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579A - 가전 기기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579A
KR20230071579A KR1020210157933A KR20210157933A KR20230071579A KR 20230071579 A KR20230071579 A KR 20230071579A KR 1020210157933 A KR1020210157933 A KR 1020210157933A KR 20210157933 A KR20210157933 A KR 20210157933A KR 20230071579 A KR20230071579 A KR 2023007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color
assembl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현
전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7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1579A/ko
Priority to PCT/KR2022/018075 priority patent/WO2023090845A1/ko
Publication of KR2023007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1Coverings therefor; Door leaves imitating traditional raised panel doors, e.g. engraved or embossed surfaces, with trim strips applied to th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11Door leaves with easily replaceable or interchangeabl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7/00Lighting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7/001Lighting arrangements on the external side of the refrigerator, freezer or cooling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전 기기는, 캐비닛 및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후로 관통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차폐하며 후방의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 어셈블리가 형성된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을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을 향해 설정 색상의 빛을 조사하여 상기 패널의 표시 색상을 변경하는 라이팅 장치;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을 따라 안내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투시 어셈블리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후방이 투시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더 불투명하게 형성되며, 전방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전 기기{ HOME APPLIANCE }
본 발명은 가전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 기기는 실내에 배치되며,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전 기기의 외관을 보다 개선하기 위해서 가전 기기의 전면에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냉장고는 배치되는 환경, 주위의 가구 또는 다른 가전 기기들과의 조화를 위해서 상기 전면의 외관을 다양하게 하는 구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가전 기기 전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냉장고가 배치되는 환경 또는 주위의 가구 또는 가전 제품과의 조화를 위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 전면의 외관을 다양하게 하는 구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가전 기기 전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특허 8789900호에는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 패널이 장착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데코 패널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으면, 내부에 배치된 수납물의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도어를 통한 내부 투시가 불가능한 구조이다.
그리고, 대한민국특허102259753호에는 냉장고 도어에 도어 후방의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투명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고내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도어 외부에 교체 가능한 패널이 부착될 수 없으며 따라서 도어의 전면 외관을 사용자 기호에 맞게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투시 영역을 통해서 도어 후방의 투시가 가능하고, 동시에 도어 전면의 색상의 변경이 가능한 가전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전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빛을 조사하여 선택된 색상으로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가 장착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어 후방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가전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전면에 도어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어 후방 공간의 투시가 가능한 가전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전후로 관통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차폐하며 후방의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 어셈블리가 형성된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을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을 향해 설정 색상의 빛을 조사하여 상기 패널의 표시 색상을 변경하는 라이팅 장치;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을 따라 안내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투시 어셈블리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후방이 투시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더 불투명하게 형성되며, 전방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제 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반사층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반사층을 관통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보다 더 높은 투명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상기 도어의 후방이 투시되는 제 1 패턴부와; 상기 제 1 패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턴부는 상기 제 2 패턴부에 비해 투명도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에는 상기 제 1 영역보다 외측에 형성되며, 빛을 반사시키는 패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에는 상기 패널 자체의 색상을 나타내는 색상층이 형성되고, 상기 색상층은, 상기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 1 색상부; 및 상기 제 1 색상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 2 색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색상부는 상기 제 2 색상부에 비해 더 채도가 높게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 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색상부와 제 2 색상부가 동일 색상으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도어 바디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차폐하는 프론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는 투시 가능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시 어셈블리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후방이 보이도록 형성된 투시부; 및 상기 투시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후방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한 색상을 가지는 베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전면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에 접하고,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후면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투시 어셈블리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마운팅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브라켓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 개구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둘레면과 접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후방에는 투시 라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투시 라이트가 온되면, 상기 도어의 후방이 밝아지면서 상기 패널 및 투시 어셈블리를 통해 가시화되고, 상기 투시 라이트가 오프되면, 상기 도어의 후방이 어두워지면서 더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투시 라이트가 온되면 상기 라이팅 장치는 오프될 수 있다.
상기 패널과 도광판의 사이에는 빛의 투과되는 투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투과부재는, 상기 패널과 도광판 사이를 나누며, 전면에 상기 패널이 장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광판의 양단과 결합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도광판의 좌우 양측단이 슬라이드 인 삽입되는 도광판 삽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브라켓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측면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어퍼 브라켓과 로어 브라켓이 삽입 장착되는 브라켓 삽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어퍼 브라켓과 로어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백 커버에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상기 도광판이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커버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패널 및 투시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개구부의 내측이 투시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라이팅 장치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어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패널의 색상이 선택된 색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을 교체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의 전면 색상을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패널이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언제든지 신속하고 간편하게 외관 색상을 원하는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또는 가전 기기의 상태, 동작 정보, 주변 환경의 정보 등을 상기 패널의 색상 변경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정보의 인식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는 투시 어셈블리가 구비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서 도어의 외측에서 상기 투시 어셈블리를 통해서 상기 도어 후방 공간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 및 투시 어셈블리가 투시 가능한 상태가 되어 도어 후방의 공간을 가시화시키고,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라이팅 장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패널이 선택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하여 외관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는 상기 라이팅 장치가 오프되어 패널의 색상으로 외관이 형성되는 상태, 상기 라이팅 장치가 온되어 다른 색상으로 외관이 형성되는 상태, 투시 라이트가 온되어 상기 도어 후방이 가시화 되는 상태의 3가지 상태로 동작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3가지 중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패널, 도광판 및 백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부가 후방을 투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와 오버랩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도어 후방의 공간을 도어 전방에서 볼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은 투시 가능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프론트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가 채워진 도어 바디와 패널 어셈블리 사이의 분리 구조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를 통한 도어 후방의 투시까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은 도어 바디로부터 탈착 가능한 상태로,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상기 라이팅 장치가 오프 된 상태에서의 상기 패널의 기본 색상이 다른 상기 패널 어셈블리로 간단히 교체 장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널 어셈블리 또는 도어 바디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도 전체 도어의 분해가 필요하지 않도 상기 패널 어셈블리 또는 상기 도어 바디의 간단한 분리를 통해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도어들 중 서브 도어만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도어 바디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어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VII-VII'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VIII-VIII'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I-XI'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구성인 투과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구성인 백 커버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어퍼 브라켓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9의 XVI-XVI' 절개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로어 브라켓에 라이팅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로어 브라켓과 라이팅 장치 및 라이트 서포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9의 XIX-XIX' 절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도어의 패널 어셈블리와 도어 바디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도어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24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5는 원격기기를 이용한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전 제품들의 색상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상기 도어가 가시화 된 상태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라이팅 장치가 오프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8은 상기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9는 상기 투시 라이트가 온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0은 다수의 상기 도어 중 일부의 도어가 발광되는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1은 상기 도어 중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각각 발광되는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상기 냉장고의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2 에서 보이는 캐비닛을 기준으로 도어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를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도어들 중 서브 도어만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캐비닛(10)은 상하로 구획된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에 냉장실(11)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은 상부 저장 공간, 상기 냉동실은 하부 저장 공간이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2)은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좌측 냉동실(12a)과 우측 냉동실(12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12a)은 좌측 하부 저장 공간, 상기 우측 냉동실(12b)은 우측 하부 저장 공간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1) 및 냉동실(12)을 각각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11) 및 냉동실(12)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20)는 인출입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01)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1)는 상부 도어 그리고 냉동실 도어(202)는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1)는 좌측 냉장실 도어(201a)와 우측 냉장실 도어(50)가 나란히 한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01a)와 우측 냉장실 도어(50)는 서로 인접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01a)와 우측 냉장실 도어(50)는 독립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1a)와 냉동실 도어(201b)는 각각 상단과 하단이 힌지 장치(204,205)에 의해 캐비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치(204)는 상부 힌지(204)와 하부 힌지(205)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01a)와 냉동실 도어(201b)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02) 또한, 좌측 냉동실 도어(202a)와 우측 냉동실 도어(202b)가 나란히 한쌍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202a)와 우측 냉동실 도어(202b)는 독립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냉동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냉동실 도어(202a)와 우측 냉동실 도어(202b)는 서로 인접 배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11)이 상방에 배치되고 냉동실(12)이 하방에 배치되는 구조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20)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보이는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전면이 선택적으로 발광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설정된 색상 또는 밝기로 빛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분리 또는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20)의 전면 색상 또는 밝기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외관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2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좌측 냉장실 도어(201a)와 냉동실 도어(202)는 그위치와 크기만 다를 뿐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들 도어(201a, 202)는 패널 도어 또는 제 1 도어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우측 냉장실 도어(50)는 상기 도어들(201a, 202)과 다른 구조를 가지며, 후방 공간 즉, 고내 공간을 투시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우측 냉장실 도어(50)는 투시 도어 또는 제 2 도어라 부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우측 냉장실 도어(5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투시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수의 투시 도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 도어는 상기 우측 냉장실 도어(50)가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우측 냉장실 도어(50)는 메인 도어(60)와 서브 도어(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6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60)에는 상기 메인 도어(60)를 관통하는 개구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61)는 상기 메인 도어(60)의 둘레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고내 수납 공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60)에는 상기 서브 도어(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도어(70)는 상기 메인 도어(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개구부(61)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도어(70)는 상기 메인 도어(6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서브 도어(70)에 의해 상기 우측 냉장실 도어(50)의 전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도어(70)는 상기 우측 냉장실 도어(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들(201a, 202)과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개구부(61) 내측 또는 고내 공간을 가시화 시킬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브 도어(70)에는 투시 영역(7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 영역(701)은 선택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상기 투시 영역(701)이 나타나지 않았을 때에는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되어 상기 서브 도어(7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투시 영역(701)은 가시화부, 투시창, 윈도우 등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브 도어(7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기로 하며,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서브 도어(70)는 도어(70)라 부르기로 한다.
도 4는 상기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도어를 구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도어 바디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70)는 상기 도어(70)의 전체적인 형태를 형성하는 도어 바디(40)와, 상기 도어(7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70)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내부에 단열재(400) 및 상기 도어(70) 후방의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 어셈블리(4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은 상기 투시 어셈블리(45)가 보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40)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7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를 교체하거나 분리 또는 장착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 상단과 하단에는 상부 돌기(도 14에서 343)와 하부 돌기(도 23에서 473)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바디(40) 전면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 장착부(431) 및 하단에 형성된 하부 장착부에 상기 상부 돌기(343)와 하부 돌기(473)가 장착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장착 상태에서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 전체를 차폐하여, 상기 도어(70)의 전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색상은 상기 도어(70)의 전면 색상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장착된 상태에서 색상이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45)가 외부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투시 영역(701)은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7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투시 영역(701)을 통해서 상기 도어(70) 후방의 공간을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일부 및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 및 투시 어셈블리(45)는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의 의미는 완전히 투명한 상태를 포함하여 후방 공간이 보일 수 있는 정도의 투명도를 말하며, 명세서 전반에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도어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4의 VII-VII'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4의 VIII-VIII'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 바디(40)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41)와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는 적어도 일부가 투시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는 유리, 아크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과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70)의 배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에는 라이너 개구(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개구(421)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를 통해서 상기 도어(70)의 후방 공간을 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에는 투시 라이트(491)가 구비될 수있다.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선택적인 가시화를 위한 것으로 온될 경우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후방 영역을 밝게 하여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를 통해 상기 도어(70) 후방의 공간이 보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후방 영역은 어두워지게 되어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를 통해 상기 도어(70) 후방의 공간이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도어(70)에 구비되므로 도어 라이트라 부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와 구분 되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제 1 라이트라 부르고, 상기 투시 라이트(491)를 제 2 라이트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후면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상기 라이너 개구(421)의 상단에서 돌출된 부분에 구비될 수있으며, 하방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밝힐 수 있으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를 통한 선택적인 가시화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도어가 아니라 상기 메인 도어(60)의 개구부에 배치되거나, 고내 일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는 투명한 복수의 플레이트들(451,452,453)이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전면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를 향하고 후면은 상기 라이너 개구(42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는 전면을 형성하는 제 1 플레이트(451)와 후면을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와 제 2 플레이트(452)는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강화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51)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의 후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플레이트(452)는 상기 라이너 개구(421)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 개구(421)를 차폐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와 제 2 플레이트(452)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와 제 2 플레이트(452)의 사이에는 스페이서(454)가 구비되어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와 제 2 플레이트(452)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밀 공간 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와 제 2 플레이트(452)의 사이에는 제 3 플레이트(4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플레이트(453)는 상기 제 1 플레이트(451) 및 제 2 플레이트(452)와 동일한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3 플레이트(453)는 강화 유리 또는 단열 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와 제 3 플레이트(453)의 사이에는 제 1 스페이서(45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454a)는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와 제 3 플레이트(45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의 후면 및 제 3 플레이트(453)의 전면에 기밀 상태로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와 제 3 플레이트(453)의 사이에는 기밀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밀 공간에는 아르곤 가스가 주입되거나 진공 상태가 유지되어 단열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플레이트(453)와 제 2 플레이트(452) 사이에는 제 2 스페이서(454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페이서(454b)는 상기 제 3 플레이트(453)와 제 2 플레이트(45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 3 플레이트(453)의 후면 및 제 2 플레이트(452)의 전면에 기밀 상태로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3 플레이트(453)와 제 2 플레이트(452)의 사이에는 기밀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밀 공간에는 아르곤 가스가 주입되거나 진공 상태가 유지되어 단열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바디(40)의 내부에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장착을 위한 마운팅 브라켓(4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6)은 상기 투시 어셈블리(45)가 상기 도어 바디(40)의 내측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6)은 상기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운팅 브라켓(46)은 중앙에 브라켓 개구(461)가 형성된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개구(461)의 내부에 상기 투시 어셈블리(45)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마운팅 브라켓(46)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고정부(462)와,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고정을 위한 제 2 고정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462)는 상기 브라켓 개구(46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의 후면과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의 후면에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고정부(463)는 상기 제 1 고정부(462)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제 1 고정부(462)의 내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463)에 의해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둘레면과 접하는 상기 브라켓 개구(461)의 내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463)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외측단을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투시 어셈블리(45)가 도어 바디(40)의 내부에서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마운팅 브라켓(46)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어퍼 캡데코(43)와 로어 캡데코(45)에 접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사이드 데코(44)와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와 오버랩되는 부분에 투시부(411)가 형성될수 있다. 상기 투시부(411)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투시 어셈블리(45) 및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를 통해 상기 도어(70)의 후방이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411)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크기와 같거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의 둘레를 따라 베젤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부(412)는 상기 투시부(411)의 외측에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의 외측단까지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바디(40) 내부의 구성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젤부(412)는 검은색으로 인쇄 또는 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내부의 단열재를 비롯한 다른 구성들이 노출되지 않게 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만이 상기 투시부(411)를 통해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와 마운팅 브라켓(46)이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 1 플레이트(451)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를 대신하여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의 크기는 상기 어퍼 캡데코(43)와 로어 캡데코(45) 및 한쌍의 사이드 데코(44)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플레이트(451)의 크기는 상기 제 2 플레이트(45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도어 바디(21)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데코(44)는 프론트 플레이트(41)의 좌우 양측단과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좌우 양측단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43)와 로어 캡데코(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캡데코(43)는 상기 사이드 데코(44)의 상단과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의 상단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캡데코(45)는 상기 사이드 데코(44)의 하단과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의 하단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42)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사이드 데코(44),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사이드 데코(44),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도어 바디(40)의 내측면과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외측면 사이의 공간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캡데코(43)의 일측에는 감지 장치(4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492)는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선택적인 가시화를 위해 상기 투시 라이트(491)의 온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 장치(492)는 노크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크 감지 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70)의 전면 즉,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면을 노크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 장치(492)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와 인접한 상기 어퍼 캡데코(4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이드 데코(44)는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양측단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면은 상기 어퍼 캡데코(43)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70)의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면은 상기 로어 캡데코(45)와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상기 도어(7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7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7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므로 도어 패널이라 부를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므로 외장 패널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서비스 및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도어 바디(40)로부터 분리 장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4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면이 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도어(70)의 실질적인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면이 가지는 색상에 의해 상기 도어(70)의 전면 외관의 색상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전면 전체는 사용자가 지정한 색상으로 빛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되어 상기 도어(70)의 전면 색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투시 어셈블리를 통래서 상기 도어 후방의 공간이 가시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의 XI-XI'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31)과, 상기 패널(31)이 빛나도록 빛을 조사하는 라이팅 장치(36),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 되는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33) 그리고, 상기 도광판(33) 및 상기 패널(31)이 장착되는 투과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브라켓(34)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브라켓(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로어 브라켓(35)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패널(31)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패널(31)은 청유리, 백유리, 증착유리와 같은 유리소재 또는 ABS, PMMA, PC등과 같이 빛의 투과가 가능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31)은 투명판, 또는 아웃 플레이트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패널(31)은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31)은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31)이 가지는 색상에 의해 상기 도어(70)의 전면 색상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꺼진 상태에서의 상기 패널(31)의 색상은 변화될 수 없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교체를 통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선택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31)은 상기 패널(31)은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31) 자체가 가지는 색상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내부의 구성들이 상기 패널(31)을 통해서 외부로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31)은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 적어도 검정색이 아닌 명도 0이상의 색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은 검정색이 아닌 다른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에 따라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색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패널(31)에는 색상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색상층은 상기 패널(31)이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패널(31)의 전면 또는 배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색상층은 유색의 인쇄 또는 필름 부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색상층은 제 1 색상부(311)와 제 2 색상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색상부(311)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 또는 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색상부(311)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 또는 개구(398)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어 외부에서 상기 도어(70) 후방의 공간을 투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색상부(311)는 상기 투시 영역(701)과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색상부(311)의 둘레에는 제 2 색상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색상부(312)는 상기 제 1 색상부(311) 외측에서 상기 패널(31)의 외측단 까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색상부(312)는 상기 제 1 색상부(311)와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되되, 채도가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색상부(311)는 후방이 투시 가능하게 개구된 상태이고, 상기 제 2 색상부(312)는 상기 도어(70)의 내부 구성들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색상부(311)와 제 2 색상부(312)를 동일 채도의 색상으로 형성 할 경우 상기 제 1 색상부(311) 즉, 상기 가시 영역이 더 밝게 보이게 되어 외관상 일체감을 느끼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색상부(311)의 채도를 더 높게 하여 상기 제 1 색상부(311)의 후방이 개구되어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제 1 색상부(311)와 제 2 색상부(312)의 경계가 보이지 않고 동일한 밝기를 가지게 되어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색상부(311) 즉, 가시 영역의 경계가 잘 구분되지 않게 되어 상기 패널(31)이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 1 색상부(311)의 채도는 제 2 색상부(312)의 채도보다는 다소 높게 형성되지만,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70) 후방 공간이 충분히 보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패널(31)과 이격된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33)의 하방에 배치된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기 패널(31)을 향하여 전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광판(33)은 투명한 아크릴, 플라스틱 또는 투명한 폴리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33)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온된 상태에서 상기 도광판(33)을 통해 후방에 배치된 상기 투시 어셈블리가 보이도록 구성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도광판(33)으로 입사되는 빛이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확산제가 첨가되거나, 빛의 확산을 위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상기 패널(31)로 빛이 전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패널(31)의 전면 전체가 균일한 밝기고 빛날 수 있도록 상기 도광판(33)의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광판(33)의 패턴은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이 전방을 향하도록 반사시킬 수 있으며, 상기 패널(31)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광판(33)에는 제 1 패턴부(33a)와 제 2 패턴부(3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패턴부(33a)는 상기 개구(398) 또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70)의 후방 공간이 투시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패턴부(33a)는 후방의 투시가 가능한 정도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패턴부(33a)는 반사를 위한 패턴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를 상기 도광판(33)이 전방에서 차폐한 상태에서도 상기 제 1 패턴부(33a)를 통해서 상기 도어(70) 후방 공간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패턴부(33b)는 상기 제 1 패턴부(33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패턴부(33a)와 상기 도광판(33)의 둘레 사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패턴부(33b)는 상기 도광판(33)을 따라 이동되는 빛이 반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33)의 후면에는 반사층(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331)은 상기 도광판(33)을 따라 안내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광판(33)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331)은 얇은 판, 시트 또는 필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층(331)은 반사판, 반사 시트, 반사 필름으로 부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반사층(331)은 상기 도광판(33)과 접하는 면에 빛의 반사를 위한 색상 또는 물질이 코팅처리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33)을 따라 이동되는 빛은 상기 반사층(331)에 의해 상기 도광판(33)의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반사층(331)은 제 1 영역(331a)과 제 2 영역(33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331a)은 사용자가 상기 도어(70)의 후방을 투시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투시 어셈블리(45) 또는 개구(398)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영역(331a)은 후방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영역(331a)은 상기 반사층(331)을 관통하는 개구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층(331)이 상기 도광판(33) 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도광판(33) 및 반사층(331)을 통해 상기 도어 후방을 볼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331b)은 상기 제 1 영역(331a)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영역(331b)은 상기 제 1 영역(331a)의 외측에서 상기 제 반사층(331)의 외측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331b)은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빛을 반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색상부(311), 제 1 패턴부(33a) 및 제 1 영역(331a)은 모두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색상부(311), 제 1 패턴부(33a) 및 제 1 영역(331a) 후방의 투시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장착되는 하면을 제외한 상기 도광판(33)의 좌우 양측면과 상면에는 반사층이 더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33)의 둘레로 빛이 새어 나가지 않고 모두 도광판(33)의 내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패널(31)을 보다 밝고 균일하게 빛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널(31)과 도광판(33)의 사이에는 투과부재(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재(32)는 상기 도광판(33)과 패널(31)이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도광판(33)이 상기 패널(31)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재(32)는 전면이 상기 패널(31)을 지지하고, 좌우 양측면이 후방에 배치된 상기 도광판(33)을 구속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재(32)는 상기 패널(31) 및 도광판(33)이 장착되므로 지지부재라 부를 수 있으며,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투명판이라 부를 수도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40)의 측면을 포함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패널 프레임이라 부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투과부재(32)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투과부재(32)는 광학성 투명 ABS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재(32)는 다양한 투명 플라스팃 소재 즉, 폴리 카보네이트(PC:polycarbonate), 아크릴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에서 반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상기 패널(31)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단에는 어퍼 브라켓(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34)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브라켓(34)은 상기 투과부재(32)와 결합되는 구조 및 상기 백 커버(39)와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34)은 상기 투과부재(32)의 상단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과부재(32)와 도광판(33)을 차폐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단에는 로어 브라켓(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35)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브라켓(35)은 상기 투과부재(32)와 결합되는 구조 및 상기 백 커버(39)와 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브라켓(35)에는 라이팅 장치(3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기 도광판(33)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브라켓(35)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로어 브라켓(35)과 함께 조립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35)은 상기 투과부재(32)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투과부재(32)의 하단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후면에는 상기 백 커버(39)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 커버(39)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39)는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39)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 전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39)에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구된 커버 개구(39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개구(398)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방에서 바라 볼 때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는 상기 커버 개구(398)를 통해 보일 수 있으며, 상기 도어(70) 후방의 공간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주요 구성들인 상기 투과부재(32), 로어 브라켓(35)과 라이팅 장치(36) 및 어퍼 브라켓(34)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구성인 투과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과부재(32)는 전체가 수지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과부재(32)를 기준으로 전면에 상기 패널(31)이 장착되고 후면에 상기 도광판(33)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재(32)는 판상의 상기 전면부(321)와, 상기 전면부(321)의 좌우 양측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측면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21)는 상기 패널(31)과 상기 도광판(3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면이 상기 패널(31)을 지지하고, 후면이 상기 도광판(33)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21)의 전면 둘레에는 접착부재(313)가 도포되어 상기 패널(31)이 상기 투과부재(32)의 전면에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321)는 좌우 양측의 상기 측면부(322)의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면부(321)는 상기 측면부(322)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의 측면부(322)에서 타측의 측면부(322)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33)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321)의 후면은 상기 도광판의 전면과 접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패널(31)과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측면부(322)는 상기 도광판(33)의 좌우 양측단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322)는 상기 전면부(321)의 상단 및 하단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어퍼 브라켓(34) 및 로어 브라켓(35)의 측단과 서로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재는 상기 전면부(321)와 측면부(322) 구조에 의해 상기 패널(31)과 도광판(33)은 물론 상기 어퍼 브라켓(34) 및 로어 브라켓(35)까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측면부(322)는 상기 전면부(321)의 좌우 양측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파트(322a)와 상기 제 1 파트(322a)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제 2 파트(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22a)는 상기 전면부(321)의 좌우 양측단에서 상기 전면부(321)와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22b)는 상기 제 1 파트(322a)의 연장된 단부에서 내측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즉, 한쌍의 상기 제 1 파트(322a)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상기 제 2 파트(322b)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22b)는 상기 제 1 파트(322a)와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33)을 구속하고 동시에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의 양단부를 구속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파트(322b)는 상기 제 1 파트(322a)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백 커버(39)의 좌우 양측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22a)와 제 2 파트(322b)의 사이에는 제 3 파트(32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22b)와 제 3 파트(322c)는 상기 제 1 파트(322a)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파트(322c)는 상기 제 2 파트(322b)의 전면 즉, 상기 전면부(321)를 향하는 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파트(322b)의 전면이 단차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322a)와 제 2 파트(322b) 및 제 3 파트(322c)에 의해서 상기 측면부(322)에는 도광판 삽입 공간(324)과 브라켓 삽입 공간(32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파트(322c)는 상기 전면부(321)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321)와 제 3 파트(322c)의 이격된 사이에 도광판 삽입 공간(3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파트(322c)는 상기 제 1 파트(322a)의 후단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부(321)와 상기 제 3 파트(322c) 사이의 거리는 상기 도광판(33)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도광판(33)이 슬라이드 인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33)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광판(33)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투과부재(32)의 양측단에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33)의 전면은 상기 전면부(321)의 후면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33)이 상기 도광판 삽입 공간(324)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광판(33)의 하단은 상기 라이팅 장치(36)와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광원(362)과 서로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 삽입 공간(324)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광판(33)의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이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파트(322c)의 연장된 단부에는 제 2 파트(32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22b)는 상기 제 3 파트(322c)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파트(322c)보다 더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파트(322c)는 상기 제 2 파트(322b)의 전면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파트(322b)는 상기 전면부(32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면부(321)와 상기 제 2 파트(322b)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어퍼 브라켓(34) 및 로어 브라켓(35)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은 상기 도광판(33)이 상기 측면부(3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과부재(32)의 상방과 하방에서 각각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파트(322c)와 제 2 파트(322b)의 단차 높이는 상기 어퍼 브라켓(34) 및 로어 브라켓(35)의 삽입되는 부분 즉, 어퍼 브라켓 장착부(344) 및 로어 브라켓 장착부(352b)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33)이 상기 도광판 삽입 공간에 장착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이 상기 브라켓 삽입 공간(325)에 장착되면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에 의해 상기 도광판(33)의 상단 및 하단이 후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21)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측면부(322)의 상단 및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상단 돌출부(321b)와 하단 돌출부(321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부재(32)의 상단과 하단에 장착되는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은 방향성을 가지고 조립될 수 있게 되어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의 보다 견고한 고정 장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은 상기 브라켓 삽입 공간(325)에 삽입되고, 동시에 상기 측면부(322) 및 전면부(321)의 상단과 하단의 단차진 부분에 안착되어 상기 투과부재(32)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은 상기 투과부재(32)와 결합된 상태에서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백 커버(39)가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체적인 결합 구조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구성인 백 커버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백 커버(39)는 금속 소재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39)는 커버 둘레부(391)와 커버 돌출부(39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상의 백 커버(39)는 포밍에 의해 상기 커버 둘레부(391)와 커버 돌출부(39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둘레부(391)는 상기 백 커버(39)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돌출부(39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둘레부(391)의 상단과 하단은 상기 어퍼 브라켓(34) 및 로어 브라켓(3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커버 둘레부(391)의 좌우 양 측단은 상기 측면부(322)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둘레부(392)의 상단과 하단을 따라서 다수의 스크류(399)가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399)는 상기 백 커버(39)를 관통하여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에 체결되어 상기 백 커버(39)가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39)의 상단에는 상기 어퍼 브라켓(34)의 장착시 상기 어퍼 브라켓(34)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상기 상부 돌기(343)가 통과되는 상기 돌기 개구(39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돌출부(391)는 상기 커버 둘레부(391)의 내측 즉, 백 커버(39)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둘레부(391)보다 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39)의 장착시 상기 커버 돌출부(392)에 의해 상기 도광판(33)의 후면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양측단이 지지된 상기 도광판(33)은 크기가 큰 판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상기 백 커버(39)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 돌출부(392)에 의해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돌출부(392)가 형성된 상기 백 커버(39)의 중앙에는 커버 개구(39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개구(398)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개구(398)를 통해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전면 적어도 일부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도어 바디(4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백 커버(39)는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와 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개구(398)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의 전면이 상기 커버 개구(398)를 통해 보일 수 있으며, 상기 투시 라이트(491)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70)의 후방 공간이 보일 수 있다.
도 15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어퍼 브라켓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도 9의 XVI-XVI'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브라켓(34)은 상기 어퍼 브라켓(34)은 상기 투과부재(3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34)은 전체적으로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와 어퍼 브라켓 상면부(3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는 상기 어퍼 브라켓(34)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패널(31) 및 도광판(33)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의 좌우 양측단에는 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어퍼 브라켓 장착부(3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 장착부(344)는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 장착부(344)는 상기 브라켓 삽입 공간(325)의 폭과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삽입 공간(325)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34)이 상기 투과부재(3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브라켓 장착부(344)는 상기 브라켓 삽입 공간(325)에 고정되고, 나머지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는 양측의 상기 측면부(322) 사이에 노출되어 상기 백 커버(39)의 상단을 지지 및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의 후면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돌기(3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돌기(343)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어퍼 캡데코(43)의 상부 장착부(431)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에는 상기 스크류(399)의 체결을 위한 어퍼 브라켓 스크류 홀(3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 스크류 홀(345)은 상기 커버 스크류 홀(397)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 커버(39)의 장착시 상기 스크류(399)가 상기 커버 스크류 홀(397)과 상기 어퍼 브라켓 스크류 홀(345)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의 후면 상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커버 서포터(34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서포터(347)는 상기 백 커버(39)의 장착시 상기 백 커버(39)의 상단과 접하는 것으로, 상기 백 커버(39)가 정확한 장착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의 상단에는 상기 어퍼 브라켓 상면부(3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 상면부(342)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와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브라켓 상면부(342)는 상기 어퍼 브라켓 연장부(34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브라켓 상면부(342)의 전단은 상기 패널(31)의 상단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투과부재(32) 및 도광판(33)의 상단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브라켓(34)은 상기 투과부재(32)의 상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399)에 의해 상기 백 커버(39)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상기 도광판(33)의 상방향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 브라켓 상면부(342)는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낮아지는 경사지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를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어퍼 브라켓 상면부(342)의 전단은 최소화된 상태가 되어 잘 보이지 않게 되고,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면 외관은 실질적으로 상기 패널(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로어 브라켓에 라이팅 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로어 브라켓과 라이팅 장치 및 라이트 서포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도 9의 XIX-XIX'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어 브라켓(35)은 상기 투과부재(32)에 장착되어 상기 패널(31)과 투과부재(32) 및 도광판(33)의 하단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데코(47)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하단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35)은 전체적으로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와 로어 브라켓 후면부(352), 로어 브라켓 측면부(353) 그리고 로어 브라켓 하면부(3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는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전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의 상단에는 패널 지지부(351a)가 형성되어 상기 패널(31)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지지부(351a)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광원 상단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라이팅 장치(36) 특히 광원(362)이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지지부(351a)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와 매우 인접한 상기 도광판(33)의 하단 및 패널(31)의 하단에서 집중적인 빛 조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영역을 가릴 수 있게 되어 패널(31)에 라이팅 스팟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로어 브라켓 측면부(353)는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 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 측면부(353)의 상단은 상기 패널 지지부(351a)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투과부재(32)의 측면 하단의 단차진 부분이 상기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 및 상기 로어 브라켓 측면부(353)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 후면부(352)는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 및 상기 로어 브라켓 측면부(353) 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광판(33)을 후방에서 지지하고, 상기 백 커버(39)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브라켓 후면부(352)의 좌우 양측단에는 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로어 브라켓 장착부(35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 장착부(352b)는 상기 브라켓 삽입 공간(325)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 후면부(352)에는 다수의 스크류(399)가 체결되는 로어 브라켓 스크류 홀(3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 스크류 홀(356)은 상기 커버 스크류 홀(397)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백 커버(39)의 장착시 상기 스크류(399)가 상기 커버 스크류 홀(397)과 상기 로어 브라켓 스크류 홀(356)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브라켓 후면부(352)에는 브라켓 개구(35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개구(352a)는 상기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장착되는 수용 공간(350)의 후면에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개구(352a)를 통해서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개구(352a)는 상기 백 커버(39)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브라켓 하면부(354)는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장착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브라켓 전면부(351)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도광판 지지부(3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 지지부(355)는 상기 로어 브라켓 젼면부(351)를 따라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 지지부(355)는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상방에서 구속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 지지부(355)와 상기 로어 브라켓 하면부(354)는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상방과 하방에서 구속하여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상하방향 유동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판 지지부(355)의 상면은 상기 도광판(33)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내부에는 라이팅 장치(36)가 구비될 수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기판(361)과 광원(3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361)은 상기 로어 브라켓(35) 내부에 수용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361)에는 다수의 광원(362)이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은 상기 도광판(33)의 하단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361)은 상기 광원(362)이 상기 도광판(33)의 좌측단에서 타측단까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361)의 좌측단 및 우측단은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내부에서 상기 로어 브라켓 측면부(353)와 접하여 좌우측 방향 유동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은 일 예로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362)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RGB 엘이디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362)은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패널(31)은 상기 제어부(13)에서 설정하는 색상으로 빛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31)의 색상에 따라서 상기 도어(70)의 전면 외관 색상이 결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광원(362)은 RGB 엘이디 외에도 특정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엘이디들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원(362)은 상기 기판(361)에 일정 간격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패널(31)이 설정된 휘도로 빛날 수 있도록 적정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내부에는 라이트 서포터(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서포터(37)는 로어 브라켓(35)의 내부에서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 서포터(37)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도에 의해 방열되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개구(352a)를 통해 출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서포터(37)는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지지하는 제 1 서포팅부(372)와 상기 백 커버(39)와 접하는 제 2 서포팅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팅부(372)는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내부에서 상기 로어 브라켓 하면부(35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팅부(371)는 상기 제 1 서포팅부(372)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 개구(352a)를 통해서 후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백 커버(39)의 장착시 상기 백 커버(39)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라이트 서포터(37)를 통해 백 커버(39)로 전달되어 방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브라켓(35)에는 로어 데코(47)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데코(47)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단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단을 상기 도어 바디(40)에 고정하고 동시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상기 로어 브라켓(35)을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기 도어(70) 외에도 다른 도어들(202,201a)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들(202,201a) 또한 전면에 색상의 변경이 가능한 패널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전면 외관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다른 도어들(202,201a)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다른 도어들(202,201a)의 구조는 크기와 위치만 다를 뿐 그 구조는 동일하므로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01a)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도어(70)와 구별되도록 다른 도어 또는 비투시 도어라 부를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다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도어의 패널 어셈블리와 도어 바디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도어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다른 도어(201a)는 전술한 도어(70)와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도어(201a)는 전술한 도어(70)와 동일한 색상으로 빛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도어(201a)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바디(40')와, 상기 도어 바디(40')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바디(40')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플레이트(41')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와 이격된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와 도어 라이너(42') 사이를 연결하며,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캡데코(43) 및 로어 캡데코(4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바디(40')는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데코(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바디(40')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는 불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의 전방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40')에 장착되어 상기 다른 도어(201a)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전면을 형성하는 패널(31)과, 상기 패널(31)의 후방에 구비되는 투과부재(32) 그리고 상기 투과부재(32)에 장착되는 도광판(33),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브라켓(34) 및 로어 브라켓(35), 상기 로어 브라켓(35) 내부에 장착되는 라이팅 장치(36)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재(32)의 전면에 상기 패널(31)이 장착되고, 후면에 상기 도광판(33)이 슬라이딩 삽입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과부재(32)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로어 브라켓(35)의 장착시 상기 도광판(33)의 하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정렬되어 상기 도광판(33)의 하단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도광판(33)은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방의 패널(31)을 향하여 안내하며, 상기 도광판(33) 후면에 배치된 반사층(331)에 의해 상기 패널(31)을 보다 밝게 빛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는 되는 빛의 색상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전방으로 조사되어 상기 투과부재(32)를 투과한 후 상기 패널(31)이 선택된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 커버(39')는 상기 어퍼 브라켓(34')과 로어 브라켓(35')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전술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와 비교할 때 도광판(33) 배면에 반사층(331)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백 커버(39')에 상기 커버 개구(39')가 형성되지 않는 점에 차이가 있을뿐 전체적인 구조는 동일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1)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3은 상기 냉장고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발광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원격기기를 이용한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적용된 가전 제품들의 색상을 조절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도어가 가시화 된 상태를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31)이 가지는 색상에 의해 전면의 외관 색상이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면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에 따라서 상기 패널(31)의 색상이 변경되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 색상이 선택된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또는 상기 패널(31)을 스크린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온되면 상기 도어(70)의 후방 공간이 밝아지게 되고, 상기 도어(70)의 투시 영역(701)을 통해서 상기 도어(70) 후방 공간이 보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전 기기는 냉장고(1), 에어컨(5), 식기 세척기(6), 의류 관리기(7), 세탁기(8) 또는 조리기기(9)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와 같은 구조가 적용되어 전면의 외관 색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예로,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상기 냉장고(1)에서는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는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게 되고,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에어컨(5)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51, 또는 캐비닛) 내부에 열교환 장치와 팬 등이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1)의 전면은 패널 어셈블리(5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511)는 전술한 상기 냉장고(1)의 패널 어셈블리(3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발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511)는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게 되고, 상기 에어컨(5) 실내기는 설정된 색상으로 전면 외관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식기 세척기(6)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61, 또는 캐비닛) 내부에 식기 세척을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1)의 전면은 도어(62)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62)의 전면은 패널 어셈블리(6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621)는 전술한 상기 냉장고(1)의 패널 어셈블리(3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발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621)는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게 되고, 상기 식기 세척기(6)는 설정된 색상으로 전면 외관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의류 관리기(7)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71, 또는 캐비닛) 내부에 의류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71)의 전면은 도어(72)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72)의 전면은 패널 어셈블리(7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721)는 전술한 상기 냉장고(1)의 패널 어셈블리(3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발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721)는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게 되고, 상기 의류 관리기(7)는 설정된 색상으로 전면 외관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세탁기(8) 또는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81, 또는 캐비닛) 내부에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81)의 전면은 도어(8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81)의 전면은 패널 어셈블리(8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811)는 전술한 상기 냉장고(1)의 패널 어셈블리(3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발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게 되고, 상기 세탁기(8) 또는 건조기는 설정된 색상으로 전면 외관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조리기기(9)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91, 또는 캐비닛) 내부에 식품 조리를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91)의 전면은 도어(92)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92)의 전면은 패널 어셈블리(9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921)는 전술한 상기 냉장고(1)의 패널 어셈블리(3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어 발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설정에 의해 상기 패널 어셈블리(921)는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게 되고, 상기 조리기기(9)는 설정된 색상으로 전면 외관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색상이 변경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31)이 가지는 색상에 의해 전면의 외관 색상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 된 상태에서의 상기 패널(31)에 표시되는 색상을 제 1 색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동작되면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에 따라서 상기 패널(31)의 색상이 변경되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 색상이 선택된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은 제 2 색상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어 변화되는 상기 패널의 색상은 제 3 색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색상은 제 3 색상과 다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패널(31)의 제 3 색상은 상기 패널(31) 자체가 가지는 제 1 색상을 고려하여 보정된 제 2 색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제 2 색상의 빛은 상기 패널(31) 자체가 가지는 상기 제 1 색상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13)에서 결정할 수 있으며, 제 2 색상의 빛이 상기 제 1 색상의 패널을 투과하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제 3 색상으로 상기 패널(31)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상기 패널(31)의 색상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냉장고(1)와 떨어진 원격 기기(2)를 통해서 조작 및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어부(13)와 연결된 통신부(17)를 통해서 상기 원격 기기(2)와 통신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원격 기기(2)를 통해서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7)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원격 기기(2)와 통신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신부(17)는 유선, 무선 및 근거리 통신(Bluetooth, Wi-Fi, Zigbee, NFC 등)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기기(2)는 전용 단말기, 휴대전화, 태블릿, 휴대용 피시, 데스크탑 피시, 리모컨, 블루투스 스피커 등 통신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원격 기기(2)의 조작을 통해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 시간, 동작 조건, 광원의 발광 색상 등을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 상태를 전반적으로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휴대 전화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간편한 조작과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원격 기기(2)를 통한 상기 패널(31)의 변경 색상을 선택을 도 2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휴대폰, 또는 단말기와 같은 원격 기기(2)의 화면(2a)을 통해 원하는 패널(31)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원격 기기(2)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원격 기기는 메뉴 화면(2b)를 먼저 출력하게 되며, 상기 메뉴 화면(2b)을 통해 패널 색상 변경 메뉴(2b1)를 조작 하게 된다.
사용자가 패널 색상 변경 메뉴(2b1)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원격 기기(2)는 메뉴 화면(2b)에서 색상 선택 화면(2c)을 출력하고, 사용자는 색상 선택 화면에서 변경 하고자 하는 패널(31)의 위치 그리고 변경하고자 하는 패널(31)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색상 선택 화면(2c)에는 패널 위치 선택 메뉴(2c1)가 표시되어 다수의 상기 도어(20) 중 원하는 위치의 상기 도어(20)에 장착된 상기 패널(31)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도어(20)의 패널(31)이 상기 패널 위치 선택 메뉴(2c1)에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상기 패널(31)의 위치를 선택한 후 상기 색상 선택 화면(2c)에 표시된 색상 선택 메뉴(2c2,2c3)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색상 선택 메뉴(2c2,2c3)는 색상 코드의 확인 및 추출이 가능한 컬러 피커(color picker)의 형태로 상기 패널(31)이 표시 가능한 색상이 모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색상 선택 메뉴(2c2,2c3)는 다양한 색상의 조합 및 선택이 가능하므로 팔레트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색상 선택 메뉴(2c2,2c3)는 원형의 제 1 선택부(2c2)와 막대 형상의 제 2 선택부(2c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선택부(2c2)에서는 색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 2 선택부(2c3)에서는 선택된 색상의 노출(intensity)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색상 선택 메뉴(2c2,2c3)는 상기 제 1 선택부(2c2)와 제 2 선택부(2c3)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색상 선택 메뉴(2c2,2c3)를 통해서 다양한 색상 중 상기 패널(31)의 색상 즉, 상기 제 3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색상 선택 메뉴(2c2,2c3)는 문자 코드 숫자 등의 형태로 입력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제 3 색상의 선택에 따라 상기 패널(31)이 상기 제 3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제 2 색상으로 온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원격 기기(2)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냉장고(1)에 구비된 조작부(14)를 통해 색상을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 및 원격 기기(2)는 서버와 네트워크 상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냉장고(1)의 패널(31)의 색상은 서버(3)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은 사용자의 조작부(14)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14)는 상기 냉장고(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캐비닛(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14)는 필요에 따라 상기 도어(2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패널(31)의 터치 또는 노크하는 등의 조작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4)를 직접 조작하여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켜거나 끌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센서에 의해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는 일 예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사용자 감지 센서(151)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는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등 사용자가 냉장고 근처로 근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는 상기 캐비닛(10) 또는 도어(`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의 사용을 위해 상기 냉장고(1)에 설정 거리 만큼 근접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켜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에 매우 근접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 되거나 밝기가 점차 어두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상기 냉장고(1)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다시 온 되거나 원래의 밝기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는 조도 센서(152) 일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152)는 실내 공간의 조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감지 센서(151)가 배치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조도 센서(152)의 감지 조도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도 센서(152)의 감지 조도가 설정 조도 이하가 되어 어두워지게 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도록 하고, 상기 조도 센서(152)의 감지 조도가 설정 조도 이상이 되어 밝아지게 되면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는 상기 조도 센서(152)와 사용자 감지 센서(151)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도 센서(152)와 사용자 감지 센서(151)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제어부(13)에 의해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 오프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는 마이크(18)와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18)에서 수신되는 음성 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362)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색상을 통해 음성 신호의 입력 상태 또는 기능의 설정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마이크(18)를 통해 사용자의 온도 조절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3)는 고내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조절하고, 해당 온도에 해당하는 색상으로 상기 도어(20) 전면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타이머(16)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온 오프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시간에 맞추어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고, 설정된 시간 범위 외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실제 조도와 관계 없이 주간에는 오프되고, 야간에는 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에와 무관하게 단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도어(20) 전면의 밝기 및 색상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온 상태와 오프 상태 외에도 밝기가 조절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통해 조사되는 빛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패널(31)의 밝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31)의 밝기를 통해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 상태에 관하여 살펴보면,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어부(13)의 지시에 따라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면, 상기 광원(362)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도광판(33)의 하단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362)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어부(13)에 의해 선택된 제 2 색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원(362)은 RGB 엘이디로서 상기 패널(31)의 표면이 사용자가 선택한 제 3 색상으로 빛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3)에 의해 보정된 제 2 색상의 빛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도광판(33)의 하단을 통해 입사된 빛은 상기 도광판(33)을 따라 확산 및 반사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3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안내되는 빛은 상기 반사층(331)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되어 상기 패널(31)을 통과하여 외부로 투과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33)을 통해 전방으로 향하는 빛은 상기 투과부재(32)를 통과하여 상기 패널(31)을 밝히게 되며,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설정된 밝기 또는 색상으로 빛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70) 뿐만 아니라 다른 도어들(202, 201a)들 또한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면서 상기 도어(70) 전면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시 라이트(491)의 동작에 따른 상기 도어(70)의 가시화 상태에 관하여 살펴보면,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어부(13)의 지시에 따라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온되고, 상기 투시 라이트(491)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도어의 후방 공간이 밝아지도록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도어(70)의 전면 즉, 상기 패널(31)의 전면을 노크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장치(492)에서 사용자의 노크 조작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3)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감지 장치(492)는 근접센서 또는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거나 마이크(18)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투시 라이트(491)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에서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서 상기 투시 라이트(491)를 온 시킬 수 있으며,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상기 도어(70)의 후방 공간을 밝게 할 수 있다. 상기 도어(70) 후방의 공간이 밝아지게 되면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에 의해 상기 도어 후방 공간이 가시화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상기 라이너 개구(421)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며, 상기 개구부(61)의 내측 공간을 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61) 또는 상기 도어(70) 후면에 수납된 식품이 가시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도어(70)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부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70)의 전방에 선 사용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와 프론트 플레이트(41) 및 상기 투시 어셈블리(45)를 통해서 도어 후방 공간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사용자가 재차 상기 도어(70)의 전면을 노크 조작하여 오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온 된 후 상기 타이머(16)에서 설정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오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라이팅 장치(36) 및 상기 투시 라이트(491)의 동작에 따른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의 변화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7은 상기 라이팅 장치가 오프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상기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9는 상기 투시 라이트가 온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0은 다수의 상기 도어 중 일부의 도어가 발광되는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1은 상기 도어 중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각각 발광되는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도 2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빛나지 않게 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가 가지는 원래의 색상 즉 제 1 색상으로 보이게 된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도어 바디(40)로부터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색상의 패널 어셈블리(30)를 장착하여 최초의 패널(31)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자체를 교환하여 상기 라이팅 장치(36) 오프시의 상기 패널(31)의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20)의 전면 색상은 상기 패널(31)이 가지는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으며, 상기 패널(31)에 형성된 질감과 패턴이 보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패널(31)의 색상은 명도가 0보다 큰 색상으로, 검정색상이 아닌 다른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상기 패널(31)의 색상인 제 1 색상으로 보여지게 되며, 이때 상기 패널(31)의 색상에 의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30) 내부의 구성들이 상기 패널(31)로 투시되어 외부로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70)의 후방 공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투시 라이트(491)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70)의 후방 공간은 보이지 않게 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후방의 구성들 또한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70)의 전면은 상기 패널(31)이 가지는 색상에 의해 외관이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70)의 전체가 제 1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70)는 전면 전체가 제 1 색상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상기 투시 영역(701)은 외부로 보여지지 않고, 마치 상기 투시 영역(701)이 형성되지 않은 것 처럼 보일 수 있으며, 다른 도어들(202,201a)과 동일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70) 외에 다른 도어들(202,201a) 또한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되어 상기 패널(31)이 가지는 색상에 의해 외관이 표현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도어(70)와 동일한 제 1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즉, 상기 도어(70)와 상기 다른 도어들(202,201a)은 모두 동일한 외관 색상으로 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면, 상기 도어(20)의 전면은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으로 빛나게 된다.
예컨데, 도 2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어부(13)에서 상기 도어(20)의 전면이 상기 제 1 색상과 다른 제 3 색상으로 빛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광원(362)이 제 2 색상으로 빛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색상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원격 기기(2)의 조작 또는 상기 조작부(14)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패널(31)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광원(362)가 제 2 색상으로 빛나게 되면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상기 패널(31)의 전면을 투과하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즉, 상기 패널(31)은 제 3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제 3 색상으로 빛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3)에서 상기 라이팅 장치(36)에서 조사되는 빛의 색상을 바꾸도록 지시하게 되면, 상기 패널(31)은 상기 제어부(13)에서 재 설정한 다른 색상으로 빛나게 된다.
예컨데, 상기 제어부(13)에서 상기 패널(31)이 상기 제 1 색상 및 제 3 색상과 다른 제 4 색상으로 빛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상기 제어부(13)의 지시에 따라서 상기 광원(362)이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362)이 다른 색상으로 빛나게 되면 상기 도광판(33)에 의해 반사되는 빛이 상기 패널(31)을 빛이 투과하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즉, 상기 패널(31)은 제 4 색상으로 보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도어(20) 중 일부의 도어(20)를 구성하는 패널(31)이 발광되거나, 다수의 도어(20)들을 구성하는 패널(31)들이 독립적으로 발광되어 설정된 색상으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도어(70) 후방 공간을 보기 위해서 상기 도어(70)를 노크 조작하게 되면, 도 2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투시 영역이 가시화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입려되면,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온되어 상기 도어(70) 후방 공간을 밝히게 된다. 상기 도어(70) 후방 공간이 밝아지게 되면, 상기 도어(7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투시 어셈블리(45)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41)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를 통해 상기 도어(70) 후방 공간이 가시화될 수 있으며, 식품의 수납 상태를 상기 도어(70)를 개방하지 않고도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70) 후방의 공간을 확인한 후 식품을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70) 후방의 가시화를 위해서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온된 상태에서는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되거나, 다소 어두워지도록 동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70) 후방의 공간이 상대적으로 더 밝게 보일 수록 내부의 식별이 용이하므로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오프하거나 밝기를 낮추어 상기 투시 영역(701)을 통한 가시화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온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른 도어들(202,201a)은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되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70)만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되고 투시 라이트(491)가 온되어 상기 도어(70) 후방의 공간을 가시화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 도어(70)의 라이팅 장치(36)는 오프 되지 않고, 상기 다른 도어들(202,201a) 또는 상기 도어(70) 후방 공간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더 어두운 밝기로 빛날 수도 있다.
예컨데, 도 3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다수의 도어(20)들 중 일부 도어(201a)의 패널(31)이 빛나거나 특정 색상으로 빛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들에 구비되는 라이팅 장치(36)가 모두 동작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도어(20) 중 일부의 도어(201a)만 빛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냉장실 도어(201) 중 어느 하나의 도어(201a)가 빛날 수 있다. 즉, 좌측 냉장실 도어(201a)와 우측 냉장실 도어(201b) 중 좌측 냉장실 도어(201a)가 빛날 수 있다. 몰론,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동실 도어(202) 중 어느 하나가 빛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01a)와 도어(70)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빛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 냉장실 도어(201a)가 온 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70)의 투시 영역(701)이 선택적으로 가시화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도어(20)가 순차적으로 색상이 변화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둘 이상의 도어(20)가 순차적으로 온오프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도어 중 냉장실 도어(20) 또는 냉동실 도어(20)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빛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3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어부(13)는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1)의 패널이 일 색상으로 보이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는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01)가 다른 색상으로 보이도록 상기 라이팅 장치(36)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실 도어(201)와 냉동실 도어(202)를 색상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고내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냉장실 도어(201)와 냉동실 도어(202)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의 전면 색상을 통해 냉장실과 냉동실의 구분은 물론, 각 저장 공간의 운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저장 공간이 좌우 양측으로 구획되고 상기 도어가 좌우 양측의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저장 공간과 도어의 배치를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 예와 그 구조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1은 상기 냉장고의 라이팅 장치가 온된 상태의 냉장고 전면 외관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좌우 양측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캐비닛(10') 좌측의 공간이 냉동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 우측의 공간이 냉장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03)와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203)와 냉장실 도어(204)는 좌우 양측에 나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각각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04)의 상부에는 전술한 실시 예의 메인 도어(60)와 같이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투시 도어(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시 도어(70)는 상기 냉장실 도어(20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 도어(203)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4)의 하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 도어(70)에는 투시 영역(701)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 영역(701)을 통해 상기 투시 도어(70)의 후방 공간을 선택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시 도어(70)의 구조와 형상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20')에 의해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도어 바디(40)와 패널 어셈블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구체적인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고, 그 크기와 배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며, 도시되지 않은 도면 부호는 전술한 실시 예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3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30'')의 전면을 구성하는 패널(31)에 의해서 그 색상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패널 자체가 가지는 색상에 의해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라이팅 장치(36)가 온 될 경우 상기 라이팅 장치(36)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상기 패널(31)을 투시하여 상기 패널(31)의 색상 또는 밝기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에 따라 상기 라이팅 장치(36)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31)은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되어 빛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가 조립 및 장착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의 색상 또는 밝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외관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04)와 냉동실 도어(203)는 필요에 따라서 서로 다른 색상으로 빛날 수도 있으며, 주변의 가구 또는 설치 환경과 조화되어 선택된 색상으로 빛날 수 있게 되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설치 또는 사용 환경 또는 사용 조건의 변경시 그에 맞추어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시 도어(70) 또한 상기 라이팅 장치(36)의 동작에 따라 상기 패널(31)이 설정된 색상으로 빛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와 투시 도어(70)는 동일한 색상으로 빛나면서 상기 냉장고 전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시 영역은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투시 도어(70)의 가시화 영역을 통해서 상기 투시 도어(70) 후방의 공간을 보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온될 수 있다. 상기 투시 라이트(491)가 온되면 상기 투시 도어(70) 후방 공간이 밝아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투시 어셈블리(45) 및 패널 어셈블리(30)를 통해 상기 투시 도어(70) 후방을 볼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전면이 개구된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전후로 관통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차폐하며 후방의 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 어셈블리가 형성된 도어 바디;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빛이 투과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패널을 향하여 빛을 안내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을 향해 설정 색상의 빛을 조사하여 상기 패널의 표시 색상을 변경하는 라이팅 장치;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광판을 따라 안내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투시 어셈블리와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후방이 투시되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보다 더 불투명하게 형성되며, 전방으로 빛을 반사시키는 제 1 영역을 포함하는 가전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반사층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가전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반사층을 관통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는 가전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보다 더 높은 투명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가전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며, 상기 도어의 후방이 투시되는 제 1 패턴부와;
    상기 제 1 패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턴부는 상기 제 2 패턴부에 비해 투명도가 더 높게 형성되는 가전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에는 상기 제 1 영역보다 외측에 형성되며, 빛을 반사시키는 패턴부가 형성되는 가전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는 상기 패널 자체의 색상을 나타내는 색상층이 형성되고,
    상기 색상층은,
    상기 제 1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 1 색상부; 및
    상기 제 1 색상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제 2 색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색상부는 상기 제 2 색상부에 비해 더 채도가 높게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 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색상부와 제 2 색상부가 동일 색상으로 보이도록 하는 가전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바디는,
    상기 도어 바디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개구가 형성된 도어 라이너; 및
    상기 도어 바디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차폐하는 프론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는 투시 가능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시 어셈블리와 중첩되는 가전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후방이 보이도록 형성된 투시부; 및
    상기 투시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후방이 보이지 않도록 불투명한 색상을 가지는 베젤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전면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에 접하고,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후면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가전 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어셈블리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의 사이를 연결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마운팅 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 고정 장착되는 가전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브라켓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 개구의 내측에 수용되는 가전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은,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고정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둘레면과 접하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어셈블리의 후방에는 투시 라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투시 라이트가 온되면, 상기 도어의 후방이 밝아지면서 상기 패널 및 투시 어셈블리를 통해 가시화되고,
    상기 투시 라이트가 오프되면, 상기 도어의 후방이 어두워지면서 더 보이지 않게 되는 가전 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 라이트가 온되면 상기 라이팅 장치는 오프되는 가전 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도광판의 사이에는 빛의 투과되는 투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투과부재는,
    상기 패널과 도광판 사이를 나누며, 전면에 상기 패널이 장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광판의 양단과 결합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도광판의 좌우 양측단이 슬라이드 인 삽입되는 도광판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가전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브라켓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하면을 형성하는 로어 브라켓이 더 포함되며,
    상기 측면부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어퍼 브라켓과 로어 브라켓이 삽입 장착되는 브라켓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가전 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어퍼 브라켓과 로어 브라켓에 고정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백 커버에는 상기 투시 어셈블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어 상기 도광판이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커버 개구가 형성되는 가전 기기.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며, 상기 저장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메인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패널 및 투시 어셈블리를 통해 상기 개구부의 내측이 투시되는 가전 기기.
KR1020210157933A 2021-11-16 2021-11-16 가전 기기 KR20230071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933A KR20230071579A (ko) 2021-11-16 2021-11-16 가전 기기
PCT/KR2022/018075 WO2023090845A1 (ko) 2021-11-16 2022-11-16 가전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933A KR20230071579A (ko) 2021-11-16 2021-11-16 가전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579A true KR20230071579A (ko) 2023-05-23

Family

ID=8639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933A KR20230071579A (ko) 2021-11-16 2021-11-16 가전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71579A (ko)
WO (1) WO2023090845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1607A1 (de) 2005-05-10 2006-11-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Haushaltsgerät
KR102302389B1 (ko) * 2015-07-08 202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259753B1 (ko) 2017-03-24 202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35396A (ko) * 2018-05-28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IT202000002947A1 (it) * 2020-02-13 2021-08-13 Tgd Spa Apparecchiatura con display intelligente per l’esposizione e la distribuzione di prodotti in genere, in particolare un frigorifero.
CN113701440B (zh) * 2020-05-22 2022-10-2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变色门体,具有其的冰箱、控制方法、设备及介质
CN112797719A (zh) * 2021-03-01 2021-05-14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可动态变换冰箱门体颜色的控制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845A1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52030A1 (en) Refrigerator
US20230243580A1 (en) Home appliance
KR20230071579A (ko) 가전 기기
KR20230011155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71625A (ko) 가전 기기
US20230152029A1 (en) Home appliance
KR102663517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20230160568A1 (en) Home appliance
KR102596929B1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20230194155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AU2022205217B2 (en) Panel assembly for a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therewith
KR102640325B1 (ko) 냉장고,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KR20230071577A (ko) 가전 기기
KR20230041479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US20240068740A1 (en)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116592A (ko) 가전 기기
KR20240015557A (ko) 냉장고, 가전기기 및 패널들 간의 색상 보정 방법
KR20230034515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11153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11147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EP4119872A1 (en) Home appliance
KR20230011150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21456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011151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230117951A (ko) 가전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