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838A -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838A
KR20230106838A KR1020220002474A KR20220002474A KR20230106838A KR 20230106838 A KR20230106838 A KR 20230106838A KR 1020220002474 A KR1020220002474 A KR 1020220002474A KR 20220002474 A KR20220002474 A KR 20220002474A KR 20230106838 A KR20230106838 A KR 20230106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public transportation
user termina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이진영
김성일
황규산
Original Assignee
후엠아이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엠아이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후엠아이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6838A/ko
Publication of KR2023010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2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mass transport vehicles, e.g. buses, trains or aircraft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정보를 전송 받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대중 교통수단을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그룹화 하여 서로간의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하는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Public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동일한 대중 교통 수단을 탑승한 사용자들을 인식하여 커뮤티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수단은 여러 사람이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이동 수단으로, 일반적으로 좌석의 예약이 가능한 비행기, 기차 및 선박과 좌석의 예약이 되지 않는 버스 및 지하철로 분류할 수 있다. 좌석의 예약이 되지 않는 단거리 이동을 위한 버스 및 지하철은 도시의 확장과 산업의 발전에 맞추어 빠르게 발전해 왔다. 그러나, 대중교통수단의 이동 속도 또는 한 번에 이동 가능한 인구수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발전되어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모두 좌석에 앉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지하철의 경우 지하 터널을 이동하는 특성상 풍경의 변화가 없으므로 좌석에 앉지 못할 경우에는 좌석에 앉았을 때 보다 더 지루한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4409호 공개일자 2013년07월25일
본 발명은 동일한 대중 교통 수단을 탑승한 사용자들을 인식하여 커뮤티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정보를 전송 받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대중 교통수단을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그룹화 하여 서로간의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GPS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측정 장치로부터 가속도 정보를 측정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전산 장치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위치 DB;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가속도 정보 D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착석하고 있는 좌석 정보 및 사용자의 하차 예정 정보를 입력받는 자리확인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전산 장치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좌석 정보 및 상기 하차 예정 정보를 저장하는 좌석 정보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정부 수집부는, 상기 단말 위치 DB 및 상기 가속도 정보 DB를 참조하여 동일한 위치 정보 및 동일한 가속도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의 목록을 상기 커뮤니케이션 제공부에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뮤니케이션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대중 교통수단을 탑승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문자기반 대화가 이루어지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동일한 차량을 탑승한 사용자들을 그룹화하므로 맞춤형태의 부가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와 커뮤니케이션 제공부의 관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리확인 인터페이스를 모식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인터페이스를 모식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구현 가능한 부가 서비스를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와 커뮤니케이션 제공부의 관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리확인 인터페이스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인터페이스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구현 가능한 부가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0)은 도시 철도(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 수단에 탑승한 사용자들이 각자 소지한 사용자 단말(M-1, M-2, .. M -n)을 통해 서로 의사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같은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들에게 그룹 대화방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0)은 사용자 정보 수집부(100) 및 커뮤니케이션 제공부(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수집부(100)는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대중 교통 수단의 정보를 전송받는다.
커뮤니케이션 제공부(200)는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대중 교통수단을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그룹화 하여 서로간의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M-1, M-2)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정보 통신 기기이다.
식별부호에서 숫자는 다수의 사용자를 구별한 것 뿐으로서 하드웨어적인 차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개별 사용자 단말을 구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을 식별부호 M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대중 교통 이용자를 '사용자'로 호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대중 교통수단은 버스 또는 도시 철도(지하철)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중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0)이 도시 철도에 적용된 실시 형태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정보 수집부(100)는 사용자 단말(M)에 구비된 GPS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및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측정 장치로부터 가속도 정보를 측정받아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정보 수집부(100)는 단말위치 DB(110), 가속도 정보 DB(120), 좌석정보 DB(130) 및 자리확인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한다.
단말위치 DB(110), 가속도 정보 DB(120) 및 좌석정보 DB(130)는 사용자 단말(M)과는 무선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별도의 전산 장치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데이터 센터 등과 같은 전산 시설에 위치한 서비스 서버로 이해하면 된다. 실시 형태 및 실시 규모에 따라 단말위치 DB(110), 가속도 정보 DB(120) 및 좌석정보 DB(130)는 하나의 하드웨어장치에서 논리적으로 구분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다수의 하드웨어 장치에 분산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과 같은 가상화된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자리확인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 단말(M)에서 구현된다. 자리확인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 단말(M)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단말위치 DB(110)는 사용자 단말(M)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M)에서 본 발명의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0)의 사용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M)에 구비된 GPS와 같은 위치 정보 확인 장치에서 현재 사용자 단말(M)의 위치 정보를 단말위치 DB(11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위치 정보는 인근 기지국과의 연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하철과 같이 GPS 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인근 기지국과의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어느 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속도 정보 DB(120)는 사용자 단말(M)의 가속도 정보를 저장한다.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M)에 구비된 중력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등과 같은 가속도 측정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M)에 인가되는 가속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가속도 정보 DB(120)에 송신한다.
같은 열차에 탑승한 사용자는 열차의 출발 및 도착에 따라 모두 같은 가속도를 인가받는다. 따라서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면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0)을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들 중에서 동일한 열차를 탑승한 사용자를 쉽게 구별하여 그룹화할 수 있다.
좌석정보 DB(130)는 사용자의 좌석을 공유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M)을 통해 좌석 정보 및 하차 예정 정보를 전송하면, 좌석 정보 DB(130)는 좌석 정보 및 하차 예정 정보를 저장하고 좌석 정보 제공부(미도시)에 제공하여 사용자간의 좌석의 공유가 이루어지게 한다.
자리확인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좌석 정보 및 하차 예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리확인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리확인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로부터 좌석 정보 및 하차 예정 정보를 입력받는다.
좌석 정보는 사용자가 현재 착석하고 있는 좌석의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현재 탑승하고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정보를 포함한다. 좌석 정보는 도시 철도 노선 번호, 전동차 번호, 탑승칸 번호 및 좌석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차 예정 정보는 좌석에 착석하고 있는 사용자가 하차하는 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이다. 사용자가 하차하면 해당 좌석은 빈 자리가 되므로, 하차 예정 정보는 좌석이 비는 위치 정보라고 하면 이해가 편할 것이다.
자리확인 인터페이스(140)는 기본적으로 3개의 화면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착석자 화면(140-1), 제2 착석자 화면(140-2) 및 제3 착석자 화면(140-3)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가로 화면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도시일 뿐이며 자리확인 인터페이스(140)는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것이므로 세로 방향의 화면에 맞추어 표시되는 것이 사용 및 조작에 유리하다.
제1 착석자 화면(140-1)은 도 3의 (A)로 도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탑승한 대중 교통수단의 정보를 입력 받는 화면이다. 본 실시 형태는 대중교통 수단이 도시 철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착석자 화면(140-1)은 사용자가 탑승한 열차 칸을 입력받는 화면이다.
제1 착석자 화면(140-1)은 사용자가 열차에 탑승하기 전 대기상태에서 호출될 수 있다. 제1 착석자 화면(140-1)은 열차의 탑승칸을 확인하는 부분(C, D)를 포함한다.
열차의 탑승칸을 확인하는 부분(C, D)은 승강장의 방향(열차의 진행 방향)을 선택하는 부분(C)과 탑승칸을 선택하는 부분(D)을 포함한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제1 착석자 화면(140-1)은 사용자가 위한 역 정보를 확인하는 부분(A), 열차 정보를 확인하는 부분(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역 정보를 확인하는 부분(A)은 사용자 단말(M)의 위치 확인 장치(GPS 장치) 및 인근 기지국과의 연결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입력 조작 없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열차 정보를 확인하는 부분(B)은 대중 교통수단의 운행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제공받아 사용자의 입력 조작 없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의 (A)에서는 열차의 탑승칸을 확인하는 부분(C, D), 사용자가 위한 역 정보를 확인하는 부분(A), 열차 정보를 확인하는 부분(B)이 한 화면에 표시된 예이나 이는 실시 모식적으로 표시한 것 뿐이므로 한손 조작의 용이성 및 미적 측면에 따라 화면 구성은 변형실시 될수 있다.
제1 착석자 화면(140-1)에서 사용자로부터 승강장의 방향(열차의 진행 방향)을 선택하는 부분(C)의 조작을 통해 승강장의 방향 및 탑승칸을 선택하는 부분(D)의 조작을 통해 열차의 탑승한 칸을 선택받으면 제2 착석자 화면(140-2)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2 착석자 화면(140-2)은 사용자가 탑승한 대중 교통수단의 전체 좌석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좌석을 선택받는 방식으로 착석한 좌석 정보 입력받는다. 도 3의 (B)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착석자 화면(140-2)이다.
제2 착석자 화면(140-2)은 열차의 좌석 배치도(E)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열차의 좌석 배치도(E)에서 자신이 착석한 좌석의 위치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착석한 좌석의 위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식별부호 E'으로 도시하였다.
제2 착석자 화면(140-2)에는 열차의 진행 방향을 알려주는 표시가 포함될 수 있다.
제3 착석자 화면(140-3)은 사용자가 탑승한 대중 교통수단의 운행 노선도(F)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하차 예정 역(F')을 선택받는 방식으로 상기 하차 예정 정보를 입력받는 화면이다.
도 3의 (C)는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착석자 화면(140-3)이다. 운행 노선도(F)가 화면 전체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위한 모식적인 형태로서, 스마트폰의 세로 화면으로 표시되는 형태일 겨우 시인성 및 디자인을 고려하여 노선도는 좌우 슬라이드 방식으로 표시될 수있다.
자리확인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입력된 좌석 정보 및 하차 예정 정보는 사용자 단말(M)의 통신 수단을 통해 좌석 정보 DB(130)으로 전송된다.
좌석 정보 DB(130)에 저장된 정보는 커뮤니케이션 제공부(200)에서 활용된다.
사용자 정보 수집부(100)는 단말 위치 DB(110), 가속도 정보 DB(120) 및 좌석 정보 DB(130)를 참조하여 동일한 위치 정보 및 동일한 가속도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의 목록을 커뮤니케이션 제공부(200)에 제공한다.
즉, 사용자 정보 수집부(100)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들을 그룹화 한다.
커뮤니케이션 제공부(200)는 사용자 단말(M)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대중 교통수단을 탑승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문자기반 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팅 인터페이스(240)를 포함한다.
채팅 인터페이스(240)는 사용자 단말(M)에서 구현된다. 자리확인 인터페이스(140) 및 채팅 인터페이스(240)는 별도의 두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실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채팅 인터페이스(240)는 대화창(241), 탑승자 목록(242), 문자 입력창(243) 및 부가서비스 호출 버튼(244)을 포함한다.
도시에 따르면 채팅 인터페이스(240)는 기존의 문자기만 메신저 서비스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나 이는 이해를 돕기위한 하나의 실시형태일 뿐으로서, 디자인 및 각 메뉴의 배치 형태는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대화창(241)은 작성한 문자가 표시되는 화면이다. 사용자가 문자 입력창(243)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장를 작성하여 대화창(241)을 통해 타 사용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다.
탑승자 목록(242)은 같은 열차에 탑승한 사용자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식별부호 242a로 표시한 '사용자1', '사용자2', '사용자3', '사용자4'는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0)에 접속한 사용자의 ID 또는 대화명을 의미한다.
식별부호 242b로 표시된 부분은 해당 사용자의 하차 예정 역까지 남은 거리(남은 역수)를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탑승자 목록(242)은 사용자의 승차 및 하차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 2'는 1 정거장이 지나면 하차하므로, '사용자1', '사용자3', '사용자4'와는 동일한 가속도 정보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탑승자 목록(242)에서 제외된다.
부가서비스 호출 버튼(244)은 본 발명의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1000)의 수익 모델과 연관을 가지는 부가 서비스들을 호출한다. 도 4에서는 부가서비스 호출 버튼(244)은 문자 입력창(243)의 일부에 버튼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실시 가능한 형태 가운데 하나일 뿐으로서 부가서비스 호출 버튼(244)의 위치는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뮤니케이션 제공부(200)를 통해 서비스 가능한 부가 기능은 좌석공유, 아이템 구입, 중고거래, 게임, 홍보/마케팅, 연락처공유 등이 있다.
좌석공유는 좌석 정보 DB(130)의 정보를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이템 구입은 각 부가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사용되는 캐쉬/아이템을 결제하여 구입하는 기능이다. 중고거래는 중고 물품의 대면 직거래를 주선하는 기능이다. 게임은 사용자 참여 방식의 게임등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시 외에도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100 : 사용자 정보 수집부
200 : 커뮤니케이션 제공부
M : 사용자 단말

Claims (6)

  1.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정보를 전송 받는 사용자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사용자가 탑승하고 있는 대중 교통수단의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한 대중 교통수단을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그룹화 하여 서로간의 의사 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제공부를 포함하는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GPS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측정 장치로부터 가속도 정보를 측정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전산 장치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단말 위치 DB;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가속도 정보를 저장하는 가속도 정보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착석하고 있는 좌석 정보 및 사용자의 하차 예정 정보를 입력받는 자리확인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전산 장치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좌석 정보 및 상기 하차 예정 정보를 저장하는 좌석 정보 D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부 수집부는,
    상기 단말 위치 DB 및 상기 가속도 정보 DB를 참조하여 동일한 위치 정보 및 동일한 가속도 정보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의 목록을 상기 커뮤니케이션 제공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뮤니케이션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동일한 대중 교통수단을 탑승하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 간의 문자기반 대화가 이루어지는 채팅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KR1020220002474A 2022-01-07 2022-01-07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KR20230106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474A KR20230106838A (ko) 2022-01-07 2022-01-07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474A KR20230106838A (ko) 2022-01-07 2022-01-07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838A true KR20230106838A (ko) 2023-07-14

Family

ID=87155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474A KR20230106838A (ko) 2022-01-07 2022-01-07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68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4409A (ko) 2012-01-17 2013-07-25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비지정 좌석제 운송수단의 좌석정보 공유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4409A (ko) 2012-01-17 2013-07-25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비지정 좌석제 운송수단의 좌석정보 공유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4733B2 (ja) 対話型車内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方法
JP5872345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hibayama et al. New mobility services: Taxonomy, innovation and the role of ICTs
EP0560948A4 (en) METHOD FOR PERSONALLY ADDRESSED INFORMATION, INFORMATION, DIRECTION AND FASTER IMPLEMENTATION OF FORMALITIES IN THE AIRPORT.
KR20180118999A (ko) 대중교통 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길안내 시스템
CN105989733A (zh) 公交实时信息同步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7138019A1 (en) City transit solution
JP2020515808A (ja) スマートフォン統合測位を活用した地下鉄駅の到着通知及び駅舎情報案内システム
JP2010231549A (ja) 乗客表示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携帯情報端末
JP409767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経路探索方法並びに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装置
KR102052602B1 (ko)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좌석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8177B1 (ko) 경로선택방법을 이용한 통합경로정보제공방법
JP2003101455A (ja) 鉄道利用者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20230106838A (ko) 대중 교통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Zografos et al. Integrated passenger information system for multimodal trip planning
JP4761581B2 (ja) 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配信装置および地図表示装置ならびに地図表示方法
KR102484664B1 (ko) 대중교통 내릴 곳 및 빈자리 알림 시스템
JP2021018623A (ja) 配車支援装置および配車支援システム
JP202203311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40000453A (ko) 인적네트워크를 이용한 분실물안심시스템 및 분실물안심서비스제공방법
JP2021018631A (ja) 情報処理装置
JP3977309B2 (ja)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情報検索プログラム
JP4454032B2 (ja) 地図表示システム、地図配信装置および地図表示装置ならびに地図表示方法
JP2007022497A (ja) 車両乗車情報提供システム
CN113688308B (zh) 一种信息推送方法、装置、存储介质和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