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975A - 치과용 버 - Google Patents

치과용 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975A
KR20230107975A KR1020220003226A KR20220003226A KR20230107975A KR 20230107975 A KR20230107975 A KR 20230107975A KR 1020220003226 A KR1020220003226 A KR 1020220003226A KR 20220003226 A KR20220003226 A KR 20220003226A KR 20230107975 A KR20230107975 A KR 20230107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
dental
handpiece
dental bu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덴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덴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덴플렉스
Priority to KR1020220003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975A/ko
Priority to PCT/KR2022/015735 priority patent/WO2023132441A1/ko
Publication of KR20230107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버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피스의 버 체결구에 체결되는 버 체결부의 소정 구간 일정 부위에 버의 길이 방향 수직 중심축을 따라 수직 축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치과용 버의 원기둥 형상보다 단면적을 줄여 치과용 버 전체 무게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치과용 버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절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대적으로 고속의 회전수를 확보함에 따라 핸드피스에 과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져 핸드피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치과용 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버{Dental bur}
본 발명은 치과용 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핸드피스의 버 체결구에 체결되는 버 체결부의 소정 구간 일정 부위에 버의 길이 방향 수직 중심축을 따라 수직 축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치과용 버의 원기둥 형상보다 단면적을 줄여 치과용 버 전체 무게를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치과용 버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절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대적으로 고속의 회전수를 확보함에 따라 핸드피스에 과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져 핸드피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치과용 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버는 공기압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핸드피스의 버 체결구에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구강 내에서 접촉되는 대상물을 절삭하는 공구이다.
핸드피스의 버 체결구는 치과용 버의 외측면을 잡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되, 특히 치과용 버의 외측면에 수직 중심축을 향한 일정 압력을 가함으로써 치과용 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치과용 버를 회전시키는 핸드피스의 작동원리는 공기압을 받아 회전하는 임펠러(즉, 회전날개)가 버 체결구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임펠러에 강한 공기압을 가함으로써, 임펠러와 직접 또는 간접으로 결합된 치과용 버에 강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한 공기압 하에서 치과용 버의 회전수는 치과용 버의 무게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즉, 동일한 공기압 하에서 치과용 버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치과용 버의 회전수
이러한 이유로 인해 좁은 구강내에서 사용하기 편한 작은 사이즈의 핸드피스는 공기압을 받는 날개 사이즈가 적어 회전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기존 버를 사용하였을 때, 큰 사이즈의 날개 사이즈가 구비된 큰 사이즈의 핸드피스에 비해, 회전속도 및 절삭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그 결과 절삭을 위한 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환자의 불편함 및 시술 시간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이러한 감소한 절삭력을 보상하기 위해 절삭방향을 향해 압력을 가하게 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과도한 압력을 가하게 되면 핸드피스 체결구와 버 체결부사이의 접촉면에 마찰력이 상승하게 되어, 체결구의 내측면 마모, 또는 버 체결부와 핸드피스 체결구 사이에 융착이 발생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핸드피스에 사용되는 베어링에도 무리가 가게 되어 값비싼 핸드피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로 인해, 좁은 구강내에서 사용하기 편한 작은 사이즈의 핸드피스 대신에, 구강내에서 사용하기 부담스럽지만 회전력이 강한 큰 사이즈의 핸드피스를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핸드피스(1)에 치과용 버(2)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치과용 버(2)의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치과용 버(2)는 핸드피스에 체결되는 버 체결부(2a)와 구강 내 대상물을 절삭하는 절삭 헤드부(2b)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버 체결부(2a)는 속이 꽉차고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버는 무게가 많이 나가 회전 속도가 떨어져, 절삭 성능이 저하되고, 그 결과 좁은 구강내에서 사용하기 편한 작은 사이즈의 핸드피스의 사용을 회피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842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805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버 체결부의 수직 중심축을 따라 수직 축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치과용 버의 원기둥 형상보다 단면적을 줄여 치과용 버 전체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버의 체결력은 변함없으면서 버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절삭력을 향상시킬수 있고, 나아가 상대적으로 고속의 회전수를 확보함에 따라 핸드피스에 과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져 핸드피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치과용 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 체결부의 외측면과 상기 수직 축공 사이에 관통 절개부, 관통홀 또는 개방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버 체결부에서 탄성력을 자체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특히 버 절삭부에 측방압이 가해질 때, 버 체결부에서 측방압을 자체 완화 또는 해소하게 함으로써, 핸드피스 쪽으로 전달되는 측방압을 감소시켜, 핸드피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치과용 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구강내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작은 핸드피스로도 충분한 절삭력을 얻을 수 있는 치과용 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추후 청구항 확정후 출원 시 개재할 예정임!.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버 체결부의 수직 중심축을 따라 수직 축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치과용 버의 원기둥 형상보다 단면적을 줄여 치과용 버 전체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버의 체결력은 변함없으면서 치과용 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절삭성능 향상 및 빠른 절삭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종래 보다 고속의 회전수를 확보함에 따라 시술자가 핸드피스에 과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어져 핸드피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세째, 버 체결부의 외측면과 상기 수직 축공 사이에 관통 절개부, 관통홀 또는 개방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버 체결부에서 탄성력을 자체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특히 버 절삭부에 측방압이 가해질 때, 버 체결부에서 측방압을 자체 완화 또는 해소하게 함으로써, 핸드피스 쪽으로 전달되는 측방압을 감소시켜, 핸드피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네째, 작은 사이즈의 핸드피스 사용시에도 우수한 절삭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시술자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드피스에 치과용 버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치과용 버의 일반적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의 사시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의 사시도 및 B-B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버(100)는 치과용 회전 공구인 핸드피스에 장착되어 회전함으로써 구강 내 대상물을 절삭하는 절삭공구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의 사시도 및 A-A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100)는 구강 내 대상물을 절삭하는 절삭 헤드부(110) 및 핸드피스의 체결구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버 체결부(12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버 체결부(120)는 그 구간의 일정 부위에 버의 길이 방향 수직 중심축을 따라 수직 축공(13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버 체결부(120)의 수직 중심축을 따라 수직 축공(130)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치과용 버의 원기둥 형상보다 수직 축공만큼 부피를 줄여 치과용 버 전체 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핸드피스의 체결구와 버 체결부의 외측면간의 버 체결력은 변함없으면서, 버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절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의 사시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직 축공(130)과 버 체결부(120)의 외측면 사이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관통 절개부(140) 또는 관통홀(150)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축공(130)의 최상단 입구 부위로부터 절삭 헤드부 쪽을 향해 개방 절개부(16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 절개부, 관통홀 또는 개방 절개부가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거나 수직 중심축에서 각각의 관통 절개부, 관통홀홈 또는 개방 절개부의 중심을 잇는 선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의 B-B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 체결부(120) 원주 둘레를 따라 3개의 관통 절개부(140)가 120도 각도 마다 형성된다. 이는 치과용 버가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무게가 원주를 따라 균등하게 분포되어, 특히 고속 회전시 진동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수직 축공(130)과 버 체결부(120)의 외측면 사이에 관통 절개부(140), 관통홀(150) 또는 개방 절개부(160)를 형성함으로써, 그러한 관통 절개부, 관통홀 또는 개방 절개부 자체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버 체결부에서의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술 중 특히 버 절삭부(110)에 측방압이 가해질 때, 버 체결부에서 측방압을 자체 완화 또는 해소하게 함으로써, 핸드피스 쪽으로 전달되는 측방압을 감소시켜, 핸드피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설계적인 재료 수정 또는 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4)

  1. 치과용 회전 공구인 핸드피스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치과용 버에 있어서,
    구강 내 대상물을 절삭하는 절삭 헤드부; 및
    상기 핸드피스의 버 체결구에 삽입되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버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 체결부 구간의 일정 부위에는 버의 길이 방향 수직 중심축을 따라 수직 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축공과 상기 버 체결부의 외측면 사이를 서로 연통되게 연결하는 관통 절개부 또는 관통홀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치과용 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축공의 최상단 입구 부위로부터 상기 절삭 헤드부 쪽을 향해 개방 절개부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치과용 버.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절개부, 관통홀 또는 개방 절개부가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횡단면에서 보았을 때,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거나 수직 중심축에서 각각의 관통 절개부, 관통홀홈 또는 개방 절개부의 중심을 잇는 선이 이루는 각도가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버.




KR1020220003226A 2022-01-10 2022-01-10 치과용 버 KR20230107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226A KR20230107975A (ko) 2022-01-10 2022-01-10 치과용 버
PCT/KR2022/015735 WO2023132441A1 (ko) 2022-01-10 2022-10-17 치과용 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226A KR20230107975A (ko) 2022-01-10 2022-01-10 치과용 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975A true KR20230107975A (ko) 2023-07-18

Family

ID=87073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226A KR20230107975A (ko) 2022-01-10 2022-01-10 치과용 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7975A (ko)
WO (1) WO202313244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053A (ko)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쎄타텍 치과용 버 및 그 제조방법
KR101968421B1 (ko) 2016-11-28 2019-04-11 박규태 치과용 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103B1 (ko) * 2008-04-19 2010-04-27 장철훈 치과용 핸드피스 및 그 치공구 드릴
KR101344570B1 (ko) * 2013-06-14 2013-12-26 김형우 치아 신경치료용 엔도파일
KR101758803B1 (ko) * 2016-10-10 2017-07-17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드릴장치
US10987196B2 (en) * 2018-06-27 2021-04-27 Paltop Advanced Dental Solutions Ltd. Drill guide
CN210612257U (zh) * 2019-05-22 2020-05-26 许竞 一种口腔钻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8053A (ko) 2009-02-27 2010-09-06 주식회사 쎄타텍 치과용 버 및 그 제조방법
KR101968421B1 (ko) 2016-11-28 2019-04-11 박규태 치과용 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441A1 (ko) 2023-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1378B2 (ja) 骨切除外科のこぎりのためのマイクロのこぎりブレード
US10842508B2 (en) Disposable burr attachment
US4572187A (en) Abrasion device
WO2012157063A1 (ja) 深穴切削用ドリルヘッド
US20090279974A1 (en) Tip Dresser
JP2011523884A (ja) 外周近傍に連動結合部を配置した外科切除器具
US11766266B2 (en) Oscillating surgical cutting tool
JPH10155811A (ja) 歯科用リーマー
US5873719A (en) Dental reamer
WO2017092578A1 (zh) 医用可侧弯的磨削刀具
US4521190A (en) Air bearing device in dental handpiece
KR20230107975A (ko) 치과용 버
US5655907A (en) Rotatable tool suitable for high speed drive
JP2556790B2 (ja) ドリル研削装置
US6565587B1 (en) Cutter for removing tissue
KR20060052132A (ko) 회전 공구
JP2018015861A (ja) 刃先交換式ドリルのドリル本体、及び刃先交換式ドリル
US4203221A (en) Gas-driven handpiece having vibration isolating means
JPS6015538Y2 (ja) 歯科治療器具用チャック
JP3115815B2 (ja) 工具ホルダー
JPH11128246A (ja) 歯科用ツール
KR102339753B1 (ko) 핸드피스
JP6687661B2 (ja) マルチコプタ
US20040133209A1 (en) Medical bur
JP7495342B2 (ja) 外科用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