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6836A - 가구 포장 장치 - Google Patents

가구 포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6836A
KR20230106836A KR1020220002467A KR20220002467A KR20230106836A KR 20230106836 A KR20230106836 A KR 20230106836A KR 1020220002467 A KR1020220002467 A KR 1020220002467A KR 20220002467 A KR20220002467 A KR 20220002467A KR 20230106836 A KR20230106836 A KR 20230106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frame
band
lif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337B1 (ko
Inventor
권명근
Original Assignee
(주)미래세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세븐텍 filed Critical (주)미래세븐텍
Priority to KR102022000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337B1/ko
Publication of KR20230106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6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외면에 골판지 등의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를 리프트수단을 통해 승강시키면서 밴딩수단을 통해 가구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를 밴딩작업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가구 포장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가구 포장 장치{WRAPPING AND BENDING DEVICE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 포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면에 골판지 등의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를 승강시키면서 가구의 상단부, 중앙부 및 하단부를 밴드를 통해 밴딩하여 결속되게 구성됨으로써 가구를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게 구성된 가구 포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외면에 골판지등과 같은 완충재를 감싼 상태로 포장한 상태에서 밴드를 이용하여 묶어 줌으로써, 포장된 상태를 유지하고 포장의 풀림을 방지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러한 가구의 포장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밴딩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그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포장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구 중 장롱, 서랍장, 장식장, 책장 등 상하 높이가 높은 가구는 포장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밴딩 작업(특히, 가구의 상단부 밴딩작업)이 매우 어려웠으며, 따라서 높이가 높은 가구는 가구를 눕힌 상태에서 포장 작업을 할 수 밖에 없어 그 포장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면에 골판지 등의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를 리프트수단을 통해 승강시키면서 밴딩수단을 통해 가구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를 밴딩작업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가구 포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프레임 및 바닥프레임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단부 양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골판지 등의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가 안착되게 구성되되, 양단이 상기 가이드봉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하게 구성되는 승강판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이 가이드봉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리프트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가구 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의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밴드가 감싸지게 밴딩하여 가구를 포장하는 밴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포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판은 후단부 양측에 설치대가 설치되고 전단부가 바닥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면에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착부로 가구의 바닥이 슬라이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투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대에는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져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블럭이 결합되어, 승강판이 가이드봉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중앙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분에 일체로 결합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여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와이어 권취드럼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단부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드럼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설치대의 중앙부분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에 설치되는 승강롤러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중앙부분에 상기 승강롤러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방향전환링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단에 상기 방향전환링부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고정링부와, 상기 와이어 권취드럼에 권치되되, 일측 단부는 상기 방향전환롤러를 경유하고 상기 승강롤러를 경유하며 상기 방향전환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링부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리프트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밴딩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측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의 상측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승강판에 안착된 가구가 상승하면서 통과되는 사각 형태의 가구투입공간이 형성되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 형태로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을 통해 밴드가 배출되면서 가구를 결속하게 구성되는 밴드인출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 후단부에 설치되고 밴드인출프레임의 후측으로 설치되되, 일측으로 밴드를 공급하는 밴드공급롤이 설치되고 상기 밴드공급롤에서 공급되는 밴드를 밴드인출프레임 측으로 이송하여 공급하고 커팅하는 밴드공급부와, 상기 밴드인출프레임을 통해 가구의 외면을 결속하여 중첩된 밴드를 열 유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열융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후측 상하방향으로 설치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하단부, 중앙부, 상단부에 상기 승강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위치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는 위치센서에 상승하는 승강판이 감지되면 리프트수단의 동작을 멈춘 후, 밴딩수단을 작동시켜 가구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의 외면에 순차적으로 밴드가 감싸지게 밴딩하여 가구를 포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는 외면에 골판지 등의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를 승강판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리프트수단을 통해 가구를 승강시키면서 밴딩수단을 통해 가구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를 밴딩작업하여 가구 외면을 밴드를 통해 결속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포장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포장(밴드를 통한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의 후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에서 밴딩수단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는 가구 포장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밴딩 작업을 수작업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외면에 골판지 등의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를 리프트수단을 통해 승강시키면서 밴딩수단을 통해 가구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를 밴딩작업하여 포장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 데,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는 프레임(100), 가이드봉(200), 승강판(300), 리프트수단(400) 및 밴딩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0)은 후술하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되고 이 프레임(100)의 상하방향을 따라 가구(1)가 상하방향 이동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바닥프레임(110) 및 바닥프레임(110)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수직프레임을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봉(200)은 후술하는 승강판(30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승강판(300)의 양단을 지지하여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전단부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봉(200)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한쌍으로 설치되어 승강판(300)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이동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판(300)은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골판지 등의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1)가 안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300)은 양단이 상기 가이드봉(200)에 지지되어 가이드봉(20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하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판(300)은 후단부 양측에 설치대(311)가 설치되고 전단부가 바닥프레임(1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면에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1)가 안착되는 안착부(310) 및 상기 안착부(310)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착부(310)로 가구(1)의 바닥이 슬라이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투입부(3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안착부(310)로 가구(1)를 안착시킬 때, 경사투입부(320)를 통해 가구(1)의 바닥을 슬라이딩시켜 안착부(310)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설치대(311)에는 상기 가이드봉(200)에 끼워져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블럭(330)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블럭(330)에 의해 승강판의(300) 양단이 가이드봉(200)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트수단(400)은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300)이 가이드봉(200)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트수단(400)은 상기 바닥프레임(1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모터(410)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420)와,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하단부 중앙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430)과, 상기 회전축(430)의 중앙부분에 일체로 결합되는 종동풀리(440)와, 상기 구동풀리(420)와 종동풀리(430)를 연결하여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450)와, 상기 회전축(43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와이어 권취드럼(460)과,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전단부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130)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드럼(460)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방향전환롤러(470)와, 상기 설치대(311)의 중앙부분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311a)에 설치되는 승강롤러(480)와, 상기 상부브라켓(130)의 중앙부분에 상기 승강롤러(480)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방향전환링부(491)와,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전단에 상기 방향전환링부(491)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고정링부(492)와, 상기 와이어 권취드럼(460)에 권치되되, 일측 단부는 상기 방향전환롤러(470)를 경유하고 상기 승강롤러(480)를 경유하며 상기 방향전환링부(491)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링부(491)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리프트와이어(4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430)은 수직프레임(120) 사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중앙수직프레임(1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프트수단(400)은 모터(410)가 회전하면 모터축에 결합된 구동풀리(420)가 회전하면서, 벨트(450)를 통해 종동풀리(440)가 회전되고, 종동풀리(440)와 함께 회전축(430)이 회전하면서 와이어 권취드럼(460)에 리프트와이어(493)가 권취되거나 와이어 권취드럼(460)에서 리프트와이어(493)가 풀리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권취드럼(460)에 리프트와이(493)가 권취되면, 방향전환롤러(470), 승강롤러(480) 및 방향전환링부(491)를 경유하여 고정링부(492)에 고정되는 리프트와이어(493)의 타단이 권취드럼(460) 측으로 당겨지면서 승강롤러(480)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승강롤러(480)가 결합된 설치대(311)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설치대(311)가 결합된 승강판(300) 또한 상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권취드럼(460)에서 리프트와이어(493)가 풀림되면, 방향전환롤러(470), 승강롤러(480) 및 방향전환링부(491)를 경유하여 고정링부(492)에 고정되는 리프트와이어(493)의 타단이 권취드럼(460)에서 배출되면서 승강롤러(480)가 하측으로 이동되고, 승강롤러(480)가 결합된 설치대(311)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설치대(311)가 결합된 승강판(300) 또한 하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밴딩수단(5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30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가구(1)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의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밴드(B)가 감싸지게 밴딩하여 가구(1)를 포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딩수단(5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300)의 상측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승강판(300)에 안착된 가구가 상승하면서 통과되는 사각 형태의 가구투입공간(S)이 형성되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 형태로 홈(H)이 형성되고 이 홈(H)을 통해 밴드(B)가 배출되면서 가구(1)를 결속하게 구성되는 밴드인출프레임(510)과, 상기 프레임(100)의 상측 후단부에 설치되고 밴드인출프레임(510)의 후측으로 설치되되, 일측으로 밴드(B)를 공급하는 밴드공급롤(521)이 설치되고 상기 밴드공급롤(521)에서 공급되는 밴드(B)를 밴드인출프레임(510) 측으로 이송하여 공급하고 커팅하는 밴드공급부(500)와, 상기 밴드인출프레임(510)을 통해 가구(1)의 외면을 결속하여 중첩된 밴드(B)를 열 유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열융착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밴딩수단의 더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을 설명하면, 상기 승강판(300)에 안착된 가구(1)가 리프트수단(400)에 의해 상승하면서 프레임(100)의 상측으로 이동되면, 가구(1)가 밴드인출프레임(510)의 가구투입공간(S)으로 투입되고, 밴드인출프레임(510)의 홈(H)을 통해 밴드(B)가 배출되면서 가구(1)를 결속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밴드공급롤(521)에서 공급되는 밴드(B)는 가이드롤러(R)를 통해 밴드공급부에 구비된 밴드저장박스(523) 내로 안내되고, 이 밴드저장박스(523)를 통과한 밴드(B)는 밴드인출프레임(510)의 홈(H)을 따라 안내되어 밴드공급부(520)의 중간에 위치하는 받침대(524)를 거쳐 밴드인출프레임(510)의 홈(H)을 따라 계속 안내되어 단부가 받침대(524) 상에 놓인 스토퍼(525)의 걸림턱(525a)에 걸려 사각 형태로 스토퍼(525)에 놓이게 설치된다. 그러면 밴딩준비 상태가 완료되는 데, 이 상태에서 가구(1)가 밴드인출프레임(510)의 가구투입공간(S)으로 투입된 상태에서 작동되면 밴드(B)가 당겨지면서 밴드(B)가 밴드인출프레임(510)의 홈(H)을 따라 배출되면서 가구(1)를 상단부를 결박하게 된다.
그리고 밴드(B)로 가구(1)의 상단부의 결박이 완료되면 스토퍼(525)가 일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열융착부(530)가 받침대(524) 상으로 이동하여 밴드(B)의 단부를 융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융착이 완료되면 받침대(524)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커터(526)가 상승하면서 밴드(B)를 절단하게 된다. 그러면 밴드(B)를 통한 가구의 상단부의 포장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밴드(B)가 결속되어 가구(1)의 상단부 포장작업이 완료되면 열융착부(530)과 커터(526)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받침대(524) 상에는 다시 스토퍼(525)가 위치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밴드(B)가 밴드인출프레임(510)의 홈(H)을 따라 다시 이송되면서 밴드(B)의 단부가 스토퍼(525)의 걸림턱(525a)에 걸려 밴딩 작업을 할 수 있게 준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300)에 안착된 가구(1)를 리프트수단(400)에 의해 더 상승시킴과 아울러 밴드인출프레임(510)의 홈(H)을 통해 밴드(B)가 배출시켜면서 가구(1)의 중앙부, 하단부를 순차적으로 결속하여 포장하게 된다.
여기서, 밴드(B)가 홈(H)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은 밴드공급부(520)의 하부에 설치된 밴드이송수단에 의해 가능해진다. 상기 밴드이송수단은 밴드(B)의 일부분 하면에 밀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롤러(531)와 회전롤러(531)와 대응되게 밴드(B)의 일부분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롤러(532)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롤러(531)는 제1구동모터(533)의 동력을 전달받아 선택적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설치된다. 즉, 제1구동모터(533)의 모터축에는 제1구동풀리(534)가 결합되고 회전롤러(531)의 일측에는 축으로 연결되게 제1피동풀리(535)가 결합되며 제1구동풀리(534)와 제1피동풀리(535)는 제1벨트(536)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밴딩 준비 상태에서는 제1구동모터(533)가 정회전을 하면서 회전롤러(531)를 정회전시켜 밴드(B)를 전진 이송시키게 되고, 가구(1)를 결박할 때에는 제1구동모터(533)가 역회전을 하면서 회전롤러(531)를 역회전시켜 밴드(B)를 후방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밴드(B)가 당겨지면서 가구(1)를 결박하게 된다.
이때, 밴드(B)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해 밴드저장박스(523)와 회전롤러(531)의 사이에는 밴드가이더(540)가 설치된다. 밴드가이더(540)는 하부의 중심축(54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밴드안내공(541)이 관통 형성되어 밴드(B)가 통과되면서 회전롤러(531)로 안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밴드가이더(540)의 중간에는 전방으로 아암(543)이 연장되고 아암(543)의 단부에는 이동롤러(54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롤러(544)가 전방에는 이동롤러(544)에 밀착되게 회전판(550)이 설치되며 회전판(550)의 정면에는 일부분에 돌출부(51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판(550)이 회전을 하면 이동롤러(544)가 회전판(550)의 정면을 따라서 굴러가는 데, 회전판(550)의 평평한 곳에 이동롤러(544)가 위치할 경우에는 밴드가이더(54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회전판(550)의 돌출부(511)로 이동롤러(544)가 위치할 경우에는 이동롤러(544)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밴드가이더(540)도 중심축(54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받침대(524)가 설치되는 프레임(F)과 밴드가이더(540)의 사이에는 복귀스프링(545)이 설치되어 이동롤러(544)가 돌출부(511)에 위치할 때는 밴드가이더(540)가 후방으로 이동하다가 회전판(550)이 더 회전하여 이동롤러(544)가 평평한 부분에 위치하면 복귀스프링(545)의 복원력에 의해 밴드가이더(540)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회전판(550)을 회전시키는 수단은 일단부가 회전판(550)과 연결되고 프레임(F)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축(552)과, 연결축(552)의 타단부에 결합된 피동기어(553)와, 피동기어(553)에 베벨기어 방식으로 이맞물림되게 결합된 구동기어(554)와, 밴드인출프레임(510)의 하부 일부분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555)와, 제2구동모터(555)의 모터축에 결합된 제2구동풀리(556)와, 구동기어(554)와 축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피동풀리(557)와, 제2구동풀리(556)와 제2피동풀리(557)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제2벨트(5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555)가 작동되면 회전판(550)은 일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판(550)의 정면에서 이동롤러(544)의 위치에 따라 밴드가이더(540)는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판(300)의 위치를 감지하여 가구(1)의 하단부, 중앙부, 상단부에 밴드(B)를 정확하게 결속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봉(200)의 후측 상하방향으로 설치프레임(127)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프레임(127)에는 하단부, 중앙부, 상단부에 상기 승강판(3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610,620,630,64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기 위치센서(610,620,630,6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70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700)는 위치센서에 상승하는 승강판(300)이 감지되면 리프트수단(300)의 동작을 멈춘 후, 밴딩수단(500)을 작동시켜 가구(1)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의 외면에 순차적으로 밴드(B)가 감싸지게 밴딩하여 가구(1)를 포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판에 안착되어 승강하는 가구의 하단부, 중앙부, 상단부에 밴드를 정확하게 결속할 수 있어 가구를 자동으로 포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의 포장을 견고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300)에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1)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리프트수단(400)을 구동하여 승강판(300)을 상승시키면 위치센서(620)가 승강판(300)을 감지하고, 컨트롤러(700)는 리프트수단(400)을 1차로 정지시킨다. 이때, 승강판(300)에 안착된 가구(1)의 상단부는 밴드인출프레임(510)의 가구투입공간(S)으로 투입되고, 동시에 컨트롤러(700)는 밴딩수단(500)을 작동시켜 가구(1)의 상단부에 밴드(B)를 1차 결속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700)가 리프트수단(400)을 다시 구동하여 승강판(300)을 더 상승시키면 위치센서(630)가 승강판(300)을 감지하고, 컨트롤러(700)는 리프트수단(400)을 2차로 정지시킨다. 이때, 승강판(300)에 안착된 가구(1)의 중앙부는 밴드인출프레임(510)의 가구투입공간(S)으로 투입되어 위치되고, 동시에 컨트롤러(700)는 밴딩수단(500)을 작동시켜 가구(1)의 중앙부에 밴드(B)를 2차 결속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700)가 리프트수단(400)을 다시 구동하여 승강판(300)을 더 상승시키면 위치센서(640)가 승강판(300)을 감지하고, 컨트롤러(700)는 리프트수단(400)을 3차로 정지시킨다. 이때, 승강판(300)에 안착된 가구(1)의 하단부는 밴드인출프레임(510)의 가구투입공간(S)으로 투입되어 위치되고, 동시에 컨트롤러(700)는 밴딩수단(500)을 작동시켜 가구(1)의 하단부에 밴드(B)를 3차 결속한다.
그리고, 컨트롤러가 리프트수단(400)을 다시 구동하여 승강판(300)을 바닥으로 하강시켜, 승강판(300)에서 가구(1)를 배출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1)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가 밴드(B)를 통해 밴딩작업되어 가구의 외면이 견고하게 포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 포장 장치는 외면에 골판지 등의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를 승강판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리프트수단을 통해 가구를 승강시키면서 밴딩수단을 통해 가구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를 밴딩작업하여 가구 외면을 밴드를 통해 결속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포장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포장(밴드를 통한 결속)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프레임 200: 가이드봉
300: 승강판 400: 리프트수단
500: 밴딩수단 610,620,630,640...: 위치센서

Claims (5)

  1. 바닥프레임 및 바닥프레임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단부 양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골판지 등의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가 안착되게 구성되되, 양단이 상기 가이드봉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하게 구성되는 승강판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이 가이드봉을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리프트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가구 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의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밴드가 감싸지게 밴딩하여 가구를 포장하는 밴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포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은 후단부 양측에 설치대가 설치되고 전단부가 바닥프레임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상면에 완충재가 감싸져 있는 가구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안착부로 가구의 바닥이 슬라이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경사투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대에는 상기 가이드봉에 끼워져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블럭이 결합되어, 승강판이 가이드봉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포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중앙부분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중앙부분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분에 일체로 결합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여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와이어 권취드럼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단부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권취드럼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설치대의 중앙부분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에 설치되는 승강롤러와,
    상기 상부브라켓의 중앙부분에 상기 승강롤러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방향전환링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단에 상기 방향전환링부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고정링부와,
    상기 와이어 권취드럼에 권치되되, 일측 단부는 상기 방향전환롤러를 경유하고 상기 승강롤러를 경유하며 상기 방향전환링부를 경유하여 상기 고정링부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리프트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가구 포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상측 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판의 상측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승강판에 안착된 가구가 상승하면서 통과되는 사각 형태의 가구투입공간이 형성되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사각 형태로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을 통해 밴드가 배출되면서 가구를 결속하게 구성되는 밴드인출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 후단부에 설치되고 밴드인출프레임의 후측으로 설치되되, 일측으로 밴드를 공급하는 밴드공급롤이 설치되고 상기 밴드공급롤에서 공급되는 밴드를 밴드인출프레임 측으로 이송하여 공급하고 커팅하는 밴드공급부와,
    상기 밴드인출프레임을 통해 가구의 외면을 결속하여 중첩된 밴드를 열 유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열융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포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봉의 후측 상하방향으로 설치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하단부, 중앙부, 상단부에 상기 승강판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위치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는 위치센서에 상승하는 승강판이 감지되면 리프트수단의 동작을 멈춘 후, 밴딩수단을 작동시켜 가구의 상단부, 중앙부, 하단부의 외면에 순차적으로 밴드가 감싸지게 밴딩하여 가구를 포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포장장치.
KR1020220002467A 2022-01-07 2022-01-07 가구 포장 장치 KR102628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467A KR102628337B1 (ko) 2022-01-07 2022-01-07 가구 포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2467A KR102628337B1 (ko) 2022-01-07 2022-01-07 가구 포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836A true KR20230106836A (ko) 2023-07-14
KR102628337B1 KR102628337B1 (ko) 2024-01-23

Family

ID=87155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467A KR102628337B1 (ko) 2022-01-07 2022-01-07 가구 포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3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111A (ja) * 1999-08-10 2001-02-20 Sekisui Jushi Co Ltd ストレッチ包装機
KR101347779B1 (ko) * 2012-06-01 2014-01-06 주식회사 엠피아이 박스 다중 밴딩장치
KR101485116B1 (ko) * 2014-09-03 2015-01-22 황양숙 포장박스 밴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8111A (ja) * 1999-08-10 2001-02-20 Sekisui Jushi Co Ltd ストレッチ包装機
KR101347779B1 (ko) * 2012-06-01 2014-01-06 주식회사 엠피아이 박스 다중 밴딩장치
KR101485116B1 (ko) * 2014-09-03 2015-01-22 황양숙 포장박스 밴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337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4825C (en) Wrapping machine and method for wrapping a plastic foil web around an object
CN208199016U (zh) 一种产品自动装箱设备
KR102334737B1 (ko) 침구류 자동포장기
KR101102137B1 (ko) 랩 포장기
KR20230106836A (ko) 가구 포장 장치
CN210822896U (zh) 一种用于法兰盘包装的托盘缠绕机
US3126685A (en) Machine for simultaneously closing top
JP6032968B2 (ja) 包装袋供給装置
KR102429947B1 (ko) 랩핑장치
JPS6357302B2 (ko)
CN209775688U (zh) 连体盒成型机盖成型装置
US2864218A (en) Packing apparatus
JP3523227B2 (ja) 包装機及びこの包装機を用いた包装フィルムのシール方法
KR100574388B1 (ko) 과일포장용 오픈박스의 투명커버 부착장치
CN220281828U (zh) 一种具有导向结构的打包机
JP2022508914A (ja) 複数の梱包用の厚紙シートを互いに連続的に接合することによって、梱包用の厚紙片を具現化するための装置
KR10137024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형 테이핑장치
KR200469562Y1 (ko) 래핑머신용 포장지 절단장치
KR101505542B1 (ko) 유리장섬유 단열재 성형시 이용되는 유리장섬유매트의 연결 및 연결된 유리장섬유매트에 대한 바인더 도포장치
CN214002141U (zh) 全自动水平捆扎机
KR20190009192A (ko) 포장상자 자동제조장치
JP2916754B2 (ja) 物品包装装置
JP4109353B2 (ja) 葉菜類の袋詰め装置における袋供給装置
JP2863913B2 (ja) 物品包装装置
JP2916756B2 (ja) 物品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