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446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446A
KR20230103446A KR1020210194346A KR20210194346A KR20230103446A KR 20230103446 A KR20230103446 A KR 20230103446A KR 1020210194346 A KR1020210194346 A KR 1020210194346A KR 20210194346 A KR20210194346 A KR 20210194346A KR 20230103446 A KR20230103446 A KR 20230103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unting member
supply device
air supply
dry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우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446A/ko
Priority to EP22215737.2A priority patent/EP4205626A1/en
Priority to US18/091,833 priority patent/US20230210341A1/en
Publication of KR20230103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47L15/4212Detection of water leaks; Collection of leaked water, e.g. in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터브로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풍공급장치, 및 베이스의 바닥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건조풍공급장치가 노출되도록 하고, 베이스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폐쇄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풍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 내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세척수를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세척수를 이용하는 세척과정이 완료된 후, 세척대상물의 신속한 건조를 위해, 식기세척기에는 세척대상물로 공기를 분사하는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유럽등록특허 EP 3000377 B1에는 세척공간에 공기를 유동시키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가 개시된다.
가열된 공기, 즉 건조풍이 세척대상물이 저장되는 터브 내부로 원활하게 분사되도록 하고 터브의 내부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건조풍공급장치가 식기세척기에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건조풍공급장치는 가열될 경우에 그 표면이 매우 뜨겁고 분사되는 건조풍도 고온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건조풍공급장치는 식기세척기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를 점검하거나 수리하기 위해, 건조풍공급장치를 식기세척기로부터 꺼낼 필요가 있다. 이때,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건조풍공급장치를 식기세척기 내부에 장착하거나 식기세척기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이 용이할 필요가 있다.
터브에 잔류하는 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건조풍공급장치는 터브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로부터 건조풍공급장치 내부로 액체상태의 물 즉,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 내부로 유입된 물은 건조풍공급장치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건조풍공급장치가 배치되는 베이스의 바닥으로 흐를 수 있다.
베이스의 바닥에 물이 과도하게 고이는 경우 베이스의 바닥면에 있는 틈새를 통해 식기세척기가 설치된 위치의 외부 바닥면에 물이 고이는 누수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누수의 원인을 찾고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식기세척기를 점검한다.
누수가 발생하였음에도 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가 누수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누수되는 양이 증가하고, 이로인해 식기세척기가 누수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거나 식기세척기의 사용자에게 큰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억제하기 위해, 식기세척기의 제어부는 베이스에 누수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신속히 감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세척기의 사용시 식기의 남은 물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는 건조풍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풍공급장치를 식기세척기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식기세척기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풍공급장치로 유입되는 응축수가 베이스 바닥으로 흘러내려 식기세척기에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풍공급장치 교체를 위한 장착부재 위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누수된 물이 누수감지장치로 향하지 않고 장착부재와 베이스 사이의 틈새로 빠져나가서 누수감지장치가 올바르게 작동할 수 어ㅃ는 경우를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 하면에 배치되는 호스나 케이블 등 별도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베이스가 상방으로 돌출되는 경우에도 건조풍공급장치로부터 누수된 물이 누수감지장치로 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장착부재는 베이스의 바닥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일부가 베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베이스에 장착되고, 건조풍공급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재는 베이스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장착부재가 베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의 바닥에는 장착부재와 건조풍공급장치가 배치되는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와 건조풍공급장치는 개구부를 통해 베이스 내부에 인입되거나 베이스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재는 일부분이 개구부에 인접한 베이스의 바닥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장착부재가 베이스에 장착되면 장착부재는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가 베이스에서 탈거된 상태에서, 개구부가 개방되고 개구부를 통해 건조풍공급장치가 베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재가 베이스에서 탈거되면, 개구부는 개방되고, 따라서, 베이스 내부에 장착된 건조풍공급장치를 작업자가 꺼낼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를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건조풍공급장치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 건조풍공급장치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식기세척기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장착부재를 탈거함으로써, 베이스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건조풍공급장치를 베이스 내부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베이스는 누수감지장치와 제1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누수감지장치는 베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액상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누수감지장치는 베이스에 유입된 물이 누수감지장치에 중력에 의해 흘러들 수 있도록, 베이스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유도부는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의 물이 누수감지장치로 유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1유도부는 바디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풍공급장치의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장착부재의 바디의 상면에 떨어지고 다시 제1유도부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제1유도부의 입구는 후술하는 장착부재의 제2유도부와 연통되고, 제1유도부의 출구는 누수감지장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도부에 유입된 물은 제1유도부에 의해 유동경로가 유도되어 누수감지장치로 배출될 수 있다.
장착부재는 바디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유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건조풍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되어 바디의 상면에 흘러내린 물이 제1유도부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제2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터브로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풍공급장치, 및 베이스의 바닥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건조풍공급장치가 노출되도록 하고, 베이스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폐쇄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는 베이스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장착부재가 베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재가 베이스에서 탈거된 상태에서, 개구부가 개방되고 개구부를 통해 건조풍공급장치가 베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레그(leg)를 포함하고, 장착부재는, 상면에 건조풍공급장치가 안착되는 바디, 및 바디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레그가 안착되는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는, 하우징에 장착되고 건조풍공급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송풍팬,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송풍팬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하우징의 공기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하우징에 장착되고, 터브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공기토출부, 및 공기토출부의 단부에 장착되고, 터브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터브로 배출되는 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베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액상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 및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의 물이 누수감지장치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제1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는, 바디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유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건조풍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되어 바디의 상면에 흘러내린 물이 제1유도부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제2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도부의 상면의 높이는 누수감지장치의 바닥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제2유도부의 상면은 누수감지장치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유도부와 제2유도부는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제2유도부의 상면은 제1유도부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유도부는, 제2유도부와 연통되어 장착부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제1영역, 및 제1영역으로부터 절곡되고, 단부가 누수감지장치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제1유도부의 가장자리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리브를 포함하고, 장착부재는 제2유도부의 가장자리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제1리브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는, 단부가 제2리브와 연결되고 장착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바닥면의 일부가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방돌출부를 포함하고, 제1유도부 및 제1리브는 상방돌출부의 상면 중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는, 측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베이스에 형상끼워맞춤으로 결합하는 후크, 및 측부에 구비되고, 후크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와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는,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건조풍공급장치가 안착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는 측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베이스에 끼워져 장착부재가 베이스에 장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는,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1지지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건조풍공급장치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유도부는 바디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바디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은 바디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도부와 제1영역은 물의 유동방향으로 보아 출구측이 하향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베이스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건조풍공급장치가 구비되고, 건조풍공급장치는 터브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과정에서 식기세척기의 터브에 잔류하는 물을 건조하기 위해 건조풍공급장치가 터브로 건조풍을 공급함으로써, 식기 건조를 편리하게 하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건조풍공급장치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식기세척기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장착부재를 탈거함으로써, 베이스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건조풍공급장치를 베이스 내부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건조풍공급장치를 점검 또는 수리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용이하게 건조풍공급장치를 베이스 내부로부터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물은 장착부재의 제2유도부로부터 베이스에 구비되는 제2유도부를 따라 누수감지장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에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경우, 배출되는 물은 곧바로 누수감지장치로 흘러가므로, 제어부는 누수감지장치를 통해 하우징에 물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베이스의 바닥에 누수가 발생되었음을 곧바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풍공급장치에 물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베이스의 바닥에 누수가 발생한 사실을 신속히 감지하여, 사용자는 즉시 식시세척기의 작동을 중단하고 건조풍공급장치의 수리, 기타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터브와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베이스와 터브의 바닥판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베이스에서 장착부재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베이스에서 장착부재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와 베이스에 장착된 부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에서 AA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서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터브의 바닥판을 생략하고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a는 터브의 바닥판을 생략하고 베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서 DD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b에서 E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식기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직교좌표계를 사용할 수 있다. 직교좌표계에서 z축방향은 상하방향, x축방향은 전후방향, y축방향은 좌우방향을 각각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세척공간(21)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인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2)(tub), 베이스(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 터브(2)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sump), 터브(2)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5), 및 수납부(5)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6, 7, 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기는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터브(2)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하며, 상기 세척공간(21)에는 수납부(5) 및 분사암(6, 7, 9)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일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일면은 도어(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의 하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가 개방되면 수납부(5)가 식기세척기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인출된 수납부(5)는 도어(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섬프(4)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부(41), 저장부(41)를 터브(2)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 외부로부터 저장부(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 저장부(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 및 저장부(41)의 세척수를 분사암(6, 7, 9)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와 공급유로(46)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 상부에 구비되며, 터브(2)와 섬프(4)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암(6, 7, 9)을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암(6, 7, 9)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의 저장부(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저장부(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분사암(6, 7, 9)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저장부(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 내부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저장부(41)의 세척수가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암(6, 7, 9)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암(6, 7, 9)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에 연결되는 제2공급유로(463), 및 공급유로들(461, 46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수납부(2)가 구비된 식기세척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기세척기는 하나의 수납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부의 수에 따라서 분사암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수납부(5)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상기 세척공간(21)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상부 랙(53)은 상기 하부 랙(51)의 상측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랙(53)의 상측과 탑노즐(9) 사이의 공간에는 탑 랙이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섬프(4)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은 하부 랙(51)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랙(51)과 상부 랙(53) 및 탑 랙은 터브(2)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 내주면에는 레일형태의 거치대가 구비되고, 랙(51, 53) 하부에는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5)를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꺼낼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터브(2) 내에 구비되어 수납부(5)의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하부 분사암(6),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상기 하부 랙(5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상기 하부 랙(51)과 상기 상부 랙(53)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섬프 커버(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하부 분사암(6)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탑노즐(9)은 세척공간(21)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랙(51) 및 상부 랙(53)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급유로(461)는 하부 분사암(6)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고, 제2 공급유로(463)는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는 베이스(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8)는 상기 터브(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2)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8)는 섬프(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펌프, 건조풍공급장치(100) 기타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8)는 외벽을 가지고 식기세척기 전체를 지지하고, 상기 외벽에 의해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터브(2)와 베이스(8)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베이스(8)와 터브(2)의 바닥판(2a)이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8)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베이스(8)에서 장착부재(200)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베이스(8)에서 장착부재(200)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8)와 베이스(8)에 장착된 부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베이스(8)는 터브(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2)가 장착될 수 있다. 도어는 상기 베이스(8)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세척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는 베이스(8)의 전방에 배치되고, 베이스(8)의 전방 양측에는 도어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하는 힌지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베이스(8)에 구비되는 건조풍공급장치(100)와 장착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는 베이스(8)에서 섬프(4)와 중첩되지 않는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재(200)는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가 장착되므로, 베이스(8)에서 건조풍공급장치(1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는 상기 터브(2)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는 상기 베이스(8)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2)로 가열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는 상기 터브(2)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터브(2)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는 터브(2) 내부로 가열된 공기인 건조풍을 분사하여 터브(2)에 수용된 식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는 가열되지 않은 공기유동인 냉풍 또는 가열된 공기유동인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에 구비되는 가열부(1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건조풍공급장치(100)는 터브(2) 내부에 냉풍 또는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
가열부(140)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풍공급장치(100)는 냉풍을 터브(2)에 분사할 수 있고, 가열부(140)를 작동시키면 건조풍공급장치(100)는 열풍을 터브(2)에 분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열풍을 분사하는 건조풍공급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건조풍은 열풍을 의미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건조풍공급장치(100)는 하우징(110), 레그(120)(leg), 송풍팬(130), 가열부(140), 공기토출부(150), 분배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건조풍공급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송풍팬(130)이 장착되고,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가열부(140)가 적어도 일부 배치될 수 있다.
레그(120)는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그(120)는 장착부재(200)에 장착되고, 따라서, 건조풍공급장치(100)는 장착부재(200)에 장착되어 베이스(8)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30)은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로 유입되는 공기를 강제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팬(130)은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30)은 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팬과, 상기 팬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팬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진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30)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는 상기 팬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는 송풍팬(130)의 브라켓에 구멍을 뚫어 형성할 수 있다.
가열부(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130)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140)에서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전원과 연결을 위한 것이다.
가열부(140)는 하우징(110)에 내장되고, 송풍팬(130)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하우징(110) 내부를 유동하면서 가열부(140)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풍이 될 수 있다.
가열부(140)는 예를 들어,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자신이 가열되는 전기저항식 가열코일 이른바, 시스히터(Sheath Heater)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가열부(140)의 단부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일부분이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150)는 상기 하우징(110)의 공기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2)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공기토출부(150)는 공기가 유동하는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어 덕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공기토출부(150)의 단부에는 공기가 빠져나오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터브(2)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를 빠져나온 공기는 터브(2) 내부로 유입되어 확산될 수 있다.
터브(2)의 바닥판(2a)에는 상기 공기토출부(150)의 상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2a-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2a-1)에 공기토출부(150)의 상부가 삽입되어 베이스(8)에 배치되는 건조풍공급장치(100)로부터 상기 공기토출부(150)를 통해 터브(2)로 건조풍이 공급될 수 있다.
분배기(160)는 상기 공기토출부(150)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2)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터브(2)로 배출될 수 있다. 분배기(160)는 공기토출부(150)의 단부에 장착되어 터브(2)의 바닥판(2a)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160)를 통해 건조풍이 터브(2) 내부의 세척공간에 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송풍팬(130)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는 다음의 순서로 강제유동할 수 있다. 송풍팬(130)이 작동하면 공기는 송풍팬(130)의 공기유입구를 통해 송풍팬(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130)과 연통되는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하우징(110)에 배치되는 가열부(140)에 의해 가열되어 하우징(110)으로부터 배출되어 공기토출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150)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분배기(160)를 통해 터브(2)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터브(2)에 건조풍을 공급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는 퓨즈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퓨즈장치(170)는 하우징(110)에 장착되고, 가열부(140)의 과열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퓨즈장치(170)는 가열부(140)의 온도가 소정의 임계온도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내부의 회로가 단선되도록 구성되는 일종의 써모스탯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퓨즈장치(170)의 내부회로가 단선되면 가열부(140)에 공급되는 전기가 즉시 차단되는 방식으로 과열이 발생한 가열부(140)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8)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건조풍공급장치(100)가 구비되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는 터브(2)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과정에서 식기세척기의 터브(2)에 잔류하는 물을 건조하기 위해 건조풍공급장치(100)가 터브(2)로 건조풍을 공급함으로써, 식기 건조를 편리하게 하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장착부재(200)는 상기 베이스(8)의 바닥에 형성되는 개구부(310)를 통해 일부가 상기 베이스(8)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8)에 장착되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재(200)는 상기 베이스(8)의 바닥에 형성되는 개구부(310)를 통해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가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8)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310)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베이스(8)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재(200)가 상기 베이스(8)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310)를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8)의 바닥에는 장착부재(200)와 건조풍공급장치(100)가 배치되는 부위에 개구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재(200)와 건조풍공급장치(100)는 상기 개구부(310)를 통해 베이스(8) 내부에 인입되거나 베이스(8)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재(200)는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310)에 인접한 상기 베이스(8)의 바닥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장착부재(200)가 베이스(8)에 장착되면 장착부재(200)는 상기 개구부(310)를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200)가 상기 베이스(8)에서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310)가 개방되고 상기 개구부(310)를 통해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가 상기 베이스(8)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00)가 베이스(8)에서 탈거되면, 상기 개구부(310)는 개방되고, 따라서, 베이스(8) 내부에 장착된 건조풍공급장치(100)를 작업자가 꺼낼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를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를 베이스(8)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서, 건조풍공급장치(100)를 베이스(8)로부터 분리하여 식기세척기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장착부재(200)를 탈거함으로써, 베이스(8)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310)를 통해 건조풍공급장치(100)를 베이스(8) 내부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건조풍공급장치(100)를 점검 또는 수리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용이하게 건조풍공급장치(100)를 베이스(8) 내부로부터 밖으로 인출할 수 있다.
장착부재(200)는 바디(210) 및 함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상면에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가 안착될 수 있다. 함몰부(220)는 상기 바디(210)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그(120)가 안착될 수 있다.
함몰부(220)는 건조풍공급장치(100)에서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레그(1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그(120)가 함몰부(220)에 안착함으로써, 건조풍공급장치(100)는 장착부재(2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8)의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에서 AA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서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터브(2)의 바닥판(2a)을 생략하고 베이스(8)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식기세척기의 터브(2)에는 세척수가 공급되고, 세척수는 섬프(4)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터브(2) 또는 섬프(4)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터브(2)에 잔류하는 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건조풍공급장치(100)는 터브(2)의 하부에 있는 베이스(8)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2)로부터 건조풍공급장치(100) 내부로 액체상태의 물 즉,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에는 터브(2)에 있는 물이 분배기(160)를 통해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에 물이 과도하게 차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출수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출수구(111)는 상기 하우징(110)의 가장 낮은 부위이 바닥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으로부터 물이 원활하게 나오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출수구(111)는 상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물은 하우징(110)의 하부에 있는 출수구(111)를 통해 건조풍공급장치(100)가 배치되는 베이스(8)의 바닥으로 흐를 수 있다.
베이스(8)의 바닥에 물이 과도하게 고이는 경우 베이스(8)의 바닥면에 있는 틈새를 통해 식기세척기가 설치된 위치의 외부 바닥면에 물이 고이는 누수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누수의 원인을 찾고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식기세척기을 점검한다.
누수가 발생하였음에도 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가 누수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누수되는 양이 증가하고, 이로인해 식기세척기가 누수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거나 식기세척기의 사용자에게 큰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베이스(8)는 누수감지장치(320)와 제1유도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수감지장치(320)는 상기 베이스(8)의 하부에 배치되고, 액상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누수감지장치(320)는 베이스(8)에 유입된 물이 상기 누수감지장치(320)에 중력에 의해 흘러들 수 있도록, 베이스(8)의 다른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누수감지장치(320)는 예를 들어 플로팅(floating)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누수감지장치(320)에는 플로터(321)가 구비될 수 있다. 물이 누수감지장치(320)로 유입되면 상기 플로터(321)는 물의 부력에 의해 부유하고, 이에 따라 누수감지장치(320)는 누수를 감지할 수 있다.
누수감지장치(320)는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누수감지장치(320)는 베이스(8) 바닥에 발생한 누수를 감지하고 누수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베이스(8) 바닥에 누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베이스(8)에 누수가 발생하면, 제어부는 알람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사용자는 누수발생을 알게되면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자신 또는 다른 작업자로 하여금 식기세척기를 점검할 수 있다.
제1유도부(330)는 상기 바디(210)의 상면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의 물이 상기 누수감지장치(320)로 유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1유도부(330)는 상기 바디(210)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풍공급장치(100)의 하우징(11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장착부재(200)의 바디(210)의 상면에 떨어지고 다시 제1유도부(330)를 따라 흐를 수 있다.
제1유도부(330)의 입구는 후술하는 장착부재(200)의 제2유도부(230)와 연통되고, 제1유도부(330)의 출구는 누수감지장치(32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유도부(330)에 유입된 물은 상기 제1유도부(330)에 의해 유동경로가 유도되어 누수감지장치(320)로 배출될 수 있다.
장착부재(200)는 상기 바디(21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도부(3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바디(210)의 상면에 흘러내린 물이 상기 제1유도부(330)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제2유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유도부(230)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누수감지장치(320)의 바닥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2유도부(230)의 상면은 상기 누수감지장치(320)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누수감지장치(320)의 바닥면은 플로터(321)가 장착되는 부위에서 상기 플로터(321)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표면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바디(210)에서 제2유도부(230)에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2유도부(230)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누수감지장치(320)의 바닥면으로 중력에 의해 흘러갈 수 있다.
따라서, 장착부재(200)의 상면에 있는 물은 제1유도부(330)와 제2유도부(230)에 의해 유도되어 누수감지장치(320)로 유입되고, 상기 누수감지장치(320)는 누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도부(330)와 상기 제2유도부(230)는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2유도부(230)의 상면은 상기 제1유도부(330)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재(200)의 제2유도부(230)는 베이스(8)에 구비되는 제1유도부(3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재(200)가 개구부(310)를 통해 베이스(8)에 장착되면, 장착부재(2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2유도부(230)는 상기 제1유도부(330)의 상면에 놓일 수 있다. 이때, 제1유도부(330)와 제2유도부(230)는 베이스(8)의 상하방향으로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하우징(110)에서 배출되는 물은 장착부재(200)의 제2유도부(230)로부터 베이스(8)에 구비되는 제2유도부(230)를 따라 누수감지장치(320)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에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경우, 배출되는 물은 곧바로 누수감지장치(320)로 흘러가므로, 제어부는 누수감지장치(320)를 통해 하우징(110)에 물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베이스(8)의 바닥에 누수가 발생되었음을 곧바로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풍공급장치(100)에 물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베이스(8)의 바닥에 누수가 발생한 사실을 신속히 감지하여, 사용자는 즉시 식시세척기의 작동을 중단하고 건조풍공급장치(100)의 수리, 기타 누수를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1유도부(330)는 제1영역(331)과 제2영역(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331)은 상기 제2유도부(230)와 연통되어 상기 장착부재(200)의 제2유로로부터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제2유도부(230)는 상기 제1영역(331)으로부터 절곡되고, 단부가 상기 누수감지장치(320)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부재(200)의 제2유도부(230)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베이스(8)의 제1영역(331)과 제2영역(33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누수감지장치(320)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유도부(230)는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유도부(230)를 흐르는 물의 유동경로가 베이스(8)의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유도부(230)의 출구는 누수감지장치(320)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누수감지장치(320)에 인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8)는 상기 제1유도부(330)의 가장자리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리브(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제2유도부(230)의 가장자리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리브(340)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리브(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브(340)는 제1유도부(330)의 상면을 흐르는 물이 제1유도부(330)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할 수 있다. 제2리브(240)는 제2유도부(230)의 상면을 흐르는 물이 제2유도부(230)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리브(240)는 각각 한 쌍의 제1리브(3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리브(340)와 제2리브(240)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므로, 제2유도부(230)에서 제1유도부(330)로 흐르는 물은 제2유도부(230)와 제1유도부(330)의 경계부위에서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제1유도부(330)를 따라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장착부재(200)는 단부가 상기 제2리브(240)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재(2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리브(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리브(250)는 제2리브(240)와 연결되고, 장착부재(20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부재(200)의 바디(210)의 상면에 흘러내린 물은 제3리브(250)가 없는 제2유도부(230)로 흐르고, 제3리브(250)에 의해 제2유도부(230) 이외의 다른 부위에서 장착부재(20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베이스(8)는 바닥면의 일부가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방돌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방돌출부(350)의 하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식기세척기에 급수 또는 배수를 위해 마련되는 호스가 배치되거나, 각종의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방돌출부(350)는 베이스(8)의 바닥면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방돌출부(350)는 베이스(8)에서 다른 부위에 비해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장착부재(200)가 베이스(8)에 배치되면, 장착부재(200)의 상면은 상기 누수감지장치(320)의 하단부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장착부재(200)의 바디(210)에 흘러내려 고인 물이 누수감지장치(320)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유도부(330) 및 상기 제1리브(340)는 상기 상방돌출부(350)의 상면 중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유도부(230)와 제2리브(240)는 제1유도부(3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유도부(330)는 베이스(8)에서 높은 위치인 상방돌출부(350)의 상면에 있고, 제2유도부(230)는 제1유도부(330)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고, 결국 제1유도부(330)와 누수감지장치(320)의 하단 사이에는 비교적 큰 높이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은 제1유도부(330)로부터 누수감지장치(320)로 중력에 의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3a는 터브(2)의 바닥판(2a)을 생략하고 베이스(8)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서 DD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b에서 E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도부(230)는 상기 바디(21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210)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331)은 상기 바디(210)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도부(230)와 상기 제1영역(331)은 물의 유동방향으로 보아 출구측이 하향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바디(210)의 상면에 고인 물이 증가함에 따라, 수위가 올라가게 된다 하더라도 상기 장착부재(200)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리브들(240, 250)로 인해 상기 리브들(240, 250)이 있는 방향으로는 물이 흘러갈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누수감지장치(320) 방향으로는 상기 리브들(240, 250)이 형성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으므로 물은 상기 바디(2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제2유도부(2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2유도부(230)와 상기 제2유도부(230)와 연통되는 제1유도부(330)의 제1영역(331)은 출구쪽이 하향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제2유도부(230)로 유입된 물은 중력에 의해 원활하게 제2유도부(230)와 제1영역(331)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누수감지장치(320)로 흐를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20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20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재(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장착부재(200)는 후크(260), 체결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260)는 장착부재(200)의 측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8)에 형상끼워맞춤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베이스(8)에는 상기 후크(260)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260)는 베이스(8)에 장착되거나 베이스(8)로부터 탈거되는 경우에 작업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베이스(8)의 상기 홈에 착탈될 수 있다. 상기 후크(260)가 구비됨으로써 작업자는 별도의 체결부(270)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후크(260)를 사용하여 장착부재(200)를 베이스(8)에 착탈할 수 있다.
장착부재(200)가 베이스(8)에 장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재(200)의 제2유도부(230)는 베이스(8)의 제1유도부(330) 상면에 배치되고, 제1유도부(330)와 제2유도부(230)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270)는 상기 후크(260)를 보조하여 상기 장착부재(200)를 상기 베이스(8)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부(270)는 장착부재(200)의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26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결합기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8)와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270)는 상기 장착부재(200)의 측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볼트 등의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8)에는 상기 체결부(270)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기구가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70)에는 결합기구가 체결되어, 상기 장착부재(200)와 상기 베이스(8)는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기구를 사용하여 장착부재(200)를 베이스(8)에 결합시키는 경우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지만, 장착부재(200)의 장착과 탈거의 작업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착부재(200)의 용이한 장착과 탈거를 위해 체결부(270)는 되도록 그 개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장착부재(200)에 하나의 체결부(270)와 2개의 후크(260)가 구비되어 장착부재(200)가 베이스(8)에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장착부재(200)의 장착 및 탈거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장착부재(200)는 상기 바디(21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가 안착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돌기(2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돌기(281)의 단부에는 결합단부(28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단부(281a)는 제1지지돌기(281)의 하부와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에는 상기 결합단부(281a)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단부(281a)는 건조풍공급장치(100)의 상기 통공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풍공급장치(100)는 장착부재(200)에 임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돌기(281)는 건조풍공급장치(100)를 장착부재(200)에 임시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풍공급장치(100)와 장착부재(200) 사이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에 제1지지돌기(281)의 결합단부(281a)가 끼워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후크(260)와 체결부(270)를 이용하여 건조풍공급장치(100)와 장착부재(20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00)는 측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8)에 끼워져 상기 장착부재(200)가 상기 베이스(8)에 장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는 상기 가이드돌기(29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290)가 끼워지는 가이드홈(360)(도 1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200)를 베이스(8)에 장착하는 경우에, 장착부재(200)는 개구부(310)에 삽입되어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장착부재(200)가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 장착부재(200)와 건조풍공급장치(100) 사이의 결합도 어려워지고, 장착부재(200) 자체도 베이스(8)에 원활히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장착부재(200)에 가이드돌기(290)가 형성되고 베이스(8)에 가이드홈(360)이 형성되고, 가이드돌기(290)와 가이드홈(360)이 서로 형합되도록하여 장착부재(200)가 베이스(8)에서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장착부재(200)는 상기 바디(21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돌기(281)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돌기(282)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가 상기 장착부재(200)에 놓이면 제2지지돌기(282)는 건조풍공급장치(100)의 일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돌기(282)는 바디(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돌기(282)의 위치는 건조풍공급장치(100)의 측면을 지지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의 레그(120)가 장착부재의 제1지지돌기(281)와 제2지지돌기(282)에 임시고정된 상태로 최종조립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최종조립자는 임시고정된 건조풍공급장치(100)의 레그(120)를 제1지지돌기(281) 및 제2지지돌기(282)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를 터브(2)에 조립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레그(120)가 장착부재(200)의 함몰부(220)에 안착되어 건조풍공급장치(100)와 장착부재의 최종조립이 완성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를 점검 또는 수리하기 위해 건조풍공급장치(100)를 베이스(8)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다. 건조풍공급장치(100)를 베이스(8)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도어를 개방하고, 터브(2)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랙(51)을 터브(2)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터브(2)의 하부에 위치한 분배기(160)를 건조풍공급장치(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분배기(160)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건조풍공급장치(100)의 공기토출부(150) 상부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분배기(160)를 건조풍공급장치(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풍공급장치(100)의 인출을 위해 식기세척기를 눕힐 수 있다. 식기세척기를 눕히면, 베이스(8)의 바닥면에 접근할 수 있고, 베이스(8)에 장착된 장착부재(200)를 베이스(8)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장착부재(200)의 후크(260)를 분리하고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체결부(270)에 체결된 볼트를 분해할 수 있다. 이후에 장착부재(200)를 베이스(8)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장착부재(200)가 분리되면, 베이스(8)의 바닥에 구비되는 개구부(310)가 개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개구부(310)를 통해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를 베이스(8) 내부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베이스(8)로부터 인출된 건조풍공급장치(100)에 연결된 배선을 분리하여 상기 건조풍공급장치(100)를 베이스(8)로부터 완전히 떼어낼 수 있다.
한편 건조풍공급장치(100)의 재조립은 분해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조립작업에서 장착부재(200)를 건조풍공급장치(100)에 결합하는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재(200)에 형성된 제1지지돌기(281)에 건조풍공급장치(100)를 임시고정 함으로써, 장착부재(200)와 제1지지돌기(281) 사이의 결합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2: 터브 2a: 바닥판
2a-1: 관통구멍 4: 섬프
8: 베이스 100: 건조풍공급장치
110: 하우징 120: 레그
130: 송풍팬 140: 가열부
150: 공기토출부 160: 분배기
170: 퓨즈장치 200: 장착부재
210: 바디 220: 함몰부
230: 제2유도부 240: 제2리브
250: 제3리브 260: 후크
270: 체결부 281: 제1지지돌기
281a: 결합단부 282: 제2지지돌기
290: 가이드돌기 310: 개구부
320: 누수감지장치 321: 플로터
330: 제1유도부 331: 제1영역
332: 제2영역 340: 제1리브
350: 상방돌출부 360: 가이드홈

Claims (19)

  1.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터브로 공기를 분사하는 건조풍공급장치; 및
    상기 베이스의 바닥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건조풍공급장치가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장착부재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베이스에서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건조풍공급장치가 상기 베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풍공급장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레그(leg)
    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면에 상기 건조풍공급장치가 안착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그가 안착되는 함몰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풍공급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로 유입되는 공기를 강제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강제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하우징의 공기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공기토출부; 및
    상기 공기토출부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터브에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강제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터브로 배출되는 분배기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배치되고, 액상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누수감지장치; 및
    상기 바디의 상면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상의 물이 상기 누수감지장치로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제1유도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유도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바디의 상면에 흘러내린 물이 상기 제1유도부로 향하도록 유도하는 제2유도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도부의 상면의 높이는 상기 누수감지장치의 바닥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2유도부의 상면은 상기 누수감지장치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부와 상기 제2유도부는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제2유도부의 상면은 상기 제1유도부의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부는,
    상기 제2유도부와 연통되어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절곡되고, 단부가 상기 누수감지장치를 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영역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유도부의 가장자리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제2유도부의 가장자리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리브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리브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단부가 상기 제2리브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리브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바닥면의 일부가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방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도부 및 상기 제1리브는 상기 상방돌출부의 상면 중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측부에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 형상끼워맞춤으로 결합하는 후크; 및
    측부에 구비되고, 상기 후크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결합기구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가 안착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측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에 끼워져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바디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건조풍공급장치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도부는,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바디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바디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유도부와 상기 제1영역은 물의 유동방향으로 보아 출구측이 하향하도록 경사진 형상을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194346A 2021-12-31 2021-12-31 식기세척기 KR20230103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346A KR20230103446A (ko) 2021-12-31 2021-12-31 식기세척기
EP22215737.2A EP4205626A1 (en) 2021-12-31 2022-12-22 Dishwasher
US18/091,833 US20230210341A1 (en) 2021-12-31 2022-12-30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346A KR20230103446A (ko) 2021-12-31 2021-12-31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446A true KR20230103446A (ko) 2023-07-07

Family

ID=8456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346A KR20230103446A (ko) 2021-12-31 2021-12-31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10341A1 (ko)
EP (1) EP4205626A1 (ko)
KR (1) KR20230103446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35408B (de) * 1958-03-03 1962-08-30 Lazare Lespinasse Waschmaschinenaufbau
US8828148B2 (en) * 2007-02-06 2014-09-0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shwasher with accessible control unit, and associated method
DE102007030064A1 (de) * 2007-06-29 2009-01-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Plattform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ITTO20110841A1 (it) * 2011-09-20 2013-03-21 Indesit Co Spa Macchina lavastoviglie con sistema di asciugatura
PL2757930T3 (pl) 2011-09-20 2016-04-29 Indesit Co Spa Zmywarka do naczyń z układem suszen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0341A1 (en) 2023-07-06
EP4205626A1 (en) 202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8755B2 (en) Laundry machine
KR100913093B1 (ko) 식기세척기
KR100751147B1 (ko) 식기 세척기
US8793893B2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75509A (ko) 식기 세정기
KR101492500B1 (ko) 드럼식 세탁기
EP1873298A2 (en) Steam genera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328956B1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6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4A (ko) 식기세척기
KR20100020789A (ko) 식기 세척기
KR20100058875A (ko) 스팀 식기세척기
KR20230130908A (ko) 식기세척기
EP4129146A1 (en) Dishwasher
WO2019167422A1 (ja) 洗濯機および加熱水生成装置
KR20230103440A (ko) 식기세척기
KR20230020232A (ko) 식기세척기
KR100833868B1 (ko) 스팀건조기
KR20230103441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39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2A (ko) 식기세척기
KR20230111989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03443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5A (ko) 식기세척기
KR101033595B1 (ko) 세탁기용 스팀발생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