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546A -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546A
KR20240001546A KR1020220078337A KR20220078337A KR20240001546A KR 20240001546 A KR20240001546 A KR 20240001546A KR 1020220078337 A KR1020220078337 A KR 1020220078337A KR 20220078337 A KR20220078337 A KR 20220078337A KR 20240001546 A KR20240001546 A KR 20240001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pgrade kit
panel
refrigerator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용
조용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8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546A/ko
Priority to PCT/KR2023/006648 priority patent/WO2024005365A1/ko
Publication of KR20240001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도어 업그레이트 키트 및 냉장고는, 도어 전면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 및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패널; 상기 패널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을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단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상기 패널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하는 라이트 장치;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패널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DOOR UPGRADE KIT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 기기는 실내에 배치되며,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전 기기의 외관을 보다 개선하기 위해서 가전 기기의 전면에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냉장고는 배치되는 환경, 주위의 가구 또는 다른 가전 기기들과의 조화를 위해서 상기 전면의 외관을 다양하게 하는 구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가전 기기 전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특허 8789900호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 패널이 장착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데코 패널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사용자가 외관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 데코 패널 전체를 분리 후 교체하여야 하며, 교체 전의 데코 패널은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중국특허 103250018호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반사층과 투명 패널이 구비되고, 반사층의 양측단에 색상을 가지는 발광부재가 장착되어 투명 패널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미 기존의 냉장고를 구입한 사용자는 이러한 도어 전면이 빛나도록 하는 냉장고를 사용하기 원하는 경우, 이를 신규로 구매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비용 부담이 커지게 되며, 기존 냉장고를 처분하게 되어 자원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규 구매 없이도, 기존의 냉장고에 도어 및 일부 부품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도어 전면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립이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도어 교체가 가능한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기존 사용 중인 냉장고 도어를 라이팅 장치가 구비된 도어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신규 구매 없이도 저렴한 비용으로 도어 외관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도어 전면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 및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패널; 상기 패널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을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단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상기 패널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하는 라이트 장치;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패널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상기 라이팅 장치에 배치된 광원들을 제어하는 엘이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상기 패널이 빛나도록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상기 라이팅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과,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면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전원선이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는, 내부에 배치되는 힌지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와, 상기 캐비닛 상면 양 측방에 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원선이 인출입되는 전선 통과홀을 포함하는 사이드 커버 힌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로어 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모듈과,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원격기기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패널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빛나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라이팅 장치를 온시키거나, 출력되는 빛의 세기를 이전보다 더 크게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주변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주변 환경 밝기에 따라 상기 라이팅 장치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와,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제1 도어를 상기 라이팅 장치가 구비된 제2 도어로 교체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상기 라이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닛 상면에서 상기 캐비닛 후면으로 안내되고, 상기 캐비닛 후면으로 안내된 전원선은, 상기 캐비닛 하면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라이팅 장치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패널이, 원격기기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빛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 기기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도어 전면을 형성하는 패널을 라이팅 장치가 구비된 패널로 교체가 가능하여, 기존 냉장고의 전면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신규 냉장고를 구입하지 않고, 라이팅 장치가 구비된 도어로 기존 도어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냉장고가 신규 냉장고가 가지는 기능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도어 전면의 색상이 변하지 않는 기존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가 적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도어 바디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구성인 로어 브라켓, 라이팅 장치 및 라이트 서포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를 이루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선 배치를 일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가 적용된 냉장고 전선 배치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2에서 보이는 캐비닛을 기준으로 도어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를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도어 전면의 색상이 변하지 않는 기존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가 적용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를 적용하여 기존의 냉장고를 도어 전면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구현이 가능한 냉장고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 사용자가 사용 중인 냉장고는 도 1과 같이, 도어 전면의 색상이 변하지 않는 냉장고 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 중인 냉장고는 제1 냉장고라 정의한다.
상기 제1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3)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10)은 상하로 구획된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에 냉장실(11)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1)은 상부 저장 공간, 상기 냉동실(12)은 하부 저장 공간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도어(13)는 상기 냉장실(11) 및 냉동실(12)을 각각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는 힌지 장치(204,205)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11) 및 냉동실(12)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20)는 인출입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상부 도어(14)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장실(11)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도어(14)는 좌측 상부 도어(14a)와 우측 상부 도어(14b)가 나란히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상부 도어(14a)와 우측 상부 도어(14b)는 독립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냉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15)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동실(12)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도어(15) 또한, 좌측 하부 도어(15a)와 우측 하부 도어(15b)가 나란하게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좌측 하부 도어(15a)와 우측 하부 도어(15b)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냉동실(12)을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부 도어(15)는 필요에 따라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11)이 상방에 배치되고 냉동실(12)이 하방에 배치되는 구조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13)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3)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보이는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냉장고(1)에 구비되는 도어를 제1 도어라고 정의한다.
일례로, 상기 제1 도어(13)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 이격 장착되는 도어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는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전면 표면에는 내지문 코팅, 헤어라인, 색상이나 패턴을 구현하기 위한 코팅 또는 필름 부착 등 다양한 표면 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의 상단과 하단, 양 측단은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도어 라이너 사이에는 상기 어퍼 캡데코 및 로어 캡데코가 구비되어, 도어의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제1 도어(13)는, 상기 도어(13) 전면에 구비되어 도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16)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16)가 장착되는 도어 바디(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17)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져 상기 저장 공간을 단열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 어셈블리(16)는 상기 도어 바디(17)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13) 및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 어셈블리(16)는 상기 도어 바디(17)에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3)가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패널 어셈블리(16)가 탈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패널 어셈블리(16)를 장착하거나 교환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바디(17)는 전체적으로 바디 플레이트(171)와, 도어 측면부를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1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디(17)의 상면 및 하면에 구비되는 어퍼 캡데코(181) 및 로어 캡데코(1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널 어셈블리(16)는 외관을 형성하는 판상의 패널(161)과 상기 패널(161)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16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변에 배치되는 상기 가구 또는 벽체 또는 가전 제품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널(161)은 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패널(161)은 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색상 또는 패턴을 가지도록 인쇄 처리 또는 필름 부착 등에 의해 상기 도어(13)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16)는 상기 도어 바디(17)에 자석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냉장고(1)는 냉장고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19)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부(19)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를 적용하여, 제1 냉장고(1)를 도어 전면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는 냉장고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가 적용된 냉장고를 제2 냉장고로 정의한다.
일례로,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가 적용된 제2 냉장고(2)는, 도어 내부에 라이팅 장치(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로부터 조사된 빛은 도어 전면을 투과하여, 도어 전면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구비된 제2 도어(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도어 전면을 빛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된 메인 컨트롤러(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와 전장 부품들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냉장고(2)는 앞서 설명한 제1 냉장고(1)의 캐비닛(10) 및 제1 도어(13)와 동일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냉장고(2)는 도어 내부에 라이팅 장치(36)가 구비된 제2 도어(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도어(20)는 상기 제1 도어(13)와 대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도어(13)와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2 도어(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 및 라이팅 장치(36) 제어를 위한 메인 컨트롤러(52) 등을 상기 캐비닛(10)에 장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2 도어(20)를 포함하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를 구입하여, 현재 사용중인 제1 냉장고(1)를 제2 냉장고(2)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어 전면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된 색상을 빛날 수 있는 제2 냉장고를 신규로 구입하지 않고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만 구입하여, 제1 냉장고(1)가 제2 냉장고(2)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를 구성하는 라이팅 장치가 구비된 제 2 도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도어 바디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 도어(20)는 상기 도어(2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며,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바디(40)와,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전면을 형성하는 바디 플레이트(41)와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플레이트(41)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는 상기 도어(20)의 배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데코(44)는 바디 플레이트(41)의 좌우 양측단과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좌우 양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43)와 로어 캡데코(4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이드 데코(44) 및 로어 캡데코(45)는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양측단 및 하단과 접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제2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므로 도어 패널 또는 외장 패널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단은 상기 로어 캡데코(45)에 지지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 상단에는 상부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의 상부 장착부(431)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 전면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내부에 구비되는 라이팅 장치와 연결된 전선이 통과되는 커넥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홀 내부에는 상기 전선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의 단부에는 상기 커넥터에 탈착 가능하도록 대응하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탈착시 상기 전선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서비스 및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도어 바디(40)로부터 분리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면이 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도어(20)의 실질적인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면 자체가 가지는 색상에 의해 상기 제2 도어(20)의 전면 외관의 색상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전면 전체는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으로 빛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도어(20) 및 패널 어셈블리(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되어 상기 도어(20)의 전면 색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 도어(20)를 구성하는 패널 어셈블리(3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 어셈블리(3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31)과, 상기 패널(31)이 빛나도록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3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33)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백 커버(39)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광판(33) 및 상기 패널(31)의 장착을 위한 고정부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브라켓(34)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브라켓(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로어 브라켓(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패널(31)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패널(31)은 유리소재 또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31)은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31)은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되 상기 패널(31) 후방의 구성들이 비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31)은 상기 고정부재(32)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패널(31)과 이격된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33)의 하방에 배치된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패널(31)을 향하여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의 후면에는 상기 도광판(33) 내부의 빛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는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31)과 도광판(33)의 사이에는 고정부재(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2)는 전면이 상기 패널(31)과 접하고 후면이 상기 도광판(33)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도광판(33)의 고정 및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 및 백 커버(39)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39)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39)는 상기 백 커버(39) 중앙의 커버 돌출부(391)와, 상기 커버 돌출부(39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커버 둘레부(39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돌출부(391)와 커버 둘레부(392)는 포밍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둘레부(392) 좌우 양측면에는 패널 고정부재(38)가 설치되는 고정부재 개구(39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고정부재(38)는 상기 백 커버(39)에 고정될 수 있으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 바디(40) 전면의 고정부재 결합부(413)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도어(20)를 구성하는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상기 로어 브라켓(35)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구성인 로어 브라켓, 라이팅 장치 및 라이트 서포터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로어 브라켓(35)은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와 로어 브라켓 후면부(352), 로어 브라켓 측면부(353) 그리고 로어 브라켓 하면부(3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의 상단은, 상기 패널(3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브라켓 후면부(352)는, 상기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 및 상기 로어 브라켓 측면부(353) 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광판(33)을 후방에서 지지하고, 상기 백 커버(39)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 후면부(352)에는 다수의 스크류가 체결되는 로어 브라켓 스크류 홀(352c)이 형성되어, 상기 백 커버(39)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로어 브라켓 후면부(352)에는 브라켓 개구(35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브라켓 개구(352a)를 통해서 출입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 하면부(354)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장착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브라켓(35)에는 상기 도광판(33)의 하단을 지지하는 도광판 지지부(355)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의 하단은 상기 도광판 지지부(355)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라이팅 장치(36)와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내부에는 라이팅 장치(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기판(361)과 광원(3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361)은 상기 로어 브라켓(35)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기판(361)에는 다수의 광원(362)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은 상기 도광판(33)의 하단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은 일 예로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362)은 상기 냉장고(1)에 구비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RGB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362)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패널(31)은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31)의 색상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 색상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판(361)의 일측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기판 연결부(36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 연결부(363)에는 전선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 연결부(363)는 백 커버(39)에 형성된 전선 출입구(398)를 통해 노출되도록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은 상기 전선 출입구(398)를 통해 출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361)의 하방에는 라이트 서포터(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서포터(37)는 수평부(371)와 수직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71)는 상기 라이트 서포터(37)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기판(361)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기판(361)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광원이 온되면,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전면으로 안내되어, 도어(20) 전면이 밝게 빛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냉장고(2)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외관이 변경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냉장고(2)는,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31)자체가 가지는 색상에 의해 전면의 외관 색상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 된 상태에서의 상기 패널(31)에 표시되는 색상을 제 1 색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동작되면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에 따라서 상기 패널(31)의 색상이 변경되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 색상이 선택된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패널을 통해 표시되는 색상은 제 2 색상이라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냉장고(2)와 떨어진 원격 기기를 통해서 조작 및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2)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통신부(17)를 통해서 상기 원격 기기와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원격 기기를 통해서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7)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원격 기기와 통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원격 기기는 전용 단말기, 휴대전화, 태블릿, 휴대용 피시, 데스크탑 피시, 리모컨, 블루투스 스피커 등 통신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원격 기기의 조작을 통해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 시간, 동작 조건, 광원의 발광 색상 등을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 상태를 전반적으로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휴대 전화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간편한 조작과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폰, 또는 단말기와 같은 원격 기기의 화면(2a)을 통해 원하는 패널(31)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원격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냉장고(2)에 구비된 조작부를 통해 색상을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냉장고(2) 및 원격 기기는 서버와 네트워크 상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2 냉장고(2)의 패널(31)의 색상은 서버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냉장고(2)는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냉장고(2)는 스피커 모듈(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모듈(57)는 상기 원격 기기와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기기를 통해 블루투스 스피커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스피커 모듈(57)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의 강약에 따라 라이팅 장치(36)의 광원에서 출력되는 세기, 즉 밝기를 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를 이루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선 배치를 일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가 적용된 냉장고 전선 배치를 하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사용자가 기존의 사용중인 제1 냉장고(1)에 구비되는 도어를 제1 도어(13)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어(13)를 구성하는 패널 어셈블리를 제1 패널 어셈블리(16)라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패널 어셈블리(16)가 장착되는 도어 바디를 제1 바디(17)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를 구성하는 내부에 라이팅 장치(36)가 구비된 도어를 제2 도어(20)라 한다. 그리고, 제2 도어(20)를 구성하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장착된 패널 어셈블리(30)를 제2 패널 어셈블리(30)라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패널 어셈블리(30)가 장착되는 도어 바디(40)를 제2 도어 바디로 부를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20), 상기 제2 패널 어셈블리(30) 및 제2 도어 바디(40)에 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부분을 원용한다.
상기 제1 냉장고(1)의 제1 도어(13)는 상기 제2 도어(20)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20)는 상기 제1 도어(13)와 대응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도어(20)는 상기 제1 도어(13)와 대응하는 형상을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하는 한쌍의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냉동실(12)을 개폐하는 한쌍의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어(13)가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2 도어(20)도,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도어(13)가 서랍식으로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2 도어(20)도 서랍식으로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구비된 패널 어셈블리(3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냉장고(1)에 구비된 제1 도어 바디(17)가 상기 제2 도어 바디(40)와 동일한 형상의 도어 바디(17)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도어(13)에서 제1 패널 어셈블리(16)만 분리한 후, 제2 패널 어셈블리(30)를 제1 바디(17)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상기 라이팅 장치(36)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5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상기 라이팅 장치(36) 제어를 위한 신호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메인 컨트롤러(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를 구성하는 메인 컨트롤러(52)는 제2 메인 컨트롤러(52)라 정의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캐비닛(10)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52)는 제1 냉장고(1)에 구비된 제1 메인 컨트롤러(19)와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으로 상기 도어(20) 전면이 빛나도록 라이팅 장치(36)를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원격기기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한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을 상기 제2 도어가 구현하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 정보를 후술할 엘이디 컨트롤러(53)에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음성 모듈(54)에서 처리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냉장고의 특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라이트 장치(36)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스피커(6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제1 메인 컨트롤러(19)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메인 컨트롤러(19)가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로 교체함으로써,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냉장고(1)에서 구현하지 못한 제어 동작을 제2 메인 컨트롤러(5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에 구성되는 전선은 상기 라이팅 장치(36)와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에 연결되어, 상기 라이팅 장치(36)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에 구성되는 신호선은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와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5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도어(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커버 힌지 어셈블리(55)를 포함한다.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를 구성하는 커버 힌지 어셈블리(55)를 제2 커버 힌지 어셈블리(55)라고도 부를 수 있다.
상기 제2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도어(21)는 상기 캐비닛(10)에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55)는 내부에 배치되는 힌지를 포함한 구성들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56)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 커버(56)는 상기 캐비닛(10) 및 상기 도어(21)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커버(56)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에 전원선과 신호선을 연결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돨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힌지 장치에 형성된 힌지홀을 통해 상기 라이팅 장치(36)에 전원선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에 구비되는 힌지 커버(56)는 제2 힌지 커버라고 부를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 커버(56)는 상기 제1 냉장고(1)에 구비된 힌지 커버(56)와 교체하여, 상기 라이팅 장치(36)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와 상기 라이팅 장치(36)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광원들을 제어하는 엘이디 컨트롤러(53)를 포함한다.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53)가 장착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일례로, 상기 힌지 커버(56)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55)에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53)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캐비닛(10)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55)에는 스피커 모듈(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모듈(57)은 상기 힌지 커버(56)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모듈(57)은 사용자의 원격기기와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기기를 통해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면,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스피커 모듈(57)이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55)에 구비되는 스피커 모듈(57)을 블루투스 스피커라고도 부를 수 있다. 또는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를 제2 스피커 모듈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광원의 세기를 달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55)에는 힌지 커버(56)와,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제어하는 엘이디 컨트롤러(53) 및 블루투스 스피커(57)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구성 일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55)는 제1 냉장고(1)의 캐비닛(10)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냉장고(1)에 기존에 배치된 제1 커버 힌지 어셈블리(55)는 상기 제2 커버 힌지 어셈블리(55)와 교체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사이드 커버 힌지(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 힌지(58)는 상기 캐비닛(10) 상면 양 측방에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 힌지(58)는 전선들인 인출입되도록 마련된 전선 통과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 힌지(58)는, 상기 제2 도어(20) 내부의 적어도 일부의 전장 부품들과 연결된 전원선을 상기 메인 컨트롤러(52)와 연결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 힌지(58)는 내측에 상기 제2 도어(20) 내측의 전장 부품과 연결된 전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53) 또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52)와, 상기 하부 도어(22)가 상기 사이드 커버 힌지(58) 내측에 구비되는 전선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로어 힌지(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힌지(59)는 상기 하부 도어(22)가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어 힌지(59)는 상기 도어 내부의 전장 부품과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선홀을 포함한다.
일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53) 또는 상기 메인 컨트롤러(52)와 연결된 전선(51)은, 상기 사이드 커버 힌지(58)에 마련된 전선 통과홀에 의해 상기 사이드 커버 힌지(58)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 힌지(58) 내측으로 안내된 전선(51)은 상기 캐비닛(10) 후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후단으로 연장된 전선(51)은, 상기 냉장고 후면을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냉장고 하단까지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후면 하단으로 연장된 전선(51)은, 상기 냉장고 하면을 가로질러, 상기 냉장고 전면 하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전면 하단으로 안내된 전선(51)은, 상기 로어 힌지(59)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도어(22) 내측의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상기 도어 내부의 전장부품과 연결되는 전선들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5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냉장고 후면으로 연장되는 전선 또는 상기 냉장고 배면으로 연장되는 전선들을 고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라이팅 장치가 구비된 하부 도어(2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를 구성하는 사이드 커버 힌지(58)를 제2 사이드 커버 힌지(58)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를 구성하는 로어 힌지(59)를 제2 로어 힌지(59)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냉장고(1)에 장착된 제1 사이드 커버 힌지(101)는 상기 제2 사이드 커버 힌지(58)로 교체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냉장고(1)의 캐비닛(10) 상면 양 측방에 상기 제2 사이드 커버 힌지(58)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사이드 커버 힌지(58)는 상기 전선 통과홀이 마련되어, 상기 제2 도어(20) 내부의 전장부품과 연결되는 전선(51)이 상기 메인 컨트롤러(52) 또는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53)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냉장고(1)에 장착된 제1 로어 힌지는 상기 제2 로어 힌지(59)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제2 로어 힌지(59)는 전선 통과홀이 마련되어, 상기 제2 도어(20) 내부의 전장부품과 연결되는 전선의 인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마이크 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60)은 일례로, 상기 도어(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43) 또는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55)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마이크 모듈(60)은 상기 어퍼 캡데코(43)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43)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43)는 상기 수용부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도어 커버(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마이크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마이크 모듈(60)은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55)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43) 또는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55)에는 상기 마이크 모듈이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이크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이크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음성 모듈(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모듈(54)은 상기 어퍼 캡데코(43)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음성 모듈(54)은 상기 어퍼 캡데코(43)의 수용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음성 모듈(54)은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55)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모듈(54)은 상기 마이크 모듈(6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음성 모듈(54)은 상기 마이크 모듈(60)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모듈(54)은 상기 마이크 모듈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변환하여 원격지의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상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음성 명령을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음성으로 라이팅 장치의 온/오프를 명령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모듈(60)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음성 모듈(54)은 상기 마이크 모듈에서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분석된 음성 신호에 따라,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53)를 제어하여, 상기 라이팅 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라이팅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음성으로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의 온/오프를 명령할 수 있고, 상기 메인 컨트롤부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제3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피커는 냉장고의 동작 상태 정보 또는 사용자의 요청 정보 등 소리로 출력할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사용자 감지 장치(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지 장치(63)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감지 장치(63)는 상기 제2 도어(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사용자 감지 장치(63)에 의해, 사용자가 냉장고(2)에 근접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작동하여, 상기 도어(20) 전면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장고(2) 앞에 서면, 냉장고(2) 전면은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사용자 감지 장치(63)에 의해 사용자와 냉장고(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오프하거나,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출력되는 빛의 세기가 이전보다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장고(2)가 설치된 위치가 아닌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였을 때, 냉장고(2) 도어는 상기 도어 패널(31) 자체의 색상으로 외관을 형성하거나, 감소된 세기로 도어 전면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냉장고가 설치된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장치(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도 감지 장치(64)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여, 냉장고가 설치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52)는 조도 감지 장치(64)에 의해 실내가 어둡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출력되는 광원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실내가 어두운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출력되는 광원의 세기를 작게 하여, 사용자가 냉장고를 바라봤을 때,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내가 밝은 경우, 상기 메인 컨트롤러(52)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출력되는 광원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내가 어둡거나, 실내가 밝은 지 여부에 대한 판단은, 상기 조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값을 미리 설정된 값과의 크기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필요 부품들을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도어 업그레이트 키트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외관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후방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또는 상기 패널(31)을 스크린이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 에어컨, 식기 세척기, 의류 관리기, 세탁기 또는 조리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어 전면의 외관 색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5)를 구입하여, 기존 사용중인 냉장고의 상기 제1 도어(13)를 상기 제2 도어(20)로 교체하여, 상기 라이팅 장치(36)에 의해 도어 전면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전 기기를 신규 구입하지 않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사용중인 가전 기기 업그레이드하여, 새로운 기능들을 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도어 전면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 및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패널;
    상기 패널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을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단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여, 상기 패널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하는 라이트 장치;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패널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를 제어하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바디를 포함하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상기 라이팅 장치에 배치된 광원들을 제어하는 엘이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상기 패널이 빛나도록 상기 엘이디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상기 라이팅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과,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면에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전원선이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힌지 어셈블리는,
    내부에 배치되는 힌지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와,
    상기 캐비닛 상면 양 측방에 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원선이 인출입되는 전선 통과홀을 포함하는 사이드 커버 힌지를 포함하는 도어 업그레이트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를 연결하는 로어 힌지를 더 포함하는 도어 업그레이트 키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모듈과,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모듈을 더 포함하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원격기기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패널이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빛나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를 제어하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라이팅 장치를 온시키거나, 출력되는 빛의 세기를 이전보다 더 크게 출력되도록 하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주변 환경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주변 환경 밝기에 따라 상기 라이팅 장치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는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11. 청구항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와,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제1 도어를 상기 라이팅 장치가 구비된 제2 도어로 교체하도록 마련된 냉장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는,
    상기 라이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닛 상면에서 상기 캐비닛 후면으로 안내되고,
    상기 캐비닛 후면으로 안내된 전원선은,
    상기 캐비닛 하면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라이팅 장치와 연결되는 냉장고.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패널이,
    원격기기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색상으로 빛나도록 하는 냉장고.
  15.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청구항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0220078337A 2022-06-27 2022-06-27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40001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337A KR20240001546A (ko) 2022-06-27 2022-06-27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CT/KR2023/006648 WO2024005365A1 (ko) 2022-06-27 2023-05-16 냉장고 및 냉장고용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337A KR20240001546A (ko) 2022-06-27 2022-06-27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546A true KR20240001546A (ko) 2024-01-03

Family

ID=8938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337A KR20240001546A (ko) 2022-06-27 2022-06-27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1546A (ko)
WO (1) WO20240053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068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도어램프를 가진 냉장고 및 도어램프제어방법
KR102412060B1 (ko) * 2017-04-26 2022-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8224B1 (ko) * 2018-01-08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 모듈이 구비된 냉장고
CN111615348B (zh) * 2018-01-17 2022-04-29 安东尼股份有限公司 安装可移动电子显示器的门
CN112797719A (zh) * 2021-03-01 2021-05-14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可动态变换冰箱门体颜色的控制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365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3560B2 (en) Cooking apparatus
US20230243580A1 (en) Home appliance
KR20240001546A (ko)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20230152030A1 (en) Refrigerator
CN208794829U (zh) 一种冰箱把手夜光装置
KR20230011155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102596929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102640325B1 (ko) 냉장고,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US20240069861A1 (en) Refrigerator, home appliance, and conrtol method thereof
KR20230117498A (ko) 가전 기기
US20230152028A1 (en) Home appliance
KR20230071625A (ko) 가전 기기
EP4179950A1 (en) Home appliance
US20230160568A1 (en) Home appliance
KR102663517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116592A (ko) 가전 기기
US20230243581A1 (en) Home appliance and refrigerator
KR20230151767A (ko) 가전 기기
CN111076489B (zh) 冰箱的抽屉的前面板组件、抽屉及冰箱
KR20230116518A (ko) 가전 기기
KR20240000148A (ko) 가전 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40029145A (ko) 가전 기기 및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20230071579A (ko) 가전 기기
KR20230011153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11151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