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987A -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987A
KR20230103987A KR1020220182716A KR20220182716A KR20230103987A KR 20230103987 A KR20230103987 A KR 20230103987A KR 1020220182716 A KR1020220182716 A KR 1020220182716A KR 20220182716 A KR20220182716 A KR 20220182716A KR 20230103987 A KR20230103987 A KR 202301039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voltage
mosfet
zener diode
mosf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파워랩스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파워랩스,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파워랩스
Publication of KR2023010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9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03K17/165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by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diodes

Landscapes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iC MOSFET, GaN HEMT와 같이 빠른 스위칭 특성을 가지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구동 시, 게이트-소스 전압에 따라 게이트 구동 전류를 가변하여 최적의 스위칭 특성을 제공하는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를 제안한다. 본 발명 회로는, 양의 게이트 출력전압(+VG) 또는 음의 게이트 출력전압(-VE)을 발생하는 게이트 구동기와 상기 게이트 구동기의 구동신호에 의해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하는 MOSFET 소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게이트 구동 전류의 가변을 위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기와 MOSFET 소자 사이의 제1 경로에 제2 제너 다이오드(D2), 제1 제너 다이오드(D1) 및 제1 게이트 저항(R1)이 순서대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경로와 병렬인 제2 경로에는 제2 게이트 저항(R2)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MOSFET 소자의 게이트 - 소스 전압에 따라 게이트 구동 전류를 가변하여 스위칭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Current Changeable MOSFET Gate Drive Circuit}
본 발명은 SiC MOSFET, GaN HEMT와 같이 빠른 스위칭 특성을 가지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구동 시, 게이트 - 소스 전압에 따라 게이트 구동 전류를 가변하여 최적의 스위칭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SiC MOSFET, GaN HEMT 등과 같은 넓은 밴드 갭(WBG;Wide Bandgap)을 가지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들은 기존의 실리콘(Si) 기반의 소자들에 비해 스위칭에 필요한 에너지가 작아 스위칭 손실이 매우 작으며, 소자의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 (Turn off) 동작 시, 높은 dv/dt(스위칭 노드의 시간에 대한 전압의 변화율) 특성 및 di/dt(스위칭 노드의 시간에 대한 전류의 변화율)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반도체 소자에서 상기한 dv/dt, di/dt 특성은 회로의 기생 커패시턴스 또는 누설 인덕턴스와 결합되면 과도 상태에서 큰 서지 전류 또는 전압을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서지 전류 또는 전압은 전자기적인 노이즈(EMI)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SiC MOSFET과 같이 빠른 스위칭 특성을 가지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에서 dv/dt, di/dt에 의한 전자기적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JP5931116B9(2016. 05. 13. 게이트 구동회로) JP2008-535443T(2008. 08. 28. 적응dV/dt컨트롤러를 갖추는 D급 가청 주파수 증폭기용 게이트 드라이버)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dv/dt, di/dt 특성은 게이트 저항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턴-온 및 턴-오프 시 게이트 저항을 가변하여 전력용 FET 소자의 dv/dt, di/dt 특성을 가변할 수 있는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는, 양의 게이트 출력전압(+VG) 또는 음의 게이트 출력전압(-VE)을 발생하는 게이트 구동기; 상기 게이트 구동기의 구동신호에 의해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하는 MOSFET 소자; 상기 게이트 구동기와 MOSFET 소자 사이의 제1 경로에 순서대로 연결된 제2 제너 다이오드(D2), 제1 제너 다이오드(D1) 및 제1 게이트 저항(R1)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제너 다이오드(D2)는 순방향 연결되고, 제1 제너 다이오드(D1)는 역방향 연결됨; 상기 제1 경로와 병렬 연결되는 제2 경로의 제2 게이트 저항(R2)을 포함하고, 상기 MOSFET 소자의 게이트 - 소스 전압에 따라 게이트 구동 전류를 가변하여 스위칭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의 게이트 출력전압(+VG) 또는 음의 게이트 출력전압(-VE)과 상기 제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D1, D2)의 항복전압 VZ1, VZ2에 따라 상기 MOSFET 소자의 게이트-소스 사이의 전압 구간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전류를 가변하여, 상기 MOSFET 소자의 드레인 전류에 대한 di/dt와 드레인-소스 전압에 대한 dv/dt를 제어한다.
상기 MOSFET 소자가 턴 온 동작시 상기 양의 게이트 출력전압(+VG)과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D1)의 항복전압 VZ1에 따라 두 전압 구간에서 다른 값의 실효 게이트 저항을 적용하고, 상기 전압 구간은,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VG-(Vf2 + VZ1)보다 작거나 큰 구간이다. 여기서 Vf2는 제2 제너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을 말한다.
상기 MOSFET 소자가 턴 오프 동작시 상기 음의 게이트 출력전압(-VE)과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D1)의 항복전압 VZ1에 따라 두 전압 구간에서 다른 값의 실효 게이트 저항을 적용하고, 상기 전압 구간은,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Vf1 + VZ2)- VE보다 크거나 작은 구간이다. 여기서 Vf1는 제1 제너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이고, VZ2는 제2 제너다이오드의 항복전압을 말한다.
상기 MOSFET 소자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 시에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게이트 저항 값을 적용한다.
상기 MOSFET 소자는 빠른 스위칭 특성을 가지는 SiC MOSFET 및 GaN HEMT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스위칭 동작 시, 높은 dv/dt, di/dt에 의해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인버터 등의 전력변환회로의 성능 및 신뢰성 향상과 함께 설계의 소형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력용 FET 소자의 게이트 구동회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 회로이다.
도 4는 턴-온 동작 시 설정 전압 이하에서의 등가회로이다.
도 5는 턴-온 동작 시 설정 전압 이상에서의 등가회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게이트 구동회로가 적용되었을 경우 턴 - 온 및 턴 - 오프 시 게이트 - 소스 전압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회로가 적용된 고속 스위칭 특성을 가지는 SiC MOSFET로 구성된 하프 브리지 회로이다.
도 8과 9는 각각 턴-온 및 턴 오프 시 게이트-소스 전압과 드레인-소스 전압, 드레인 전류를 나타낸 파형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전력용 FET 소자의 게이트 구동회로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단일 저항을 사용한 게이트 구동회로이다.
도 1에서 FET 소자의 게이트-소스 단자는 등가적인 커패시터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도 1의 게이트 회로는 등가적인 RC 회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회로의 시정수는
Figure pat00001
이며 등가적인 게이트 커패시터를 충전하는 전류는 게이트 저항 Rg(R1)에 의해 제한된다.
그래서 도 1의 단일 저항을 사용한 게이트 구동회로에서는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시 하나의 게이트 저항(R1)으로 전류를 제어하므로 최적의 응답 특성을 얻기가 어렵다.
도 2는 다이오드(D1)와 2개의 저항(R1, R2)을 이용한 게이트 구동회로이다. 도 2의 게이트 구동회로는 턴-온 동작 시 게이트 저항은 R1, 턴-오프 동작 시 등가적인 게이트 저항은 R1과 R2를 병렬로 합성한 값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과 도 2의 종래 게이트 구동회로는 턴-온 및 턴-오프 동작 시에 전 구간에서 동일한 값의 게이트 저항이 사용되기 때문에 최적의 스위칭 특성을 얻기가 어려웠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게이트-소스 사이의 전압 구간에 따라 등가적인 게이트 저항을 달리하여 전 구간에서 서로 다른 게이트 구동 전류를 가변시켜 제공하기 때문에, 최적의 스위칭 특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게이트 구동회로이고, 아래에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 회로도이다.
도 3에서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는, 게이트 구동기(Gate driver, 100), 제1 및 제 2 제너다이오드(D1, D2), 제1 및 제 2 게이트 저항(R1, R2), 그리고 스위칭 소자인 MOSFET 소자(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구동기(100)와 MOSFET 소자(110)의 게이트 단자 사이의 제1 경로에 제2 제너다이오드(D2), 제1 제너다이오드(D1) 및 제1 게이트 저항(R1)이 순서대로 연결되고, 제2 경로에 제2 게이트 저항(R2)이 연결되는 구성이다. 제1 경로와 제2 경로는 병렬 구성이다.
도 3에서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 회로는, MOSFET 소자(110)의 턴-온 동작 시에 게이트 구동기(100)에서 양의 전압 +VG가 발생되면 도 4 또는 도 5와 같은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게이트 구동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MOSFET 소자(100)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가 'VG-(Vf2+VZ1)'보다 작은 구간에서는 제2 제너다이오드(D2)는 순방향으로 도통되고 제1 제너다이오드(D1)은 제너영역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실효 게이트 저항은 R1과 R2의 병렬저항 값 'R1×R2/(R1+R2)'이 된다. 반면 MOSFET 소자(100)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가 'VG-(Vf2+VZ1)' 보다 큰 구간에서는 도 5와 같이 제2 제너다이오드 D2는 차단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실효 게이트 저항은 R2가 된다.
따라서 게이트 구동기(100)의 양의 전압 VG와 제1 제너다이오드(D1)의 항복전압 VZ1의 설정에 따라 MOSFET 소자(100)가 턴-온 동작할 경우 두 전압 구간, 즉 Vgs가 'VG-(Vf2+VZ1)'보다 큰 구간 또는 작은 구간에서 다른 값의 실효 게이트 저항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 MOSFET 소자(110)가 턴-오프 동작하여 게이트 구동기(100)에서 음의 전압 -VE가 발생 될 경우 위에서 설명했던 턴-온 동작 시와 유사하게 구간 별로 게이트 저항을 가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MOSFET 소자(110)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가 '(Vf1+VZ2)-VE' 보다 큰 구간에서는 제1 제너다이오드(D1)은 순방향으로 도통되고 제2 제너다이오드(D2)는 제너영역에서 동작하므로 실효 게이트 저항은 R1과 R2의 병렬저항 값 'R1×R2/(R1+R2)'이 된다. 반면 MOSFET 소자(110)의 게이트-소스 전압 Vgs가 '(Vf1+VZ2)-VE' 보다 작을 경우 제1 제너 다이오드(D1)은 차단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실효 게이트 저항은 R2가 된다.
따라서 게이트 구동기(100)의 음의 전압 -VE와 제1 제너다이오드(D1)의 항복전압 VZ1의 설정에 따라 MOSFET 소자(110)가 턴-오프 동작할 경우 두 전압 구간에서 다른 값의 실효 게이트 저항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게이트 - 소스 전압 구간에 따라 게이트 구동 전류를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게이트 구동회로 대비 최적의 스위칭 특성으로 인해 높은 dv/dt, di/dt에 의해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게이트 구동회로가 적용되었을 경우 턴 - 온 및 턴 - 오프 시 게이트 - 소스 전압 파형도이다.
도 6을 보면 턴-온 시 게이트 - 소스 전압이 'VG-(Vf2+VZ1)'보다 작은 구간에서는 실효 게이트 저항이 'R1×R2/(R1+R2)'이므로, 만약 R1 << R2 이라고 가정하면 실효 게이트 저항이 매우 작은 값이 되고 게이트 전류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소스 전압이 빠르게 상승한다(Ⅰ구간). 반면 게이트-소스 전압이 'VG-(Vf2+VZ1)' 보다 큰 구간에서는 제2 제너 다이오드(D2)가 차단되어 실효 게이트 저항은 R2가 되므로 게이트-소스 전압이 느리게 상승한다(Ⅱ구간).
도 6을 보면 턴-오프 시 게이트-소스 전압이 '(Vf1+VZ2)-VE' 보다 클 경우 제1 제너 다이오드(D1)은 순방향으로 도통되고 제2 제너 다이오드(D2)는 제너영역에서 동작하므로 실효 게이트 저항은 'R1×R2/(R1+R2)'가 되어 게이트-소스 전압이 빠르게 감소한다(Ⅲ 구간). 반면 게이트-소스 전압이 '(Vf1+VZ2)-VE' 보다 작을 경우 제1 제너 다이오드(D1)은 차단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실효 게이트 저항은 R2가 되어 게이트 - 소스 전압은 느리게 감소한다(Ⅳ 구간).
이와 같이 게이트 구동기(100)의 출력전압 VG와 제1 및 제2 제너다이오드(D1, D2)의 항복전압 VZ1, VZ2를 설정하여 구간 별로 게이트 저항을 가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이트 전류가 가변되어 MOSFET 소자의 드레인 전류에 대한 di/dt, 드레인-소스 전압에 대한 dv/dt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회로가 적용된 고속 스위칭 특성을 가지는 SiC MOSFET으로 구성된 하프 브리지 회로이다.
도 7을 보면, 게이트 구동기, 제1 및 제 2 제너다이오드, 제1 및 제 2 게이트 저항, 그리고 MOSFET 소자를 포함하는 2개의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10, 20)가 구비된 하프 브리지 회로이다, 여기서 MOSFET 소자는 고속 스위칭 특성을 가지는 SiC MOSFET가 사용된다. 도 7에서 VG=15V, -VE=-4.5V, VZ1=10V, VZ2=14V, R1=2Ω, R2=100Ω이다.
도 7의 하브 브리지 회로의 동작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한다. 도 8과 도 9는 MOSFET 소자의 턴-온 및 턴 오프 시 게이트-소스 전압, 드레인-소스 전압 및 드레인 전류를 각각 나타낸 파형이다.
도 8과 도 9의 파형을 살펴보면, 구간 별 게이트 저항의 가변으로 인해 SiC MOSFET 소자의 드레인 전류에 대한 di/dt, 드레인-소스 전압에 대한 dv/dt가 가변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게이트 구동기
110: MOSFET 소자
D1: 제1 제너 다이오드
D2: 제2 제너 다이오드
R1: 제1 게이트 저항, R2: 제2 게이트 저항

Claims (6)

  1. 양의 게이트 출력전압(+VG) 또는 음의 게이트 출력전압(-VE)을 발생하는 게이트 구동기;
    상기 게이트 구동기의 구동신호에 의해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하는 MOSFET 소자;
    상기 게이트 구동기와 MOSFET 소자 사이의 제1 경로에 순서대로 연결된 제2 제너 다이오드(D2), 제1 제너 다이오드(D1) 및 제1 게이트 저항(R1), 상기 제2 제너 다이오드(D2)는 순방향 연결되고, 제1 제너 다이오드(D1)는 역방향 연결됨; 및
    상기 제1 경로와 병렬 연결되는 제2 경로에 연결된 제2 게이트 저항(R2)을 포함하고,
    상기 MOSFET 소자의 게이트 - 소스 전압에 따라 게이트 구동 전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게이트 출력전압(+VG) 또는 음의 게이트 출력전압(-VE)과 상기 제1 및 제2 제너 다이오드(D1, D2)의 항복전압 VZ1, VZ2에 의해 상기 MOSFET 소자의 게이트-소스 사이의 전압 구간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 전류를 가변하여, 상기 MOSFET 소자의 드레인 전류에 대한 di/dt와 드레인-소스 전압에 대한 dv/dt를 제어하는,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OSFET 소자가 턴 온 동작시 상기 양의 게이트 출력전압(+VG)과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D1)의 항복전압 VZ1에 따라 두 전압 구간에서 다른 값의 실효 게이트 저항을 적용하는,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여기서, 상기 전압 구간은,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VG-(Vf2 + VZ1)보다 작거나 큰 구간이고, 상기 Vf2는 제2 제너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을 말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OSFET 소자가 턴 오프 동작시 상기 음의 게이트 출력전압(-VE)과 상기 제1 제너 다이오드(D1)의 항복전압 VZ1에 따라 두 전압 구간에서 다른 값의 실효 게이트 저항을 적용하는,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여기서, 상기 전압 구간은, 게이트-소스 전압(Vgs)이 (Vf1 + VZ2)- VE보다 크거나 작은 구간이고, 여기서 Vf1는 제1 제너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VZ2는 제2 제너다이오드의 항복전압을 말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OSFET 소자의 턴 온 및 턴 오프 동작 시에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게이트 저항 값을 적용하는,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OSFET 소자는 SiC MOSFET 및 GaN HEMT를 포함하는,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KR1020220182716A 2021-12-30 2022-12-23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KR202301039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967 2021-12-30
KR20210192967 2021-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987A true KR20230103987A (ko) 2023-07-07

Family

ID=8715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2716A KR20230103987A (ko) 2021-12-30 2022-12-23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39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1116B2 (ja) 2014-04-28 2016-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ゲート駆動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1116B2 (ja) 2014-04-28 2016-06-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ゲート駆動回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2008-535443T(2008. 08. 28. 적응dV/dt컨트롤러를 갖추는 D급 가청 주파수 증폭기용 게이트 드라이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3195B2 (en) Hybrid power MOSFET
US8558587B2 (en) Gate driver
US11398820B2 (en) Switching circuit
JP5290354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810287B2 (en) Driver for semiconductor switch element
KR20130011812A (ko) Igbt 구동 방법
WO2010134276A1 (ja) ゲート駆動回路
WO2014034063A1 (ja) 半導体装置
JP5675190B2 (ja) パワートランジスタを制御する装置
EP1847018B1 (en) Driving circuit for an emitter-switching configuration
CN109217858B (zh) 晶体管装置的过电压保护
EP3890190A1 (en) Gate driver circuit with reduced power semiconductor conduction loss
JP2018088801A (ja) 構成可能なクランプ回路
JP4952112B2 (ja) 電圧駆動型素子の駆動回路
KR101329610B1 (ko) 반도체장치
JP6122542B1 (ja) アクティブクランプ回路
Frank Simple slew-rate control technique cuts switching losses
JP6847641B2 (ja) ゲート駆動回路
JP4830829B2 (ja) 絶縁ゲートトランジスタの駆動回路
KR20230103987A (ko) 전류 가변 mosfet 게이트 구동회로
US20230412167A1 (en) Power Electronic Module Comprising a Gate-Source Control Unit
US10985752B2 (en) Hybrid drive circuit
CN113169731B (zh) 功率开关布置
Frank et al.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voltage source and current source gate drive systems
JP6910115B2 (ja) アクティブスナ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