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599A - 드레인 밸브 - Google Patents

드레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599A
KR20230109599A KR1020230087314A KR20230087314A KR20230109599A KR 20230109599 A KR20230109599 A KR 20230109599A KR 1020230087314 A KR1020230087314 A KR 1020230087314A KR 20230087314 A KR20230087314 A KR 20230087314A KR 20230109599 A KR20230109599 A KR 20230109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valve
drain
conne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94531B1 (ko
Inventor
권영규
Original Assignee
권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규 filed Critical 권영규
Publication of KR2023010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94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94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과압배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정비성이 개선되고 설치과정에서 작업시간 및 비용이 절약되는 드레인 밸브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밸브의 일측에 결합되는 드레인 밸브는 일단이 상기 알람밸브에 연통되게 결합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통 또는 차단되도록 결합되는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테스트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테스트밸브와 연통되는 제1 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밸브의 구동으로 상기 제1 관 및 상기 배수부가 서로 연통 또는 차단시킨다.

Description

드레인 밸브{DRAIN VALV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 소화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소방용 배관에 있어서 유체의 흐름 중에 유로 저항이 변화되면 유체의 압력이 변하면서 큰 수격이 발생된다. 예를 들어 넓은 유로에서 좁은 유로로 소화액이 진입되거나 1차측 유로와 2차측 유로 사이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가 개방되면 수력도약에 의한 수격 현상에 의하여 충격파와 소음이 발생된다.
수격 현상은 배관의 밸브를 개폐할 때 배관 내의 수압의 급격한 상승으로 발생되는 충격파가 배관을 따라 전달되면서 소음과 진동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하는데 수격 현상에 의해 주위 구조물 및 시스템의 고장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2차측 알람밸브와 연통되는 과압배출장치를 사용하여 필요 이상의 수압이 알람밸브의 내부에 발생되면 상시 소화수가 충수되어 있는 상태에서 주 펌프의 기동에 따라 2차측에 발생된 과도한 수압이 과압배출장치 및 상기 과압배출장치와 연결된 드레인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스프링클러 헤드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기존의 과압배출장치는 알람밸브에 고정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탈부착이 난해하므로 정비편의성이 낮고 알람밸브와 연결시키기 위해 별도의 파이프 등의 설치비용이 증가되며 과압배출장치를 분리시키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소화수 배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기존의 드레인 밸브는 알람밸브의 상부에 연결되어 스프링클러로 연장되는 관이 다시 절곡되어 드레인 밸브의 상부에 연결되는데, 별도의 배관 설치가 필요하여 제조비용 및 설치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51906호는 드레인 밸브에 다수개의 연결구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유수검지 확인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6742호는 사이트 글라스를 갖는 드레인 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알람밸브에 연결되는 배관을 감소시키거나 과압배출장치를 분리시켜 정비성을 개선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51906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6742호
과압배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정비성이 개선되고 설치과정에서 작업시간 및 비용이 절약되는 드레인 밸브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방용 배관 상에서 알람밸브의 일측에 결합되는 드레인 밸브는 일단이 상기 알람밸브에 연통되게 결합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통 또는 차단되도록 결합되는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테스트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테스트밸브와 연통되는 제1 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밸브의 구동으로 상기 제1 관 및 상기 배수부가 서로 연통 또는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관과 분리되고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측면관 및 상기 측면관 및 배수부를 연결하는 제2 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측면관의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한 수압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제2 관 및 연결관을 연결시키도록 형성되는 과압배출밸브를 구비하는 과압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밸브는 상기 측면관 및 연결관 사이에 결합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측면관 및 연결관을 서로 연통 또는 차단시키도록 형성되는 니들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밸브의 일측에 연통되어 결합된 드레인 밸브에는 과압배출부가 드레인 밸브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정비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드레인 밸브에 설치된 과압배출부와 드레인 밸브 사이에는 니들밸브가 부착되어 과압배출밸브를 드레인 밸브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드레인 밸브의 내부에 충수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드레인 밸브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3은 도 1의 드레인 밸브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도 3의 드레인 밸브를 IV-IV'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드레인 밸브를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밸브(100)는 연결부(150), 과압배출부(200), 니들밸브(300), 배수부(400) 및 테스트밸브(600)를 포함한다.
알람밸브(50)의 상부 개구부는 2차측 유입구로서 배관(11)을 통해 스프링클러(13)들과 연결되고, 알람밸브(50)의 하부 개구부는 배관을 통해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연결된다.
배관(11) 및 알람밸브(50)의 내부에 위치한 소화수는 스프링클러(13)까지 충수되고, 테스트밸브(600)의 구동에 의해 알람밸브(50)의 내부에 충수된 소화수는 배수부(4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알람밸브(50)가 구동된다.
테스트밸브(600)의 구동에 의해 배관(11) 내부의 소화수는 알람밸브(50)의 내부를 거쳐 드레인 밸브(1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드레인 밸브(100)를 지나 배수구로 이동된다.
따라서, 드레인 밸브(100)는 연결배관(14) 대신에 배관(11) 및 알람밸브(50)로부터 유입되는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기존의 연결배관(14)의 설치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드레인 밸브(100)는 연결부(150), 과압배출부(200), 배수부(400) 및 테스트밸브(600)를 포함한다.
연결부(150)는 연결관(152), 제1 관(153), 측면관(154) 및 제2 관(156)을 포함한다.
연결부(150)의 일단은 내부공간이 알람밸브(5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알람밸브(5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타단은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배수부(400)와 연결되며, 상부에는 과압배출부(200)가 결합된다.
연결관(152)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연장되어 알람밸브(5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배수부(400)와 결합된다.
측면관(154)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수직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연결관(152)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연결관(152)의 외측 상부에 결합된다.
측면관(154)의 타단은 일단에서 파이프 형태를 유지하면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고, 내부공간은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연결관(152) 및 알람밸브(50)의 내부공간이 측면관(154)을 통해 외부공간과 연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153)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관(154)의 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연결관(152)과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제1 관(153)의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파이프 형태로 일측을 향해 연장되고, 테스트밸브(600)의 타측에서 테스트밸브(600)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제2 관(156)의 일단은 파이프 형태로 측면관(154)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측면관(154)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수부(400)와 결합된다.
연결관(152), 제1 관(153), 측면관(154) 및 제2 관(156)은 서로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일측에 연결되는 배수부(400) 및 테스트밸브(600) 역시 연결부(150)와 연결되어 서로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과압배출부(200)는 과압배출밸브(240)를 포함한다.
과압배출부(200)의 일단은 측면관(154)의 내부공간에서 측면관(154)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연결관(152)의 내부공간을 외부공간으로부터 차단한다.
연결관(152)에서 소정 이상의 수압이 발생되어 과압배출부(200)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탄성 이동되면 연결관(152) 및 제2 관(156)이 일시적으로 연통되고, 연결관(152) 내부의 공기 또는 소화수가 제2 관(156)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과압배출밸브(240)는 바디(241), 볼트(245), 스프링(246), 디스크(247) 및 패킹(248)을 포함한다.
과압배출밸브(240)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외경이 확장된 원통 형태로 상부를 향해 측면관(154)의 상부면까지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바디(241)의 일단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측면관(154)의 내부에서 바디(241)의 외측면은 바디(241)를 둘러싸는 오링들을 사이에 두고 측면관(154)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바디(241)의 타단은 측면관(154)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확장된 원통 형태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측면관(154)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에서 외측에 돌출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플랜지를 통해 측면관(154)과 볼트 결합된다.
바디(241)가 측면관(154)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디(244)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되는 측면을 관통하여 바디(241)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측면홀(244a)은 제2 관(156)과 연결된다.
패킹(248)은 원형플레이트 형태의 고무부재로 제작되고, 바디(241)의 일단쪽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제2 관(156)의 일단 하부에 해당되는 곳에서 바디(241)의 내부에 배치된다.
바디(241)의 내부에서 디스크(247)의 일단은 패킹(248)이 삽입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스프링(246)의 하부와 결합되며, 스프링(246)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배치되는 볼트(245)와 연결된다.
디스크(247)의 상부면은 스프링(246)의 탄성에 의해 측면홀(244a)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바디(241)에 결합되는 볼트(245)의 회동 구동에 따라 위치는 변동될 수 있다.
볼트(245)는 외측에 오링이 부착되고, 바디(244)의 타단 내부에 삽입되어 바디(244)와 나사 결합되며, 바디(244)의 내부에서 상하부 위치 조절에 따라 스프링(246)을 압박하는 강도 조절을 통해 연결관(152)의 내부에서 제2 관(156)으로 공기 및 물이 배출되기 위한 수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152) 내부에 소정 이상의 수압이 발생되어 바디(241)의 내부로 공기 및 물이 이동되고 패킹(248) 및 디스크(247)를 측면홀(244a)의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공기 또는 물이 제2 관(156)으로 유입되어 배수부(400)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또한, 작업자는 볼트(245)를 회전시키면서 바디(241)의 하부를 향해 볼트(245)를 이동시키면 연결관(152) 내부의 공기 또는 물이 제2 관(156)으로 유입되기 위해 필요한 연결관(152) 및 알람밸브(50) 내부의 2차측 수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볼트(245)를 회전시키면서 바디(244)의 상부를 향해 볼트(245)를 이동시켜, 연결관(152) 내부의 공기 또는 물이 제2 관(156)으로 유입되기 위해 필요한 연결관(152) 및 알람밸브(50) 내부의 2차측 수압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과압배출밸브(240)를 정비하기 위해 과압배출밸브(240)를 측면관(154)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니들밸브(300)를 조정하여 연결관(152) 및 측면관(154) 사이를 차단시키면, 연결관(152) 내부의 물 또는 공기가 측면관(15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밸브(300)의 일단은 스템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관(152) 및 측면관(154) 사이에 형성된 소켓을 관통하면서 상기 소켓과 나사 결합된다.
니들밸브(300)의 일단은 회동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서 연결관(152) 및 측면관(154)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152a)를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킨다.
니들밸브(300)의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원형의 손잡이 형태로 확장되며 연장되고, 작업자는 니들밸브(300)의 타단을 잡고 회전시켜 연결관(152) 및 측면관(154)을 서로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킨다.
니들밸브(300)의 일단이 회동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동되면, 통로(152a)가 밀봉되고, 연결관(152)은 측면관(154)과 분리되며, 이때 작업자는 안전하게 과압배출밸브(240)를 측면관(154)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배수부(400)는 배수본체(410), 개폐유닛(420) 및 글래스(440)들을 포함한다.
배수부(400)는 연결부(150)의 일측에서 연결부(15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연결부(150)에 결합되고, 구동을 통해 제2 관(156)을 제외한 연결부(150) 및 배수부(400) 내부공간 사이를 연결 또는 밀봉시킨다.
배수본체(410)는 내부의 공간이 일측, 타측, 후방, 전방, 하부 및 상부를 향해 개방된 챔버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연결관(152)과 연결되어 연결관(152)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상부는 테스트밸브(600) 및 제2 관(156)과 연결된다.
배수본체(410)의 내부공간은 제2 관(156)의 내부공간과 연결되고, 제2 관(156)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 또는 소화수는 배수본체(410)의 내부공간을 지나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개폐유닛(420)의 일단은 배수본체(410)의 일측에서 배수본체(410)를 관통하여 배수본체(410)의 타측 내측면 또는 연결관(152)의 내측면에 나사 결합되고, 연결관(152)의 내부공간 및 배수본체(410)의 내부공간 사이를 밀봉시킨다.
개폐유닛(420)의 타단은 일단에서 배수본체(410)의 일측을 지나 배수본체(410)의 일측에 돌출되고, 타단의 외측면은 배수본체(410)의 일측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 형성된 핸들(424)을 조정하여 연결관(152) 및 배수본체(410) 사이를 연통시키거나 밀봉시킨다.
개폐유닛(420)은 개폐도어(421), 스템(422), 어댑터(423) 및 핸들(424)을 포함한다.
개폐도어(421)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관(152)의 일측 내측면과 나사 결합되면서 연결관(152) 및 배수본체(410) 사이를 밀봉시킨다.
스템(422)의 일단은 개폐도어(421)의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연장되어 배수본체(410)의 일측을 관통한 후 배수본체(410)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일측에 배치되는 핸들(424)과 결합된다.
어댑터(423)는 배수본체(410)의 일측에서 스템(422)의 타단 외측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 일부분은 확장되면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며 배수본체(410)의 일측과 결합되어 배수본체(410)의 일측 개구부를 밀봉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핸들(424)의 회전방향을 달리하면서 개폐도어(421)를 이동시켜 연결관(152) 및 배수본체(410)의 내부공간들을 연통시키거나 서로 차단시킬 수 있다.
글래스(440)들 각각은 배수본체(410)의 전방 및 후방에 결합되고, 작업자는 글래스(440)를 통해 배수본체(410) 내부의 상황을 관찰하여 드레인 밸브(100)의 정상 작동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테스트밸브(600)는 테스트밸브본체(610), 볼(620), 커버부재(630) 및 레버(650)를 포함한다.
테스트밸브(600)는 제1 관(153)의 일측 및 배수부(400)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내부공간은 제1 관(153) 및 배수부(40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며, 구동에 따라 제1 관(153) 및 배수부(400)를 서로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킨다.
테스트밸브본체(61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관(153)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저면은 배수본체(4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볼(620)은 중앙에 전방 및 후방을 관통하는 원기둥 형태의 중공과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과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는 테스트밸브본체(610)를 관통하는 스템을 통해 레버(650)와 결합되며, 테스트밸브본체(610)의 내부에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커버부재(630)는 원형의 캡 형태로 형성되고, 테스트밸브본체(610)의 타단 개구부를 밀봉하면서 테스트밸브본체(610)의 타단과 결합되어 테스트밸브본체(61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킨다.
레버(650)의 일단은 테스트밸브본체(610)의 상부에서 테스트밸브본체(610)를 관통하며 하부로 연장되는 스템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따라서, 레버(650)의 구동에 의해 볼(620)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볼(620)의 중공이 제1 관(153)과 연결되거나 차단되고, 상기 중공이 제1 관(153)과 연결되면, 제1 관(153)은 상기 관통공과 연결된다.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레버(650)를 회전시키고 제1 관(153) 및 배수본체(410)의 내부를 연결시켜 배관(11) 내부의 소화수를 배수본체(410)의 하부에 연결된 배수로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관(11) 내부의 소화수가 배수본체(410)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알람밸브(50)가 작동되고, 배관(12)으로부터 물이 알람밸브(50)를 거쳐 배관(11) 내부로 유입되며, 알람밸브(50) 내부의 알람이 작동된다.
따라서, 드레인 밸브(100)는 기존과 달리 배관(11) 외에 추가로 배관을 테스트밸브(600)에 연결할 필요없이 알람밸브(50)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어 드레인 밸브(100)의 제작 및 설치비용이 감소되고 설치공간의 제약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 밸브(120)는 드레인 밸브(100) 대비 제거되는 과압배출부(200) 및 니들밸브(300)와 구조가 변경되는 연결부(25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드레인 밸브(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밸브(120)는 과압배출부(200) 및 니들밸브(300) 없이 작동되는 장치이고, 연결부(250)는 과압배출부(200)가 삽입되는 측면관(154)이 제거되어 연결관(152) 및 제1 관(153)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드레인 밸브(120)는 과압배출부(200)가 제거된 상태에서 테스트밸브(600)와 연통되는 제1 관(153)이 형성되고, 테스트밸브(600)의 구동으로 제1 관(153) 및 배수부(400)가 서로 연통 또는 차단된다.
연결관(152)으로 유입되는 소화수는 드레인 밸브(120)의 내부로 유입되고, 드레인 밸브(120)를 지나 배수부(400)의 하부에 연결된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드레인 밸브(120)는 드레인 밸브(100)와 달리 소규모의 빌딩, 건물 또는 주택에서 수동으로 소화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과압배출부(200) 및 니들밸브(300)가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져 제조단가감소 및 설치편의성이 개선된다.
한편, 드레인 밸브(120)에 형성된 제1 관(153)의 상부 개구부에는 기존의 캡과 달리 과압배출부가 삽입될 수 있고, 이 경우 드레인 밸브(100)에 비해 제조단가가 낮아지면서 소화수에 의한 과압이 자동으로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제1 관(153)의 상부 개구부에 장착되는 상기 과압배출부는 별도의 호스와 연결되어 배수구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과압배출부를 통해 제1 관(153)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소화수는 상기 배수구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드레인 밸브 150: 연결부
200: 과압배출부 400: 배수부
600: 테스트밸브

Claims (1)

  1. 소방용 배관 상에서 알람밸브의 일측에 결합되는 드레인 밸브에 적용되고,
    일단이 상기 알람밸브에 연통되게 결합된 연결관을 포함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관의 타단에 연통 또는 차단되도록 결합되는 배수부; 및
    상기 배수부의 외측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테스트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관의 외측에 연결되어 상기 테스트밸브와 연통되는 제1 관과, 상기 제1 관과 분리되고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과압배출밸브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측면관을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밸브의 구동으로 상기 제1 관 및 상기 배수부가 서로 연통 또는 차단되는, 드레인 밸브에 있어서:
    상기 측면관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제2 관의 일단이 상기 측면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관은 일단에서 일측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타단이 상기 배수부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관에서 소정 이상의 수압이 발생되어 상기 과압배출밸브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탄성 이동되면 상기 연결관과 상기 제2 관이 일시적으로 연통되면서 상기 연결관 내부의 공기 또는 물이 상기 제2 관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과압배출밸브는 일단부는 상기 측면관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측면관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로 연장되며 측면에는 상기 제2 관과 연통되는 측면홀이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타단부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하 위치 조절되는 볼트와, 상기 바디 내에서 스프링의 개재하에 상기 측면홀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수압에 의해 상기 측면홀의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바디 내로 이동된 공기 및 물이 상기 제2 관을 거쳐 상기 배수부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일단에 삽입되는 패킹을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 내에서 상하부 위치가 조절되면서 상기 스프링을 압박하는 강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관의 내부에서 상기 제2 관으로 공기 및 물이 배출되기 위한 수압 레벨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관 및 연결관 사이에 니들밸브가 결합되고, 상기 측면관 및 연결관은 상기 니들밸브의 조정에 의해 서로 연통 또는 차단됨에 따라 상기 과압배출밸브를 상기 측면관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니들밸브를 조정하여 상기 연결관 및 측면관 사이를 차단시킬 경우 상기 연결관 내부의 물 또는 공기가 상기 측면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인 밸브.
KR1020230087314A 2021-04-02 2023-07-05 드레인 밸브 KR102694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3454 2021-04-02
KR1020210043454 2021-04-02
KR1020210108473A KR20220137519A (ko) 2021-04-02 2021-08-18 드레인 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473A Division KR20220137519A (ko) 2021-04-02 2021-08-18 드레인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599A true KR20230109599A (ko) 2023-07-20
KR102694531B1 KR102694531B1 (ko) 2024-08-12

Family

ID=835977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473A KR20220137519A (ko) 2021-04-02 2021-08-18 드레인 밸브
KR1020230087314A KR102694531B1 (ko) 2021-04-02 2023-07-05 드레인 밸브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473A KR20220137519A (ko) 2021-04-02 2021-08-18 드레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375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4528B1 (ko) * 2023-04-27 2024-08-12 권영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KR102638115B1 (ko) * 2023-05-09 2024-02-20 권영규 시험배관 일체형 소방용 알람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532U (ko) * 2006-11-29 2008-06-03 이원일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KR200451906Y1 (ko) 2008-07-22 2011-01-18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드레인 밸브에 다수개의 연결구를 일체형으로 형성한유수검지 확인장치
KR20120016742A (ko)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사이트 글라스를 갖는 드레인 밸브
KR102142556B1 (ko) * 2019-10-21 2020-08-07 송익진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KR20210018690A (ko) * 2019-08-09 2021-02-18 세웅소방기술 주식회사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532U (ko) * 2006-11-29 2008-06-03 이원일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KR200451906Y1 (ko) 2008-07-22 2011-01-18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드레인 밸브에 다수개의 연결구를 일체형으로 형성한유수검지 확인장치
KR20120016742A (ko) 2010-08-17 2012-02-27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사이트 글라스를 갖는 드레인 밸브
KR20210018690A (ko) * 2019-08-09 2021-02-18 세웅소방기술 주식회사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KR102142556B1 (ko) * 2019-10-21 2020-08-07 송익진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519A (ko) 2022-10-12
KR102694531B1 (ko) 202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9599A (ko) 드레인 밸브
US3929155A (en) Float shut off valve for liquefied petroleum gas tank fillers
US4945944A (en) Fill valve for toliet tanks
KR101666070B1 (ko) 준비 작동식 밸브
US20150227144A1 (en) Fully-integrated flow-control valve assembly for top-filled fuel tanks
CN118049605A (zh) 一种过流阻断的安全燃气调压设备
JP3540467B2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US20080178944A1 (en) Flow control valve
CN210858690U (zh) 一种用于气井排液工艺中的三相分离器系统
CN206910645U (zh) 一种多用式消防水泵接合器
KR102269375B1 (ko) 드레인 밸브
JP2002286158A (ja) 電磁止水栓
US5485865A (en) Air volume control valve for water system pressure tank
CN108458144B (zh) 一种通用泄水阀
CN112443671B (zh) 一种容器阀
US9803656B2 (en) Control apparatus for a water powered sump pump
CN213145495U (zh) 一种过滤减压阀
CN211117672U (zh) 一种压力调节阀及制冷系统
CN211901762U (zh) 一种内控式紧急切断阀
US3042083A (en) Automatic nozzle
CN207364308U (zh) 一种转动式龙头阀芯
CN206910644U (zh) 一种消防水泵接合器
CN220540379U (zh) 一种液控阀
KR20130046052A (ko) 파일럿 밸브를 일체화한 소방용 감압 밸브
CN221443450U (zh) 一种消沫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