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5100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5100A
KR20230105100A KR1020220000243A KR20220000243A KR20230105100A KR 20230105100 A KR20230105100 A KR 20230105100A KR 1020220000243 A KR1020220000243 A KR 1020220000243A KR 20220000243 A KR20220000243 A KR 20220000243A KR 20230105100 A KR20230105100 A KR 20230105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vane
passage
impeller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중근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0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5100A/ko
Priority to PCT/KR2022/017268 priority patent/WO2023128231A1/ko
Publication of KR20230105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디퓨져로 유입된 유동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전환하고, 유동 박리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본체 내부에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유닛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는 임펠러와,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디퓨져베인을 포함하고, 디퓨져베인은, 그 단면이 에어 포일 형상인 하나의 베인 바디로 마련되되, 베인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관통하여 마련되는 통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개시된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고, 정화된 공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청소기는 흡입력을 결정하는 구성 요소로써, 임펠러(impeller) 및 디퓨져(diffus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수 차례 구부러진 유로를 따라 임펠러 및 디퓨져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공기의 압력손실이 증가하게 되고, 압력손실에 따른 흡입력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임펠러 및 디퓨져의 간격을 좁게 설계한다. 그러나 임펠러 및 디퓨져의 간격을 좁게 할수록 압력섭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임펠러 및 임펠러에 결합되는 모터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 청소기의 크기 또한 증가되므로 컴팩트(compact)한 제품을 요하는 최근 시장 추세에 부합하지 않는다.
핸디형 청소기와 같은 소형 청소기는 통상 고출력의 흡입모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압력손실이나 유동손실에 따른 흡입효율 감소가 큰 문제가 있다.
또한, 임펠러의 토출 공기를 가이드하는 디퓨져가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위에 베인을 장착하여 공기를 유도하고 있는데 직경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일정 길이의 베인이 필요하므로 직경 축소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임펠러 토출 공기의 방향 전환이 급격하여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디퓨져를 여러 층으로 배치하여 유동 방향의 전환을 점진적으로 하도록 경우 방향의 전환 성능은 향상되나, 모터 전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소형화 내지 컴팩트화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베인의 유동 제어를 통해 유동 손실을 줄여 흡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디퓨져로 유입된 유동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전환하고, 유동 박리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본체 내부에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디퓨져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베인 각각은, 그 단면이 에어 포일 형상인 하나의 베인 바디로 마련되되, 상기 베인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관통하여 마련되는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 바디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임펠러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위치는 상기 디퓨져베인의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진다.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위치는 상기 디퓨져베인의 폭(w)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진다.
상기 출구부의 각도는 상기 제1면의 접선 방향에 대응한다.
상기 입구부의 길이는 상기 출구부의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통로는 적어도 일부에 곡률을 갖는 곡면부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본체; 상기 본체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 헤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임펠러; 상기 모터와 상기 임펠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모터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1케이싱과,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디퓨져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케이싱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의 사이에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베인을 포함하며, 상기 디퓨져베인은, 그 단면이 에어 포일 형상인 하나의 베인 바디로 마련되되, 상기 베인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관통하여 마련되는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 바디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는 상기 임펠러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위치는 상기 디퓨져베인의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진다.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위치는 상기 디퓨져베인의 폭(w)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진다.
상기 출구부의 각도는 상기 제1면의 접선 방향에 대응한다.
상기 입구부의 길이(d1)는 상기 출구부의 길이(d2) 보다 크게 형성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본체; 상기 본체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 헤드;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마련되는 디퓨져베인을 포함하며, 상기 디퓨져베인은, 그 단면이 에어 포일 형상인 하나의 베인 바디로 마련되되, 상기 베인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관통하여 마련되는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통로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연결되는 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위치는 상기 디퓨져베인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진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인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모터의 축 방향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소형화 내지 컴팩트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디퓨져로 유입된 유동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전환하고, 유동 박리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인의 유동 제어를 통해 유동 손실을 줄여 흡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된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유닛이 장착된 청소기본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의 A-A'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유닛의 단면 상태를 도시한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의 부분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의 부분 확대도로서,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베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9 의 디퓨져 베인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베인의 중심에서 상측에 위치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베인에 복수개로 마련되는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베인의 베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5에 도시된 디퓨져베인의 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은 도 15에 도시된 디퓨져베인의 베인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 는 일 실시예에 의한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된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1)는 청소기 본체(10)와,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관(11)과, 연장관(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입헤드(16)와,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장치(20, 이하 '먼지통'이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피청소면 상의 이물질을 흡입하는데 필요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100)과,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먼지통(2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진공청소기(1)를 구동할 수 잇도록 마련되는 모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00)는 청소기 본체(10)의 내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의 흡입유닛(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먼지통(20)은 흡입헤드(16)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나 오물 등을 걸러 내어 모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지통(20)은 청소기 본체(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필터 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하우징(14)은 대략 도넛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필터(15)를 수용할 수 있다. 필터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일례로, 헤파 필터(Hepa Filter)가 필터 하우징(1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5)는 먼지통(20)에서 걸러지지 않은 초미세먼지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진공청소기(1)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1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2)을 잡고 진공청소기(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청소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조작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3)에 마련된 전원 버튼 등을 조작하여 진공청소기(1)를 온/오프 시키거나 흡입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흡입헤드(16)는 피청소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입헤드(16)는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헤드(16)와 청소기 본체(10)는 연장관(1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장관(11)은 일단은 흡입헤드(16)에 피봇 연결되어 흡입헤드(16)가 연장관(11)에 대해 관절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11)은 연장관 연결부(11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 연결부(11a)는 연장관(11)을 청소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연장관(11)은 연장관 분리버튼(11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장관 분리버튼(11b)을 눌러 연장관(11)을 청소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연장관(11)을 청소기 본체(10)로부터 분리 한 후, 흡입헤드(16)를 청소기 본체(10)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청소기 본체(10)의 연장관(11)은 흡입헤드 연결부(11c)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헤드 연결부(11c)는 흡입헤드(16)를 청소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거나 청소기 본체(10)에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청소기 본체(10)는 배터리(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5)는 청소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5)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청소기 거치장치 또는 도킹 스테이션(미도시)등에 마련된 충전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15)는 도킹 스테이션에 마련된 충전단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이하, 진공청소기(1)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3)에 마련된 전원 버튼을 이용하여 청소기 본체(10) 내부의 흡입유닛(1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1)의 흡입헤드(16)를 청소하고자 하는 피청소면과 접촉시키고, 핸들(12)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면서 외부 공기와 먼지 등을 흡입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를 가동시키면 외부 공기는 흡입헤드(16) 및 사이클론(미도시)을 통해 먼지통(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먼지를 포함하는 외부 공기는 회전되면서 원심분리챔버(미도시)로 유입되고, 원심력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는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먼지통(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진행 방향의 변화 없이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에 장착된 필터(15)를 통과한다.
이 때, 공기 중에 남아 있는 미세먼지는 필터(15)에 의해 제거되고, 흡입유닛(100)을 통해 진공청소기(1)의 배기부(14a)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유닛이 장착된 청소기본체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의 A-A'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유닛의 단면 상태를 도시하며, 도 5 는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은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1)의 흡입유닛(100)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청소기 본체(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흡입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모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400)는 스테이터(410)와 로터 어셈블리(4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모터(400)를 제어하는 회로기판(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모터(400)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300,5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0,500)은 상부 하우징(300)과 하부 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모터(400)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임펠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하우징(110)은 임펠러(200)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하우징(110)은 임펠러(2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 하우징(110)은 상부 하우징(3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흡입 하우징(110)은 임펠러(200)의 축 방향(X)을 따라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하우징(1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입 하우징(110)에는 공기가 흡입유닛(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흡입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하우징(110)은 쉬라우드(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111a)는 임펠러(200)와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쉬라우드(111a)는 흡입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쉬라우드(111a)는 공기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 하우징(110)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모터(400)는 샤프트(421)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임펠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00)는 샤프트(421)가 결합되는 샤프트 결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결합부(210)에 샤프트(421)가 결합되면, 임펠러(200)는 샤프트(4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임펠러(200)는 허브(230)와, 허브(230)로부터 돌출되어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22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230)는 샤프트(421)의 축 방향을 따라 그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마련되어 임펠러(200)가 회전함에 따라 축 방향(X)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샤프트(421)의 반경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220)는 허브(230)에 마련되어 허브(230)와 함께 회전하여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220)는 허브(230)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허브(230)의 내측에는 베어링(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고, 허브(230)의 외측에는 복수의 날개(220)가 배치되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300,500)은 스테이터(410) 및 로터 어셈블리(420)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300,500)은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00,500)은 사출물을 사용하므로 금속으로 제조된 하우징에 비해 비교적 가벼운 무게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300,500) 중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하우징(300)은 제1하우징이 될 수 있다.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하우징(500)은 제2하우징이 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00)과 하부 하우징(500)은 로터(422)와 스테이터(4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00)과 하부 하우징(500)이 결합됨으로써 로터(422)는 스테이터(410)와 간격을 두고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00)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00)은 흡입 하우징(110)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외주면(320)과, 스테이터(410) 및 로터(422)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상면(310)과, 상면(310)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되며 외주면(320)과의 사이에 유로(340)를 형성하는 내주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00)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하우징(500)과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322)는 외주면(320)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322)는 상부 하우징(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는 3 개가 이격되어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하우징(300)은 상부프레임(430)이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00)의 안착부(312)에는 모터(400)의 샤프트(421)가 관통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00)은 임펠러(20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흐르는 유로(340)와, 유로(340)를 흐르는 공기를 가이드 하는 디퓨져베인(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00)은 디퓨져베인(330)이 마련된 디퓨져(600)가 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330)은 상부 하우징(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330)은 상부 하우징(300)이 사출될 때 함께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330)에 대해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하부 하우징(500)은 모터(400)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모터 안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안착부(312)에는 하부 프레임(440)이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500)은 상부 하우징(300)의 제1결합부(322)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제2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520)는 제1결합부(322)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322)와 제2결합부(520)는 결합부재(540)를 통해 상부 하우징(300)과 하부 하우징(5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하부 하우징(500)에는 결합부재(54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결합홀(530)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540)는 하부 하우징(500)의 결합홀(530)을 관통하여 상부 하우징(300)과 하부 하우징(5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모터(400)는 상부프레임(430)과 하부 프레임(440)에 의해 상부 하우징(300)과 하부 하우징(5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430)과 하부 프레임(440)은 각각 제1접촉리브(431)와 제2접촉리브(4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촉리브(431)는 상부프레임(43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스테이터 코어(413)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접촉리브(441)는 하부 프레임(44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스테이터 코어(413)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촉리브(4)와 제2접촉리브(44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터(400)의 스테이터(410)는 스테이터 코어(413), 스테이터 코일(412), 인슐레이터(411), 로터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410)는 스테이터 코일(412)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속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413)의 중앙부에는 로터(422)를 수용하기 위한 로터 수용부(414)가 마련될 수 있다. 로터(422)는 로터 수용부(414)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422)는 스테이터(410)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로터(422)는 자성을 가지는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거나, 전자기적 성질을 가지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410)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일(412)은 인슐레이터(411)가 스테이터 코어(4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테이터 코어(413)에 권선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411)는 전기적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411)는 스테이터 코어(413)를 감싸서 스테이터 코어(413)와 스테이터 코일(412)을 절연시킨다.
모터(400)는 인슐레이터(411)를 회로기판(190)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로터 어셈블리(420)는 샤프트(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421)는 로터(422)가 스테이터(410)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터(400)는 속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회로기판(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190)은 모터(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 은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 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 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의 부분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은 도 9의 부분 확대도로서,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베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 은 도 9 의 디퓨져 베인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 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이하, 미 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도 7 내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닛(100)의 유로(340)는 디퓨져 유로(34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300)은 디퓨져(6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디퓨져(600)는 케이싱(611,6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611,620)은 제1케이싱(611) 및 제2케이싱(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싱(620)은 제1케이싱(6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케이싱(620)은 제1케이싱(611)의 외측 둘레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케이싱(611)과 제2케이싱(620)의 사이에는 디퓨져 유로(3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싱(611)은 원판 향상의 상면(610)과 상면(61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싱(611)은 안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싱(611)의 안착부(312)는 상면(61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12)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임펠러(200)는 제1케이싱(611)의 안착부(312)를 통해 모터(400)의 샤프트(42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케이싱(62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싱(620)은 제1케이싱(611)의 내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싱(620)은 내면으로부터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케이싱(620)은 내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600)는 디퓨져유로(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유로(640)는 임펠러(2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싱(611,62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져유로(640)는 제1케이싱(611) 및 제2케이싱(6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져유로(640)는 제1케이싱(611)의 내면과 제2케이싱(620)의 외면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져유로(640)는 임펠러(2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상류에 위치하는 입구(640a) 및 임펠러(2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하류에 위치하는 출구(640b)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600)는 복수의 디퓨져베인(6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퓨져베인(630)은 임펠러(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디퓨져유로(640)에 위치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제1케이싱(611)과 제2케이싱(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제1케이싱(611)과 제2케이싱(6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케이싱(611,620)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케이싱(611,6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제1케이싱(611) 및 제2케이싱(620)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제1케이싱(611)과 제2케이싱(620)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1케이싱(611) 및 제2케이싱(620)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디퓨져베인(630)은 디퓨져유로(640)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임펠러(200)의 회전 방향(R)을 따라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임펠러(200)의 축 방향 단면이 에어 포일(Airfoil)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임펠러(200)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20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공기의 회전 유동은 디퓨져베인(630)을 따라 축류 유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베인 바디(630a)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베인(330)은 하나의 베인 바디(630a)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인 바디(630a)는 단면이 에어 포일 형상을 형성하도록 일측에 마련되는 제1면(631)과, 제1면(631)에 연결되는 제2면(632)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베인 바디(630a)의 제1면(631)과 제2면(6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회전 유동에서 축류 유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은 그 유동이 따르는 유동면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어, 유동 저항을 증가시키고 손실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퓨져베인(630)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베인 바디의 압력면에서 유체 박리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베인 바디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압력이 높은 영역에서 떨어져 나가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디퓨져베인(630)은 통로(7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유체 박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통로(7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적어도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통로(7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의 유체 박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베인 바디(630a)에 통로(700)를 형성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은 하나의 베인 바디(630a)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통로(7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로(700)는 디퓨져베인(630)을 형성하는 베인 바디(630a)의 두께(t)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330)의 통로(700)는 디퓨져베인(330)의 두께(t)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로는 디퓨져베인의 베인 바디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로는 디퓨져베인의 중심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로는 디퓨져베인의 베인 바디의 중심에 한 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로는 베인 바디에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디퓨져베인(630)의 통로(700)는 입구부(710)와 입구부(7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출구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로(700)의 입구부(710)와 출구부(720)는 연결될 수 있다. 통로(700)의 입구부(710)와 출구부(720)는 디퓨져베인(630)의 두께(t)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로(700)의 입구부(710)는 베인 바디(630a)의 제2면(632)에 위치될 수 있다. 통로(700)의 출구부(720)는 베인 바디(630a)의 제1면(631)에 위치될 수 있다. 통로(700)의 입구부(710)와 출구부(720)는 서로 연결되어 베인 바디(632a)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로(700)의 입구부(710)와 출구부(720)는 디퓨져베인(630)의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통로(700)의 입구부(710)와 출구부(720)는 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통로(700)의 입구부(710)와 출구부(720)는 적어도 일부에 곡률을 포함하는 곡면부(7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곡면부(730)는 출부구(720)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곡면부는 입구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통로(700)를 형성하는 입구부(710)는 베인 바디(630a)의 제2면(632)에 제1길이(d1)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700)를 형성하는 출구부(720)는 베인 바디(630a)의 제1면(631)에 제2길이(d2)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700)의 입구부(710)와 출구부(720)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통로(700)의 입구부(710)의 제1길이(d1)는 출구부(720)의 제2길이(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로의 입구부를 형성하는 제1길이와 출구부를 형성하는 제2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로를 형성하는 입구부의 제1길이와 출구부의 제2길이는 서로 같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통로(700)의 입구부(710)의 제1길이(d1)는 출구부(720)의 제2길이(d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통로(700)를 형성하는 출구부(720)는 베인 바디(630a)의 제1면(631)에 제2길이(d2)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700)의 출구부(720)는 제1각도(θ1)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출구부(720)의 제1각도(θ1)는 베인 바디(630a)의 제1면(631)의 접선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통로(700)의 입구부(710)는 제2각도(θ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입구부(710)의 제2각도(θ2)는 베인 바디(630a)의 제2면(632)의 접선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통로(700)의 출구부(720)의 제1각도(θ1)와 입구부(710)의 제2각도(θ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통로(700)를 형성하는 입구부(710)는 베인 바디(630a)의 폭(w)방향으로 내측, 즉 제1케이싱(611) 측에 위치되는 제1내측점(7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구부(710)는 베인 바디(630a)의 폭(w) 방향으로 외측, 즉 제2케이싱(620) 측에 위치되는 제1외측점(7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측점(711)과 제1외측점(712)은 동일한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입구부(710)의 제1내측점(711)과 제1외측점(712)은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700)를 형성하는 출구부(720)는 베인 바디(630a)의 폭(w) 방향으로 내측, 즉 제1케이싱(611) 측에 위치되는 제2내측점(7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구부(720)는 베인 바디(630a)의 폭(w) 방향으로 외측, 즉 제2케이싱(620) 측에 위치되는 제2외측점(7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내측점(721)과 제2외측점(722)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내측점(721)과 제2외측점(722)은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디퓨져베인(630)의 베인 바디(630a)를 따라 축 방향으로 전환된다. 베인 바디(630a)를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베인 바디(630a)의 제1면(631)과 제2면(632)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베인 바디(630a)를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베인 바디(630a)의 통로(700)로 유도될 수 있다. 베인 바디(630a)를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베인 바디(630a)에 형성된 통로(700)로 유도될 수 있다. 임펠러(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디퓨져베인(630)의 베인 바디(630a)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베인 바디(630a)를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통로(700)의 입구부(710)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부(720)를 통해 이동한다.
디퓨져베인(330)의 통로(700)로 유도되는 공기의 유동은 임펠러(200)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유동이 축류 유동으로 전환 하기 위한 전체 유동의 방향 전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은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베인의 중심에서 상측에 위치된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 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베인에 복수개로 마련되는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 내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져(600)의 디퓨져베인(630)에 형성되는 통로(700A)는 디퓨져베인(630)의 중심(C)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의 통로(700A)의 위치는 디퓨져베인(630)의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의 통로(700A)는 하나의 베인 바디(630a)의 중심(C)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위치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의 통로(700A)는 베인 바디(630a)의 중심(C)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로는 베인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로는 디퓨져베인의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인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디퓨져(600)의 디퓨져베인(630)에 형성되는 통로(700A, 700B)는 디퓨져베인(630)의 중심(C)으로부터 상측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통로(700A) 및/또는 하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통로(700B)를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의 통로(700A, 700B)는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베인(630)의 제1통로(700A)는 하나의 베인 바디(630a)의 중심(C)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되거나, 제2통로(700B)는 하나의 베인 바디(630a)의 중심(C)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로는 베인 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상측과 하측으로 이격되어 2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로는 디퓨져베인의 박리가 발생되는 다양한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 는 일 실시예에 의한 디퓨져베인의 베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 은 도 15에 도시된 디퓨져베인의 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 은 도 15에 도시된 디퓨져베인의 베인을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내지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져베인(630)에 형성되는 통로(700C)는 박리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통로(700C)는 입구부(710C)와 출구부(720C)를 포함할 수 있다. 통로(700C) 입구부(710C) 및 출구부(720C)의 위치는 디퓨져베인(630)의 폭(w)방향으로 서로 다르게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퓨져(600)는 임펠러(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쉬라우드(111a)를 더 포함하고, 디퓨져베인(600)의 통로(700C)는 쉬라우드(111a) 측의 위치가 허브(230)측의 위치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통로(700C)는 폭 방향(w)으로 내측과 외측의 위치가 다르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로(700C)는 베인 바디(630)의 폭 방향(w)으로 내측의 위치가 외측의 위치 보다 위에 위치될 수 있다.
통로(700C)를 형성하는 입구부(710C)는 베인 바디(630a)의 폭(w)방향으로 내측, 즉 제1케이싱(611) 측에 위치되는 제1내측점(711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구부(710C)는 베인 바디(630a)의 폭(w) 방향으로 외측, 즉 제2케이싱(620) 측에 위치되는 제1외측점(71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측점(711C)과 제1외측점(712C)은 서로 상이한 높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내측점(711C)은 제1위치(P1)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외측점(712C)은 제2위치(P2)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는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위치(P1)는 제2위치(P2)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통로(700C)를 형성하는 출구부(720C)는 베인 바디(630a)의 폭(w) 방향으로 내측, 즉 제1케이싱(611) 측에 위치되는 제2내측점(721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구부(720C)는 베인 바디(630a)의 폭(w) 방향으로 외측, 즉 제2케이싱(620) 측에 위치되는 제2외측점(72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내측점(721C)은 제1위치(P1)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2외측점(722C)은 제2위치(P2)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는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위치(P1)는 제2위치(P2)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처럼, 디퓨져베인(630)의 유동 박리가 발생되는 위치에 통로(700C)가 형성됨으로써 유동의 손실을 방지하고 유동의 방향 전환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그 실시예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대체될 수 있다.
1 : 진공청소기 10 : 청소기본체
20 : 집진장치(먼지통) 100 : 흡입유닛
110 : 흡입 하우징 130 : 회로기판
200 : 임펠러 300 : 하우징(디퓨져)
310, 610 : 내주면, 제1케이싱 320, 620 : 외주면, 제2케이싱
330, 630 : 디퓨져베인 340, 640 : 유로, 디퓨져유로
400 : 모터 410 : 스테이터
420 : 로터 어셈블리 500 : 하부 하우징
700 : 통로 710 : 입구부
720 : 출구부

Claims (20)

  1. 본체 내부에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디퓨져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베인 각각은,
    그 단면이 에어 포일 형상인 하나의 베인 바디로 마련되되, 상기 베인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관통하여 마련되는 통로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바디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출구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임펠러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진공청소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위치는 상기 디퓨져베인의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위치는 상기 디퓨져베인의 폭(w)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의 각도는 상기 제1면의 접선 방향에 대응하는 진공청소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길이는 상기 출구부의 길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적어도 일부에 곡률을 갖는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0. 본체;
    상기 본체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 헤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임펠러;
    상기 모터와 상기 임펠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모터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제1케이싱과,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디퓨져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케이싱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의 사이에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베인을 포함하며,
    상기 디퓨져베인은,
    그 단면이 에어 포일 형상인 하나의 베인 바디로 마련되되, 상기 베인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관통하여 마련되는 통로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바디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후면을 형성하는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 사이를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진공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제2면에 형성되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면에 형성되는 출구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임펠러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진공청소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위치는 상기 디퓨져베인의 두께(t)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위치는 상기 디퓨져베인의 폭(w)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의 각도는 상기 제1면의 접선 방향에 대응하는 진공청소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의 길이(d1)는 상기 출구부의 길이(d2) 보다 크게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18. 본체;
    상기 본체로 피청소면의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마련되는 흡입 헤드; 및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모터와,
    상기 모터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 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마련되는 디퓨져베인을 포함하며,
    상기 디퓨져베인은,
    그 단면이 에어 포일 형상인 하나의 베인 바디로 마련되되, 상기 베인 바디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관통하여 마련되는 통로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에 연결되는 출구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의 위치는 상기 디퓨져베인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지는 진공청소기.
KR1020220000243A 2022-01-03 2022-01-03 진공청소기 KR20230105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243A KR20230105100A (ko) 2022-01-03 2022-01-03 진공청소기
PCT/KR2022/017268 WO2023128231A1 (ko) 2022-01-03 2022-11-04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243A KR20230105100A (ko) 2022-01-03 2022-01-03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100A true KR20230105100A (ko) 2023-07-11

Family

ID=8699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243A KR20230105100A (ko) 2022-01-03 2022-01-03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5100A (ko)
WO (1) WO20231282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447A (ja) * 2002-07-24 2004-02-26 Sanden Corp 多翼ファン
US20120186036A1 (en) * 2011-01-25 2012-07-26 Kegg Steven W Diffuser for a vacuum cleaner motor-fan assembly
KR102017918B1 (ko) * 2011-10-13 2019-09-03 악티에볼라겟 엘렉트로룩스 진공 청소기
JP2014040807A (ja) * 2012-08-23 2014-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プロペラファン
CN113074138B (zh) * 2020-01-06 2022-05-17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扩压装置、风机及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231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393B1 (ko) 진공청소기
US10512380B2 (en) Vacuum cleaner with motor assembly
CN111742148B (zh) 电动鼓风机、电动吸尘器以及手干燥装置
US20040123482A1 (en) Electric blower and vacuum cleaner using same
JP3724413B2 (ja) 電気掃除機用電動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EP2378132A1 (en) Electric blower and electric vacuum cleaner utilizing the same
CN109477496B (zh) 电动送风机及电气设备
CN111622984A (zh) 送风装置及吸尘器
US20200217330A1 (en) Blower and vacuum cleaner
WO2017090480A1 (ja)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
KR20230105100A (ko) 진공청소기
JP2018017197A (ja)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気掃除機
US20210408868A1 (en) Motor assembly and cleaner including the same
CN112814947A (zh) 送风装置及吸尘器
JP4625722B2 (ja) 電動送風機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2509475A (ja) 吸引装置
CN111749911B (zh) 送风装置和吸尘器
CN111306079B (zh) 送风装置和吸尘器
KR20220111968A (ko) 진공청소기
CN113708561A (zh) 无刷电机及其叶轮
JP3331878B2 (ja) 電気掃除機
CN112018909A (zh) 送风装置和吸尘器
JP5989316B2 (ja)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US20200378398A1 (en) Impeller, blower, and vacuum cleaner
CN111588303A (zh) 吸尘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