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424A -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424A
KR20230105424A KR1020220000785A KR20220000785A KR20230105424A KR 20230105424 A KR20230105424 A KR 20230105424A KR 1020220000785 A KR1020220000785 A KR 1020220000785A KR 20220000785 A KR20220000785 A KR 20220000785A KR 20230105424 A KR20230105424 A KR 20230105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agnetic force
ship
magnetic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147B1 (ko
Inventor
이형원
조민호
이해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00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147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4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01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permanent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3/00Transmitting power from propulsion power plant to propulsive elements
    • B63H23/32Other parts
    • B63H23/34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 B63H2023/342Propeller shafts; Paddle-wheel shafts; Attachment of propellers on shafts comprising couplings, e.g. resilient couplings; Coupl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모터의 동력을 추진기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선박의 외벽에 타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완전 방수가 가능한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Axial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Composite Material or Aluminum Ship Using Magnetic Coupling}
본 발명은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모터(100)의 동력을 추진기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선박의 외벽에 타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완전 방수가 가능한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추진 방식으로서,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 추진방식 또는 펌프를 이용하여 선박의 운항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물을 뿜어내어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워터제트 추진 방식과 같은 다양한 추진 방식이 이용된다.
특히, 상기 프로펠러를 이용하여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프로펠러의 후방에 마련되는 러더(Rudder)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펠러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추진력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선박의 선회 방향을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선박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장치로부터 상기 프로펠러로 상기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가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동력장치의 구동축과 프로펠러의 추진축은 커플러에 의해 축일치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동력장치로부터 프로펠러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추진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선박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46895호(이하, 종래기술 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장치가 적용된 선박의 추진축은 선박을 관통하여 끝단이 선외로 노출되고, 노출된 추진축의 끝단에 프로펠러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에 따라 추진축이 관통하여 선체에는 씰링 부품 또는 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부위의 방수 성능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런데 추진축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도 수밀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씰링 부품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 다소 복잡해지기 때문에 중소형 선박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으며, 완전한 방수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46895호 2013.03.18.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모터의 동력을 추진기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선박의 외벽에 타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방수 기능이 향상되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100); 전후방향 후단이 상기 모터(100)에 연결되고, 전단이 상기 선박의 선체(S)를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는 구동축(200); 일면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S)와 면대향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200)의 전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100)의 동작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1자력부(300); 전단측에 프로펠러가 구비되고, 후단측이 상기 선박의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구동축(200)과 동축을 갖도록 구비되는 추진축(400); 및 일면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S)와 면대향된 상태로 상기 추진축(400)의 후단측에 구비되는 제 2자력부(500);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자력부(300)는, 중심부에 상기 구동축(200)의 전단측이 삽입 체결되는 제 1축홈(311)이 관통 형성되는 제 1자력판(310); 및 상기 제 1자력판(310)의 일면에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자성체(320);를 포함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축(200)의 최전단에는, 상기 제 1자력부(300)와 구동축(2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호 구성이 고정되게 하는 제 1축 체결부재(33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자력부(500)는, 중심부에 상기 추진축(400)의 후단측이 삽입 체결되는 제 2축홈(511)이 관통 형성되는 제 2자력판(510); 및 상기 제 2자력판(510)의 일면에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2자성체(520);를 포함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추진축(400)의 최전단에는, 상기 제 2자력부(500)와 추진축(4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호 구성이 고정되게 하는 제 2축 체결부재(53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선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자력부(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상기 구동축(200)이 관통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1하우징(610); 및 선박의 외부에서 상기 제 2자력부(5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상기 추진축(400)이 관통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2하우징(620);을 포함하는 하우징(600);이 더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하우징(610)은, 전단과 내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단 중심부에 구동축(200)이 힌지 체결되는 구동홈(611)이 형성된 상태로 전단측 둘레가 선체(S)의 내벽에 밀착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하우징(620)은, 후단과 내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전단 중심부에 추진축(400)이 힌지 체결되는 추진홈(621)이 형성된 상태로 후단측 둘레가 선체(S)의 외벽에 밀착 체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모터의 동력을 추진기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선박의 외벽에 타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방수 기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의 설치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 1자성체와 제 2자성체의 설치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동력 전달 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구역 확대도로서, 축 일치부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축 일치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모터의 동력을 추진기로 전달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선박의 외벽에 타공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방수 기능이 향상되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에 있어서, 모터(100), 구동축(200), 제 1자력부(300), 추진축(400) 및 제 2자력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터(100)는 추진력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박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모터(100)는 거치대에 의해 상기 선박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여 선박의 운항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해 배치된 고정된 위치에서 벗어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와 모터(100)의 사이에는 탄성패드가 더 구비되도록 하여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200)은 전후방향 후단이 상기 모터(100)에 연결되고, 전단이 상기 선박의 선체(S)를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구동축(2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로 이루어져, 전단측이 상기 선체(S)의 내벽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200)의 전단둘레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스플라인 홈(210)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1자력부(300)는 일면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S)와 면대향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200)의 전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100)의 동작에 연동되어 회전되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제 1자력부(300)는 중심부에 상기 구동축(200)의 전단측이 삽입 체결되는 제 1축홈(311)이 관통 형성되는 제 1자력판(310) 및 상기 제 1자력판(310)의 일면에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자성체(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축홈(311)에는 상기 제 1스플라인 홈(210)에 대응하는 제 1스플라인 돌기가 내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스플라인 돌기와 제 1스플라인 홈(210)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자력부(300)와 구동축(200)이 안정적으로 고정 체결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자력부(300)와 구동축(2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200)의 최전단에는 제 1축 체결부재(33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제 1축 체결부재(330)는 후단과 중심부가 개방된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주면이 상기 구동축(200)의 전단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자력부(300)가 구동축(200)에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축 체결부재(330)가 이의 전단에서 구동축(200)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 1자력부(300)가 구동축(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상태가 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 1자력판(310)의 일면에는 상기 제 1축 체결부재(330)의 돌출된 후단측이 끼움 체결되는 제 1체결부재홈(31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체결부재홈(312)에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패킹이 구비되어 상호 구성이 더욱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자력판(310)과 제 1축 체결부재(330)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 1자력판(310)과 제 1체결부재가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하여 상기 제 1자력판(310)과 구동축(200)의 체결이 더욱 강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추진축(400)은 전단측에 프로펠러가 구비되고, 후단측이 상기 선박의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구동축(200)과 동축을 갖도록 구비된다.
상술하면, 상기 추진축(4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로 이루어져, 후단측이 상기 선체(S)의 외벽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며, 전단측에 프로펠러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추진축(400)의 후단둘레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스플라인 홈(410)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자력부(500)는 일면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S)와 면대향된 상태로 상기 추진축(400)의 후단측에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제 2자력부(500)는 중심부에 상기 추진축(400)의 후단측이 삽입 체결되는 제 2축홈(511)이 관통 형성되는 제 2자력판(510) 및 상기 제 2자력판(510)의 일면에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2자성체(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축홈(511)에는 상기 제 2스플라인 홈(410)에 대응하는 제 2스플라인 돌기가 내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2스플라인 돌기와 제 2스플라인 홈(410)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제 2자력부(500)와 추진축(400)이 안정적으로 고정 체결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 2자력부(500)와 추진축(4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추진축(400)의 최후단에는 제 2축 체결부재(53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제 2축 체결부재(530)는 전단과 중심부가 개방된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주면이 상기 추진축(400)의 후단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자력부(500)가 추진축(400)에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축 체결부재(530)가 이의 후단에서 추진축(400)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 2자력부(500)가 추진축(4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상태가 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 2자력판(510)의 일면에는 상기 제 2축 체결부재(530)의 돌출된 전단측이 끼움 체결되는 제 2체결부재홈(512)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체결부재홈(512)에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패킹이 구비되어 상호 구성이 더욱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자력판(510)과 제 2축 체결부재(530)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 2자력판(510)과 제 2축 체결부재가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게 하여 상기 제 2자력판(510)과 추진축(400)의 체결이 더욱 강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선체(S)에 타공하지 않은 상태로 모터(100)의 구동력을 프로펠러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제 1자력부(300)와 제 2자력부(500)는 선체(S)를 기준으로 제 1자성체(320)와 제 2자성체(520)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구비되어 이 상태에서 모터(100)가 동작되면, 상기 제 1자력부(3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 2자력부(500)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 2자력부(500)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프로펠러가 회전되게 함으로써, 모터(100)의 동력을 추진기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자력부(300)와 제 2자력부(500)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600)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600)은 선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자력부(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상기 구동축(200)이 관통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1하우징(610) 및 선박의 외부에서 상기 제 2자력부(5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상기 추진축(400)이 관통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2하우징(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제 1하우징(610)은 전단과 내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단 중심부에 구동축(200)이 체결되는 구동홈(611)이 형성된 상태로 전단측 둘레가 선체(S)의 내벽에 밀착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하우징(620)은 후단과 내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전단 중심부에 추진축(400)이 체결되는 추진홈(621)이 형성된 상태로 후단측 둘레가 선체(S)의 외벽에 밀착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홈(611)과 추진홈(621)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200)과 추진축(400)의 축회전을 보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제 1하우징(610)의 전단측 테두리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선체(S)의 내벽에 면접촉되는 제 1플랜지(612)가 구성되고, 상기 제 1플랜지(612)에는 복수 개의 제 1볼트홈(613)이 관통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제 2하우징(620)의 후단측 테두리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선체(S)의 외벽에 면접촉되는 제 2플랜지(622)가 구성되고, 상기 제 2플랜지(622)에는 상기 제 1볼트홈(613)과 동축을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제 2볼트홈(623)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하우징(610)과 제 2하우징(620)은 상기 선체(S)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구비되어 제 1자력부(300)와 제 2자력부(500)를 각각 보호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하우징(610)과 제 2하우징(620)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 1볼트홈(613)과 제 2볼트홈(623)을 동시에 관통 하여 볼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600)이 선체(S)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구동축(200)과 추진축(400)이 동축을 갖는 상태로 선체(S)에 체결되도록 하는 축 일치부(700)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축 일치부(700)는 상기 선체(S)의 내벽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200)의 전단이 축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는 제 1일치부재(710) 및 상기 선체(S)의 외벽에 구비되어 상기 추진축(400)의 후단이 축회전 가능하게 힌지 체결되는 제 2일치부재(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일치부재(710)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져, 전면이 상기 선체(S)의 내벽에 밀착 구비되는 제 1베이스판(711) 및 중심부가 빈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베이스판(711)의 후면 중심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며 내주면에 베어링이 구비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200)의 전단이 삽입 체결되는 제 1축 고정부(7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2일치부재(720)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져, 후면이 상기 선체(S)의 외벽에 밀착 구비되는 제 2베이스판(721) 및 중심부가 빈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2베이스판(721)의 전면 중심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제 2축 고정부(7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체(S)에는 외측으로 휘어진 돌출 중심부(7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베이스판(711)의 전면에는 상기 돌출 중심부(730)에 대응하도록 돌출되는 일치돌기(713)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베이스판(721)의 후면에는 상기 돌출 중심부(730)에 대응하도록 패인 홈으로 이루어진 일치홈(723)이 중심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일치부재(710)와 제 2일치부재(720)는 상기 돌출 중심부(730)를 기준으로 하여 쉽게 축 일치된 상태로 선체(S)에 체결될 수 있게 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200)과 추진축(400)이 각각 힌지 체결됨에 따라 선체(S)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축(200)과 선체(S)의 외부에 구비되는 추진축(400)이 쉽게 축일치된 상태로 체결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S : 선체 100 : 모터
200 : 구동축 210 : 제 1스플라인 홈
300 : 제 1자력부 310 : 제 1자력판
311 : 제 1축홈 312 : 제 1체결부재홈
320 : 제 1자성체 330 : 제 1축 체결부재
400 : 추진축 410 : 제 2스플라인 홈
500 : 제 2자력부 510 : 제 2자력판
511 : 제 2축홈 512 : 제 2체결부재홈
520 : 제 2자성체 530 : 제 2축 체결부재
600 : 하우징 610 : 제 1하우징
611 : 구동홈 612 : 제 1플랜지
613 : 제 1볼트홈
620 : 제 2하우징 621 : 추진홈
622 : 제 2플랜지 623 : 제 2볼트홈
700 : 축 일치부 710 : 제 1일치부재
711 : 제 1베이스판 712 : 제 1축 고정부
713 : 일치돌기
720 : 제 2일치부재 721 : 제 2베이스판
722 : 제 2축 고정부 723 : 일치홈
730 : 돌출 중심부

Claims (8)

  1. 선박의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100);
    전후방향 후단이 상기 모터(100)에 연결되고, 전단이 상기 선박의 선체(S)를 향하는 상태로 구비되는 구동축(200);
    일면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S)와 면대향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200)의 전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100)의 동작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1자력부(300);
    전단측에 프로펠러가 구비되고, 후단측이 상기 선박의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구동축(200)과 동축을 갖도록 구비되는 추진축(400); 및
    일면에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선체(S)와 면대향된 상태로 상기 추진축(400)의 후단측에 구비되는 제 2자력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자력부(300)는,
    중심부에 상기 구동축(200)의 전단측이 삽입 체결되는 제 1축홈(311)이 관통 형성되는 제 1자력판(310); 및
    상기 제 1자력판(310)의 일면에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1자성체(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00)의 최전단에는,
    상기 제 1자력부(300)와 구동축(2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호 구성이 고정되게 하는 제 1축 체결부재(3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자력부(500)는,
    중심부에 상기 추진축(400)의 후단측이 삽입 체결되는 제 2축홈(511)이 관통 형성되는 제 2자력판(510); 및
    상기 제 2자력판(510)의 일면에 복수 개가 원주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제 2자성체(5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추진축(400)의 최전단에는,
    상기 제 2자력부(500)와 추진축(400)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호 구성이 고정되게 하는 제 2축 체결부재(5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선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자력부(3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상기 구동축(200)이 관통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1하우징(610); 및
    선박의 외부에서 상기 제 2자력부(5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중심부에 상기 추진축(400)이 관통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제 2하우징(620);
    을 포함하는 하우징(6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610)은,
    전단과 내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후단 중심부에 구동축(200)이 힌지 체결되는 구동홈(611)이 형성된 상태로 전단측 둘레가 선체(S)의 내벽에 밀착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620)은,
    후단과 내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전단 중심부에 추진축(400)이 힌지 체결되는 추진홈(621)이 형성된 상태로 후단측 둘레가 선체(S)의 외벽에 밀착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KR1020220000785A 2022-01-04 2022-01-04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KR102639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85A KR102639147B1 (ko) 2022-01-04 2022-01-04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85A KR102639147B1 (ko) 2022-01-04 2022-01-04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424A true KR20230105424A (ko) 2023-07-11
KR102639147B1 KR102639147B1 (ko) 2024-02-20

Family

ID=8715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785A KR102639147B1 (ko) 2022-01-04 2022-01-04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1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057A (ja) * 1999-08-17 2001-02-27 Nikko Kizai Kk 船舶のプロペラ軸用船尾管の軸封装置
JP2001327768A (ja) * 2000-03-14 2001-11-27 Takara Co Ltd 水中玩具及びその観賞システム
KR20070036878A (ko) * 2005-09-30 2007-04-04 손일영 선박추진장치
KR20100123409A (ko) * 2009-05-15 2010-11-24 나필찬 밀봉성을 향상시킨 선박용 추진축
KR101246895B1 (ko) 2010-11-12 2013-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057A (ja) * 1999-08-17 2001-02-27 Nikko Kizai Kk 船舶のプロペラ軸用船尾管の軸封装置
JP2001327768A (ja) * 2000-03-14 2001-11-27 Takara Co Ltd 水中玩具及びその観賞システム
KR20070036878A (ko) * 2005-09-30 2007-04-04 손일영 선박추진장치
KR20100123409A (ko) * 2009-05-15 2010-11-24 나필찬 밀봉성을 향상시킨 선박용 추진축
KR101246895B1 (ko) 2010-11-12 2013-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147B1 (ko)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5042B2 (ja) 船体推進ユニット
US9694887B2 (en) Propulsion device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JP5384787B2 (ja) 水上船舶用の推進システム
US3868833A (en) Shaft coupl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marine inboard-outboard propulsion systems
ES2846626T3 (es) Propulsor retráctil y árbol de accionamiento para propulsor retráctil
US4242979A (en) Screw propeller with no shaft boss and ship thruster using such screw propeller
US6609892B1 (en) Propeller hub
KR20230105424A (ko)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한 복합소재 또는 알루미늄 선박용 축 동력 전달 장치
CN112124546A (zh) 一种螺旋桨在同侧的对转式吊舱推进器
US3924557A (en) Propeller mechanism for boats
KR20150002281A (ko) 선박의 추진 장치
US9017119B2 (en) Ship propulsion device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826746B1 (ko) 선박용 추진장치
EP2722269B1 (en) Propulsion device for ship and ship having same
KR20130123826A (ko) 선박용 추진장치의 선미 결합구조 및 그 설치방법과 이를 갖춘 선박
JP2022000359A (ja) 船舶用二重反転プロペラ及び船舶
KR101902979B1 (ko) 추진장치
US20230109555A1 (en) Marine propulsion device, propeller unit, and method
KR101571429B1 (ko) 선박의 에너지 회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설치방법
JP2513811Y2 (ja) インペラのスプライン継手
US20100317245A1 (en) Drive joints and use of said drive joint
US11332226B2 (en) Vessel
JP2007210549A (ja) 船外機
US5213526A (en) Support assembly for marine propulsion unit
JPS60157992A (ja) 小型舟艇のエンジン始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