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871A -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871A
KR20230107871A KR1020237020659A KR20237020659A KR20230107871A KR 20230107871 A KR20230107871 A KR 20230107871A KR 1020237020659 A KR1020237020659 A KR 1020237020659A KR 20237020659 A KR20237020659 A KR 20237020659A KR 20230107871 A KR20230107871 A KR 20230107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witch device
sensor
guide rai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이르강
Original Assignee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줄리우스 블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10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B07C5/12Sorting according to size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o particula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7C5/14Sorting timber or logs, e.g. tree trunks, beams, plan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15/5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the swinging axis laying in the sliding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0Arrangements for mounting stoves or range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8Irregularities in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textiles, wood
    • G01N21/8986Woo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2015/5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with travelling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05Y2400/32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3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load sensors
    • E05Y2400/332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5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related to specific positions
    • E05Y2400/354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12Doors disappearing in pockets in the furnitur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본체(3)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1)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이 바람직하게는 관절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안내 레일(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지지부 안내 레일; 및 적어도 하나의 안내 디바이스(6)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안내 레일(5)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안내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를 고정,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9)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10)를 생성하도록 설계되며,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11), 바람직하게는 주방 기기(12)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 및/또는 해제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9)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적어도 하나의, 그리고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안내 레일(5)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의 적어도 하나의 지정 위치에서 전환 및/또는 작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안내 레일(5)에 대해 위치되거나 위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정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안내 레일(5)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단부 위치이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
본 발명은 가구 골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문짝이 바람직하게는 관절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지지부-안내 레일(들) 및 적어도 하나의 안내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적어도 하나의 안내 디바이스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 상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거나 장착되는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2 개의 이러한 안내 시스템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배열체 및 가구 골조와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가구 골조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내부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에 의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덮일 수 있고,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가 배열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가구 골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은 이미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문짝을 닫으면, 가구의 내부가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가구의 내부에 배열된 전기 기기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 또는 꺼져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사용자가 문짝을 닫기 전에 전기 기기를 끄는 것을 잊은 경우,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의도치 않게 전기 기기가 켜진 채로 방치될 수 있다. 방치된 전기 기기는 특히 전기 오븐과 같은 전열 기기의 경우 안전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의도치 않게 켜진 전기 기기로 인해 전력 소비가 불필요하게 증가한다. 이는 안전과 관련하여 덜 유해한 LED 램프와 같은 기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나마 해소하고,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안내 시스템,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안내 배열체 및 종래 기술에 비해 개선된 가구를 명시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기기를 안전하고 에너지 절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안내 시스템, 안내 배열체 및 가구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12 및 14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생성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 바람직하게는 주방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의해 전력 공급이 차단 및/또는 활성화됨으로써, 스위치 위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가 꺼지거나 켜지도록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문짝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전환 및/또는 작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에 대해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꺼지거나 켜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단부 위치인 것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문짝이 완전히 열린 경우에만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가 켜지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반대로, 문짝이 완전히 열렸을 때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가 단지 꺼지는 것을 보장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경보 시스템 또는 연기 센서).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가 더 이상 의도치 않게 방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가구 골조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안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배열체는 적어도 2 개의 안내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시스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배열체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원하는 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유형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센서가 안정적으로 작동 및/또는 응답하도록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를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의 높이 방향으로 제1 고정 인터페이스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따라서, 어댑터의 두 개의 고정 인터페이스의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사이의 간격에 영향을 미친다.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적어도 2 개의 어댑터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들 어댑터의 두 개의 고정 인터페이스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범위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어댑터의 선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사이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한 두 체결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사이의 간격은 조정 디바이스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교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를 가구 골조의 제1 측벽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1 설치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를 제1 측벽으로부터 이격된 가구 골조의 제2 측벽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2 설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설치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측벽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형상화된다.
따라서,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의 간격은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두 측벽은 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어댑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 상의 두 측벽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길이 방향의 단부 영역에 배열되는 지지 헤드를 가지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지지 헤드 상에 배열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지지 헤드는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본체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제한된 범위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carriage)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파킹 위치를 갖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캐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안내 레일에 횡으로 배열되는 추가 안내 레일 상에서 안내될 수 있다. 캐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문짝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안내 레일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헤드-안내 레일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과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헤드는 추가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고정 수단을 통해 지지 헤드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나사로서 형성되거나,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캐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나사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구가 필요 없는 연결은 캐치 수단을 통해 가능하다.
고정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으로의 설치 이동을 통해 지지 헤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설치 이동을 통해 캐치 수단으로 스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이동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에 대해 고정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디바이스의 두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이동에 의해 서로 더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디바이스에 의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는 자석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스위치 디바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리드 스위치는 지지부의 이동에 의해 자석을 더 가까이 가져옴으로써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 스위치에서 전기 접점은 자기적으로 닫힐 수 있다. 전기 접점이 닫히면 전기 신호가 생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스위치 디바이스는 차광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광 센서로서 형성된다. 지지부 및/또는 문짝은 차광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광 센서에 의해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은 신호에 의해 차단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은 신호의 결과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차단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전력 공급은 전기 기기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의 한계 값으로부터 차단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전기 기기에 약간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을 거의 소비하지 않는 전기 오븐의 시계는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도 계속 작동할 수 있으므로 리셋할 필요가 없지만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전기 오븐의 가열은 불가능하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가구에 있어서의 모든 전기 기기가 본 출원의 기술적 요지에 따라 전원을 끄거나 켤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냉장고의 경우, 연속 작동이 바람직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된 전원에 연결될 것이다.
일 실시예의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레일이 제공되고, 추가 안내 레일은 지지부-안내 레일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으로 배열될 수 있거나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에 배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추가 문짝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레일에 장착될 수 있거나 장착된다. 따라서, 2 개의 문짝으로 구성된 폴딩 도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넓은 도어의 경우, 도어를 여닫는 동안 가구 앞쪽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적기 때문에 유리하다.
안내 배열체의 일 실시예의 예에서, 적어도 2 개의 안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디바이스를 갖는 것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은,
- 적어도 하나의 안내 시스템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의해, 그리고/또는
- 적어도 2 개의 안내 시스템 각각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의해
차단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 및/또는 활성화하기 위해 여러 문짝 중 하나의 문짝만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특히 열린 위치에 있으면 충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 및/또는 활성화하기 위해 적어도 2 개의 문짝이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특히 열린 위치에 있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2 개의 문짝은 적절하게 열려져야 한다.
안내 배열체의 실시예의 예에서, 2 개의 문짝으로 구성된 접이식 도어는 추가 접이식 도어 및/또는 하나의 문짝으로 구성된 비접이식 도어와 결합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가구에 대해 유연하게 해결책을 구현할 수 있다.
가구의 실시예의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형상의 캐비티가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문짝이 이 캐비티에 함몰될 수 있다. 따라서, 문짝은 열린 상태에서 정리된다.
안내 디바이스 및 기타 메커니즘이 미적인 이유로 캐비티에 배열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캐비티 내의 적어도 하나의 문짝의,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함몰된 위치에서 전환 및/또는 작동될 수 있도록 가구 골조에 대해 위치설정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기기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도록 문짝이 캐비티에 함몰되어야 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a, 도 1b는 2 개의 안내 시스템을 구비한 안내 배열체를 갖는 가구로서, 도 1a는 문짝들이 닫힌 상태를, 도 1b는 하나의 문짝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2는 후방 사시도에서 안내 배열체를 갖는 가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 도 3b는 도 2의 안내 배열체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4a, 도 4b는 안내 시스템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상세도로서, 도 4a는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1 구성요소가 설치된 상태를, 도 4b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스위치 디바이스, 설치 디바이스 및 어댑터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6a, 도 6b는 도 6a가 지지부의 전체도를, 도 6b가 지지 헤드 상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1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7a가 어댑터의 사시도를, 도 7b가 어댑터의 측면도를, 도 7c가 설치 디바이스의 사시도를, 도 7d가 설치 디바이스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a 내지 도 7d와 동일한 관점에서의 본 어댑터 및 설치 디바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도 9a, 도 9b는 각각 도 8a 내지 도 8d의 실시예의 예 및 도 7a 내지 도 7d의 실시예의 예에 따른 설치 상태에서의 스위치 디바이스, 어댑터 및 설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0은 가구의 측벽 없이 설치 상태에 있는 스위치 디바이스, 어댑터 및 설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1a, 도 11b는 각각 측벽에 설치된 상태 및 측벽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2 구성요소, 어댑터 및 설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2는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2 구성요소, 어댑터 및 설치 디바이스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3a, 도 13b는 도 11b를 아래쪽에서 본 대안적인 도면으로서, 도 13a는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2 구성요소가 설치된 상태를, 도 13b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a, 도 14b는 도 8a 내지 도 8d에서의 설치 디바이스 및 어댑터를 구비한 도 4a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 14a는 측벽을 구비하고, 도 14b는 측벽이 은닉된 도면이다.
도 15는 캐치 수단과 함께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외부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1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16a, 도 16b는 각각 도 16a가 캐치 수단과 함께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외부의, 그리고 도 16b가 내부의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1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17a, 도 17b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7a는 전환을 위해 미리결정된 위치에 있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도 17b는 다른 위치에 있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8은 고정 수단이 분리되어 있는 스위치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9a, 도 19b는 자석을 구비한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1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9a는 인터페이스에 래치된 상태를, 도 19b는 래치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20a, 도 20b는 2 개의 문짝을 갖는 가구의 제2 실시예의 예로서, 도 20a는 전체도를, 도 20b는 스위치 디바이스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스위치 디바이스, 설치 디바이스 및 어댑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1a는 분해도를, 도 21b는 설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2a, 도 22b는 2 개의 서로 다른 관점의 스위치 디바이스, 설치 디바이스 및 어댑터를 도시한다.
도 23a, 도 23b는 지지 헤드 상에 스위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3a는 설치 디바이스 및 어댑터를 구비한 지지부를, 도 23b는 설치 디바이스 및 어댑터를 구비하지 않은 지지부를 도시한다.
도 24는 제어 디바이스, 전원 및 스위치 디바이스를 구비한 가구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a 및 도 1b는 가구 골조(3) 및 안내 배열체(37)를 구비하는 가구(38)를 도시한다. 안내 배열체(37)는 2 개의 안내 시스템(1)을 포함한다. 가구(38)는 3 개의 문짝(2, 36)을 포함하는 2 개의 도어를 갖는다. 제1 단일 문짝은 문짝(2)으로 구성되고, 제2 이중 문짝은 이중 문짝으로 구성된다. 이중 문짝은 하나의 문짝(3) 및 추가 문짝(36)을 갖는다. 추가 문짝(36)은 문짝(2)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다. 문짝(2)에는 지지부(4)가 배열된다(이 지지부(4)는 도 1a 및 도 1b에서는 볼 수 없음).
도 1a에서는 모든 문짝(2, 36)이 닫혀 있는 반면 도 1b에서는 이중 문짝이 열려 있다.
적어도 하나의 문짝(2) 이외에, 가구(38)는 가구 골조(3)를 가지며, 가구 골조(3)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39)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내부(39)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2)에 의해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덮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11)가 내부(39)에 배열될 수 있으며, 전기 기기(11)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b에서는, 지지부-안내 레일(5)에 실질적으로 횡으로 배열되는 추가 안내 레일(34)을 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34)가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로 추가 문짝(36)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레일(34)에 장착될 수 있거나 장착된다.
도 2는 안내 배열체(37)를 구비한 가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에 대한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그 결과, 내부(39)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도 전기 기기(11)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 2는 마찬가지로 2 개의 문짝과 단일 문짝을 포함한다. 그러나, 지지부-안내 레일(5)은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가구(38)의 반대편에 배열되지 않는다.
가구(38)는 문짝(2, 36)이 함몰될 수 있는 2 개의 샤프트형 캐비티(40)를 포함한다. 캐비티는 측벽(20, 21)에 의해 구획되며, 측벽(20, 21)은 설치 디바이스(13)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지지부-안내 레일(5)은 이러한 캐비티(40)에 위치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안내 배열체(37)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3a에서, 캐비티(40)는 후방이 덮여 있고, 도 3b에서 캐비티(40)는 후방이 개방되어 있다.
도 3b의 우측 캐비티(40)에서는 지지부-안내 레일(5) 및 헤드-안내 레일(25)을 볼 수 있다. 안내 레일은 도 3b의 왼쪽 캐비티(40)에 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캐비티(40) 내의 설치 디바이스(13) 상에 배열된 어댑터(14)를 더 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이 어댑터(14)에 부착될 수 있다.
설치 디바이스(13)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교량 형상으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13)를 가구 골조(3)의 제1 측벽(20)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1 설치 인터페이스(18) 및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13)를 제1 측벽(20)으로부터 이격된 가구 골조(3)의 제2 측벽(21)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2 설치 인터페이스(19)를 구비한다.
따라서, 두 측벽(20, 21)은 서로 고정되고, 어댑터(14)는 캐비티(40)의 중앙에 부착될 수 있다.
이하의 도 4a 내지 도 19b의 실시예의 예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문짝용 안내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안내 시스템(1)의 스위치 디바이스(7)에 대한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에서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가 설치되어 있고, 도 4b에서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가 (아직) 설치되어 있지 않다.
가구 골조(3)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1)은 바람직하게는 관절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이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를 포함한다.
또한, 안내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지지부-안내 레일(들)(5)(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 상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거나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디바이스(6)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지부(4) 및 문짝(2)은 지지부-안내 레일(5)을 따라 캐비티(40) 안팎으로 밀어 넣거나 밀어 낼 수 있다. 따라서, (열린) 문짝(2)이 캐비티(40)에 수납되며, 가구(38)의 전체적인 미적 인상을 방해하지 않는다.
안내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를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9)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10)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11), 바람직하게는 주방 기기(12)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 기기는 도어가 열려 있을 때만 작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9)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 및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위치에서 전환 및/또는 작동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에 대해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위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단부 위치일 수 있다. 이 미리결정된 위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센서(8)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캐비티(40) 내의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의,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함몰된 위치에서 전환 및/또는 작동될 수 있도록 가구 골조(3)에 대하여 위치된다.
도 4a 및 도 4b에서, 스위치 디바이스(7)는 두 개의 구성요소(71, 72)로 구현된다. 따라서, 스위치 디바이스(7)는 제1 구성요소(71) 및 제2 구성요소(72)를 갖는다. 여기서 제1 구성요소(71)는 지지부(4)에 이동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2 구성요소(72)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에 대해 고정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는 자석(30)으로서 형성되고,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2 구성요소(72)는 리드 스위치(29)로서 형성된다. 자석(30)을 구비한 지지부(4)를 리드 스위치(29)에 근접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리드 스위치(29)가 전환되고, 특히 신호(10)가 방출되어 전기 기기(11)에 대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된다.
따라서, 리드 스위치(29)는 자석(30)의 자기장에 대한 센서(8)로서 기능한다. 리드 스위치(29)를 전환하려면, 자석(30)을 리드 스위치(29)에 충분히 가깝게 배열해야 한다.
스위치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으므로, 리드 스위치(29)를 유연하게 배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2 구성요소(72)는 어댑터(14)와 함께 설치 디바이스(13) 상에 배열된다. 어댑터(14)를 통해,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2 구성요소(72)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13)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지지부(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영역에 배열되는 지지 헤드(22)에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를 설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9)를 볼 수 있다. 자석(3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으로의 설치 이동에 의해 캐치 수단(28)을 통해 인터페이스(9)에 고정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9)는 고정 수단(26)을 통해 지지 헤드(22)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예에서의 고정 수단(26)은 나사(27)이다.
여기서, 도 4b는 인터페이스(9), 고정 수단(26) 및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를 분해도 형태로 도시한다.
여기서, 스위치 디바이스(7)가 차광막으로서 형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광 센서로서 형성된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 설명된 배열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어댑터(14)는 어댑터(14)를 설치 디바이스(13)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인터페이스(15) 및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2 구성요소(72)를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어댑터(14)의 높이 방향으로 제1 고정 인터페이스(15)로부터 이격된 제2 고정 인터페이스(16)를 구비한다.
도 6a는 지지부(4)를 전체적으로 도시한다. 지지부(4)는 힌지 스트립(35)을 포함하며, 힌지 스트립으로 지지부(4)가 바람직하게는 관절 방식으로 문짝(2)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헤드(22)는 지지부(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영역에 배열된다. 스위치 디바이스(7), 특히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1 구성요소(71)가 지지 헤드(22) 상에 배열된다.
도 6b는 도 6a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를 지지 헤드(22) 상에서 볼 수 있다. 이는 이전 도면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나사(27)를 통해 지지 헤드(22)에 설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9)를 갖는다. 자석(30)은 캐치 수단(28)을 사용하여 인터페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헤드(22)는 나사를 통해 힌지 스트립(35)에 고정되며, 나사(35)는 힌지 스트립(35)의 길쭉한 구멍을 통해 돌출된다. 길쭉한 구멍을 사용하여 문짝(22)에 대한 지지 헤드(22)의 높이 위치를 제한된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어댑터(14)를 사시도 및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어댑터(14)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7b 및 도 8b를 통해 두 어댑터(14)의 두 체결 인터페이스(15, 16)가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범위로 서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c 및 도 7d는 설치 디바이스(13)를 사시도 및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설치 디바이스(13)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7d 및 도 8d를 통해 설치 디바이스(13)의 교량부(44)가 설치 인터페이스(18, 19)와 높이 방향에서 서로 다른 범위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두 설치 디바이스(13)의 교량부(44)의 굽힘은 서로 다른 정도로 표현된다.
여기서, 도 7c 및 도 7d의 설치 디바이스(13)는 도 4a, 도 4b 및 도 5의 실시예의 예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반면, 도 8c 및 도 8d의 설치 디바이스(13)는 도 11a 내지 도 14b 및 도 16a 내지 도 18의 실시예의 예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a는 스위치 디바이스(7), 어댑터(14) 및 설치 디바이스(13)가 설치된 상태로 도시되며, 여기서 어댑터(14) 및 설치 디바이스(13)는 도 8a 내지 도 8d의 실시예의 예에 따라 구현된다.
도 9b는 스위치 디바이스(7), 어댑터(14) 및 설치 디바이스(13)가 설치된 상태로 도시하며, 여기서 어댑터(14) 및 설치 디바이스(13)는 도 7a 내지 도 7d의 실시예의 예에 따라 구현된다.
스위치 디바이스(7)의 두 구성요소(71, 72) 사이의 간격(D)은 설치 디바이스(13)의 서로 다른 구현에도 불구하고 도 9a 및 도 9b에서 동일하다. 이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의 자석(30)과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2 구성요소(72)의 리드 스위치(29) 사이의 간격으로 리드 스위치(29)를 전환하기 위한 자기장의 최적 세기가 달성되므로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전환이 잘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도 9a 및 도 9b에서 동일한 간격(D)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어댑터(14)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적어도 2 개의 어댑터(14)의 그룹으로부터 선택함으로써, 두 개의 고정 인터페이스(15, 16)가 높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범위로 서로 이격되고, 높이 방향에서 교량부(44)와 설치 디바이스(13)의 설치 인터페이스(18, 19) 사이의 서로 다른 간격이 보상된다.
높이 방향으로 교량부(44)와 설치 디바이스(13)의 설치 인터페이스(18, 19) 사이의 간격은 도 10에서 볼 수 있으며, A로 표시되어 있다. 어댑터(14)의 선택을 통해 간격(D)이 어떻게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여기서 어댑터(14)는 높이 방향으로 서로에 대한 두 체결 인터페이스(15, 1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디바이스(17)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불가능한 여러 개의 어댑터(14) 중에서 선택할 필요가 없다.
이하의 도 11a 내지 도 19b는 특히 단일 문짝에 대한 안내 시스템(1)의 추가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a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2 구성요소(72), 어댑터(14) 및 설치 디바이스(13)가 측벽(20, 21)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설치 디바이스(13)와 어댑터(14)에 제2 구성요소(72)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구성요소(72)는 두 측벽(20, 21) 사이의 캐비티(40)에 배열되어 있다.
도 11b는 도 11a와 유사하지만, 측벽(20, 21)이 없는 상태를 도시한다. 여기서 스위치 디바이스(7)로부터 도출되는 케이블(41)을 볼 수 있다. 이 케이블(41)을 통해 신호(10)가 전송될 수 있으며, 전기 기기(11)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2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2 구성요소(72), 어댑터(14) 및 설치 디바이스(13)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도 11b를 아래에서 바라본 다른 모습을 도시한다. 여기서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2 구성요소(72)는 고정 플레이트(45), 케이블(42)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46) 및 리드 스위치(29)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리드 스위치(29)는 자기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8)를 포함한다.
도 13b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2 구성요소(72)가 제거된 상태에서 도 13a와 동일한 모습을 도시한다. 따라서, 어댑터(14)의 제2 고정 인터페이스(16)를 볼 수 있다.
도 14a는 도 4a와 같지만, 도 7a 내지 도 7d의 설치 디바이스(13) 및 어댑터(14)를 대신하여 도 8a 내지 도 8d의 설치 디바이스 및 어댑터가 표시되어 있다. 안내 디바이스(6)를 다시 볼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와 동일한 모습이지만, 측벽(20)이 은닉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5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자석(30)을 갖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는 캐치 수단(28)과 함께 제공되는 인터페이스(9)의 외부에 배열된다. 인터페이스(9)는 다시 나사(27)에 의해 지지 헤드(22)에 고정된다.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는 도구 없이 수동으로 인터페이스(9)로 밀어 넣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캐치 수단(28)에 의해 인터페이스(9)에 고정된다.
도 16a는 도 15의 배열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6b에서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는 인터페이스(9)에 이미 배열되어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가 배열된 지지부(4)의 2 개의 서로 다른 위치를 도시한다.
도 17a에서 지지부(4)는 스위치 디바이스(7)가 작동되는 미리결정된 위치에 있다. 이를 위해, 자석(30)은 리드 스위치(29)의 센서(8)에 근접하여 배열되어야 한다. 미리결정된 위치는 지지부-안내 레일(5)에 대한 지지부(4)의 단부 위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에서 문짝(2)은 캐비티(40) 안으로 완전히 밀려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지지부(4)의 이러한 미리결정된 위치에서, 이에 따라 리드 스위치(29)의 접점이 닫힐 때, 전기 기기(11)에 대한 전력 공급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제공된다.
도 17b에서, 지지부(4)는 다른 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서, 자석(30)은 리드 스위치(29)의 센서(8)에 근접하여 배열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기서 리드 스위치(29)의 전기 접점은 닫히지 않는다. 전기 기기(11)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도 18은 인터페이스(9)의 고정 수단(27)이 분리되어 있는 스위치 디바이스(7)를 도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인터페이스(9)의 캐치 수단(28)에 자석(30)이 래치되어 있는 상태 및 래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를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와 대조적으로, 여기서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1 구성요소(71)가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도 20a 내지 도 23b의 실시예의 예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문짝(2, 36)을 갖는 이중 문짝용 안내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도 20a는 2 개의 문짝(2, 36)으로 구성된 이중 문짝을 갖는 가구(38)의 추가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문짝(2, 36)은 두 개의 측벽(20, 21) 사이의 캐비티(40)에 배열된다. 문짝(2)에 배열된 지지부(4)도 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는 지지부(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영역에 배열된 지지 헤드(22)를 가지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71, 72)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지지 헤드(22) 상에 배열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도 20b는 스위치 디바이스(7)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자석(30)을 위한 인터페이스(9)는 여기서 벌집 구조를 갖는다. 자석(30)은 고정 플레이트를 통해 인터페이스(9)에 나사결합된다.
지지 헤드(22)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안내 레일(25)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헤드-안내 레일(25)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과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도 21은 스위치 디바이스(7), 설치 디바이스(13) 및 어댑터(14)를 분해도 형태로 도시한다.
지지 헤드(22)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24)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킹 위치(43)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36)에 연결될 수 있다. 캐리지(24)(및 문짝(36))를 캐비티(40) 밖으로 밀어낸 후, 캐리지(24)는 지지부-안내 레일(5)을 가로지르는 추가 안내 레일(34)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이중 문짝은 제어된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도 22a 및 22b는 스위치 디바이스(7), 설치 디바이스(13) 및 어댑터(14)를 두 가지 서로 다른 관점에서 도시한다.
도 23a 및 도 23b는 지지 헤드(22) 상에 스위치 디바이스(7)를 구비하는 지지부(4)를 도시한다. 도 23a에서는 설치 디바이스(13)가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제2 구성요소(72)와 함께 표시되어 있는 반면, 도 23b에서는 설치 디바이스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지지 헤드(22)는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본체(23)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제한된 범위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부(4)는 지지부-안내 레일(5)에 적어도 하나의 안내 디바이스(6) 및 헤드-안내 레일(25)에 적어도 하나의 헤드-안내 디바이스(42)와 함께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4는 제어 디바이스(32), 전원(33) 및 2 개의 스위치 디바이스(7)를 구비하는 가구(38)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제어 디바이스(32)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11) 및 적어도 하나의 전원(33)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 디바이스(7)에 의해 생성된 신호(10)는 제어 디바이스(32)로 전달된다. 제어 디바이스(32)는 신호(10)에 기초하여 전원(33)이 전기 기기(11)에 전력을 공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의 예에서, 두 개의 안내 시스템(1)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디바이스(32)가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시스템(1)(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를 구비함)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10) 및/또는 적어도 2 개의 안내 시스템(1)(적어도 2 개의 스위치 디바이스(7)를 구비함) 각각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1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11)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도 24의 전기 기기(11) 중 하나는 전원(33)에 의해 직접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32)에 의해 제어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스위치 디바이스(7)에 의해 전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문을 닫는 것에 의해 차단되어서는 안된다.
1 안내 시스템
2 문짝
3 가구 골조
4 지지부
5 지지부-안내 레일
6 안내 디바이스
7 스위치 디바이스
71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1 구성요소
72 스위치 디바이스의 제2 구성요소
8 센서
9 인터페이스
10 신호
11 전기 기기
12 주방 기기
13 설치 디바이스
14 어댑터
15 제1 고정 인터페이스
16 제2 고정 인터페이스
17 조정 디바이스
18 제1 설치 인터페이스
19 제2 설치 인터페이스
20 제1 측벽
21 제2 측벽
22 지지 헤드
23 본체
24 캐리지
25 헤드-안내 레일
26 고정 수단
27 나사
28 캐치 수단
29 리드 스위치
30 자석
32 제어 디바이스
33 전원
34 추가 안내 레일
35 힌지 스트립
36 추가 문짝
37 안내 배열체
38 가구
39 가구의 내부
40 캐비티
41 케이블
42 헤드-안내 디바이스
43 파킹 위치
44 교량부
45 고정 플레이트
46 케이블 홀더

Claims (15)

  1. 가구 골조(3)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1)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이 바람직하게는 관절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지지부-안내 레일(5) 및 적어도 하나의 안내 디바이스(6)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내 디바이스를 통해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 방향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거나 장착되는 안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를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9)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10)를 생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호로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11), 바람직하게는 주방 기기(12)에 대한 전력 공급이 차단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9)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의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위치에서 전환 및/또는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에 대해 위치되거나 위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단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13)가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13) 상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71, 7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14)가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71, 72)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13)에 대해 적어도 2 개의 다른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안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1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14)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13)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 인터페이스(15)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71, 7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를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14)의 높이 방향으로 제1 고정 인터페이스(15)로부터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 인터페이스(16)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14)는 적어도 2 개의 어댑터(14)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어댑터의 두 개의 고정 인터페이스(15, 16)는 높이 방향에서 서로 다른 범위로 서로 이격되고, 그리고/또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댑터(14)는 적어도 하나의 조정 디바이스(17)를 가지며, 상기 조정 디바이스로 상기 높이 방향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 인터페이스(15, 16)의 서로에 대한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안내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13)는,
    - 단면이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실질적으로 교량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13)를 가구 골조(3)의 제1 측벽(20)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1 설치 인터페이스(18)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 디바이스(13)를 상기 제1 측벽(20)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가구 골조(3)의 제2 측벽(21)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2 설치 인터페이스(19)를 갖는, 안내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영역에 배열된 지지 헤드(22)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71, 7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상기 지지 헤드(22) 상에 배열되거나 배열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헤드(22)는,
    - 적어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본체(23)에 대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제한된 범위에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리고/또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짝(2)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carriage; 24)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킹 위치(43)를 가지며, 그리고/또는
    - 적어도 하나의 헤드-안내 레일(25)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헤드-안내 레일(25)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과 평행하게 배열되거나 배열될 수 있는, 안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71, 7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는 고정 수단(26)을 통해 상기 지지 헤드(22)에 고정,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수단(26)이,
    - 나사(27)로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캐치 수단(28)을 포함하며, 그리고/또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71, 7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횡으로의 설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지 헤드(2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내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7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72)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7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에 이동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7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안내 레일(5)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 안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구성요소(71)는 자석(30)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구성요소(72)는 리드 스위치(reed switch; 29)로서 형성되며, 또는 이와 반대로 형성되는, 안내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디바이스(7)는 차광막으로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는 광 센서로서 형성되는, 안내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32)가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11) 및 적어도 하나의 전원(33)에 연결될 수 있는, 안내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안내 레일(5)에 실질적으로 횡으로 배열될 수 있거나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레일(34)이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24)가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4) 상에 배열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2)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추가 문짝(36)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안내 레일(34) 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장착되는, 안내 시스템.
  12. 가구 골조(3)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배열체(37)로서, 상기 안내 배열체(37)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2 개의 안내 시스템(1)을 포함하는, 안내 배열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안내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 제어 디바이스(32)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11)에 대한 전력 공급이,
    - 적어도 하나의 안내 시스템(1)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10)에 의해, 및/또는
    - 상기 적어도 2 개의 안내 시스템(1) 각각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10)에 의해
    차단 및/또는 활성화될 수 있는, 안내 배열체.
  14. 가구 골조(3) 및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을 구비하는 가구(38)으로서, 상기 가구 골조(3)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39)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내부(39)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짝(2)에 의해 덮일 수 있고, 상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11)가 배열되거나 배열될 수 있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가구(38)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안내 시스템(1) 또는 제12항 또는 제13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안내 배열체(3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형상의 캐비티(40)가 제공되며, 상기 캐비티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이 함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9)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7)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8)가 상기 캐비티(40)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짝(2)의,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함몰된 위치에서 전환 및/또는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가구 골조(3)에 대해 위치되거나 위치될 수 있는, 가구.
KR1020237020659A 2020-12-17 2021-12-14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 KR20230107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502672020 2020-12-17
ATGM50267/2020 2020-12-17
PCT/AT2021/060472 WO2022126163A1 (de) 2020-12-17 2021-12-14 Führungssystem zur führung wenigstens eines türflügels mit wenigstens einer schaltvorrichtung und wenigstens einem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871A true KR20230107871A (ko) 2023-07-18

Family

ID=82059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659A KR20230107871A (ko) 2020-12-17 2021-12-14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20008A1 (ko)
EP (1) EP4263988A1 (ko)
JP (1) JP2023554085A (ko)
KR (1) KR20230107871A (ko)
CN (1) CN116615595A (ko)
TW (1) TWI790047B (ko)
WO (1) WO20221261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9500A (en) * 1956-10-08 1959-09-02 Gomme Ltd 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rdrobes and cupboards
AT519120B1 (de) * 2017-01-13 2018-04-15 Blum Gmbh Julius Schienenanordnung für Möbelteile
US11320153B2 (en) * 2017-12-12 2022-05-03 Viking Range, Ll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vering an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7003A (zh) 2022-10-01
US20230320008A1 (en) 2023-10-05
EP4263988A1 (de) 2023-10-25
WO2022126163A1 (de) 2022-06-23
CN116615595A (zh) 2023-08-18
TWI790047B (zh) 2023-01-11
JP2023554085A (ja)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2770B1 (ko) 열선 센서를 갖는 자동 스위치
KR101221308B1 (ko) 가이드 유닛 장착용 장치, 가구 부분 및 이러한 장치를 구비한 가구
AU2010215643B2 (en) Corner connection
KR20080040997A (ko) 바스켓 출납용 레일어셈블리
KR20230107871A (ko)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시스템
JP3685101B2 (ja) 配線器具システム
JP5066114B2 (ja) コンロ付厨房装置
JP6727000B2 (ja) キャビネット
KR20190050156A (ko) 조리기기용 도어 개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WO2023000570A1 (zh) 一种带有灯具的骑马抽装柜
KR101431332B1 (ko) 무선 수신기
JP2018106897A (ja) ガスコンロ用の照明装置及びガス調理システム
EP3867568B1 (en) Furniture structure with lighting system
CN217402417U (zh) 一种无须连接主电源的自主震动感应式橱柜灯
KR20240001546A (ko)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15061887U (zh) 安装架及双向照明灯
JP7054831B2 (ja) 負荷制御装置および送信機
JP7391624B2 (ja) 水栓装置
JP2018105543A (ja) ガスコンロ用の照明装置及びガス調理システム
CN218565892U (zh) 一种冰箱门体和冰箱
KR200495561Y1 (ko) 조명부가 구비된 선반을 가진 붙박이장
JP5302715B2 (ja) スイッチ装置
JP2018105541A (ja) ガスコンロ用の照明装置及びガス調理システム
JP3151359U (ja) ドアースイッチ付き照明ユニット及びドアースイッチ用アダプタ
KR200481274Y1 (ko) 가구의 간접 조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