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7234A - 알데히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데히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7234A
KR20230107234A KR1020237015621A KR20237015621A KR20230107234A KR 20230107234 A KR20230107234 A KR 20230107234A KR 1020237015621 A KR1020237015621 A KR 1020237015621A KR 20237015621 A KR20237015621 A KR 20237015621A KR 20230107234 A KR20230107234 A KR 20230107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dehyde
formula
composition
represented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5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츠야 우타무라
준야 니시우치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0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723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7/00Compounds having —CHO groups
    • C07C47/2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7/228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H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e.g. phenylacetaldehyd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6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 C07C45/67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 C07C45/68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45/7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reaction of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with the same or other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 C07C45/73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reaction of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with the same or other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combined with hydroge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6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 C07C45/6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hydrogenation of carbon-to-carbon double or trip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5/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 C07C45/6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 C07C45/67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 C07C45/68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 C07C45/72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reaction of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with the same or other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 C07C45/7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C = O groups bound only to carbon or hydrogen atoms; Preparation of chelates of such compound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C = O groups by isomerisation; by change of size of the carbon skeleton by increase in the number of carbon atoms by reaction of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with the same or other compounds containing >C = O groups combined with dehyd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7Aliphatic compounds
    • C11B9/0015Aliphat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1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질량비[(1)/(2)]가 96/4~99.97/0.03인, 알데히드 조성물.

Description

알데히드 조성물
알데히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이 알데히드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데히드인 3-(알킬페닐)-2-알킬프로판알류 중에는, 조합향료원료로서 유용한 것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에는, 은방울꽃풍(スズラン樣)의 향기를 갖는 3-(p-tert-부틸페닐)-2-메틸프로판알(p-tert-부틸-α-메틸하이드로신나믹알데히드, 릴리알), 멜론, 오이와 같은 느낌의 시클라멘, 은방울꽃풍의 향기를 갖는 3-(p-이소프로필페닐)-2-메틸프로판알(시클라멘알데히드), 달콤한 헬리오트로프, 아니스풍(養) 플로랄향을 갖는 3-(3,4-메틸렌디옥시페닐)-2-메틸프로판알(헬리오날) 등이 조합향료원료로서 유용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산화에 저항하는 안정성 및 프레그런스 테나시티(フレグランステナシティ, fragrance tenacity)의 관점에서 유리한 냄새특성을 갖는 화합물로서, 3-(5-제3부틸-2-메틸-1-페닐)프로판알 등의 신규 방향족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H7-330653호 공보
인도 모토이치 저, 「증보개정판 합성향료 화학과 상품지식」, 1996년, 213~215페이지, 228페이지, 화학공업일보사
특히 플로랄계의 향료 및 조합향료는, 프레그런스제품, 화장료, 세제, 위생용 제품, 잡화, 의약품,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제품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향기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으며, 새로운 향기를 갖는 향료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싱싱한(瑞瑞しい) 마린감이 있는 플로랄, 그린풍의 향기를 갖고, 향료로서 유용하며, 나아가 조합향료원료로서도 유용한 알데히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각종 알데히드 및 그들을 복수 포함하는 조성물을 합성, 배합하고, 그 향기를 평가한 결과, 특정의 알데히드 및 그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우수한 향기를 갖는 것, 및 조합향료의 원료로서 우수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질량비[(1)/(2)]가 96/4~99.97/0.03인, 알데히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1
[2] 상기 [1]에 기재된 알데히드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3]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화학식 2]
Figure pct00002
[4] 상기 [3]에 기재된 알데히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5]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디메틸벤즈알데히드와 프로피온알데히드를 알돌축합시키는 알돌축합공정, 및 수소첨가공정을 이 순으로 갖고,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얻는, 알데히드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pct00003
본 발명에 따르면, 싱싱한 마린감이 있는 플로랄, 그린풍의 향기를 갖고, 향료로서 유용하며, 나아가 조합향료원료로서도 유용한 알데히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XX~YY」의 기재는, 「XX 이상 YY 이하」를 의미한다.
[알데히드 조성물]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은,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질량비[(1)/(2)]가 96/4~99.97/0.03이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에 함유되는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는,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이다.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는, 마린감이 있는 플로랄의 향기를 갖는다.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도 향료로서 유용하며, 조합향료원료로서도 유용하다.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에 함유되는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는, 3-(2,3-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이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에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함유함으로써, 싱싱한 마린감이 현저히 향상된다.
<알데히드 조성물의 조성 등>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합계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6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7질량% 이상이다. 상한값에는 제한은 없고, 100질량% 이하이면 된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질량비[(1)/(2)]는, 96/4~99.97/0.03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7/3~99.9/0.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8/2~99.5/0.5이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질량비가 상기의 범위임으로써,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은, 특히 싱싱한 마린감을 갖는 플로랄, 그린풍의 향기가 된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96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7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99.97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5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4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은, 하기 식(5)로 표시되는 불포화알데히드를 함유해도 되는데, 가능한 한 소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이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이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하이며, 포함하지 않는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식(5)로 표시되는 불포화알데히드는,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펜알이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은, 식(5)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음으로써, 향기에 더욱 싱싱함을 갖는 것이 된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은, 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알코올을 함유해도 된다.
식(6)으로 표시되는 알코올은,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올이다.
[화학식 6]
Figure pct00006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에 상기 식(6)으로 표시되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경우,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식(6)으로 표시되는 알코올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3질량%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하이다.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은, 식(6)으로 표시되는 알코올을 소량 함유함으로써, 향기에 더욱 마린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상의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은, 싱싱한 마린감이 있는 플로랄, 그린풍의 향기를 가지므로 향료로서 유용하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조합향료(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도 유용하며, 각종 제품의 향기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상기 알데히드 조성물을 함유한다.
즉,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질량비[(1)/(2)]가 96/4~99.97/0.03인 알데히드 조성물을 함유한다.
상기 알데히드 조성물을 조합향료에 배합한 경우, 플로랄감이나 헬리오트로프풍의 달콤함이 증강된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나아가,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알코올을 함유해도 된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나아가,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식(5)로 표시되는 불포화알데히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알데히드 조성물의 함유량은, 향료 조성물의 종류, 목적으로 하는 향기의 종류 및 향기의 강함 등에 따라 적당히 조정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0.01~9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질량%이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데히드 조성물과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향료성분으로는, 이하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에테르 등의 계면활성제; 디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프탈레이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미리스테이트, 트리에틸시트레이트 등의 용매; 리모넨, α-피넨, β-피넨, 테르피넨, 세드렌, 롱기폴렌, 발렌센 등의 탄화수소류; 리날룰(リナロ-ル), 시트로넬롤, 게라니올, 넬롤, 테르피네올, 디하이드로미르세놀, 에틸리날룰, 파르네솔, 네롤리돌, 시스-3-헥센올, 세드롤, 멘톨, 보르네올, β-페닐에틸알코올, 벤질알코올, 페닐헥산올, 2,2,6-트리메틸시클로헥실-3-헥산올, 1-(2-t-부틸시클로헥실옥시)-2-부탄올, 4-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메탄올, 4-메틸-2-(2-메틸프로필)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올, 2-메틸-4-(2,2,3-트리메틸-3-시클로펜텐-1-일)-2-부텐-1-올, 2-에틸-4-(2,2,3-트리메틸-3-시클로펜텐-1-일)-2-부텐-1-올, 이소캠필시클로헥산올, 3,7-디메틸-7-메톡시옥탄-2-올 등의 알코올류; 유게놀, 티몰, 바닐린 등의 페놀류; 리날릴포르메이트, 시트로넬릴포르메이트, 게라닐포르메이트, n-헥실아세테이트,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 리날릴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아세테이트, 게라닐아세테이트, 넬릴아세테이트, 테르피닐아세테이트, 노필아세테이트(ノピルアセテ-ト), 보르닐아세테이트, 이소보르닐아세테이트, o-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p-t-부틸시클로헥실아세테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아세테이트, 벤질아세테이트, 스티랄릴아세테이트(スチラリルアセテ-ト), 신나밀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아세테이트, 3-펜틸테트라하이드로피란-4-일아세테이트, 시트로넬릴프로피오네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프로피오네이트, 알릴시클로헥실프로피오네이트, 에틸2-시클로헥실프로피오네이트, 벤질프로피오네이트, 시트로넬릴부틸레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n-부틸레이트, 트리시클로데세닐이소부틸레이트, 메틸2-노네노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벤질벤조에이트, 메틸신나메이트, 메틸살리실레이트, n-헥실살리실레이트, 시스-3-헥세닐살리실레이트, 게라닐티글레이트, 시스-3-헥세닐티글레이트, 메틸자스모네이트, 메틸디하이드로자스모네이트, 메틸-2,4-디하이드록시-3,6-디메틸벤조에이트, 에틸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메틸안트라닐레이트, 프루테이트(フルテ-ト) 등의 에스테르류; n-옥탄알, n-데칸알, n-도데칸알, 2-메틸운데칸알, 10-운데센알, 시트로넬랄, 시트랄,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 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벤즈알데히드, 4(3)-(4-하이드록시-4-메틸펜틸)-3-시클로헥센-1-카르보알데히드, 2-시클로헥실프로판알, p-t-부틸-α-메틸하이드로신나믹알데히드, p-이소프로필-α-메틸하이드로신나믹알데히드, p-에틸-α,α-디메틸하이드로신나믹알데히드, α-아밀신나믹알데히드, α-헥실신나믹알데히드, 피페로날, α-메틸-3,4-메틸렌디옥시하이드로신나믹알데히드(α-メチル-3,4-メチレンジオキシヒドロソンナミックアルデヒド) 등의 알데히드류; 메틸헵텐온, 4-메틸렌-3,5,6,6-테트라메틸-2-헵탄온, 아밀시클로펜탄온, 3-메틸-2-(시스-2-펜텐-1-일)-2-시클로펜텐-1-온, 메틸시클로펜테놀론, 로즈케톤, γ-메틸이오논, α-이오논, 카르본, 멘톤, 장뇌, 누트카톤, 벤질아세톤, 아니실아세톤, 메틸β-나프틸케톤, 2,5-디메틸-4-하이드록시-3(2H)-푸라논, 말톨, 7-아세틸-1,2,3,4,5,6,7,8-옥타하이드로-1,1,6,7-테트라메틸나프탈렌, 머스콘, 시베톤, 시클로펜타데칸온, 시클로헥사데센온 등의 케톤류; 아세트알데히드에틸페닐프로필아세탈, 시트랄디에틸아세탈, 페닐아세트알데히드글리세린아세탈, 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에틸렌글리콜케탈류의 아세탈류 및 케탈류; 아네톨, β-나프틸메틸에테르, β-나프틸에틸에테르, 리모넨옥사이드, 로즈옥사이드, 1,8-시네올, 라세미체 또는 광학활성의 도데카하이드로-3a,6,6,9a-테트라메틸나프토[2,1-b]푸란 등의 에테르류; 시트로넬릴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γ-노나락톤, γ-운데카락톤, σ-데카락톤, γ-자스모락톤, 쿠마린, 시클로펜타데카놀리드, 시클로헥사데카놀리드, 암브레톨리드, 에틸렌브라실레이트, 11-옥사헥사데카놀리드 등의 락톤류; 오렌지, 레몬, 베르가못, 만다린,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라벤더, 카모마일,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세이지, 바질, 로즈, 제라늄, 자스민, 일랑일랑, 아니스, 클로브, 진저, 육두구, 카다몬, 삼나무(セダ-), 노송나무(ヒノキ), 베티버, 파촐리, 라브다넘 등의 천연정유나 천연추출물 등의 다른 향료물질 등을 들 수 있다. 해당 다른 향료물질은, 단독 또는 복수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기부여를 위해, 및 배합대상물의 향기의 개량을 행하기 위해, 향장품, 건강위생재료, 잡화, 음료, 식품, 의약부외품, 의약품 등의 각종 제품의 향기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향수, 콜론류 등의 프레그런스 제품; 샴푸, 린스, 헤어토닉, 헤어크림, 무스, 젤, 포마드, 스프레이 등의 모발용 화장료; 화장수, 미용액, 크림, 유액, 팩, 파운데이션, 분, 립스틱, 메이크업화장품 등의 피부용 화장료; 식기세정용 세제, 의류세탁용 세제, 주거용 세제, 유리클리너, 유연제, 표백제, 방향제, 살충제 등의 위생용 제품; 치약, 마우스워시, 입욕제, 제한제, 퍼머제 등의 의약부외품; 종이제품 등의 잡화; 의약품; 식품 등의 향기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품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함유량은, 각 제품에 필요시되는 향기의 강도 등에 따라 적당히 조정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0.001~5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0질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향료 조성물은,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함유한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도 향료로서 유용하며,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의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9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질량%이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와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향료성분의 예로서, 상기의 것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이들 제품에 있어서의 해당 향료 조성물의 함유량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0.001~5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0질량%이다.
[알데히드의 제조방법, 및 알데히드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을 구성하는 알데히드는, 어떠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도 되는데,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디메틸벤즈알데히드와 프로피온알데히드를 알돌축합시키는 알돌축합공정, 및 수소첨가공정을 이 순으로 갖고,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얻는 제조방법에 의해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을 구성하는 알데히드로는, 적어도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인데, 상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이들을 제조하는 경우의 반응은, 다음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이하에 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은,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질량비[(1)/(2)]가 96/4~99.97/0.03으로 함유한다.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상기 식의 방법에 따라 각각 얻은 다음, 이들을 혼합하여, 상기의 질량비가 되도록 조정해도 되고, 상기의 원료나 중간체의 단계로 혼합하여, 상기의 질량비가 되도록 조정해도 된다.
특히 원료인 상기 식(3a)로 표시되는 3,4-디메틸벤즈알데히드의 시판품에, 상기 식(3b)로 표시되는 2,3-디메틸벤즈알데히드가 함유되는 경우에서, 또한, 이들을 원료로 한다면, 얻어지는 최종생성물의 질량비[(1)/(2)]가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되는 경우, 3,4-디메틸벤즈알데히드의 시판품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간편하여, 바람직하다.
<알돌축합공정>
본 발명의 알데히드의 제조방법은, 최초의 공정으로서, 식(3)으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와 프로피온알데히드를 알돌축합시키는 알돌축합공정을 갖는다.
본 공정의 알돌축합반응은, 염기성 화합물을 촉매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로서 사용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중탄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예시된다. 염기성 화합물의 양은, 원료인 디메틸벤즈알데히드 1당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5당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당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당량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3당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당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당량 이하이다.
프로피온알데히드의 첨가량은, 원료인 디메틸벤즈알데히드 1당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당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당량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당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당량 이하이다. 프로피온알데히드의 첨가는, 순차적 또는 연속적으로 시간을 들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적하에 의해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공정의 알돌축합반응은, 용매 중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로는, 수혼화성의 각종 유기용매가 예시되고,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tert-부탄올, 알릴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예시되고,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tert-부탄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공정의 알돌축합반응에 있어서의 반응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반응속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며, 그리고, 부반응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다.
또한, 반응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축합이 충분히 행해지는 시간이면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0분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시간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하이다.
반응의 정지는, 중화에 의해 행하면 되고, 예를 들어, 아세트산 등의 산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반응종료 후의 용액으로부터 상기 식(5)로 표시되는 중간체 및 상기 식(5b)로 표시되는 중간체(3-(디메틸페닐)-2-메틸프로펜알)를 단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액 및 추출조작, 증류정제를 적당히 조합하여 행하면 된다.
예를 들어, 반응종료 후의 용액에 저극성 또는 무극성의 유기용매를 첨가하고, 유상에 상기 중간체를 이상(移相)하여, 얻어진 유상을, 예를 들어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여과에 의해 얻어진 여액을 농축하고, 추가로, 증류정제함으로써 단리할 수 있다.
<수소첨가공정>
본 발명의 알데히드의 제조방법은, 알돌축합공정의 후에, 수소첨가공정을 갖고, 상기 식(4)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얻는다.
본 공정은, 알돌축합반응에서 얻어진, 상기 식(5)로 표시되는 중간체 및 상기 식(5b)로 표시되는 중간체에 수소첨가하여, 목적물인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얻는 공정이다. 수소첨가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수소첨가촉매를 이용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수소첨가촉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Ni, Pt, Pd, Ru 등의 금속을, 카본, 실리카, 알루미나, 규조토 등에 담지시킨 담지형 불균일계 수소첨가촉매; Ni, Co, Fe, Cr 등의 유기산염 또는 아세틸아세톤염 등의 천이금속염과 유기알루미늄 등의 환원제를 이용하는, 이른바 치글러형 수소첨가촉매; Ti, Ru, Rh, Zr 등의 유기금속 화합물 등의 이른바 유기금속착체 등의 균일계 수소첨가촉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공정에 있어서의 수소첨가반응의 온도는, 반응성 및 부반응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수소첨가반응에 사용되는 수소의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0.01MPa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MPa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MPaG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0MPa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MPa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MPaG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MPaG 이하이다.
반응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바람직하게는 3분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분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분간 이상이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시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시간 이하이다.
수소첨가반응은, 용매의 존재하에서 행해도 된다. 사용하는 용매로는, 수소첨가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펜탄, 헥산, 이소펜탄, 헵탄, 옥탄, 이소옥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시클로펜탄, 메틸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탄화수소용매가 예시된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반응종료 후의 용액으로부터, 목적물인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단리정제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을 적당히 선택하여 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증류정제 등이 예시되고, 이들을 적당히 조합하여 정제함으로써 순도가 높은 목적의 알데히드, 또는 알데히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양방을 함유하는 알데히드 조성물은, 싱싱한 마린감이 있는 플로랄, 그린풍의 향기를 갖고, 향료로서 유용하며, 나아가 조합향료(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도 유용하다. 또한,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도 향료로서 유용하며, 조합향료원료로서도 유용하다.
한편, 본 공정에 있어서의 수소첨가반응을 더욱 진행시킴으로써, 하기 반응식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기 식(6)으로 표시되는 알코올을 얻을 수도 있다. 얻어지는 알데히드 또는 조성물에, 식(6)으로 표시되는 알코올을 소량 함유시킴으로써, 향기에 더욱 마린감을 부여할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기타 제조방법>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함유하는 알데히드 조성물은, 상기의 제조방법 이외의 방법으로 얻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오르토자일렌과 2-메틸-3,3-디아세톡시프로펜의 반응에 의한 아세톡시에놀중간체를 합성 후, 가수분해에 의해 합성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이 방법에 따르면, 하기 반응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오르토자일렌과 2-메틸-3,3-디아세톡시프로펜의 반응에 있어서, 에놀중간체의 이성체의 생성에 기인하여,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도 부생하므로, 한번의 반응으로,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함유하는 알데히드 조성물을 얻을 수도 있다.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실시예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의 분석>
후술하는 각 공정에서의 조성, 생성물의 조성, 및 조성물의 조성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2010Plus, 주식회사시마즈제작소제)를 이용하여, n-데칸(시약그레이드, 후지필름와코순약주식회사제)을 내부표준물질로서 검량선을 작성함으로써, 구하였다.
한편, 캐필러리칼럼으로서, 애질런트·테크놀로지주식회사제의 HR-1701(내경 0.32mmφ, 길이 30m)을 이용하였다. 승온프로그램은, 100℃에서 5℃/분의 비율로 280℃까지 승온하고, 30분간 유지하였다.
<NMR스펙트럼분석>
장치: Varian NMR System PS600 600MHz
용매: 중클로로포름(CDCl3)
측정모드: 1H, 13C
내부표준물질: 테트라메틸실란(TMS)
<향기·향조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알데히드 조성물, 및 향료 조성물의 향기 및 향조는, 폭 8mm, 길이 15cm의 여지를 함침하고, 전문의 패널이 맡는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원료>
실시예 및 비교예에는, 이하의 원료를 사용하였다.
3,4-디메틸벤즈알데히드: 미쯔비시가스화학주식회사제
2,3-디메틸벤즈알데히드: 도쿄화성공업주식회사제
프로피온알데히드: 후지필름와코순약주식회사제
메탄올: 후지필름와코순약주식회사제 특급시약
헵탄: 후지필름와코순약주식회사제 특급시약
50% 수산화나트륨: 후지필름와코순약주식회사제
아세트산: 후지필름와코순약주식회사제
탄산나트륨: 후지필름와코순약주식회사제
10% 팔라듐-카본촉매: 엔·이·켐·캣제, 함수품, PE타입
n-데칸: 후지필름와코순약주식회사제
<알데히드의 제조>
실시예 1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식(1)))
(알돌축합공정)
교반장치, 온도계, 적하깔때기를 구비한 내용적 50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메탄올(100.0g), 50% 수산화나트륨수용액(14.3g), 3,4-디메틸벤즈알데히드(순도 99.95질량%, 2,3-디메틸벤즈알데히드함유량 0.01질량%, 100.0g)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15℃로 냉각한 후, 프로피온알데히드(43.6g)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종료 후, 15℃에서 1시간 유지하고, 반응을 완료시켰다. 아세트산(10.8g)을 첨가하여 중화한 후, 물, 헵탄을 첨가하여 분액으로 수상을 분리하였다. 이어서, 헵탄을 유거하여, 조(粗)중간체용액을 얻었다. 이 조중간체용액을 단증류(單蒸留)하고(116~120℃/2torr), 중간체로서,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펜알(식(5))을 함유하는 중간체용액을 얻었다.
(수소첨가공정)
알돌축합공정에서 얻어진 중간체용액(64.0g), 5% 탄산나트륨수용액(30.0g), 10% 팔라듐-카본촉매(엔·이·켐·캣제, 함수품, PE타입, 1.0g)를, 자력유도식 교반기를 구비하고, 재킷에 의해 내부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200mL의 스테인리스제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75℃, 수소압 0.4MPa로 6시간 교반하여 수소첨가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헵탄을 첨가하여 분액으로 수상을 분리하였다. 이어서, 헵탄을 유거하여, 조(粗)조성물을 얻었다. 조조성물을 이론단수 20단의 정류탑을 사용하여 10torr로 정류하고, 125~126℃의 유분(留分)으로서,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식(1))(21.0g, 3-(2,3-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식(2))을 0.01질량% 포함한다)을 얻었다. NMR스펙트럼측정의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얻어진 알데히드의 향기·향조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식(1))의 NMR스펙트럼측정의 결과〕
1H NMR(600MHz,CDCl3)δ 1.08(3H,d,J=7.2Hz),2.23(3H,s),2.24(3H,s),2.54(1H,dd,J=13.8Hz,8.4Hz),2.63-2.67(1H,m),3.01(1H,dd,J=13.8Hz,6.0Hz),6.90(1H,dd,J=7.5Hz,1.5Hz),6.94(1H,s),7.05(1H,d,J=7.8),9.71(1H,s)
13C NMR(150MHz,CDCl3)δ 13.3,19.3,19.8,36.3,48.1,126.3,129.7,130.3,134.6,136.1,136.7,204.7
제조예 1 (3-(2,3-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식(2)))
3,4-디메틸벤즈알데히드를 대신하여, 2,3-디메틸벤즈알데히드(순도 99.0%, 25.0g)를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3-(2,3-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식(2))(9.0g,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식(1))을 0.08질량% 포함한다)을 취득하였다. NMR스펙트럼측정의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얻어진 알데히드향기·향조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3-(2,3-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식(2))의 NMR스펙트럼측정의 결과〕
1H NMR(600MHz,CDCl3)δ1.10(3H,d,J=7.2Hz),2.21(3H,s),2.28(3H,s),2.56-2.65(2H,m),3.14(1H,dd,J=13.8Hz,6.0Hz),6.97(1H,dd,J=6.3Hz,2.1Hz),7.02-7.05(2H,m),9.72(1H,s)
13C NMR(150MHz,CDCl3)δ13.5,15.3,20.8,34.6,47.1,125.4,127.9,128.3,134.6,136.9,137.2,204.6
제조예 2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펜알(식(5)))
(알돌축합공정)
교반장치, 온도계, 적하깔때기를 구비한 내용적 50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메탄올(100.0g), 50% 수산화나트륨수용액(14.3g), 3,4-디메틸벤즈알데히드(순도 99.2질량%, 2,3-디메틸벤즈알데히드함유량 0.69질량%, 100.0g)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15℃로 냉각한 후, 프로피온알데히드(43.6g)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종료 후, 15℃에서 1시간 유지하고, 반응을 완료시켰다. 아세트산(10.8g)을 첨가하여 중화한 후, 물, 헵탄을 첨가하여 분액으로 수상을 분리하였다. 이어서, 헵탄을 유거하여, 조중간체용액을 얻었다. 이 조중간체용액을 단증류하고(116~120℃/2torr), 추가로 이론단수 20단의 정류탑을 사용하여 정류하여,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펜알(식(5))(10.0g, 순도 98.08질량%)을 얻었다.
<알데히드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
(알돌축합공정)
교반장치, 온도계, 적하깔때기를 구비한 내용적 500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메탄올(100.0g), 50% 수산화나트륨수용액(14.3g), 3,4-디메틸벤즈알데히드(순도 99.2질량%, 2,3-디메틸벤즈알데히드함유량 0.69질량%, 100.0g)를 투입하고, 교반하면서 15℃로 냉각한 후, 프로피온알데히드(43.6g)를 1시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종료 후, 15℃에서 1시간 유지하고, 반응을 완료시켰다. 아세트산(10.8g)을 첨가하여 중화한 후, 물, 헵탄을 첨가하여 분액으로 수상을 분리하였다. 이어서, 헵탄을 유거하여, 조중간체용액을 얻었다. 이 조중간체용액을 단증류하고(116~120℃/2torr), 중간체로서,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펜알(식(5))을 92.2%, 3-(2,3-디메틸페닐)-2-메틸프로펜알(식(5b))을 0.7% 함유하는 중간체용액을 얻었다.
(수소첨가공정)
알돌축합공정에서 얻어진 중간체용액(64.0g), 5% 탄산나트륨수용액(30.0g), 10% 팔라듐-카본촉매(엔·이·켐·캣제, 함수품, PE타입, 1.0g)를, 자력유도식 교반기를 구비하고, 재킷에 의해 내부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200mL의 스테인리스제 오토클레이브에 투입하고, 75℃, 수소압 0.4MPa로 6시간 교반하여 수소첨가반응을 행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헵탄을 첨가하여 분액으로 수상을 분리하였다. 이어서, 헵탄을 유거하여, 조조성물(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 순도 91.0%)을 얻었다. 조조성물을 이론단수 20단의 정류탑을 사용하여 10torr로 정류하고, 125~126℃의 유분으로서, 3-(3,4-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식(1)) 및 3-(2,3-디메틸페닐)-2-메틸프로판알(식(2))을 포함하는 알데히드 조성물(20.0g)을 얻었다. 얻어진 알데히드 조성물의 조성 및 향기·향조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4 및 비교예 1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알데히드 조성물에,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알데히드,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알데히드를 첨가하고, 각 성분이 표 1에 나타낸 비율이 되도록 하여, 각 알데히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알데히드 조성물의 조성 및 향기·향조평가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15
실시예 5 및 비교예 2(플로랄프루티풍의 향료 조성물(세제용))
표 2에 나타내는 조합향료베이스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알데히드 조성물, 및 릴리알(Lilial, 3-(p-tert-부틸페닐)-2-메틸프로판알)을 각각 3.5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향기·향조평가를 행하였다.
[표 2]
Figure pct00016
비교예 2의 향료 조성물에 비해, 실시예 5의 향료 조성물은, Heliotrope풍의 달콤함과 Floral감이 업되어 있었다.
실시예 6 및 비교예 3(프루티·플로랄풍의 향료 조성물(바디케어용))
표 3에 나타내는 조합향료베이스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알데히드 조성물, 및 헬리오날(Helional, 3-(3,4-메틸렌디옥시페닐)-2-메틸프로판알)을 각각 2.5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향기·향조평가를 행하였다.
[표 3]
Figure pct00017
비교예 3의 향료 조성물에 비해, 실시예 6의 향료 조성물은, 역가가 강하고, Floral감이 증가하고, 볼륨이 나오고 있었다.
실시예 7 및 비교예 4(플로랄·그린풍의 향료 조성물(바디케어용))
표 4에 나타내는 조합향료베이스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알데히드 조성물, 및 보저널(Bourgeonal, 3-(4-tert-부틸페닐)프로판알)을 각각 3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향기·향조평가를 행하였다.
[표 4]
Figure pct00018
비교예 4의 향료 조성물에 비해, 실시예 7의 향료 조성물은, 청결감이 있는 White Floral감이 증가하고, 향기의 폭도 나오고 있었다.
실시예 8 및 비교예 5(플로랄·그린풍의 향료 조성물(패브릭케어용))
표 5에 나타내는 조합향료베이스에 대하여,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알데히드 조성물, 및 보저널(Bourgeonal, 3-(4-tert-부틸페닐)프로판알)을 각각 12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향기·향조평가를 행하였다.
[표 5]
Figure pct00019
비교예 5의 향료 조성물은 Aldehyde감이 강한 것에 반해, 실시예 8의 향료 조성물은, White Floral감이 증가하고, 향기가 합쳐져 매우 세련된 향기였다.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알데히드 조성물은, 싱싱한 마린감이 있는 플로랄, 그린풍의 향기를 가지므로, 향료로서 유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조합향료에 배합한 경우, 플로랄감이나 헬리오트로프풍의 달콤함이 증강되고, 조합향료의 원료로서도 유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도, 마린감이 있는 플로랄의 향기를 가지므로, 향료로서 유용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하기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및 식(2)로 표시되는 알데히드의 질량비[(1)/(2)]가 96/4~99.97/0.03인, 알데히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20
  2. 제1항에 기재된 알데히드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3.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알데히드.
    [화학식 2]
    Figure pct00021
  4. 제3항에 기재된 알데히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5.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디메틸벤즈알데히드와 프로피온알데히드를 알돌축합시키는 알돌축합공정, 및 수소첨가공정을 이 순으로 갖고,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알데히드를 얻는, 알데히드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pct00022
KR1020237015621A 2020-11-12 2021-11-02 알데히드 조성물 KR202301072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88740 2020-11-12
JP2020188740 2020-11-12
PCT/JP2021/040326 WO2022102465A1 (ja) 2020-11-12 2021-11-02 アルデヒド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7234A true KR20230107234A (ko) 2023-07-14

Family

ID=8160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621A KR20230107234A (ko) 2020-11-12 2021-11-02 알데히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99284A1 (ko)
EP (1) EP4245748A4 (ko)
JP (1) JPWO2022102465A1 (ko)
KR (1) KR20230107234A (ko)
CN (1) CN116457328A (ko)
MX (1) MX2023005382A (ko)
WO (1) WO202210246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653A (ja) 1994-05-31 1995-12-19 Firmenich Sa 芳香族化合物、匂い特性を付与し、改善し、増大させるかまたは変性する方法、香料組成物および香料添加製品、該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該化合物の出発化合物並びに該出発化合物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3584A1 (de) * 1987-02-06 1988-08-18 Consortium Elektrochem Ind Aldehyde und alkohole mit 3-methyl- oder 3,5-dimethylphenylgruppen,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duftstoffe
GB201308236D0 (en) * 2013-05-08 2013-06-12 Givaudan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653A (ja) 1994-05-31 1995-12-19 Firmenich Sa 芳香族化合物、匂い特性を付与し、改善し、増大させるかまたは変性する方法、香料組成物および香料添加製品、該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該化合物の出発化合物並びに該出発化合物の製造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도 모토이치 저, 「증보개정판 합성향료 화학과 상품지식」, 1996년, 213~215페이지, 228페이지, 화학공업일보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57328A (zh) 2023-07-18
EP4245748A1 (en) 2023-09-20
US20230399284A1 (en) 2023-12-14
MX2023005382A (es) 2023-05-23
JPWO2022102465A1 (ko) 2022-05-19
WO2022102465A1 (ja) 2022-05-19
EP4245748A4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1341B (zh) 新穎之羧酸酯化合物及其製造方法與香料組成物
JP7034441B2 (ja) 香料組成物
JP7380558B2 (ja) α-ヒドロキシイソ酪酸エステル化合物、香料組成物、及び香料としての使用
JP7400800B2 (ja) α位にノルマルブチリルオキシを有するイソ酪酸エステル化合物、香料組成物、及び香料としての使用
JP7310814B2 (ja) α位にホルミルオキシ基を有するイソ酪酸エステル化合物、香料組成物、及び香料としての使用
EP4046985B1 (en) Aldehyde compoun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fragrance composition
US7786331B2 (en) Fragrance composition
TWI579267B (zh) Novel carboxylic acid ester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perfumery compositions thereof
KR20230107234A (ko) 알데히드 조성물
CN114846126A (zh) α位具有碳酸酯基的异丁酸酯化合物及香料组合物
TWI813700B (zh) 羧酸酯化合物、其製造方法、化粧料組成物、食品添加物組成物、清潔用組成物、以及香料組成物
JP2004506030A (ja) 新規な芳香化合物
WO2023053860A1 (ja) アルデヒド組成物
RU2777517C1 (ru) Соединение эфира 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композиция и арома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WO2023243499A1 (ja) アルデヒド組成物
EP2279235B1 (en) Fragrance
KR20230091875A (ko) 지환식 알코올, 지환식 알코올 조성물, 및 향료 조성물
KR20230165314A (ko) 폴리사이클릭 착취제들 (odorants) 의 조제 프로세스
KR20240021788A (ko) 지환식 알코올, 지환식 알코올 조성물, 및 향료 조성물
TW202033488A (zh) 羧酸酯化合物、其製造方法、以及香料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