 부분은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시작단(E815)과 부딪혀 정상적인 역회전 동작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최외측 제형(T11)이 제형 가이드 돌기(815)의 시작단(S815)과 접하게 되면 로터부(803)는 더 이상의 역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로터부(803)의 역회전 동작 중지로 인해, 토출구(H8212)는 최외측 제형(T11)의 토출이 이루어질 정도로 개방되지 못하므로, 역회전 구동 신호가 로터부 구동부(1025)로 출력되더라도 최외측 제형(T11)의 토출 및 로터부(803)의 실질적인 역회전 동작은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터부(803)의 역회전시에는 최외측 제형(T11)의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로지 정회전 시에만 정상적으로 최외측 제형(T11)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해진 역회전 시간 동안 역회전 구동 신호의 출력이 이루어진 후, 구동 제어부(1023)는 다시 로터부(803)의 정회전 수를 판정하여 정회전 시간(예, 제2 정회전 시간)을 산출한 후, 산출된 정회전 시간 동안 정회전 구동 신호를 로터부 구동부(1025)로 출력할 수 있다(S19).
이때, 로터부(803)의 정회전 수는 설정 개수에서 현재 토출 개수를 차감하여 산출된 개수, 즉 추가로 토출되어야 할 제형 개수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정회전 시간은 제1 정회전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단계(S19)에서, 부족한 제형의 추가적인 토출을 위한 정회전 구동 신호를 로터부 구동부(1025)로 출력한 후, 구동 제어부(1023)는 토출 개수 감지부(1022)로부터 인가되는 토출 개수 감지 신호를 판독하여 추가적으로 최외측 제형(T11)의 토출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현재 총 토출 개수를 산출하여 저장부(1024)에 저장할 수 있다(S110). 이때, 현재 총 토출 개수는 제형의 토출 동작이 시작된 후 총 정회전 시간(예, 제1 정회전 시간+제2 정회전 시간)동안 토출된 해당 제형(T10)의 총 개수일 수 있다.
다음, 단계(S19)에서 정해진 정회전 시간 동안 로터부(803)의 정회전이 이루어진 후(S111), 구동 제어부(1023)는 저장부(1024)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총 토출 개수가 설정 개수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2).
현재 총 토출 개수가 설정 개수와 동일한 경우(S112), 구동 제어부(1023)는 해당 종류의 제형(T10)이 정상적으로 정해진 복용량만큼 토출된 상태로 판단하여 현재 토출 개수를 '0'으로 리셋시킨 후(S113), 리턴 단계(S100)로 넘어갈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총 토출 개수가 설정 개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S112), 즉, 부족한 개수만큼의 제형 토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구동 제어부(1023)는 현재 역회전 제어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14).
현재 역회전 제어 회수는 최초 정회전 구동 신호가 출력된 후 역회전 구동 신호가 출력된 총 횟수일 수 있으므로, 구동 제어부(1023)는 역회전 제어가 끝날 때마다 현재 역회전 제어 횟수를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역회전 제어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S114), 구동 제어부(1023)는 단계(S17)로 넘어가 다음 번째(예, 2번째) 역회전 제어 횟수를 위한 로터부(803)의 역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역회전 제어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한 경우(S114), 구동 제어부(1023)는 현재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막힘 현상 등으로 정상적인 제형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1023)는 저장부(1024)에 저장되어 있는 에러 메시지를 읽어와 통신부(1021)를 통해 단말 제어 유닛(101)으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S115).
이에 따라, 단말 제어 유닛(101)의 동작 제어부(1015)는 통신부(1011)를 통해 전송되는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의 에러 메시지를 수신한 후 정보 출력부(1017)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 출력부(1017)로 출력된 에러 메시지를 이용하여 현재 어떤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가 정상적인 제형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인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60)의 상태를 점검하여 토출구(H8212)의 청소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대안적인 예에서,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102)은 구동 제어부(1023)와 연결된 별도의 정보 출력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런 경우, 구동 제어부(1023)는 바로 정보 출력부로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구동 제어부(1023)는 해당 종류의 제형(T10)이 정해진 복용량만큼의 토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정해진 횟수만큼 로터부(803)는 역회전 동작과 정회전 동작을 반복하여 추가적으로 해당 제형(T10)의 추가적인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제형 디스펜서
60: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70: 카트리지 80: 토출 유닛
801: 하우징 802: 토출캡
803: 로터부 811: 하우징 본체
813: 삽입 제한부 814: 차단 리브
815: 제형 가이드 돌기 821: 캡본체
831: 로터콘 8312: 곡면부
8313: 평탄면부 832: 제1 로터레일
833: 제2 로터레일 835: 구동축
8331: 평탄면 8332: 경사면
834: 제형 유도구 102: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
1022: 토출 개수 감지부 1023: 구동 제어부
1025: 로터부 구동부 H8211: 로터 삽입구
H8212: 토출구 PG11: 제1 측면
PG12: 제2 측면 P833; 가이드 돌기 삽입홈
P821: 토출 가이드 돌기 S833: 측면
S8211: 제1 가이드면 S8212: 제2 가이드면
G11: 제1 경사 부분 G12: 제2 경사 부분
70: 카트리지 80: 토출 유닛
801: 하우징 802: 토출캡
803: 로터부 811: 하우징 본체
813: 삽입 제한부 814: 차단 리브
815: 제형 가이드 돌기 821: 캡본체
831: 로터콘 8312: 곡면부
8313: 평탄면부 832: 제1 로터레일
833: 제2 로터레일 835: 구동축
8331: 평탄면 8332: 경사면
834: 제형 유도구 102: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
1022: 토출 개수 감지부 1023: 구동 제어부
1025: 로터부 구동부 H8211: 로터 삽입구
H8212: 토출구 PG11: 제1 측면
PG12: 제2 측면 P833; 가이드 돌기 삽입홈
P821: 토출 가이드 돌기 S833: 측면
S8211: 제1 가이드면 S8212: 제2 가이드면
G11: 제1 경사 부분 G12: 제2 경사 부분
Claims (18)
- 내부에 제형을 수납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어 디스펜서에 삽입되고, 상기 제형을 디스펜서 쪽으로 토출시키는 토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토출 유닛은
일단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일단에 상기 카트리지가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된 제형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타단측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제형이 배출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형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상기 내부 공간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형을 이동시키는 로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단에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타단측에 상기 로터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제형을 상기 디스펜서쪽으로 배출시키는 토출구와 상기 로터부의 구동축이 노출되고,
상기 제형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카트리지가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로터부 상으로 유입되는,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결합 구조는 상기 카트리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나사산 형태로 구비되는,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막도록 구비되고, 상기 토출구와 상기 로터부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로터 삽입구를 구비하는 토출캡;을 더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부는 일부가 개구되어 상기 토출구로 토출될 제형이 안착되는 제형 유도구를 구비하되,
상기 제형 유도구는 상기 안착되는 제형을 상기 로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토출구 쪽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유도구는 상기 제형 유도구 내에서 복수의 제형이 일렬로 배열되는 폭과 길이를 갖는,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 유닛을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할 때 상기 토출 유닛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수납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는,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가이드 돌기는,
상기 디스펜서에서 상기 토출 유닛이 삽입되는 카트리지 수납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단에 상기 카트리지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디스펜서에 삽입되되,
상기 디스펜서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노출된 로터부의 구동축은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된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로터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제형은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 쪽으로 투하되는,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서 상기 토출 유닛과 결합되는 일단은 개방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구비되는,
디스펜서에 탈장착되는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제1 항에 따른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토출 유닛이 결합된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를 구비하는 수납 유닛;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로터부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로터부 구동부; 및
상기 로터부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형 디스펜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에 삽입될 때, 상기 토출 유닛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의 타단이 상기 카트리지 수납구를 향하는,
제형 디스펜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각에 장착되는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제형 디스펜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각은 함몰홈 형태로 구비되는,
제형 디스펜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 유닛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수납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수납구 각각은 상기 수납 가이드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수납 가이드구를 더 포함하는,
제형 디스펜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각각의 상기 토출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각각의 상기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로부터 토출되는 제형의 개수를 감지하는 토출 개수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제형 디스펜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조립체의 각각의 장착 상태를 표시하는 장착 상태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제형 디스펜서.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각각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이 외부로 토출되는 상기 수납 유닛의 하단을 밀폐하는 밀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복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각각으로부터 토출된 제형이 토출되는 동안 상기 수납 유닛의 하단을 개방하고,
상기 복수의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각각으로부터의 토출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수납 유닛의 하단을 밀폐하는,
제형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160228 | 2021-11-19 | ||
KR1020210160228 | 2021-11-19 | ||
KR1020210193553A KR102561070B1 (ko) | 2021-11-19 | 2021-12-30 |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93553A Division KR102561070B1 (ko) | 2021-11-19 | 2021-12-30 |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3512A true KR20230113512A (ko) | 2023-07-31 |
KR102678882B1 KR102678882B1 (ko) | 2024-06-28 |
Family
ID=8639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5825A KR102678882B1 (ko) | 2021-11-19 | 2023-07-24 |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16225A1 (ko) |
JP (1) | JP2024516796A (ko) |
KR (1) | KR102678882B1 (ko) |
WO (1) | WO2023090769A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4269A (ko) | 2013-07-29 | 2015-02-06 | 임명식 | 정제 의약품 분배장치 |
US20180147120A1 (en) * | 2015-05-26 | 2018-05-31 | Michel Poirier | Modular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
JP2020522371A (ja) * | 2017-06-08 | 2020-07-30 | メディクペン アーベー | 錠剤ディスペンサー |
KR102323484B1 (ko) * | 2020-11-06 | 2021-11-09 | 김동후 | 알약 배출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95989B2 (ja) * | 2000-02-16 | 2007-03-22 | 三洋電機株式会社 | 薬剤供給装置 |
USRE48136E1 (en) * | 2010-10-06 | 2020-08-04 | Czarnek & Orkin Laboratories, Inc. | Pill dispensing method and apparatus |
KR101616107B1 (ko) * | 2014-09-01 | 2016-04-27 | (주)인포피아 | 약제 카트리지 |
EP3594147B1 (en) * | 2018-07-11 | 2021-08-11 | Industrias Plasticas Triana S.A. | Device for unitary dosage of tablets or pills |
KR102196296B1 (ko) * | 2018-12-04 | 2020-12-29 | 주식회사 유림텍 | 정제 카세트의 계수 정보 등록 장치 및 그 방법 |
-
2022
- 2022-11-11 US US18/555,182 patent/US20240216225A1/en active Pending
- 2022-11-11 JP JP2023562567A patent/JP2024516796A/ja active Pending
- 2022-11-11 WO PCT/KR2022/017787 patent/WO202309076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07-24 KR KR1020230095825A patent/KR1026788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4269A (ko) | 2013-07-29 | 2015-02-06 | 임명식 | 정제 의약품 분배장치 |
US20180147120A1 (en) * | 2015-05-26 | 2018-05-31 | Michel Poirier | Modular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
JP2020522371A (ja) * | 2017-06-08 | 2020-07-30 | メディクペン アーベー | 錠剤ディスペンサー |
KR102323484B1 (ko) * | 2020-11-06 | 2021-11-09 | 김동후 | 알약 배출장치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미국 공개특허 US2006/0213921 A1 (PILL DISPENSING APPARATUS) |
미국 공개특허 US2015/0090733 A1 (Device for Dispensing Pharmaceutical Dos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216225A1 (en) | 2024-07-04 |
KR102678882B1 (ko) | 2024-06-28 |
WO2023090769A1 (ko) | 2023-05-25 |
JP2024516796A (ja) | 2024-04-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21654C2 (ru) |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 |
JP6249448B2 (ja) | スマートキャップシステム | |
KR100872577B1 (ko) | 자동 약 공급 및 투약시각 알림장치 | |
ES2345014T3 (es) | Dispositivo que se puede fijar a un pastillero. | |
TWI510233B (zh) | A medicine dispensing device and a medicine counting device | |
EP1053738A2 (en) | Solid preparation filling Apparatus | |
KR20010032552A (ko) | 약제 공급 장치 | |
KR20010032551A (ko) | 약제 공급 장치 | |
KR102157435B1 (ko) | 복약 관리 장치 | |
CN108602610B (zh) | 通过装置、阀、具备其的容纳器具、内容物移动器具及内容物器具 | |
CN109602611A (zh) | 一种用于固态药品的分药机 | |
KR102561070B1 (ko) |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제어 유닛 | |
KR20010032393A (ko) | 약제 공급 장치 | |
KR20230113512A (ko) |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 |
KR102543811B1 (ko) | 약제 자동배출장치 | |
KR102702401B1 (ko) | 제형 디스펜서 및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 |
KR20240030111A (ko) | 제형 토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 |
KR20240141008A (ko) | 제형 토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 |
KR20240030112A (ko) | 제형 토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제형 디스펜서 | |
KR20240141009A (ko) | 제형 디스펜서 | |
KR20230073952A (ko) | 제형 디스펜서 | |
US10445970B2 (en) | Medicine-dispensing apparatus | |
EP2502852A1 (en) | Dispensing device | |
CN112221113A (zh) | 一种发牌机 | |
KR20230143101A (ko) | 제형 카트리지 조립체 및 제형 디스펜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