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095A -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095A
KR20230112095A KR1020230090326A KR20230090326A KR20230112095A KR 20230112095 A KR20230112095 A KR 20230112095A KR 1020230090326 A KR1020230090326 A KR 1020230090326A KR 20230090326 A KR20230090326 A KR 20230090326A KR 20230112095 A KR20230112095 A KR 20230112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weight
heat insulating
parts
insulat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765B1 (ko
Inventor
김성무
김효명
김효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델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델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델켐
Priority to KR102023009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765B1/ko
Publication of KR20230112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2Poly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2Polysilic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또는 콜로이달 실리카을 교반하고, 산 성분을 혼합하고, 실란 화합물을 혼합하여 반응하여 얻어지는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METHOD FOR MAKING ENVIROMENTAL HEAT INSULATING RESIN}
본 발명은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또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교반하고, 산 성분을 혼합하고, 실란 화합물을 혼합하여 반응하여 얻어지는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연성 단열재의 화재 발생으로 인하여 유독가스 발생과 화상으로 인하여 많은 인원과 재산의 피해를 반복하고 있어서 불연성과 유독가스를 발생되지 않는 단열재의 필요성이 증폭되고 있다.
최근 불연성과 유독가스를 극복하기 위하여 무기 화학물을 이용한 글라스울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불연성은 우수하나 이동하거나 사용 시에 가루가 발생되어 인체에 흡수되어 축적되는 호흡기 질환을 불러 일으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경제성과 불연 성능이 있는 액상 알칼리 실리케이트를 사용하여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액상 알칼리 실리케이트 자체가 내수력이 취약하여 발포 후 단열재를 생산했을 때 흡수성이 약하며 내후성이 떨어져 산업화에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알칼리 실리케이트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내수성 무기수지 제품을 활용하여 발포 제품의 산업화를 위하여 균일성과 내수력을 부여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Sodium silicate solution)은 무기 화합물이므로 내열성이 좋고 내화성은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내수력이 취약하여 단열재나 단열 코팅제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는 내수력은 우수하나 가루로 형성되어 피막을 형성할 수 없어 단열 코팅제와 단열재 재료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반응물에 내수성과 피막형성을 부여하면서도 불연, 준불연 단열 발포제의 원료와 단열 코팅제의 바인더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741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655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490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2121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64913호
본 발명은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콜로이달 실리카가 갖는 수산화기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메톡시실란의 메톡시기의 반응에 의한 망상 구조가 형성하여 단열 수지의 내수력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반응물에서 생성된 알콜로 인하여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의 알콜 탈수반응으로 내수력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과 산이 반응하여 나트륨염을 석출시킴으로 내수력을 증가시키는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은,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콜로이달 실리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의 A 성분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 40℃ 내지 45℃에서 교반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의 혼합물에 붕산(bor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플루오르화 암모늄(ammonium fluoride)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B성분을 혼합하고 30분 내지 90분 동안 반응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혼합물에 실란화합물의 C성분을 혼합하고, 40℃ 내지 4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반응물을 여과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의 A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단계의 B성분 2.5중량부 내지 7.5중량부, 상기 제3 단계의 C성분 1중량부 내지 60중량부를 사용한다.
상기 제3 단계에서 실란 화합물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테트라메톡시실란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A 성분은 콜로이달 실리카이며, 상기 B 성분은 아세트산이며, 상기 C 성분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3 단계에서 실란 화합물의 C성분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C 성분을 30분 내지 60분 동안 동일한 양을 일정 주기로 드랍(drop)하고,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키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4 단계의 여과된 반응물을 100℃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건조된 피막을 50℃의 온수에 1시간 침전시켰을 때, 건조된 피막에 대하여 남아있는 고형물의 비율을 내수력으로 정의하면, 상기 내수력은 100%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4 단계의 여과된 반응물을 단열 발포제, 단열 코팅제, 내화 도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물에 내수성과 피막형성을 부여하면서도 불연, 준불연 단열 발포제의 원료와 단열 코팅제의 바인더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하기에 나타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은,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콜로이달 실리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의 A 성분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 40℃ 내지 45℃에서 교반하는 제1 단계(S10); 상기 제1 단계의 혼합물에 붕산(bor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플루오르화 암모늄(ammonium fluoride)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B성분을 혼합하고 30분 내지 90분 동안 반응시키는 제2 단계(S20); 상기 제2 단계의 혼합물에 실란화합물의 C성분을 혼합하고, 40℃ 내지 4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제3 단계(S30); 상기 제3 단계의 반응물을 여과하는 제4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에서 교반하는 단계(S10)는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Sodium silicate solution),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혼합물의 A 성분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 40℃ 내지 45℃에서 교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로이달 실리카의 표면은 실록산 결합(≡Si-O-Si≡)과 실라놀기(≡Si-OH)로 덮여 있고, 이는 콜로이달 실리카를 매우 친수성으로 만들고 많은 수소 결합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은 Na2O(SiO2)x·xH2O(여기서, x는 0.1 내지 5)으로 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A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 내지 5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a 원자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 화학식 2의 화합물,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사용하게 되면, 제2 단계의 산 성분과 반응하여 Na 성분은 석출되어 단열 수지의 내수력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2 단계(S20)에서 붕산(boric acid), 아세트산(acetic acid), 인산(phosphoric acid), 플루오르화 암모늄(ammonium fluoride)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B성분을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는, 40℃ 내지 45℃에서 30분 내지 90분 동안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에서 45분 내지 60분 동안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B 성분은 옥살릭 산(oxalic acid), 말로닉 산(malonic acid), 석시닉 산(succinic acid), 니트릴로트리아세틱 산(nitrilotriacetic acid), 이미노디아세틱 산(iminodiacetic acids)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에서 실란화합물의 C성분을 혼합하는 단계는, 40℃ 내지 45℃에서 C 성분을 30분 내지 60분 동안 동일한 양을 일정 주기로 드랍(drop)하고,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실란 화합물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테트라메톡시실란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 성분을 30분 내지 60분 동안 동일한 양을 일정 주기로 드랍하는 단계는, A 성분 100g 에 대하여 C 성분을 0.05g/min 내지 1g/min 의 속도로 드랍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g/min 내지 0.5g/min 의 속도로 드랍할 수 있다. 여기서, C 성분을 한번에 투입하지 않고, 일정 시간에 걸쳐 일정 양을 주입하여 반응시키는 것은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이나 콜로이달 실리카의 수산화기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테트라메톡시실란의 메톡시기가 충분한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시간을 주어 불필요한 응집물의 생성을 막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C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6 내지 8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민기를 갖는 알콕시실란 분자로 성분 A의 표면을 기능화할 수 있고,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메타크릴레이트기와 트리알콕시 그룹이 성분 A와의 결합 증진을 갖는다.
본 발명의 A성분, B성분, C성분은 특히 A 성분으로 콜로이달 실리케이트, B 성분으로 아세트산, C 성분으로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내수성을 향상하는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세트산은 붕산, 인산, 플루오르화 암모늄에 비하여 반응후에 내수력을 더욱 향상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단계의 A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단계의 B성분 2.5중량부 내지 7.5중량부, 상기 제3 단계의 C성분 1중량부 내지 6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이나 콜로이달 실리카의 수산화기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테트라메톡시실란의 메톡시기가 충분한 반응을 얻는 관점에서 제1 단계의 A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단계의 B성분 2.5중량부 내지 3.5중량부, 상기 제3 단계의 C성분 30중량부 내지 6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단열 수지는, 단열 발포제, 단열 코팅제, 내화 도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내수력 테스트)
단열 수지의 내수력은 여과된 반응물을 100℃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건조된 피막을 50℃의 온수에 1시간 침전시켰을 때, 건조된 피막에 대하여 남아있는 고형물의 비율을 내수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수지를 성분 별로 내수력을 테스트하여 비교함으로써 단열 수지에서 내수력의 비교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내수력의 수치가 높을수록 내수성은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단열 수지의 내수력은 80%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실시예 1)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100g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 40℃ 내지 45℃에서 교반하고, 테트라메톡시실란 1g을 30분 동안 드랍하고, 40℃ 내지 45℃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여과하였다.
(실시예 2)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50g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에 교반하면서 콜로이달 실리카 50g을 추가로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 테트라메톡시실란 1g을 30분 동안 드랍하고, 40℃ 내지 45℃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여과하였다.
(실시예 3)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30g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에 교반하면서 콜로이달 실리카 70중량부를 추가로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 테트라메톡시실란 5g을 30분 동안 드랍하고, 40℃ 내지 45℃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여과하였다.
(실시예 4)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100g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 40℃ 내지 45℃에서 교반하고, 붕산 10g을 혼합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여과하였다.
(실시예 5)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50g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에 교반하면서 콜로이달 실리카 50중량부를 추가로 반응 용기에 투입하여 반응시킨 후, 붕산 5g을 혼합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여과하였다.
(실시예 6)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70g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에 교반하면서 콜로이달 실리카 30중량부를 추가로 반응 용기에 투입하여 반응시킨 후, 인산 2.5g을 혼합하여 1시간 동안 반응하고, 메틸트리메톡시실란 10g을 30분 동안 드랍하고, 40℃ 내지 45℃에서 4시간 반응시킨 후 여과하였다.
(비교예 1)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100g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에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여과하였다.
하기 표 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성분 및 조성비를 나타내고 있다.
성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A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100 50 30 100 50 70
콜로이달 실리카 50 70 50 30
B 붕산 10 5
아세트산
인산 2.5
C 메틸트리메톡시실란 1 1 10
테트라메톡시실란 5
상기 내수력 테스트는 여과된 반응물을 100℃에서 1시간 건조시킨 후, 건조된 피막을 50℃의 온수에 1시간 침전시켰을 때, 건조된 피막에 대하여 남아있는 고형물의 비율을 내수력으로 정의할 때,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에 대한 내수력을 테스트 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것처럼, 실시예 1에서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과 테트라메톡시실란을 반응시켰을 때 내수력은 32%였고, 실시예 2에서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 50g을 테트라메톡시실란과 반응시켰을 때 내수력은 58%였고, 실시예 3에서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를 테트라메톡시실란과 반응시켰을 때 내수력은 85%였고, 실시예 4에서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과 붕산을 반응시켰을 때 내수력은 65%였고, 실시예 5에서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를 붕산을 반응시켰을 때 내수력은 72%였고, 실시예 6에서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과 콜로이달 실리카를 인산과 반응시켰을 때 내수력은 82%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내수력 32% 58% 85% 65% 72% 82%
한편, 비교예 1에서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수력은 0%로 매우 낮은 값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

  1. 소듐 실리케이트 용액 70중량부, 콜로이달 실리카 30중량부 혼합물의 A 성분을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 40℃ 내지 45℃에서 교반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의 혼합물에 붕산(boric acid) 또는 인산(phosphoric acid)에서 선택된 1종의 B성분을 혼합하고 30분 내지 90분 동안 반응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의 혼합물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C성분을 혼합하고, 40℃ 내지 45℃에서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반응물을 여과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의 A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단계의 B성분 2.5중량부 내지 7.5중량부, 상기 제3 단계의 C성분 1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이고,
    상기 제3 단계에서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C성분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C 성분을 30분 내지 60분 동안 동일한 양을 일정 주기로 드랍(drop)하고,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의 여과된 반응물을 단열 발포제, 단열 코팅제, 내화 도료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KR1020230090326A 2021-09-16 2023-07-12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KR102623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0326A KR102623765B1 (ko) 2021-09-16 2023-07-12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047A KR20230040649A (ko) 2021-09-16 2021-09-16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KR1020230090326A KR102623765B1 (ko) 2021-09-16 2023-07-12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047A Division KR20230040649A (ko) 2021-09-16 2021-09-16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095A true KR20230112095A (ko) 2023-07-26
KR102623765B1 KR102623765B1 (ko) 2024-01-12

Family

ID=857992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047A KR20230040649A (ko) 2021-09-16 2021-09-16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KR1020230090326A KR102623765B1 (ko) 2021-09-16 2023-07-12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047A KR20230040649A (ko) 2021-09-16 2021-09-16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406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69337B (zh) * 2023-07-04 2024-02-09 佛山市顺德区荷叶化工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大型重型物流仓的无机地坪涂料及其制作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7410A (ko) 2008-10-01 2010-04-09 원승재 내수성 친환경 무기수지
KR100954903B1 (ko) 2007-11-19 2010-04-27 가부시키가이샤 티에스피 종이와 전분을 이용한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
KR20110046214A (ko) * 2009-10-28 2011-05-04 주식회사 젠트로 내수성이 우수한 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67578A (ko) * 2009-12-14 2011-06-22 김선권 환경 친화성 콘크리트 침투 방지 세라믹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6553B1 (ko) 2012-05-02 2013-02-22 주식회사 온새미 난연 발포단열재 제조방법
KR101964913B1 (ko) 2018-09-12 2019-04-02 신백범 보드형 발포단열재와 밀폐된 공기층을 이용한 복합단열재
KR102121210B1 (ko) 2019-11-14 2020-06-10 (주)하이코리아 실리콘 코팅 고무발포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7798B1 (ko) * 2020-06-16 2021-04-08 윤숙현 무기 세라믹 방열 코팅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903B1 (ko) 2007-11-19 2010-04-27 가부시키가이샤 티에스피 종이와 전분을 이용한 발포단열재의 제조방법
KR20100037410A (ko) 2008-10-01 2010-04-09 원승재 내수성 친환경 무기수지
KR20110046214A (ko) * 2009-10-28 2011-05-04 주식회사 젠트로 내수성이 우수한 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67578A (ko) * 2009-12-14 2011-06-22 김선권 환경 친화성 콘크리트 침투 방지 세라믹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6553B1 (ko) 2012-05-02 2013-02-22 주식회사 온새미 난연 발포단열재 제조방법
KR101964913B1 (ko) 2018-09-12 2019-04-02 신백범 보드형 발포단열재와 밀폐된 공기층을 이용한 복합단열재
KR102121210B1 (ko) 2019-11-14 2020-06-10 (주)하이코리아 실리콘 코팅 고무발포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7798B1 (ko) * 2020-06-16 2021-04-08 윤숙현 무기 세라믹 방열 코팅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765B1 (ko) 2024-01-12
KR20230040649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632B1 (ko) 스프레이 방식의 불연성 단열소재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코팅 방법
KR102623765B1 (ko) 친환경 단열 수지의 제조방법
KR102040964B1 (ko) 라돈 저감을 위한 실리카 에어로겔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2876045B (zh) 阻燃硅橡胶的制备工艺
JP7086266B2 (ja) シリカをベースとする成形断熱体を周囲圧力で疎水化する方法
CN103602073A (zh) 一种高阻燃防火硅酮密封胶及其制备方法
KR102113031B1 (ko) 에어로겔이 포함된 무기질 결로 방지 불연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에어로겔이 포함된 무기질 결로 방지 불연 도료 조성물
KR20130101902A (ko) 에어로겔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699188A (zh) 一种透明耐高温阻燃硅酮密封胶及制备方法
CN107936908A (zh) 硅酮密封胶
CN114958292A (zh) 一种防火密封胶及其制备方法
KR101967268B1 (ko) 바닥재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936902A (zh) 阻燃聚氨酯密封胶
CN107629190A (zh) 太阳能保温水箱用改性聚氨酯保温材料
KR101347725B1 (ko) 하이브리드 변성 실리케이트 바인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52700B1 (ko) 세라믹 도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세라믹 도료 조성물
KR100549774B1 (ko) 무기질 바이오 세라믹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US4174228A (en) Cementitious magnesia compositions containing salts of organo-silanols
KR101085557B1 (ko) 충전형 하이브리드 단열재 조성물 및 이에 의한 단열 벽체공법
KR20160097509A (ko) 내화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화도료의 도장 방법
KR20170078581A (ko) 내화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내화도료의 도장 방법
CN109914117B (zh) 一种阻燃皮革、制备方法及应用
KR101223679B1 (ko)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경량 기포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량 기포콘크리트 제품의 제조방법
KR101225500B1 (ko) 내수성이 우수한 상온 경화형 수용성 무기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51000B1 (ko) 무기단열재용 습기방지코팅제 조성물, 열전도도 안정성이 우수한 무기단열재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