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565A - 개스킷 배열체, 열 전달 플레이트, 키트 및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스킷 배열체, 열 전달 플레이트, 키트 및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565A
KR20230110565A KR1020237020741A KR20237020741A KR20230110565A KR 20230110565 A KR20230110565 A KR 20230110565A KR 1020237020741 A KR1020237020741 A KR 1020237020741A KR 20237020741 A KR20237020741 A KR 20237020741A KR 20230110565 A KR20230110565 A KR 20230110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attachment
transfer plate
gasket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드리크 브롬그렌
요한 닐손
맛스 올손
에밀 튀덴
페르 베네르셰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3011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083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10Arrangements for sealing the marg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개스킷 배열체(3, 97), 열 전달 플레이트(2, 96), 키트 및 조립체(1, 95)가 제공된다. 개스킷 배열체(3, 97)는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의 2개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9, 115)를 포함하고, 이 열 전달 플레이트(2, 96)는 각각 1개 초과의 포트홀(5-8, 99-110)을 포함한다. 개스킷 배열체는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에 개스킷 배열체(3, 97)를 부착하도록 배열되는 부착부(22, 23, 50-52, 73-77, 122)를 더 포함한다. 밀봉부(9, 115)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각각의 외부 에지(17, 121)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되며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상기 포트홀(5-8, 99-110)을 둘러싸는 환형 외부 밀봉 부분(14, 119), 및 외부 밀봉 부분(14, 119)에 의해 둘러싸이며 각각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포트홀(5-8, 99-110)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환형 내부 밀봉 부분(15, 120)을 포함한다. 개스킷 배열체(3, 97)는, 부착부(22, 23, 50-52, 73-77, 122)가 외부 밀봉 부분(14, 119)에 의해 둘러싸이며 내부 밀봉 부분(15, 120)의 외부에 배열되고, 부착부(22, 23, 50-52, 73-77, 122)가 접착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제1 측면(4, 98)에 체결되도록 배열된 체결 부착 부분(38, 39, 65-67, 89-93, 1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스킷 배열체, 열 전달 플레이트, 키트 및 조립체
본 발명은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의 2개의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개스킷 배열체, 및 개스킷 배열체와 협력하도록 배열된 열 전달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개스킷 배열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러한 개스킷 배열체 및 이러한 열 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PHE)는 전형적으로 다수의 열 전달 플레이트가 정렬된 방식으로, 즉, 스택으로 2개의 단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열되어 구성된다. 널리 공지된 PHE의 한 가지 유형인, 소위 개스킷형 PHE에서, 개스킷은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에서 전형적으로 열 전달 플레이트의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개스킷 홈에 배열된다. 단부 플레이트와, 그에 따른 열 전달 플레이트는 서로를 향해 가압되고, 이에 의해 개스킷이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를 밀봉한다. 개스킷은 처음에 온도가 다른 두 유체가 한 유체에서 다른 유체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어느 채널을 통해 번갈아 유동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의 평행 유동 채널을 규정한다. 채널이 누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스킷이 플레이트 사이에 적절하게 위치되는 것이 당연히 중요하다.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가 폐쇄될 때, 개스킷은 플레이트 사이에 압착되고 이에 의해 제자리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를 조립하거나 또는 유지보수를 위해 개방하는 경우와 같이 플레이트 사이에 개스킷이 압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개스킷을 플레이트에 올바르게 고정하기 위한 몇몇 종류의 수단이 바람직하다. 개스킷 홈에 개스킷을 부착하기 위해 열 전달 플레이트의 개스킷 홈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접착제는 개스킷 및 그 밀봉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접착제는 또한 필요할 때 개스킷을 교체하는 것을 번거롭게 만들 수 있는 데, 이러한 교체는 전형적으로 개스킷 홈에 새로운 개스킷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스킷 홈에서 오래된 접착제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개스킷을 열 전달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해 개스킷과 개스킷 홈에 걸쳐 적용되는 접착 테이프 스트립을 사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테이프 스트립은 개스킷의 밀봉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느슨해져서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의 유동 채널에 말려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 또한, 기계적 개스킷 고정 해법은,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미국 특허 제4,635,715호를 통해 이전에 공지되어 있다. 이 문헌은 개스킷의 외부로부터 돌출하는 고정 수단을 갖춘 개스킷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 고정 수단은 개스킷을 열 전달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해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 주위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고정 수단은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를 따라 그에 근접하게 배열된 개스킷의 부분을 열 전달 플레이트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를 따라 그에 근접하게 연장하도록 배열되지 않은 개스킷 부분을 열 전달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미국 특허 제4,635,715호에 따른 고정 수단이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를 따라 그에 근접하게 연장하도록 배열되지 않은 개스킷 배열체의 부분을 따라, 열 전달 플레이트에 개스킷 배열체의 신뢰성 있는 체결을 제공하는 개스킷 배열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체결은 개스킷 또는 그 밀봉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개스킷 교체를 어렵게 만들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를 따라 그에 근접하게 연장하도록 배열되지 않은 개스킷 배열체의 부분에 밀봉되지 않은 부착부를 갖는 개스킷 배열체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 부착부는 개스킷 배열체를 열 전달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 수단에 의해 열 전달 플레이트에 체결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스킷 배열체와 협력하도록 배열된 열 전달 플레이트, 개스킷 배열체를 포함하는 키트, 및 개스킷 배열체와 열 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스킷 배열체, 열 전달 플레이트, 키트 및 조립체는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규정되고 아래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배열체는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의 2개의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를 포함하고, 이 열 전달 플레이트는 각각 1개 초과의 포트홀(port hole)을 포함한다. 개스킷 배열체는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에 개스킷 배열체를 부착하도록 배열된 부착부를 더 포함한다. 평행한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은 개스킷 배열체의 두께 방향으로 개스킷 배열체의 연장을 규정하거나 제한하고,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에 평행한 하부 및 상부 부착 평면은 개스킷 배열체의 두께 방향으로 개스킷 배열체의 부착부의 연장을 규정하거나 제한한다. 하부 개스킷 평면 및 하부 부착 평면은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면하도록 배열되는 반면, 상부 개스킷 평면 및 상부 부착 평면은 다른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밀봉부는 환형 외부 밀봉 부분을 포함한다. 외부 밀봉 부분은 열 전달 플레이트의 각각의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고 열 전달 플레이트의 상기 포트홀을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밀봉부는 환형 내부 밀봉 부분을 더 포함한다. 내부 밀봉 부분은 외부 밀봉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고 각각의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포트홀을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개스킷 배열체는 부착부가 외부 밀봉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고 내부 밀봉 부분의 외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착부는 접착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1 측면에 체결되도록 배열된 체결 부착 부분을 포함한다.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에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체결 부착 평면은 개스킷 배열체의 두께 방향으로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의 연장을 규정하거나 제한한다. 하부 체결 부착 평면은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면하도록 배열되는 반면, 상부 체결 부착 평면은 상기 다른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이하, 단지 "열 전달 플레이트(heat transfer plate)"를 언급할 때,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를 참조한다.
개스킷 배열체의 밀봉부가 아닌 부착부 상에 접착 수단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개스킷 배열체의 밀봉 용량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개스킷 배열체의 밀봉부는 접착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오래된 접착제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어려움 없이 개스킷 배열체를 교체할 수 있다.
부착부가 밀봉부의 외부 밀봉 부분의 내부 및 내부 밀봉 부분의 외부에 배열된다는 점에서,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와 맞물리도록 배열되지 않는다. 대신에,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를 따라 그에 근접하게 연장하도록 배열되지 않은 개스킷 배열체의 부분에 배열되어,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한 이 부분의 적절한 체결을 제공할 수 있다. 부착부는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2 측면이 아닌 제1 측면에만 맞물린다.
체결 부착 부분은 임의의 적절한 설계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이는 세장형일 수 있으며 본질적으로 개스킷 배열체의 밀봉부의 종방향 연장부와 평행한 종방향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접착 수단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 예를 들어 아교 또는 예컨대 실리콘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와 같은 접착제일 수 있다.
개스킷 배열체는 외부 밀봉 부분이 내부 밀봉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 밀봉 부분 및 내부 밀봉 부분은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옵션은 다양한 유형의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에서 개스킷 배열체를 유용하게 만든다.
부착부는 외부 밀봉 부분에 그 내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가능하게는 외부 밀봉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추가적으로, 부착부는 내부 밀봉 부분에 그 외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가능하게는 내부 밀봉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한 내부 밀봉 부분의 적절한 고정을 위해 부착부가 배열될 수 있다.
개스킷 배열체는 밀봉부가 내부 밀봉 부분의 내부에서 외부 밀봉 부분의 제1 부분으로부터 외부 밀봉 부분의 제2 부분으로 연장되는 대각선 밀봉 부분을 더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로써, 내부 밀봉 부분은 대각선 밀봉 부분 및 외부 밀봉 부분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섹션에 의해 둘러싸인다. 부착부는 대각선 밀봉 부분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대각선 밀봉 부분과 내부 밀봉 부분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한 대각선 밀봉 부분의 적절한 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개스킷 배열체는 내부 밀봉 부분과 대각선 밀봉 부분을 연결하는 브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과 브리지는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개스킷 배열체는 또한 적어도 2개의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분리되어 있고 각각 내부 밀봉 부분과 대각선 밀봉 부분을 연결한다. 또한, 체결 부착 부분은 적어도 2개의 브리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대각선 밀봉 부분뿐만 아니라 내부 밀봉 부분을 열 전달 플레이트에 적절히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개스킷 배열체는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의 포트홀 중 제1 포트홀과 제2 포트홀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1 측면에 걸쳐 유로를 규정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개스킷 배열체의 부착부는 이 유로에 배열될 수 있고 이로써 2개의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를 유동하는 매체에 노출될 수 있다.
부착부의 상이한 가능한 위치는 상이한 유형의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에서 개스킷 배열체를 유용하게 만든다.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은 밀봉부에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즉, 밀봉부로부터의 돌출부 또는 립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한 개스킷 배열체의 최적화된 고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은 밀봉부로부터 0을 초과하는 거리에 배열, 즉,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밀봉부의 최적화된 밀봉 능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개스킷 배열체는 상부 개스킷 평면과 하부 부착 평면 사이에 상부 부착 평면이 배열되도록, 즉, 부착부가 상부 개스킷 평면 아래로 연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부착부와 상부 열 전달 플레이트, 즉, 상기 다른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 접촉은 개스킷 배열체의 밀봉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개스킷 배열체의 부착부는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과 밀봉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착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에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연결 부착 평면은 개스킷 배열체의 두께 방향으로 부착부의 제1 연결 부착 부분의 연장을 규정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하부 연결 부착 평면은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면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상부 연결 부착 평면은 상기 다른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착 부분과 체결 부착 부분은 개스킷 배열체와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의 맞물림을 증가시키기 위해 열 전달 플레이트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후크를 형성할 수 있다.
부착부는 제1 연결 부착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며 또한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과 밀봉부를 연결하여 루프를 형성하는 제2 연결 부착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루프는 열 전달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수용하고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로써, 개스킷 배열체와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의 맞물림이 증가될 수 있고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한 개스킷 배열체의 고정이 최적화될 수 있다. 하부 및 상부 연결 부착 평면은 또한 제2 연결 부착 부분의 연장을 규정 또는 제한할 수 있거나 또는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있다.
개스킷 배열체는 하부 체결 부착 평면이 하부 연결 부착 평면과 상부 개스킷 평면 사이에 배열되도록, 즉, 제1 연결 부착 부분이, 그리고 가능하게는 제2 연결 부착 부분도 하부 체결 부착 평면 아래로 연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개스킷 배열체와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의 증가된 맞물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하부 연결 부착 평면은 하부 개스킷 평면 및 하부 부착 평면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열 전달 플레이트에 대한 개스킷 배열체의 최적화된 체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부 연결 부착 평면은 상부 체결 부착 평면 및 상부 부착 평면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개스킷 배열체의 비교적 기계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체결 부착 부분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홈의 바닥은 하부 체결 부착 평면과 상부 체결 부착 평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체결 부착 평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홈은 유체 누출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부착부를 지나 유체의 수송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플레이트는 1개 초과의 포트홀 및 개스킷 홈을 포함한다. 개스킷 홈은 개스킷 배열체의 밀봉부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고, 이 밀봉부는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의 열 전달 플레이트와 다른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를 밀봉하도록 배열된다. 열 전달 플레이트는 평행한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에서 그 사이로 연장하도록 주름져 있다. 또한, 열 전달 플레이트는 개스킷 배열체의 부착부와 협력하도록 배열된 구조를 포함한다. 부착부는 개스킷 배열체를 열 전달 플레이트에 부착하도록 배열된다.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에 평행한 구조 연장 평면은 상기 구조의 하부 극단 연장을 규정한다. 개스킷 홈은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열 전달 플레이트의 포트홀을 둘러싸는 환형 외부 홈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개스킷 홈은 외부 홈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고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의 포트홀을 둘러싸는 환형 내부 홈 부분을 포함한다. 열 전달 플레이트는 상기 구조가 외부 홈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고 내부 홈 부분의 외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는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1 측면에,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이 접착 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배열되는 체결 구조 부분을 포함한다.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에 평행한 체결 구조 평면은 상기 체결 구조 부분의 상부 극단 연장을 규정한다.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은 열 전달 플레이트의 극단 연장 평면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열 전달 플레이트는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을 넘어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극단 연장(extreme extension)"은 어떤 것, 또는 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의 중심이 더 이상 연장되지 않는 연장을 의미한다.
외부 홈 부분은 내부 홈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 홈 부분 및 내부 홈 부분은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병합될 수 있다.
구조는 외부 홈 부분과 관련하여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추가적으로, 구조는 내부 홈 부분과 관련하여 배열될 수 있다.
개스킷 홈은 내부 홈 부분의 내부에서 외부 홈 부분의 제1 부분으로부터 외부 홈 부분의 제2 부분으로 연장되는 대각선 홈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조는 대각선 홈 부분과 관련하여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고, 대각선 홈 부분과 내부 홈 부분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열 전달 플레이트는 포트홀 중 제1 포트홀과 제2 포트홀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1 측면에 걸쳐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조는 유로에 배열될 수 있다.
열 전달 플레이트는 상기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이 개스킷 홈에 바로 인접하게 배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은 개스킷 홈으로부터 0을 초과하는 거리에 배열될 수 있다.
열 전달 플레이트는 체결 구조 평면이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 사이에 배열되어 체결 구조 평면이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 아래로 연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열 전달 플레이트의 체결 구조 부분에 배열된 개스킷 배열체 체결 부착 부분과 상부 열 전달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접촉은 개스킷 배열체의 밀봉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조는 체결 구조 부분과 개스킷 홈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 구조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에 평행한 연결 구조 평면은 제1 연결 구조 부분의 하부 극단 연장을 규정할 수 있다. 제1 연결 구조 부분은 부착부의 제1 연결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조는 제1 연결 구조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며 체결 구조 부분과 개스킷 홈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2 연결 구조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구조 부분은 부착부의 제2 연결 부착 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연결 구조 평면은 또한 제2 연결 구조 부분의 하부 극단 연장을 규정할 수 있거나 또는 규정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결 구조 부분, 체결 구조 부분 및 가능하게는 제2 연결 구조 부분은 열 전달 플레이트의 돌출부를 둘러쌀 수 있다. 돌출부는 체결 구조 평면에 평행하게 그 위로 연장되는 상부 평면에서 연장되는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평면은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과 일치할 수 있거나 또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열 전달 플레이트는 연결 구조 평면이 하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 및 구조 연장 평면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열 전달 플레이트는 체결 구조 평면이 연결 구조 평면과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 사이에 배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열 전달 플레이트와 개스킷 배열체 사이의 최적화된 맞물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상기에 따른 개스킷 배열체 및 개스킷 배열체의 체결 부착 부분에 적용된 접착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상기에 따른 개스킷 배열체, 상기에 따른 열 전달 플레이트 및 개스킷 배열체의 체결 부착 부분과 열 전달 플레이트의 체결 구조 부분 사이에 적용되는 접착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배열체의 다른 실시예의 앞서 설명한 장점은 당연히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플레이트, 키트 및 조립체의 상응하는 다른 실시예로 이전될 수 있다. 그래서, 개스킷 배열체, 열 전달 플레이트, 키트 및 조립체가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의 일부를 형성할 때 이러한 장점의 전부가 아니더라도 일부는 명백해진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양태 및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이제,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a는 열 전달 플레이트, 개스킷 배열체 및 접착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서의 열 전달 플레이트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1c는 도 1b에서의 플레이트의 일부의 하위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d는 도 1b에서의 플레이트의 일부의 다른 하위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e는 도 1a에서의 조립체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1f는 도 1e에서의 조립체의 하위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g 내지 도 1j는 도 1f에서 g-j 선을 따르는 조립체 하위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k는 도 1e에서의 조립체의 다른 하위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l 내지 도 1o는 도 1k에서 l-o 선을 따르는 조립체 하위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열 전달 플레이트의 일부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배면에서 본 개스킷 배열체의 일부의 평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일부의 평면도이고,
도 2d 내지 도 2g는 도 2c에서 d-g 선을 따르는 조립체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열 전달 플레이트의 일부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배면에서 본 개스킷 배열체의 일부의 평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일부의 평면도이고,
도 3d 및 도 3e는 도 3c에서 d-e 선을 따르는 조립체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a는 열 전달 플레이트, 개스킷 배열체 및 접착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의 조립체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4c 및 도 4d는 도 4b에서 c-d 선을 따르는 조립체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e 내지 도 1o를 참조하면, 열 전달 플레이트(2), 개스킷 배열체(3) 및 양면 접착 테이프 형태의 접착 수단(보이지 않음)을 포함하는 조립체(1)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제1 측면(4)이 보이는 열 전달 플레이트(2)는 다수의 포트홀(5, 6, 7 및 8)이 제공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이다. 열 전달 플레이트(2)는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및 p2)에서 그 사이로 연장하도록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서로 다른 영역 내에서 특정 패턴으로 가압된다(도 1g 내지 도 1j 및 도 1l 내지 도 1o). 개스킷 배열체는 고무로 제조되며 평행한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G1 및 G2)에 의해 규정되는 두께 방향(T)으로의 연장부를 갖는다(도 1g 내지 도 1j 및 도 1l 내지 도 1o). 조립체(1)는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예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도록 배열된다.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에서는 개스킷 배열체(3)가 배열되고, 개스킷 배열체(3)의 밀봉부(9)는 열 전달 플레이트(2)와 다른 유사한 열 전달 플레이트(2)(예시되지 않음) 사이를 밀봉하게 된다.
열 전달 플레이트(2)는 개스킷 배열체(3)의 밀봉부(9)를 수용하는 개스킷 홈(10)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제 조립체(1)의 상부 절반(조립체(1)의 하부 절반에 대해서는 유사한 설명으로 유효함), 특히 도 1a, 도 1b 및 도 1e를 참조하면, 개스킷 홈(10)은 밀봉부(9)의 환형 외부 밀봉 부분(14), 환형 내부 밀봉 부분(15) 및 대각선 밀봉 부분(16)을 제각기 수용하는 환형 외부 홈 부분(11), 환형 내부 홈 부분(12) 및 대각선 홈 부분(13)을 포함한다. 외부 홈 부분(11)은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외부 에지(17)의 일부를 따라 포트홀(5, 6, 7 및 8) 주위로 연장되고, 한편 내부 홈 부분(12)은 외부 홈 부분(11)에 의해 에워싸여서 결국 포트홀(6)을 에워싸게 된다. 대각선 홈 부분(13)은 내부 홈 부분(12)의 내부에서 외부 홈 부분(11)의 제1 부분(18)으로부터 제2 부분(19)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밀봉 부분(14)은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외부 에지(17)의 일부를 따라 포트홀(5, 6, 7 및 8) 주위로 연장되고, 한편 내부 밀봉 부분(15)은 외부 밀봉 부분(14)에 의해 에워싸여서 결국 포트홀(6)을 에워싸게 된다. 대각선 밀봉 부분(16)은 내부 밀봉 부분(15)의 내부에서 외부 밀봉 부분(14)의 제1 부분(20)으로부터 제2 부분(21)으로 연장된다. 외부 홈 부분(11)과 내부 홈 부분(12)은 포트홀(6)의 외부에서 병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포트홀(6)의 외부에 있는 외부 홈 부분(11)과 내부 홈 부분(12) 사이의 경계는 도 1b에서 가상선(b)으로 예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외부 밀봉 부분(14)과 내부 밀봉 부분(15)은 포트홀(6)의 외부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된 밀봉부(9)의 부분을 따라 병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포트홀(6)의 외부에서 외부 홈 부분(14)과 내부 홈 부분(15) 사이의 경계는 도 1e에서 가상선(B)으로 예시되어 있다.
특히, 도 1b 내지 도 1d 및 도 1e, 도 1f 및 도 1k를 참조하면, 개스킷 배열체(3)는 개스킷 배열체(3)를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제1 측면(4)에 체결하기 위해 제각기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제1 구조(24) 및 제2 구조(25)와 맞물리는 제1 부착부(22) 및 제2 부착부(23)를 더 포함한다. 제1 및 제2 구조(24 및 25)는 내부 홈 부분(12)과 대각선 홈 부분(13) 사이에 배열되고 대각선 홈 부분(13)과 관련하여 배열된다. 또한, 제2 구조(25)는 내부 홈 부분(12)과도 관련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부착부(22 및 23)는 내부 밀봉 부분(15)과 대각선 밀봉 부분(16) 사이에 배열되고 대각선 밀봉 부분(16)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부착부(23)는 내부 밀봉 부분(15)과도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도 1c, 도 1d 및 도 1f 내지 도 1o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구조(24 및 25)는 하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과 일치하는 구조 연장 평면(s)에서 그 위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구조(24 및 25)는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및 p2)에 평행하게 그 사이에 배열되는 체결 구조 평면(f)에서 연장되는 평면 형태의 각각의 체결 구조 부분(26 및 27)을 제각기 포함한다. 체결 구조 부분(26 및 27)은 세장형이며 그로부터 0을 초과하는 거리에서 본질적으로 개스킷 홈(10)의 대각선 홈 부분(13)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제1 구조(24)는 대각선 홈 부분(13)과 체결 구조 부분(26) 사이에서 연장되는 분리된 제1, 제2 및 제3 연결 구조 부분(28, 29 및 30)을 포함한다. 제2 구조(25)는 대각선 홈 부분(13)과 체결 구조 부분(27) 사이 및 내부 홈 부분(12)과 체결 구조 부분(27) 사이에서 연장되는 분리된 제1, 제2 및 제3 연결 구조 부분(31, 32 및 33)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연결 구조 부분(31, 32 및 33)은 각각 체결 구조 부분(27)의 대향 측면에서 연장되는 2개의 하위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제2 및 제3 연결 구조 부분(28, 29, 30, 31, 32 및 33)은 구조 연장 평면(s)과 일치하는 연결 구조 평면(c)에서 그 위로 연장된다.
제1, 제2 및 제3 연결 구조 부분(28, 29 및 30)과 제1 구조(24)의 체결 구조 부분(26)은 대각선 홈 부분(13)과 함께, 열 전달 플레이트(2)의 다수의, 여기서는 총 4개의 돌출부(34)를 둘러싼다. 각각의 돌출부(34)는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2)과 일치하는 상부 평면(t)에서 연장되는 상부(35)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1, 제2 및 제3 연결 구조 부분(31, 32 및 33)과 제2 구조(25)의 체결 구조 부분(27)은 대각선 홈 부분(13) 및 내부 홈 부분(12)과 함께, 열 전달 플레이트(2)의 다수의, 여기서는 총 8개의 돌출부(36)를 둘러싼다. 각각의 돌출부(36)는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2)과 일치하는 상부 평면(t)에서 연장되는 상부(37)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착부(22 및 23)는 평행한 하부 및 상부 부착 평면(A1 및 A2)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부 부착 평면(A1)은 하부 개스킷 평면(G1)과 일치하고 상부 부착 평면(A2)은 상부 개스킷 평면(G2) 아래에 배열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부착부(22 및 23)는 제각기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체결 부착 평면(F1 및 F2) 사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체결 부착 부분(38 및 39)을 포함한다. 상부 체결 부착 평면(F2)은 상부 부착 평면(A2)과 일치하는 반면, 하부 부착 평면(F1)은 하부 및 상부 부착 평면(A1 및 A2) 사이에 배열된다. 체결 부착 부분(38 및 39)은 세장형이며 그로부터 0을 초과하는 거리에서 본질적으로 밀봉부(9)의 대각선 밀봉 부분(16)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제1 부착부(22)는 밀봉부(9)의 대각선 밀봉 부분(16)과 체결 부착 부분(38)을 연결하는 분리된 제1, 제2 및 제3 연결 부착 부분(40, 41 및 42)을 포함한다. 제2 부착부(23)는 밀봉부(9)의 대각선 밀봉 부분(16)과 체결 부착 부분(39)을 연결하고, 내부 밀봉 부분(15)과 체결 부착 부분(39)을 연결하는 분리된 제1, 제2 및 제3 연결 부착 부분(43, 44 및 45)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연결 부착 부분(43, 44 및 45)은 각각 체결 부착 부분(39)의 대향 측면에서 연장되는 2개의 하위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제2 및 제3 연결 부착 부분(40, 41, 42, 43, 44 및 45)은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연결 부착 평면(C1 및 C2) 사이로 연장된다. 하부 연결 부착 평면(C1)은 하부 부착 평면(A1)과 일치하고, 한편 상부 연결 부착 평면(C2)은 상부 부착 평면(A2)과 일치한다.
제1 부착부(22)의 체결 부착 부분(38) 및 제1, 제2 및 제3 연결 부착 부분(40, 41 및 42)은 대각선 밀봉 부분(16)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여기서는 총 2개의 부분적으로 통합된 루프(46)를 형성한다. 유사하게, 제2 부착부(23)의 체결 부착 부분(39) 및 제1, 제2 및 제3 부착 구조 부분(43, 44 및 45)은 대각선 밀봉 부분(16) 및 내부 밀봉 부분(15)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여기서는 총 4개의 부분적으로 통합된 루프(47)를 형성한다.
제1 구조(24)의 제1, 제2 및 제3 연결 구조 부분(28, 29 및 30)은 제각기 제1 부착부(22)의 제1, 제2 및 제3 연결 부착 부분(40, 41 및 42)을 수용한다. 또한, 제1 구조(24)의 체결 구조 부분(26)은 제1 부착부(22)의 체결 부착 부분(38)을 수용한다. 이로써, 개스킷 배열체 루프(46) 각각은 2개의 플레이트 돌출부(34)를 둘러싼다. 체결 구조 부분(26)과 체결 부착 부분(38)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의 스트립이 배열된다. 유사하게, 제1 구조(25)의 제1, 제2 및 제3 연결 구조 부분(31, 32 및 33)은 제각기 제2 부착부(23)의 제1, 제2 및 제3 연결 부착 부분(43, 44 및 45)을 수용한다. 또한, 제2 구조(25)의 체결 구조 부분(27)은 제2 부착부(23)의 체결 부착 부분(39)을 수용한다. 이로써, 개스킷 배열체 루프(47) 각각은 2개의 플레이트 돌출부(36)를 둘러싼다. 체결 구조 부분(27)과 체결 부착 부분(39)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의 스트립이 배열된다. 이로써, 개스킷 배열체(3)가 열 전달 플레이트(2)에 고정된다.
제1 및 제2 부착부(22 및 23)는 대각선 밀봉 부분(16)과 내부 밀봉 부분(15) 사이에 배열되기 때문에,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의 정상적이고 적절한 동작 중에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를 통해 유동하는 어떠한 유체에도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개스킷 배열체(3)의 밀봉부(9)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대각선 밀봉 부분(16)과 내부 밀봉 부분(15) 사이에서 유체가 누출되는 경우, 누출된 유체가 가두어져 누출 감지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누출된 유체가 가두어지지 않아야 한다. 개스킷 배열체(3)가 이 영역 내의 개스킷 홈(10)과 체결 구조 부분(26, 27)을 어느 정도 채우는지에 따라, 임의의 누출된 유체가 내부 밀봉 부분(15), 대각선 밀봉 부분(16) 및 체결 부착 부분(38 및 39)의 측면 상을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착부(22)는 내부 밀봉 부분(15)과 분리되어 있으며, 임의의 누출된 유체는 제1 부착부(22)와 내부 밀봉 부분(15) 사이의 간극으로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부착부(23)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따라서, 제2 부착부(23)의 체결 부착 부분(39)에는 체결 부착 부분(39)의 종방향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홈(48)이 제공된다. 홈(48)의 바닥(49)은 하부 및 상부 체결 부착 평면(F1 및 F2)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체결 부착 평면(F3)에서 연장된다. 임의의 누출된 유체는 홈(48)을 통해 제2 부착부(23)를 통과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조립체(1)(단지 부분적으로만 예시됨)가 예시되어 있다. 조립체(1)는 그 일부가 도 2a에 예시되어 있는 열 전달 플레이트(2)(잘리지 않은 포트홀(5)을 가짐), 그 일부가 도 2b에 예시되어 있는 개스킷 조립체(3), 및 양면 접착 테이프 형태의 접착 수단(보이지 않음)을 포함한다. 도 2a 내지 도 2f에 예시된 조립체(1)는 도 1a 내지 도 1k에 예시된 조립체(1)와 유사하며, 상기의 설명은 도 2a 내지 도 2f에 예시된 조립체(1)에 대해서도 부분적으로 유효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과도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두 조립체 사이의 차이점에 중점을 둘 것이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k에 예시된 조립체 및 도 2a 내지 도 2f에 예시된 조립체의 상응하는 세부사항은, 적절한 경우,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었다.
개스킷 조립체(3)의 밀봉부(9)의 외부 홈 부분(11)은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외부 에지(예시되지 않음)의 일부를 따라 포트홀(포트홀(5)만 예시됨) 주위로 연장되고, 한편 내부 홈 부분(12)은 외부 홈 부분(11)에 의해 에워싸여서 결국 포트홀(5)을 에워싸게 된다. 대각선 홈 부분(13)은 내부 홈 부분(12)의 내부에서, 외부 홈 부분(11)의 제1 부분(예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제2 부분(19)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밀봉 부분(14)은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외부 에지의 일부를 따라 포트홀 주위로 연장되고, 한편 내부 밀봉 부분(15)은 외부 밀봉 부분(14)에 의해 에워싸여서 결국 포트홀(5)을 에워싸게 된다. 대각선 밀봉 부분(16)은 내부 밀봉 부분(15)의 내부에서, 외부 밀봉 부분(14)의 제1 부분(예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제2 부분(21)으로 연장된다. 외부 홈 부분(11)과 내부 홈 부분(12)은 포트홀(5)의 외부에서 병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유사하게, 외부 밀봉 부분(14)과 내부 밀봉 부분(15)은 포트홀(5)의 외부에서 연장하도록 배열된 밀봉부(9)의 부분을 따라 병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개스킷 배열체(3)는 개스킷 배열체(3)를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제1 측면(4)에 체결하기 위해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제1, 제2 및 제3 구조(53, 54 및 55)와 맞물리는 제1, 제2 및 제3 부착부(50, 51 및 52)를 포함한다. 제1, 제2 및 제3 구조(53, 54 및 55)는 내부 홈 부분(12)과 대각선 홈 부분(13) 사이에 배열되고 대각선 홈 부분(13)과 관련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부착부(50, 51 및 52)는 내부 밀봉 부분(15)과 대각선 밀봉 부분(16) 사이에 배열되고 대각선 밀봉 부분(16)과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도 2a 및 도 2d 내지 도 2g를 참조하면, 제1, 제2 및 제3 구조(53, 54 및 55)는 하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과 일치하는 구조 연장 평면(s)에서 그 위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제2 및 제3 구조(53, 54 및 55)는 하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과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및 p2) 사이에 배열된 체결 구조 평면(f)에서 그 사이로 연장되는 주름진 표면 형태의 각각의 체결 구조 부분(56, 57 및 58)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구조(53, 54 및 55) 각각은 대각선 홈 부분(13)과 각각의 체결 구조 부분(56, 57 및 58)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 구조 부분(59, 60 및 61)을 포함한다. 연결 구조 부분(59, 60 및 61)은 구조 연장 평면(s)과 일치하는 연결 구조 평면(c)에서 그 위로 연장된다.
열 전달 플레이트(2)는 각각 내부 홈 부분(12)과 대각선 홈 부분(13) 사이에서 연장되는 4개의 분리된 브리지 수용 부분(62)을 더 포함하여,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구조(53, 54 및 55)가 2개의 인접한 브리지 수용 부분(62) 사이에 배열되도록 한다.
제1, 제2 및 제3 구조(53, 54 및 55) 각각의 연결 구조 부분(59, 60 및 61) 및 체결 구조 부분(56, 57 및 58)은 브리지 수용 부분(62) 및 대각선 홈 부분(13)과 함께, 열 전달 플레이트(2)의 다수의, 여기서는 총 4개의 돌출부(63)를 둘러싼다. 각각의 돌출부(63)는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2)과 일치하는 상부 평면(t)에서 연장되는 상부(64)를 포함한다.
제1, 제2 및 제3 부착부(50, 51 및 52)는 평행한 하부 및 상부 부착 평면(A1 및 A2)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부 부착 평면(A1)은 하부 개스킷 평면(G1)과 일치하고 상부 부착 평면(A2)은 상부 개스킷 평면(G2) 아래에 배열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제2 및 제3 부착부(50, 51 및 52)는 제각기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체결 부착 평면(F1 및 F2) 사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체결 부착 부분(65, 66 및 67)을 포함한다. 상부 체결 부착 평면(F2)은 상부 부착 평면(A2)과 일치하는 반면, 하부 부착 평면(F1)은 하부 및 상부 부착 평면(A1 및 A2) 사이에 배열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부착부(50, 51 및 52)는 밀봉부(9)의 대각선 밀봉 부분(16)과 상응하는 체결 부착 부분(65, 66 및 67)을 연결하는 각각의 연결 부착 부분(68, 69 및 70)을 포함한다. 연결 부착 부분(68, 69 및 70)은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연결 부착 평면(C1 및 C2)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부 연결 부착 평면(C1)은 하부 부착 평면(A1)과 일치하고, 한편 상부 연결 부착 평면(C2)은 상부 부착 평면(A2)과 일치한다.
개스킷 배열체(3)는 각각 내부 밀봉 부분(15)과 대각선 밀봉 부분(16) 사이에서 연장되는 4개의 분리된 브리지(71)를 더 포함하여,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부착부(50, 51 및 52)가 2개의 인접하는 브리지(71) 사이에 배열되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체결 부착 부분(65, 66 및 67)은 2개의 인접하는 브리지(71)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된다.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부착부(50, 51 및 52)의 체결 부착 부분(65, 66 및 67) 및 연결 부착 부분(68, 69 및 70)은 브리지(71) 및 대각선 밀봉 부분(16)과 함께, 대각선 밀봉 부분(16)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여기서는 총 2개의 부분적으로 통합된 루프(72)를 형성한다.
제1, 제2 및 제3 구조(53, 54 및 55)의 연결 구조 부분(59, 60 및 61)은 제각기 제1, 제2 및 제3 부착부(50, 51 및 52)의 연결 부착 부분(68, 69 및 70)을 수용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구조(53, 54 및 55)의 체결 구조 부분(56, 57 및 58)은 제1, 제2 및 제3 부착부(50, 51 및 52)의 체결 부착 부분(65, 66 및 67)을 수용한다. 이로써, 개스킷 배열체 루프(72) 각각은 2개의 플레이트 돌출부(63)를 둘러싼다. 체결 구조 부분(56, 57 및 58)과 체결 부착 부분(65, 66 및 67)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의 스트립이 배열된다. 이로써, 개스킷 배열체(3)가 열 전달 플레이트(2)에 고정된다.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조립체(1)(단지 부분적으로만 예시됨)가 예시되어 있다. 조립체(1)는 그 일부가 도 3a에 예시되어 있는 열 전달 플레이트(2)(잘리지 않은 포트홀(6)을 가짐), 그 일부가 도 3b에 예시되어 있는 개스킷 조립체(3), 및 양면 접착 테이프 형태의 접착 수단(보이지 않음)을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e에 예시된 조립체(1)는 도 1a 내지 도 1k에 예시된 조립체(1)와 유사하며, 도 1a 내지 도 1k에 관한 설명은 도 3a 내지 도 3e에 예시된 조립체(1)에 대해서도 부분적으로 유효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과도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두 조립체 사이의 차이점에 중점을 둘 것이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k에 예시된 조립체 및 도 3a 내지 도 3e에 예시된 조립체의 상응하는 세부사항은, 적절한 경우,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여되었다.
특히,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개스킷 배열체(3)는 개스킷 배열체(3)를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제1 측면(4)에 체결하기 위해 열 전달 플레이트(2)의 제1 내지 제5 구조(78-82)와 맞물리는 제1 내지 제5 부착부(73-77)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5 구조(78-82)는 내부 홈 부분(12)과 대각선 홈 부분(13) 사이에 배열되고 대각선 홈 부분(13)과 관련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5 부착부(73-77)는 내부 밀봉 부분(15)과 대각선 밀봉 부분(16) 사이에 배열되고 대각선 밀봉 부분(16)과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도 3a와 도 3d 및 도 3e를 참조하면, 제1 내지 제5 구조(78-82)는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2)과 일치하는 구조 연장 평면(s)에서 그 위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5 구조(78-82)는 하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과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2)과 일치하는 체결 구조 평면(f)에서 그 사이로 연장되는 주름진 표면 형태의 각각의 체결 구조 부분(83-87)을 포함한다. 체결 구조 부분(83-87)은 세장형이며 본질적으로 대각선 홈 부분(13)에 평행하게 그리고 이에 바로 인접하게 연장된다.
열 전달 플레이트(2)는 각각 내부 홈 부분(12)과 대각선 홈 부분(13) 사이에서 연장되는 6개의 분리된 브리지 수용 부분(88)(그 중 4개만 예시됨)을 더 포함하여, 각각의 제1 내지 제5 구조(78-82)가 2개의 인접한 브리지 수용 부분(88) 사이에 배열되도록 한다.
제1 내지 제5 부착부(73-77)는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G1 및 G2) 사이에서 연장되는 평행한 하부 및 상부 부착 평면(A1 및 A2) 사이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5 부착부(73-77)는 제각기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체결 부착 평면(F1 및 F2) 사이에서 연장되는 립 형태의 각각의 체결 부착 부분(89-93)을 포함한다. 하부 및 상부 체결 부착 평면(F1 및 F2)은 제각기 하부 및 상부 부착 평면(A1 및 A2)과 일치한다. 체결 부착 부분(89-93)은 세장형이며 본질적으로 밀봉부(9)의 대각선 밀봉 부분(16)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와 일체로 형성된다.
개스킷 배열체(3)는 각각 내부 밀봉 부분(15)과 대각선 밀봉 부분(16) 사이에서 연장되는 6개의 분리된 브리지(94)(그 중 4개만 예시됨)를 더 포함하여, 각각의 제1 내지 제5 부착부(73-77)가 2개의 인접한 브리지(94) 사이에 배열되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체결 부착 부분(89-93)은 2개의 인접하는 브리지(94)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1 내지 제5 구조(78-82)의 체결 구조 부분(83-87)은 제1 내지 제5 부착부(73-77)의 체결 부착 부분(89-93)을 수용한다. 체결 구조 부분(83-87)과 체결 부착 부분(89-93)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의 스트립이 배열된다. 이로써, 개스킷 배열체(3)가 열 전달 플레이트(2)에 고정된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조립체(95)가 예시되어 있다. 조립체(95)는 열 전달 플레이트(96), 개스킷 배열체(97) 및 양면 접착 테이프(보이지 않음) 형태의 접착 수단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제1 측면(98)이 보이는 열 전달 플레이트(96)는 다수의 포트홀(99-110)이 제공된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스테인리스 스틸 시트이다. 열 전달 플레이트(96)는 서로 다른 평면에서 그 사이로 연장하도록 열 전달 플레이트(96)의 서로 다른 영역 내에서 특정 패턴으로 가압된다. 예를 들어, 제각기 가상선(113 및 114)에 의해 획정되는 2개의 단부 부분(111 및 112) 내에서, 열 전달 플레이트(96)는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및 p2)에서 그 사이로 연장하도록 가압된다(도 4c 및 도 4d). 개스킷 배열체(97)는 고무로 제조되며 평행한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G1 및 G2)에 의해 규정되는 두께 방향(T)으로의 연장부를 갖는다(도 4c 및 도 4d).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은 개스킷 배열체(97)의 일부 부분은 도 4a에 예시되지 않는다. 조립체(95)는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예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도록 배열된다.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에서는 개스킷 배열체(97)가 배열되게 되고 개스킷 배열체(97)의 밀봉부(115)가 열 전달 플레이트(96)와 다른 유사한 열 전달 플레이트(96)(예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밀봉되게 된다.
열 전달 플레이트(96)는 개스킷 배열체(97)의 밀봉부(115)를 수용하는 개스킷 홈(116)을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개스킷 홈(116)은 밀봉부(115)의 환형 외부 밀봉 부분(119) 및 환형 내부 밀봉 부분(120)을 제각기 수용하는 환형 외부 홈 부분(117) 및 환형 내부 홈 부분(118)을 포함한다. 외부 홈 부분(117)은 특히 열 전달 플레이트(96)의 외부 에지(121)의 일부를 따라 포트홀(99-110) 주위로 연장되고, 한편 내부 홈 부분(118)은 외부 홈 부분(117)에 의해 에워싸이고 결국 포트홀(107 및 108)을 에워싸게 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밀봉 부분(119)은 특히 열 전달 플레이트(96)의 외부 에지(121)의 일부를 따라 포트홀(99-110) 주위로 연장되고, 한편 내부 밀봉 부분(120)은 외부 밀봉 부분(119)에 의해 에워싸이고 결국 포트홀(107 및 108)을 에워싸게 된다. 외부 홈 부분(117) 및 내부 홈 부분(118)은 외부 밀봉 부분(119) 및 내부 밀봉 부분(120)과 마찬가지로 서로 분리되어 있다.
특히, 도 4b를 참조하면, 개스킷 배열체(97)는 열 전달 플레이트(96)의 제1 측면(98)에 개스킷 배열체(97)를 체결하기 위해 열 전달 플레이트(96)의 구조(123)와 맞물리는 부착부(122)를 더 포함한다. 구조(123)는 내부 홈 부분(118)과 관련하여 배열되고 부착부(122)는 내부 밀봉 부분(120)과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도 4b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구조(123)는 하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과 일치하는 구조 연장 평면(s)에서 그 위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구조(123)는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및 p2)에 평행하게 그 사이에 배열되는 체결 구조 평면(f)에서 연장되는 평면 형태의 체결 구조 부분(124)을 포함한다. 체결 구조 부분(124)은 세장형이며 그로부터 0을 초과하는 거리에서 본질적으로 개스킷 홈(116)의 내부 홈 부분(118)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구조(123)는 내부 홈 부분(118)과 체결 구조 부분(124) 사이에서 연장되는 분리된 제1 및 제2 연결 구조 부분(125 및 126)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결 구조 부분(125 및 126)은 구조 연장 평면(s)과 일치하는 연결 구조 평면(c)에서 그 위로 연장된다.
구조(123)의 제1 및 제2 연결 구조 부분(125 및 126)과 체결 구조 부분(124)은 내부 홈 부분(118)과 함께 열 전달 플레이트(96)의 돌출부(127)를 둘러싼다. 돌출부(127)는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2)과 일치하는 상부 평면(t)에서 연장되는 상부(128)를 포함한다.
부착부(122)는 평행한 하부 및 상부 부착 평면(A1 및 A2) 사이에서 연장된다. 하부 부착 평면(A1)은 하부 개스킷 평면(G1)과 일치하고 상부 부착 평면(A2)은 상부 개스킷 평면(G2) 아래에 배열된다. 더 구체적으로, 부착부(122)는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체결 부착 평면(F1 및 F2) 사이에서 연장되는 체결 부착 부분(129)을 포함한다. 상부 체결 부착 평면(F2)은 상부 부착 평면(A2)과 일치하는 반면, 하부 부착 평면(F1)은 하부 및 상부 부착 평면(A1 및 A2) 사이에 배열된다. 체결 부착 부분(129)은 세장형이며 그로부터 0을 초과하는 거리에서 본질적으로 밀봉부(115)의 내부 밀봉 부분(120)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부착부(122)는 밀봉부(115)의 내부 밀봉 부분(120)과 체결 부착 부분(129)을 연결하는 분리된 제1 및 제2 연결 부착 부분(130 및 131)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연결 부착 부분(130 및 131)은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연결 부착 평면(C1 및 C2) 사이로 연장된다. 하부 연결 부착 평면(C1)은 하부 부착 평면(A1)과 일치하고, 한편 상부 연결 부착 평면(C2)은 상부 부착 평면(A2)과 일치한다.
부착부(122)의 체결 부착 부분(129) 및 제1 및 제2 연결 부착 부분(130 및 131)은 내부 밀봉 부분(120)으로부터 돌출하는 루프(132)를 형성한다.
구조(123)의 제1 및 제2 연결 구조 부분(125 및 126)은 제각기 부착부(122)의 제1 및 제2 연결 부착 부분(130 및 131)을 수용한다. 또한, 구조(123)의 체결 구조 부분(124)은 부착부(122)의 체결 부착 부분(129)을 수용한다. 이로써, 개스킷 배열체 루프(132)는 플레이트 돌출부(127)를 둘러싼다. 체결 구조 부분(124)과 체결 부착 부분(129) 사이에 양면 접착 테이프의 스트립이 배열된다. 이로써, 개스킷 배열체(97)가 열 전달 플레이트(96)에 고정된다.
동작 중인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에 조립체(95)가 배열될 때, 유체는 제1 포트홀(103)과 제2 및 제3 포트홀(105, 106) 및 제2 포트홀(99-110) 사이의 유로를 따라 열 전달 플레이트(96)의 제1 측면(98)에 걸쳐 유동한다. 부착부(122)는 이 유로에 배열되기 때문에 유체에 노출되게 된다. 부착부(122)는 유체 유동에 가능한 한 적은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되고 위치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개스킷 배열체는 접착제에 의해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1 측면에 체결되도록 배열된 부착부를 포함한다. 개스킷 배열체에는 일부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와 맞물리도록 배열된 기계적 고정 수단과 같이, 열 전달 플레이트에 개스킷 배열체를 체결하기 위한 추가 고정 수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기계적 고정 수단은 개스킷 배열체의 부품으로 간주되지 않고, 여전히 개스킷 배열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개별 부품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및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열 전달 플레이트 및 특히 이의 개스킷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에서 및 도면에서 사용된 상이한 평면은 설명 및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연장될 필요는 없지만 상이한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개스킷 조립체 및 특히 이의 플레이트 부착부를 설명하기 위해 상기에서 및 도면에서 사용된 상이한 평면은 설명 및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연장될 필요는 없지만 상이한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도 3d를 참조하면, 상이한 단면을 갖는 대각선 밀봉 부분에 대해, 상부 부착 평면(A2) 및 상부 체결 부착 평면(F2)은 상부 개스킷 평면(G2)을 규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k 내지 도 1o에 예시된 바와 같은 부착부뿐만 아니라 유체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c 내지 도 2f에 예시된 것과 같은 부착부도 이러한 홈으로부터 이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부착부는 개스킷 배열체의 밀봉부의 내부 밀봉 부분 및/또는 대각선 밀봉 부분과 연결되고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부착부는 대신에/추가적으로 외부 밀봉 부분의 내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외부 밀봉 부분과 연결될 수 있고 가능하게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e를 참조하면, 부착부는 대각선 밀봉 부분과 내부 밀봉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부 밀봉 부분의 섹션 중 하나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당연히, 부착부와 협력하는 열 전달 플레이트의 구조는 그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부착부, 구조, 브리지, 브리지 수용 부분 등의 수는 예시일 뿐이며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것 이외의 다른 유형의 열 전달 플레이트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플레이트 유형은 스테인리스 스틸 이외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대체 설계의 개스킷 홈이 제공되며, 다른 패턴 또는 다른 포트홀 설계가 제공될 수 있다. 개스킷 배열체에 대한 상응하는 추론은 유효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영구적으로 결합된 열 전달 플레이트의 카세트를 포함하는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와 같이, 전적으로 개스킷으로 된 것이 아닌 다른 유형의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속성은 단지 같은 종류의 종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종 사이의 임의의 종류의 상호간의 순서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지 않은 세부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으며 도면은 단지 개략적이며 축척에 따라 그려지지 않았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중 일부는 다른 도면보다 더 단순화되었다는 점도 언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한 도면에는 예시되지만 다른 도면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1. 조립체
2. 열 전달 플레이트
3. 개스킷 배열체
4.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1 측면
5. 포트홀
6. 포트홀
7. 포트홀
8. 포트홀
9. 개스킷 배열체의 밀봉부
10. 개스킷 홈
11. 외부 홈 부분
12. 내부 홈 부분
13. 대각선 홈 부분
14. 밀봉부의 외부 밀봉 부분
15. 밀봉부의 내부 밀봉 부분
16. 밀봉부의 대각선 밀봉 부분
17.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
18. 외부 홈 부분의 제1 부분
19. 외부 홈 부분의 제2 부분
20. 외부 밀봉 부분의 제1 부분
21. 외부 밀봉 부분의 제2 부분
22. 개스킷 배열체의 제1 부착부
23. 개스킷 배열체의 제2 부착부
24.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1 구조
25.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2 구조
26. 제1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27. 제2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28. 제1 구조의 제1 연결 구조 부분
29. 제1 구조의 제2 연결 구조 부분
30. 제1 구조의 제3 연결 구조 부분
31. 제2 구조의 제1 연결 구조 부분
32. 제2 구조의 제2 연결 구조 부분
33. 제2 구조의 제3 연결 구조 부분
34. 열 전달 플레이트의 돌출부
35. 돌출부의 상부
36. 열 전달 플레이트의 돌출부
37. 돌출부의 상부
38. 제1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39. 제2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40. 제1 부착부의 제1 연결 부착 부분
41. 제1 부착부의 제2 연결 부착 부분
42. 제1 부착부의 제3 연결 부착 부분
43. 제2 부착부의 제1 연결 부착 부분
44. 제2 부착부의 제2 연결 부착 부분
45. 제2 부착부의 제3 연결 부착 부분
46. 제1 부착부의 루프
47. 제2 부착부의 루프
48. 제2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의 홈
49. 홈의 바닥
50. 개스킷 배열체의 제1 부착부
51. 개스킷 배열체의 제2 부착부
52. 개스킷 배열체의 제3 부착부
53.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1 구조
54.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2 구조
55.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3 구조
56. 제1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57. 제2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58. 제3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59. 제1 구조의 연결 구조 부분
60. 제2 구조의 연결 구조 부분
61. 제3 구조의 연결 구조 부분
62. 열 전달 플레이트의 브리지 수용 부분
63. 열 전달 플레이트의 돌출부
64. 돌출부의 상부
65. 제1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66. 제2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67. 제3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68. 제1 부착부의 연결 부착 부분
69. 제2 부착부의 연결 부착 부분
70. 제3 부착부의 연결 부착 부분
71. 개스킷 배열체의 브리지
72. 제1, 제2 또는 제3 부착부의 루프
73. 개스킷 배열체의 제1 부착부
74. 개스킷 배열체의 제2 부착부
75. 개스킷 배열체의 제3 부착부
76. 개스킷 배열체의 제4 부착부
77. 개스킷 배열체의 제5 부착부
78.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1 구조
79.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2 구조
80.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3 구조
81.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4 구조
82.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5 구조
83. 제1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84. 제2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85. 제3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86. 제4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87. 제5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88. 열 전달 플레이트의 브리지 수용 부분
89. 제1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90. 제2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91. 제3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92. 제4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93. 제5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94. 개스킷 배열체의 브리지
95. 조립체
96. 열 전달 플레이트
97. 개스킷 배열체
98. 열 전달 플레이트의 제1 측면
99. 포트홀
100. 포트홀
101. 포트홀
102. 포트홀
103. 포트홀
104. 포트홀
105. 포트홀
106. 포트홀
107. 포트홀
108. 포트홀
109. 포트홀
110. 포트홀
111. 열 전달 플레이트의 단부 부분
112. 열 전달 플레이트의 단부 부분
113. 단부 부분을 규정하는 가상선
114. 단부 부분을 규정하는 가상선
115. 개스킷 배열체의 밀봉부
116. 개스킷 홈
117. 외부 홈 부분
118. 내부 홈 부분
119. 밀봉부의 외부 밀봉 부분
120. 밀봉부의 내부 밀봉 부분
121. 열 전달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
122. 개스킷 배열체의 부착부
123. 열 전달 플레이트의 구조
124. 구조의 체결 구조 부분
125. 구조의 제1 연결 구조 부분
126. 구조의 제2 연결 구조 부분
127. 열 전달 플레이트의 돌출부
128. 돌출부의 상부
129. 부착부의 체결 부착 부분
130. 부착부의 제1 연결 부착 부분
131. 부착부의 제2 연결 부착 부분
132. 부착부의 루프
p1. 하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
p2.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
b. 외부 홈 부분과 내부 홈 부분 사이의 경계
s. 구조 연장 평면
c. 연결 구조 평면
t. 상부 평면
f. 체결 구조 평면
G1. 하부 개스킷 평면
G2. 상부 개스킷 평면
B. 외부 밀봉 부분과 내부 밀봉 부분 사이의 경계
A1. 하부 부착 평면
A2. 상부 부착 평면
F1. 하부 체결 부착 평면
F2. 상부 체결 부착 평면
C1. 하부 연결 부착 평면
C2. 상부 연결 부착 평면
T. 개스킷 배열체의 두께 방향

Claims (32)

  1. 개스킷 배열체(3, 97)이며,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의 2개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9, 115)로서, 열 전달 플레이트(2, 96)는 각각 1개 초과의 포트홀(5-8, 99-110)을 포함하는, 밀봉부(9, 115), 및 개스킷 배열체(3, 97)를 열 전달 플레이트(2, 96) 중 하나에 부착하도록 배열되는 부착부(22, 23, 50-52, 73-77, 122)로서, 평행한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G1, G2)은 개스킷 배열체(3, 97)의 두께 방향(T)으로 개스킷 배열체(3)의 연장을 규정하고,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G1, G2)에 평행한 하부 및 상부 부착 평면(A1, A2)은 개스킷 배열체(3, 97)의 두께 방향(T)으로 개스킷 배열체(3, 97)의 부착부(22, 23, 50-52, 73-77, 122)의 연장을 규정하고, 하부 개스킷 평면(G1) 및 하부 부착 평면(A1)은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에 대면하도록 배열되고, 상부 개스킷 평면(G2) 및 상부 부착 평면(A2)은 다른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에 대면하도록 배열되는, 부착부(22, 23, 50-52, 73-77, 122)를 포함하고, 밀봉부(9, 115)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각각의 외부 에지(17, 121)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되며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상기 포트홀(5-8, 99-110)을 둘러싸는 환형 외부 밀봉 부분(14, 119), 및 외부 밀봉 부분(14, 119)에 의해 둘러싸이며 각각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포트홀(5-8, 99-110)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환형 내부 밀봉 부분(15, 120)을 포함하는, 개스킷 배열체(3, 97)에 있어서,
    부착부(22, 23, 50-52, 73-77, 122)는 외부 밀봉 부분(14, 119)에 의해 둘러싸이며 내부 밀봉 부분(15, 120)의 외부에 배열되고, 부착부(22, 23, 50-52, 73-77, 122)는 접착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제1 측면(4, 98)에 체결되도록 배열된 체결 부착 부분(38, 39, 65-67, 89-93, 129)을 포함하고,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G1, G2)에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체결 부착 평면(F1, F2)은 개스킷 배열체(3, 97)의 두께 방향(T)으로 부착부(22, 23, 50-52, 73-77, 122)의 체결 부착 부분(38, 39, 65-67, 89-93, 129)의 연장을 규정하고, 하부 체결 부착 평면(F1)은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에 대면하도록 배열되고 상부 체결 부착 평면(F2)은 상기 다른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에 대면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스킷 배열체(3, 97).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밀봉 부분(119)은 내부 밀봉 부분(120)으로부터 분리되는, 개스킷 배열체(97).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밀봉 부분(14)과 내부 밀봉 부분(15)은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개스킷 배열체(3).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부(23, 122)는 내부 밀봉 부분(15, 120)에 연결되는, 개스킷 배열체(3, 97).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부(9)는 내부 밀봉 부분(15)의 내부에서 외부 밀봉 부분(14)의 제1 부분(20)으로부터 외부 밀봉 부분(14)의 제2 부분(21)으로 연장되는 대각선 밀봉 부분(16)을 더 포함하고, 부착부(22, 23, 50-52, 73-77)는 대각선 밀봉 부분(16)에 연결되고 대각선 밀봉 부분(16)과 내부 밀봉 부분(15) 사이에 배열되는, 개스킷 배열체(3).
  6. 제5항에 있어서, 내부 밀봉 부분(15)과 대각선 밀봉 부분(16)을 연결하는 브리지(71, 94)를 더 포함하고, 부착부(50-52, 73-77)의 체결 부착 부분(65-67, 89-93)과 브리지(71, 94)가 연결되는, 개스킷 배열체(3).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96)의 포트홀(99-110) 중 제1 및 제2 포트홀(103, 105)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96)의 제1 측면(98)에 걸쳐 유로를 규정하도록 배열되고, 개스킷 배열체(97)의 부착부(122)가 유로에 배열되는, 개스킷 배열체(97).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부(73-77)의 체결 부착 부분(89-93)은 밀봉부(9)에 직접 연결되는, 개스킷 배열체(3).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부(22, 23, 50-52, 122)의 체결 부착 부분(38, 39, 65-67, 129)은 밀봉부(9, 115)로부터 0을 초과하는 거리에 배열되는, 개스킷 배열체(3, 97).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부착 평면(A2)은 상부 개스킷 평면(G2)과 하부 부착 평면(A1) 사이에 배열되는, 개스킷 배열체(3, 97).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부(22, 23, 50-52, 122)는 체결 부착 부분(38, 39, 65-67, 129)과 밀봉부(9, 115)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착 부분(40, 43, 68-70, 130)을 더 포함하고, 하부 및 상부 개스킷 평면(G1, G2)에 평행한 하부 및 상부 연결 부착 평면(C1, C2)은 개스킷 배열체(3, 97)의 두께 방향(T)으로 부착부(22, 23, 50-52, 122)의 제1 연결 부착 부분(40, 43, 68-70, 130)의 연장을 규정하고, 하부 연결 부착 평면(C1)은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에 대면하도록 배열되고, 상부 연결 부착 평면(C2)은 상기 다른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에 대면하도록 배열되는, 개스킷 배열체(3, 97).
  12. 제11항에 있어서, 부착부(22, 23, 122)는 루프(46, 47, 132)를 형성하기 위해 체결 부착 부분(38, 39, 129)과 밀봉부(9, 115)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착 부분(40, 43, 130)으로부터 분리된 제2 연결 부착 부분(41, 44, 131)을 더 포함하는, 개스킷 배열체(3, 97).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하부 체결 부착 평면(F1)은 하부 연결 부착 평면(C1)과 상부 개스킷 평면(G2) 사이에 배열되는, 개스킷 배열체(3, 97).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연결 부착 평면(C1)은 하부 개스킷 평면(G1) 및 하부 부착 평면(A1)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개스킷 배열체(3, 97).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연결 부착 평면(C2)은 상부 체결 부착 평면(F2) 및 상부 부착 평면(A2)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개스킷 배열체(3, 97).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부착 부분(38)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홈(48)을 포함하고, 홈(48)의 바닥(49)은 하부 및 상부 체결 부착 평면(F1, F2)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체결 부착 평면(F3)에서 연장되는, 개스킷 배열체(3).
  17.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이며, 1개 초과의 포트홀(5-8, 99-110) 및 개스킷 배열체(3, 97)의 밀봉부(9, 115)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개스킷 홈(10, 116)을 포함하고, 밀봉부(9, 115)는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의 열 전달 플레이트(2, 96)와 다른 열 전달 플레이트(2, 96) 사이를 밀봉하도록 배열되고, 열 전달 플레이트(2, 96)는 평행한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p2)에서 그 사이로 연장하도록 주름져 있고, 열 전달 플레이트(2, 96)는 개스킷 배열체(3, 97)의 부착부(22, 23, 50-52, 73-77, 122)와 협력하도록 배열된 구조(24, 25, 53-55, 78-82, 123)를 더 포함하고, 부착부(22, 23, 50-52, 73-77, 122)는 개스킷 배열체(3, 97)를 열 전달 플레이트(2, 96)에 부착하도록 배열되고,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p2)에 평행한 구조 연장 평면(s)은 상기 구조(24, 25, 53-55, 78-82, 123)의 하부 극단 연장을 규정하고, 개스킷 홈(10, 116)은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외부 에지(17, 121)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며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포트홀(5-8, 99-110)을 둘러싸는 환형 외부 홈 부분(11, 117), 및 외부 홈 부분(11)에 의해 둘러싸이며 열 전달 플레이트(2)의 포트홀(5-8, 99-110)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는 환형 내부 홈 부분(12, 118)을 포함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에 있어서,
    상기 구조(24, 25, 53-55, 78-82, 123)는 외부 홈 부분(11, 117)에 의해 둘러싸이며 내부 홈 부분(12, 118)의 외부에 배열되고,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제1 측면(4, 98) 상의 상기 구조(24, 25, 53-55, 78-82, 123)는 부착부(22, 23, 50-52, 73-77, 122)의 체결 부착 부분(38, 39, 65-67, 89-93, 129 )이 접착 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배열되는 체결 구조 부분(26, 27, 56-58, 83-87, 124)을 포함하고,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p2)에 평행한 체결 구조 평면(f)은 상기 체결 구조 부분(26, 27, 56-58, 83-87, 124)의 상부 극단 연장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
  18. 제17항에 있어서, 외부 홈 부분(117)은 내부 홈 부분(118)으로부터 분리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96).
  19. 제17항에 있어서, 외부 홈 부분(11)과 내부 홈 부분(12)은 부분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25, 123)는 내부 홈 부분(12, 118)과 관련하여 배열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스킷 홈(10)은 내부 홈 부분(12)의 내부에서 외부 홈 부분(11)의 제1 부분(18)으로부터 외부 홈 부분(11)의 제2 부분(19)으로 연장되는 대각선 홈 부분(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조(24, 25, 53-55, 78-82)는 대각선 홈 부분(13)과 관련하여 배열되고 대각선 홈 부분(13)과 내부 홈 부분(12) 사이에 배열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22.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트홀(99-110) 중 제1 및 제2 포트홀(103, 105) 사이에서 상기 하나의 열 전달 플레이트(96)의 제1 측면(98)에 걸쳐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조(123)는 유로에 배열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96).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78-82)의 체결 구조 부분(83-87)은 개스킷 홈(10)에 바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24.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24, 25, 53-55, 123)의 체결 구조 부분(26, 27, 56-58, 124)은 개스킷 홈(10, 116)으로부터 0을 초과하는 거리에 배열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25.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구조 평면(f)은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p2) 사이에 배열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
  26. 제17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24, 25, 53-55, 123)는 체결 구조 부분(26, 27, 56-58, 124)과 개스킷 홈(10, 116)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연결 구조 부분(28, 31, 59-61, 125)을 더 포함하고,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p2)에 평행한 연결 구조 평면(c)은 제1 연결 구조 부분(28, 31, 59-61, 125)의 하부 극단 연장을 규정하고, 제1 연결 구조 부분(28, 31, 59-61, 125)은 부착부(22, 23, 50-52, 122)의 제1 연결 부착 부분(40, 43, 68-70, 130)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24, 25, 123)는 제1 연결 구조 부분(28, 31, 125)으로부터 분리된 제2 연결 구조 부분(29, 32, 126)을 더 포함하고, 제2 연결 구조 부분(29, 32, 126)은 체결 구조 부분(26, 27, 124)과 개스킷 홈(10, 116) 사이에서 연장되며 부착부(22, 23, 122)의 제2 연결 부착 부분(41, 44, 131)을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
  28. 제2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연결 구조 부분(28, 29, 31, 32, 125, 126) 및 체결 구조 부분(26, 27, 124)은 열 전달 플레이트(2)의 돌출부(34, 36)를 둘러싸고, 돌출부(34, 36, 127)는 체결 구조 평면(f)에 평행하며 그 위로 연장되는 상부 평면(t)에서 연장되는 상부(35, 37, 128)를 포함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구조 평면(c)은 하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1) 및 구조 연장 평면(s)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
  30.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구조 평면(f)은 연결 구조 평면(c)과 상부 플레이트 연장 평면(p2) 사이에 배열되는, 열 전달 플레이트(2, 96).
  31.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스킷 배열체(3, 97) 및 개스킷 배열체(3, 97)의 체결 부착 부분(38, 39, 65-67, 89-93, 129)에 적용된 접착 수단을 포함하는 키트.
  32.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스킷 배열체(3, 97), 제1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 전달 플레이트(2, 96) 및 개스킷 배열체(3, 97)의 체결 부착 부분(38, 39, 65-67, 89-93, 129)과 열 전달 플레이트(2, 96)의 체결 구조 부분(26, 27, 56-58, 83-87, 124) 사이에 적용되는 접착 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체(1, 95).
KR1020237020741A 2020-11-23 2021-10-28 개스킷 배열체, 열 전달 플레이트, 키트 및 조립체 KR202301105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209214.4 2020-11-23
EP20209214.4A EP4001816A1 (en) 2020-11-23 2020-11-23 Gasket arrangement, heat transfer plate, kit and assembly
PCT/EP2021/079950 WO2022106173A1 (en) 2020-11-23 2021-10-28 Gasket arrangement, heat transfer plate, kit and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565A true KR20230110565A (ko) 2023-07-24

Family

ID=7354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741A KR20230110565A (ko) 2020-11-23 2021-10-28 개스킷 배열체, 열 전달 플레이트, 키트 및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11723A1 (ko)
EP (1) EP4001816A1 (ko)
JP (1) JP2023550498A (ko)
KR (1) KR20230110565A (ko)
CN (1) CN116472435A (ko)
WO (1) WO20221061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09026A1 (en) 2021-06-24 2022-12-28 Alfa Laval Corporate AB Gasket arrangement, heat transfer plate, kit, assembly, heat exchanger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8303449L (sv) 1983-06-16 1984-12-17 Alfa Laval Thermal Packningsarrangemang for plattvermevexlare
EP3001131A1 (en) * 2014-09-26 2016-03-30 Alfa Laval Corporate AB A porthole gasket for a plate heat exchanger, a plate package and a plate heat exchanger with such a porthole gasket
ES2842329T3 (es) * 2018-06-28 2021-07-13 Alfa Laval Corp Ab Placa de transferencia de calor y junta
DK180140B1 (en) * 2018-10-15 2020-06-23 Danfoss As Intellectual Property Gasket click-on extending over projection
KR102143827B1 (ko) * 2020-01-22 2020-08-12 케이티씨 주식회사 플레이트형 열교환기의 가스켓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06173A1 (en) 2022-05-27
CN116472435A (zh) 2023-07-21
EP4001816A1 (en) 2022-05-25
US20240011723A1 (en) 2024-01-11
JP2023550498A (ja)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6142B2 (ja) 熱交換器外殻構造
JP2908020B2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
KR100232436B1 (ko)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RU2641420C1 (ru) Крепежное средство прокладки для пластины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проклад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ластины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пластина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и узел пластины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RU2696842C1 (ru) Прокладка проходного отверстия и узел для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ATE538354T1 (de) Dichtungsanordnung für plattenwärmetauscher
KR20230110565A (ko) 개스킷 배열체, 열 전달 플레이트, 키트 및 조립체
EP2963375B1 (en) Plate-type heat exchanger
AU633197B2 (en) Plate-type heat exchanger
JP4283786B2 (ja) 溶接型プレート式熱交換器用リングガスケット
CN114667430B (zh) 用于板式热交换器的垫片及组件
KR20220136377A (ko) 판형 열 교환기
JPH05203383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JP3347799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用の伝熱プレート
JP4298250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20240013189A (ko) 부착 수단 및 열 전달 판
EP0143838A1 (en) SEALING ARRANGEMENT FOR PLATE HEAT EXCHANGERS.
EP1047913B1 (en) A plate heat exchanger having a wedge-shaped gasket
GB2174187A (en) A plate heat exchanger
JP4481263B2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CN115420132A (zh) 换热管和换热器
JP2024516446A (ja) 取り付け手段および伝熱プレート
JPH06281383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KR20180056936A (ko) 조립 구조를 개선한 열 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JPH06281380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用ガスケ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