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632A - 검안 제어 프로그램 및 자각식 검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검안 제어 프로그램 및 자각식 검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632A
KR20230109632A KR1020237016337A KR20237016337A KR20230109632A KR 20230109632 A KR20230109632 A KR 20230109632A KR 1020237016337 A KR1020237016337 A KR 1020237016337A KR 20237016337 A KR20237016337 A KR 20237016337A KR 20230109632 A KR20230109632 A KR 20230109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ometry
self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히사 데라베
다에코 호리노
아리사 시마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1/037111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107477A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Publication of KR2023010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91Fixation targets for viewing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for testing astigmatis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tholog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키는 셀프 검안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사 항목을 실행하기 위하여 교정 광학계와 시표 제시부를 제어하는 스텝과,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답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스텝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호출 동작을 실행하는 스텝과,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서 상기 보조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을 설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검안 제어 프로그램 및 자각식 검안 시스템
본 개시는, 자각식 검안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및 자각식 검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피검자의 눈 앞에 광학 소자를 배치하고, 광학 소자를 통하여 검사 시표를 피검안에 제시함으로써, 피검안의 안굴절력 등의 광학 특성을 측정하는 자각식 검안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자각식 검안 장치는, 안굴절력 측정 유닛, 시표 제시 유닛 및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안굴절력 측정 유닛은, 교정 광학계가 구비하는 복수의 광학 소자 중, 검안창에 배치하는 광학 소자를, 구동부에 의해 전환한다. 시표 제시 유닛은, 피검안에 제시하는 검사 시표를 전환한다. 컨트롤러는, 조작 패널에 대한 유저의 조작을 검출하고, 검출한 조작에 기초하여, 안굴절력 측정 유닛 및 시표 제시 유닛으로 구동 신호를 송신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20-18712호 공보
종래의 자각식 검안 장치에서는, 검자가 피검자에 입회하고, 검사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에 기초하여, 자각식 검안 장치의 다음 동작의 구동 지시를 입력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자각식 검안 장치에서는, 검자의 부담을 경감시키면서 원활하게 자각식의 검안을 실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개시가 전형적인 목적은, 자각식의 검안을 보다 원활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검안 제어 프로그램 및 자각식 검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키는 교정 광학계와, 피검안에 시표를 제시하는 시표 제시부를 갖고,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각식 검안 장치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를 구비한 자각식 검안 시스템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키는 셀프 검안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셀프 검안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적어도,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사 항목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교정 광학계와 상기 시표 제시부를 제어하는 셀프 검안 진행 스텝과,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답을 취득하는 회답 취득 스텝과,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
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보조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인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상기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상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호출 동작을 실행하는 호출 실행 스텝과,
상기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상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서 상기 보조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을 설정하는 검사 타이밍 설정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키는 교정 광학계와, 피검안에 시표를 제시하는 시표 제시부를 갖고,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각식 검안 장치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를 구비한 자각식 검안 시스템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키는 셀프 검안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셀프 검안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적어도,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사 항목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교정 광학계와 상기 시표 제시부를 제어하는 셀프 검안 진행 스텝과,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답을 취득하는 회답 취득 스텝과,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
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보조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인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상기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상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호출 동작을 실행하는 호출 실행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회답 취득 스텝은,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보다도 후에 입력되는 회답의 입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키는 교정 광학계와, 피검안에 시표를 제시하는 시표 제시부를 갖고,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각식 검안 장치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를 구비한 자각식 검안 시스템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키는 셀프 검안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셀프 검안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적어도,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사 항목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교정 광학계와 상기 시표 제시부를 제어하는 셀프 검안 진행 스텝과,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답을 취득하는 회답 취득 스텝과,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
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보조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인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상기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상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호출 동작을 실행하는 호출 실행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는, 보조자인 검자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고,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조작 입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4)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키는 교정 광학계와, 피검안에 시표를 제시하는 시표 제시부를 갖고,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각식 검안 장치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를 구비한 자각식 검안 시스템이며,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키는 셀프 검안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하고,
상기 셀프 검안 프로그램은,
적어도,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사 항목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교정 광학계와 상기 시표 제시부를 제어하는 셀프 검안 진행 스텝과,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답을 취득하는 회답 취득 스텝과,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이며,
보조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인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상기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상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호출 동작을 실행하는 호출 실행 스텝과,
상기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상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서 상기 보조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을 설정하는 검사 타이밍 설정 스텝을 포함하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계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및 자각식 검안 시스템에 의하면, 자각식의 검안이 보다 원활하게 실행된다.
도 1은 자각식 검안 시스템(1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정보 처리 장치(2A)가 실행하는 검안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셀프 검안 보조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검안 제어 처리 중에 실행되는 셀프 검안 보조 처리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자각식 검안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셀프 검안 보조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로 분류된 항목은, 독립 또는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개요>
본 개시에서 예시하는 자각식 검안 시스템은, 자각식 검안 장치와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한다. 자각식 검안 장치는,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키는 교정 광학계와, 피검안에 시표를 제시하는 시표 제시부를 갖고,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자각식 검안 장치에 접속되는 정보 처리 장치이다(이하, 제1 정보 처리 장치를 「접속 장치」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셀프 검안 프로그램은,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셀프 검안 프로그램이,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셀프 검안 진행 스텝, 회답 취득 스텝, 교정값 기억 스텝 및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이,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된다. 셀프 검안 진행 스텝에서는,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적어도,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즉, 진행 수순을 따라), 피검자에의 시표의 제시 동작을 지시하는 복수의 제시 지시 신호를, 자각식 검안 장치에 순서대로 출력한다. 또한, 셀프 검안 진행 스텝에서는,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사 항목을 실행하기 위하여 교정 광학계와 시표 제시부를 제어해도 된다. 회답 취득 스텝에서는,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답을 취득한다. 교정값 기억 스텝에서는,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회답 취득 스텝에 있어서 취득된 회답과, 회답 취득 시에 자각식 검안 장치에 의해 제시되어 있었던 시표 및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취득되는, 피검안의 광학 특성의 교정값을 기억한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에서는,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실행한다.
본 개시에 관계되는 자각식 검안 시스템에 의하면, 셀프 검안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검자가 검안을 진행시키지 않더라도 적절하게 피검자의 검안이 행해진다. 또한,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이 실행된다. 즉, 셀프 검안 프로그램의 기능 중에,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셀프 검안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예를 들어, 검자로부터의 어드바이스 등에 의한 셀프 검안의 보조 동작의 적어도 어느 것이 실행된다. 따라서, 검자의 부담이 경감된 상태에서, 자각식의 검안이 적절하게 실행된다.
또한, 검안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에는, 여러가지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가 제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서버, 휴대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등이, 제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복수의 디바이스가 조합됨으로써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디바이스와, 컨트롤러 및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전용 컨트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물론, 전용 컨트롤러 자체에, CPU를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디바이스로서의 기능이 마련되고, 제1 정보 처리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검안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장치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안 제어 프로그램은,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내장된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되고,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검안 제어 프로그램은, 전술한 전용 컨트롤러에 내장된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검안 제어 프로그램은, 복수의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에서는, 실행되고 있는 셀프 검안의 상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한 경우, 또는,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이 실행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피검자가 셀프 검안을 실행할 수 없는 상황 등이 발생한 때에, 셀프 검안의 보조 동작이 적절하게 행해진다.
또한, 보조 동작을 실행할 때의, 셀프 검안의 상황 조건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이 입력될 일 없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보조 동작의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는,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이 부적절한 경우에, 보조 동작의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해도 된다. 회답이 부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입력된 회답이, 미리 정해진 회답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피검자에게 요구하고 있는 회답의 후보와는 다른 회답이 입력된 경우, 동일한 회답이 소정 횟수 이상 연속하여 입력된 경우, 또는, 피검자에게 요구하고 있는 회답의 횟수보다도 많은 횟수의 회답이 입력된 경우 등)에, 입력된 회답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해도 된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에 있어서 실행되는 보조 동작에는, 검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때에 검자가 호출되므로, 그 후의 검안이 적절하게 행해진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진행 수순의 적어도 일부를 진행시키기 위한 제시 지시 신호를, 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자각식 검안 장치로 출력하는 수동 진행 스텝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검자는, 셀프 검안에 의해 진행할 예정이었던 진행 수순 중, 문제가 발생한 검사 등을, 수동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검자에 대한 검안이 보다 적절하게 보조된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셀프 검안에 의해 기억된 1개 또는 복수의 교정값의 적어도 어느 것을, 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수정하는 교정값 수정 스텝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셀프 검안에 의한 측정이 실패한 교정값이 존재하는 경우 등이더라도, 검자의 판단에 의해 교정값이 수정된다. 따라서, 피검자에 대한 검안이 원활하게 진행한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진행 수순의 적어도 일부를, 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생략하는 테스트 생략 스텝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검자는, 미리 정해져 있는 진행 수순 중,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수순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피검자에 대한 검안이 원활하게 진행한다.
진행 수순의 적어도 일부를 생략하기 위한, 검자에 의한 지시의 입력 방법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자는, 진행 수순에 따라서 실행되는 복수의 테스트 중, 생략하는 테스트의 선택 지시를,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입력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선택된 테스트를 진행 수순으로부터 생략해도 된다. 또한, 검자는, 일단 정지된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타이밍을, 생략하는 수순보다도 후의 타이밍으로서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입력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입력된 타이밍으로부터 셀프 검안을 재개시킴으로써, 일부의 수순을 생략해도 된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대리 회답 취득 스텝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대리 회답 취득 스텝에서는, 제어부는, 셀프 검안 진행 스텝에 의해 피검자에게 시표가 진행 수순에 따라서 제시되었을 때에,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의 회답을, 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취득한다. 이 경우, 검자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따라서 시표가 순서대로 피검자에 대하여 제시되는 과정에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로부터 회답을 청취하고, 청취한 회답을 스스로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셀프 검안에 있어서의 회답 방법 등을 피검자가 파악하지 못한 경우 등이더라도, 검자는, 피검자로부터 청취한 회답을 입력함으로써, 적절하게 셀프 검안을 보조할 수 있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진행 수순 중, 이미 검안이 완료된 수순(예를 들어, 완료된 테스트 등)의 다음 수순으로부터, 일단 정지된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계속 재개 스텝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진행 수순 중, 이미 완료된 수순의 다음 수순으로부터 셀프 검안이 재개된다. 따라서, 셀프 검안의 보조가 종료한 후에도, 셀프 검안의 계속이 진행 수순에 따라서 적절하게 행해진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진행 수순 중, 검자에 의해 지정된 수순(예를 들어, 지정된 테스트 등)으로부터, 일단 정지된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지정 재개 스텝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검자는, 셀프 검안 중에 발생하는 문제가 해소된 경우 등에, 검자가 지정한 수순으로부터 셀프 검안을 재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검자가 검안을 보조하기 위한 부담이 과도하게 증대하는 것이 억제된다.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은, 피검자에 대하여 실행되는 복수의 테스트(검사)와, 복수의 테스트의 실행순을 정하고 있어도 된다. 셀프 검안 진행 스텝에서는, 진행 수순에 따라서 복수의 테스트가 순서대로 실행되어도 된다. 이 경우, 피검안에 대한 복수의 테스트가 적절하게 자동적으로 진행한다. 또한, 검자는, 복수의 테스트 중, 보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테스트(예를 들어, 셀프 검안에서는 양호한 교정값이 취득되지 않은 테스트 등)에 대하여 적절하게 보조를 행할 수 있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진행 수순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는 수순 표시 스텝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표시 장치는, 검자가 대기하는 거점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자각식 검안 장치가 배치된 거점과는 다른 거점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자각식 검안 장치가 배치된 거점과 동일한 거점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지정 재개 스텝에서는,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된 진행 수순 상에서,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수순(이하, 「재개 수순」이라고 함)의 지정 지시의 입력이 접수되어도 된다. 이 경우, 검자는, 진행 수순의 상세 및 진척 상황 등을, 표시된 진행 수순에 따라 적절하게 파악한 상태에서,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재개 수순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재개 수순의 입력을, 표시된 진행 수순 상에서 접수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 터치 패널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표시된 진행 수순 중, 터치 패널이 조작된 위치에 대응하는 수순(예를 들어, 특정한 테스트 등)을 검자에 의해 지정된 재개 수순으로서 처리해도 된다. 또한,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내에서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한 마우스 등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표시된 진행 수순 상 중,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수순을, 검자에 의해 지정된 재개 수순으로서 처리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는, 진행 수순 전체(예를 들어, 진행 수순에 포함되는 복수의 테스트 등) 중, 그 시점에서 행해지고 있는 수순 및 진행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 행해지고 있었던 수순 등의 적어도 어느 것을, 진행 수순 상에서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검자는, 셀프 검안의 진행 상황을, 표시되는 진행 수순에 따라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일단 정지된 셀프 검안을 재개시킴으로써, 여러가지 장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자각식 검안 시스템에 의해 행해지는 테스트의 하나인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에서는, 피검자에 대하여 점군이 2개 제시된다. 그러나, 교정 광학계의 검사창과 피검안 간의 상대 위치가 어긋나버리면, 피검자는, 2개의 점군 중 한쪽밖에 시인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피검자는 셀프 검안을 실행할 수 없다. 그러나, 본 개시에 관계되는 자각식 검안 시스템에 의하면, 검자는, 셀프 검안을 일단 정지시키고 있는 동안에, 검사창에 대한 피검안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어드바이스 등을 행하고,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의 진행을 보조한 후에, 피검자가 단독으로 행하는 셀프 검안을 재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단 정지된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경우에는, 검자 및 피검자의 양쪽에 있어서 유용한 효과가 얻어진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이,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인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실행되어도 된다. 이 경우, 피검자의 장소와는 다른 원격지에 검자가 있는 경우에도, 검자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지시를 입력함으로써, 피검자에 의한 셀프 검안을 원격지로부터 적절하게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등)에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부는, 검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의 실행 지시를,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출력해도 된다. 이 경우, 피검자의 장소와는 다른 원격지에 검자가 있는 경우에도, 검자는,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파악하기 쉽다.
단,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직접 입력되는 지시(예를 들어,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부에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실행되어도 된다. 즉, 자각식 검안 장치 및 제1 정보 처리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있는 검자가,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을 실행시키기 위한 지시를 입력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검자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사용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조작부(검자용 컨트롤러)로서는, 자각식 검안 장치에 마련된 전용의 컨트롤러여도 되고, 마우스, 태블릿 등의 범용의 유저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또한,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수는 1개여도 되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정보 처리 장치에는, 제1 정보 처리 장치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디바이스(예를 들어, PC, 휴대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정보 처리 장치는, 셀프 검안이 실행될 때에 이미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셀프 검안에 문제가 발생한 후에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제2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의 각각의 제어부는, 적어도 음성 데이터(음성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의 양쪽이어도 된다)를 서로 송수신시킴으로써, 검자와 피검자의 회화를 보조하는 원격 회화 스텝을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원격지에 있는 검자는, 회화에 의해 피검자의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셀프 검안을 적절하게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의 설정>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보조자(예를 들어, 검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인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호출 동작을 실행하는 호출 실행 스텝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서 보조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을 설정하는 검사 타이밍 설정 스텝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은, 검안의 진행 수순(검사 플로)에 있어서 보조 동작이 개시되는 검사 개시 시점으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검자는, 피검자가 곤란을 겪은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보조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셀프 검사에서의 피검자의 보조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상기 검사 타이밍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 셀프 검안의 진행을 일단 정지시킴으로써,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검사 타이밍을 설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 셀프 검안의 진행이 일단 정지되므로, 검사가 진행해버려, 잘못된 검사 결과가 취득될 가능성을 사전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검사 타이밍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기억부에 기억시켜 두고, 기억부에 기억된 검사 항목에 기초하여,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검사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으로부터 검사를 개시할 수 있음과 함께, 가령, 검사가 적절하게 실행되는 경우, 검자에 의한 보조가 개시될 때까지 검사를 진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검사 항목이 판별할 수 있는 판별 표시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킴으로써,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기억부에 기억된 검사 항목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도록 해 두고, 당해 검사에서의 보조를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해도 된다.
<회답 입력의 제한>
회답 취득 스텝은,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보다도 후에 입력되는 회답의 입력을 제한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을 제한함으로써, 검자에 의한 보조를 행할 때에, 피검자의 오조작 등에 의해 검사가 잘못하여 진행해버리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셀프 검안을 재개하는 경우, 회답의 입력 제한을 해제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프 검안을 원활하게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답 입력의 제한은,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회답 취득 스텝에 있어서,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보다도 후에 입력되는 회답의 입력을 제한함으로써, 예를 들어, 피검자의 오조작 등에 의해 검사가 잘못하여 진행해버리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즉,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의 입력으로서는, 호출 실행 지시 외에, 예를 들어, 셀프 검안의 진행을 정지시켜서 보조 동작을 실행시키는 일시 정지 지시의 입력이어도 된다. 이 경우,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는, 예를 들어, 피검자 또는 검자에 의해 입력되어도 된다.
<검자용 컨트롤러의 입력 제한>
셀프 검안 보조 스텝에 있어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는, 보조자인 검자가 자각식 검안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프 검사가 진행하고 있는 때에, 검자용 컨트롤러의 조작 입력이 제한됨으로써, 익숙하지 않은 검자가 컨트롤러에 접촉해버려, 셀프 검사에서의 검사에 간섭해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제한을 해제해도 된다. 이에 의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있어서, 검자에 의한 보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셀프 검안을 재개하는 경우,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프 검안을 재개한 후의 검사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입력의 일부 제한은,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셀프 검안 보조 스텝에 있어서,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는, 보조자인 검자가 자각식 검안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함으로써, 익숙하지 않은 검자가 컨트롤러에 접촉해버려, 셀프 검사에서의 검사에 간섭해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제한을 해제해도 된다. 즉,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의 입력으로서는, 호출 실행 지시 외에, 예를 들어, 셀프 검안의 진행을 정지시키고 보조 동작을 실행시키는 일시 정지 지시의 입력이어도 된다. 이 경우,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는, 예를 들어, 피검자 또는 검자에 의해 입력되어도 된다.
또한, 셀프 검안 보조 스텝에 있어서는,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있어서,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이 제한됨과 함께, 검자용 컨트롤러의 조작 입력의 제한을 해제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피검자 자체에 의한 셀프 검안과, 검자에 의한 보조의 전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각 검사가 갑자기 진행해버리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포함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 보조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상태로 되도록 자각식 장치 본체를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시표를 시표 제시부에 제시해도 되고,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교정값을 교정 광학계에 설정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시점에서의 검사 상태가 유지되므로, 피검자가 곤란을 겪은 검사 상태로부터의 보조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설정에서의 검사를 경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상태로 되도록 자각식 장치 본체를 자동적으로 제어해도 되고,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상태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검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상태로 조정되어도 된다. 또한, 시표의 제시와 교정값의 설정의 양쪽을 행함으로써, 호출 실행 시점에서의 검사 상태를 보다 재현할 수 있지만, 시표의 제시와 교정값의 설정의 한쪽이 행해져도 된다.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 보조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로 되도록 자각식 장치 본체를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검사 개시 시의 시표를 시표 제시부에 제시시켜도 되고,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검사 개시 시의 교정값을 교정 광학계에 설정시켜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시점에서의 검사의 초기 상태로부터의 검사를 행할 수 있으므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가 부적절하게 행해진 경우에 있어서, 검사를 일단 리셋할 수 있고, 검사 개시 시점부터 검사를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당해 검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시표의 제시와 교정값의 설정의 양쪽을 행함으로써, 호출 실행 시점에서의 검사에 있어서의 검사의 초기 상태를 보다 재현할 수 있지만, 시표의 제시와 교정값의 설정의 한쪽이 행해져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로 되도록 자각식 장치 본체를 자동적으로 제어해도 되고,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가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검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로 조정되어도 된다.
또한, 초기 상태로서 설정되는 교정값(초깃값)으로서는, 예를 들어, 타각식 측정 데이터와, 전안경 데이터와, 과거의 자각식 측정 데이터의 적어도 어느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물론, 예를 들어, 초깃값으로서는, 상기 데이터와는 다른 초깃값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임의의 값(예를 들어, 디폴트 값(예를 들어, 0 등))을 초깃값으로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타각식 측정 데이터로서는,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타각적으로 측정한 데이터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타각적으로 측정되는 피검안의 광학 특성으로서는, 안굴절력(예를 들어,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난시축 각도 등), 편광 특성, 동공 간 거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안경 데이터로서는, 피검자가 장용(裝用)하고 있었던 안경의 광학 특성을 측정한 데이터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안경의 광학 특성으로서는, 굴절력(예를 들어,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난시축 각도 등), 편광 특성, 동공 간 거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과거의 자각식 측정 데이터로서는, 자각식의 측정을 행하는 피검자의 과거의 자각식의 측정 결과인 자각식 측정 데이터여도 된다. 예를 들어, 자각식 측정 데이터로서는,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한 데이터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자각적으로 측정되는 피검안의 광학 특성으로서는, 안굴절력(예를 들어, 구면 도수, 난시 도수, 난시축 각도 등), 편광 특성, 동공 간 거리 등을 들 수 있다.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상태로 되도록 자각식 장치 본체를 제어하는 제1 제어와,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로 되도록 자각식 장치 본체를 제어하는 제2 제어가 선택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이 경우, 검자용 컨트롤러에 있어서, 제1 제어와, 제2 제어가, 검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검자는, 검사 상황의 히어링 등을 행한 뒤에,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의 상황에 따라, 검자에 의한 보조를 행할 때의 장치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제1 제어와 제2 제어의 구분 사용을 검자가 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검사의 초반이면, 제2 제어가 선택되고,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검사의 종반이면, 제1 제어가 선택되어도 된다. 이 경우, 편안(片眼) 검사이면, 측정 눈만 장치 설정이 행해져도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분 사용에 한정되지 않고, 검자가 원하는 제어가 적절히 선택되어도 된다.
또한,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인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실행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피검자의 장소와는 다른 원격지에 검자가 있는 경우, 셀프 검안의 진행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셀프 검안 보조 스텝에 있어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서 보조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을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원격지에 있는 검자이더라도, 피검자가 곤란을 겪는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보조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셀프 검사에서의 피검자의 보조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시스템 구성)
이하,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의 하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자각식 검안 시스템(100)은 자각식 검안 장치(1) 및 제1 정보 처리 장치(2A)를 구비한다. 자각식 검안 장치(1)는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자각식 검안 장치(1)에 의해 측정되는 피검안의 광학 특성은, 안굴절력이다. 측정되는 안굴절력은, 피검안의 구면 도수, 원기둥 도수 및 난시축 각도 등의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는 자각식 검안 장치(1)에 접속된다. 이하에서는, 제1 정보 처리 장치(2A)를 접속 장치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장치(2A)는 네트워크(5)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인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접속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제1 정보 처리 장치(2A)는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의해 리모트 액세스되는 경우가 있다. 이하, 각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각식 검안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각식 검안 장치(1)는 안굴절력 측정 유닛(10), 시표 제시 유닛(15) 및 중계부(19)를 구비한다.
안굴절력 측정 유닛(10)은 교정 광학계(11)와 구동부(12)를 구비한다. 교정 광학계(11)는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킨다. 즉, 교정 광학계(11)는 시표 광속의 구면 도수, 원기둥 도수, 난시축 각도, 편광 특성 및 수차량 등의 적어도 어느 것을 변화시킨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교정 광학계(11)는 복수의 광학 소자 중, 피검안의 눈 앞의 검사창에 배치하는 광학 소자를 전환함으로써,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교정 광학계(11)에서는, 복수의 광학 소자가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된, 좌안용의 렌즈 디스크와 우안용의 렌즈 디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좌안용의 렌즈 디스크 및 우안용의 렌즈 디스크의 각각은, 1매여도 되고 복수매여도 된다. 광학 소자에는, 예를 들어, 구면 렌즈, 원주 렌즈, 크로스 실린더 렌즈, 로터리 프리즘 및 파면 변조 소자 등의 적어도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구동부(12)는 교정 광학계(11)를 구동함으로써,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킨다. 본 실시 형태의 구동부(12)는 좌안용의 렌즈 디스크 및 우안용의 렌즈 디스크의 각각을 회전시켜서, 검사창에 배치하는 광학 소자를 전환함으로써, 교정 광학계(11)를 구동한다. 구동부(12)에는, 예를 들어 스텝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동부(12)는 구동 신호에 따라서 구동된다.
시표 제시 유닛(15)은 피검안에 검사 시표(예를 들어, 란돌트환 시표 및 문자 등의 적어도 어느 것)를 제시함과 함께, 피검안에 제시하는 검사 시표를 전환한다. 상세하게는, 시표 제시 유닛(15)은 시표 제시부(16)와 구동부(17)를 구비한다. 시표 제시부(16)는 피검안에 검사 시표를 제시한다. 시표 제시부(16)에는, 예를 들어, 오목면 미러를 통하여 검사 시표를 피검안에 투영하는 공간 절약형의 시표 투영 장치, 스크린에 검사 시표를 투영하는 차트 프로젝터 및 검사 시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의 적어도 어느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시표 제시부(16)는 피검안으로부터의 거리가 광학적으로 소정의 거리로 되도록, 안굴절력 측정 유닛(10)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구동부(17)는 시표 제시부(16)를 구동함으로써, 피검안에 제시하는 검사 시표를 전환한다. 구동부(17)는 구동 신호에 따라서 구동된다.
중계부(19)는 제1 정보 처리 장치(2A)와 구동부(12, 17) 간에 구동 신호를 중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정보 처리 장치(2A)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의 계통과, 구동부(12, 17)의 적어도 한쪽을 제어 가능한 구동 신호의 계통이 다르다. 본 실시 형태의 중계부(19)는 제1 정보 처리 장치(2A)로부터 수신한 구동 신호를, 구동부(12, 17)를 제어 가능한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구동부(12, 17)로 송신한다. 또한,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중계부(19)는 2개의 구동부(12, 17)를 모두 구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구동 신호를 제1 정보 처리 장치(2A)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수신한 하나의 구동 신호를, 2개의 구동부(12, 17)의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2개의 구동 신호로 변환하고, 2개의 구동부(12, 17)의 각각으로 송신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는, 각종 정보를 처리 가능한 여러가지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적어도 어느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는,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2B)로서 기능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는, PC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버, 휴대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등이,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적어도 어느 것으로서 사용되어도 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적어도 어느 것은,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정보 처리 장치(2A)는 컨트롤러 및 기억 장치를 구비한 전용 컨트롤러와,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와 제2 정보 처리 장치(2B)는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등)(5)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된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하나의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대하여 복수의 제2 정보 처리 장치(2B)가 접속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하나의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대하여 하나의 제2 정보 처리 장치(2B)가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하나의 제2 정보 처리 장치(2B)가 복수의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접속되어도 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는 피검자에 대한 자각식의 검안이 행해지는 거점(예를 들어, 안경점 또는 병원 등)에 배치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는 CPU(21A)와 기억 장치(22A)를 구비한다. CPU(21A)는, 제1 정보 처리 장치(2A)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컨트롤러)이다. 기억 장치(22A)는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은 기억 장치(22A)에 기억되어 있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는 자각식 검안 장치(1)(상세하게는, 자각식 검안 장치(1)의 중계부(19))에 대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와 자각식 검안 장치(1)의 접속 규격에는, 예를 들어 LAN 등의 다양한 규격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장치(2A)는 타각식 검안 장치(3)에 대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되어 있다. 타각식 검안 장치(3)는 피검안의 광학 특성(예를 들어, 구면 도수, 원기둥 도수 및 난시축 각도 등의 적어도 어느 것)을 타각적으로 측정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와 타각식 검안 장치(3)의 접속 규격에는, 예를 들어 LAN 등의 다양한 규격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타각식 검안 장치(3)는 중계부(19)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타각식 검안 장치(3)에 의한 측정 결과는, 중계부(19)가 구비하는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도 된다.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는, 카메라(31A), 마이크(32A), 스피커(33A), 조작부(34A) 및 표시부(35A)가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31A)는 화상을 촬영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31A)는 피검자의 동화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마이크(32A)는 소리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스피커(33A)는 음성 신호를 소리로 변환한다. 조작부(34A)는 유저(예를 들어 피검자 등)가 각종 지시를 입력하기 위해서, 유저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부(34A)에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적어도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조작부(34A)로서, 자각식의 검안의 회답 입력에 적합한 전용의 조작부(예를 들어 조이 스틱 등)가 사용되어도 된다. 표시부(35A)는 각종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부(35B)에는, 화상을 표시 가능한 여러가지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니터, 디스플레이 및 프로젝터 등의 적어도 어느 것)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정보 처리 장치(2B)는 자각식 검안 장치(1)에 의한 검안을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검자(예를 들어, 자각식 검안 장치(1)에 의한 검안에 정통한 안경점의 점원, 의사, 또는 간호사 등)의 거점에 배치된다. 제2 정보 처리 장치(2B)는 CPU(21B)와 기억 장치(22B)를 구비한다. CPU(21B)는,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컨트롤러)이다. 기억 장치(22A)는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할 수 있다.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는, 카메라(31A), 마이크(32A), 스피커(33A), 조작부(34A) 및 표시부(35A)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디바이스에는, 전술한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접속되는 디바이스와 마찬가지로, 여러가지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검안 방법)
본 실시 형태의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인스톨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정보 처리 장치(2A)가 구비하는 기억 장치(22A)에는, 검안 제어 처리(도 2 참조)를 실행하기 위한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검안 제어 프로그램에는, 구동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구동 제어 프로그램과, 셀프 검안을 실행하기 위한 셀프 검안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구동 제어 프로그램은, 자각식 검안 장치(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자각식 검안 장치(1)로 송신한다. 셀프 검안 프로그램은,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자각식 검안 장치(1)에 의한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킨다. 또한, 구동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구동 제어 프로그램과, 셀프 검안을 실행하기 위한 셀프 검안 프로그램은, 따로따로 구축되어서 준비되어 있어도 되고, 하나의 프로그램 중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자각식 검안 시스템(100)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자각식의 검안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자각식 검안 시스템(100)은 셀프 검안과 원격 검안을 실행할 수 있다. 셀프 검안이란, 셀프 검안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이다. 즉, 셀프 검안에서는, 기본적으로는,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검안이 진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자각식 검안 시스템(100)에서는,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셀프 검안 보조 처리가 실행된다. 셀프 검안 보조 처리는, 원격지의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되는 지시 신호에 따라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검안이 원활하게 행해지기 쉽다. 이하에서는, 셀프 검안의 설명을 중점적으로 행한다.
(검안 제어 처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자각식 검안 시스템(100)의 제1 정보 처리 장치(2A)가 실행하는 검안 제어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안 제어 처리에서는, 예를 들어, 셀프 검안을 제어하는 처리, 셀프 검안을 보조하는 처리 등이 실행된다. 피검안에 대한 자각식의 검안을 개시시키는 지시가,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입력되면, 제1 정보 처리 장치(2A)의 CPU(21A)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도 2에 예시하는 검안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검안 제어 처리는, 1개 또는 복수의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대한 통신(예를 들어 리모트 액세스 등)이 확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행된다. 그러나, 제1 정보 처리 장치(2A)와 제2 정보 처리 장치(2B) 간의 통신은, 검안 제어 처리의 실행중(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하는 셀프 검안 보조 처리의 개시 시 등)에 확립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장치(2A)와 제2 정보 처리 장치(2B) 간의 통신 방법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AS(리모트 액세스 서비스)가 이용됨으로써,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대한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리모트 액세스가 확립되어도 된다.
먼저, CPU(21A)는, 타각식에 의한 검안 결과를 취득한다(S1).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제1 정보 처리 장치(2A)는 LAN 또는 중계부(19) 등을 통하여 접속된 타각식 검안 장치(3)(도 1 참조)로부터, 동일한 피검자에 대한 타각식의 검안의 결과를 취득한다. 그러나, CPU(21A)는, 예를 들어, 착탈 가능한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5) 등을 통하여, 동일한 피검자에 대한 타각식의 검안 결과를 취득해도 된다. 또한, 타각식의 검안 결과는, 조작부(34A) 등을 통하여 유저에 의해 입력되어도 된다. 동일한 피검자에 대한 타각식의 검안 결과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S1의 처리는 생략되어도 된다.
이어서, CPU(21A)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을 설정한다(S3). 도 3의 진행 수순 표시란(52)에는, 본 실시 형태의 자각식 검안 시스템(100)에서 사용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의 일례의 일부분(도 3에서는, 우안에 대한 진행 수순만)이 표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진행 수순은, 피검자에 대하여 실행되는 복수의 테스트(복수의 검사)와, 복수의 테스트의 실행순을 정한다. 일례로서, 도 3에 도시하는 진행 수순에서는, 피검자의 우안에 대한 R/G 테스트 (S),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 (A),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 (C), R/G 테스트 및 VA 테스트가 행해진 후, 피검자의 좌안에 대한 R/G 테스트 (S),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 (A),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 (C), R/G 테스트 및 VA 테스트가 행해진다. R/G 테스트 (S)에서는, 피검안의 구면 도수가 측정된다.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 (A)에서는, 피검안의 난시축 각도가 측정된다.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 (C)에서는, 피검안의 난시 도수가 측정된다. 그 후의 R/G 테스트에서는, 실행 완료된 테스트에 있어서 피검안에 의한 조절이 작용하고 있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VA 테스트에서는, 피검안의 최대 시력이 측정된다.
S1에 있어서, 동일한 피검자에 대한 타각식의 검안의 결과가 취득되어 있는 경우에는, S3에서는, 타각식의 검안의 결과(예를 들어, 동일한 피검안에 대하여 측정된 안굴절력(구면 도수, 난시 도수 및 난시축 각도의 적어도 어느 것))에 따라,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이 설정된다. 예를 들어, 진행 수순에 포함되는 각 테스트에 있어서, 교정 광학계(11)의 검사창에 처음에 배치시키는 광학 소자 및 시표 제시부(16)에 제시시키는 시표의 종류 및 크기 등이, 타각식의 검안의 결과에 따라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타각식의 검안에 의해 얻어진 난시 도수가 역치 이하이면 난시에 관한 테스트(예를 들어,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 (A) 및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 (C))를 생략한 진행 수순이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S1에 있어서, 타각식의 검안의 결과가 취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3에서는, 디폴트의 진행 수순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어서, CPU(21A)는, S3에서 설정한 진행 수순과, 셀프 검안의 진척 상황에 따라서, 자각식 검안 장치(1)에 대하여 다음으로 실행시키는 시표의 제시 동작을 결정하고, 결정한 제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시 지시 신호(구동 신호)를 자각식 검안 장치(1)로 출력한다(S5).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의 S5에서는, 교정 광학계(11)의 검사창에 배치시키는 광학 소자 및 시표 제시부(16)에 제시시키는 시표의 적어도 어느 것이, 다음 제시 동작으로서 결정된다. 결정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구동부(12) 및 구동부(17)의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한 구동 신호가, 자각식 검안 장치(1)로 송신된다. 또한, CPU(21A)는, 구동 신호를 자각식 검안 장치(1)로 송신할 때에, 검사 내용에 따른 안내 음성을 스피커(33A)로부터 출력시킨다. 따라서, 피검자는, 검사 내용을 적절하게 파악한 다음, 제시된 검사 시표를 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신호는, 전술한 중계부(19)(도 1 참조)를 통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2A)로부터 구동부(12, 17)로 송신된다. 따라서, 제1 정보 처리 장치(2A)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전용의 컨트롤러 등을 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전용의 컨트롤러 등에 의한 신호의 처리가 생략되므로, 보다 원활하게 검안이 실행된다.
셀프 검안에서는, 피검자는, 안내 음성에 의해 검사 내용을 파악한 다음, 자각식 검안 장치(1)에 의해 제시된 검사 시표를 시인하고, 시인한 결과의 회답을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입력한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각식의 검안의 회답 입력에 적합한 전용의 조작부(피검자용 컨트롤러)(34A)가, 피검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회답이 입력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조작부(34A)(예를 들어, 마우스, 터치 패널, 또는 키보드 등)에 의해 회답이 입력되어도 된다. 또한, 마이크(32A)가 변환하는 음성 신호에 의해 회답이 입력되어도 된다.
CPU(21A)는,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 회답이 입력되면(S7: "예"), 입력된 회답과, 피검안의 광학 특정의 교정값(측정값)이 기억 장치(22A)에 기억된다(S8). 피검안의 광학 특성의 교정값은, S7에서 입력된 회답, 회답이 입력되었을 때에 피검안에 제시되어 있었던 시표 및 교정 광학계(11)의 검사창에 배치되어 있었던 광학 소자의 광학 특성(즉,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에 기초하여 취득된다.
이어서, 일련의 셀프 검안이 아직 완료되어 있지 않으면(S9: "아니오"), 처리는 S5로 되돌아가서, 셀프 검안이 진행 수순에 따라서 계속된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VA 테스트에서는, CPU(21A)는, S7에서 취득된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이 정답인 경우에는, 시표 제시부(16)에 제시시키는 시표를, 전회 제시시킨 시표보다도 1단계 높은 시력값의 시표(예를 들어, 사이즈가 1단계 작은 시표)로 하도록, 다음 시표 제시 동작을 결정한다. 또한, CPU(21A)는, S7에서 취득된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이 오답인 경우에는, 시표 제시부(16)에 제시시키는 시표를, 전회 제시시킨 시표보다도 1단계 낮은 시력값의 시표(예를 들어, 사이즈가 1단계 큰 시표)로 하도록, 다음 시표 제시 동작을 결정한다. 또한, CPU(21A)는, 시표의 전환과 함께, 교정 광학계(11)의 검사창에 배치시키는 광학 소자의 교정 도수 등을, 다음 시표 제시 동작으로서 결정해도 된다.
또한, S7 내지 S9의 처리가 반복하여 실행되어서, 일련의 셀프 검안이 무사 완료되면(S9: "예"), 검안 제어 처리는 그대로 종료한다.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S7: "아니오"), 셀프 검안의 상황이, 부적절할 가능성이 높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11).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S5에서 제시 지시 신호가 송신된 이후,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이 입력되는 일 없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된다. 또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이 부적절한 경우(예를 들어, 피검자가 요구하고 있는 회답의 후보와는 다른 회답이 입력된 경우, 동일한 회답이 소정 횟수 이상 연속하여 입력된 경우, 또는, 피검자에게 요구하고 있는 회답의 횟수보다도 많은 횟수의 회답이 입력된 경우 등)에도,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된다.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면(S11: "예"), 셀프 검안 보조 처리가 실행된다(S13).
또한,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이 입력되어 있지 않고(S7: "아니오"), 또한, 셀프 검안의 조건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는(S11: "아니오"), CPU(21A)는, 셀프 검안의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가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검자는, 전용의 조작부(피검자용 컨트롤러)(34A)에 마련된 헬프 버튼(70), 또는, 표시부(35A)에 표시된 헬프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셀프 검안의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S12: "아니오"), 처리는 S7로 되돌아간다.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가 입력되면(S12: "예"), 셀프 검안 보조 처리가 실행된다(S13).
도 4를 참조하여, 셀프 검안 보조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CPU(21A)는, 검자 호출 처리를 실행한다(S21).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의 S21에서는, CPU(21A)는,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대한 리모트 액세스가 확립되어 있는 1개 또는 복수의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네트워크(5)를 통하여 검자 호출 지시를 송신한다(S4). 검자 호출 지시란, 셀프 검안의 보조를 검자에게 의뢰하기 위해서, 검자의 호출 동작을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실행시키는 지시이다. 호출 동작은, 예를 들어, 음성의 출력 및 화상 표시 등의 적어도 어느 방법으로 행해지면 된다. 호출 동작이 행해짐으로써,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유저(검자)는 셀프 검안의 보조(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보조)가 필요한 취지를 적절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CPU(21A)는,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유저인 검자로부터의 응답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어느 제2 정보 처리 장치(2B)로부터라도 검자에 의한 응답이 없으면(S22: "아니오"), 검자에 의한 셀프 검안의 보조를 실행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S22의 판단이 반복되어서 대기 상태로 된다. 어느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유저가, 셀프 검안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이며, 응답 지시를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하면(S22: "예"), 처리는 S23으로 이행한다.
이어서, CPU(21A)는, 셀프 검안을 보조하는 검자가 사용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2B)와의 사이에서,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개시함으로써, 통화 처리를 개시한다(S23). 그 결과, 피검자와 검자가 회화할 수 있는 상태에서, 이후 설명하는 셀프 검안의 보조 처리가 실행된다. 상세하게는, CPU(21A)는, 마이크(32A)에 의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제2 정보 처리 장치(2B)로 송신한다. 또한, CPU(21A)는, 마이크(32B)를 통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피커(33A)로 출력시킨다. 또한, CPU(21A)는, 음성 데이터와 함께, 화상 데이터를 제2 정보 처리 장치(2B)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해도 된다. 이 경우, CPU(21A)는, 카메라(31A)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제2 정보 처리 장치(2B)로 송신해도 된다. 또한, CPU(21A)는, 카메라(32B)를 통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표시부(35A)에 표시시켜도 된다.
이어서, CPU(21A)는, 셀프 검안 보조 화면(도 3 참조)을 셀프 검안을 보조하는 검자가 사용하는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표시부(35B)에 표시시킨다(S24).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셀프 검안 보조 화면에는, 조작 화상 영역(50) 및 진행 수순 표시 영역(51)이 포함되어 있다.
조작 화상 영역(50)에는, 피검안에 제시시키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의 정보를 포함하는 조작 화상이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의 조작 화상에는,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에 관한 값이, 광학 특성의 종류마다 표시되어 있다. 검자는, 조작 화상 영역(50) 상의 각종 버튼 및 값 등을, 터치 패널 또는 마우스 등의 조작부를 통하여 조작함으로써, 복수의 광학 특성의 종류(구면 도수, 원기둥 도수 및 난시축 각도 등) 중, 원하는 종류에 관한 값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검안이 적절하게 실행되면, 조작 화상에 표시되어 있는 광학 특성의 교정값은, 피검안의 광학 특성의 측정값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진행 수순 표시 영역(51)은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접속된 표시부(35B)에 추가로,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접속된 표시부(35A)에도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의 진행 수순 표시 영역(51)에는, 진행 수순 표시란(52), 경과 시간 표시란(54), 좌우안 표시란(55), 헬프 버튼(56) 및 톱 버튼(57)이 마련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행 수순 표시란(52)에는, 실행 중인 셀프 검안에 대하여 설정된 진행 수순이 표시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진행 수순 전체(즉, 진행 수순에 포함되는 복수의 테스트) 중, 그 시점에서 행해지고 있는 수순이, 화살표(53) 및 굵은 프레임에 의해, 진행 수순 상에서 표시된다.
경과 시간 표시란(54)에는, 실행 중인 셀프 검안이 개시된 이후의 경과 시간이 표시된다. 좌우안 표시란(55)에는, 진행 수순 전체 중, 그 시점에서 행해지고 있는 수순이, 피검자의 좌안 및 우안의 어느 것에 대하여 실행되는 수순인지가 표시된다. 헬프 버튼(56)은 셀프 검안의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를 피검자가 입력할 때에 피검자에 의해 조작된다. 톱 버튼(57)은 진행 수순 표시 영역(51)에 표시되어 있는 화면을, 셀프 검안 프로그램의 톱 화면으로 되돌릴 때에 조작된다.
이후 설명하는 셀프 검안의 보조 중(S24 내지 S4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32A)로부터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입력된 음성 신호가,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스피커(33B)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된다. 또한, 마이크(32B)로부터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된 음성 신호가, 제1 정보 처리 장치(2A)의 스피커(33A)에 의해 음성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검자와 피검자는, 셀프 검안의 보조 중에 회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셀프 검안의 보조 중에는, 제2 정보 처리 장치(2B)를 사용하는 검자는, 조작부(34B) 및 마이크(32B)의 적어도 어느 것에 의해, 셀프 검안을 보조하기 위한 각종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CPU(21A)는, 검자에 의한 수동 보조의 실행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6).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자가 셀프 검안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간접 보조와 수동 보조의 어느 것이 선택된다. 간접 보조란, 셀프 검안 프로그램에 의해 행해지는 셀프 검안을, S3에서 설정된 진행 수순에 따라서 진행시키면서, 검자가 셀프 검안을 간접적으로 보조하는 방법이다. 수동 보조란, 진행 수순에 따라서 행해지는 셀프 검안의 진행 대신에 검자가 입력하는 지시에 따라서 검안을 진행시킴으로써, 셀프 검안을 보조하는 방법이다.
검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간접 보조 및 수동 보조의 어느 것을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실행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셀프 검안 보조 처리의 개시 시에는 간접 보조가 먼저 실행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자각식 검안 장치(1)에 대한 동작 지시, 교정값의 수정 지시, 또는 수순의 생략 지시가, 조작 화상 영역(50) 상의 각종 버튼 등을 통하여 입력됨으로써, 간접 보조로부터 수동 보조로 전환된다. 그러나, 간접 보조와 수동 보조를 전환하는 방법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접 보조와 수동 보조를 전환하기 위한 버튼이, 셀프 검안 보조 화면 상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간접 보조의 실행 중이면(S26: "아니오"), CPU(21A)는,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의 회답이, 검자 또는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7).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접 보조의 실행 중에는, 피검자는,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접속된 조작부(34B)를 조작함으로써, 피검자로부터 청취한 회답을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할 수 있다.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된 회답은, 제2 정보 처리 장치(2A)로 송신된다. 따라서, 셀프 검안에 있어서의 회답 방법 등을 피검자가 파악하지 못한 경우 등이더라도, 셀프 검안의 진행이 적절하게 보조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간접 보조의 실행 중이더라도, 전술한 S7(도 2 참조)과 마찬가지로, 검자는, 시표를 시인한 결과의 회답을 스스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피검자는, 검자로부터 어드바이스를 받아서 회답 방법을 파악한 경우 등에는, 회답을 스스로 입력하여 검안 수순을 진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단, 간접 보조의 실행 중에는,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한쪽이 회답을 접수해도 된다.
피검자의 회답이,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어느 것에도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S27: "아니오"), 처리는 그대로 S38로 이행한다. 피검자의 회답이,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또는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되면(S27: "예"), S8(도 2 참조)과 마찬가지로, 입력된 회답과, 피검안의 광학 특정한 측정값이, 기억 장치(22A)에 기억된다(S28). 이어서, CPU(21A)는, S3(도 2 참조)에서 설정된 진행 수순과, 그 시점에 있어서의 진행 상황에 따라서, 자각식 검안 장치(1)에 대하여 다음으로 실행시키는 시표의 제시 동작을 결정하고, 결정한 제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시 지시 신호(구동 신호)를 자각식 검안 장치(1)로 출력한다(S29). 즉, 셀프 검안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는, 진행 수순을 따른 셀프 검안이, 이후에도 계속된다. 그 후, 처리는 S38로 이행한다.
또한, 간접 보조가 아니라 수동 보조의 실행 중이면(S26: "예"), CPU(21A)는, 진행 수순의 적어도 일부를 검자가 수동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동작 지시가, 검자에 의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1). 검자는, 예를 들어, 셀프 검안 보조 화면(도 3 참조)의 표시 내용, 또는, 피검자와의 사이의 회화에 기초하여, 자각식 검안 장치(1)에 대한 동작 지시(즉, 교정 광학계(11)에 있어서의 광학 소자의 배치 동작의 지시 및 시표 제시부(16)에 있어서의 시표의 제시 동작의 지시의 적어도 어느 것)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자는, 결정한 동작 지시를, 조작부(34B) 등을 통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한다. 입력된 동작 지시는, 네트워크(5)를 통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의해 취득된다. 동작 지시가 입력 및 취득되면(S31: "예"), CPU(21A)는, 지시된 동작을 자각식 검안 장치(1)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시 지시 신호(구동 신호)를 자각식 검안 장치(1)로 송신한다(S32).
이어서, CPU(21A)는, 셀프 검안에 의해 S8(도 2 참조) 또는 S28에서 기억된 교정값의 수정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3). 검자는, 셀프 검안 보조 화면(도 3 참조)에 표시된 교정값(측정값)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수정이 필요한 교정값의 수정 지시를, 조작부(34B) 등을 통하여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한다. 입력된 수정 지시는, 네트워크(5)를 통하여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의해 취득된다. 수정 지시가 입력 및 취득되면(S33: "예"), CPU(21A)는, 지시에 따라서 교정값을 수정한다(S34).
이어서, CPU(21A)는, 진행 수순의 적어도 일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테스트의 적어도 어느 것)의 생략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5). CPU(21A)는, 제2 정보 처리 장치(2B) 및 네트워크(5)를 통하여 생략 지시를 입력하면(S35: "예"), 진행 수순에 포함되는 복수의 테스트 중, 지시된 테스트를, 진행 수순으로부터 생략한다(S36). 그 후, 처리는 S38로 이행한다.
이어서, CPU(21A)는, 피검자에 대한 일련의 검안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8). 예를 들어, CPU(21A)는, 진행 수순에 따라서 실행되는 셀프 검안이 완료된 경우에, 일련의 검안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해도 된다. 또한, CPU(21A)는, 피검자에 대한 검안을 종료시키는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일련의 검안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해도 된다. 일련의 검안이 완료된 경우에는(S38: "예"), 처리는 종료한다.
이어서, CPU(21A)는, 셀프 검안의 계속 재개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9). 계속 재개 지시란, S3(도 2 참조)에서 설정된 진행 수순 중, 이미 검안이 완료된 수순의 다음 수순으로부터,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지시이다. 예를 들어, CPU(21A)는, 계속 재개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피검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 등에, 계속 재개 지시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해도 된다. 제2 정보 처리 장치(2B) 및 네트워크(5)를 통하여 계속 재개 지시가 입력되면(S39: "예"), CPU(21A)는,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재개 수순을, 진행 수순 중, 이미 검안이 완료된 수순의 다음 수순으로 설정하고(S40), 처리는 검안 제어 처리(도 2 참조)로 되돌아간다. 그 후의 S5 내지 S9의 처리에서는, S40에서 설정된 재개 수순으로부터 셀프 검안이 재개된다. 계속 재개 지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S39: "아니오"), 처리는 그대로 S42로 이행한다.
이어서, CPU(21A)는, 셀프 검안의 지정 재개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2). 지정 재개 지시란, S3(도 2 참조)에서 설정된 진행 수순 중, 검자에 의해 지정된 수순으로부터,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지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자는, 셀프 검안 보조 화면의 진행 수순 표시란(52)(도 3 참조)에 표시된 진행 수순 상에서,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재개 수순을 지정함으로써, 지정 재개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자는,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 등을 사용하여, 지정 재개 지시의 입력을 행한다. 또한, 진행 수순에 따라서 이미 행해진 셀프 검안의 결과를 소거하고, 진행 수순의 처음부터 셀프 검안을 다시 하기 위한 지정 재개 지시 버튼(리셋 버튼)이 셀프 검안 보조 화면 등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정보 처리 장치(2) 및 네트워크(5)를 통하여 지정 재개 지시가 입력되면(S42: "예"), CPU(21A)는,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재개 수순을, 진행 수순 중, 지정 재개 지시에 의해 지정된 수순으로 설정하고(S43), 처리는 검안 제어 처리(도 2 참조)로 되돌아간다. 그 후의 S5 내지 S9의 처리에서는, S43에서 설정된 재개 수순으로부터 셀프 검안이 재개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개시된 기술은 일례에 지나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기술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기술의 일부만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서, 상기 실시 형태의 자각식 검안 시스템(100)은 셀프 검안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S11: "예", 또는 S12: "예"), 검자 호출 처리(S21) 및 검자에 의한 셀프 검안의 보조 처리(S23 내지 S43)를 모두 실행한다. 그러나, 자각식 검안 시스템(100)은 검자 호출 처리 및 검자에 의한 보조 처리의 한쪽만을 실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검자 호출 처리에 의해 검자가 호출되는 것 뿐이더라도, 셀프 검안은 적절하게 보조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정보 처리 장치(2B)가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접속된 상태에서, 셀프 검안이 개시된다. 그러나,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후에(S11: "예", 또는 S12: "예"), 제2 정보 처리 장치(2B)가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접속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셀프 검안 보조 처리(도 4 참조)는 원격지에 배치된 제2 정보 처리 장치(2B)에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실행된다. 그러나, 셀프 검안 보조 처리는,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직접 입력되는 지시(예를 들어, 검자가 조작부(34A)를 조작함으로써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입력되는 지시 등)에 따라서 실행되어도 된다. 즉, 자각식 검안 장치(1)가 설치된 장소에 있는 검자가, 셀프 검안을 보조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해도 된다. 또한,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2B) 중 양쪽이, 셀프 검안을 보조하기 위한 지시 입력을 접수해도 된다. 이 경우, 검자는, 자각식 검안 장치(1)가 설치된 장소 및 원격지의 어느 것이더라도, 셀프 검안을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셀프 검안을 보조하기 위한 지시가, 제1 정보 처리 장치(2A)를 통하여 입력되는 경우에는, S21(도 4 참조)에서 검자를 호출하는 처리는, 제1 정보 처리 장치(2A)에 있어서 실행되어도 되고, 제1 정보 처리 장치(2A) 및 제2 정보 처리 장치(2B)의 양쪽에 있어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도 2의 S5 및 도 4의 SS29에 있어서,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제시 지시 신호를 자각식 검안 장치(1)로 출력하는 처리는, 「셀프 검안 진행 스텝」의 일례이다. 도 2의 S7 및 도 4의 S27에서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을 취득하는 처리는, 「회답 취득 스텝」의 일례이다. 도 2의 S8 및 도 4의 S28에서 교정값을 기억하는 처리는, 「교정값 기억 스텝」의 일례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셀프 검안 보조 처리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의 일례이다. 도 4의 S31, S32에서 동작 지시에 따라서 제시 지시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는, 「수동 진행 스텝」의 일례이다. 도 4의 S33, S34에서 교정값을 수정하는 처리는, 「교정값 수정 스텝」의 일례이다. 도 4의 S35, S36에서 진행 수순을 생략하는 처리는, 「수순 생략 스텝」의 일례이다. 도 4의 S27에서, 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피검자의 회답을 취득하는 처리는, 「대리 회답 취득 스텝」의 일례이다. 도 4의 S39, S40에서 셀프 검안을 다음 수순으로부터 재개시키는 처리는, 「계속 재개 스텝」의 일례이다. 도 4의 S42, S43에서, 검자에 의해 지정된 수순으로부터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처리는, 「지정 재개 스텝」의 일례이다. 도 4의 S33, S34에서 셀프 검안을 재개시키는 처리는, 「셀프 검안 재개 스텝」의 일례이다. 도 4의 S24에서 진행 수순을 표시시키는 처리는, 「수순 표시 스텝」의 일례이다.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는 검사 타이밍의 설정>
이하, 검자 호출 처리가 실행될 때의 실시예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검자용 컨트롤러에 마련된 헬프 버튼(70)(예를 들어, 도 5 참조)이 피검자에 의해 조작되면,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고, 검자 호출 동작을 실행한다.
<검자 호출>
CPU(21A)는, 검자 호출 동작으로서, 예를 들어, 검자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표시를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부(35A)와 표시부(35B)의 적어도 어느 것)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호출 표시의 표시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검자를 호출하기 위한 메시지(예를 들어, 도 6의 HELP 표시(58a)), 검자를 호출하기 위한 마크(예를 들어, 도 6의 마크(58b) 참조)의 적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화면을 점멸시키는, 표시 화면의 배경을 변화시키는 등의 다양한 변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호출 표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로서는, 표시부(35A), 표시부(35B)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검안 장치 본체를 갖는 시설 내에 설치된 거치형의 디스플레이(표시부(35A)와는 다른 디스플레이)여도 되고, 시설 내의 스탭이 보유하는 태블릿,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표시부(35A)와는 다른 디스플레이)여도 된다. 물론, 원격지에서 사용되는 표시부(35B)와는 다른 디스플레이여도, 본 실시예의 적용은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로서는, 범용의 디스플레이가 아니라, 검자에 의해 조작되는 검자용 컨트롤러(예를 들어, 도 5의 검자용 컨트롤러(76), 조작부(34B) 참조)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CPU(21A)는, 검자 호출 동작으로서, 예를 들어, 검자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음성을 음성 발생부를 통하여 발생시키게 해도 된다. 음성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어, 특정한 검자의 이름을 호출한다는 취지의 음성이어도 되고, 자각식 검안 장치 본체에 검자가 이동한다는 취지의 음성이어도 된다. 또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호출 실행 지시에 따라, 단순한 비프음이 출력되어도 된다.
또한,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출력하게 해도 된다(예를 들어, 도 6의 시간 표시(59) 참조). 예를 들어, CPU(21A)는, 검자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표시와 함께, 경과 시간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부터의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경과 시간을 출력해도 된다. 또한, 경과 시간의 표시 형태로서는, 숫자에 의한 표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경과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는 그래픽(예를 들어, 인디케이터) 등에 의해 표현되어도 된다. 또한, 출력 방식으로서는, 표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경과 시간을 음성으로서 출력하게 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경과 시간이 출력됨으로써,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경과가 가시화되어, 검안의 보조를 가능한 한 빨리 행하기 위한 동기 부여가 된다. 또한, 보조를 행하는 검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적절한 코멘트를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로부터의 시간이 비교적 긴 경우에는,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등의 코멘트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검자는, 경과 시간(대기 시간)이 긴 피검자부터 대응한다고 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CPU(21A)는,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것을 검지한 경우,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통보(알림) 내용을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호출 표시의 표시 형태(예를 들어, 색의 변화, 상시 점등→점멸 등)가 변경되어도 된다. 또한,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호출 시의 음성이 커지게 해도 된다.
또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출력하는 경우, CPU(21A)는, 당해 경과 시간을 통계적으로 출력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CPU(21A)는, 피검자마다의 경과 시간을 표 형식 또는 그래프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시설마다의 경과 시간, 검자마다의 경과 시간을 계측해 두고, 이들을 표 형식 또는 그래프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하면, 호출 실행 지시에 대하여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지 등을 통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시설 단위에 의한 평가, 검자 단위에 의한 평가 등을 통해서, 개별적인 개선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셀프 검안의 진행 정지>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 셀프 검안의 진행을 일단 정지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CPU(21A)는,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 당해 검사의 진행을 정지시킨다. 일례로서는,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부터의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을 접수하지 않고, 셀프 검안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다음 교정값 및 시표로의 전환을 행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상태(예를 들어, 교정값 및 시표)가 유지되므로, 검자에 의한 보조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호출 실행 지시가 행해진 후, 셀프 검안 중에 발생하는 문제가 해소되어 있지 않은 채 검사가 진행해버려, 잘못된 검사 결과가 취득될 가능성을 사전에 회피할 수 있다. 기타, 피검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검자에 의한 보조를 행할 때의 검사에 집중하여 임할 수 있다.
피검자로부터의 회답을 접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보다도 후에, 피검자용 컨트롤러(34A)로부터 입력되는 회답의 입력을 제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CPU(21A)는, 피검자용 컨트롤러(34A)로부터의 회답 신호의 입력을 차단해도 되고, 회답 신호는 접수하더라도, 셀프 검안의 진행에 관여시키지 않고 무시해도 된다. 이 경우, 피검자용 컨트롤러(34A)의 모든 조작이 제한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방향을 입력하는 입력부(예를 들어, 조이 스틱), 시표에 대한 시인의 가부를 입력하는 입력부 등의, 피검자의 회답에 관한 입력이 제한되어도 된다.
또한, 교정값 및 시표의 전환을 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회답 입력을 제한해도 되지만, 셀프 검안 프로그램의 설정대로로는, CPU(21A)는, 일정 시간, 무회답이었을 경우, 시인 불가로 간주하고, 다음 교정값 및 시표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부터의 교정값 및 시표의 전환을 제한함으로써,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부터 검사 상태가 바뀌어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를 표시하는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판별할 수 있도록 판별 표시를 행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다른 검사 항목에 대하여 강조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예를 들어, 도 6의 굵은 프레임 표시, 화살표(53) 참조). 다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호출 실행 지시의 표시에 대응지어서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를 나타내는 표시(예를 들어, HELP 표시(58a), 마크(58b))에 대하여 중첩하여 당해 검사 항목이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판별 표시의 표시 형태는, 여러가지 변용이 가능하고,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판별 표시에 의하면, 검자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므로, 검자에 의한 보조 동작을 행할 때, 검사 항목의 사정을 근거로 한 대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예를 들어, 전술한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에서의 보조 동작을 참조하기 바란다).
또한,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부(35A), 표시부(35B), 검자용 컨트롤러(76)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어느 것)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이에 의해, 검자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추가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교정값 및 시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검안 보조를 행할 때의 대처(예를 들어, 교정값, 시표의 선택)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셀프 검안의 진행을 일단 정지하는 경우,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했을 때에, 셀프 검안의 진행을 바로 정지시킴으로써, 셀프 검안의 진행을 바로 회피할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셀프 검안의 진행을 정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 CPU(21A)는,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검자용 컨트롤러(예를 들어, 도 5의 검자용 컨트롤러(76), 조작부(34B) 참조)로부터의 응답이 있었을 경우에, 셀프 검안의 진행을 정지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소정 시간은, 셀프 검안의 프로그램 내용, 검사 항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되면 된다.
또한,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 호출 실행 지시가 행해지고 있다는 취지를 시표 제시부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피검자는, 검자의 호출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검자에 의한 보조 동작>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CPU(21A)는, 검자용 컨트롤러(예를 들어, 검자용 컨트롤러(76), 조작부(34B))로부터의 입력 제한을 해제해도 된다. 이 경우,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는,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고,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제한을 해제하도록 해도 된다.
조작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는 경우, 교정 광학계(11) 또는 시표 제시부(16)의 적어도 어느 것을 동작시키기 위한 검자로부터의 조작 입력, 검자에 의한 피검자의 회답 입력의 어느 쪽인가 적어도 한쪽의 입력을 제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입력 제한을 행하는 경우, 피검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차단해도 되고, 회답 자체는 접수하더라도 셀프 검안의 진행에 관여시키지 않도록(무시하도록) 해도 된다.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검자용 컨트롤러의 조작 입력이 제한됨으로써, 셀프 검안의 진행 중에 있어서는,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이 무효가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검자가 갑자기 검자용 컨트롤러를 조작해버려, 셀프 검안의 프로그램 수순에 반하여, 회답이 입력되거나, 교정값, 시표 등이 전환되어버리는 것을 사전에 회피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자용 컨트롤러의 모든 조작이 제한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검자에 의한 보조를 강제적으로 행하기 위한 강제 보조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피검자에 대하여 음성, 문자 등에 의해 조언을 행하기 위한 입력부, 등은,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되기보다도 전단계에 있어서도, 입력이 제한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제한이 해제됨으로써, 검자용 컨트롤러의 조작이 유효해진다. 이에 의해, 검자는, 검자용 컨트롤러를 조작하고, 피검자에 대한 검안의 보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검자는, 피검자의 구두로의 회답을 검자용 컨트롤러에 입력하거나, 시표를 변경하거나, 교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경우,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제한을 바로 해제시킴으로써, 검안의 보조를 빠르게 행할 수 있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제한을 해제시켜도 된다. 또한, CPU(21A)는, 예를 들어, 검안 보조에 대응한다는 취지의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응답이 있었을 경우,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제한을 해제시켜도 된다.
검자에 의해 보조 동작이 행해지는 수순으로서는, 예를 들어, 검자를 호출하기 위한 통보(알림) 동작이 행해지고, 당해 피검자에 대한 검안 보조를 검자가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되면, 검자는, 검안 보조에 대응한다는 취지의 응답 스위치를 조작한다. 응답 스위치가 눌리면, CPU(21A)는, 검자 호출 동작을 종료한다. 응답 스위치로서는, 도 6과 같이 마크(58b)를 겸용해도 되고, 마크(58b)가 터치되었을 때, 검자에 의한 응답 신호가 입력되어도 된다. 물론, 응답 스위치의 형태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물리적인 스위치가 마련되어도 된다.
검자는, 검자에 의한 피검자에 대한 보조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부(35A), 표시부(35B), 검자용 컨트롤러(76)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어느 것)의 표시 화면을 보면서, 검자용 컨트롤러를 조작해도 된다. 예를 들어, CPU(21A)는, 셀프 검안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복수의 검사 항목이 배열된 플로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켜도 된다(예를 들어, 도 6 참조). 예를 들어, 검자는, 표시 화면 상에서 원하는 검사 항목을 검자용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선택함으로써, 검안 보조를 행하는 검사 항목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자는, 선택된 검사 항목에서의 검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셀프 검안 보조 스텝에 있어서,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 셀프 검안의 진행을 정지시킴으로써,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이 유지되므로, 그 결과,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검사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검자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관한 판별 표시를 이용함으로써, 검안 보조를 행하는 검사 항목으로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대하여 검사 타이밍이 설정된다.
이 경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 정지된 검사 항목으로부터 검안 보조를 실시할 수 있는 것에 의해, 셀프 검안 중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검사 항목에서의 검안 보조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검자는, 호출 실행 지시가 행해진 시점에서의 검사에 대한 피검자의 기억을 더듬어 가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즉, 당해 검사 항목에서의 회답 방법을 알수 없었던 경우에는, 회답 방법에 대하여 보충 설명을 행할 수 있고, 시표가 전혀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검사창을 들여다 보는 방법 등을 어드바이스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의 자각값에 대하여 교정값이 크게 벗어나 버려 있는 경우에, 교정값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후에, 셀프 검사가 진행해버릴 경우,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검사 항목과는 다른 별도의 검사로 이행될 가능성도 생각되어, 문제가 발생한 검사 항목에 대한 대처를 적절하게 실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검사 항목에 있어서 검사가 더욱 진행하여, 피검자의 적정한 자각값에 대하여 교정값이 크게 벗어나버려, 당해 검사를 적정하게 완료시킬 때까지 필요 이상으로 시간을 요하는 것도 상정된다. 이에 대해, 일시 정지에 의한 검안 타이밍의 설정이 행해짐으로써, 당해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대해서, 검사 항목의 선택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도, 검자에 의한 검사가 개시되어도 되고, 예를 들어,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부(35A), 표시부(35B), 검자용 컨트롤러(76)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어느 것)에 표시시켜 두고,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회답의 입력을 접수해도 되고, 시표 및 교정값을 변경해도 된다.
<변용예>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 셀프 검안의 진행을 일단 정지시킴으로써,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검사 타이밍을 설정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셀프 검안 보조 스텝에 있어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기억 장치(22A)에 기억시켜 두고, 기억 장치(22A)에 기억된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기초하여,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검사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기억 장치(22A)에 기억시켜 두고, 기억 장치(22A)에 기억된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기초하여,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이 판별할 수 있는 판별 표시를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부(35A), 표시부(35B), 검자용 컨트롤러(76)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어느 것)에 행해도 된다. 검자는, 당해 판별 표시에 기초하여,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검사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CPU(21A)는, 검자로부터의 소정의 조작 입력을 접수했을 때, 기억 장치(22A)에 기억된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기초하여, 당해 검사 항목을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부(35A), 표시부(35B), 검자용 컨트롤러(76)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어느 것)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화면 표시에 기초하여 검사 타이밍이 설정되지 않더라도, CPU(21A)는,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피검자에 대한 보조가 행해질 때, 기억 장치(22A)에 기억된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기초하여,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검사 타이밍을 자동적으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변용예에 있어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 셀프 검안의 진행을 일단 정지시키지 않고, 셀프 검안을 굳이 진행시켜도 된다. 이 경우, 가령 검사가 적절하게 행해지면, 검자의 보조가 개시될 때까지, 보다 많은 검사 결과를 얻어져서, 검사 시간 전체를 단축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단, 잘못된 검사 결과를 얻어버릴 가능성도 있어서, 검사의 난이도 등을 근거로 하여, 실시의 유무를 검토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시표 및 교정값을 설정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대응하는 시표 및 교정값이 설정됨으로써, 검안의 보조를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CPU(21A)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검사 개시 시의 시표 및 교정값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CPU(21A)는, 검사 개시 시의 시표 및 교정값을 기억 장치(22A)에 미리 기억해 둠으로써, 검사 개시 시의 시표 및 교정값으로 설정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가 부적절하게 행해진 경우, 검사를 일단 리셋하고, 검사 개시 시점부터 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당해 검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예를 들어, 피검자의 셀프 검사에 의해, 교정값이 자각값에 대하여 크게 벗어나버린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검사 개시 시의 시표 및 교정값은, 반드시 완전히 동일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검사 개시 시와 동일 시력값의 다른 검사 시표여도 되고, 교정값에 있어서도, 구면 도수는, 검사 개시 시와 동일하며, 난시축과 난시축 각도는, 검사 개시 시와 다른 값이어도 된다. 또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시표 및 교정값을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반드시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아도 된다.
또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되기 전에 있어서, 셀프 검안의 진행 상황(예를 들어, 제시 시표, 교정값, 회답 내용, 등)을 검자가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화면이 표시 장치(예를 들어, 표시부(35A), 표시부(35B), 검자용 컨트롤러(76)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어느 것)에 표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검자는, 제시 시표 및 교정값을 수시 감시함으로써, 셀프 검안의 진행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피검자에 의한 회답 내용이 표시됨으로써, 피검자의 회답 상황이 적절한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 모니터링 화면에 있어서, 검자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표시가 행해져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되는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검사 타이밍이 설정되어, 검안이 보조될 때, 검자는, 셀프 검안의 진행 상황을 사전에 파악한 뒤에, 피검자에 대한 검안의 보조를 개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절한 보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을 설정했지만,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과는 다른 검사 항목에,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이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셀프 검안에 있어서,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에 있어서의 난시축 검사를 행하고 있었을 때에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검자에 의한 보조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어,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에 있어서의 난시 도수의 검사로부터 검사를 개시한 편이 좋은 경우가 생각된다. 이 경우, 셀프 검안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복수의 검사 항목이 배열된 플로가 표시되고, 표시 화면 상에서 원하는 검사 항목(예를 들어, 크로스 실린더 테스트 난시 도수 검사)이 검자용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선택됨으로써, 검자에 의한 보조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호출 실행 지시로서, 검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을 실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보조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이면 된다. 보조자로서는, 예를 들어, 자각 검사를 행하는 검자 외에, 검사를 행하지 않는 스탭, 피검자의 도움 등도 포함된다. 스탭, 도움에 대한 호출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검안의 보조가 필요하다는 취지가 통보되므로, 자각 검사를 행할 수 있는 검자를, 당해 스탭 등을 통하여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스탭이더라도, 검안 장치 본체와 피검자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는 등의, 일정한 조언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이 있었을 경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검사 타이밍을 설정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PU(21A)는, 실행되고 있는 셀프 검안의 상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한 경우, 실행되고 있는 셀프 검안의 상황이 소정의 조건을 충족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검사 타이밍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피검자에게 어떠한 문제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는 조건을 충족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으로부터, 피검자에 대한 검안의 보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후, 피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피검자에 의한 회답의 입력을 제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검자에 의한 검안 보조가 행해질 때,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제한 해제의 입력이 접수됨으로써, 피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피검자에 의한 회답의 입력 제한이 해제되어도 된다. 이 경우, 검자는, 피검자에 대한 회답 입력 방법의 트레이닝, 회답 입력의 적합 여부의 확인을 행할 수 있고, 그 후, 일시정지된 셀프 검안을 재개시킬 수 있다.
1: 자각식 검안 장치
2A: 제1 정보 처리 장치
2B: 제2 정보 처리 장치
5: 네트워크
10: 안굴절력 측정 유닛
11: 교정 광학계
15: 시표 제시 유닛
16: 시표 제시부
21A, 21B: CPU
22A, 22B: 기억 장치
100: 자각식 검안 시스템

Claims (13)

  1.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키는 교정 광학계와, 피검안에 시표를 제시하는 시표 제시부를 갖고,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각식 검안 장치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를 구비한 자각식 검안 시스템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키는 셀프 검안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셀프 검안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적어도,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사 항목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교정 광학계와 상기 시표 제시부를 제어하는 셀프 검안 진행 스텝과,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답을 취득하는 회답 취득 스텝과,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
    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보조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인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상기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상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호출 동작을 실행하는 호출 실행 스텝과,
    상기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상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서 상기 보조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을 설정하는 검사 타이밍 설정 스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을 일단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상기 검사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을 기억부에 기억시켜 두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검사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상기 검사 타이밍을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답 취득 스텝은,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보다도 후에 입력되는 회답의 입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는, 보조자인 검자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고,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조작 입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출력하는 출력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인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 보조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시표를 상기 시표 제시부에 제시시키고,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교정값을 상기 교정 광학계에 설정시키는,
    것의 적어도 어느 것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 보조 동작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검사 개시 시의 시표를 상기 시표 제시부에 제시시키고,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 있어서의 검사 개시 시의 교정값을 상기 교정 광학계에 설정시키는,
    것의 적어도 어느 것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10.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키는 교정 광학계와, 피검안에 시표를 제시하는 시표 제시부를 갖고,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각식 검안 장치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를 구비한 자각식 검안 시스템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키는 셀프 검안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셀프 검안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적어도,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사 항목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교정 광학계와 상기 시표 제시부를 제어하는 셀프 검안 진행 스텝과,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답을 취득하는 회답 취득 스텝과,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
    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상기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회답 취득 스텝은, 상기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보다도 후에 입력되는 회답의 입력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11.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키는 교정 광학계와, 피검안에 시표를 제시하는 시표 제시부를 갖고,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각식 검안 장치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를 구비한 자각식 검안 시스템의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키는 셀프 검안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셀프 검안 프로그램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적어도,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사 항목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교정 광학계와 상기 시표 제시부를 제어하는 셀프 검안 진행 스텝과,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답을 취득하는 회답 취득 스텝과,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
    이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이며,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은,
    상기 보조 동작의 실행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실행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는, 보조자인 검자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적어도 일부를 제한하고,
    상기 실행 지시가 입력된 경우, 상기 검자용 컨트롤러로부터의 상기 조작 입력의 제한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 제어 프로그램
  12. 피검안에 제시되는 시표 광속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키는 교정 광학계와, 피검안에 시표를 제시하는 시표 제시부를 갖고, 피검안의 광학 특성을 자각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각식 검안 장치와,
    상기 자각식 검안 장치에 접속되는 제1 정보 처리 장치
    를 구비한 자각식 검안 시스템이며,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는,
    피검자에 의해 입력된 회답에 기초하여 검안을 자동적으로 진행시키는 셀프 검안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하고,
    상기 셀프 검안 프로그램은,
    적어도,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셀프 검안의 진행 수순에 기초하여, 복수의 검사 항목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교정 광학계와 상기 시표 제시부를 제어하는 셀프 검안 진행 스텝과,
    제시된 시표를 시인한 피검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답을 취득하는 회답 취득 스텝과,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셀프 검안의 진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동작을 실행하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이며,
    보조자를 호출하는 호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지시인 호출 실행 지시의 입력을 피검자로부터 접수하는 접수 스텝과,
    상기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상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호출 동작을 실행하는 호출 실행 스텝과,
    상기 접수 스텝에 있어서 접수된 상기 호출 실행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호출 실행 지시가 입력된 시점에서의 검사 항목에서 상기 보조 동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동작을 개시할 때의 검사 타이밍을 설정하는 검사 타이밍 설정 스텝을 포함하는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각식 검안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인 제2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셀프 검안 보조 스텝이, 상기 제2 정보 처리 장치에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각식 검안 시스템.
KR1020237016337A 2020-11-20 2021-11-15 검안 제어 프로그램 및 자각식 검안 시스템 KR20230109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93730 2020-11-20
JPJP-P-2020-193730 2020-11-20
JPJP-P-2020-201880 2020-12-04
JP2020201880 2020-12-04
JPPCT/JP2021/037111 2021-10-07
PCT/JP2021/037111 WO2022107477A1 (ja) 2020-11-20 2021-10-07 検眼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自覚式検眼システム
PCT/JP2021/041922 WO2022107722A1 (ja) 2020-11-20 2021-11-15 検眼制御プログラム及び自覚式検眼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632A true KR20230109632A (ko) 2023-07-20

Family

ID=81708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337A KR20230109632A (ko) 2020-11-20 2021-11-15 검안 제어 프로그램 및 자각식 검안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230284896A1 (ko)
EP (2) EP4248838A1 (ko)
JP (1) JPWO2022107722A1 (ko)
KR (1) KR20230109632A (ko)
WO (1) WO202210772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8712A (ja) 2018-08-02 2020-02-06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913A (ja) * 1992-12-24 1994-07-12 Canon Inc 眼底カメラ
JP2008054928A (ja) * 2006-08-31 2008-03-13 Nidek Co Ltd 眼底撮影装置
JP2017143992A (ja) * 2016-02-16 2017-08-24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検査システム及び眼科検査装置
JP7016233B2 (ja) * 2017-09-28 2022-02-04 株式会社トプコン 検眼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8712A (ja) 2018-08-02 2020-02-06 株式会社ニデック 自覚式検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4896A1 (en) 2023-09-14
WO2022107722A1 (ja) 2022-05-27
EP4248839A1 (en) 2023-09-27
EP4248838A1 (en) 2023-09-27
JPWO2022107722A1 (ko) 2022-05-27
US20230284895A1 (en)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5941B2 (ja) 検眼装置
JP2020195795A (ja) 眼科装置
JP6295535B2 (ja) 検眼装置
JP2017143992A (ja) 眼科検査システム及び眼科検査装置
KR20130061573A (ko) 자동차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력검사 시스템 및 방법
EP4008238A1 (en) Optometry control program and subjective optometry system
WO2015102092A1 (ja) 眼科装置
KR20230109632A (ko) 검안 제어 프로그램 및 자각식 검안 시스템
JP7016233B2 (ja) 検眼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57410B2 (ja) 眼科検査システム
CN116615133A (zh) 验光控制程序以及主觉式验光系统
WO2022107477A1 (ja) 検眼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自覚式検眼システム
JP4795002B2 (ja) 眼科測定装置
JP2021159285A (ja) 検眼システムおよび検眼プログラム
WO2020137544A1 (ja) 視野検査装置
JP6967928B2 (ja) 検眼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72285A (ja) 検眼装置
WO2021200605A1 (ja) 検眼システム、検眼用コントローラ、および検眼プログラム
CN116528745A (zh) 验光控制程序以及主觉式验光系统
US20220095908A1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subjective optometry system
US11771316B2 (en) Method for ophthalmic examination and remote examination program
JP2023142781A (ja) 眼科システム
JP3547217B2 (ja) 検眼装置
JP2004000810A (ja) 検眼装置
JPH08266467A (ja) 検眼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