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148A -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148A
KR20230108148A KR1020220003586A KR20220003586A KR20230108148A KR 20230108148 A KR20230108148 A KR 20230108148A KR 1020220003586 A KR1020220003586 A KR 1020220003586A KR 20220003586 A KR20220003586 A KR 20220003586A KR 20230108148 A KR20230108148 A KR 2023010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ashing water
washing
temperatur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제
김주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8148A/ko
Priority to PCT/KR2022/000613 priority patent/WO2023132398A1/ko
Publication of KR2023010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5Water-heat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1Recovery arrangements, e.g. for the recovery of energy or water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리에 관한 것으로써,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된 터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세척조에 배치되는 식기랙; 상기 세척조의 바닥에서 상기 세척조와 연통되고,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세척수를 유동시키는 세척펌프; 상기 세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세척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펠티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펠티어모듈은, 상기 히터와 연결되며, 세척수를 가열하는 방열부; 상기 방열부와 대향되는 흡열부; 및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흡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세척수 가열 효율이 개선된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척암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일반적으로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와, 터브 하부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섬프에 장착된 세척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세척수가 세척암으로 이동되고, 세척암으로 이동된 세척수는 세척암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사용된 세척수는 오물과 분리되고, 이후 섬프로 집수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식기세척기는 히터를 구비하여, 세척펌프를 유동하는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경우 식기로부터 오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식기에 묻은 물이 빠르게 증발되어 세척 효율이 좋다.
최근, 식기세척기의 에너지 효율에 대한 기준이 국제적으로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에 대한 국제적 기준에 부합되는 식기세척기에 대한 개발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통상 식기세척기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데에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 기준을 만족하기 위하여, 세척수의 가열 온도를 줄이는 방식으로도 식기세척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는 식기를 세척하는 효율을 낮추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 효율이 개선되면서도, 부피를 크게 자치하지 않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된 터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세척조에 배치되는 식기랙; 상기 세척조의 바닥에서 상기 세척조와 연통되고,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세척수를 유동시키는 세척펌프; 상기 세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세척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펠티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펠티어모듈은, 상기 히터와 연결되며, 세척수를 가열하는 방열부; 상기 방열부와 대향되는 흡열부; 및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흡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히터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제1 설정온도로 세척수를 가열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1 설정온도로 가열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은 제2 설정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타겟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방열부는, 세척수를 타겟온도로 가열하고, 타겟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방열부가 세척수를 설정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히터가 상기 방열부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타겟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타겟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방열부는 세척수를 타겟온도 - 보정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방열부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본세척단계에서, 상기 방열부는 세척수를 설정온도까지 가열한 뒤, 상기 히터가 상기 방열부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제1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본세척단계 이후의 가열헹굼단계에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설정온도 이하인 제2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본세척단계 이후의 가열헹굼단계에서, 상기 방열부는 세척수를 제2 타겟온도 - 보정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방열부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제2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세척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히터는, 상기 온도센서가 센싱한 세척수의 온도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저항성 발열 히터일 수 있다.
상기 흡열부는, 수도관과 연결되며,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상기 흡열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흡열부급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는,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열부통로를 형성하는 방열부케이스; 및 상기 펠티어소자와 접촉되며 상기 방열부통로를 유동하는 세척수와 열교환하는 방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는, 흡열부통로를 형성하는 흡열부케이스; 및 상기 펠티어소자에 대하여 상기 방열플레이트와 대향되며, 흡열부통로를 유동하는 물질과 열교환하는 흡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방열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방열부통로로 돌출되며,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열부는, 상기 흡열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흡열부통로로 돌출되며, 물질이 유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흡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제어방법은, 펠티어모듈을 통하여 세척수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펠티어모듈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히터를 통하여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펠티어모듈을 통하여 세척수를 타겟온도-보정온도까지 가열한 후, 상기 펠티어모듈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상기 히터를 통하여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타겟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펠티어모듈을 통하여 세척수를 설정온도까지 가열하고, 상기 펠티어모듈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상기 히터를 통해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타겟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펠티어모듈을 통하여 세척수를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너지 효율이 개선되면서도, 부피를 크게 자치하지 않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기세척기의 도어를 오픈하여 식기랙을 인출한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식기세척기 하부의 주요 구성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을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구성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펠티어모듈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펠티어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펠티어모듈의 일 실시예에서 유체의 흐름과 열교환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펠티어모듈의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의 흐름과 열교환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펠티어모듈의 방열부와 흡열부 간의 온도차에 따른 성능계수(COP)를 나타낸 그래프로써, 펠티어모듈의 발열효율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종래기술인 A, B와, 본 발명의 실시예인 C 간에 식기세척기의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작동 단계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라, 펠티어모듈과 히터를 통하여 세척수를 2단계로 가열하여 세척수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동 단계별로 세척수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써, 도 17 또는 도 18에 따라 펠티어모듈과 히터를 통하여 세척수를 가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는 내부에 세척조(14)를 형성하는 터브(11)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1)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척조(14)는 전방을 제외하고, 터브(11)에 의해 덮힐 수 있다. 식기세척기(10)는 세척조(14)를 개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2)는 터브(11)의 일측의 개구에 위치하여 터브(11)에 결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는 식기의 건조시 내부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불어내는 건조팬(13)을 포함할 수 있다. 건조팬(13)은 도어(12)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는 세척기(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는 식기세척기(10)의 동작을 입력하는 조작부(16)를 구비할 수 있다.
식기랙(20)은 세척조(1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식기랙(20)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식기랙(20)은 세척조(14)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기랙(20)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어퍼랙(21) 미들랙(22) 및 로어랙(23)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랙(20)은 세척조(14)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식기는 식기랙(20)에 수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는 섬프(4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40)는 세척조(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섬프(40)는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다. 섬프(40)는 세척조(14)와 연통될 수 있다. 섬프(40)와 세척조(14)는 섬프커버(4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섬프커버(41)는 복수의 홀(44)을 구비할 수 있다. 세척조(14)로 분사된 세척수는 홀(44)을 통해 섬프(40)의 내부로 유입되어 재사용되거나, 배수유로(33)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섬프(40)는 급수유로(31)를 통해서 급수원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유로(31)는 급수밸브(3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어부(100, 도 13 참조)는 급수밸브(32)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섬프(40)에 저장된 세척수는 배수유로(33) 및 배수펌프(34)에 의해 식기세척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섬프(40)는 구동부(50)의 내부의 챔버(54)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50)는 세척수를 유동시키는 세척펌프(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0)는 챔버(54) 내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52)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52)는 저항성 발열히터일 수 있다.
공급유로(60)는 구동부(50) 내부의 챔버(54)와 연결될 수 있다. 공급유로(60)는 세척암(7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급유로(61)는 어퍼암(7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급유로(62)는 미들암(72)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공급유로(63)는 로어암(7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공급유로(61, 62, 63)는 연결유로(65)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전환밸브(64)는 연결유로(65)로부터 제1 내지 제3 공급유로(61, 62, 63)로 분지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전환밸브(64)는 제1 내지 제3 공급유로(61, 62, 63)의 개폐하거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세척암(70)은 터브(11) 내부의 세척조(14)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암(70)은 식기랙(20)을 향할 수 있다. 세척암(70)은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공급유로(60)로부터 공급받은 세척수를 식기랙(20)으로 분사할 수 있다. 어퍼암(71)은 세척조(14)의 상부에서 어퍼랙(21)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어퍼암(71)은 어퍼랙(21)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미들암(72)은 세척조(14)의 내부에서 미들랙(22)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미들암(72)은 미들랙(22)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로어암(73)은 세척조(14)의 하부에서 로어랙(23)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로어암(73)은 로어랙(23)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스팀공급부(80)는 세척조(14)의 내부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스팀공급부(80)는 스팀노즐(8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노즐(81)은 세척조(1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공급관(82)의 일단은 스팀노즐(81)과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부(50)와 연결될 수 있다. 히터(52)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는 스팀공급관(82)을 지나 스팀노즐(81)을 통하여 세척조(14)의 내부에 스팀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펠티어모듈(90)의 일측은 히터(52)와 연결될 수 있다. 펠티어모듈(90)은 히터(52)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펠티어모듈(90)은 섬프(40)와 구동부(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펠티어모듈(90)의 타측은 섬프(40)와 연결될 수 있다. 펠티어모듈(90)은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펠티어모듈(90)은 방열부(91) 및 흡열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91)는 세척수를 향해 방열하여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방열부(91)는 구동부(50)의 히터(52)와 방열부(91)는 흡열부(92)는 공기 또는 물 등으로부터 흡열할 수 있다. 방열부(91)와 흡열부(92)는 서로 열교환할 수 있다. 방열부(91)와 흡열부(92)는 인접하여 서로 대향할 수 있다. 펠티어모듈(90)은 펠티어소자(Peltier Element)(93, 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펠티어소자(93)는 방열부(91) 및 흡열부(9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펌프(51)가 작동하면, 섬프(40)에 저장된 세척수는, 펠티어모듈(90)을 거쳐 구동부(50)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세척수는 펠티어모듈(90)에 의해 가열되어 구동부(50)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구동부(50)의 내부에 유입된 세척수는 히터(52)에 의해 가열된 뒤 세척펌프(51)에 의해 스팀공급부(80)를 통해 세척조(14)의 내부에 스팀을 분사하거나, 또는 공급유로(60)와 세척암(70)을 통해 식기랙(20)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펠티어모듈(90)의 방열부(91)와 흡열부(92)는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방열부(91)와 흡열부(92)는 서로 나란할 수 있다. 방열부(91)는 내부에 방열부통로(914)가 형성된 방열부케이스(910)를 구비할 수 있다. 흡열부(92)는 내부에 흡열부통로(924)가 형성된 흡열부케이스(920)를 구비할 수 있다.
방열부(91)는 방열플레이트(911)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부(91)는 방열핀(912)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핀(912)은 방열플레이트(911)로부터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방열핀(912)은 방열플레이트(911)로부터 방열부통로(914)로 복수의 핀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열핀(912)은 방열부케이스(91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912)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방열핀(912)은 표면적이 넓어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방열플레이트(911)와 방열핀(912)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일 수 있다.
흡열부(92)는 흡열플레이트(92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열부(92)는 흡열핀(922)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열핀(922)은 흡열플레이트(921)로부터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흡열핀(922)은 흡열플레이트(921)로부터 흡열부통로(924)로 복수의 핀이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열핀(922)은 흡열부케이스(9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복수의 흡열핀(922)은 서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흡열핀(922)은 표면적이 넓어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흡열플레이트(921)와 흡열핀(922)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일 수 있다.
방열플레이트(911)와 흡열플레이트(921)는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펠티어소자(93)는 방열플레이트(911) 및 흡열플레이트(92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펠티어소자(93)는 방열플레이트(911) 및 흡열플레이트(921)와 접촉할 수 있다.
펠티어소자(93)는 어떤 물체의 양쪽에 전위 차를 걸어 주면 전류와 함께 열이 흘러서 양쪽 끝에 온도 차가 생기는 펠티어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것이다. 통상의 펠티어소자와 마찬가지로, 펠티어소자(93)는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n형 반도체 및 p형 반도체는 도체인 방열플레이트(911) 및 흡열플레이트(921)와 연결될 수 있다. 일측으로 전류를 흘려주면, 방열플레이트(911) 및 방열핀(912)은 열을 방출하고, 흡열플레이트(921) 및 흡열핀(922)은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섬프(40)에 저장된 세척수는 방열부통로(914)를 통과하여 챔버(54)로 유입될 수 있다. 방열부(91)는 방열부통로(914)를 통과하는 세척수(A)를 1차로 가열할 수 있다. 세척수(A)는 방열부(91)의 방열플레이트(911) 및 방열핀(912)과 열교환하여 가열될 수 있다. 히터(52)는 챔버(54)를 통과하는 세척수(A)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52)는 방열부(91)에 의해 1차로 가열된 세척수(A)를 2차로 가열할 수 있다.
공기(B)는 흡열부통로(924)를 통과할 수 있다. 흡열부(92)는 흡열부통로(924)를 통과하는 공기(B)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송풍팬(925)은 흡열부(92)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925)은 흡열부통로(924)를 통과하도록 공기(B)를 유동시킬 수 있다. 흡열부통로(924)를 통과하기 전, 상온 상태의 공기(B)는, 흡열부통로(924)를 통과하며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A)와 공기(B)가 열교환될 수 있다.
온도센서(95)는 방열부(91)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95)는 섬프(40)로부터 방열부(91)로 유동하는 세척수(A)에 대한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온도센서(95)가 센싱한 세척수(A)의 온도에 기초하여 방열부(91) 및 히터(5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흡열부통로(924)의 일측은 흡열부급수유로(310)를 통해 급수원과 연결될 수 있다. 흡열부급수유로(310)는 급수유로(31)로부터 분지될 수 있다. 흡열부통로(924)의 타측은 흡열부배수유로(33)와 연결될 수 있다. 물(C)은 급수원으로부터 흡열부급수유로(310)를 통해 흡열부통로(924)로 유입된 뒤, 흡열부(92)와 열교환할 수 있다. 흡열부급수밸브(926)는 흡열부급수유로(310)를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A)와 물(C)이 열교환될 수 있다.
도 11은, 펠티어모듈(90)에서, 방열부(91) 및 흡열부(92)의 온도차에 따른 방열부(91)의 성능계수(Coefficiency of Performance; COP)에 대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방열부(91)의 효율성은 성능계수(COP)로 나타낼 수 있다. 성능계수(COP)가 1을 초과하는 것이 방열부(91)의 효율성이 좋다.
펠티어모듈(90)에서 방열부(91)의 성능계수(COP)에 대한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는 방열부(91)의 온도이고, 는 흡열부(92)의 온도이다. 방열부(91)와 흡열부(92)의 온도차는, 이다. 은, 사이에서 의 평균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펠티어모듈(90)은, 흡열부(92)의 온도와 방열부(91)의 온도 차가 낮을수록 성능계수(COP)가 높아 방열부(91)의 발열효율이 좋을 수 있다. 방열부(91)와 흡열부(92)가 소정의 온도차이를 가지는 범위 이내에서 성능계수(COP)가 1을 초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티어소자의 성능지수 가 1.5인 경우, 흡열부(92)는, 상온의 공기 또는 급수와 열교환을 할 ‹š 흡열부(92)의 온도를 섭씨 15도라고 가정하면, 방열부(91)의 온도는 57도 미만이어야, 흡열부(92)와 방열부(91)의 온도차가 42도 이하이므로, 성능계수(COP)이 1을 초과하여 성능계수(COP)이 좋을 수 있다.
특정온도영역에서 펠티어모듈(90)의 효율이 좋을 수 있다. 특히, 상온의 공기나 급수와 열교환하는 흡열부(92)와 방열부(91)가 소정의 온도차이가 나는 범위 내에서는 펠티어모듈(90)의 효율이 좋을 수 있다. 즉, 상온의 세척수를 가열할 때, 히터(52)만으로 고온으로 가열하는 것보다, 펠티어모듈(90)의 효율이 좋은 영역에서 상온의 세척수를 1차로 가열한 뒤, 히터(52)가 1차 가열된 세척수를 2차 가열하면 세척수를 가열하는 효율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펠티어모듈(90)의 성능계수(COP)과 히터의 효율을 온도별로 비교하여, 펠티어모듈(90)의 효율이 좋은 특정 온도범위를 세팅하여 펠티어모듈(90)이 동작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12는, 작동 시작부터 작동 종료까지 종래기술(A, B)과 본 발명(C)의 식기세척기의 에너지 소비량을 그래프로 비교한 것이다. 유럽은 2021년 3월 시행되는 강화된 에너지라벨 분류정책을 도입하였으며, 도 12에는, 유럽의 에너지라벨 분류정책을 기준으로 에너지 등급을 A부터 D까지 나타내었다. 유럽 뿐 아니라, 에너지 절감과 관련된 각국 규제에 따라, 식기세척기(100)의 에너지효율도 규제에 부합할 필요가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A의 식기세척기와 B의 식기세척기는 펠티어모듈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히터로만 세척수를 가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인 C의 식기세척기(100)는 펠티어모듈(90)을 포함한다. 기존 A의 식기세척기의 경우, 세척모터를 작동하는 데에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이 70Wh, 세척수를 가열하는 데에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이 780Wh 으로써, 총 850Wh의 에너지 소비량을 가지며, 이는 유럽의 에너지라벨 분류정책 상 에너지D 등급에 해당한다.
B의 식기세척기는, 기존의 식기세척기로부터 세척 로직을 변경하여 세척수에 가열되는 에너지소비량을 줄인 것이다. 상기 세척 로직은 B의 식기세척기가 세척수를 가열하는 온도가 A의 식기세척기가 세척수를 가열하는 온도보다 낮도록 변경되었다. B의 식기세척기는 세척모터를 작동하는 데에 소비되는 에너지소비량이 70Wh, 세척수를 가열하는 데에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이 675Wh 으로써, 총 775Wh의 에너지 소비량을 가지며, 이는 유럽의 에너지라벨 분류정책 상 에너지C 등급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C의 식기세척기(100)는 종래기술 대비하여 펠티어모듈(90)을 포함하며, 펠티어모듈(90)이 세척수를 1차 가열하고, 히터(52)가 1차 가열된 세척수를 2차 가열한다. 이에 따라, C의 식기체척기는, 세척모터를 작동하는 데에 소비되는 에너지소비량이 70Wh, 흡열부(92)의 송풍팬(925)을 작동하는 데에 소비되는 에너지소비량이 20Wh, 세척수를 가열하는 데에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이 460Wh으로써, 총 550Wh의 에너지 소비량을 가지며, 이는 유럽의 에너지라벨 분류정책 상 에너지A 등급에 해당한다.
세척수가 상대적으로 저온의 영대에 있는 경우, 펠티어모듈(90)이 세척수를 가열하는 데에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이, 히터(52)가 세척수를 가열하는 데에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C의 식기세척기(100)는 종래기술 대비 세척수를 가열하는 데에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이 현격히 감소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급수밸브(32)가 급수유로(31)를 개폐하도록 급수밸브(3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세척수가 섬프(40)로부터 배수유로(33)로 유동하도록 배수펌프(3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온도센서(95)와 연결되어 온도센서(95)로부터 센싱된 세척수의 온도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어부(100)는 온도센서(95)가 센싱한 세척수의 온도에 기초하여 히터(52) 및 펠티어모듈(9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구동부(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세척수가 섬프(40)로부터 공급유로(60) 또는 스팁공급부(80)로 유동하도록 세척펌프(5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구동부(50)의 내부에서 세척수가 가열되도록 히터(5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펠티어모듈(9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펠티어소자(93)에 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방열부(91)가 세척수를 가열하도록 방열부(9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흡열부(92)가 급수 또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도록 흡열부(9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송풍팬(925) 또는 흡열부급수밸브(92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식기랙(20)에 식기를 수납한 다음, 식기세척기(100)를 작동시켜 식기의 세척을 시작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0)의 작동이 시작되면 구동부(50)로 급수를 진행하는 급수단계(S10)가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단계(S10)가 완료되면 식기에 묻어 있는 오물을 불리는 예비세척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예비세척단계(S20)가 종료되면 식기에 묻어 있는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제가 혼합된 세척수가 분사되는 본세척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예비세척단계(S20)는 작동 모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본세척단계(S30)가 종료되면, 세척수를 통해 식기에 묻어있는 잔여물과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단계(S40)가 수행될 수 있다. 헹굼단계(S40)에서는, 린스가 투입되어 세척수와 혼합될 수 있다. 린스가 투입되면, 식기에 물때가 남지 않고 잘 마르도록 할 수 있다. 헹굼단계(S40)가 종료되면, 가열된 세척수를 통해 식기에 묻어있는 잔여물과 세제를 다시한번 제거하는 가열헹굼단계(S50)가 수행될 수 있다. 가열헹굼단계(S50)에서는, 린스가 투입되어 세척수와 혼합될 수 있다. 헹굼단계(S40) 또는 가열헹굼단계(S50) 중 어느 하나는 작동 모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헹굼단계(S40) 또는 가열헹굼단계(S50)가 종료되면, 식기를 건조하는 건조단계(S60)가 수행되고 식기 세척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예비세척단계(S20)가 종료되고 본세척단계(S30)가 시작되기에 앞서, 예비세척과정에서 세척조(14)로 분사된 세척수가 배수되는 배수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배수과정에서, 세척조(14)로 분사된 세척수는 홀(44)을 통해 섬프(40)로 집수되고, 배수펌프(44)가 작동되어 배수통로(43)를 통해 식기세척기(10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배수과정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각 단계가 종료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본세척단계(S30)에서, 구동부(50)에 의하여 세척수가 펌핑되고, 세척암(70)을 통해 세척조(14)의 내부로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본체석단계(S30)에서 세척수와 세제가 혼합될 수 있다. 세척수 분사과정은 설정 시간 또는 설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수는 구동부(50)에서 히터(52)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한편, 헹굼단계(S40)가 종료되면, 가열헹굼단계(S50)가 수행될 수 있다. 가열헹굼단계(S50)에서, 구동부(50)에 의하여 세척수가 펌핑되고, 세척암(70)을 통해 세척조(14)의 내부로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가열헹굼단계(S50)에서 세척수와 린스가 혼합될 수 있다. 세척수 분사과정은 설정 시간 또는 설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수는 구동부(50)에서 히터(52)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헹굼단계(S40) 또는 가열헹굼단계(S50)가 종료되면, 식기에 묻어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단계(S60)가 수행될 수 있다. 건조단계(S60)는 세척조(14) 내부로 뜨거운 공기가 유입되어 식기에 묻어있는 수분이 증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온 다습한 상태로 변화된 공기는 건조팬(13) 및 건조모듈(17)에 의해 식기세척기(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세척수를 가열하는 본세척단계(S30, 도 14 참조) 및/또는 가열헹굼단계(S50, 도 14 참조)에서, 히터(52)는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펠티어모듈(90)의 방열부(91)는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방열부(91)는 히터로 가열되기 전의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방열부(91)는 세척수를 1차로 가열하고, 히터(52)는 방열부(91)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2차로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제1 설정온도는 예열온도이고, 제2 설정온도는 타겟온도일 수 있다. 또는, 타겟온도에 따라 방열부(91)만으로 세척수를 가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를 가열하는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본세척단계(S30) 또는 가열헹굼단계(S50)가 시작(S101)되면, 세척수는 섬프(40)로부터 방열부(91) 및 구동부(50)를 순차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방열부(91)는 세척수를 제1 설정온도까지 1차 가열할 수 있다(S200). 이후, 히터(52)는 방열부(91)가 가열한 세척수를 제2 설정온도까지 2차 가열할 수 있다(S300). 제1 설정온도는 제2 설정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히터(52)가 세척수를 가열한 이후, 세척모터(51)를 구동하여 세척수를 세척조(14)의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S400). 세척수 분사과정은 설정 시간 또는 설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본세척단계(S30) 또는 가열헹굼단계(S50)는 종료(S102)될 수 있다.
본세척단계와 가열헹굼단계 각각의 제1 설정온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세척단계와 가열헹굼단계 각각의 제2 설정온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2 설정온도는 타겟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세척단계의 제2 설정온도는 섭씨 90도일 수 있고, 가열헹굼단계의 제2 설정온도는 섭씨 49도일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세척단계(S30) 또는 가열헹굼단계(S50)가 시작되면(S101), 온도센서(95)가 방열부(91)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S501). 온도센서(95)가 센싱한 세척수의 온도가 타겟온도 미만이며(S520에서 Yes), 이때, 타겟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S530에서 Yes), 방열부(91)가 세척수를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S201). 이후, 가열된 세척수를 세척조(14)의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S400). 세척수 분사과정은 설정 시간 또는 설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본세척단계(S30) 또는 가열헹굼단계(S50)는 종료(S102)될 수 있다.
온도센서(95)가 센싱한 세척수의 온도가 타겟온도 미만이며(S520에서 Yes), 이때, 타겟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S530에서 No), 방열부(91)가 세척수를 설정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S202). 이후, 히터(52)가 방열부(91)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S301). 이후, 가열된 세척수를 세척조(14)의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S400). 세척수 분사과정은 설정 시간 또는 설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본세척단계(S30) 또는 가열헹굼단계(S50)는 종료(S102)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온도는 52도이고, 타겟온도는 90도일 수 있다. 설정온도는 52도일 수 있다. 타겟온도는 90도일 수 있다.
온도센서(95)가 센싱한 세척수의 온도가 타겟온도 이상인 경우(S520에서 No), 세척수를 더 이상 가열하지 않고 세척수를 세척조에 분사할 수 있다(S400). 세척수 분사과정은 설정 시간 또는 설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본세척단계(S30) 또는 가열헹굼단계(S50)는 종료(S102)될 수 있다.
본세척단계(S30)에서의 설정온도와 가열헹굼단계(S50)에서 설정온도는 서로 같을 수 있다. 설정온도는 펠티어모듈(90)의 성능계수(COP)이 좋은 범위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온에 설치된 환경에서의 설정온도는 52도일 수 있다.
본세척단계(S30)에서의 타겟온도와 가열헹굼단계(S50)에서의 타겟온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세척단계(S30)에서 타겟온도는 90도이고, 가열헹굼단계(S50)에서 타겟온도는 49도일 수 있다. 즉, 본세척단계(S30)에서의 타겟온도는 설정온도를 초과하고, 가열헹굼단계(S50)에서의 타겟온도는 설정온도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온의 영역으로써, 펠티어모듈(90)의 효율이 좋은 영역에서 세척수를 가열하여, 타겟온도까지 세척수를 가열하는 데에 에너지 소비량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세척단계(S30) 또는 가열헹굼단계(S50)가 시작되면(S101), 온도센서(95)가 방열부(91)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S501). 온도센서(95)가 센싱한 세척수의 온도가 타겟온도 미만이며(S520에서 Yes), 이때, 타겟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S530에서 Yes), 방열부(91)가 세척수를 타겟온도-보정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S203). 이후, 히터(52)는 방열부(91)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S301).
예를 들어, 상기 타겟온도는 섭씨 52도이고 상기 보정온도는 5도 내외일 수 있다. 이때, 방열부(91)는 세척수를 47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이후, 히터(52)는 방열부(91)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타겟온도인 52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펠티어모듈(90)의 경우,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해 흡열부(92)의 열교환량을 고려하여야 하고, 이는 흡열부(92)와 열교환하는 공기 또는 급수의 온도와도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의 온도가 타겟온도에 근접한 상태에서, 히터(52)가 세척수를 타겟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이, 세척수의 온도가 타겟온도까지 도달하는 것에 더 정확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세척단계(S30)에서, 세척수의 온도를 2단계로 가열할 수 있다. 본세척단계(S30)에서 설정온도는 52도이고, 타겟온도는 90도일 수 있다. 먼저 23도인 상온의 세척수를 펠티어모듈(90)을 통하여 설정온도인 52도까지 1차 가열하고, 히터(52)를 통해 상기 가열된 세척수를 타겟온도인 90도까지 2차 가열할 수 있다.
이후, 헹굼단계(S40)에서 세척수가 새로 투입되어 온도가 낮아졌다가, 그 이후, 가열헹굼단계(S50)을 시작할 수 있다. 가열헹굼단계(S50)에서, 설정온도는 52도이고, 타겟온도는 49도일 수 있다. 이때, 펠티어모듈(90)을 통해서만 세척수를 타겟온도로 가열하거나, 펠티어모듈(90)을 통해 타겟온도-보정온도까지 가열한 후에, 히터(52)를 통해 가열된 세척수를 타겟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10: 식기세척기 20; 식기랙
40: 섬프 50: 구동부
60: 공급유로 70: 세척암
80: 스팀공급부 90: 펠티어모듈

Claims (18)

  1.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된 터브;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세척조에 배치되는 식기랙;
    상기 세척조의 바닥에서 상기 세척조와 연통되고,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
    세척수를 유동시키는 세척펌프;
    상기 세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세척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 및 펠티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펠티어모듈은,
    상기 히터와 연결되며, 세척수를 가열하는 방열부;
    상기 방열부와 대향되는 흡열부; 및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흡열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펠티어소자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히터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제1 설정온도로 세척수를 가열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제1 설정온도로 가열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은 제2 설정온도로 가열하는 식기세척기.
  4. 제2 항에 있어서,
    타겟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방열부는, 세척수를 타겟온도로 가열하고,
    타겟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방열부가 세척수를 설정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히터가 상기 방열부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타겟온도로 가열하는 식기세척기.
  5. 제4 항에 있어서,
    타겟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방열부는 세척수를 타겟온도 - 보정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방열부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타겟온도까지 가열하는 식기세척기.
  6. 제1 항에 있어서,
    본세척단계에서, 상기 방열부는 세척수를 설정온도까지 가열한 뒤, 상기 히터가 상기 방열부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제1 타겟온도까지 가열하고,
    상기 본세척단계 이후의 가열헹굼단계에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설정온도 이하인 제2 타겟온도까지 가열하는 식기세척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세척단계 이후의 가열헹굼단계에서, 상기 방열부는 세척수를 제2 타겟온도 - 보정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방열부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제2 타겟온도까지 가열하는 식기세척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세척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 및 상기 히터는,
    상기 온도센서가 센싱한 세척수의 온도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식기세척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저항성 발열 히터인 식기세척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수도관과 연결되며,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과 열교환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관으로부터 상기 흡열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흡열부급수밸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열부통로를 형성하는 방열부케이스; 및
    상기 펠티어소자와 접촉되며 상기 방열부통로를 유동하는 세척수와 열교환하는 방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열부는,
    흡열부통로를 형성하는 흡열부케이스; 및
    상기 펠티어소자에 대하여 상기 방열플레이트와 대향되며, 흡열부통로를 유동하는 물질과 열교환하는 흡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방열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방열부통로로 돌출되며,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흡열부는,
    상기 흡열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흡열부통로로 돌출되며, 물질이 유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흡열핀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펠티어모듈을 통하여 세척수를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펠티어모듈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히터를 통하여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제어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타겟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펠티어모듈을 통하여 세척수를 타겟온도-보정온도까지 가열한 후, 상기 펠티어모듈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상기 히터를 통하여 타겟온도까지 가열하고,
    타겟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펠티어모듈을 통하여 세척수를 설정온도까지 가열하고, 상기 펠티어모듈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를 상기 히터를 통해 타겟온도까지 가열하는 식기세척기 제어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타겟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펠티어모듈을 통하여 세척수를 타겟온도까지 가열하는 식기세척기 제어방법.
KR1020220003586A 2022-01-10 2022-01-10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230108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86A KR20230108148A (ko) 2022-01-10 2022-01-10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PCT/KR2022/000613 WO2023132398A1 (ko) 2022-01-10 2022-01-13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86A KR20230108148A (ko) 2022-01-10 2022-01-10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48A true KR20230108148A (ko) 2023-07-18

Family

ID=8707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86A KR20230108148A (ko) 2022-01-10 2022-01-10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8148A (ko)
WO (1) WO20231323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4131B2 (ja) * 2005-10-31 2010-09-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DE102008015798B4 (de) * 2008-03-26 2015-06-18 Meiko Maschinenbau Gmbh & Co. Kg Wärmerückgewinnungseinrichtung mit Selbstreinigung
KR101694158B1 (ko) * 2015-05-11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2368813B1 (ko) * 2015-07-03 2022-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96737B1 (ko) * 2018-11-28 2024-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398A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434B1 (ko) 식기 세척기
JP4544131B2 (ja) 食器洗い機
JP4670595B2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0751147B1 (ko) 식기 세척기
KR100770071B1 (ko) 식기 세척기
KR20080088122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426405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US11166617B2 (en) Dishwasher with heat pump
KR102191960B1 (ko) 식기 세척기
JP2002263050A (ja) 食器洗浄機
CN107647834B (zh) 热泵式洗碗机
US20040200508A1 (en) Dishwasher having air generator
KR100758526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KR20060124285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0813092B1 (ko) 퇴수의 폐열로 예열되는 업소용 식기세척기
JP2007014537A (ja) 食器洗い乾燥機
KR20230108148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60124268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스팀공급구조
KR102603450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0652481B1 (ko) 식기세척기의 건조효율 향상구조
KR100535771B1 (ko) 식기세척기의 헹굼수 탱크
JP2005304619A (ja) 食器洗浄機
JP3385706B2 (ja) 食器洗浄機の運転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食器洗浄機
JP2018011711A (ja) 洗浄機
KR20170004647A (ko) 식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