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293A - 지지 부재 - Google Patents

지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293A
KR20230104293A KR1020237020817A KR20237020817A KR20230104293A KR 20230104293 A KR20230104293 A KR 20230104293A KR 1020237020817 A KR1020237020817 A KR 1020237020817A KR 20237020817 A KR20237020817 A KR 20237020817A KR 20230104293 A KR20230104293 A KR 20230104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load
upper member
downward
lo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0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츠노리 히로세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04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2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3Deformation involving a bending action, e.g. strap moving through multiple rollers, folding of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54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machine tool with respect to its supporting surface

Abstract

[과제] 진동의 대소(大小)에 관계없이, 피(被)지지체의 진동이 바닥면(床面)에 전달되는 것과, 바닥면의 진동이 피지지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지지 부재가 제공된다. 지부 부재는, 피지지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재치(載置; 올려놓음)하여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부를 구비하는 상측 부재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는,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측 부재를 재치하는 하측 부재를 구비한다. 상측 부재는, 평면 뷰(平面視)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하중받이부가 받은 피지지체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휘는 제1 휨부를 구비한다. 하측 부재는, 하방으로 휜 제1 휨부에 눌려 하방으로 휘는 제2 휨부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에는, 하중받이부가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음으로 인해, 하방으로 휜 제1 휨부와, 제1 휨부에 눌려 하방으로 휜 제2 휨부가 슬라이딩(摺動)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지지 부재
[0001] 본 발명은, 지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0002] 피(被)지지체를 지지하며, 피지지체의 진동을 억제하는 지지 부재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지지 부재는, 피지지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재치(載置; 올려놓음)하여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부를 구비하는 상측 부재와, 바닥면(床面)에 배치되어 상측 부재를 재치하는 하측 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지지 부재는, 피지지체가 진동한 경우에,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의 접촉면에 생기는 마찰 감쇠를 이용하여, 피지지체의 진동을 억제한다.
[0003]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5-112706호
[0004]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지지 부재는, 마찰 감쇠를 이용하여 피지지체의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지만, 하측 부재에 대해 상측 부재가 단순히 횡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큰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면, 마찰 감쇠 효과를 얻기 어렵다.
[0005] 본 발명은, 진동의 대소(大小)에 관계없이, 피지지체의 진동이 바닥면에 전달되는 것과, 바닥면의 진동이 피지지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지지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6]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지지 부재가 제공된다. 지부 부재는, 피지지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재치하여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부를 구비하는 상측 부재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는,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측 부재를 재치하는 하측 부재를 구비한다. 상측 부재는, 평면 뷰(平面視)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하중받이부가 받은 피지지체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휘는 제1 휨부를 구비한다. 하측 부재는, 하방으로 휜 제1 휨부에 눌려 하방으로 휘는 제2 휨부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에는, 하중받이부가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음으로 인해, 하방으로 휜 제1 휨부와, 제1 휨부에 눌려 하방으로 휜 제2 휨부가 슬라이딩(摺動)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이 형성된다.
[0007]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지지 부재가 제공된다. 지지 부재는, 피지지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재치하여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부를 구비하는 상측 부재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는,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측 부재를 재치하는 하측 부재를 구비한다. 상측 부재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하중받이부가 받은 피지지체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휘는 휨부를 구비한다. 상측 부재는, 휨부의 주위의 부분에, 하측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부(當接部)를 구비한다. 접촉부는, 휨부가 하방으로 휨으로써 자세가 변화한다. 지지 부재에는, 하중받이부가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음으로 인해, 휨부가 휨으로써 자세가 변화한 접촉부와, 하측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이 형성된다.
[0008] 본 발명에 의한 지지 부재는, 진동의 대소에 관계없이, 피지지체의 진동이 바닥면에 전달되는 것과, 바닥면의 진동이 피지지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09] 제1 양태의 지지 부재는, 피지지체 또는 바닥면이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에 있어서 제1 휨부와 제2 휨부가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피지지체가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에 있어서 제1 휨부와 제2 휨부가 슬라이딩하여, 피지지체의 진동이 바닥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이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에 있어서 제1 휨부와 제2 휨부가 슬라이딩하여, 바닥면의 진동이 피지지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10] 제1 양태의 지지 부재에 있어서의 제1 휨부와 제2 휨부 사이에는, 하중받이부가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고 있지 않을 때 간극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에 돌출부가 재치되었을 때, 하방으로 휜 제1 휨부와, 제1 휨부에 눌려 하방으로 휜 제2 휨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0011] 제1 양태의 지지 부재에 있어서의 하측 부재는, 바닥면에 접하는 복수의 다리부(脚部)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하측 부재는, 제2 휨부로서, 복수의 다리부에 둘러싸인 함몰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에 돌출부가 재치되었을 때, 제1 휨부에 눌려 제2 휨부를 적절히 휘게 할 수 있다.
[0012] 제1 양태의 지지 부재에 있어서의 상측 부재는, 하측 부재보다 강성이 낮아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에 돌출부가 재치되었을 때, 제1 휨부가 하방으로 휘는 양과, 제1 휨부에 눌려 제2 휨부가 하방으로 휘는 양을 상이하게 할 수 있어, 슬라이딩 영역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0013] 제2 양태의 지지 부재는, 피지지체 또는 바닥면이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에 있어서 접촉부와 하측 부재가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피지지체가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에 있어서 접촉부와 하측 부재가 슬라이딩하여, 피지지체의 진동이 바닥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이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에 있어서 접촉부와 하측 부재가 슬라이딩하여, 바닥면의 진동이 피지지체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14]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지지 부재에 있어서의 상측 부재의 하면과 하측 부재의 상면 중 어느 한쪽에는 오목 형상(凹狀)의 피(被)끼움결합부(嵌合部)가 형성되고, 어느 다른 쪽에는 피끼움결합부에 끼움결합되는 볼록 형상(凸狀)의 끼움결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에 돌출부가 재치되어 있을 때, 피지지체 또는 바닥면이 진동하더라도, 하측 부재에 대해 상측 부재가 과도하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15]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지지 부재에 있어서의 상측 부재 및 하측 부재는, 평면 뷰에 있어서, 모두 외측 가장자리(外緣)가 동일한 직경의 원형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에 돌출부가 재치되었을 때, 평면 뷰에 있어서의 적절한 위치에 슬라이딩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0016] 제1 양태 및 제2 양태의 지지 부재에 있어서의 하중받이부는, 돌출부를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凹部)의 저부(底部)여도 된다. 이에 의해, 피지지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돌출부를 적절히 재치할 수 있다.
[0017] 또한, 상기의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의 필요한 특징 모두를 열거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특징군(群)의 서브 콤비네이션도 또한, 발명이 될 수 있다.
[0018] 도 1은, 지지 부재(100)의 이용 형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측 부재(110)와 하측 부재(120)를 분리한 상태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측 부재(110)와 하측 부재(120)를 분리한 상태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측 부재(110)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 및 평면도에 있어서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측 부재(120)를 하방에서 본 평면도, 및 평면도에 있어서의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하중받이부(111)가 피지지체(S)의 하중을 받고 있지 않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지지 부재(10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중받이부(111)가 피지지체(S)의 하중을 받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지지 부재(10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하방으로 휜 상측 부재(110)의 제1 휨부(113)에 눌렸을 때, 하측 부재(120)에 가해지는 접촉압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하중받이부(211)가 피지지체(S)의 하중을 받고 있지 않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지지 부재(200)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하중받이부(211)가 피지지체(S)의 하중을 받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지지 부재(200)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휨부(213)가 하방으로 휨으로써 접촉부(214)의 자세가 변화하였을 때, 하측 부재(220)에 가해지는 접촉압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0019] 이하에서는,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겠지만, 이하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내에서 설명되고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0020] 도 1은, 지지 부재(100)의 이용 형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지지 부재(100)는, 피지지체(S)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도 1에 나타낸 지지 부재(100)는, 피지지체(S)로서 공작 기계를 지지하고 있다. 공작 기계는, 피지지체(S)의 일례이다. 지지 부재(100)는, 상측 부재(110)와 하측 부재(120)를 구비한다. 하측 부재(120)는, 바닥면(F)에 배치되어 상측 부재(110)를 재치한다.
[0021] 도 2는, 상측 부재(110)와 하측 부재(120)를 분리한 상태를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측 부재(110)와 하측 부재(120)를 분리한 상태를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측 부재(110)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 및 평면도에 있어서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하측 부재(120)를 하방에서 본 평면도, 및 평면도에 있어서의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0022] 상측 부재(110)는, 피지지체(S)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를 재치하여 피지지체(S)의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부(111)를 구비한다. 예컨대 피지지체(S)가 공작 기계인 경우, 상측 부재(110)의 하중받이부(111)는, 공작 기계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높이 조정용 볼트를 재치하여 공작 기계의 하중을 받는다. 높이 조정용 볼트는, 돌출부(P)의 일례이다.
[002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부재(110)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형상이 원형인 부재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부재(120)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형상이 원형인 부재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부재(110) 및 하측 부재(120)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의 직경이 동일하다.
[0024]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뷰에 있어서 상측 부재(110)의 상부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는, 피지지체(S)의 돌출부(P)를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115)가 형성된다. 하중받이부(111)는, 오목부(115)의 저부이다.
[0025]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부재(110)의 하면에는, 오목 형상의 피끼움결합부(112)가 형성된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부재(120)의 상면에는, 상측 부재(110)의 피끼움결합부(112)에 끼움결합되는 볼록 형상의 끼움결합부(121)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상측 부재(110)에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하중받이부(111)의 직경보다 충분히 큰 직경의 원형의 피끼움결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하측 부재(120)에는, 상측 부재(110)의 피끼움결합부(112)에 끼움결합 가능해지도록, 평면 뷰에 있어서의 피끼움결합부(112)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끼움결합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 형상의 피끼움결합부는, 하측 부재(120)의 상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그 경우, 상측 부재(110)의 하면에는, 하측 부재(120)의 피끼움결합부에 끼움결합되는 볼록 형상의 끼움결합부가 형성된다.
[0026]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부재(120)는, 바닥면(F)에 접하는 복수의 다리부(122)를 구비한다. 평면 뷰에 있어서 복수의 다리부(122)에 둘러싸인 중앙 부분에는, 다리부(122)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오목한 함몰부(124)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하측 부재(120)는, 평면 뷰에 있어서 중앙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3개의 다리부(122)를 둘레 방향(周方向)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구비하고 있다.
[0027]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부재(110)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하중받이부(111)가 받은 피지지체(S)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휘는 제1 휨부(113)를 구비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부재(120)는, 하방으로 휜 상측 부재(110)의 제1 휨부(113)에 눌려 하방으로 휘는 제2 휨부(123)로서, 복수의 다리부(122)에 둘러싸인 부분에 함몰부(124)를 구비한다.
[0028] 도 6은, 하중받이부(111)가 피지지체(S)의 하중을 받고 있지 않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지지 부재(10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중받이부(111)가 피지지체(S)의 하중을 받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지지 부재(100)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하방으로 휜 상측 부재(110)의 제1 휨부(113)에 눌렸을 때, 하측 부재(120)에 가해지는 접촉압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0029] 지지 부재(100)는, 피지지체(S)를 바닥면(F)에 배치할 때, 상측 부재(110)의 피끼움결합부(112)에 하측 부재(120)의 끼움결합부(121)를 끼움결합한 상태로, 피지지체(S)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지지 부재(100)는, 공작 기계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높이 조정용 볼트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0030] 상측 부재(110)의 하중받이부(111)가 피지지체(S)의 하중을 받고 있지 않을 때,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부재(110)의 제1 휨부(113)의 하면과 하측 부재(120)의 제2 휨부(123)의 상면 사이에는, 간극 G1이 형성된다.
[0031] 상측 부재(110)의 하중받이부(111)에 피지지체(S)의 돌출부(P)가 재치되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받이부(111)가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음으로 인해, 상측 부재(110)의 제1 휨부(113)가 하방으로 휜다. 상측 부재(110)의 제1 휨부(113)가 하방으로 휘면, 하측 부재(120)의 제2 휨부(123)는, 상측 부재(110)의 제1 휨부(113)에 눌려 하방으로 휜다. 이때, 하측 부재(120)의 제2 휨부(123)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뷰에 있어서, 다리부(122)의 위치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 R1보다, 다리부(122)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 R2에 대해 높은 접촉압이 가해진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촉압의 분포는, 상측 부재(110)의 강성보다 하측 부재(120)의 강성이 낮아지도록, 상측 부재(110) 및 하측 부재(120)의 두께, 소재 등을 설정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0032] 그리고, 지지 부재(100)에는, 하방으로 휜 상측 부재(110)의 제1 휨부(113)와, 제1 휨부(113)에 눌려 하방으로 휜 하측 부재(120)의 제2 휨부(123)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 SA1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영역 SA1이 형성된 상태의 지지 부재(100)는, 피지지체(S)가 진동하면, 슬라이딩 영역 SA1에 있어서 제1 휨부(113)와 제2 휨부(123)가 슬라이딩함으로써, 피지지체(S)의 진동이 바닥면(F)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슬라이딩 영역 SA1이 형성된 상태의 지지 부재(100)는, 바닥면(F)이 진동하면, 슬라이딩 영역 SA1에 있어서 제1 휨부(113)와 제2 휨부(123)가 슬라이딩함으로써, 바닥면(F)의 진동이 피지지체(S)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003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0)는, 피지지체(S)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를 재치하여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는 하중받이부(111)를 구비하는 상측 부재(110)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 부재(100)는, 바닥면(F)에 배치되어 상측 부재(110)를 재치하는 하측 부재(120)를 구비한다. 상측 부재(110)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하중받이부(111)가 받은 피지지체(S)의 하중 L에 의해 하방으로 휘는 제1 휨부(113)를 구비한다. 하측 부재(120)는, 하방으로 휜 제1 휨부(113)에 눌려 하방으로 휘는 제2 휨부(123)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100)에는, 하중받이부(111)가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음으로 인해, 하방으로 휜 제1 휨부(113)와, 제1 휨부(113)에 눌려 하방으로 휜 제2 휨부(123)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 SA1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진동의 대소에 관계없이, 피지지체(S)의 진동이 바닥면(F)에 전달되는 것과, 바닥면(F)의 진동이 피지지체(S)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34] 또한, 지지 부재(100)는, 피지지체(S) 또는 바닥면(F)이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 SA1에 있어서 제1 휨부(113)와 제2 휨부(123)가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피지지체(S)가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 SA1에 있어서 제1 휨부(113)와 제2 휨부(123)가 슬라이딩하여, 피지지체(S)의 진동이 바닥면(F)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F)이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 SA1에 있어서 제1 휨부(113)와 제2 휨부(123)가 슬라이딩하여, 바닥면(F)의 진동이 피지지체(S)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35] 또한, 제1 휨부(113)와 제2 휨부(123) 사이에는, 하중받이부(111)가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고 있지 않을 때 간극 G1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111)에 돌출부(P)가 재치되었을 때, 제1 휨부(113)와 제2 휨부(123)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 SA1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0036] 또한, 하측 부재(120)는, 바닥면(F)에 접하는 복수의 다리부(122)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하측 부재(120)는, 제2 휨부(123)로서, 복수의 다리부(122)에 둘러싸인 함몰부(124)를 구비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111)에 돌출부(P)가 재치되었을 때, 제1 휨부(113)에 눌려 제2 휨부(123)를 적절히 휘게 할 수 있다.
[0037] 또한, 상측 부재(110)는, 하측 부재(120)보다 강성이 낮아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111)에 돌출부(P)가 재치되었을 때, 제1 휨부(113)가 하방으로 휘는 양과, 제2 휨부(123)가 하방으로 휘는 양을 상이하게 할 수 있어, 슬라이딩 영역 SA1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0038] 또한, 상측 부재(110)의 하면과 하측 부재(120)의 상면 중 어느 한쪽에는 오목 형상의 피끼움결합부가 형성되고, 어느 다른 쪽에는 피끼움결합부에 끼움결합되는 볼록 형상의 끼움결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111)에 돌출부(P)가 재치되어 있을 때, 피지지체(S) 또는 바닥면(F)이 진동하더라도, 하측 부재(120)에 대해 상측 부재(110)가 과도하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39] 또한, 상측 부재(110) 및 하측 부재(120)는, 평면 뷰에 있어서, 모두 외측 가장자리가 동일한 직경의 원형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111)에 돌출부(P)가 재치되었을 때, 평면 뷰에 있어서의 적절한 위치에 슬라이딩 영역 SA1을 형성할 수 있다.
[0040] 또한, 하중받이부(111)는, 돌출부(P)를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115)의 저부여도 된다. 이에 의해, 피지지체(S)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를 오목부(115)에 삽입함으로써, 돌출부(P)를 적절히 재치할 수 있다.
[0041] 도 9 내지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부재(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하중받이부(211)가 피지지체(S)의 하중을 받고 있지 않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지지 부재(200)의 단면도이다. 지지 부재(200)는, 피지지체(S)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지지 부재(200)는, 상측 부재(210)와 하측 부재(220)를 구비한다.
[0042] 상측 부재(210)는, 피지지체(S)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를 재치하여 피지지체(S)의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부(211)를 구비하는 부재이다. 하측 부재(220)는, 바닥면(F)에 배치되어 상측 부재(210)를 재치하는 부재이다.
[0043] 상측 부재(210)는, 지지 부재(100)의 상측 부재(110)와 마찬가지로, 평면 뷰에 있어서의 형상이 원형인 부재이다. 하측 부재(220)는, 지지 부재(100)의 하측 부재(120)와 마찬가지로, 평면 뷰에 있어서의 형상이 원형인 부재이다. 그리고, 상측 부재(210) 및 하측 부재(220)는, 지지 부재(100)의 상측 부재(110) 및 하측 부재(120)와 마찬가지로, 평면 뷰에 있어서의 외측 가장자리의 직경이 동일하다.
[0044] 평면 뷰에 있어서 상측 부재(210)의 상부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는, 피지지체(S)의 돌출부(P)를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215)가 형성된다. 하중받이부(111)는, 오목부(215)의 저부이다.
[0045] 상측 부재(210)의 하면에는, 오목 형상의 피끼움결합부(212)가 형성된다. 한편, 하측 부재(220)의 상면에는, 상측 부재(210)의 피끼움결합부(212)에 끼움결합되는 볼록 형상의 끼움결합부(221)가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낸 상측 부재(210)에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하중받이부(211)의 직경보다 충분히 큰 직경의 원형의 피끼움결합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측 부재(120)에는, 상측 부재(210)의 피끼움결합부(212)에 끼움결합 가능해지도록, 평면 뷰에 있어서의 피끼움결합부(212)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끼움결합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 형상의 피끼움결합부는, 하측 부재(220)의 상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그 경우, 상측 부재(210)의 하면에는, 하측 부재(220)의 피끼움결합부에 끼움결합되는 볼록 형상의 끼움결합부가 형성된다.
[0046] 하측 부재(120)는, 바닥면(F)에 접하는 복수의 다리부(222)를 구비한다. 도 9에 나타낸 하측 부재(220)는, 평면 뷰에 있어서 중앙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3개의 다리부(222)를 둘레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구비하고 있다.
[0047] 상측 부재(210)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하중받이부(211)가 받은 피지지체(S)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휘는 휨부(213)를 구비한다. 또한, 상측 부재(210)는, 휨부(213)의 주위의 부분에, 하측 부재(220)의 평면부(225)에 접촉부를 구비한다. 접촉부(214)는, 휨부(213)가 하방으로 휨으로써 자세가 변화한다.
[0048] 도 10은, 하중받이부(211)가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지지 부재(200)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휨부(213)가 하방으로 휨으로써 접촉부(214)의 자세가 변화하였을 때, 하측 부재(220)에 가해지는 접촉압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0049] 지지 부재(200)는, 피지지체(S)를 바닥면(F)에 배치할 때, 상측 부재(210)의 피끼움결합부(212)에 하측 부재(220)의 끼움결합부(221)를 끼움결합한 상태로, 피지지체(S)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0050] 상측 부재(210)의 하중받이부(211)가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고 있지 않을 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부재(210)의 휨부(213)의 하면과 하측 부재(220)의 상면 사이에는, 간극 G2가 형성된다. 간극 G2는, 상측 부재(210)의 하중받이부(211)가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음으로 인해, 상측 부재(210)의 휨부(213)의 하면과 하측 부재(220)의 상면이 접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된다. 또한, 상측 부재(210)의 하중받이부(211)가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고 있지 않을 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부재(210)는, 휨부(213)의 하면 전체가 하측 부재(220)의 평면부(225)에 접촉하고 있다.
[0051] 상측 부재(210)의 하중받이부(211)에 피지지체(S)의 돌출부(P)가 재치되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중받이부(211)가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음으로 인해, 상측 부재(210)의 휨부(213)가 하방으로 휜다. 상측 부재(210)의 휨부(213)의 하면과 하측 부재(220)의 상면 사이에는, 상측 부재(210)의 휨부(213)가 하방으로 휘더라도, 간극 G2보다 작은 간극 G3이 형성된다. 상측 부재(210)의 접촉부(214)는, 상측 부재(210)의 휨부(213)의 하면과 하측 부재(220)의 상면이 접하지 않는 데 기인하여, 평면 뷰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徑方向)의 외측으로 밀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세가 변화한다. 상측 부재(210)는, 접촉부(214)의 하면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의 외측의 부분이 하측 부재(220)의 평면부(225)로부터 이격되어 부상하고, 접촉부(214)의 하면에 있어서의 지름 방향의 내측의 부분이 평면부(225)에 접촉하고 있다. 이때, 하측 부재(220)의 평면부(225)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부재(210)의 접촉부(214)와 접하고 있지 않은 영역 R3에는 접촉압이 가해지지 않고, 접촉부(214)와 접하고 있는 영역 R4에 대해 접촉압이 가해진다.
[0052] 그리고, 지지 부재(200)에는, 상측 부재(210)의 휨부(213)가 휘어 자세가 변화한 접촉부(214)와, 하측 부재(220)의 평면부(225)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 SA2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영역 SA2가 형성된 상태의 지지 부재(200)는, 피지지체(S)가 진동하면, 슬라이딩 영역 SA2에 있어서 접촉부(214)와 하측 부재(220)의 평면부(225)가 슬라이딩함으로써, 피지지체(S)의 진동이 바닥면(F)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슬라이딩 영역 SA2가 형성된 상태의 지지 부재(200)는, 바닥면(F)이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 SA2에 있어서 접촉부(214)와 하측 부재(220)의 평면부(225)가 슬라이딩함으로써, 바닥면(F)의 진동이 피지지체(S)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005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00)는, 피지지체(S)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를 재치하여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는 하중받이부(211)를 구비하는 상측 부재(210)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 부재(200)는, 바닥면(F)에 배치되어 상측 부재(210)를 재치하는 하측 부재(220)를 구비한다. 상측 부재(210)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하중받이부(211)가 받은 피지지체(S)의 하중 L에 의해 하방으로 휘는 휨부(213)를 구비한다. 또한, 상측 부재(210)는, 휨부(213)의 주위의 부분에, 하측 부재(220)에 접촉하는 접촉부(214)를 구비한다. 접촉부(214)는, 휨부(213)가 하방으로 휨으로써 자세가 변화한다. 지지 부재(200)에는, 하중받이부(211)가 피지지체(S)의 하중 L을 받음으로 인해, 휨부(213)가 휨으로써 자세가 변화한 접촉부(214)와, 하측 부재(220)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 SA2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진동의 대소에 관계없이, 피지지체(S)의 진동이 바닥면(F)에 전달되는 것과, 바닥면(F)의 진동이 피지지체(S)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54] 또한, 피지지체(S) 또는 바닥면(F)이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 SA2에 있어서 접촉부(214)와 하측 부재(220)가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피지지체(S)가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 SA2에 있어서 접촉부(214)와 하측 부재(220)가 슬라이딩하여, 피지지체(S)의 진동이 바닥면(F)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F)이 진동한 경우에, 슬라이딩 영역 SA2에 있어서 접촉부(214)와 하측 부재(220)가 슬라이딩하여, 바닥면(F)의 진동이 피지지체(S)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55] 또한, 상측 부재(210)의 하면과 하측 부재(220)의 상면 중 어느 한쪽에는 오목 형상의 피끼움결합부가 형성되고, 어느 다른 쪽에는 피끼움결합부에 끼움결합되는 볼록 형상의 끼움결합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211)에 돌출부(P)가 재치되어 있을 때, 피지지체(S) 또는 바닥면(F)이 진동하더라도, 하측 부재(220)에 대해 상측 부재(210)가 과도하게 슬라이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0056] 또한, 상측 부재(210) 및 하측 부재(220)는, 평면 뷰에 있어서, 모두 외측 가장자리가 동일한 직경의 원형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하중받이부(211)에 돌출부(P)가 재치되었을 때, 평면 뷰에 있어서의 적절한 위치에 슬라이딩 영역 SA2를 형성할 수 있다.
[0057] 또한, 하중받이부(211)는, 돌출부(P)를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215)의 저부여도 된다. 이에 의해, 피지지체(S)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를 오목부(215)에 삽입함으로써, 돌출부(P)를 적절히 재치할 수 있다.
[0058]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이,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인 특허출원 제2020-215513호, 및 상술한 실시형태 등에서 인용한 모든 문헌의 개시를 원용하여 본문의 기재의 일부로 한다.
[0059] 100 지지 부재
110 상측 부재
111 하중받이부
112 피끼움결합부
113 제1 휨부
115 오목부
120 하측 부재
121 끼움결합부
122 다리부
123 제2 휨부
124 함몰부
200 지지 부재
210 상측 부재
211 하중받이부
212 피끼움결합부
213 휨부
214 접촉부
215 오목부
220 하측 부재
221 끼움결합부
222 다리부
225 평면부
F 바닥면
G1 간극
G2 간극
G3 간극
L 하중
P 돌출부
R1 영역
R2 영역
R3 영역
R4 영역
S 피지지체
SA1 슬라이딩 영역
SA2 슬라이딩 영역

Claims (10)

  1. 피(被)지지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재치(載置)하여 상기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부를 구비하는 상측 부재와,
    바닥면(床面)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부재를 재치하는 하측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부재는, 평면 뷰(平面視)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상기 하중받이부가 받은 상기 피지지체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휘는 제1 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부재는, 하방으로 휜 상기 제1 휨부에 눌려 하방으로 휘는 제2 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중받이부가 상기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음으로 인해, 하방으로 휜 상기 제1 휨부와, 상기 제1 휨부에 눌려 하방으로 휜 상기 제2 휨부가 슬라이딩(摺動)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이 형성되는, 지지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체 또는 상기 바닥면이 진동한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휨부와 상기 제2 휨부가 슬라이딩하는, 지지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휨부와 상기 제2 휨부 사이에는, 상기 하중받이부가 상기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고 있지 않을 때 간극이 형성되는, 지지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부재는,
    상기 바닥면에 접하는 복수의 다리부(脚部)와,
    상기 제2 휨부로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에 둘러싸인 함몰부를 구비하는, 지지 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부재는, 상기 하측 부재보다 강성이 낮은, 지지 부재.
  6. 피지지체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재치하여 상기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는 하중받이부를 구비하는 상측 부재와,
    바닥면에 배치되어 상기 상측 부재를 재치하는 하측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 부재는,
    평면 뷰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에, 상기 하중받이부가 받은 상기 피지지체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휘는 휨부와,
    상기 휨부의 주위의 부분에, 상기 하측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휨부가 하방으로 휨으로써 자세가 변화하고,
    상기 하중받이부가 상기 피지지체의 하중을 받음으로 인해, 상기 휨부가 휨으로써 자세가 변화한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하측 부재가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영역이 형성되는, 지지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지지체 또는 상기 바닥면이 진동한 경우에, 상기 슬라이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하측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지지 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부재의 하면과 상기 하측 부재의 상면 중 어느 한쪽에는 오목 형상(凹狀)의 피(被)끼움결합부(嵌合部)가 형성되고, 어느 다른 쪽에는 상기 피끼움결합부에 끼움결합되는 볼록 형상(凸狀)의 끼움결합부가 형성되는, 지지 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부재 및 상기 하측 부재는, 평면 뷰에 있어서, 모두 외측 가장자리(外緣)가 동일한 직경의 원형인, 지지 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받이부는, 상기 돌출부를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凹部)의 저부(底部)인, 지지 부재.
KR1020237020817A 2020-12-24 2021-11-17 지지 부재 KR202301042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215513 2020-12-24
JPJP-P-2020-215513 2020-12-24
PCT/JP2021/042227 WO2022137905A1 (ja) 2020-12-24 2021-11-17 支持部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293A true KR20230104293A (ko) 2023-07-07

Family

ID=82159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817A KR20230104293A (ko) 2020-12-24 2021-11-17 지지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52904A1 (ko)
EP (1) EP4269833A1 (ko)
JP (1) JPWO2022137905A1 (ko)
KR (1) KR20230104293A (ko)
CN (1) CN116783407A (ko)
WO (1) WO202213790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706A (ko) 2014-03-28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4334U (ja) * 1983-10-12 1985-05-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インシユレ−タ
JPH0733789Y2 (ja) * 1989-10-23 1995-08-02 東陶機器株式会社 気泡浴槽の支持構造
JPH0731242U (ja) * 1993-11-22 1995-06-13 サニー産業株式会社 機体の振動防止装置
JP4427852B2 (ja) * 1999-12-15 2010-03-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滑り支承装置
JP6281272B2 (ja) 2013-12-13 2018-0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支持装置及び工作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706A (ko) 2014-03-28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52904A1 (en) 2024-02-15
WO2022137905A1 (ja) 2022-06-30
EP4269833A1 (en) 2023-11-01
CN116783407A (zh) 2023-09-19
JPWO2022137905A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5469B2 (ja) ばね
US3460786A (en) Elastic vibration-proof support
CN103890414A (zh) 具有防护元件和至少一个热和振荡解耦紧固装置的防护装置
JP5767321B2 (ja) ゴム製脚部をもつ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JP6169810B2 (ja) 燃料タンクの車体取付構造
JP6956606B2 (ja) シートラバー
KR20230104293A (ko) 지지 부재
CN108730388B (zh) 挡块以及防振单元
JP5073643B2 (ja) ばね
JP4767024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ラバー
CN103362778B (zh) 减震件、压缩机、空调器及除湿机
CN210902704U (zh) 减振底脚和智能烹饪设备
JP4857216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WO2017213049A1 (ja) 防振装置
JP6845761B2 (ja) すべり材ユニット及びすべり支承構造
JP4470685B2 (ja) 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4355539B2 (ja) 防振台のアイソレータ
WO2023047482A1 (ja) オブジェクト
JP2012026532A (ja) 弾性支持具
JP2024014240A (ja) 防振装置
KR200496085Y1 (ko) 오링 삽입 지그
CN212690703U (zh) 电梯减振器
JP5016725B2 (ja) ばね
JP7223615B2 (ja) エキゾーストマウント
CN112617632A (zh) 减振底脚和智能烹饪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