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556B1 -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 Google Patents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556B1
KR102142556B1 KR1020190130899A KR20190130899A KR102142556B1 KR 102142556 B1 KR102142556 B1 KR 102142556B1 KR 1020190130899 A KR1020190130899 A KR 1020190130899A KR 20190130899 A KR20190130899 A KR 20190130899A KR 102142556 B1 KR102142556 B1 KR 102142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verpressure
opening
bypass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익진
Original Assignee
송익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익진 filed Critical 송익진
Priority to KR1020190130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66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flui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람밸브의 작용하는 과압으로 인한 배관 또는 스프링쿨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알람밸브에 설치하는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는 알람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알람밸브로부터 방화수가 유입되는 밸브연결부와, 상기 밸브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방화수를 배출하는 배출배관이 결합되는 배출연결부를 포함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알람밸브의 방화수를 상기 배출연결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드레인밸브부, 상기 드레인밸브부가 상기 밸브연결부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알람밸브에 과압으로 방화수가 공급되면, 상기 밸브연결부로 공급되는 방화수를 상기 드레인밸브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연결부로 공급하여 과압을 해소하며, 상기 밸브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과압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과압방지부는 상기 드레인밸브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밸브연결부로 공급된 방화수를 상기 배출연결부로 공급하는 우회유로, 및 상기 우회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알람밸브에 과압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우회유로를 개방하여 과압을 해소하는 우회개폐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Combined valve with overpressure prevention}
본 발명은 알람밸브의 작용하는 과압으로 인한 배관 또는 스프링쿨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알람밸브에 설치하는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람밸브는 방화수를 공급하기 위해 방화설비에 설치된다.
알람밸브는 스프링쿨러를 통해 분사하도록 소방수가 배관에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데, 알람밸브에 과압이 작용하는 경우, 스프링쿨러가 손상되거나, 배관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07141호(2015년 3월 31일자로 공고)에 "과압 방지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과압 방지장치는 일측에는 메인배관이 결합되고, 타측부에는 소화배관이 결합되며, 연결관에 의해 드레인밸브 및 배수구가 연결 설치되는 알람밸브에 설치되는 과압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과압 방지장치는 연결관에 연결 설치되는 과부하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과부하방지부는 연결관에 결합되어 일측 단부에 드레인밸브가 연결 설치되는 T자 연결밸브와, 상기 T자 연결밸브의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소화배관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는 세프티 개폐밸브와, 상기 세프티 개폐밸브에 연결 설치되어 소화배관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 자동으로 개방되는 과부화방지밸브 및 상기 과부화방지밸브와 드레인밸브에 연결된 배수구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과압 방지장치는 복수 개의 개폐밸브가 서로 관연결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제작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과압 방지장치는 알람밸브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없으며, 레버의 작동방향에 제약이 있어 설치방향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설치방향이 자유롭고 알람밸브의 압력조절 기능과 함께 테스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는 알람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알람밸브로부터 방화수가 유입되는 밸브연결부와, 상기 밸브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방화수를 배출하는 배출배관이 결합되는 배출연결부를 포함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알람밸브의 방화수를 상기 배출연결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드레인밸브부, 상기 드레인밸브부가 상기 밸브연결부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알람밸브에 과압으로 방화수가 공급되면, 상기 밸브연결부로 공급되는 방화수를 상기 드레인밸브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연결부로 공급하여 과압을 해소하며, 상기 밸브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과압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과압방지부는 상기 드레인밸브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밸브연결부로 공급된 방화수를 상기 배출연결부로 공급하는 우회유로, 및 상기 우회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알람밸브에 과압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우회유로를 개방하여 과압을 해소하는 우회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밸브바디를 지나는 방화수의 이동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가 투과되어 보이는 작동확인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알람밸브에서 상기 스프링쿨러로 방화수의 공급을 시험하도록 상기 스프링쿨러와 연결되는 분기배관의 끝단이 결합되는 테스트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방화수를 상기 배출연결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테스트밸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회개폐부는 상기 우회유로의 사이에 형성되는 우회개폐홈, 상기 우회개폐홈에 설치되어 상기 우회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에 과압이 작용하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우회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지지스프링, 및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우회유로를 개방하기 위한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스프링을 가압하여 탄성력을 조절하는 컨트롤캡을 할 수 있다.
상기 우회개폐부는 상기 컨트롤캡이 나사체결에 의한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캡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우회개폐홈에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캡이 나사체결되는 체결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회개폐부는 상기 우회유로에 과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우회유로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상기 지지스프링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캡을 대신하여 상기 우회개폐홈에 결합되는 밀폐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바디에 우회유로를 갖는 과압방지부가 일체 형태로 형성되어 알람밸브에 발생하는 과압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압을 해소하기 위한 별도의 호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밸브바디에 테스트연결부가 형성되어 알람밸브의 시험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레인밸브부가 설치되어 알람밸브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2차측에 방화수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밸브부의 레버를 양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설치위치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를 알람밸브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의 과압방지부를 확대한 확대도로서, 과압방지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의 과압방지부를 확대한 확대도로서, 밀폐플러그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의 측면도로서, 테드스밸브부의 레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알람밸브(200)에 설치될 수 있다.
방화수를 공급하는 공급배관(210)과 공급배관(210)으로 공급되는 방화수를 각 사용처로 공급하는 방화수배관(230)의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수배관(230)과 공급배관(210)의 사이에 압력을 조절하거나, 공급배관(210)으로부터 방화수배관(230)으로 방화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방화수배관(230)에는 각 사용처인 예컨대, 스프링쿨러(300)로 방화수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분기배관(250)이 설치될 수 있다.
알람밸브(200)는 공급배관(210)이 연결되어 방화수가 공급되는 1차측과 공급되는 방화수를 방화수배관(230)으로 공급하기 위한 1차측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1차측과 2차측에는 방화수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압력계가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알람밸브(200)의 바디에 결합될 수 있으며,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2차측을 통해서 방화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알람밸브(20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알람밸브(200)로 공급되는 방화수를 일부 배출하는 형태로 2차측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알람밸브(200)의 2차측의 방화수 압력은 1차측의 방화수 압력과 동일하거나, 높은 압력을 갖도록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밸브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밸브바디(110)는 알람밸브(200)로부터 유입되는 방화수가 지나는 내부유로(111)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바디(110)는 밸브연결부(120), 배출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연결부(120)는 알람밸브(200)에 결합되어 알람밸브(200)로부터 방화수가 유입될 수 있으며, 배출연결부(140)는 밸브연결부(120)와는 다른 방향으로 밸브바디(110)에 형성되어 밸브연결부(120)로 유입된 방화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배관(270)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연결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방화수는 밸브바디(110)의 내부유로(111)를 거쳐 밸브연결부(120)를 통해 배출배관(27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밸브바디(110)는 테스트연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연결부(130)는 밸브바디(110)에서 밸브연결부(120) 및 배출연결부(140)와는 다른 방향에 형성될 수 있으며, 테스트연결부(130)에는 방화수배관(230)과 분기배관(250)으로 공급되는 방화수가 스프링쿨러(300)를 거쳐 순환할 수 있도록 분기배관(250)의 끝단이 결합될 수 있다.
테스트연결부(130)에는 스프링쿨러(300)로 방화수의 공급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분기배관(250)의 끝단이 연결되어 방화수배관(230)을 통해 분기배관(250)으로 공급되는 방화수를 순환시키는 형태로 방화수의 공급을 시험할 수 있다.
한편, 테스트연결부(130)를 통해 밸브바디(110)로 유입되는 방화수는 배출연결부(140)에 연결된 배출배관(270)을 통해 배출되어 방화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드레인밸브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드레인밸브부(150)는 밸브연결부(120)에 설치되어 밸브연결부(120)를 통해 알람밸브(200)로부터 유입되는 방화수를 배출연결부(140)로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드레인밸브부(150)는 밸브연결부(120)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드레인밸브부(150)는 스템의 회전에 따라 내부유로(111)를 개폐하여 밸브연결부(120)로 방화수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드레인밸브부(150)는 내부유로(111)를 디스크 또는 볼에 스템이 연결되어 스템의 회전에 따라 디스크 또는 볼이 직선운동 또는 회전운동함에 따라 내부유로(1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템에는 레버가 설치되어 레버의 조작에 따라 스템을 회전시킬 수 있다.
드레인밸브부(150)는 도면에서 볼밸브의 구조로 도시되었지만,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밸브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드레인밸브부(150)는 알람밸브(200)에서 공급되는 방화수를 배출연결부(140)를 통해 배출배관(270)으로 일부 배출시키는 형태로 알람밸브(200)의 2차측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테스트밸브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밸브부(160)는 분기배관(250)을 통해 공급되는 방화수를 배출연결부(140)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테스트밸브부(160)는 테스트연결부(130)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테스트밸브부(160)는 스템의 회전에 따라 내부유로를 개폐하여 분기배관(250)을 통해 밸브바디(110)로 유입된 방화수를 배출연결부(140)를 통해 배출하거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테스트밸브부(160)는 드레인밸브부(150)와 마찬가지로 테스트밸브부(160)의 내부유로를 디스크 또는 볼에 스템이 연결되어 스템의 회전에 따라 디스크 또는 볼이 직선운동 또는 회전운동함에 따라 내부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템에는 레버가 설치되어 레버의 조작에 따라 스템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테스트밸브부(160)의 레버는 수직을 중심으로 위치되었을 때, 테스트연결부(130)를 개방한다면, 좌우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양측의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테스트연결부(130)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설치위치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도 6 참조).
테스트밸브부(150)는 도면에서 볼밸브의 구조로 도시되었지만, 유체를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밸브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밸브(100)는 작동확인창(115)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확인창(115)은 밸브바디(110)의 내부를 투과하여 봄으로써, 내부유로(111)의 방화수 이동을 확인하는 형태로 알람밸브(200)의 작동여부 또는 스프링쿨러(300)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작동확인창(115)은 밸브바디(110)의 내부유로(111)가 합류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하고, 관통된 부분에 유리 또는 합성수지의 투명판으로 밀폐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과압방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과압방지부(170)는 알람밸브(200)에서 방화수에 의한 과압이 발생하는 경우, 과압을 해소하여 과압에 따른 스프링쿨러(300)의 파손 또는 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과압방지부(170)는 밸브바디(110)에 일체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과압방이부(170)는 밸브바디(110)의 밸브연결부(120)와 테스트연결부(130)의 사이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밸브바디(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과압방지부(170)는 우회유로(171)를 포함할 수 있다.
우회유로(171)는 밸브연결부(120)를 드레인밸브부(150)가 밀폐한 상태에서 알람밸브(200)를 통해 유입되는 방화수를 드레인밸브부(150)를 거치지 않고 우회하여 배출연결부(140)로 직접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우회유로(171)는 밸브바디(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우회유로(171)는 드레인밸브부(150)를 중심으로 밸브연결부(120)와 연결되는 우회유입부(171a)와 우회유입부(171a)로 유입되는 방화수를 배출연결부(140)로 배출하는 우회배출부(171b)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우회유입부(171a)와 우회배출부(171b)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하기에 설명될 과압방지부(170)의 개폐부재(174)가 설치될 우회개폐홈(173a)이 형성될 수 있다.
과압방지부(170)는 과압해소공(172)을 포함할 수 있다.
과압해소공(172)은 우회개폐홈(173a)에서 우회유입부(171a)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우회개폐홈(173a)에 설치되는 개폐부재(174)가 과압해소공(172)을 밀폐하여 우회유입부(171a)과 우회배출부(171b)의 사이를 차단하여 우회유로(171)을 차단하거나, 개폐부재(174)가 과압해소공(172)에서 이격되면 우회유입부(171a)과 우회배출부(171b)가 연결되어 우회유로(171)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과압해소공(172)의 상부로는 과압해소공(172)을 개폐하기 위한 우회개폐부(173)가 구성될 수 있다.
우회개폐부(173)는 우회개폐홈(173a), 개폐부재(174), 지지스프링(176) 및 컨트롤캡(175)를 포함할 수 있다.
우회개폐홈(173a)은 우회개폐부(173)에 형성되어 개폐부재(174) 및 지지스프링(176) 및 컨트롤캡(175)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우외개폐홈(173)의 하부에는 과압해소공(17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회개폐홈(173a)에는 우회유입부(171a)이 과압해소공(172)과 연결되는 형태로 연결되며, 우회개폐홈(173a)의 측면에는 우회배출부(171b)가 연결되어 우회유입부(171a)를 통해 유입되는 방화수는 우회개폐홈(173a)을 통해 우회배출부(171b)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우회개폐홈(173a)의 상부에는 컨트롤캡(175)이 나사체결되는 개폐나사부(173b)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부재(174)는 우회개폐홈(173a)에 삽입되어 우회개폐홈(173a)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형태로 과압해소공(172)을 밀폐하거나, 과압해소공(172)을 개방하여 우회유로(171)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개폐부재(174)는 과압해소공(172)의 크기보다는 큰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과압해소공(172)과 개폐부재(174)가 맞닿는 개폐부재(174)의 부분에는 과압해소공(172)의 둘레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에 개폐부재(174)가 밀착되어 안착되도록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성체로 형성되는 개폐시트(174a)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174)는 우회개폐부(173)에서 지지스프링(17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알람밸브(200)에서 과압이 발생할 경우, 과압해소공(172)을 개방하여 우회유로(171)를 개방으로써, 과압의 방화수를 배출연결부(140)로 배출시켜 알람밸브(200)에 작용하는 과압을 해소할 수 있다.
컨트롤캡(175)은 개폐부재(174)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76)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형태로 개폐부재(174)가 과압해소공(172)을 개폐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캡(175)은 우회개폐홈(173a)에 형성된 개폐나사부(173b)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되는 방향에 따라 개폐부재(174)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스프링(176)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높이거나, 낮추는 형태로 개폐부재(174)가 과압해소공(172)을 개폐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캡(175)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우회개폐부(173)에는 컨트롤캡(175)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개폐나사부(173b)가 형성되어 우회개폐부(173)에 컨트롤캡(175)을 나사체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밀폐플러그(177)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밀폐플러그(177)는 과압방지부(170)를 사용하지 않거나, 알람밸브(200)의 시험시 정확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우회유로(171)을 밀폐하도록 개폐부재(174)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밀폐플러그(177)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우회개폐홈(173a)의 개폐나사부(173b)에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과압방지부(170)를 밀폐할 수 있으며, 밀폐플러그(177)는 우회개폐부(173)에 설치된 컨트롤캡(175) 및 지지스프링(176)을 제거한 상태에서 우회개폐부(17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우회개폐부(173)에 설치되는 밀폐플러그(177)는 개폐부재(174)를 가압하여 우회유로(171)에 과압이 작용하더라도 과압해소공(172)을 개방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알람밸브(200)의 방화수배관(230)이 연결되는 2차측 부분에 밸브연결부(120)를 결합한다.
그리고, 밸브연결부(120)와는 다른 방향에 위치되는 테스트연결부(130)에는 스프링쿨러(300)가 연결되는 분기배관(250)이 연결되며, 또 다른 방향에 위치되는 배출연결부(140)에는 배출배관(270)이 연결된다.
그리고, 밸브연결부(120)에는 밸브연결부(120)를 개폐하는 드레인밸브부(150)가 설치되며, 테스트연결부(130)에는 테스트연결부(130)를 개폐하는 테스트밸브부(160)가 설치된다.
한편, 밸브바디(110)의 밸브연결부(120)가 형성된 부분에는 밸브연결부(120)로 유입되는 방화수가 드레인밸브부(150)를 거치지 않고 배출연결부(140)를 통해 배출배관(270)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밸브부(150)를 우회하는 우회유로(171)가 형성된 과압방지부(170)가 형성된다.
그리고, 과압방지부(170)에는 우회유로(171)와 연통되는 과압해소공(172)이 형성되고, 과압해소공(172)에는 과압해소공(172)을 개폐하는 개폐부재(174)가 지지스프링(17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스프링(176)은 개폐부재(174)가 개방하는 압력을 조절하도록 컨트롤캡(175)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알람밸브(200)의 2차측 압력을 조절하거나, 알람밸브(200)의 이상이 발생되거나, 방화수배관(230)에 방화수를 제거가 필요할 때, 드레인밸브부(150)를 조작하여 밸브연결부(120)를 개방하면, 소방배관의 방화수가 밸브연결부(120)를 통해 밸브바디(110)로 유입되면서, 배출연결부(140)를 통해 배출배관(270)으로 배출하여 방화수배관(230)의 방화수를 모두 제거하거나, 방화수배관(23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방화수의 배출상태는 작동확인창(115)을 확인하여 작동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알람밸브(200)의 작동을 시험하기 위해서는 드레인밸브부(150)를 조작하여 밸브연결부(120)를 밀폐한 상태에서 테스트밸브부(160)를 조작하여 테스트연결부(130)를 개방하면, 알람밸브(200)에서 공급되는 방화수가 방화수배관(230)을 통해 스프링쿨러(300)가 설치된 분기배관(250)을 지나고, 분기배관(250)을 통해 테스트연결부(130)로 유입되면서, 배출연결부(140)를 통해 배출배관(270)으로 배출된다.
이렇게 테스트밸브부(160)를 작동하면, 마치 스프링쿨러(300)를 작동한 것과 같이 방화수가 이동하며 방화수의 이동을 투시창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알람밸브(200)의 작동을 시험할 수 있다.
한편, 드레인밸브부(150)가 밸브연결부(120)를 차단하고, 테스트밸브부(160)도 테스트연결부(130)를 차단한 상태의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알람밸브(200)의 방화수가 밸브연결부(120)로 유입되면 유입된 방화수는 밸브연결부(120)를 폐쇄한 드레인밸브부(150)를 거치지 않고 우회유로(171)를 통해 드레인밸브부(150)를 거치지 않고 배출연결부(140)를 통해 배출배관(270)으로 배출된다.
이때, 우회유로(171)는 내경이 최소화되어 우회유로(171)를 통해 배출배관(270)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량은 최소화된다.
그리고, 알람밸브(200)에 과압이 작용하면, 우회유입부(171a)를 지나는 방화수의 압력이 증대되고, 증대된 압력이 과압해소공(172)을 밀폐하는 개폐부재(174)를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76)의 탄성력보다 더 크게 작용하면, 지지스프링(176)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개폐부재(174)를 밀어내며, 과압해소공(172)이 개방되고, 과압해소공(172)을 통해 우회개폐홈(173a)로 유입되며, 우회개폐홈(173a)으로 유입된 방화수는 우외배출부(171b)를 통해 배출연결부(140)로 배출되어 알램밸브(200)에 작용하는 과압을 해소함으로써, 알람밸브(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알람밸브(200)의 과압이 해소되면, 우회유로(171)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개방된 과압해소공(172)을 지지스프링(176)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재(174)가 밀폐하기 때문에 알람밸브(200)의 방화수 공급압력이 계속적으로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100)는 밸브바디(110)에 방화수를 우회하는 우회유로(171)가 형성된 과압방지부(170)를 일체 형태로 형성되어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알람밸브(200)의 과압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스프링쿨러(300)의 손상 또는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고, 과압을 해소하기 위해 복잡한 호스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밸브부(160)의 레버를 양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설치위치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110: 밸브바디
111: 내부유로 115: 작동확인창
120: 밸브연결부 130: 테스트연결부
140: 배출연결부 150: 드레인밸브부
160: 테스트밸브부 170: 과압방지부
171: 우회유로 171a: 유로유입부
171b: 유로배출부 172: 과압해소공
173: 우회개폐부 173a: 우회개폐홈
173b: 체결나사부 174: 개폐부재
174a: 개폐시트 175: 컨트롤캡
176: 지지스프링 177: 밀폐플러그
200: 알람밸브 210: 공급배관
230: 방화수배관 250: 분기배관
270: 배출배관 300: 스프링쿨러

Claims (6)

  1. 알람밸브에 결합되어 상기 알람밸브로부터 방화수가 유입되는 밸브연결부와, 상기 밸브연결부를 통해 유입되는 방화수를 배출하는 배출배관이 결합되는 배출연결부를 포함하는 밸브바디,
    상기 밸브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알람밸브의 방화수를 상기 배출연결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드레인밸브부,
    상기 드레인밸브부가 상기 밸브연결부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알람밸브에 과압으로 방화수가 공급되면, 상기 밸브연결부로 공급되는 방화수를 상기 드레인밸브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출연결부로 공급하여 과압을 해소하며, 상기 밸브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과압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과압방지부는
    상기 드레인밸브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밸브연결부로 공급된 방화수를 상기 배출연결부로 공급하는 우회유로, 및
    상기 우회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알람밸브에 과압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우회유로를 개방하여 과압을 해소하는 우회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알람밸브에서 스프링쿨러로 방화수의 공급을 시험하도록 상기 밸브바디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쿨러와 연결되는 분기배관의 끝단이 결합되는 테스트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기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방화수를 상기 배출연결부로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테스트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밸브부는 상기 테스트밸브부를 작동하는 레버를 상기 테스트연결부를 개방하도록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좌방향 및 우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테스트연결부를 폐쇄하며,
    상기 과압방지부는 상기 밸브연결부와 상기 테스트연결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로 호스의 연결 없이 상기 밸브바디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상기 밸브바디를 지나는 방화수의 이동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가 투과되어 보이는 작동확인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개폐부는
    상기 우회유로의 사이에 형성되는 우회개폐홈,
    상기 우회개폐홈에 설치되어 상기 우회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에 과압이 작용하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우회유로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지지스프링, 및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우회유로를 개방하기 위한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지지스프링을 가압하여 탄성력을 조절하는 컨트롤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개폐부는
    상기 컨트롤캡이 나사체결에 의한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캡을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우회개폐홈에 형성되어 상기 컨트롤캡이 나사체결되는 체결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개폐부는
    상기 우회유로에 과압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우회유로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상기 지지스프링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캡을 대신하여 상기 우회개폐홈에 결합되는 밀폐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KR1020190130899A 2019-10-21 2019-10-21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KR102142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899A KR102142556B1 (ko) 2019-10-21 2019-10-21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899A KR102142556B1 (ko) 2019-10-21 2019-10-21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556B1 true KR102142556B1 (ko) 2020-08-07

Family

ID=7204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899A KR102142556B1 (ko) 2019-10-21 2019-10-21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5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375B1 (ko) * 2021-01-15 2021-06-28 권영규 드레인 밸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214A (ja) * 2003-11-13 2005-06-09 Yokoi Seisakusho:Kk 逆止弁機能付き連結送水管用バルブ
US20050166971A1 (en) * 2004-01-31 2005-08-04 Gennady Arov Y-pattern piston check valve, piston valve assembly for a Y-pattern piston check valve, and method
KR200412367Y1 (ko) * 2005-12-30 2006-03-27 숭의기업주식회사 과압 방지장치를 구비한 알람 체크밸브
KR20180004444A (ko) * 2016-07-04 2018-01-12 박미순 가압 송수량 점검용 유로 개설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7214A (ja) * 2003-11-13 2005-06-09 Yokoi Seisakusho:Kk 逆止弁機能付き連結送水管用バルブ
US20050166971A1 (en) * 2004-01-31 2005-08-04 Gennady Arov Y-pattern piston check valve, piston valve assembly for a Y-pattern piston check valve, and method
KR200412367Y1 (ko) * 2005-12-30 2006-03-27 숭의기업주식회사 과압 방지장치를 구비한 알람 체크밸브
KR20180004444A (ko) * 2016-07-04 2018-01-12 박미순 가압 송수량 점검용 유로 개설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375B1 (ko) * 2021-01-15 2021-06-28 권영규 드레인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6591B2 (en) Modular valve assembly
US3173439A (en) Backflow prevention device
CA2245164C (en) Sprinkler drain and test valve
KR930002799B1 (ko) 체크밸브겸 차단밸브
US11402028B2 (en) Combination control and check valve assembly for a wet piping system
CA2378206C (en) Valve for high pressure gas cylinders
TWI607781B (zh) 火焰抑制系統
EP1354159A1 (en) Sprinkler alarm test and drainage device for fire protection systems
US6681802B2 (en) In-line valve arrangement for fire suppression water sprinkler system
KR102142556B1 (ko)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CA2978408A1 (en) Dry alarm valve assembly for controlling a sprinkler firefighting system
KR101909388B1 (ko) 스프링클러설비용 과압방지 밸브체
KR102589326B1 (ko) 압력파열판을 구비한 밸브
KR102269375B1 (ko) 드레인 밸브
KR102490165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KR102339800B1 (ko)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JPH06129558A (ja) 緊急遮断弁
JPS6143012Y2 (ko)
KR200256360Y1 (ko) 볼 밸브
KR200157842Y1 (ko) 유체의 불균형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밸브장치
TW497977B (en) Simultaneously opening valve
KR20220103318A (ko) 동파 방지를 위한 단수제어밸브
CA3151291A1 (en) Ball valve assembly
KR20230138181A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KR20160001032U (ko) 스핀들 작동 밸브와 과압 작동 밸브를 복합한 일체형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