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099A - 삽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 - Google Patents

삽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099A
KR20230110099A KR1020220006189A KR20220006189A KR20230110099A KR 20230110099 A KR20230110099 A KR 20230110099A KR 1020220006189 A KR1020220006189 A KR 1020220006189A KR 20220006189 A KR20220006189 A KR 20220006189A KR 20230110099 A KR20230110099 A KR 20230110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termediate connection
insertion end
connection
inser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현수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102022000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099A/ko
Priority to DE102023200191.8A priority patent/DE102023200191A1/de
Priority to JP2023003888A priority patent/JP7520407B2/ja
Priority to US18/155,406 priority patent/US20230225591A1/en
Publication of KR2023011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0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8Deflecting means for inserte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e.g. by using a sanitary she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8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mechanical, e.g. for tub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양단을 관통하되 외부로부터 격리되도록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양단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중간연결부와, 상기 제1 중간연결부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되는 제2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용 삽입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삽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삽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을 이용하는 수술은 인체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통해 카메라가 설치된 내시경과 수술도구를 삽입한 다음, 체내에서 내시경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환자의 환부를 살피면서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특히, 복강경 수술에서부터 시작된 내시경 수술은 개복수술에 비하여 절개 부위가 작기 때문에 흉터부위도 작게 되고, 출혈도 적어 수술 후 환자의 회복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통상적인 내시경은 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이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다수의 관로 및 가이드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특히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 선단에 고가의 CCD와 같은 촬상 소자 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만을 조작부로부터 분리하여 새로 교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의료용 내시경의 위생 기능을 보다 강화하는 추세에 맞추어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서로 결합하여 연결사용하거나 서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착탈형 내시경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착탈형 내시경은 내시경 시술 과정에서 삽입부를 통해 유입된 오염물질이, 중간연결부를 매개로 결합된 조작부 내부로 진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 경우, 복잡한 내부구조를 갖는 조작부 특성 상, 내부 세척이 어렵고, 이에 따라 조작부 내부가 오염되어 이후 삽입부를 교체하더라도 시술 과정에서 기 오염물질이 교체된 삽입부 내부로 재유입되고, 결과적으로 내시경 시술을 받는 환자의 감염증을 유발하는 문제점 역시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삽입부와 조작부를 구조적으로 분리하여, 조작부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형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용 삽입유닛은, 양단을 관통하되 외부로부터 격리되도록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양단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중간연결부와, 상기 제1 중간연결부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되는 제2 중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 중간연결부는, 상기 중공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 내측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 내부에서, 상기 단차부와 상기 제2 중간연결부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중간연결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중간연결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만곡된 만곡형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연결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2 중간연결부와 상기 중공부 사이 공간을 밀봉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착탈형 내시경은, 일단이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제1 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삽입유닛과, 상기 삽입유닛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유닛의 상기 일단이 굴곡 운동하도록 작동시키는 조작유닛과, 상기 조작유닛과 상기 삽입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닛과 상기 조작유닛의 결합 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상기 조작유닛의 제1 결합단부와, 상기 삽입유닛의 제2 결합단부와 사이에 배출통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은, 삽입유닛 내부에 밀폐된 중공부가 형성됨으로써, 내시경 시술 시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피 등의 오염물질이 상기한 중공부 내부로만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삽입유닛과 조작유닛) 결합 시 두개의 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통로부를 통해, 삽입유닛의 중공부를 통과한 오염물질이 배출됨으로써, 조작유닛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작유닛의 세척 문제를 해결하고,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에 구비된 조작유닛의 일 단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유닛에 구비된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유닛에 구비된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결합되기 전 상태의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에 구비된 중간연결부와 삽입단연결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 및 도 7c는 중간연결부와 삽입단연결부의 결합이 완료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d는 중간연결부와 삽입단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및 삽입유닛의 삽입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에 구비된 삽입유닛 내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의 삽입유닛의 일부분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유닛과 조작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착탈형 내시경의 일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에 구비된 조작유닛의 일 단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유닛에 구비된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유닛에 구비된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결합되기 전 상태의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제1 착탈모듈과 제2 착탈모듈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에 구비된 중간연결부와 삽입단연결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 및 도 7c는 중간연결부와 삽입단연결부의 결합이 완료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d는 중간연결부와 삽입단연결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착탈형 내시경(10)은 신체 내부의 장기(臟器)를 검사 및 시술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검사 및 시술 대상부는 예를 들어, 십이지장(duodenum)일 수 있다.
착탈형 내시경(10)은 조작유닛(100)과, 삽입유닛(200)과, 착탈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탈형 내시경(10)은 내시경 제어 관리 시스템(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인트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유닛(100)은, 사용자가 삽입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조작하는 부분으로, 조작모듈(H)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조작모듈(H)은 제1 조작부(H10)와, 제2 조작부(H20)와, 제3 조작부(H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유닛(100)의 일단(이하, 제1 결합단부)에는, 탈착 가능한 삽입유닛(200)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삽입유닛(200)이 조작유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1 조작부(H1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삽입유닛(200)의 선단(이하, 삽입단부)을 상하방향으로 굴곡운동시키거나, 제2 조작부(H2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한 삽입단부를 좌우방향으로 굴곡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3 조작부(H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후술할 가력모듈(400)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조작부(H10)는 하부스프로켓(미도시)과, 이에 맞물림 결합된 하부체인(미도시)을 구비하고, 제2 조작부(H20)는 상부스프로켓(미도시)과, 이와 맞물림 결합된 상부체인(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조작부(H10) 및/또는 제2 조작부(H20)가 회전하면, 하부스프로켓 및/또는 상부스프로켓이 회전운동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운동은 하부체인 및/또는 상부체인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하부체인 및 상부체인은 후술할 제1, 제2, 제3 및 제4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 및 제1, 제2, 제3 및 제4 작동와이어(201, 202, 203, 204)를 매개로 하여, 삽입유닛(200)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체인 및/또는 하부체인의 왕복 직선운동에 의해 제1, 제2, 제3 및 제4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 및 제1, 제2, 제3 및 제4 작동와이어(201, 202, 203, 204)가 선택적으로 선형 운동함으로써, 제1, 제2, 제3 및 제4 작동와이어(201, 202, 203, 204)에 연결된 삽입유닛(200)의 삽입단부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 조작부(H10) 및/또는 제2 조작부(H20)의 회전각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삽입단부의 굴곡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하부스프로켓 및 상부스프로켓의 회전은 조작모듈(H)에 구비된 제1 조작부(H10) 및 제2 조작부(H2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수동 회전조작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것은 아니며, 하부스프로켓 및 상부스프로켓은 그와 연결된 회전축을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과 연결하고, 이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별도의 원격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3 조작부(H30)는 조작유닛(100) 내부에 배치된 리프팅 유닛(lifting unit) (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리프팅 유닛은 일 실시예로서, 유압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리프팅 유닛은, 유압공급부(미도시)와 선형이동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압공급부는, 제3 조작부(H30)의 조작에 기초하여, 중간연결부재중간연결부재(105)와 연결되는 선형이동축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삽입유닛(200)이 조작유닛(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3 조작부(H30)가 좌우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이하, 조작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압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유압으로 인해, 선형이동축이 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연결부재(105)와 제2 중간연결본체(315), 그리고 이와 결합된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와 제5 작동와이어(205)가 조작유닛(100)을 향해 당겨지는 방향(이하, 가력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5 작동와이어(205)와 연결된 가력모듈(400)에 가력방향(-Y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력모듈(400)은 회동축(C)을 중심으로 조작유닛(100)을 향하는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동할 수 있다(도 8 참조).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프팅 유닛은 유압 작동 방식 외의 다른 방식으로 작동됨으로써 가력모듈(400)을 회동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리프팅 유닛이 유압 방식으로 작동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조작부(H30)는 탄성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3 조작부(H30)가 조작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이후 제3 조작부(H30)에 가한 힘이 제거되면 조작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탄성복원력을 발생시켜, 제3 조작부(H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선형이동축에 가해진 유압이 제거되어, 중간연결부재(105)와, 제2 삽입단연결부(340'), 그리고 제5 작동와이어(205)가 가력방향의 반대방향(Y축 방향)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력모듈(400)은, 제1 회전방향(R1)의 반대방향인 제2 회전방향(R2)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삽입유닛(200)은 내시경 시술 시, 일부(즉, 삽입단부)가 신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삽입단부는 삽입유닛(200)의 양단 중 조작유닛(100)과 결합되는 단부(이하, 제2 결합단부)의 반대측 단부일 수 있다. 삽입단부에는, 체내를 조명하는 광원 및 체내를 촬영하는 이미지센서를 갖는 조명촬영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유닛(200)의 삽입단부에는 전술한 가력모듈(40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력모듈(400)은 상기한 삽입단부에 구비된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력모듈(400)은 삽입유닛(200)의 길이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연결축(C)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내시경 시술 시, 별도의 시술 장비가 착탈형 내시경(10)에 구비된 연결용 삽입구조를 통해 삽입유닛(2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시술 장비는 삽입유닛(200)의 내부통로부(미도시)를 지나, 상기한 개구부를 통해 삽입단부 외부로 이동하여 십이지장 등에 대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력모듈(400)은 개구부를 통해 삽입단부 외부로 이동된 시술 장비에 힘을 가하여 시술이 필요한 위치를 향해 상기한 시술 장비를 벤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시경 시술 시, 제3 조작부(H30)를 이용해 가력모듈(400)을 제1 회전방향(R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시술 장비를 제1 회전방향(R1)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벤딩시킬 수 있다. 내시경 시술이 완료되거나, 시술 장비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제3 조작부(H30)에 가한 힘을 제거하여, 가력모듈(400)을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시술 장비에 가한 힘을 제거하고, 벤딩 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삽입유닛(20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삽입유닛(2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유닛(100)에 의해 굴곡 방향이 조절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유닛(200)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커버가, 수지 조성물과 같은 유연한 튜브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조작유닛(100)은 내시경 시술 시 이용되는 액체와 기체를 투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와 조작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조작유닛(100)의 제1 결합단부와 착탈유닛(300)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유닛(200)의 일부(예를 들어, 제2 결합단부 또는 그 주변부)에는, 클립을 갖는 내시경 처치구와 같은 시술도구를 삽입유닛(200) 내부로 진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 및 이를 개폐하는 캡을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유닛(100)의 제1 결합단부에는, 지지커버(K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에어를 공급하는 급기채널(C30)과, 물을 공급하는 급수채널(C20)과, 상기한 삽입단부에 구비된 조명촬영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단자(C40)가 지지커버(K10)를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착탈유닛(300)은 조작유닛(100)과 삽입유닛(200)을 착탈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착탈유닛(300)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착탈모듈(300a)과, 제2 착탈모듈(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유닛(100)과 삽입유닛(200)은, 제1 착탈모듈(300a)과 제2 착탈모듈(300b)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에 의해,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1 착탈모듈(300a)은 조작유닛(100)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제1 모듈본체(310)와, 제1 중간연결부와, 제2 중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착탈모듈(300b)은 삽입유닛(200)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제2 모듈본체(330)와, 제1 삽입단연결부와, 제2 삽입단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면번호를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중간연결부를 도면번호 320으로 지칭하고, 제2 중간연결부를 도면번호 32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삽입단연결부를 도면번호 340으로 지칭하고, 제2 삽입단연결부를 도면번호 340'로 지칭하기로 한다.
제1 모듈본체(310)는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양단을 관통하는 제1 중간중공부와, 제2 중간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중간중공부는, 지지커버(K10)에 구비된 연결용 관통공(도 2의 111, 112, 113, 114, 115)와,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연통될 수 있다.
제1 중간연결부(320)는 제1, 제2, 제3 및 제4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를 매개로 하여, 조작모듈(H)과 후술할 삽입단연결부(3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중간연결부(320)는 두 쌍의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와, 이에 각각 구비된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는 일 실시예로서, 세장형 원기둥 형태를 갖는 바(bar)일 수 있다.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는 제1 모듈본체(310)의 제1 중간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양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모듈본체(3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는, 후술할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는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일단은, 삽입유닛(200)과 마주보는 단부일 수 있다.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타단은 제1, 제2, 제3 및 제4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의 일단과 연결되며, 이때 제1, 제2, 제3 및 제4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의 타단은 제1 조작부(H10) 또는 제2 조작부(H20)에 구비된 하부체인 또는 상부체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1 조작부(H10) 또는 제2 조작부(H20)를 조작함에 따라, 하부스프로켓 또는 상부스프로켓의 회전운동이 하부체인 또는 상부체인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며, 이어서 하부체인 또는 상부체인에 연결된 제1, 제2, 제3 및 제4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가 왕복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2, 제3 및 제4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에 연결된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 및 제1 연결단부(E1, E2, E3, E4)가 길이방향(Y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운동할 수 있다.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는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단부(E1, E2, E3, E4)와 제1, 제2, 제3 및 제4 연결와이어(101, 102, 103, 104) 사이에는,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가 관통 삽입되는 탄성부재(S)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S)는 결합 과정에서 삽입단연결부(340)에 의해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가 가압됨에 따라 압축 변형되면서,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S)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는, 삽입유닛(200)과 조작유닛(100) 결합될 때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과,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돌기(T1, T2, T3, T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은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로부터, 길이방향 내측(예컨대, -Y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은,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를 길이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부(N)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N)를 통해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은 부분적으로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N)를 통해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가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에 걸림 상태가 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돌기(T1, T2, T3, T4)는,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돌기(T1, T2, T3, T4)는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제1 연결단부(E1, E2, E3, E4)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돌기(T1, T2, T3, T4)는,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가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 내로 삽입된 후, 조작모듈(H)의 조작에 의해 제2 삽입단연결부(340)가 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당겨지는 경우, 제1 모듈본체(310)에 형성된 제1 가이드슬릿(G1, G2, G3, G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가이드슬릿(G1, G2, G3, G4)은 제1 모듈본체(310)의 일 측면으로부터, 타 측면까지 만곡되어 연장되는 곡선부와, 이러한 곡선부와 연결되고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후방(-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단연결부(340)가 후방(-Y축 방향)으로 당겨져 이동하는 경우, 제1 가이드돌기(T1, T2, T3, T4)가 우선, 곡선부를 따라 회전함으로써, 제1 가이드돌기(T1, T2, T3, T4)에 의해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가 회전하면서 후방(-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후, 제1 삽입단연결부(340)가 후방(-Y축 방향)으로 더 이동함에 따라, 만곡부를 통과한 가이드돌기(T1, T2, T3, T4)는 직선부를 따라 선형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가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 내측에 걸림으로써, 제1 중간연결부(320)와 제2 삽입단연결부(340)가 결합되어 내시경 시술 중 분리되지 않고, 조작모듈(H)의 조작에 의해 일체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중간연결부(320')는, 중간연결부재(105)를 매개로 하여, 조작모듈(H)과 삽입단부에 배치된 가력모듈(4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 중간연결부(320')는 한개의 제2 중간연결본체(315)와, 제2 연결단부(E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중간연결본체(315)는, 제1 중간중공부와 이격된 제2 중간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중간연결본체(315)의 양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모듈본체(3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단부(E5)는, 후술할 제2 걸림부재(335)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단부(E5)는 제2 중간연결본체(315)의 일단에 배치되고, 제2 중간연결본체(315)의 타단에는 중간연결부재(10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중간연결부재(105)는, 리프팅 유닛을 매개로 하여 제3 조작부(H30)에 연결될 수 있다.
중간연결부재(105)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간연결본체(315)로부터, 길이방향(Y축 방향)과 평행하게 후방(-Y축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간연결부재(105)의 후단에는 리프팅 유닛의 선형이동축과 걸림 결합되기 위한, 걸림용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중간연결부재(105)가 선형이동축의 선단에 구비된 걸림홈(미도시) 내로 삽입된 후 걸림용 돌출부가 걸림홈 내에서 걸림 고정가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간연결부재(105) 및 제2 중간연결본체(315)가 리프팅 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로서 중간연결부재(105)는 연결와이어(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선형이동축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3 조작부(H30)를 조작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유압공급부에서 공급한 유압에 의해 선형이동축 및 이에 연결된 중간연결부재(105)가 가력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중간연결본체(315) 및 제2 연결단부(E5)가 가력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제2 연결단부(E5)에는 제2 삽입홈(325) 및 제2 가이드돌기(T5)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돌기(T5)는 제1 모듈본체(310)에 구비된 제2 가이드슬릿(G5)을 따라 이동하며 제2 중간연결본체(315)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 외의 제2 중간연결부(320')의 구체적인 특징 및 제2 삽입단연결부(340')와의 결합 방식은, 전술한 제1 중간연결부(32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중간연결부(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두 쌍의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쌍의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를 제1-1 중간연결본체(311), 제1-2 중간연결본체(312), 제1-3 중간연결본체(313) 및 제1-4 중간연결본체(314)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제1 모듈본체(310)에는 제1 중간중공부가 두 쌍 형성되고, 이러한 제1 중간중공부 내로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가 각각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는, 제1 모듈본체(310) 내에서, 폭 방향(X축 방향) 및/또는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중간연결본체(311)는 제1-2 중간연결본체(312)와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1 중간연결본체(311)는 제1-3 중간연결본체(313)와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대칭 배치되며, 제1-3 중간연결본체(313)는 제1-4 중간연결본체(314)와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중간연결본체(311)와 제1-2 중간연결본체(312)는 제1 모듈본체(310) 내부의 상측에 한 쌍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3 중간연결본체(313)와 제1-4 중간연결본체(314)는 제1 모듈본체(310) 내부의 하측에 한 쌍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중간중공부는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에 의해 획정된, 제1 모듈본체(310)의 내부 영역을 지나 연장되고, 이에 의해 제2 중간연결부(320')는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에 의해 둘러싸여, 가운데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 315)의 연결단부들, 즉 제1-1 연결단부(E1), 제1-2 연결단부(E2), 제1-3 연결단부(E3), 제1-4 연결단부(E4) 및 제2 연결단부(E5)는, 제1 모듈본체(310)로부터 삽입유닛(200)을 향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단부(E1, E2, E3, E4)와 대향되는, 제1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의 타단에는 제1 연결와이어(101), 제2 연결와이어(102), 제3 연결와이어(103), 제4 연결와이어(10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단부(E5)와 대향되는 제2 중간연결본체(315)의 타단에는 전술한 중간연결부재(105)가 구비되어 리프팅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중간연결본체(311, 312, 313, 314)는 각각,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S) 내로 관통 삽입된 상태로 제1 모듈본체(3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착탈모듈(30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모듈본체(330)와, 제1 삽입단연결부(340)와, 제2 삽입단연결부(3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모듈본체(330)는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양단을 관통하는 제1 삽입단중공부와, 제2 삽입단중공부(HL)가 형성된 하우징일 수 있다.
제1 삽입단연결부(340)는 삽입유닛(200)의 삽입단부가 굴곡 운동하도록, 제1, 제2, 제3 및 제4 작동와이어(201, 202, 203, 204)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의 조작모듈(H) 조작에 의해 가해진 힘을 삽입단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단연결부(340)는 두 쌍의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와, 이들 각각에 구비된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는 일 실시예로, 세장형 원기둥 형태를 갖는 바(bar)일 수 있다.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는 제2 모듈본체(330)의 제1 삽입단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양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모듈본체(330)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는 일 표면에 렉기어(rack gear)부(L)를 구비할 수 있다. 렉기어부(L)는,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표면들 중 제2 모듈본체(330)의 중심을 향하는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렉기어부(L)는,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는, 전술한 제1 연결단부(E1, E2, E3, E4)의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 내로 삽입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는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일단은 조작유닛(100)과 마주보는 단부일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타단에는 제1, 제2, 제3 및 제4 작동와이어(201, 202, 203, 204)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러한 제1, 제2, 제3 및 제4 작동와이어(201, 202, 203, 204)의 타단은 삽입단부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는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깊이와 유사한 돌출길이, 바람직하게는 더 짧은 돌출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가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 내에 삽입 시, 제1 걸림부재(331, 332, 333, 334)와 제1 삽입홈(321, 322, 323, 324) 사이에 소정의 유격이 존재할 수 있다.
제2 삽입단연결부(340')는 가력모듈(400)이 회동하도록, 제5 작동와이어(205)를 매개로 하여, 사용자가 제3 조작부(H30)를 조작함으로 인해 가해진 힘을 가력모듈(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단연결부(340')는 한 개의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와, 만곡형 연결부(346)와, 제2 걸림부재(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는, 제1 삽입단중공부와 이격된 제2 삽입단중공부(HL) 내로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의 양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모듈본체(33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만곡형 연결부(346)는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과 가력모듈(400)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작동와이어(205)가 수용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작동와이어(205)는 만곡형 연결부(346)의 내부 중공부에 배치되어,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로부터 가력모듈(40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작동와이어(205)의 일단은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와 연결되고, 작동와이어(205)의 타단은 가력모듈(400)에 연결될 수 있다.
만곡형 연결부(346)는 제2 삽입단연결부(340')의 길이방향(Y축 방향)에 대해 만곡된 만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부를 통해, 만곡형 연결부(346)의 내부 중공부 내부에 배치된 작동와이어(205)의 벤딩(bending) 방향, 굽힘 정도 등 배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작동와이어(205)는 그 일단이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에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삽입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작동와이어(205)의 상기한 일단과 타단 사이의 일부가, 만곡형 연결부(346)를 따라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작동와이어(205)의 전체 길이 중에서, 만곡형 연결부(346)를 지나 연장되는 길이부가 삽입유닛(20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삽입유닛(200)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삽입단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만곡형 연결부(346)를 통해 제2 모듈본체(330) 내부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직선형으로 배치되는 제2 삽입단연결부(34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2 삽입단연결부(340')를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걸림부재(335)는, 제2 연결단부(E5)의 제2 삽입홈(325) 내로 삽입되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걸림부재(335)는,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의 양 단부 중 만곡형 연결부(346)의 반대측 단부에서, 길이방향 외측(-Y축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의 타단에는 작동와이어(205)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5 작동와이어(205)의 타단은 가력모듈(4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3 조작부(H30)를 조작방향으로 조작함에 따라, 유압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유압에 의해 선형이동축 및 이에 연결된 중간연결부재(105) 및 제2 중간연결본체(315)가 가력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단부(E5)에는 제2 삽입홈(325) 및 제2 가이드돌기(T5)가 형성되고, 제2 가이드돌기(T5)는 제2 모듈본체(330)에 구비된 제2 가이드슬릿(G5)을 따라 이동하며 제2 중간연결본체(315)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그 외의 제2 중간연결부(320')의 구체적인 특징 및 제2 삽입단연결부(340')와 결합 방식 및 결합 후 작동 방식은, 전술한 제1 중간연결부(32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삽입단연결부(3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두 쌍의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쌍의 제1 삽입단연결본체를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제2 모듈본체(330)에는 제1 삽입단중공부가 두 쌍 형성되고, 이러한 두 쌍의 제1 삽입단중공부 내로,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가 각각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는 제2 모듈본체(330) 내에서, 폭 방향(X축 방향) 및/또는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서로 대칭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는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와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의 렉기어부(L)와,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의 렉기어부(L)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는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와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대칭 배치되며,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는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와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의 제3 렉기어부(L)는,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의 제4 렉기어부(L)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와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는 제2 모듈본체(330) 내부의 상측에 한 쌍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와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는 제2 모듈본체(330) 내부의 하측에 한 쌍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단연결부(3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모듈본체(330) 내에서,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에 의해 둘러싸여 획정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는 일 실시예로,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가운데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경우, 제2 모듈본체(330)는 피니언 기어 유닛(pinion gear unit)(P)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피니언 기어 유닛(P)은 제1 피니언 기어(P10)와, 제2 피니언 기어(P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제1 피니언 기어(P10)는,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와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 사이에 배치되어,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의 제1 렉기어부(L) 및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의 제2 렉기어부(L)와 동시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결합 상태로, 제1 피니언 기어(P10)는 사용자의 조작모듈(H) 조작에 따라, 길이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제1 중심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피니언 기어(P20)는,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와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 사이에 배치되어,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의 제3 렉기어부(L)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의 제4 렉기어부(L)와 동시에 맞물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 결합 상태로, 제2 피니언 기어(P20)는 사용자의 조작모듈(H) 조작에 따라, 길이방향(Y축 방향)에 수직한 제2 중심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중심축부는, 제1 중심축부와 동일선상에 배치되지만,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피니언 기어(P10)와, 제2 피니언 기어(P20)는 제1 중심축부 또는 제2 중심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동안, 서로의 회전 운동을 간섭(또는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제2 모듈본체(330)는,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가운데를 지나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 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홀은 피니언 기어들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삽입단연결본체(345)는 상기한 가이드 홀의 내부에 배치되어, 가이드 홀 내부에서 길이방향(Y축)과 평행하게 왕복 직선운동할 수 있다.
제2 모듈본체(330)는 그 상면 및 하면에,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형 가이드슬릿(G)을 구비할 수 있다. 직선형 가이드슬릿(G)은 제2 모듈본체(330)의 상면에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 및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와 각각 마주보도록 한 쌍 구비된 '상면 직선형 가이드슬릿'과, 제2 모듈본체(330)의 하면에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와 각각 마주보도록 한 쌍 구비된 '하면 직선형 가이드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1 삽입단연결본체(341) 및 제1-2 삽입단연결본체(342)는 각각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면 직선형 가이드슬릿(G)에 삽입되는 '상면 가이드 돌출부재(I)'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3 삽입단연결본체(34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4)는 각각 하측을 향해 연장되어, 하면 직선형 가이드슬릿(G)에 삽입되는 '하면 가이드 돌출부재(I)'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가이드 돌출부재(I)는 대응되는 직선형 가이드슬릿(G)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의 왕복 직선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 각각의 일단에는 제1-1 걸림부재(331), 제1-2 걸림부재(332), 제1-3 걸림부재(333) 및 제1-4 걸림부재(33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1, 제1-2, 제1-3 및 제1-4 삽입단연결본체(341, 342, 343, 344) 각각의 타단에는 제1 작동와이어(201), 제2 작동와이어(202), 제3 작동와이어(203) 또는 제4 작동와이어(204)가 연결될 수 있다.
삽입유닛(200)은 내시경 시술 시 사용되는 시술 기구가 삽입되기 위한 보조연결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보조연결유닛은 한 쌍의 보조삽입부(510, 5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삽입부(510, 52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삽입유닛(200)의 내측과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삽입부(510, 5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시술 기기 또는 흡입 기기 등이 삽입되어, 삽입유닛(200) 내측을 통해 이동한 후, 삽입단부가 신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환자의 신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및 삽입유닛의 삽입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에 구비된 삽입유닛 내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력모듈(400)은 삽입유닛(200)의 삽입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단부는 외부와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개구부 내에 가력모듈(400)이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가력모듈(400)은 부분적으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5 작동와이어(205)는 만곡형 연결부(346)를 지나, 삽입단 통로부(PW)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단 통로부(PW)는 삽입유닛(200)의 내부에서, 만곡형 연결부(346)의 일단과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삽입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단 통로부(PW)를 관통하여 연장된 제5 작동와이어(205)는 가력모듈(400)과 연결되어, 유압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유압을 가력모듈(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삽입단부의 개구부는, 삽입단 통로부(PW) 및 이와 연결된 만곡형 연결부(346)를 통해 제2 삽입단중공부(HL)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시술 시, 환자의 피와 같은 오염물질이 삽입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삽입유닛(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유입된 오염물질은 삽입유닛(200)과 연결된 조작유닛(100) 내부까지 진입할 수 있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10)은 오염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구비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내시경의 삽입유닛의 일부분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유닛과 조작유닛이 결합된 상태의 착탈형 내시경의 일부분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삽입유닛(200)은 그 하우징의 양단을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는 제1 삽입단중공부 및/또는 제2 삽입단중공부(HL)일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단중공부는 두 쌍 구비되어 제2 모듈본체(330) 또는 삽입유닛(200)의 하우징의 내측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제2 삽입단중공부(HL)는 두 쌍의 제1 삽입단중공부에 둘러싸여 그 가운데를 지나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삽입단중공부(HL)는 하우징 내부에서, 제1 삽입단중공부들과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두 쌍의 제1 삽입단중공부로부터 완전히 격리되어 연통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삽입단중공부(HL)는 단차부(HL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HL10)는 제2 삽입단중공부(HL)의 길이방향(Y축 방향)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항해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HL10)에 의해, 제2 삽입단중공부(HL)는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는 대직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대직경부는, 제2 삽입단중공부(HL)의 양 단부들 중, 만곡형 연결부(346)와 인접한 단부(이하, 제1 단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삽입단중공부(HL) 내로 제2 중간연결부(320')가 관통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중간연결부(320')는 제2 삽입단중공부(HL)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중간연결부(320')의 양 단부들 중, 만곡형 연결부(346)와 인접한 단부(이하, 제1 단부)는 제2 삽입단중공부(HL)의 대직경부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중간연결부(320')의 제1 단부는, 제2 중간연결부(320')의 다른 부분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중간연결부(320')의 제1 단부와, 상기한 단차부 사이에 탄성부재(S)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S)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중간연결부(320')가 관통 삽입되며, 이때 탄성부재(S)의 양단은 각각 제2 중간연결부(320')의 제1 단부와, 단차부(HL10)에 맞닿아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조작부(H30)에 의해 제2 중간연결부(320')가 후방(-Y축 방향)으로 당겨질 때, 탄성부재(S)가 압축되고, 제2 중간연결부(32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제2 중간연결부(320')를 다시 전방(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삽입단중공부(HL)는, 제2 삽입단중공부(HL)를 둘러싸는 제1 삽입단중공부들 및 다른 구성들과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삽입유닛(200)의 하우징 양단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밀폐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곡형 연결부(346)를 통해 유입된 오염물질이, 제2 삽입단중공부(HL)의 내부를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중간연결부(320')는 그 양단에 실링부재(O)가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O)는 제2 중간연결부(320')의 양단과, 제2 삽입단중공부(HL)의 미세한 사이공간을 밀봉시켜, 만곡형 연결부(346)를 통해 흐르는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O)는 예를 들어,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된 오링(O-ring)일 수 있다.
이처럼, 제2 삽입단중공부(HL)는, 만곡형 연결부(346)와 연결되는 부분(A1)과 제2 모듈본체(330)의 후단부(A2)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되어, 삽입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오염물질이,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제2 삽입단중공부(HL)를 통해서만 흐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삽입유닛(200)이 조작유닛(100)에 결합된 경우, 조작유닛(100)의 제1 결합단부와, 삽입유닛(200)의 제2 결합단부 사이에는,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배출통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유닛(200)이 조작유닛(100)에 결합된 경우, 제1 결합단부와 제2 결합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유격부로서 구성된 배출통로부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통로부는 제2 결합단부의 후단(A2)과, 제1 결합단부의 선단(A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중간연결부(320')가 제3 조작부(H30)의 조작에 의해, 제2 삽입단중공부(HL) 내에서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운동함에 따라, 제2 삽입단중공부(HL) 내부를 통해 제1 이동방향(A')으로 흐르는 오염물질이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제2 삽입단중공부(HL)의 후단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삽입단중공부(HL) 외부로 배출된 오염물질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제2 이동방향(A'')을 따라 하측으로 흐르거나 떨어지면서, 배출통로부를 통해 착탈형 내시경(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배출통로부를 통해 오염물질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내시경 시술 시 내시경(10) 내부로 유입된 오염물질이 조작유닛(100)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시경 시술을 수행하더라도 삽입유닛(200)만 오염되고, 조작유닛(100)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내시경 시술이 완료된 이후 다음 시술을 진행할 때, 삽입유닛(200)만 새 유닛으로 교체한 후 시술을 진행할 수 있어, 환자들 사이의 전염병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모듈(H)을 포함하는 등,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 가격이 비싼 조작유닛(100)을 재사용할 수 있어, 세척의 필요성이 줄어들며, 경제적 측면에서도 큰 이점이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삽입유닛(200)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10)은, 삽입유닛(200) 내부에 밀폐된 중공부가 형성됨으로써, 내시경 시술 시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피 등의 오염물질이 상기한 중공부 내부로만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삽입유닛(200)과 조작유닛(100) 결합 시 두개의 유닛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통로부를 통해, 삽입유닛(200)의 중공부를 통과한 오염물질이 배출됨으로써, 조작유닛(100)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작유닛(100)의 세척 문제를 해결하고, 재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착탈형 내시경
100: 조작유닛
200: 삽입유닛
300: 착탈유닛
400: 가력모듈

Claims (7)

  1. 양단을 관통하되 외부로부터 격리되도록 형성된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양단을 관통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중간연결부; 및
    상기 제1 중간연결부와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공부 내로 관통 삽입되는 제2 중간연결부;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용 삽입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연결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1 중간연결부는, 상기 중공부를 둘러싸도록 상기 하우징 내측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착탈형 내시경용 삽입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 내부에서, 상기 단차부와 상기 제2 중간연결부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중간연결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용 삽입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중간연결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만곡된 만곡형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용 삽입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간연결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2 중간연결부와 상기 중공부의 사이 공간을 밀봉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 착탈형 내시경용 삽입유닛.
  6. 일단이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제1 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삽입유닛;
    상기 삽입유닛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유닛의 상기 일단이 굴곡 운동하도록 작동시키는 조작유닛; 및
    상기 조작유닛과 상기 삽입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유닛;을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닛과 상기 조작유닛의 결합 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상기 조작유닛의 제1 결합단부와, 상기 삽입유닛의 제2 결합단부와 사이에 배출통로부가 형성되는, 착탈형 내시경.

KR1020220006189A 2022-01-14 2022-01-14 삽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 KR20230110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89A KR20230110099A (ko) 2022-01-14 2022-01-14 삽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
DE102023200191.8A DE102023200191A1 (de) 2022-01-14 2023-01-11 Einschubeinheit und ein daraus bestehendes abnehmbares endoskop
JP2023003888A JP7520407B2 (ja) 2022-01-14 2023-01-13 着脱型内視鏡
US18/155,406 US20230225591A1 (en) 2022-01-14 2023-01-17 Insertion unit and detachable endoscop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89A KR20230110099A (ko) 2022-01-14 2022-01-14 삽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099A true KR20230110099A (ko) 2023-07-21

Family

ID=8699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189A KR20230110099A (ko) 2022-01-14 2022-01-14 삽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착탈형 내시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25591A1 (ko)
JP (1) JP7520407B2 (ko)
KR (1) KR20230110099A (ko)
DE (1) DE1020232001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6881A1 (en) * 2020-05-21 2021-11-25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ndoscope rotat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4848A (ja) * 1993-12-27 1995-07-2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7000427A (ja) * 2005-06-24 2007-01-1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
KR102190218B1 (ko) * 2019-09-11 2020-12-11 (주) 태웅메디칼 와이어 버퍼기능을 갖는 착탈분리형 내시경
CN111493795B (zh) * 2020-04-07 2023-07-04 上海澳华内镜股份有限公司 分体式内窥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3200191A1 (de) 2023-07-20
US20230225591A1 (en) 2023-07-20
JP7520407B2 (ja) 2024-07-23
JP2023103987A (ja)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607B2 (en) Manually controlled endoscope
US9913573B2 (en) Endoscopic imaging system
JP4691361B2 (ja) 取り外し可能な偏向デバイスを備える内視鏡画像化システム
JP7536338B2 (ja) 十二指腸用着脱型内視鏡
US20090048486A1 (en) Distal Tip for an Endoscope
CN102215735B (zh) 手术内窥镜
CN102670154A (zh) 内窥镜装置
JP2010523219A (ja) 外部レールを有する内視鏡装置
JP7520407B2 (ja) 着脱型内視鏡
JP5866162B2 (ja) 外科用内視鏡及び外科用内視鏡の外科器具を交換する方法
US11974727B2 (en)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206562B2 (en) Method for washing treatment tool stand
JP2023103985A (ja) 着脱型内視鏡
KR101613271B1 (ko) 카테터
JP2023521171A (ja) ロッキング要素を有する内視鏡併用デバイス
JP2010063484A (ja) 補助具及びそれを用いる内視鏡システム
JP5506724B2 (ja) 内視鏡装置
CN116583212A (zh) 内窥镜系统
US20160331360A1 (en) Medical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20230110097A (ko) 가력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삽입유닛 및 착탈형 내시경
KR102720181B1 (ko) 착탈형 내시경
KR20230110098A (ko) 착탈형 내시경
KR20230110100A (ko) 착탈형 내시경
JP2012245188A (ja) 内視鏡
JP5547325B2 (ja) 補助具及びそれを用いる内視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