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8421B1 - 치과용 버 - Google Patents

치과용 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8421B1
KR101968421B1 KR1020170160962A KR20170160962A KR101968421B1 KR 101968421 B1 KR101968421 B1 KR 101968421B1 KR 1020170160962 A KR1020170160962 A KR 1020170160962A KR 20170160962 A KR20170160962 A KR 20170160962A KR 101968421 B1 KR101968421 B1 KR 101968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head
round
rod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067A (ko
Inventor
박규태
Original Assignee
박규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태 filed Critical 박규태
Publication of KR2018006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8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61C3/025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e.g. for cleaning, polishing or cutt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 연삭 가공에 사용되며 치아를 직접 연마하는 헤드부와 핸드 피스와 결합되는 부분인 섕크부를 구비하는 치과용 버로서, 베이스 금속 자체를 기준으로 볼 때 헤드부의 하부는 끝단에서 상부로 가면서 직경 변화가 없는 막대나 중심축과 이루는 경사 각도가 20° 이하인 테이퍼 막대로 이루어진 막대부로 이루어지고, 헤드부의 상부는 막대부 상단에서 직경이 갑자기 증가하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전체적으로 둥근 곡면으로 형성되는 라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쐐기 방식의 치아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치아 절단 작업이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되며 작업중 치아 주변의 연조직, 신경 등이나 주변 치아가 버에 닿아 손상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고, 절단되는 부분의 위쪽에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어서 작업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치아 절단된 후에 절단된 치아 부분을 쉽게 제거할 공간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버{DENTAL BU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과용 기구 혹은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연삭 절단 등의 치아 가공, 처치에 사용되는 치과용 버에 관한 것이다.
치아 등의 연삭에 사용되는 치과용 버(dental bur)는 막대 형상의 베이스 금속을 가공하여 형성하게 된다. 도 1에는 몇 가지 유형의 치과용 버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치과용 버(10)의 대략적 구성을 설명하면, 통상 베이스 금속의 일측인 기단 부분에 섕크부(shank, 11)를 형성하여 에어 모터 등의 손으로 잡는 부분(hand piece)에 설치된 척(chuck)이 버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일측의 선단부에 연삭용 입자를 고착시키거나 날을 형성시킨 연삭부인 헤드부(head, 13, 13', 13")를 형성하여 치아를 연삭하도록 한다. 헤드부(13, 13' 또는 13")와 섕크부(11)를 연결하는 부분을 넥부(neck)라 할 수 있다. 헤드부(13, 13' 또는 13")의 길이는 통상 5㎜ 정도이다.
치과용 연삭 버의 헤드부에 연삭용 입자를 고착시키는 방법으로는 도금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방법에서는 도금조에 도금액을 충전하고, 도금액 내에 헤드부에 고착시킬 지립을 수용한 초벌구이된(unglazed) 용기를 침지시키고, 이 용기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니켈 등의 양극 금속을 침지시킨다. 용기 내의 연삭용 입자는 도금액에 침지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용기 내에 베이스 금속의 헤드부가 되는 부분을 삽입하고, 베이스 금속을 음극으로서 통전시키면 헤드부의 표면에 니켈 등의 양극 금속이 석출되고, 이 금속의 성장에 수반하여 헤드부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연삭용 입자가 전착된다.
치과용 버에는 연삭용 입자의 재질 및 입경에 따른 구분이 있어 식별이 필요하게 되는데, 통상 이 식별은 베이스 금속에 유색 도료를 도포한 식별부(15)를 형성하여, 식별부의 색의 차이에 의하도록 한다. 식별부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흔히 베이스 금속의 중간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도료를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식별부는 버의 헤드부 영역을 표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버의 헤드부 끝단에서 일정 거리에 식별부를 설치하면 치아 가공시의 가공 깊이 기준이 될 수 있다.
에어 모터에서 버가 회전하면서 치아 가공이 이루어지는데 회전수가 클수록, 버에 가하는 힘이 클수록, 버의 날의 각도가 예리할수록 절삭력이 증가한다.
치과용 버는 가령 보철을 설치하기 위한 가공이나 사랑니 제거를 위한 치아 절단 가공 등에 사용된다. 사랑니는 정상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지만 공간이 충분하지 않거나 주변 구강 형태에 영향을 받아 옆으로 누워있는 경우도 매우 많다. 이러한 누운 사랑니는 치근도 옆으로 뻗어있어서 충치나 염증 등의 문제를 쉽게 일으킨다. 누운 사랑니를 뽑는 방식으로 제거할 때, 주변 치아로 인하여 누운 사랑니의 제거를 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설명도와 같이 치아 일부를 치과용 버와 같은 치공구로 잘라 그 일부를 먼저 제거하고, 나머지 치아를 뽑는 방식으로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사랑니 제거와 같이 치아 일부를 분할할 필요가 있을 때 치아를 전체 두께 혹은 전체 폭에 걸쳐 절단하는 것은 절단을 위한 연삭가공을 할 때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모되고, 가공 과정에서 치아 주변의 협측점막(연조직, 볼 점막, 볼쪽 잇몸살(치은))이나 설측점막(혀, 혀쪽 잇몸살(치은))에 닿거나 하는 경우에 치아 주변에 있는 혀신경이나 하치조신경을 손상시킬 수 있어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도 3은 사랑니 제거 과정에서 치과용 버의 끝단이 하막관(하치조신경)에 닿는 문제를 예시한 도면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과용 버를 이용하여 치아 일부를 분할 가공할 때 치아의 일부가 나머지 부분과 연결된 중간 부분 전체를 자르기보다는 일부분을 연삭가공으로 절단하고 나머지 부분은 쐐기 방식으로 단단한 물체의 쪼개짐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치과용 버의 형태 구성을 보면 도 1에서 나타나듯이 헤드부가 단순히 예각의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a),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거나(c), 헤드부 끝단이 뭉툭한 형태로 형성되는(b) 등 여러 가지 기능부를 이루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쐐기방식의 쪼개짐 등과 같이 두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치공구는 아직까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415387호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의 치과용 버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쐐기 방식의 치아 절단 작업에 적한한 형태 및 구조를 가진 치과용 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관부 삭제시, 치관부실측 천공시에 버의 헤드부에 연조직이 말리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용 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치과용 버는 베이스 금속 자체를 기준으로 볼 때 헤드의 끝단에서 시작하는 하부는 통상의 헤드(head)와 비슷하게 직경 변화가 거의 없는 막대나 예각의 뾰족한 혹은 끝단이 편평하고 측면은 경사진 테이퍼 막대 형태의 막대부로 형성되고, 헤드의 핸드 피스 쪽 부분은 급격한 기울기를 가지고 직경이 증대하였다가 기울기가 서서히 줄어들면서 구형을 이루거나 포물면과 같은 곡면을 가지게 되는 라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서, 막대부의 길이는 헤드부의 끝단에서부터 헤드부의 70~80%에 해당하는 길이를 구비하고, 라운드부의 길이는 헤드부의 나머지 20~30%에 해당하는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헤드부의 하부는 끝단에서 상부로 가면서 직경 변화가 없는 막대나 중심축과 이루는 측면의 경사 각도가 가령 15~25도 정도인 테이퍼 막대로 이루어진 막대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헤드부의 상부는 막대부 상단에서 직경 혹은 기울기가 갑자기 증가하는(가령 경사각도가 45도, 바람직하게는 60도 이상으로 갑자기 증가하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기울기가 점차로 줄어들어 전체적으로 둥근 곡면, 가령 구형 곡면으로 형성되는 라운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헤드부의 하부 끝단은 평평한(flat) 형태나 침상의 뾰죽한 형태가 모두 가능하다. 또한, 헤드부의 하부 끝단이나 하부 끝단 측면은 0.5㎜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부분이 날(blade)이나 연삭용 입자를 입히지 않은 비연삭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넥부와 접하는 헤드부의 경계 영역 상단의 넥부 하부에는 식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식별부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된 홈에 도료나 안료를 입혀 형성될 수 있다. 식별부는 하나의 선으로 형성되기 보다는 핸드 피스쪽으로 가면서 일정 간격을 가진 복수 개의 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선들은 마커로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고, 헤드부의 끝단에서부터 일정한 길이를 갖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치과용 버는, 치아 연삭 가공에 사용되는 치과용 버(bur)로서, 치아를 연마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넥부를 통해 연결되며 핸드 피스와 결합되는 부분인 섕크부(shank)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넥부에 연결되는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에 연결되는 막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막대부는 상기 라운드부에서부터 끝단까지 직경 또는 폭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태를 구비하거나 상기 직경 또는 폭의 변화가 없는 막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라운드부의 최대 직경이나 폭은 상기 넥부의 최대 직경이나 폭 또는 상기 막대부의 최대 직경이나 폭보다 1.5배 이상 크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막대부의 길이는 상기 라운드부의 길이보다 2배 이상 긴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막대부의 길이는 상기 끝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헤드부 길이의 70~80%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치과용 버는 상기 막대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표면에 부착되는 연삭용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치과용 버는, 치아 연삭 가공에 사용되는 치과용 버(bur)로서, 치아를 연마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넥부를 통해 연결되며 핸드 피스와 결합되는 부분인 섕크부(shank)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넥부에 연결되는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에 연결되는 막대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운드부의 외표면은 구면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라운드부의 직경은 상기 넥부의 최대 직경이나 폭 및 상기 막대부의 최대 직경이나 폭보다 크고, 상기 막대부는 상기 라운드부에서부터 끝단까지 직경 또는 폭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태를 구비하거나 상기 직경 또는 폭의 변화가 없는 막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막대부와 상기 라운드부의 표면에는 연삭용 입자가 부착되며, 상기 막대부는 상기 끝단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헤드부 길이의 70~80%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나머지 20~30% 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버의 헤드에서 직경의 변화가 별로 없는 아래쪽 막대부와 직경이 확장된 부분인 위쪽 라운드부를 결합시킨 구성을 통해 쐐기 방식의 치아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아 절단 작업이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되며 작업중 치아 주변의 구강 연조직(Soft Tissue)이나 신경 등(구강 연조직은 통상 치아나 치조골(잇몸뼈) 외의 구강치은(잇몸살) 조직을 지칭하나 이하 연조직은 협측 및 설, 혀 및 구강저(혀밑점막)를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생각하고, 신경은 주로 하치조신경관과 설신경을 포함할 수 있는 개념으로 생각하기로 함)이나 주변 치아가 버에 닿아 손상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버의 구성에 따르면 절단되는 부분의 위쪽에 충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어서 작업 확인이 쉬워지므로 작업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치아 절단된 후에 절단된 치아 부분을 쉽게 제거할 공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라운드부와 막대부 표면처리를 달리하여 라운드부는 연조직에 닿아도 연조직의 손상이 적은 표면으로 운용할 수 있고, 라운드부 자체가 치과용 버의 식별부 역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식별부 홈을 형성함에 있어서 레이저 가공으로 홈을 형성하여 기계가공에 의한 홈에 따른 베이스 금속 강도 저하를 줄일 수 있고, 식별부에 도포되는 도료나 안료 내구 수명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버의 몇 가지 유형을 나타내는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2는 치과용 버를 이용하는 형태의 하나로 사랑니 발치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랑니 발치에서 버가 하치조신경관에 닿는 위험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의 여러 가지 하단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치과용 버를 사용하여 누운 사랑니의 드러난 부분을 수평방향으로 절단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들로, 도 6은 정상적인 경우, 도 7은 과잉 진행되어 버의 라운드부가 혀와 같은 연조직에 닿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4의 치과용 버를 사용하여 누운 사랑니의 드러난 부분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과정을 통해 부분적으로 절단된 사랑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100)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의 여러 가지 하단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섕크부나 연결부(넥부)는 종래의 치과용 버에 비해 특별한 변화한 것이 없으므로 식별부를 제외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 설명 대부분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버(100)는 넥부에 연결되는 헤드부(130)를 구비하고, 헤드부(130)는 막대부(133)와 라운드부(131)를 구비한다.
막대부(133)는 헤드부(130)의 아래쪽 끝단에서 약 70~80%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이고, 라운드부(131)는 막대부(133) 부분을 제외한 헤드부(130)의 부분인 라운드부(131)로 나뉘어질 수 있다.
헤드부(130)의 길이가 10㎜일 때, 막대부(133)의 길이는 약 7~8㎜, 라운드부의 길이는 2~3㎜일 수 있다. 즉, 막대부(133)의 길이는 헤드부(130)의 길이의 약 70~80%이고, 라운드부(131)의 길이는 헤드부(130)의 길이의 약 20~30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막대부(133)의 길이는 라운드부(131)의 길이보다 길고, 막대부(133)에 대한 라운드부(131)의 길이 비율은 약 0.25 내지 약 0.43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헤드부(130)이 길이는 10㎜이고, 막대부(131)의 길이는 8㎜이고, 라운드부(131)의 길이는 2㎜일 수 있다.
이러한 라운드부(131)와 막대부(133) 각각의 길이와 이들의 비율은 통상적인 사랑니의 저작면의 폭과 거의 같거나 조금 작은 수치에 해당하며, 사랑니 절단 작업이 상기 저작면과 대략 평행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의 헤드부(130), 라운드부(131) 및 막대부(133)의 각 길이와 이들의 비율은 쐐기 방식의 사랑니 절단 작업에 최적화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만일, 사랑니 절단 중에 기존의 치과용 버가 10㎜를 초과하여 더 깊이 들어가는 경우, 하막관(하치조신경)을 손상시켜 치과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구강 장애(신경 손상에 의한 입술, 혀, 볼의 기능 및 감각 장애)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100)을 사용하면, 라운드부(131)에 의해 버(100)의 삽입 깊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버(100)가 10㎜를 초과하여 더 깊이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막대부(133)는 그 하부 끝단이 평평하고, 테이퍼진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막대부(133)는 구현에 따라서 그 하부 끝단 측면에 미세한 날(blade)이 형성되지 않거나 연삭용으로 부착되는 연삭입자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막대부(133)는 아래쪽 끝단에서 소정 부분 위쪽까지 측면이 중심축과 15~25° 정도의 각도를 이루는 완만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라운드부(131)는 헤드부(130)에서 직경이 급하게 확장된 부분에서 시작하여 넥부에 연결되는 헤드부(130)의 상단까지 이어지는 구간이다. 라운드부(131)는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가면서 외측면 또는 그 접선이나 접면이 중심축에서 급하게 멀어지다가 멀어지거나 급격하게 경사지다가 그 정도가 서서히 완만해지고 기울기의 부호가 바뀌는 상태와 같이 그 외표면의 경사가 반전되어 다시 중심축과 가까워지거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가 완만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라운드부(131)의 외표면은 전체적으로 구면과 같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라운드부(131)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치아 연삭을 위한 연삭용 입자가 부착될 수 있다.
치과용 버(100)의 헤드부(130)의 재질로는 탄소강 등의 금속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헤드부(130)의 표면에 부착되는 연삭용 입자는 텅스텐카바이드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텅스텐카바이드 재질은 연삭능력이 다이아몬드 연삭 입자에 비해 다소 떨어지지만 인체 연조직과 접촉될 때 연조직에 대한 손상 정도가 적고 경제적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100)는 헤드부(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식별부(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식별부(115)는 헤드부(130)의 상단부 외측 즉, 라운드부(131)의 상단 위쪽에 설치된다.
식별부(115)는 헤드부(130)의 끝단에서 11㎜, 12㎜, 13㎜ 및 14㎜만큼 각각 떨어진 위치들에 설치되는 홈이나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홈이나 마커는 녹색, 노랑, 빨강 등의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들이나 마커들은 헤드부(130)의 중심축과 수직한 평면에서 헤드부(130)의 중심축 주위를 한바퀴 도는 원주에 대응하는 위치들에서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치아 연삭 가공 과정에서 시술자는 식별부(115)를 이용하여 버(100)의 헤드부(130)가 치아의 얼마나 깊은 곳까지 삽입되어 절단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치과용 버(100)의 헤드부(130)가 치아 내로 들어가는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식별부(115) 아래의 라운드부(131)가 치아 내로 완전히 들어가는 순간, 치과용 버의 헤드부(130)는 치아 내로 정확히 10㎜ 들어간 것이며, 식별부(115)의 녹색 선의 홈부가 치아 내로 막 들어가 보이지 않는 위치는, 헤드부(130)가 치아 내로 정확히 11㎜만큼 삽입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헤드부(130)의 라운드부(131)가 치아 내로 삽입되면, 막대부(133)에 의해 일정 깊이의 쐐기 구멍이 형성된 치아는 라운드부(131)가 치관절제 시술을 위한 쐐기 홈을 형성하며 치아를 절삭할 때 쐐기 효과(wedge effect)에 의해 치아의 남은 부분을 쉽게 쪼갤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치과용 버를 사용하면, 헤드부(130)가 치아의 하단까지 들어가지 않고 치아 하부의 일부 두께를 남긴 채 절단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게 치과용 버가 치아 주변에 있는 잇몸이나 치조골, 하치조신경 및 설신경 등을 건드리는 일이 없도록 안전하게 시술 정도(치아 절삭 깊이 등)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실시예에서는 표시되지 않고 있지만, 헤드부의 하부 끝단(133a, 133b, 133c)은 평평한(flat) 형태 외에도 도 5의 다른 실시예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침상의 뾰죽한 형태로 끝단 일측면에 날(blade)이 형성되지 않거나 연삭물 입자가 형성되지 않은 형태(a), 끝단이 평평하면서 일정 길이 만큼 연삭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연삭물 입자가 입혀지지 않은 형태(b), 상기 (b)의 형태에 더하여 평평한 끝단의 평면 중심 일부에 볼록한 돌기가 형성되는 형태(c)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날이 형성되지 않거나 연삭물 입자가 부착되지 않는 부분은 헤드부의 하부 끝단이나 끝단 측면 가장자리에서부터 그 안쪽으로 약 0.5㎜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분은 비연삭부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비연삭부는 헤드부의 형상 등에 따라 약 1.5㎜ 정도 폭을 갖을 수 있다.
전술한 비연삭부는 헤드부의 끝단으로 치아를 연삭, 연마하지 않고 주로 연삭면 부분에서만 연삭을 실시함으로써 치아에서 기존에 다른 버나 치공구를 이용하여 형성된 절단홈 혹은 틈을 넓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식별부(115)는 치과용 버를 제작할 때 레이저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그 부분을 승화시켜 넥부의 표면 일부를 제거하여 홈을 만들고, 이 홈에 안료나 도료를 도포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식별부의 홈을 만들 때 밀링이나 드릴링과 같은 기계적인 제거에서 오는 주변부의 스크레치나 원하지 않는 홈으로 인한 취약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취약부를 줄이거나 취약부 발생을 방지하면, 치과용 버의 베이스 금속에 대한 기계적 강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치과용 버의 사용시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넥부가 파단 혹은 절곡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에 사용되는 안료나 도료도 홈 내에서 외부 마찰이나 충격에 의한 훼손으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될 수 있으므로 식별부의 내구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치과용 버를 사용하여 누운 사랑니의 드러난 부분을 사랑니의 수평방향으로 절단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치아(사랑니, 200)는 거의 수평으로 누워있고 잇몸에 함몰된 상태이다. 치아(200)는 위를 향해야 정상인 저작면(210)이 인접한 치아를 향하고, 그 치근(230)은 잇몸에 감추어진 상태로 역시 수평으로 누워있다고 가정하며, 사랑니의 상부는 노출되어 있지만 좌우 양측 상당 부분은 치조골에 묻혀 있고, 하부는 하악골에 깊이 묻혀있으면서 하악골 내의 하치조신경관(255) 영역에 인접하게 놓여 있게 된다.
전술한 치아(200)를 절단하여 제거하기 위하여, 먼저 잇몸을 절제하고 절제된 잇몸을 벌여줌으로써 함몰된 치아(200)의 일부분이 드러나도록 한다. 대부분이 함몰되어 있으나, 절제로 인하여 일부분이 드러난 치아에 대하여 치과용 버(100)의 헤드부는 대략 수직한 상태로 치아(200)의 한쪽 측면, 여기서는 협측점막(400, 볼) 쪽에서 그 반대쪽 측면, 여기서는 설측점막(300, 혀) 쪽을 향하여 절단하는 치관절제 작업을 하게 된다.
버(100)의 하단부는 비교적 좁게 형성되고 하치조신경관(255)이 내재하고 있는 하악골(250) 쪽에 위치하는 치아(200)의 하단에는 닿지 않는 상태에서 치관절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정상적인 작업에 의하면, 치아(200)를 횡단하는 작업이 완전히 반대쪽 측면까지 이루어지면 그 반대쪽 측면에 닿아있는 구강 내 연조직, 여기서는 설측점막(300) 조직과 버(200)의 헤드가 닿아 설측점막(300)이 헤드의 연삭면에 의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치과용 버(100)는 완전히 치아를 횡단하지 않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 튀어나온 부분인 라운드부가 설측점막과 같은 연조직에 접근하면 작업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도 7은 도 6과 같은 정상적인 작업에서 그치지 않고 과잉으로 치관절제가 진행된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헤드부의 아래쪽인 막대부는 아직 치아 내에 있지만 라운드부는 치아를 전체 폭에 걸쳐 절단하고 그 표면이 치아 밖으로 드러나 구강의 연조직, 여기서는 설측점막(300)에 일부 닿게 된다. 이런 경우, 종래와 같은 헤드부는 연조직을 건드리는 즉시로 회전하는 헤드부가 연조직을 감아 연조직이 헤드부 주변에 말리듯이 감기게 되므로 손상부위도 커지고 손상 깊이도 깊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100)에서는 헤드부의 라운드부가 먼저 연조직에 닿게 되는데, 이 부분은 둥글고 직경도 커서 연조직을 감는 현상은 현저하게 줄어든다. 따라서 치과용 버의 작업 중에 주변 연조직이 헤드부에 휘말리고 상처부위가 깊어지고 확대되는 문제를 억제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앞서 참조한 도 6과 도 7은 치아(200)를 횡단하는 작업에서의 정상적인 모습과 과잉으로 절제된 모습을 보여주나, 도 8은 수직방향으로 치아가 절제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8은 도 4의 치과용 버를 사용하여 누운 사랑니의 드러난 부분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a)는 수직방향으로 치아 절제가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며, (b)는 정상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치아절제가 이루어진 모습을 보여준다.
실제 치아절제에서는 도 8의 (b)와 같은 깊이로 치아가 절제되어야 하나, 만약 도 8의 (b)보다 깊게 치아가 절제되는 경우에는 치아 밑에 있는 하치조신경관(255)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하치조신경관(255)에 손상을 가하게 되면 구강 장애(신경 손상에 의한 입술, 혀, 볼의 기능 및 감각 장애) 등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부의 구조 즉 막대부와 막대부 상부의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구조에 의해 도 8의 (b)보다 깊게 치아가 절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b)와 같은 치관절제 작업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100)에 의한 치아 연삭 절단 작업이 완료되면 사랑니 등의 치아(200)에는 도 9와 같은 절단용 홈(241, 243)이 형성되며, 절단용 홈 하부의 치아(200)의 아래쪽 부근은 치아(200)의 전체 높이 또는 두께의 1/4 내지 1/3 정도가 절단용 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된다.
치아(200)에 형성된 절단용 홈의 상부(241)는 치과용 버(10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라운드부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므로 폭이 넓고 큰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절단용 홈의 하부(243)는 버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막대부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므로 폭이 좁게 형성된다. 이렇게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공간을 형성하면 쐐기 작용이 더 잘 이루어져 보다 작은 힘을 주어도 홈의 끝단에 응력이 집중되고 홈의 입구부에서는 홈의 폭 방향으로 홈을 벌리는 힘이 작용하여 홈의 연장 방향으로 쪼개짐(245)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도 9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종래의 끝이 날카롭고 직경이 좁은 치과용 버로 절단 작업을 할 때 형성될 수 있는 홈(241')을 표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치과용 버에 의한 홈(241, 243)과 대비를 이루고 있다.
도 9와 같은 치아 상태에서 치과용 버 자체를 전후 방향 또는 치아의 폭 방향으로 힘을 주거나, 치과용 버를 제거하고 홈에 끌과 같이 좁고 강한 단부를 가진 다른 치공구를 삽입하여 홈을 넓히는 방향으로 전후로 충격을 주거나, 쐐기형 부재를 홈에 넣어 압력을 주면 쐐기 작용에 의해 치아에서 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 홈이 확장되면서 치아의 나머지 부분이 간단히 쪼개지고, 절단되게 된다.
이후의 과정은 도 2에 나타난 통상의 사랑니 발치 과정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라운드부의 직경이 커져 치아에 버로 형성하는 홈의 상부 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절삭하므로, 이러한 홈의 상부 공간을 통해 치아의 절단 상태를 더욱 잘 확인하면서 절단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라운드부를 사용함으로써, 치과용 버가 수직방향으로 치아를 절제하게 되는 경우를 현저히 줄여줄 수 있다. 그리고, 치아의 절단이 이루어져 절단된 치아를 잔여부와 주변 치아 사이에서 끄집어낼 때, 라운드부에 의해 제거된 치아 상부 공간은 여유 공간으로 작용하여 치아 조각을 끄집어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버(100A)의 헤드부(130)는 막대부(133)과 라운드부(131)를 포함하고, 라운드부(131)는 막대부(133)에 접하는 라운드부(131)의 하부에 경사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라운드부(131)의 영역 또는 길이(L2)는 경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막대부(133)의 길이(L1)는 라운드부(131)의 길이(L2)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3/7 범위로 설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버(100A)는 도 4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치과용 버(100)와 대비할 때, 막대부(133)가 외표면에 경사면을 구비하고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태를 구비하지 않고 직경의 변화가 없는 막대 형태를 구비하며, 라운드부(131)가 막대부(133)의 경계 부분에 막대부(133)와의 사이에 급격한 외표면 접선이나 접면의 기울기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경사부(132)를 포함하는 데 차이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막대부(133)의 최대 직경(W1)은 라운드부(131)의 최대 직경(W2)보다 작다. 라운드부(131)의 최대 직경(W2)은 막대부(133)의 최대 직경(W1)의 1.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막대부(133)의 직경(W1)은 0.5㎜이상, 2.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막대부(133)의 구체적인 직경은 치아의 크기에 기초한 것으로, 치아 절삭 홈의 폭 크기, 라운드부(131)과의 직경 비율, 헤드부(133)의 회전 속도, 막대부(133)의 재질, 막대부(133)에 부착되는 연삭물 재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부(132)의 경사각은 막대 표면을 기준으로 대략 45°이상, 좀더 엄하게는, 대략 60°이상일 수 있다. 만약, 경사부(132)가 서로 다른 경사각들을 구비하는 경우, 경사각이 45°미만이 부분은 막대부(133)의 영역 또는 길이(L1)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경사각들은 헤드부(130)의 끝단에서 라운드부(131)로 가면서 막대부(133)의 외표면 상의 길이 방향의 직선을 기준으로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발명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100: 치과용 버(bur) 11: 섕크부(shank)
13, 13', 13", 130: 헤드부(head) 15, 115: 식별부
131: 라운드부 133: 막대부
200: 치아 210: 저작면
230: 치근 241: 홈 상부
243: 홈 하부 250: 하악골
255: 하치조신경관(신경영역) 300: 설측점막(혀)
400: 협측점막(볼)

Claims (3)

  1. 치아 연삭 및 절단 가공에 사용되는 치과용 버(bur)에 있어서,
    치아를 연마하거나 절단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넥부를 통해 연결되며 핸드 피스와 결합되는 부분인 섕크부(shank)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넥부에 연결되는 라운드부와 상기 라운드부에 연결되는 막대부를 구비하고,
    상기 막대부는 상기 라운드부에서부터 끝단까지 직경 또는 폭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태를 구비하거나 상기 직경 또는 폭의 변화가 없는 막대 형태를 구비하며,
    상기 라운드부의 최대 직경이나 폭은 상기 넥부의 최대 직경이나 폭 또는 상기 막대부의 최대 직경이나 폭보다 1.5배 이상 크고,
    상기 헤드부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막대부의 길이는 상기 라운드부의 길이보다 2배 이상 긴, 치과용 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 연결되는 상기 넥부에 형성되고 상기 끝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를 표시하는 복수의 홈들이나 마커들을 포함한 식별부를 더 구비하는 치과용 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의 끝단이나 끝단 측면에 날(blade)이 형성되지 않거나 연삭용 입자가 배치되지 않은 비연삭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버.
KR1020170160962A 2016-11-28 2017-11-28 치과용 버 KR101968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59565 2016-11-28
KR1020160159565 2016-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067A KR20180061067A (ko) 2018-06-07
KR101968421B1 true KR101968421B1 (ko) 2019-04-11

Family

ID=6262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962A KR101968421B1 (ko) 2016-11-28 2017-11-28 치과용 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84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7975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 덴플렉스 치과용 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253A (ja) * 2000-09-28 2002-04-09 Gc Corp 歯科用ダイヤモンドバー
JP2005211094A (ja) 2004-01-27 2005-08-11 Univ Nihon 歯科用切削バー
JP2006503664A (ja) * 2002-10-28 2006-02-02 アザス エヌ. コメタス, 自己制御式咬合切削バーおよび使用方法
KR101453351B1 (ko) 2013-10-14 2014-10-22 주식회사 해동특수정밀 세라믹 의치용 다이아몬드 버 및 그 제조방법
US20150297318A1 (en) 2014-04-17 2015-10-22 Inland Diamond Products Company Vacuum brazed diamond dental burr made using synthetic diamon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8291B2 (ja) 2006-08-31 2008-10-22 マニー株式会社 歯科用研削バー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2253A (ja) * 2000-09-28 2002-04-09 Gc Corp 歯科用ダイヤモンドバー
JP2006503664A (ja) * 2002-10-28 2006-02-02 アザス エヌ. コメタス, 自己制御式咬合切削バーおよび使用方法
JP2005211094A (ja) 2004-01-27 2005-08-11 Univ Nihon 歯科用切削バー
KR101453351B1 (ko) 2013-10-14 2014-10-22 주식회사 해동특수정밀 세라믹 의치용 다이아몬드 버 및 그 제조방법
US20150297318A1 (en) 2014-04-17 2015-10-22 Inland Diamond Products Company Vacuum brazed diamond dental burr made using synthetic diamo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7975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 덴플렉스 치과용 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067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6844B2 (en) Ultrasonic microtube dent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using same
JP4485037B2 (ja) 歯科用ダイヤモンドバー
EP0444155B1 (en) Dental reamer tool
JPH01223952A (ja) 安全端部付歯髄用ファイルセット
US20130171585A1 (en) Apparatus for lifting maxillary sinus
US9579166B2 (en) Root canal probe tool and method of removing a broken instrument fragment from a root canal
KR101968421B1 (ko) 치과용 버
US9089384B1 (en) Dental pin system
JP2004016400A (ja) 研削バー
US20140057228A1 (en) Safety subantral membrane lift capable of directly adjusting a subantral membrane to safely lift the subantral membrane in a desired direction by a desired distance, and operating method using same
TWI757171B (zh) 牙科用研磨器具及其使用方法
KR20110013780A (ko) 치아 발치용 드릴
US20140241819A1 (en) Safety Head Bur
KR101298248B1 (ko) 치조골 삭제를 위한 인공치아 시술용 드릴
TWM615291U (zh) 牙科用研磨器具
JP2016026559A (ja) インプラント用骨平面形成具
JP2009118893A (ja) 支台歯形成用バー
US6902400B1 (en) Dental bur
JP7210167B2 (ja) 咬合面形成用バー
US20070184408A1 (en) Dental preparation instrument
JP7121558B2 (ja) 中心窩形成用バー
EP3749245B1 (en) Dental burs for anatomy and reducing anesthetic use
CN220588375U (zh) 一种微创拔牙车针
CN219895948U (zh) 一种用于牙根盾成型的环套钻及手术组件
CN113397731A (zh) 磨除结构及硬组织磨除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