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435B1 - 복약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복약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435B1
KR102157435B1 KR1020190024934A KR20190024934A KR102157435B1 KR 102157435 B1 KR102157435 B1 KR 102157435B1 KR 1020190024934 A KR1020190024934 A KR 1020190024934A KR 20190024934 A KR20190024934 A KR 20190024934A KR 102157435 B1 KR102157435 B1 KR 102157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unit
opening
medicati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410A (ko
Inventor
박경도
Original Assignee
박경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도 filed Critical 박경도
Priority to KR102019002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435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from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30Compliance analysis for taking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복약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복약 관리 장치는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의 이동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측 방향으로 전파를 방출시키는 송신부; 통과작동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에 반사된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송신부에서 방출된 후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전파를 통해 통과작동부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약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FOR TAKING MEDICINE}
본 발명은 복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 기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토출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하며, 환자의 복용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복약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제, 비타민제, 과자류 등의 의약품, 건강보조식품 및 식품류는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인 내용물로, 공구 및 기구 등은 고형물인 내용물(이하, "내용물"이라 함) 형태로 제조된다.
의약품 및 식품류 내용물들은 그 효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과용이나 중독을 막기 위해 정량 또는 필요량을 복용하게 된다.
이러한 내용물은 소정의 보관용기에 수용시킨 상태로 판매되는데, 종래의 내용물 보관용기는 다수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투입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 되는 캡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내용물의 복용이나 섭취를 위해서는 용기 본체로부터 캡을 개방시킨 후에 용기 본체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손바닥 또는 뚜껑 상으로 인출하여 복용하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정량 배출 용기에 대해서는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6798호(발명의 명칭: 알약 정량배출 캡)에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정량 배출 용기는 사용자가 내용물 습득을 위해 매번 용기 기구와 같은 수용 기구를 기울여 내용물을 꺼내는 경우 내용물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므로 내용물을 한 개씩 또는 필요한 수요량(需要量) 만큼 꺼내기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수용 기구로부터 정량이 토출되도록 하는 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수용 기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었으며, 그 결과 정확한 복약 지도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아울러, 현재, 각 약국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의료 보험관리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고 있으며, 각 약사들은 이러한 의료 보험관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복약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복약지도는 의약품에 대한 효능/효과, 복약 방법을 포함하고 있으며, 약사는 이러한 의약품 정보에 기초하여 복약지도를 환자에게 직접 인지시키고 있는 실정임에 따라, 오프라인 상태로 저장되는 복약지도는 환자에게 많은 정보 또는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복약지도의 활성화에 장애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용 기구로부터 토출되는 내용물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지도록 한 복약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가 복용한 상태에 대해서 복약 히스토리를 작성하고, 관리자, 환자, 보호자가 언제든지 확인토록 하여, 복약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환자의 복용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복약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운동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을 위한 개방부를 개방하는 개방부재와 상기 개방부를 막는 막음부재를 갖는 통과운동부;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 작동시, 상기 개방부를 통해 개방되는 상기 내용물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는 주둥이부재; 및 상기 주둥이부재에 출입 가능하게 축 삽입되고, 하측이 상기 개방부재의 불필요한 운동을 막아 임의적으로 상기 내용물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운동방지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운동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을 위한 개방부를 개방하는 개방부재와 상기 개방부를 막는 막음부재를 갖는 통과운동부;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 작동시, 상기 개방부를 통해 개방되는 상기 내용물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는 주둥이부재; 및 상기 주둥이부재의 상기 내용물 이동 안내용 채널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이 상기 채널을 통해 임의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개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운동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을 위한 개방부를 개방하는 개방부재와 상기 개방부를 막는 막음부재를 갖는 통과운동부;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 작동시, 상기 개방부를 통해 개방되는 상기 내용물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는 주둥이부재; 상기 개방부재에 구비되어 토출되려는 시점의 상기 내용물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주둥이부재에 구비되어 인체가 접한 상태를 감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와 상기 접촉부가 함께 대응되는 대상물을 감지시,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과운동부는 설정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의 통과를 방해하는 막음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통과운동부의 회동 운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후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신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통과작동부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싱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통과운동부의 회동 운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수신부 및 센싱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내용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내용물의 기간별 누적 토출량을 계산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내용물 정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계산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내용물 정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계산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내용물의 기간별 누적 토출량이 기간별 설정량을 초과하거나 부족한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 제어부는 내용물에 의해 반사된 광의 수신이 중단되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약 관리 장치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용기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운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내용물에 반사된 전파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내용물에 반사된 전파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는 상기 통과운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발광부에 의해 발광된 후 내용물에 반사되어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되는 광의 광량 변화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량이 상기 설정 변화량 이상이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광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 이상으로 변화하기 전의 상태가 되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의 변화량이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광된 광량이 기 설정된 설정 광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작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싱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출력부; 및 감지부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로부터 복약 스케쥴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복약 스케쥴 정보와 상기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지도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복약 지도 정보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내용물의 토출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량 복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가 복용한 상태에 대해서 복약 히스토리를 작성하고, 관리자, 환자, 보호자가 언제든지 확인토록 하여, 복약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환자의 복용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 허용 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 허용 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 허용 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 허용 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기울였을 때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알약이 센서 부위를 지나서 외부로 토출시의 광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기울였을 때 상대적으로 크고 긴 알약이 센서 부위를 지나서 외부로 토출시의 광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기울였을 때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알약이 용기 입구 통과 장치에서 걸린 후 용기를 다시 세움에 따라 용기 내부로 다시 진입되는 경우에서의 광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기울였을 때 상대적으로 크고 긴 알약이 용기 입구 통과 장치에서 걸린 후 용기를 다시 세움에 따라 용기 내부로 다시 진입되는 경우에서의 광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복약 안내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안내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를 갖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통신 시스템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통신 작동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 허용 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주둥이부재(40) 및 운동방지부재(133)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용물(5)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내측에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내용물(5)은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 등과 같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 가능한 것으로 한다.
통과작동부(120)에 형성되는 개방부(122)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5)이 배출 안내된다.
따라서, 통과작동부(120)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내용물(5)을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5)을 정량(定量) 또는 수요량(需要量)만큼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량'은 동일 개수나 양, 및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이동되는 양이나 개수를 의미한다.'수요량'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개수)으로서'정량'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 및 통과 통로부(139)를 포함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하우징(110)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5)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 안내되도록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통과 운동부(140)를 포함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운동에 의한 개방으로 내용물(5)이 통과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된 개방부(122)를 닫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통과 운동부(140)는 막음부재(127)와 개방부재(124)를 포함한다.
예컨대 한 개의 내용물이 정량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 개의 낱개 내용물(5)이 통과 통로부(139)를 전방 통과시, 다른 낱개 내용물(5)이 전방 통과 내용물(5)의 뒤에 인접하며 통과 통로부(139)를 후방 통과하고, 후방 통과 내용물(5)이 이동하며 막음부재(127)를 접촉한다.
이때, 막음부재(127)는 절곡되어 구성되고, 막음부재(127)의 막음부재 절곡부(127b)는 선형으로 꺾이거나 곡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막음부재(127)가 절곡되는 막음부재 절곡부(127b) 각도는 수요량 외의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직각에 가까운 가파른 경사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외의 다양한 각도로의 절곡이 가능하다.
이 후,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적어도 일부 막음에 따라 정량을 초과해서 내용물(5)이 개방부(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하우징(110)이 바닥에 세워진 초기 상태로서,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평형의 힘의 작용 또는 통과 운동부(140)가 스토퍼(129)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재(124)의 자중에 의해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하지만, 스토퍼(129)가 통과 운동부(140)의 일방향(시계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일반적인 용기 보관 상태인 하우징(110)이 세워져 있는 상태에서,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막음으로써, 공기나 먼지 등 외부 물질이 개방부(122)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아울러, 하우징(110)이 세워진(0도 회전상태) 초기 상태에서, 통과 운동부(140)는 무게 평형 상태로 이동하려는 힘의 작용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려는 우측으로 무게 쏠림 작용이 스토퍼(129)에 의해 억제되면서 무게 평형 상태(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가 우측 무게 쏠림 상태인 경우, 좌측 상단의 스토퍼(129)가 통과 운동부(140)의 일방향 회전을 억제한다.
물론, 스토퍼(129)는 다양한 형상과 위치로 변화 가능하다.
특히, 하우징(110)이 세워져 있는 초기 상태에서, 센서부(510)가 작동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센서부(510)가 계속 작동되면 전원 손실이 발생하므로 전력량 감소를 위해 별도의 기울기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여, 이 기울기 센서가 작동시 센서부(510)가 대기 상태에서 작동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의 중력 작용에 의한 운동에 대응하여 운동하며,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통과작동부(120)를 개방한다,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거나 움직이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 통과 운동부(140)의 관성,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누르는 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운동할 수 있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된 개방부(122)를 닫는 막음부재(127)를 포함하고, 한 개의 낱개 내용물(5)이 통과 통로부(139)를 전방 통과시, 다른 낱개 내용물(5)이 전방 통과 내용물(5)의 뒤에 인접하며 통과 통로부(139)를 후방 통과하고, 후방 통과 내용물(5)이 이동하며 막음부재(127)를 접촉하여,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적어도 일부 막음에 따라 정량을 초과해서 내용물이 개방부(1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낱개의 내용물(5)인 정량의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가 있는 위치까지 진입하기 위해서는 내용물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기 이전에는,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평형 힘에 의하여 개방부재(124)는 닫힌 상태에 있고, 막음부재(127)는 열린 상태에 있게 되며, 정량의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에 진입하기 이전까지 이와 같은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정량의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면, 개방부재(124)와 막음부재(127)는 연동되어 회전하여, 개방부재(124)는 열린 상태가 되고, 막음부재(127)는 닫힌 상태가 된다. 이때, 막음부재(127)의 닫힌 상태에 따라 정량 이외의 내용물의 개방부(122)로의 진입을 계속 막게 된다.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 내측면에 해당되는 고정부재(121)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비되어, 통과작동부(120), 보다 명확히는 통과작동부가 결합된 하우징을 기울이는 동작을 통해, 개방부(122)가 개방되어 내용물(5)이 인출된 후, 통과작동부(120)를 다시 세우는 위치로 복귀시키면,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평형 힘에 의하여 통과 운동부(140)가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막음부재(127)가 개방되는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복귀된 위치인 통과작동부(120)가 다시 기울여지면, 또다시 인출되기 위하여 통과 운동부(140)에 처음으로 접근하는 정량 내용물이 막음부재(127)에 막힘없이 진입하여 개방부재(124)에 접촉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의 이와 같은 회동 작동에 의하여 용기 본체(110) 안에 있는 내용물이 모두 정량의 내용물 만큼씩 모두 인출될 수 있다.
통과 통로부(139)의 하부에는 내용물(5)을 통과 통로부(139)로 유입하는 이동안내부(180)를 구비한다.
특히, 이동안내부(180)의 적어도 일부는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내용물(5)이 경사진 면을 따라서 통과 통로부(139)가 위치한 곳으로 안내된다.
즉,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는 경우, 내용물(5)이 이동안내부(180)의 중력 방향으로 경사진 면을 따라 이동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개방부(122)를 가지면서, 개방부(122)가 일정 높이 솟아오르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이동안내부(180)의 경사진 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이면서 서서히 좁혀지게 형성됨에 따라, 내용물(5)이 좁아지는 곡면을 통해 통과작동부(120) 측으로 이동하도록 유도된다.
스토퍼(129)는 운동부재(125)에서 연장되어 개방부재(124)가 더 이상 운동되지 않고, 막음부재(127)가 개방부(122)를 완전히 막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토퍼(129)는 내용물 통과수단(123) 또는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개방부재(124)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통과 장치(100)를 구비하는 내용물 이동 기구(1)는 용기 기구일 수 있다.
더욱 상세히,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운동에 의한 개방으로 내용물(5)이 통과되도록 하는 통과 운동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5)의 통과 방향으로 운동되어 내용물(5)의 통과 공간을 형성하는 개방부재(124), 및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내용물(5)이 통과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통과하도록 개방부(122)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막음부재(127)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막음부재(127)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부(122)를 적어도 일부 막음에 따라 정량을 초과하는 내용물(5)이 개방부(122)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부(122)를 형성하는 고정부재(121), 및 내용물(5)이 내용물 통과수단(123) 측으로 유입 안내되도록 하는 이동안내부(180)를 포함한다.
이때, 내용물(5)은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변형에 의해 통과되는데, 특히 개방부재(124)의 회동에 의해 통과된다.
특히,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122)를 통하여 내용물(5)을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내용물(5)의 통과 공간은 개방부재(124)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이 내용물(5)의 무게에 의한 누름, 통과작동부(120)를 구비하는 하우징(110)의 흔들림, 개방부재(124)의 자중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운동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통과 장치(100)는 내용물 이동 기구(1) 또는 수용 기구에 적용되어, 내용물 이동 기구(1) 또는 수용 기구의 본체로부터 개폐 가능한 개폐 기구일 수 있다.
아울러, 통과 운동부(140)는 운동부재(125)를 포함한다. 운동부재(125)는 개방부재(124)를 운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5)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에 접촉하는 측인 통과 배출측에서 내용물(5)이 진입하는 측인 통과 진입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통과 통로부(139)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과 통로부(139)는, 내용물(5)을 내용물 통과수단(123)으로 이동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를 초과하는 기울기로 통과작동부(120)와 함께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평형부(123b)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부(122)를 통해, 개방부재(124)가 운동되어 형성되는 통과 공간의 개방 여부에 따라 내용물(5)을 통과 안내한다. 이때, 개방부재(124)는 고정부재(121)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용물(5)이 미끄러지는 방향인 통과 장치(100) 방향으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무게 쏠림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재(124)의 자중에 의하여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아울러, 평형부(123b)는 평형부(123b)의 무게 평형 상태가 내용물(5)을 통과시키기 위해 기울어지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평형부(123b)의 무게 평형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고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고정부재(121)는 개방부재(124)가 연결되는 통과 장치(100)의 내부 통공 공간의 내주면에 구비되거나, 또는 통과 장치(100)가 포함하는 하우징(110)의 부재일 수 있다.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에 따라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면, 내용물(5)의 무게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평형부(123b)에 더해져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평형부(123b)의 무게 쏠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평형부(123b)의 개방부재(124) 측에 더해지는 내용물(5)의 무게에 의해 발생하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의 무게 쏠림이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평형부(123b)만의 평형 상태의 위치에 도달하려는 평형 유지 힘을 초과하게 되면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아울러, 내용물이 운동부재(125)의 곡면인 외부면을 따라 축 반대 방향으로 밀리며 이동해서 다른 내용물이 함께 통과하는 유효 통과 공간이 없게 된다.
또한,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운동부재(125)를 포함하는데, 운동부재(125)는 개방부재(124)를 회동 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내용물(5)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부(122)를 구비하는 고정부재(121)를 포함한다.
내용물 통과수단(123)은 개방부재(124) 및 운동부재(125)를 포함한다.
개방부재(124)는 고정부재(121)와 연결된다. 그래서, 개방부재(124)가 운동되며 개방부(122)의 개방 여부에 따라 내용물(5)을 수취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운동부재(125)는 개방부재(124)를 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를 누름시, 내용물(5)은 개방부재(124)의 젖혀짐에 따라 유입되며, 막음부재(127)는 개방부재(124)에 연동되어 개방부(122)의 적어도 일부를 막음에 따라, 수요량을 초과하는 내용물(5)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통과 운동부(140)는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기울었을 때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으로 평형을 유지하려는 또는 평형이 되기 위하여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에 의해, 통과 운동부(140)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기울기를 초과하여, 더 이상 기울지 않는 평형부(123b)가 된다.
이때, 통과 운동부(140) 또는 평형부(123b)가 평형을 유지하거나 평형이 되기 위하여 회전하려는 힘의 방향은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통과 운동부(140) 또는 평형부(123b)가 회전하려는 힘으로 발생한다. 특히,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 평형을 위하여 별도의 운동제어부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제어부재(123a)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질 때, 개방부재(124)와 운동제어부재(123a)의 무게, 또는 개방부재(124), 운동제어부재(123a) 및 개방부재(124)와 함께 운동하는 별개의 부재의 무게에 의해, 평형부(123b)의 무게 중심으로 무게 평형의 힘이 작용하며 중력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를 유지하려는 힘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를 초과하는 기울기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내용물이 통과 장치(100)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경우, 통과 운동부(140)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무게 쏠림의 힘이 작용하게 되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재(124)의 자중에 의하여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개방부재(124)가 포함되어 있는 평형부(123b)는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짐에 따라 내용물이 미끄러져 내려와 개방부재(124)에 접촉하여 내용물의 무게가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더해져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무게 쏠림이 발생하기 이전에는, 개방부재(124)는, 내용물의 토출을 위하여 개방되는 방향으로 개방부재(124)의 자중에 의한 운동이 억제되고, 내용물이 접촉하기 이전까지 개방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통과 운동부(140)는 평형부(123b)가 되며, 평형부(123b)는 평형부(123b)의 무게 평형 상태가 내용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기울어지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평형부(123b)의 무게 평형에 의해 개방부재(124)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고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은 고정부재(121) 또는 하우징(110)와 같은 내용물 기구의 부재에 저항되어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평형부(123b)는 평형부(123b)의 평형 상태 방향으로 유지 또는 회전 운동하려는 힘에 의해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게 되며, 고정부재(121) 또는 하우징(110)에 저항되도록 하여 평형부(123b)의 평형 상태 방향으로 유지 또는 회전 운동하려는 힘에 의한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억제된다.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임에 따라 내용물이 개방부재(124)에 접촉하면, 내용물의 무게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평형부(123b)에 더해져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평형부(123b)의 무게 쏠림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평형부(123b)의 개방부재(124) 측에 더해지는 내용물의 무게에 의해 발생하는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의 무게 쏠림이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평형부(123b) 만의 평형 상태의 위치에 도달하려는 평형 유지 힘을 초과하게 되면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평형부(123b)의 회전이 고정부재(121) 또는 하우징(110)와 같은 내용물 기구의 부재와 접촉 저항되며 평형부(123b)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기 방향으로 필요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와 함께 통과작동부(120)가 기울어질 때,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는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의 무게 중심으로 무게 평형을 이루고자 하는 힘의 작용에 의해 평형부(123b) 또는 통과 운동부(140)가 통과작동부(120)의 기울어짐을 초과하며 기울어지지 않고, 통과작동부(120) 내에서의 위치와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통과 운동부(140)는, 개방부(122)에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통과작동부(120)는, 시소 운동에 의해, 통과작동부(120)가 설정각도 이내로 기울어질 경우 초기 상태를 유지하여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개방하지 않는다.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미는 힘 또는 내용물이 통과 운동부(140)를 미는 힘과 통과 운동부(140)의 자중에 의해 개방부(122)를 개방하며 내용물이 설정량 만큼 통과 안내된다.
설정각도는 개방부(122)를 형성한 내용물 이동 기구 또는 수용 기구(1)가 세워진 초기 상태로부터 180도를 초과하지 않는 기울기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통과 운동부(140)는 회전 중심인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에 무게 편중 쏠림 현상에 의해 시소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주둥이부재(40)는 개방부재(124)의 개방 작동시, 개방부(122)를 통해 개방되는 내용물(5)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통과작동부(120)는 하우징(110)과 밀폐되기 위해 밀폐부(102)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밀폐부(102)는 통과작동부(120)와 커버(30)에 결합된다.
이때, 밀폐부(102)는 하부밀폐캡(107) 및 상부밀폐캡(105)을 포함한다.
하부밀폐캡(107)은 통과작동부(120)의 하측을 안착하거나 결합하고, 하우징(110)에 저장된 내용물(5)을 통과작동부(120) 측으로 이동 허용하도록 하부가 개방된다. 물론, 하부밀폐캡(107)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부밀폐캡(105)은 통과작동부(120)의 상측을 덮고, 하부밀폐캡(107)과 분리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물론, 상부밀폐캡(10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상부밀폐캡(105)은 통과작동부(120)의 개방부(122) 및 주둥이부재(40)와 일치되는 인출홀(106)을 형성한다.
그래서, 통과작동부(120)가 작동되며 내용물(5)이 인출시, 해당 내용물(5)은 개방부(122), 인출홀(106) 및 주둥이부재(40)의 채널(42)을 통해 외측으로 이동 안내된다. 이때, 주둥이부재(40)의 채널(42)은 통과되는 내용물(5)의 형상이나 크기 및 개수 등에 의해 내부 단면적이 정해진다.
한편, 사용자가 하우징(110)에 저장된 내용물(5)을 인출하지 않는 미사용 상태에서,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더라도, 내용물(5)은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동방지부재(133)가 구비된다. 운동방지부재(133)는 주둥이부재(40)의 채널(42)에 출입 가능하게 축 삽입되고, 하측이 개방부재(124)의 불필요한 운동을 막아 임의적으로 하우징(110) 내부의 내용물(5)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내용물(5)이 인출될 필요가 없는 상태에서, 도 4, 도 5와 같이 상기 운동방지부재가 상기 주둥이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더라도, 개방부재(124)는 운동방지부재(133)에 걸려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내용물(5)은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더라도 인출되지 않게 된다. 물론, 운동방지부재(133)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가 운동방지부재(133)를 주둥이부재(4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운동방지부재(133)는 마개(135)를 구비한다. 운동방지부재(133)가 주둥이부재(40)의 채널(42)에 완전히 삽입시, 마개(135)는 주둥이부재(40)의 상부를 막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물론, 마개(135)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사용자가 운동방지부재(133)를 주둥이부재(40)로부터 제거 후 하우징(110)을 기울이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저장된 내용물(5)은 통과작동부(120)와 주둥이부재(4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운동방지부재(133)가 주둥이부재(40)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주둥이부재(40)는 둘레면에 이탈방지돌기(47)를 돌출 형성하고, 마개(135)는 내측면에 이탈방지홈(137)을 형성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47)가 이탈방지홈(137)에 수용됨에 따라, 운동방지부재(133)는 임의적으로 주둥이부재(40)로부터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통과 운동부(140)가 하우징(110)의 기울기에 의해 초기 상태를 기준으로 타방향으로 90도를 초과하여 기울인 상태이지만, 내용물(5)이 통과 운동부(140)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며, 운동부재(125)를 기준으로 우측 무게 쏠림으로 우측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지만 스토퍼(129)에 의해 억제되어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내용물(5)이 막음부재(127)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아 내용물(5)이 센서부(510)를 가로 막지 않은 상태로 센서부(510)가 감지한 광량이 크다.
그리고, 통과 운동부(124)의 평형부(123b)에 내용물(5)의 자중이 더해져서, 평형부(123b)와 내용물(5)과의 저항에 의해, 내용물(5)이 개방부재(124)와 접촉하기 위해 접근하거나 또는 개방부재(124)와 접촉하면서 통과 운동부(140)가 하우징(110)의 기울기를 초과하여 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기울어진 경사면을 따라 중력 방향으로 이동하는 내용물(5)과 평형부(123b)와의 마찰, 또는 개방부재(124)를 미는 힘에 의해서, 통과 운동부(140)가 내용물(5)과 함께 이동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 허용 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주둥이부재(40) 및 단속개폐부(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및 주둥이부재(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단속개폐부(200)는 주둥이부재(40)의 내용물(5) 이동 안내용 채널(42)을 개폐함으로써, 내용물(5)이 채널(42)을 통해 임의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단속개폐부(200)는 슬라이드홀부(210) 및 단속판부재(22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홀부(210)는 주둥이부재(40)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채널(42)까지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단속판부재(220)는 슬라이드홀부(210)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되며 채널(42)을 막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도 8과 같이,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더라도, 단속판부재(220)가 채널(42)을 막고 있을 경우, 내용물(5)은 주둥이부재(40)를 통해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9의 (a)와 같이, 단속판부재(220)가 채널(42)을 개방한 후, 하우징(110)이 기울어질 경우, 하우징(110) 내부의 내용물(5)은 주둥이부재(40)를 통해 인출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때, 내용물(5)이 주둥이부재(40)로 진입 후, 하우징(110)이 세워지게 되면, 내용물(5)은 개방부재(124)의 상측면에 접한 상태로 주둥이부재(40)에 잔류하게 된다.
이 후, 사용자가 내용물(5)을 주둥이부재(40)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하우징(110)을 기울일 경우, 주둥이부재(40)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내용물(5)과 하우징(110) 내부에서 개방부재(124)를 밀고 토출되는 내용물(5)이 함께 주둥이부재(40)의 외측으로 인출됨에 따라, 설정량 이상의 내용물(5)이 인출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9의 (b)와 같이, 주둥이부재(40) 내부에 내용물(5)이 잔류할 경우, 사용자는 하우징(110)을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회전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하우징(110)을 기울이게 되면, 하우징(110) 내부의 내용물(5)은 통과 통로부(139)로 진입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주둥이부재(40) 내부의 내용물(5)만 인출된다.
이때, 주둥이부재(40) 내부에 내용물(5)이 잔류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주둥이부재(40)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 허용 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주둥이부재(40) 및 단속개폐부(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및 주둥이부재(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단속개폐부(200)는 주둥이부재(40)의 내용물(5) 이동 안내용 채널(42)을 개폐함으로써, 내용물(5)이 채널(42)을 통해 임의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단속개폐부(200)는 슬라이드홀부(210) 및 단속판부재(22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홀부(210)는 주둥이부재(40)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채널(42)까지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단속판부재(220)는 슬라이드홀부(210)에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되며 채널(42)을 막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더라도, 단속판부재(220)가 채널(42)을 막고 있을 경우, 내용물(5)은 주둥이부재(40)를 통해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단속판부재(220)가 채널(42)을 개방한 후, 하우징(110)이 기울어질 경우, 하우징(110) 내부의 내용물(5)은 주둥이부재(40)를 통해 인출되는 것이 허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단속판부재(220)는 내용물(5)이 운동부재(125)를 통과하지 않고 하우징(110)을 세우면 다시 하우징(110)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운동방지부재(133) 역할을 하거나 운동방지부재(133) 일 수 있다.
즉, 단속판부재(220)가 주둥이부재(40)의 채널(42)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110)이 기울어지면,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단속판부재(220)에 걸려 개방부(122)를 개방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내용물(5)은 채널(42)로 이동되지 못하고, 하우징(110)을 초기 상태로 세울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 바닥으로 낙하하게 된다.
물론, 단속판부재(220)가 채널(42)을 개방한 후, 하우징(110)이 기울어질 경우, 개방부재(124)가 개방부(122)를 개방하면서 내용물(5)이 주둥이부재(4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되지 않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하우징을 기울일 경우에 내용물이 통과 허용 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주둥이부재(40), 감지부(500) 및 접촉부(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 통과작동부(120) 및 주둥이부재(4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감지부(500)는 개방부재(124)에 구비되어 토출되려는 시점의 내용물(5)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감지부(500)는 접촉센서나 포토센서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접촉부(300)는 주둥이부재(40) 특히, 주둥이부재(40)의 사용자의 입술이나 혀가 접하는 부위에 구비되어 인체가 접한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접촉부(300)는 접촉센서나 근접센서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감지부(500)와 접촉부(300)가 함께 대응되는 대상물을 감지시,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물론, 하우징(110)이나 통과 장치(100)에 구비되는 기울기 센서가 하우징(110)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감지부(500)가 접촉되는 내용물(5)을 감지하며, 접촉부(300)가 신체의 접촉을 감지시, 하우징(110)에 저장된 내용물(5)이 인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500)와 접촉부(300) 중 어느 하나가 신호 발생시에는, 하우징(110)에 저장된 내용물(5)이 인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 복약 관리 장치는 감지부(500), 디스플레이부(800), 저장부(900), 측정부(1000) 및 통신부(1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감지부(500)는 센서 모듈이라고도 한다.
저장부(900)는 센서 모듈(500)에 의해 검출된 내용물 정보를 저장한다.
측정부(1000)는 저장부(900)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내용물의 기간별 누적 토출량을 계산한다.
디스플레이부(800)는 센서 모듈(500)에 의해 검출된 내용물 정보, 저장부(900)에 저장된 정보, 또는 측정부(1000)에 측정된 정보를 출력한다.
통신부(1100)는 센서 모듈(500)에 의해 검출된 내용물 정보, 저장부(900)에 저장된 정보, 또는 측정부(1000)에 측정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는 상기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통과작동부에 구비되어, 통과운동부 일단의 자유 회동운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한다.
센서 모듈 또는 감지부(500)은 센서부(510), 기울기 센서(530) 및 센싱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센서부(510)는 내용물(1)이 토출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송신부(460) 및 수신부(470)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530)는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의 하우징(110)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송신부(460)는 통과작동부(120)에 설치되어 내용물(5)의 토출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140)를 향해 전파를 방출시킨다. 송신부(460)에 의해 방출된 전파는 통과운동부(140)에 의해 반사되거나, 또는 통과운동부(140)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 또는 반응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460)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과작동부(120)의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송신부(140)는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송신부(460)는 이동안내부(18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안내부(180)에는 송신부(460)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운동부(140)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된다. 이에, 송신부(460)를 통해 방출된 전파는 관통부를 통해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반사된다.
수신부(470)는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어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반사된 전파를 수신한다.
수신부(470)는 송신부(460)와 인접한 위치에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수신부(470)는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과작동부(120)의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수신부(470)는 상기한 이동안내부(18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부(460)로부터 방출된 전파는 관통부를 통해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고, 통과운동부(140) 또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된 전파는 다시 관통부를 통해 수신부(470)에 수신된다.
센싱 제어부(430)는 기 설정된 설정주기마다 발신부(46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키고,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된 전파를 토대로 통과운동부(140)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5)을 감지한다.
센싱 제어부(430)가 설정주기마다 송신부(460)를 제어하여 전파를 방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불규칙적인 시간에 내용물(5)을 토출시키더라도 내용물(5)의 토출을 즉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설정주기는 조절될 수 있는데, 설정주기가 감소될수록 내용물(5)의 토출을 빠짐없이 검출할 수 있다.
하우징(110)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도록 놓여진 상태에서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하우징(110)이 기울어져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므로, 발신부(460)에 의해 방출된 전파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부(470)에 수신된다.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면, 센싱 제어부(430)는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된 전파를 이용하여 내용물(5)을 감지한다.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된 전파가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된 후, 수신부(470)에 의해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1)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 등으로 인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울기는 내용물(5)이 토출될 수 있는 하우징(110)의 기울기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센싱 제어부(430)는 발신부(460)를 제어하여 전파를 방출시킨다(S100).
발신부(460)에 의해 방출된 전파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될 수 있다.
이에, 센싱 제어부(430)는 발신부(460)로부터 방출된 전파가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단계(S110)에서의 판단 결과 발신부(460)로부터 방출된 전파가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되어 내용물(5)가 감지되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한다(S120),
반면에 발신부(460)로부터 방출된 전파가 내용물(5)에 반사되어 수신부(470)에 의해 수신되지 않으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130).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센싱 제어부(430)는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된 후, 수신부(470)에 의해 다시 수신되지 않으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신부(470)에 의해 전파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통과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는 센서 모듈(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는 상기한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센서부(510), 기울기 센서(530) 및 센싱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센서부(510)는 내용물(1)이 토출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530)는 하우징(1)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발광부(410)는 통과작동부(120)의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며 내용물(5)의 토출을 안내하는 통과운동부(140)에 구비된 운동부재(125)의 축방향으로 광을 방출시킨다.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통과운동부(14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반사될 수 있다. 즉, 통과운동부(14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될 경우 발광부(410)에 의해 발광된 광은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420)에 수광되지 않게 되고, 통과운동부(14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을 경우 타측에 형성된 수광부(420)에 수광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410)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발광부(410)는 상기한 이동안내부(180)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과작동부(120)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운동부(140)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된다. 이에, 발광부(410)를 통해 방출된 광은 관통부(450)를 통해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거나 타측의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다.
수광부(420)는 발광부(410) 타측의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어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한다.
수광부(420)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안내부(180)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통과작동부(120)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통과운동부(140)로 방출될 수 있도록 관통부가 형성된다. 이에, 발광부(410)를 통해 방출된 광은 관통부를 통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은 관통부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거나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될 수 있다.
센싱 제어부(430)는 기 설정된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키고,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지 여부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5)을 감지한다.
센싱 제어부(430)가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불규칙적인 시간에 내용물(5)을 토출시키더라도 내용물(5)의 토출을 즉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설정주기는 조절될 수 있는데, 설정주기가 감소될수록 내용물(5)의 토출을 빠짐없이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도록 놓여진 상태에서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하우징(110)이 기울어져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므로,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차단되어 수광부(420)에 수광되는 광량이 내용물(5)이 통과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적게 된다.
이에,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거나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이 적으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지 않은 상태가 된 후, 수광부(420)에 의해 다시 수광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1)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 등으로 인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울기는 내용물(5)이 토출될 수 있는 하우징(110)의 기울기이다.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지 않은 상태가 된 후, 수광부(420)에 의해 다시 수광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 등으로 인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울기는 내용물(5)이 토출될 수 있는 하우징(110)의 기울기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통과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킨다(S200).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단계(S210)에서의 판단 결과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지 않으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한다(S220),
반면에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230).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지 않은 상태가 된 후, 수광부(420)에 의해 다시 수광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지 않은 상태가 된 후, 수광부(420)에 의해 다시 수광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수광부(420)에 의해 광이 수광되지 않으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는 센서 모듈(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는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센서부(510), 기울기 센서(530) 및 센싱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센서부(510)는 내용물(1)이 토출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530)는 하우징(110)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발광부(410)는 및 수광부(420)는 다양하게 설치 가능하다.
센싱 제어부(430)는 기 설정된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키고,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의 변화량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5)을 감지한다.
센싱 제어부(430)가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불규칙적인 시간에 내용물(5)을 토출시키더라도 내용물(5)의 토출을 즉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설정주기는 조절될 수 있는데, 설정주기가 감소될수록 내용물(5)의 토출을 빠짐없이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도록 놓여진 상태에서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하우징(110)이 기울어져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고, 이때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되어 수광부(420)에 수광된 광량이 변화하게 된다.
이에,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의 변화량에 따라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의 변화량을 기 설정된 설정 변화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를 감지하는데,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이면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미만이면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 변화량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광량의 변화량이다. 즉,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하지 않을 경우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지 않으므로 광량의 변화량이 매우 적다. 반면에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될 경우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내용물(5)에 의해 일부 또는 전체가 반사된다. 그 결과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은 내용물(5)의 토출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이에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광량의 변화량을 설정 변화량으로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으로 변화하기 전의 상태로 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 등으로 인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울기는 내용물(5)이 토출될 수 있는 하우징(110)의 기울기이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킨다(S300).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부분 또는 전체가 차단되고 그 결과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은 내용물(5)의 토출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이에,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10), 판단 결과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을 확인한다(S320).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이 확인됨에 따라, 센싱 제어부(430)는 광량을 설정 변화량과 비교하여 광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단계(S330)에서의 판단 결과 광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이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고(S340), 반면에 광량이 설정 변화량 미만이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350).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변화량 이상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기울였을 때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알약이 센서 부위를 지나서 외부로 토출시의 광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기울였을 때 상대적으로 크고 긴 알약이 센서 부위를 지나서 외부로 토출시의 광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기울였을 때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알약이 용기 입구 통과 장치에서 걸린 후 용기를 다시 세움에 따라 용기 내부로 다시 진입되는 경우에서의 광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기울였을 때 상대적으로 크고 긴 알약이 용기 입구 통과 장치에서 걸린 후 용기를 다시 세움에 따라 용기 내부로 다시 진입되는 경우에서의 광량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6, 도 22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 통과 장치는 센서 모듈(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는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센서 모듈(500)은 센서부(510), 기울기 센서(530) 및 센싱 제어부(430)를 포함하며, 센서부(510)는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를 포함한다.
기울기 센서(530)는 하우징(110)의 기울기를 감지한다.
발광부(410)는 및 수광부(420)는 하우징(110) 또는 통과작동부(120)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센싱 제어부(430)는 기 설정된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키고,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5)을 감지한다.
센싱 제어부(430)가 설정주기마다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불규칙적인 시간에 내용물(5)을 토출시키더라도 내용물(5)의 토출을 즉각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설정주기는 조절될 수 있는데, 설정주기가 감소될수록 내용물(5)의 토출을 빠짐없이 검출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도록 놓여진 상태에서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다.
반면에, 하우징(110)이 기울어져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경우에는,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토출되고, 이때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사되어 수광부(420)에 수광된 광량은 감소하게 된다.
이에,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을 기 설정된 설정 광량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통과작동부(120)를 통해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데, 광량이 설정 광량 이하이면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광량의 변화량이 설정 광량을 초과하면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 광량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광량이다. 즉,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지 않을 경우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내용물(5)에 의해 반사되지 않으므로 광량은 매우 많다. 반면에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될 경우에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내용물(5)에 의해 일부 또는 전체가 반사되고, 그 결과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은 내용물(5)이 토출되기 전에 비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광량을 설정 광량으로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이 설정 광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1)이 토출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 등으로 인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기울기는 내용물(5)이 토출될 수 있는 하우징(110)의 기울기이다.
도 23에는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알약이 토출되는 경우에서의 광량 변화가 도시되었다. 도 24의 (a)와 (b)에는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알약이 토출되는 경우의 광량 변화와 가로축을 확대한 경우의 광량 변화가 도시되었다.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서 검출될 경우,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은 알약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42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광량으로 수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23에는 알약이 토출될 때 초당 50개의 샘플링을 수행한 결과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샘플링 시간(time interval, 1=20mSec) 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샘플링 값을 나타낸다. 
알약 토출 센싱 원리는 다음과 같다. 발광부(410)에서 광을 송출하고, 수광 부(420)에서는 광 검출 소자를 이용하여 통과된 빛의 양을 검출한다. 수광부(420)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값을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변환하여 샘플링(Sampling) 값을 얻고 샘플링 값을 이용하여 알약이 통과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5는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알약이 토출 될 때 초당 50개의 샘플링을 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4에는 상대적으로 크고 긴 알약이 토출되는 경우에서의 광량 변화가 도시되었다. 도 24의 (a)와 (b)에는 상대적으로 크고 긴 알약이 토출되는 경우의 광량 변화와 가로축을 확대한 경우의 광량 변화가 도시되었다.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서 검출될 경우,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은 알약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42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광량으로 수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로, 도 26에는 알약이 토출될 때 초당 50개의 샘플링을 수행한 결과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샘플링 시간(time interval, 1=20mSec) 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샘플링 값을 나타낸다. 
알약 토출 센싱 원리는 다음과 같다. 발광부(410)에서 광을 송출하고, 수광 부(420)에서는 광 검출 소자를 이용하여 통과된 빛의 양을 검출한다. 수광부(420)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값을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변환하여 샘플링(Sampling) 값을 얻고 샘플링 값을 이용하여 알약이 통과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3은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알약이 토출 될 때 초당 50개의 샘플링을 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알약이 하우징 입구에서 걸린 상태에서는,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은 수광부(410)에 상대적으로 작게 검출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세우면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은 수광부(420)에 그대로 수광되므로, 수광부(420)에 수광된 광량은 상대적으로 다시 높아지게 된다.
가로축은 샘플링 시간(time interval, 1=20mSec)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샘플링 값을 나타낸다. 모션센서의 값을 이용하여 다시 들어갈 경우를 체크(z축 값을 이용)한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고 납작한 알약이 용기 입구에서 걸린 상태에서는,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은 수광부(410)에 상대적으로 작게 검출되고 이러한 상태가 소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바, 이를 토대로 알약이 토출 과정에서 통과 장치(100)에 걸린 상태가 됨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알약을 토출시키기 위해 하우징(110)을 다시 기울여 알약이 토출되면,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은 알약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42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광량으로 수광되게 된다.
하우징(110)을 기울였을 때 상대적으로 크고 긴 알약이 하우징 입구의 통과 장치에서 걸린 후 하우징을 다시 세움에 따라 하우징 내부로 다시 진입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상대적으로 크고 긴 알약이 용기 입구에서 걸린 상태에서는,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은 수광부(410)에 상대적으로 작게 검출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하우징(110)을 세우면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은 수광부(420)에 그대로 수광되므로, 수광부(420)에 수광된 광량은 상대적으로 다시 높아지게 된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크고 긴 알약이 하우징(110) 입구에서 걸린 상태에서는,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은 수광부(410)에 상대적으로 작게 검출되고 이러한 상태가 소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바, 이를 토대로 알약이 토출 과정에서 통과 장치(100)에 걸린 상태가 됨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알약을 토출시키기 위해 하우징(110)을 다시 기울여 알약이 토출되면, 발광부(410)에서 방출된 광은 알약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420)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광량으로 수광되게 된다.
가로축은 샘플링 시간(time interval, 1=20mSec)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샘플링 값을 나타낸다. 모션센서의 값을 이용하여 다시 들어갈 경우를 체크(z축 값을 이용) 한다.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통과 장치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먼저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를 제어하여 광을 방출시킨다(S400).
발광부(410)에 의해 방출된 광은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내용물(5)에 의해 부분 또는 전체가 차단되고 그 결과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 광량은 내용물(5)의 토출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이에, 센싱 제어부(430)는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10), 판단 결과 발광부(410)로부터 방출된 광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되면, 수광부(420)에 의해 수광된 광량이 설정 광량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단계(S420)에서의 판단 결과 광량이 설정 광량 이하이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고(S430), 반면에 광량이 설정 광량을 초과하면 센싱 제어부(430)는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440).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센싱 제어부(430)는 수광부(420)에 의해 광량이 설정 광량 이상인 상태가 된 후,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센싱 제어부(430)는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고, 반면에 기울기 센서(530)에 의해 감지된 하우징(110)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를 벗어난 상태에서, 광량이 설정 광량 미만인 상태가 되면 내용물(5)이 토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과 장치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통과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부는 거리 센서, 속도 센서, 자기 센서, 비전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회전 센서, 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초음파 센서, 온도 센서, 터치 센서, 경사도 센서, 하중 센서, 압력 센서, 텐션 센서, 진동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510)는 송신부(460)와 수신부(470)의 송수신 매체를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어 기구가 운동하는 통과 운동부(140)에 접촉하지 않고 내용물(5)의 통과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측정하거나, 통과 장치의 회전 또는 운동 여부를 통과 운동부(140)와 접촉하여 통과 운동부(140)의 물리적 회전 작동을 감지하는 것도 포함한다할 것이다.
게다가, 기울기 센서(530)가 설정 기울기 이상이 되면, 센싱 제어부(430)가 센서부(510)를 제어하여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데 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복약 안내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안내 단말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32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를 갖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통신 시스템이며, 도 34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통신 작동도이다.
도 28 내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센서 모듈(500), 복약 안내 단말(600) 및 복약 관리 서버(700)를 포함한다.
센서 모듈(500)은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배출되는 내용물(5)을 감지한다. 센서 모듈(500)에서, 내용물(5)의 토출을 감지하는 방식은 상기한 실시예에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센서 모듈(500)의 센싱 제어부(430)은 내용물(5)이 감지되고 그 감지 결과에 따라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센싱 제어부(430)는 내용물(5)의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상태 정보를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복약 상태 정보에는 내용물(5)의 정보, 내용물(5)의 감지 여부 및 내용물(5)을 감지한 감지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된다. 내용물(5)의 정보는 센싱 제어부(430) 등에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내용물(5)의 감지 여부 및 감지 시간은 센서부(510)의 내용물(5)의 감지 여부에 따라 실시간으로 검출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복약 안내 단말(600)은 센서 모듈(500)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전달받으며, 이 복약 스케줄 정보와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복약 관리 정보를 출력한다.
복약 스케줄 정보에는 내용물(5)의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5)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이러한 복약 스케줄 정보는 의사 또는 약사 등의 처방전을 바탕으로 복약 관리 서버(70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약 안내 단말(600)은 스마트 단말, 컴퓨터, 노트북, 고정 단말,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고정 단말로는 복약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복약 안내 단말(600)은 입력부(610), 출력부(620) 및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입력부(61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 및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61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 및 제어명령에는 사용자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 메뉴 설정 명령 등과 같이, 복약 안내 단말(600)의 이용과 동작 및 설정에 대한 정보와 제어명령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610)로는 기계식 버튼이나 터치스크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출력부(620)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각종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정보에는 복약 상태 정보, 복약 스케줄 정보, 복약 관리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620)는 영상 또는 음성을 통해 내용물(5)의 오복용을 경고한다.
이러한 출력부(620)는 상기한 정보 또는 경고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각각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음성 출력부를 모두 포함한다.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센서 모듈(500)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를 전달받고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전달받아 복약 스케줄 정보와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관리 정보를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센서 모듈(500)로부터 복약 상태 정보가 전달되고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줄 정보가 전달되면, 복약 상태 정보와 복약 스케줄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이 경우,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내용물의 오복용을 출력부(620)를 통해 경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복용에는 내용물(5)을 정해진 용량을 복용하지 않는 것, 내용물(5)을 정해진 복약 시간에 복약하지 않는 것, 내용물(5)을 복약하지 않는 것 등과 같이 내용물(5)을 복용하지 않거나 정해진 처방전에 따라 복약하지 않는 것이 모두 포함된다.
한편, 복약 상태 정보에는 내용물(5)의 정보, 내용물(5)의 감지 여부 및 내용물(5)을 감지한 감지 시간 정보가 포함되고, 복약 스케줄 정보는 내용물(5)의 정보, 복약 시각, 복약 간격 및 내용물(5)별 복약량이 포함되는 바,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이들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내용물(5)에 대한 오복용 여부를 체크하고, 내용물(5)을 정확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사용자가 복약 시간에 내용물(5)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약 시간에 내용물(5)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하고,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줄 정보가 전달되면, 복약 시각 및 복약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내용물(5)의 정보 및 내용물(5)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시간 또는 복약 간격을 체크하여 사용자가 내용물(5)을 복약할 복약 시간이 도래하면, 출력부(620)를 통해 복약하여야할 내용물(5)의 정보 및 해당 내용물(5)의 복약량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내용물(5)을 정확한 시간에 정량 복약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약 상태 정보를 센서 모듈(500)로부터 전달받으면 이 복약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복약 이력 정보에는 복약한 날짜와 시간, 내용물(5) 및 복용량 등이 포함된다.
이후,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입력부(610)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복약 이력 정보, 예를 들어 복약한 날짜와 시간, 내용물(5) 및 복용량 등을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복약한 시간과 내용물(5) 및 복용량 등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복약 관리 서버(700)는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복약 스케줄 정보를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이러한 복약 관리 서버(700)는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 복약 스케줄 정보 생성부(720), 및 제어 서버(730)를 포함한다.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는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별로 처방전 정보를 수집한다.
복약 스케줄 정보 생성부(720)는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에 의해 수집된 처방전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별로 복약 스케줄 정보를 생성 및 갱신한다.
제어 서버(730)는 처방전 정보 수집부(710)를 제어하여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처방전 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제어 서버(730)는 복약 스케줄 정보 생성부(720)를 제어하여 복약 스케줄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복약 스케줄 정보가 생성되면, 제어 서버(730)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고, 이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연락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사용자의 복약 안내 단말(600)로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복약 관리 서버(700)의 제어 서버(730)는 처방전 수집부를 이용하여 의사 또는 약사 등의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별로 처방전 정보를 수집한다.
처방전 정보가 수집되면, 제어 서버(730)는 복약 스케줄 정보 생성부(720)를 제어하여 처방전 정보를 통해 복약 스케줄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고, 복약 스케줄 정보 생성부(720)에 의해 복약 스케줄 정보가 생성되면 생성된 사용자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S510).
아울러, 복약 스케줄 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제어 서버(730)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고, 이 사용자 정보 중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복약 안내 단말(600)로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전달한다(S520).
복약 스케줄 정보가 전달되면, 복약 안내 단말(600)은 해당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저장하고(S530), 센서 모듈(500)로부터 전달받은 복약 상태 정보 및 복약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관리 과정을 수행한다(S540).
먼저 복약 안내 단말(600)의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전달받으면, 이 복약 스케줄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이 복약 스케줄 정보의 복약 시간을 체크(S610)하고, 현재 시간이 복약 시간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현재 시간이 복약 시간과 일치하면,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시간에 따라 복약 안내 정보, 예를 들어 내용물(5)의 정보 및 내용물(5)별 복약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S62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약 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인지하게 되고, 내용물(5)의 정보와 내용물별 복약량을 참고하여 복약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내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내용물 이동 기구(1)를 기울이게 되고, 이로 인해 내용물(5)이 통과작동부(120)에 의해 토출된다.
이때, 센싱 제어부(430)는 센서부(510)를 통해 내용물(5)이 토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센싱 제어부(430)는 내용물(5)의 토출 여부를 기반으로 복약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상태 정보를 복약 안내 단말(600)로 전달한다.
한편,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센싱 제어부(430)로부터 전달되는 복약 상태 정보를 계속 수집하고(S630), 이 복약 상태 정보와 복약 관리 서버(700)로부터 전달받은 복약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관리 정보를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한다.
즉,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복약 상태 정보와 복약 스케줄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복약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출력하는데, 사용자가 내용물(5)을 정해진 용량을 복용하지 않거나, 내용물(5)을 정해진 복약 시간에 복약하지 않거나, 내용물(5)을 복약하지 않는 등의 오복용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를 출력한다(S640,S650).
아울러,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6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약 상태 정보를 센서 단말)로부터 전달받으면 이 복약 상태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이 복약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센싱 모듈(500)은, 감지 또는 측정한 데이터 또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감각 방법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표시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800)는 숫자, 문자, 기호, 점자, 발광, 점등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센싱 제어부(430)는 사용자가 복약 시간에 내용물(5)을 복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약 시간에 내용물(5)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하고,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해진 복용량을 복약하도록 안내하는 문자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싱 제어부(430)은 내용물이 통과한 수량, 일자, 요일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센싱 제어부(430)는 감지 또는 측정한 데이터 또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이 통과작동부(120)를 통과하였는지의 여부를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감각 방법으로 인지 가능하도록 표시부(800)를 통해 표시한다. 표시부(800)는 숫자, 문자, 기호, 점자, 발광, 점등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센싱 제어부(430)는 내용물이 일정 기간 또는 시간에 정해진 양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내용물이 정해진 양을 초과하여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내용물 이동 작동을 제한할 수도 있다.
내용물이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시 내용물의 통과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500)을 포함하고, 센서 모듈(500)을 통해 감지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 또는 판단된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과 함께 통과 시점의 일자, 요일,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표시부(800)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800)의 표시는 LCD 또는 LED를 이용한 숫자, 문자, 기호,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센싱 제어부(430)는 감지 또는 측정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500)는 감지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을 판단하고, 판단된 내용물의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 또는 판단된 통과 여부 또는 통과 수량과 함께 통과 시점의 일자, 요일,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근접 또는 원격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제어부(430)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내용물을 감지하여 지정된 양의 내용물이 통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더 이상의 내용물이 통과 장치를 통과하지 않도록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는 통과 장치에 구비되어, 내용물 통과수단(123)의 운동을 막거나 통과작동부(120) 내에서의 내용물의 이동 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내용물 통과수단(123) 운동의 막음은, 내용물 통과 수단의 운동 부위를 접촉 저항하여 이루어지고, 통과작동부(120) 내에서의 이동 경로의 차단은, 내용물의 통과 진입측과 통과 배출측에 구비되는 통과 통로부에서 내용물을 차단하거나 저항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부는, 침해 환자의 복용 제한이 필요한 복용 약이나 정상인의 섭취 제한이 필요한 식품 같이 통제가 필요한 경우, 지정된 시간 또는 상황 종료 이전에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표면 또는 내용물의 내부에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여,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한 내용물 또는 내용물 통과수단(123)을 통과하지 않은 내용물의 표시를 관찰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도로서, ①정량 토출 스마트 약제 디스펜서를 통해 사용자가 처방약을 복용시, 약을 복용하는 환자가 약제 용기를 기울이는 동작만으로 용기의 내용물을 정량만큼만 통과시킴으로써 알약형태의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한 번에 한 알씩 토출시켜 간편하고, 위생적이며, 내용물의 변질을 예방하는 기능과 함께, ②디스펜서에 부착된 약제 토출 센서를 통한 센싱 데이터 수집이 가능함에 따라, 디스펜서에 약제 토출을 체크하는 센서 부착을 통해 환자의 체계적인 복약관리를 위한 약제 디스펜서를 개발하고, ③센싱된 데이터의 통신 모듈 기반 사용자의 스마트폰 및 컴퓨터 등으로 1차 수집을 한 후, ④1차 정보를 데이터 및 응용프로그램 서버로 2차 정보로 가공하여 관련자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⑤관련 기관에서 복약 정보 데이터를 분석 후 복약 지도 사항을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원격 복약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복약 관리를 위해 약제 토출 체크 센서를 부착할 수 있다. 환자의 의무사항인 복약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약제 토출체크 센서 및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이용한 통신 장비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원가 절감과 제작 효율성을 위해 일체형 센서 및 통신 일체형 장치를 설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질병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의료행위의 주체인 의료진(의사, 약사) 뿐만 아니라 의료서비스 이용자인 환자 또한 의료 행위에 대한 환자의 의무에 대한 적극적인 이행이 필요하며 이는 본 실시예와 같이 원격 복약 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다.
약제 디스펜서에 부착된 센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또는 원보드 컴퓨터를 이용한 특화장비를 이용하여 1차 수집할 수 있다. 1차 수집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 수집된 2차 정보를 가공하여 의사, 약사, 의료보험공단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특화장비는 환자에게 복약 의무사항을 고지하며, 투약시기 및 투약양을 지속적으로 고지 및 미 복약 시 지속적인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없는 고령자등의 환자를 위하여 블루투스와 와이파이(Wifi)가 내장된 원보드 컴퓨터(예: Raspberry Pi)를 이용한 특화 장비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복약 데이터 관리 기술 적용을 보인 흐름도로서, m1과 같이 약제 토출장비 부착 스마트 약제 디스펜서는 토출기, 센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 m1은 m2-1(이동형 장비: 스마트폰) 또는 m2-2(고정형 장비: 원보드 컴퓨터)와 c1(블루투스 통신)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m2-1과 m2-2는 m3(서버)와 c2(네트웍망)로 통신할 수 있다.
m3는 Ex1(관련기관 서버)와 c3(open-api 또는 EAI로 연결)로 통신한다. 여기서 c1은 토출량 송신 및 Error 또는 confirm 신호 전달를 전달한다. c2는 m2가 토출량을 m3로 송신 및 m3가 복약 관리 내용을 m2로 송신하게 된다. c3는 m3가 토출량 통계를 Ex1으로 송신 및 Ex1이 복약 관리 내용을 m3로 송신할 수 있다. c3 통신은 open api 또는 이기종 DB 연결 프로토콜인 EAI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한 제 5 내지 제 9실시예는 제1 내지 제 4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 5 내지 제 9실시예가 제 1 내지 제 4실시예의 기계적 구조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36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복약 관리 장치는 용기(11), 디스펜서(20), 관리 단말(30) 및 관리 서버(40)를 포함한다.
제 1실시예 내지 제 4실시예의 하우징(110)은 내용물을 담는 것으로써, 덮개를 포함한다.
내용물은 고형물, 분말 또는 액상 등과 같이 통과 가능한 것으로 한다.
하우징(11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용기를 담는다. 용기의 상부에는 디스펜서(20)가 설치된다. 디스펜서(20)는 하우징(110) 또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기 설정된 양만큼씩 정량 토출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덮개는 하우징(110) 또는 용기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디스펜서(20)를 보호한다.
디스펜서(20)는 하우징(110) 또는 용기 내부에 있는 내용물의 토출을 관리한다.
디스펜서(20)는 용기에 설치되어 용기(11) 내부에 있는 내용물을 기 설정된 복약시간에 기 설정된 양만큼만 정량 토출시켜 사용자의 정시복약 및 정량복약을 유도한다.
디스펜서(20)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은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내용물이 고형물일 경우 1회 작동시 1개의 내용물만을 토출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디스펜서(20)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면서 내용물이 실제로 토출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복약정보를 생성하고, 이러한 복약정보를 관리 단말(30) 또는 관리 서버(40)에 전달한다. 디스펜서(20)는 복약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복약 스케쥴 정보에 따라 복약하는지를 관리한다. 이때, 디스펜서(20)는 사용자의 정시복약 및 정량 복약을 위해 설정된 작동 시나리오에 따라 복약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디스펜서(20)는 통과부(21), 센서부(22), 차단부(23), 복약 제어부(24), 디스펜서 출력부(25) 및 제습부(26)를 포함한다.
통과부(21)는 하우징(110)의 용기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용기 외부로 기 설정된 양만큼씩 정량 토출시킨다. 즉, 통과부(21)는 내용물을 정량(定量) 또는 수요량(需要量)만큼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량은 동일 개수나 양, 및 오차, 허용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르게 이동되는 양이나 개수를 의미한다. 수요량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양(개수)으로서 정량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통과부(21)는 밸브부 및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2)는 실제 통과되는 내용물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22)는 광이나 전파 등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감지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차단부(23)는 통과부(21)를 통해 통과되는 내용물의 통과시간을 토대로 통과부(211)의 작동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차단부(23)는 이전에 내용물이 통과된 시간으로부터 복약 간격이 경과하기 전에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용기가 기울어지거나, 또는 기 복약시간이 도래하기 전에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용기가 기울어지면, 통과부(21)의 작동을 차단한다.
차단부(23)로는 밸브부의 회전을 차단하는 힌지나 피봇이 채용되거나, 개방부재 또는 막음부재의 회전을 차단하는 록킹부재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록킹부재는 모터의 구동이나 전기자석 등을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23)는 내부에 용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용기의 기울기가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을 정도의 각도 이상이 되면 통과부(21)의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부(23)가 복약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정량 복약 또는 정시 복약을 유도하고, 사용자의 과다 복용이나 중독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한다.
디스펜서 출력부(25)는 사용자의 정시 복약 및 정량 복약을 위한 복약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복약 안내 정보에는 복약시간과 복약량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디스펜서 출력부(25)는 사용자의 정시 및 정량 복약을 위해 기 설정된 작동 시나리오에 따라 복약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써, 현재 시간이 복약시간이 되면 사용자에게 복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영상 또는 음성으로 안내한다.
디스펜서 출력부(25)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디스플레이 기기가 채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 출력부(25)가 LED일 경우, LED는 복약시간이 도래하면 녹색등을 점멸시키고, 복약시간이 경과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내용물이 센서부(22)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면 적색등을 점멸시킨다. 이후 내용물이 센서부(22)에 의해 감지되면 1회 또는 복수 회 점멸을 반복한 후, 소등한다. 반면에, 디스펜서 출력부(25)는 복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점멸간격을 조절하여 안내할 수도 있다.
디스펜서 출력부(25)가 디스플레이 기기일 경우, 디스플레이 기기는 복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영상이나 문자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더욱이, 디스펜서 출력부(25)는 용기(11) 내부에 있는 내용물의 잔량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 출력부(25)는 용기 외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복약 안내 정보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복약 제어부(24)는 센서부(22)에 의해 내용물(50)의 감지 여부를 토대로 감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감지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복약을 관리한다.
먼저, 복약 제어부(24)는 사용자 이름, 복약시간과 복약 회수 등의 복약 스케쥴 정보를 사전에 저장하고, 이러한 복약 스케쥴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복약시간과 복약 횟수를 지킬 수 있도록 관리한다.
복약 제어부(24)는 센서부(22)에 의해 내용물이 감지되면 내용물을 감지한 감지시간과 내용물을 감지한 감지횟수를 누적 저장하고, 이러한 감지시간 및 감지 횟수를 토대로 복약정보를 생성한다. 복약정보에는 복약시간 및 복약횟수가 포함될 수 있다.
복약 제어부(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약정보가 생성되면, 이 복약 정보를 관리 단말(30) 또는 관리 서버(40)에 통신망을 통해 전달한다. 복약시간과 복약횟수를 관리 단말(30) 또는 관리 서버(40)에 전달할 경우, 복약 제어부(24)와 관리 단말(30), 또는 복약 제어부(24)와 관리 서버(40) 간에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복약 제어부(24)는 복수 개의 복약정보를 일괄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약 제어부(24)는 복약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으나, 통신 상태 등에 따라 일괄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통신망으로는 블루투스, Wifi, 무선 인터넷, LTE(Term Evolution) 등 다양한 통신망이 채용될 수 있다.
복약 제어부(24)는 디스펜서 출력부(25)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정시 복약 및 정량 복약을 위한 복약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즉, 복약 제어부(24)는 사용자의 정시 및 정량 복약을 위해 기 설정된 작동 시나리오에 따라 복약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데, 현재 시간이 복약시간이 되면 디스펜서 출력부(25)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복약시간이 도래하였음을 영상 또는 음성으로 안내하며, 용기 내부에 있는 내용물의 잔량을 출력할 수도 있다.
게다가, 복약 제어부(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부(23)가 작동하면, 보호자 단말(미도시)에 비정상적인 복약 시도가 있었음을 전달하거나, 복약 스케쥴 정보에 따라 차단부(23)를 제어하여 복약 스케쥴 정보에 따라 복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복약 제어부(24)는 현재 시간이 복약 시간에 포함되면 차단부(23)를 해제하여 사용자가 복약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재 시간이 복약 시간에 포함되지 않으면 해당 차단부(23)를 제어하여 밸브부의 작동을 차단하여 사용자가 복약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복약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 단말(30)은 디스펜서(20)의 작동에 따른 내용물의 토출 여부를 토대로 복약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약 정보를 관리 서버(40)에 전달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내용물 이동 기구 30: 커버
40: 주둥이부재 42: 채널
102: 밀폐부 105: 상부밀폐캡
106: 인출홀 107: 하부밀폐캡
100: 통과 장치 110: 하우징
120: 통과작동부 121: 고정부재
122: 개방부 123: 내용물 통과수단
123a: 운동제어부재 123b: 평형부
124: 개방부재 125: 운동부재
127: 막음부재 127b: 막음부재 절곡부
129: 스토퍼 133: 운동방지부재
135: 마개 137: 이탈방지홈
139: 통과 통로부 200: 단속개폐부
140: 통과 운동부 180: 이동안내부
182: 저항상판부재 183: 저항측판부재
300: 접촉부 410: 발광부
420: 수광부 430: 센싱 제어부
500: 센서 모듈 또는 감지부
510: 센서부 520: 센싱 제어부
530: 기울기 센서600: 복약 안내 단말
610: 입력부 620: 출력부
630: 복약 안내 단말 제어부
700: 복약 관리 서버 710: 처방전 정보 수집부
720: 복약 스케쥴 정보 생성부
730: 제어 서버

Claims (24)

  1. 내용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개방부가 형성되는 통과작동부;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운동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을 위한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는 개방부재와 상기 개방부를 막는 막음부재를 가지고, 상기 개방부의 내측면에 해당하는 고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하우징을 기울이는 동작에 의해 상기 개방부가 개방되는, 통과운동부;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 작동시, 상기 개방부를 통해 개방되는 상기 내용물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는 주둥이부재; 및
    상기 주둥이부재에 출입 가능하게 축 삽입되고, 하측이 상기 개방부재의 불필요한 운동을 막아 임의적으로 상기 내용물이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운동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방지부재가 상기 주둥이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개방부재는 상기 운동방지부재에 걸려 회전되지 않게 되어, 내용물은 상기 하우징이 기울어지더라도 인출되지 않고,
    상기 운동방지부재가 상기 주둥이부재로부터 제거된 경우, 하우징이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하우징에 저장된 내용물은 통과작동부와 주둥이부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2. 내용물을 수용하는 하우징;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회전 운동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을 위한 개방부를 개방하는 개방부재와 상기 개방부를 막는 막음부재를 갖는 통과운동부;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 작동시, 상기 개방부를 통해 개방되는 상기 내용물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는 주둥이부재; 및
    상기 주둥이부재의 상기 내용물 이동 안내용 채널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내용물이 상기 채널을 통해 임의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속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개폐부는 슬라이드홀부 및 단속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속판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홀부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주둥이부재의 채널을 막거나 개방하고,
    상기 통과운동부는 내용물의 중력 작용에 의한 운동에 대응하여 운동하며,
    상기 단속판부재가 주둥이부재의 채널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이 기울어지면, 상기 개방부재는 단속판부재에 걸려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지 못하고,
    상기 단속판부재가 상기 채널을 개방한 후 하우징이 기울어질 경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은 주둥이부재를 통해 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3. 내용물이 통과되도록 운동되고, 상기 내용물을 토출을 위한 개방부를 개방하는 개방부재와 상기 개방부를 막는 막음부재를 갖는 통과운동부;
    상기 개방부재의 개방 작동시, 상기 개방부를 통해 개방되는 상기 내용물의 직진 이송을 안내하는 주둥이부재;
    상기 개방부재에 구비되어 토출되려는 시점의 상기 내용물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주둥이부재에 구비되어 인체가 접한 상태를 감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상기 감지부와 상기 접촉부가 함께 대응되는 대상물을 감지시, 상기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운동부는 설정량을 초과하는 내용물의 통과를 방해하는 막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통과운동부의 회동 운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수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방출된 후 상기 수광부에 의해 수신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통과운동부의 회동 운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센싱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통과운동부의 회동 운동에 의해 토출되는 내용물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수신부 및 센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내용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내용물의 기간별 누적 토출량을 계산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내용물 정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계산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내용물 정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계산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내용물의 기간별 누적 토출량이 기간별 설정량을 초과하거나 부족한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제어부는 내용물에 의해 반사된 광의 수신이 중단되면 상기 통과운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복약 관리 장치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싱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용기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설정 기울기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통과운동부에 의해 내용물이 토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정량의 내용물이 상기 개방부재에 접촉하면, 상기 개방부재와 막음부재는 연동되어 회전하여, 개방부재는 열린 상태가 되고 막음부재는 닫힌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방지부재는 상기 주둥이부재의 채널에 출입 가능하게 축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방지부재를 상기 주둥이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운동방지부재는 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운동방지부재가 상기 주둥이부재의 채널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상기 마개는 주둥이부재의 상부를 막아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약 관리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90024934A 2019-03-04 2019-03-04 복약 관리 장치 KR102157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34A KR102157435B1 (ko) 2019-03-04 2019-03-04 복약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934A KR102157435B1 (ko) 2019-03-04 2019-03-04 복약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10A KR20200106410A (ko) 2020-09-14
KR102157435B1 true KR102157435B1 (ko) 2020-09-17

Family

ID=7247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934A KR102157435B1 (ko) 2019-03-04 2019-03-04 복약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716A (ko) 2018-06-22 2021-03-03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장용성 경질 캡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4618A (zh) * 2017-07-19 2020-03-31 朴序晙 通过装置及服药管理装置
WO2024062294A1 (en) * 2022-09-19 2024-03-28 Voithy Tech Ltd. A smart organizer system
KR102605946B1 (ko) 2022-10-13 2023-11-2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235B1 (en) * 1999-07-07 2001-03-27 Daniel Green Candy dispenser
JP2018511540A (ja) 2015-02-26 2018-04-26 パク、ソジュン 通過装置、バルブ、これらを具備する収容器具、および内容物移動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0157A (ko) * 2016-07-20 2018-01-30 박서준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KR102241567B1 (ko) * 2017-07-19 2021-04-19 박경도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6235B1 (en) * 1999-07-07 2001-03-27 Daniel Green Candy dispenser
JP2018511540A (ja) 2015-02-26 2018-04-26 パク、ソジュン 通過装置、バルブ、これらを具備する収容器具、および内容物移動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716A (ko) 2018-06-22 2021-03-03 쿠오리카프스 가부시키가이샤 장용성 경질 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10A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435B1 (ko) 복약 관리 장치
EP3656368B1 (en) Passage device and medication dose management device
KR102241567B1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CN108602610B (zh) 通过装置、阀、具备其的容纳器具、内容物移动器具及内容物器具
KR20190125271A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US10071022B2 (en) Storage containers for pharmaceutical dispenser
RU2738578C2 (ru) Системы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пособы
JP6873386B2 (ja) 分注器およびその使用の方法
US20140114471A1 (en) Medicine-taking management apparatus
TW201737136A (zh) 保健追踪服務
US20190070075A1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Medicament Dispenser
CN215994875U (zh) 分药机器人
EP2722828A1 (en) Dispensing box for drug-containing ampoule
KR101171860B1 (ko) 약제 배출장치
KR102112757B1 (ko) 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6375A (ko) 복약 관리 장치
KR20170091497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내용물 기구 및 복약 관리 장치
TWI675785B (zh) 分配裝置及內容物移動設備
KR20180009995A (ko) 복약 관리 장치
KR20180010164A (ko) 통과 장치 및 복약 관리 장치
US202102367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a controlled medical therapy device
KR20220096320A (ko) 스마트 약통이 구비된 무선인터넷 와이파이 허브 시스템
KR20240005793A (ko) 제어 의료 치료 장치의 사용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