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800B1 -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 Google Patents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800B1
KR102339800B1 KR1020210046411A KR20210046411A KR102339800B1 KR 102339800 B1 KR102339800 B1 KR 102339800B1 KR 1020210046411 A KR1020210046411 A KR 1020210046411A KR 20210046411 A KR20210046411 A KR 20210046411A KR 102339800 B1 KR102339800 B1 KR 102339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inlet
opening
drain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익진
Original Assignee
(주)효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효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46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62C35/605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operating and sounding alarm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20Excess-flow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배관에 구비되는 알람밸브에 연결되어서 소화수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소화배관 및 소화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고, 기준압력 이하에서 소화수가 과압방지부재 내부로 침투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는 소화배관에 구비되는 알람밸브에 연결되어서 소화수가 입수되는 입수구와, 입수된 소화수가 배수되는 배수구와, 상기 입수구와 배수구를 연결하는 메인유로와, 상기 메인유로에서 분기되어서 상기 배수구로 연결되는 분기유로를 갖는 몸체; 상기 메인유로와 분기유로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서, 메인유로와 분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삼방밸브; 상기 분기유로에 구비되고, 수방수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분기유로를 개방시키는 과압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인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과압방지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출구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수용공간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디스크와, 상기 바디의 수용공간에 구비되어서 상기 개폐디스크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스템과, 상기 개폐디스크와 스템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개폐디스크의 개방압력을 설정하는 스프링과, 상기 바디의 입구측에 구비되어서 유입되는 소화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Drain valve preventing over-pressure}
본 발명은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배관에 구비되는 알람밸브에 연결되어서 소화수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소화수를 자동으로 배출시켜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소화배관 및 소화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고, 기준압력 이하에서 소화수가 과압방지부재 내부로 침투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화재발생에 대비하기 위하여 소화설비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화설비 중의 하나가 스프링클러 설비이다.
스프링클러 설비는 소화배관의 내부에서 소방수가 소정의 압력으로 충진되어 있어, 화재바 발생하면 소화배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부가 개방되어서 소화수가 토출되어서 유수 검지장치가 작동하여 경보를 발생시키코, 스프링클러의 헤드에서 소화수가 연속적으로 살수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스프링클러 설비의 유수 검지장치는 화재로 인하여 헤드의 개방에 의한 배관내의 유수를 자동적으로 검지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주로 알람밸브(Alarm Check Valve)가 사용된다.
상기 알람밸브는 소화배관에 구비되어서 소화배관의 1차측(가압 송수장치측) 압력과 2차측(스프링클러 헤드측) 압력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화재로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방되면 2차측 압력이 저하되어 밸브가 개방되면서 1차측의 가압 송수장치가 작동하면서 소화수가 2차측으로 유수되고 수신부의 화재 표시등을 점등시키며 동시에 경보를 발하게 된다.
소화배관의 2차측 압력이 필요 이상으로 높으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해 소화수가 살수되는 치명적인 결함을 나타내므로 스프링클러 설비에는 2차측 소방수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할 때 과압을 외부로 배출하여 소화배관 내의 소화수 압력을 설정치 이내로 유지하는 2차측 과압 방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등록특허 10-2222025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등록실용 20-0412367 "과압 방지장치를 구비한 알람 체크밸브"의 종래기술은 소화배관의 알람밸브에 연결되는 드레인 밸브에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하여서 소화배관의 2차측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자동으로 소화수가 배출되어서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과압방지부재의 입구와 이를 개폐하는 개폐디스크 간의 접촉면에 이물질이 쌓여 틈새를 만들어서 소화수가 틈새를 통해 침투하여 누설되는 문제가 있다.
소화수의 누설이 발생되면 소화수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소화배관 2차측의 압력이 낮아져 알람밸브가 오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과압방지부재의 입구로 유입되는 소화수의 이물질을 필터망이 필터링하여 이물질의 쌓임에 의한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소화수의 낭비와 알람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한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스프링의 탄성력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소화수가 자동으로 배출되는기준압력의 설정이 용이하고, 과압방지부재에서 소화수가 유출되는 출구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구비되어서 과압방지부재가 몸체에 고정되는 위치를 주의하지 않아도되는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는
소화배관에 구비되는 알람밸브에 연결되어서 소화수가 입수되는 입수구와, 입수된 소화수가 배수되는 배수구와, 상기 입수구와 배수구를 연결하는 메인유로와, 상기 메인유로에서 분기되어서 상기 배수구로 연결되는 분기유로를 갖는 몸체;
상기 메인유로와 분기유로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서, 메인유로와 분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삼방밸브;
상기 분기유로에 구비되고, 수방수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분기유로를 개방시키는 과압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인 밸브에 있어서,
상기 과압방지부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결되는 출구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수용공간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디스크와,
상기 바디의 수용공간에 구비되어서 상기 개폐디스크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스템과,
상기 개폐디스크와 스템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개폐디스크의 개방압력을 설정하는 스프링과,
상기 바디의 입구측에 구비되어서 유입되는 소화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템은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의 수용공간 내벽에 스크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출구는 상기 바디의 측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입구와 연결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디스크의 하부면에는 상기 가압돌기에 가압밀착되는 고무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의 외면에는 상기 몸체에 밀착되는 제2오링이 구비되고,
상기 스템의 외면에는 상기 바디에 밀착되는 제1오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는 필터망이 소화수의 이물질을 필텅링하여 이물질에 의한 입구와 개폐디스크 간의 틈새의 발생을 차단하여 소화수의 낭비와 알람밸브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스템은 바디에 스크류결합되어 승하강됨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소화수가 자동 배출되는 기준압력의 설정이 용이하고, 과압방지부재의 바디에서는 출구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서 바디가 몸체에 고정되는 위치를 주의하지 않아도 바디로 유입된 소화수는 방해 없이 원활하게 유출되는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가 알람밸브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방지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방지부재의 단면도.
도 5 는 드레인 밸브에서 소화수가 수동방식과 자동방식으로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을 참조하면, 소화배관(1, 2)에는 알람밸브(3)가 구비되고, 알람밸브(3)에는 소화배관(1, 2) 1차측(1)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1압력계(4)와, 2차측(2)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2압력계(5)가 구비되고, 알람밸브(3)의 일측에는 드레인 밸브(DV)가 연결된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DV)는 몸체(10), 삼방밸브(20), 사방밸브(30) 및 과압방지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에는 소화수가 입수되는 입수구(11)와, 소화수가 배출되는 배수구(12), 테스트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예비구(13)가 구비된다.
상기 입수구(11)는 상기 알람밸브(3)에 연결되고, 상기 배수구(12)에는 배수파이프(미도시)가 연결된다.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입수구(11)와 배수구(12)를 연결하는 메인유로(14)와, 상기 메인유로(14)의 입수구(11)측에서 분기되어 배수구(12)측으로 연결되는 분기유로(15)가 형성된다.
상기 예비구(13)는 상기 배수구(12)측의 메인유로(14)에 연결된다.
상기 삼방밸브(20)는 상기 입수구(11)측에서 상기 메인유로(14)와 분기유로(15)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서 상기 메인유로(14)와 분기유로(1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상기 삼방밸브(20)는 연통홀이 3개 형성된 볼밸브의 하나로서, 레버의 조작에 따른 볼밸브의 회전 위치에 따라 메인유로(14)의 개방과 분기유로(15)의 폐쇄, 또는 메인유로(14)의 폐쇄와 분기유로(15)의 개방 상태가 된다.
상기 사방밸브(30)는 상기 배수구(12)측에서 상기 메인유로(14)와 분기유로(15)와 예비구(13)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서 상기 분기유로(15)와 예비구(13)가 반대 상태가 되도록 개폐시킨다.
상기 사방밸브(30)는 연통홀이 4개 형성된 볼밸브의 하나로서, 레버의 조작에 따른 볼밸브의 회전 위치에 따라 분기유로(15)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분기유로(15)의 개방시에는 예비구(13)는 폐쇄되고, 분기유로(15)의 폐쇄시에는 예비구(13)는 개방된다.
상기 과압방지부재(40)는 상기 분기유로(15)에 구비되고, 소화수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분기유로(15)를 개방시키셔 소화수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소화배관(1, 2) 2차측(2)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과압방지부재(40)는 바디(41), 캡(42), 개폐디스크(43), 스템(44), 스프링(45), 고무패드(46), 제1오링(47), 제2오링(48) 및 필터망(4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41)는 상부에서 하부를 향한 내부에 수용공간(41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수용공간(411)과 연결되는 입구(412)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수용공간(411)과 연결되는 출구(413)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41)는 상기 몸체(10)에 볼트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출구(413)는 상기 바디(41)의 측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서, 바디(41)가 몸체(10)에 스크류 결합시 어느 위치에 고정되더라도 다수의 출구(413) 중 하나는 분기유로(15)를 향하게 되어 소화수의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41)의 외면에는 제2오링(48)이 안착되는 안착홈(414)이 형성되고, 바디(41)의 하부면에는 상기 필터망(49)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홈(415)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41)의 수용공간(411) 내부에는 상기 입구(412)와 연결되는 가압돌기(416)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캡(42)은 상기 바디(41)의 상부를 덮는다. 상기 캡(42)의 중앙에는 상기 스템(44)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공구가 통과하는 공구홀(421)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디스크(43)는 승하강하여 상기 바디(41)의 입구(412)를 개방 또는 폐쇄시킨다.
상기 개폐디스크(43)는 상기 입구(412)를 덮는 덮개(431)와, 상기 덮개(431)의 상부에 연결되고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432)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431)의 하부면에는 상기 가압돌기(416)에 가압밀착되어서 상기 입구(412)를 긴밀하게 폐쇄시키는 고무패드(46)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431)의 하부면 아래에는 헤드(433)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드(46)는 상기 헤드와 덮개(431)의 하부면 사이에 끼움결합되어 개재된다.
상기 스템(44)은 상기 바디(41)의 수용공간(411)에 구비되어서, 상기 개폐디스크(43)이 승하강을 가이드하며 개폐디스크(43)의 승강범위를 제한한다.
상기 스템(44)은 상기 바디(41)의 수용공간(411) 내벽에 스크류결합되어서 수용공간(411)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다.
상기 스템(44)의 상부에는 스템(44)을 회전시키는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홈(44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개폐디스크(43)의 가이드바(432)가 삽입되어서 가이드바(432)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며 가이드바(432)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가이드홈(442)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제1오링(47)이 안착되는 안착홈(443)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45)은 상기 개폐디스크(43)의 덮개(431)와 상기 스템(44)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덮개(431)를 하부방향으로 밀어 상기 바디(41)의 입구(412)를 폐쇄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45)이 상기 개폐디스크(43)의 덮개(431)를 누르는 탄성력 보다 분기유로(15)에서 가해지는 소화수의 압력이 크면 상기 개폐디스크(43)는 승강하여 입구(412)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스템(44)이 상기 바디(41)의 수용공간(411)에서 승하강하여 그 위치가 조절되면,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45)이 덮개(431)를 누르는 탄성력이 조절되어서 상기 개폐디스크(43)가 입구(412)를 개방시키는 기준압력이 변경된다.
상기 필터망(49)은 상기 바디(41)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415)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입구(412)를 덮어서 입구(412)로 유입되는 소화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제거한다.
소화수의 이물질이 필터링되지 않으면, 이물질은 고무패드(46)와 가압돌기(416) 표면에 쌓이게 되어서, 이들의 접촉면에 틈새를 만들게 된다. 틈새가 만들어지면 소화수는 틈새로 누설되고, 누설되는 소화수의 양이 늘어나면 소화배관(1, 2) 2차측(2)의 압력을 낮춰서 알람밸브(3)가 오작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망(49)은 상기 바디(41)의 끼움홈(415)이 끼움결합되어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5의 [A]를 참조하면, 평상시에는 상기 삼방밸브(20)가 메인유로(14)를 차단하고 분기유로(15)를 개방시키고 있다. 그래서 알람밸브(3)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과압방지부재(40)의 개폐디스크(43)가 승강하여 입구(412)를 개방시킴으로써 소화수는 입수구(11), 메인유로(14), 분기유로(15), 과압방지부재(40)의 입구(412)와 출구(413), 분기유로(15), 메인유로(14), 배수구(12)를 차례로 통과하여 배출된다.
도5의 [B]를 참조하면, 알람밸브(3)가 경보를 울리거나 시험 작동을 하는 등의 경우에 작업자가 삼발밸브(2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메인유로(14)를 개방하고 분기유로(15)를 차단시키면, 소화수는 입수구(11), 메인유로(14), 배수구(12)를 차례로 통과하여 즉시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몸체 11 : 입수구
12 : 배수구 13 : 예비구
14 : 메인유로 15 : 분기유로
20 : 삼방밸브 30 : 사방밸브
40 : 과압방지부재 41 : 바디
411 : 수용공간 412 : 입구
413 : 추구 414 : 안착홈
415 : 끼움홈 416 : 끼움돌기
42 : 캡 43 : 개폐디스크
431 : 덮개 432 : 가이드바
44 : 스템 441 : 공구홈
442 : 가이드홈 443 : 안착홈
45 : 스프링 46 : 고무패드
47 : 제1오링 48 : 제2오링
49 : 필터망

Claims (4)

  1. 소화배관에 구비되는 알람밸브에 연결되어서 소화수가 입수되는 입수구(11)와, 입수된 소화수가 배수되는 배수구(12)와, 상기 입수구(11)와 배수구(12)를 연결하는 메인유로(14)와, 상기 메인유로(14)에서 분기되어서 상기 배수구(12)로 연결되는 분기유로(15)와, 테스트 용도로 사용하며 상기 배수구(12)측의 메인유로(14)에 연결되는 예비구(13)를 갖는 몸체(10);
    상기 메인유로(14)와 분기유로(15)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서, 메인유로(14)와 분기유로(15)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삼방밸브(20);
    상기 분기유로(15)에 구비되고, 소화수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분기유로(15)를 개방시키는 과압방지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드레인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2)측에서 상기 메인유로(14)와 분기유로(15)와 예비구(13)의 연결부위에 구비되어서, 상기 분기유로(15)와 예비구(13)가 반대 상태가 되도록 개폐시키는 사방밸브(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과압방지부재(40)는
    내부에 수용공간(411)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수용공간(411)과 연결되는 입구(412)가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수용공간(411)과 연결되는 출구(413)가 형성된 바디(41)와,
    상기 바디(41)의 수용공간(411)에서 승하강하여 상기 입구(412)를 개폐하는 개폐디스크(43)와,
    상기 바디(41)의 수용공간(411)에 구비되어서 상기 개폐디스크(43)의 승강범위를 제한하는 스템(44)과,
    상기 개폐디스크(43)와 스템(44)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개폐디스크(43)의 개방압력을 설정하는 스프링(45)과,
    상기 바디(41)의 입구(412)측에 구비되어서 유입되는 소화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망(49)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413)는 상기 바디(41)의 측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바디(41)의 하부면에는 상기 필터망(49)이 끼움결합되는 끼움홈(415)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41)의 내부에는 상기 입구(412)와 연결되는 가압돌기(416)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디스크(43)는 상기 입구(412)를 덮는 덮개(431)와, 상기 덮개(431)의 상부에 연결되고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432)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431)의 하부면에는 상기 가압돌기(416)에 가압밀착되어서 상기 입구(412)를 긴밀하게 폐쇄시키는 고무패드(46)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431)의 하부면 아래에는 헤드(433)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드(46)는 상기 헤드와 덮개(431)의 하부면 사이에 끼움결합되어 개재되고,

    상기 바디(41)의 외면에 형성된 안착홈(414)에는 상기 몸체(10)에 밀착되는 제2오링(48)이 구비되고,
    상기 스템(44)의 외면에 형성된 안착홈(443)에는 상기 바디(41)에 밀착되는 제1오링(4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44)은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41)의 수용공간(411) 내벽에 스크류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3. 삭제
  4. 삭제
KR1020210046411A 2021-04-09 2021-04-09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KR102339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11A KR102339800B1 (ko) 2021-04-09 2021-04-09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411A KR102339800B1 (ko) 2021-04-09 2021-04-09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800B1 true KR102339800B1 (ko) 2021-12-16

Family

ID=7903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411A KR102339800B1 (ko) 2021-04-09 2021-04-09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8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56B1 (ko) * 2009-11-10 2012-04-25 김병문 감압밸브
KR101471630B1 (ko) * 2013-06-04 2014-12-11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바이패스 일체형 감압밸브
CN204403471U (zh) * 2015-01-08 2015-06-17 天津华博天缘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压力泄放阀
KR20210018690A (ko) * 2019-08-09 2021-02-18 세웅소방기술 주식회사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956B1 (ko) * 2009-11-10 2012-04-25 김병문 감압밸브
KR101471630B1 (ko) * 2013-06-04 2014-12-11 주식회사 삼양발브종합메이커 바이패스 일체형 감압밸브
CN204403471U (zh) * 2015-01-08 2015-06-17 天津华博天缘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压力泄放阀
KR20210018690A (ko) * 2019-08-09 2021-02-18 세웅소방기술 주식회사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5647A1 (en) Modular valve assembly
US3837358A (en) Backflow preventer valve assembly
US10774937B2 (en) Combination control and check valve assembly for a wet piping system
US3664362A (en) Pilot valve
CA2165047C (en) Backflow preventer and test cock assembly
US11517779B2 (en) Control valve assembly with test, drain and adjustable pressure relief valve
US5944051A (en) Sprinkler drain and test valve
CA2378206C (en) Valve for high pressure gas cylinders
US6491056B2 (en) Sprinkler alarm test and drainage device for fire protection systems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US45480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relief valve
KR102339800B1 (ko) 과압방지부재를 구비한 드레인 밸브
US5533546A (en) Assembly for prevention of backflow in valves
US4490836A (en) Shut-off valve
US10976756B2 (en) Gas regulator internal vent limiting device
US4207915A (en) Back flow preventer
KR101437080B1 (ko) 과압으로 인한 다이아프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감압밸브
US20170030473A1 (en) Automatic shutoff valve for a pipeline
US6276135B1 (en) Self-contained hydraulic ESD system
KR102142556B1 (ko) 과압방지 결합형 밸브
KR101909388B1 (ko) 스프링클러설비용 과압방지 밸브체
US11746509B2 (en) Backflow prevention device
WO1989010509A1 (en) Backflow prevention valve
JPH09310382A (ja) 逆流防止型不凍給水栓
US4974631A (en) Dome pressure maintainin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