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304A - 보온성과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목욕 가운 - Google Patents

보온성과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목욕 가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304A
KR20230103304A KR1020210194102A KR20210194102A KR20230103304A KR 20230103304 A KR20230103304 A KR 20230103304A KR 1020210194102 A KR1020210194102 A KR 1020210194102A KR 20210194102 A KR20210194102 A KR 20210194102A KR 20230103304 A KR20230103304 A KR 20230103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iber
bathrobe
yarns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링크
Priority to KR102021019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304A/ko
Priority to DE102022115132.8A priority patent/DE102022115132A1/de
Priority to PCT/KR2022/021549 priority patent/WO2023128626A1/ko
Publication of KR2023010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3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2Side-by-side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92Conjugate, i.e. bi- or multicomponent, fibre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06Warp pile fabrics
    • D03D27/08Terry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41D7/006Beach clothing not designed for swimming
    • A41D7/008Beach capes or rob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10Bamboo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3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condensation products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D10B2331/02 - D10B2331/14
    • D10B2331/30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condensation products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D10B2331/02 - D10B2331/14 polyarylene sulfides, e.g. polyphenylenesulfi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사를 포함하는 지경사,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의 분할형 극세사를 포함하는 심사, 상기 심사를 커버하는 커버링사로 형성된 테리사, 중공사를 포함하는 위사로 제직된 테리직물로 형성되에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난 목욕가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온성과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목욕 가운{Bathrobe with excellent warmth and washing durability}
본 발명은 중공섬유를 이용한 테리구조의 직물로 형성되는 목욕가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섬유산업은 여러 가지 기능이 있는 복합적인 고기능성 섬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원사, 원단의 기술개발 추세는 차별화를 지향하며 의류의 기능성을 더욱 고도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며, 인간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전, 건강, 고품질의 제품을 포함하는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소재 개발은 섬유산업의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활필수품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타월이나 목욕가운과 같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생활필수품은 촉감이 부드러워야 하고, 흡수성이 좋아야 하며, 청결한 느낌을 유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 사용 목적 상 세탁을 자주 하여야 하므로 세탁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타월이나 목욕가운에 면섬유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면섬유는 높은 흡습성을 가지고 있으나, 면섬유는 주성분인 셀룰로오스의 주쇄에 친수성기인 수산기(-OH)를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한 수분이 빠르게 제거되지 않는 문제와 반복 세탁에 따른 촉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목욕가운은 신체 표면에 존재하는 다량의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떨어진 체온을 상승시키고 유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흡한속건성, 흡수성, 발열성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특성은 면섬유만으로 만족되지 않는다.
그러나 면을 소재로 한 목욕가운은 촉감이 부드럽고 흡수성이 양호하기는 하나, 소재가 무겁고, 특히 높은 함수율에 의해 피부에 잔류하는 수분의 순간 흡수력 즉, 수분을 순간적으로 초기에 흡수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착용감이 상쾌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8420호(2015.11.18)
본 발명은 보온성이 우수하고 가벼우면서 흡습된 습기를 빠르게 건조 가능한 흡한속건성이 우수하고 반복된 세탁에도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할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면사를 포함하는 지경사, 테리사 및 중공사를 포함하는 위사로 제직된 티리직물로 형성되고, 상기 테리사는 극세사를 포함하는 심사, 상기 심사를 커버링하는 커버사는 대나무 섬유와 아크릴 섬유의 혼방사를 포함하는 것인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중공사는 환형 단면 또는 이형 단면일 수 있고, 상기 중공사 단면의 중앙에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중공사는 2성분 사이드 바이 사이드 중공복합사이고, 상기 2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에틸렌 고분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고분자일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중공사는 대나무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태리사는 심사 표면에 커버사를 T/M 200~500으로 꼬아 감은 것일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극세사는 총 70~100개의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져 총 섬도가 100~300 데니어일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테리사는 극세사를 포함하는 심사를 대나무 섬유와 아크릴 섬유의 혼방사를 포함하는 커버사로 연사한 후 열처리하여 커버사가 심사에 고착되는 것일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열처리는 110~130℃의 열을 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커버사는 대나무 섬유와 아크릴 섬유의 혼합 중량비가 3:7 내지 7:3일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심사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극세사일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심사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의 중량비가 2:8 내지 3:7일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지경사는 20 내지 40 면번수(Cotton yarn number)의 면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는 목욕가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면사를 포함하는 지경사,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의 분할형 극세사를 포함하는 심사, 상기 심사를 커버하는 커버링사로 형성된 테리사, 중공사를 포함하는 위사로 제직된 테리직물로 형성되는 목욕가운을 제공하고, 상기 목욕가운은 지조직에 면사와 중공사가 포함되어 있어서 가벼우면서 보온성이 뛰어난 목욕가운을 제공할 수 있다.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 중 어느 한 명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수영이나 목욕 후 체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목욕"이라 하면 목욕, 샤워 또는 세면 등과 같이 사람의 신체 부위를 물과 접촉시키는 모든 행위를 포함하는 것이고, 또 "가운"이라 함은 상기한 광의의 목욕행위 전 후에 착용하는 가운을 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테리직물"은 일반적으로 경파일직(Warp pile fabric)이라고 하며, 일종의 경사, 위사로 바닥부(지조직)을 만들고 다시 별도의 파일경사를 배열하여 이것을 직물면에 파일 혹은 술을 이루도록 하는 직물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테리파일(Terry pile)이라고 부르는 특별 경사로 바닥부에 고리를 형성하는 다층 구조의 경파일직물을 뜻한다.
본 발명에 따른 테리직물의 제조방법은 먼저 지경사와 파일 경사를 각각 별도의 빔에 감고, 특수한 위타장치가 있는 직기에 지경사는 장력을 하게 주어 걸고, 파일 경사는 장력을 약하게 주어 건다. 이때 지경사와 파일 경사는 교대로 배열한다. 첫번째 위사, 두번째 위사를 경사 사이에 위입한 후 북침하고, 세번째 위사를 경사 사이에 위입한 후 세게 북침하여 파일 경사가 앞쪽으로 밀려서 루프가 바닥부 양면에 형성되는 테리직물로 제직된다.
상기 바닥부(지조직)의 지경사로 면섬유, 마섬유, 모섬유, 또는 재생섬유가 포함될 수 있고, 가장 좋게는 면섬유로 형성된 면사를 사용하는 것이 친환경적이면서 피부에 좋다.
상기 지경사의 섬도는 20 내지 40 면 번수(cotton yarn number)인 것이 제직성 및 기계적인 강도를 확보하여 제조에 유리하고, 제조된 타월의 좋은 촉감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제직공정에서 지경사에 장력이 강하게 부여되므로, 40 면 번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위사로 중공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중공사의 다면은 환형 단면 또는 이형 단면이고, 상기 중공사 단면의 중앙에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중공사는 대나무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일 수 있다.
상기 중공사는 2성분 사이드 바이 사이드 중공복합사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2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에틸렌 고분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고분자일 수 있다.
2성분 중공복합사를 이용하면 보온성과 복원력이 좋다. 만약 중공부가 없다면 보온성, 탄력성 및 경량성의 효과를 기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중공사의 중공율은 전체 면적 대비 5~30%일 수 있고, 좋게는 5~20%일 수 있다. 상기 중공율을 만족하면 바닥부(지조직)가 자연스러운 촉감을 가질 수 있고, 흡수특성이 좋으며, 중공부가 있어서 함기율을 높일 수 있다. 함기율이 높으면 보온성이 뛰어나다.
바닥부는 흡한속건성 및 보온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trimethyleneterephthalate, PTT)는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일종으로 기존의 합성구조를 바꾸어 촉감을 나일론과 같거나 그보다 좋게 만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른 성분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고분자인 PET를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방사구금을 통하여 압출하여 냉각 고화시킨 다음 권취하는 용융방사공정을 거쳐 사용한다.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type)으로 배열된 중공복합사의 단면은 환경모양일 수 있고, 중앙에는 전체 면적 대비 5~30%(공극률)의 면적으로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극률을 갖는 중공사를 사용하면 중공사의 모세관현상으로 인하여 수분의 흡수, 확산, 증발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중공사의 모노필라멘트의 섬도는 1.5~5데니어일 수 있다. 중공사의 탄력성을 고려하면 상기 섬도를 만족하는 것이 좋다. 더욱 좋게는 2~5 데니어일 수 있다.
중공사가 이형 단면은 타원형, 삼각형, 3엽 이상 형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중공사가 이형 단면사로 구성되면 표면적이 넓어서 촉감이 부드럽고, 가벼우면서 보온성이 우수하여 착용자에게 따뜻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목욕가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리사는 심사, 상기 심사를 커버링하는 커버사로 구성된다.
상기 심사로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극세사 또는 해도형 폴리에스테르 극세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극세사가 포함되어 초기 흡수력이 뛰어나 쾌적한 착용감과 수분 건조효과를 얻을 수 있고, 부드럽고 포근한 촉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극세사는 총 70~100개의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져 총 섬도가 100 내지 300 데니어이고, 감량공정을 통해 극세화되어 0.01~1 데니어/필라멘트의 섬도가 된다. 상기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극세사는 극세화 공정을 통해 섬유간 미세 공극이 형성되고 섬유 표면적이 증가하여 수분 흡수용량이 대폭 증가된다. 그리고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순간적으로 흡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섬도를 만족하게 되면 반복된 세탁에 대해서 내구성을 갖게 되어 목욕가운 표면으로 심사가 빠져 나와 마찰에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감량공정은 통상적인 감량공정을 적용한다. 알칼리 용해성 감량공정을 적용하여도 좋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칼리 침해를 최소화 하여 용출성 수지를 제외한 성분의 침해를 막는다. 감량공정은 커버링 전 또는 커버링 후에 이루어져도 괜찮다. 상기 알칼리 용해성 감량공정은 100 내지 130℃에서 30분간 내지 60분간 진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심사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의 중량비가 2:8 내지 3: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 편으로 심사로 해도형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 편으로 심사에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사를 포함할 수 있다. 그 함량은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극세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수 있다. 더 좋게는 0.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사는 커버링 공정 이후에 이루어지는 열처리에 의해 커버사들이 심사에 고착되도록 하여 목욕가운이 반복되는 세탁에 의해 테리사의 심사가 커버사 표면 밖으로 표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그 함량도 커버사가 심사에 고착할 수 있을 정도의 함량이면 충분하다.
상기 커버사는 대나무 섬유와 아크릴 섬유의 혼합사를 포함할 수 있다.
대나무에서 셀룰로오스를 추출하여 만든 대나무 섬유는 면섬유보다 뛰어난 흡습성과 천연 항균작용을 자랑하므로 대나무 섬유를 포함하는 목욕가운은 청량을 감을 부여할 수 있다.
대나무 섬유의 단면은 이형 단면으로 표면적이 크고, 섬유 내부에 가늘고 긴 중공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아주 빠르게 흡수하고 발산하는 성질이 있으며 촉감이 부드럽고 소취 기능이 있다. 따라서 커버사에 대나무 섬유가 포함되어 피부에 자극이 없고 피부로부터 흡수한 수분을 순간 흡수하여 목욕가운 밖으로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으로는 대나무 섬유는 이형 단면의 중공사이므로, 아크릴 섬유로부터 방출되는 습윤열을 함유하게 되어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사는 아크릴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수분이 목욕가운에 흡수될 때 높은 흡습열을 방출하여 착용자의 체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 섬유는 극성기를 갖는 아크릴 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 섬유는 카르복실기(carboxylic acid group를 포함할 수 있고 섬유표면에 상기 친수성기가 배치되어 수분 흡수율이 높으며, 이에 따라 흡습열의 발생이 높은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목욕가운의 테리사에 포함된 아크릴 섬유의 친수성기(극성기)에 의해 수증기분자가 결합하여 강하게 고정될 때 수분자의 온도에너지가 저하여 에너지 변환이 일어나 흡착이 발생하고, 섬유에 흡착한 수증기가 액체로 변할 때 응축열이 가산되어 열이 발산되면 열을 피부로 전달하고, 액체는 대나무 섬유를 통해 목욕가운 밖으로 전달된다. 또 남은 열은 대나무를 통해 유지된다.
대나무 섬유와 아크릴 섬유는 3:7 내지 7:3의 중량비로 혼합될 때 상기 작용에 따른 효과가 최적화될 수 있다. 좋게는 4:6 내지 7:3 또는 4:6 내지 6:4 더욱 좋게는 5:5 내지 7:3 가장 좋게는 5:5 내지 4:6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대나무 섬유와 아크릴 섬유의 혼합비가 3:7 내지 7:3를 만족하면 아크릴 섬유로부터 발생하는 습윤열과 대나무 섬유에서의 속건성 및 보온성과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커버링 공정 이후에 110 내지 130℃에서 25분간 내지 50분간 열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에 의해 커버사인 아크릴 섬유와 대나무 섬유가 심사에 고착되어 반복되는 세탁에 의해 심사인 극세사가 밖으로 나오거나 커버사가 끊어져서 목욕가운의 표면이 까슬까슬한 느낌이 나도록 목욕가운 표면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목욕가운은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해 자주 세탁을 해야 하므로, 세탁 내구성이 요구된다. 즉, 세탁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견딜 수 있는 강력이 요구되고, 반복되는 세탁에 의해 부드러운 촉감도 유지되어야 한다.
제직이 끝난 테리직물은 위사를 염색하기 위해 1차 염색단계를 거친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에틸렌 고분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고분자의 2성분 이형 단면 중공사인 위사와 테리사의 심사를 염색하기 위해 1차 염색단계를 거친다.
상기 1차 염색단계는 분산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분산염료는 보통 물에 불용 또는 난용이므로, 염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처리 단계를 선행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단계는 염색용수에 정련제, 캐리어, 분산제 및 균염제가 포함된 약제가 혼합된 전처리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색용수는 정제된 물로서 물경도가 30 내지 100pp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련제(scouring agent)는 섬유 표면에 부착된 각종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등의 비이온성 활성제나 상기 비이온성 활성제에 알킬벤젠설폰산염, 지방족 알코올의 황상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성 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dispersing agent)는 섬유표면에 부착된 각종 불순물을 제거하는 약제이며, 바람직하게는 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포르말린 축합물, 알킬나프탈렌술폰산나트륨 또는 그의 포르말린 축합물, 페놀술폰산나트륨과 나프톨술폰산나트륨의 포르말린 축합물, 알킬 디페닐 에테르 디술폰산 나트륨, 리그닌술폰산 나트륨,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알릴)에테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의 혼합조제, 설폰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올레핀-말레인산나트륨 공중합체, 축합인산염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계분산제, 알킬벤젠(나프탈렌)술폰산염, 디옥틸술폰말레인산나트륨, 스티렌-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의 부분아미드화 또는 부분에스테르화물, 지방산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민, 초산염 또는 지방산염 알킬아민, 알킬2급(3급)아민 또는 아미드 및 알킬이미다졸린 등의 비수계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캐리어(carrier)는 상기 심사를 구성하는 섬유구조를 이완시키는 팽윤작용으로 섬유의 수용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일반적인 분산염료의 사용 시 염액의 온도는 섬유에 따라 다르나 보통 120℃ 이상의 조건에서 행해지게 되는데, 상기 온도 이상에서 섬유에 공동이 형성되어 염료가 침투될 수 있는 조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캐리어를 사용하는 경우 보다 적은 에너지를 이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염색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리어로서 바람직하게는 트리클로로벤젠, 메틸나프탈렌, 오르토-페닐페놀, N,N-디메틸술폭사이드 및 N-메틸-2-피롤리돈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균염제(retardant)는 상기 1차 염색단계에서 얼룩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속한 염색을 억제하는 약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및 탄산나트륨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전처리액은 산(acid)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산은 전처리액의 pH를 더 낮추어 염색의 색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산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액은 정련제 1 내지 2 중량%, 캐리어 0.1 내지 1 중량%, 분산제 0.1 내지 1 중량%, 균염제 1 내지 2 중량% 및 나머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 산 0.01 내지 0.1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상기 테리직물을 상기 전처리액이 담겨진 욕조에 침지하고 9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에서 10 내지 30분간 수행하는 것이 상기 심사를 수축시키며, 상기 분산염료의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염색단계의 염색방법은 종래 공지의 염색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산염료는 여러 발색단을 하나 또는 복수 개 보유하고 있는 염료로서 아조염료, 안트라퀴논염료, 퀴노프탈론염료, 나프탈이미드염료, 나프토퀴논염료 및 니트로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C. I. Disperse Yellow 3, C. I. Disperse Yellow 5, C. I. Disperse Yellow 64, C. I. Disperse Yellow 160, C. I. Disperse Yellow 211, C. I. Disperse Yellow 241, C. I. Disperse Orange 29, C. I. Disperse Orange 44, C. I. Disperse Orange 56, C. I. Disperse Red 60, C. I. Disperse Red 72, C. I. Disperse Red 82, C. I. Disperse Red 388, C. I. Disperse Blue 79, C. I. Disperse Blue 165, C. I. Disperse Blue 366, C. I. Disperse Blue 148, C. I. Disperse Violet 28, C. I. Disperse Green 9를 들 수 있다.
또한, 분산염료는, 적절한 데이터베이스(예를 들면 「컬러 인덱스」)로부터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산염료의 상세나 다른 예는, 「공업용 염료」, 크라우스훈게르편, Wiley-VCH, Weinheim, 2003, pages133~158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을 참조하여 선택하면 된다. 또한 분산염료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다른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1차 염액 조성물에는 분산염료 이외에, 산화방지제, pH 조정제, 표면장력 저하제, 증점제, 보습제, 농염화제, 방부제, 곰팡이방지제, 대전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환원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1차 염액 조성물은 분산염료 1 내지 3 중량%, 첨가제 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염색단계는 9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96 내지 98℃에서 수행하는 것이 상기 파일경사 중 심사를 수축시킬 뿐 아니라 캐리어가 심사를 이루는 필라멘트의 비정형부분을 확장시켜 염색이 더욱 원활하게 되며, 견뢰도가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1차 염색단계는 1 내지 2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 균일한 염색이 진행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염색단계가 끝나면, 욕조에서 염액을 제거하고, 동일욕조에서 바로 정련표백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정련표백 단계는 바닥부를 이루는 섬유와 파일경사를 이루는 섬유의 공통공정으로, 상기 공정을 통해 이물질 제거, 미반응 색소의 제거 뿐만 아니라,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정련표백단계에 사용되는 정련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무기 정련제 또는 유기 정련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NaOH),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Na2CO3),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NaHCO3), 세스퀴탄산나트륨(Sodium Sesquicarbonate; Na2CO3NHCO32H2O), 규산나트륨(Sodium Silicate; xNa2Si4O9 + yNa2Si2O3 + zH2O), 석회(Calcium Oxide; CaO),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Ca(OH)2)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정련표백 단계에 사용되는 표백제는 산화환원 작용에 의해 색소물질을 분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표백분(Ca(OCl)2, 차아염소산소다(NaClO), 아염소산소다(NaClO2) 등의 염소계 표백제, 과산화수소(H2O2), 과산화소다(Na2O2), 과붕산나트륨(NaBO3·4H2O), 과망간산칼륨(KMnO4) 등의 과산화물계 표백제, 아황산가스(SO2), 산성아황산소다(NaHSO3), 차아황산나트륨(Na2S2O4) 등의 아황산계 표백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외에도 정련·표백단계에 사용되는 처리액 조성물에 아미노폴리카르복실산 (Ethylene Diaminete Tetraacetic Acid; EDTA), 히드록시폴리카르복실산(Citric Acid), 아미노메틸폴스폰산(Amino-methylphosphonic Acid; Ethylene Diaminetetra-methyl Phosphonic Acid; EDTMP), 폴리카르복실산(Oxalic Acid), 소디움폴리포스페이트(Sodium Hexametaphosphate) 등의 킬레이트제나 폴리실리케이트(polysilicat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등의 안정제를 더 첨가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정련·표백단계는 90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98℃, 가장 바람직하게는 96 내지 98℃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물질, 미반응염료 등의 제거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며, 1차 염색단계를 통해 염색된 심사가 탈색될 수도 있다.
상기 처리액 조성물은 정련제 1 내지 5 중량%, 표백제 1 내지 5 중량%, 첨가제 0.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의 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련표백 공정이 끝나면 2차 염색단계를 수행한다.
2차 염색단계도 상기 정련·표백단계와 마찬가지로 처리액만 교체하고 동일 욕조에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테리직물의 염색방법은 1차 염색단계에서 분산염료를 통한 N/P복합사외 바닥부의 위사를 염색한 후, 가성소다를 이용한 정련공정과 셀룰로이드섬유에 적합한 염색공정 및 다수의 후처리 공정을 거치면서 분산염료의 잔해물을 배출시켜 N/P 복합사의 견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2차 염색단계는 상기 단계의 테리직물 중 바닥부와 테리사의 커버사를 염색하는 것으로, 반응성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반응성염료는 견뢰도가 우수하고, 정련·표백 공정 후 수세 공정 없이 연속적으로 2차 염색공정을 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의 염색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반응성염료의 경우 미염착염료가 많으며, 폐수유입률이 전체 염료 중 10 내지 50%에 달하므로, 바닥부를 이루는 섬유와의 고착률을 고려하여 염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염료는 반응성의 강약에 따라 염액의 온도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배치식염색법, 연속염색법 등 염색방법에 상관없이 모두 적용 가능한 염료라면 종류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반응성염료는 색소모체와 반응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보통 동일 반응기에도 색소모체의 분자구조에 따라 흡착률이 크게 변화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특정 반응기에 대한 견뢰도가 우수한 색소모체를 조합한 반응성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반응기로서 바람직하게는 비닐술폰(vinylsulfone)계 또는 트리아진(triazine)계 반응기를 갖는 것이 가격이 저렴하고, 염법에 구애받지 않으며, 섬유와 안정한 결합을 형성하고, 견뢰도 및 균염성이 우수하여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반응성염료로서 예를 들면, CIBA Specialty Chemicals의 Lanasol CE, Yellow light, Orange light, Blue light, Navy light, Red light, Rose light, Lemon light, Sky light, Cibacron FN, Red FN-3G, Red FN-G, Cibacron LS; 니폰카야쿠사의 Blue P-NFB liquid 50, yellow P-N3R liquid 33, Red P-4BN liquid 25; 수미토모화학공업사의 Sumifix HF type; 다이스타사의 Srius plus, Realan, Reanova CA; 미츠비시카세이훽스트의 Remazol RU-N; 제네카사의 Procion CX; 클라리언트사의 Optizal계 염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염료는 모두 80% 이상의 높은 고착율과, 우수한 습윤견뢰도를 가지고 있어 본 발명에 적합하다. 물론 상기 반응성염료도 2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반응성염료를 포함하는 2차 염액 조성물에는 매염제 및 정련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염제는 발색을 촉진하고 색소를 섬유에 염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명반(황산알루미늄칼륨, AlK(SO4)2·12H2O), 초산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매염제, 초산구리나 황산구리 등과 같은 구리매염제 및 무수망초(황산나트륨) 등의 나트륨매염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용적으로 사용하는 매염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련제는 염료가 섬유에 잘 흡착될 수 있도록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알킬설페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설포네이트,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설포네이트 및 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티르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차 염액 조성물은 반응성염료 1 내지 3 중량%, 매염제 1 내지 5 중량%, 정련제 1 내지 5 중량% 및 나머지의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2차 염색단계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반응성의 정도에 따라 다르나 40 내지 80℃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차 염색단계가 끝난 후에, 상기 2차 염액 조성물을 욕조에서 제거한 후, 동일 욕조에서 소핑 처리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핑(soaping)공정은 염색 후 남아있는 미고착 염료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90 내지 110℃의 온도에서 20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핑공정에 사용되는 소핑액 조성물은 상기 온도를 가지는 통상의 물에 소핑제를 투입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소핑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프로텍스코리아사의 PROTEPON RSA 또는 PROTEPON NRC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소핑제는 물 1ℓ에 대하여 1 내지 5g 투입하는 것이 금속이온의 봉쇄력을 유지하면서, 불순물의 재부착을 방지하여 염료의 견뢰도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소핑공정이 끝나면, 소핑액 조성물을 욕조에서 제거하고, 동일 욕조에서 유연 처리를 더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유연 처리는 제조되는 타월의 반발탄성, 평활성, 벌키(bulky)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연 처리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 처리는 유연액 조성물을 20 내지 60℃에서 10 내지 60분간 진행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연액 조성물은 유연제와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유연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유연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연제로 예를 들면 청산켐텍사의 CSE-920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owf(on the weight of fiber)로 1 내지 5 %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연 처리가 끝나면 수세 및 건조과정을 통해 테리직물에 남아있는 처리액, 수분 등을 제거하고, 판매 조건에 따라 절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월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월은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 지경사 및 위사를 포함하는 바닥부와 상기 위사 사이를 통과하여 파일을 형성하는 파일경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조방법에 기재된 것과 같이 지경사 및 위사는 10 내지 60 면 번수(cotton yarn number)이며, 상기 파일경사 중 심사는 60 내지 160 D/72F, 커버링 연사는 10 내지 30 면 번수의 섬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월은 바닥부 및 파일경사의 표면에 한약재 추출물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부착공정은 상기 직물의 유연 처리단계 후 수세 및 건조과정이 끝난 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추출물은 오미자, 황련, 어성초, 지모, 포공영, 작약, 연교, 금은화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한약재는 제조된 타월에 특유의 천연 향기를 부여할 수 있으며,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나무 섬유의 항균효과와 맞물려 더욱 강력한 항균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 한약재 추출물의 추출방법은 통상의 방법, 이를테면 가열 또는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 추출물은 섬유 표면에 부착하기 위해 바인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는 친수성이며, 제조되는 타월의 물성을 크게 해치지 않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바인더로서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폴리카르본산, 지환족 폴리카르본산, 방향족 폴리카르본산, 포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불포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등의 폴리카르본산;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한약재 추출물의 부착방법은 당업계에서 이용 가능한 통상의 방법, 이를테면 침지법, 스프레이법, 코팅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침지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한약재 추출물 및 바인더는 용매를 포함한 액상의 형태로 부착할 수 있는데, 이때 함량은 owf로 한약재 추출물 1 내지 10 %, 바인더 5 내지 20 %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용매는 상기 바인더 및 한약재 추출물을 모두 용해할 수 있는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흡습 발열 테스트(KS K 0589:2014(A법))
실시예 및 비교에서 제조된 목욕가운용 테리직물을 저습조건(34℃, RH10%)에 3시간 방치한 후, 고습 조건(34℃, RH 90%)에 3시간 동안 노출시켰을 때의 흡습에 따른 시료표면의 최대 발열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흡습발열성(절대 발명)값은 실시예 온도 상승폭에서 비교예 1의 온도상승 값을 뺀 값으로 습윤발열섬유만의 온도상승분을 계산하였다.
2. 보온성 테스트(Thermal resistance, CLO; KS K 0466:2015)
의류가 극한의 온도로부터 얼마나 잘 보호되는지를 의류의 단열 측정치인 CLO값으로 설명하기 위해 1941년에 개발되었다.
CLO값 1은 휴식 중인 사람이 섭씨 21도 또는 화씨 71도의 실내 온도에서 열적 편안함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의복의 양과 같다. 아래 표 1은 CLO의 상대적인 척도를 나타낸 것이다.
의류 CLO 값
없음(입지 않음) 0
다리가 긴 바지 0.1
두꺼운 스웨터 0.35
다운 재킷 0.55
파카 0.7
[실시예 1]
1) 습윤발열섬유의 제조
아크릴로니트릴 100 중량붕 대하여 아크릴산메틸에스테르 10 중량부가 포함된 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를 얻었다. 상기 중합체를 티오시안산칼슘 수용액에 용해하고 방사용 원액을 제작하였다. 이것을 방사하여 아크릴섬유를 얻었다. 25℃에서 15중량%의 티오시안산칼슘 수용액을 응고액으로 하고 습식 방사하여 아크릴섬유시료를 얻었다. 상기 얻어진 섬유를 히드라진 0.5중량% 및 수산화나트륨 1.4중량%를 함유하는 수용액 중에서, 100℃에서 2시간, 가교 도입 처리 및 가수분해 처리를 동시에 행하고, 8중량% 질산 수용액으로, 120℃에서, 3시간 처리하여 수세하였다. 얻어진 섬유를 물에 침지하고,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 9로 조정한 후, 섬유에 포함되는 카르복실기량의 2배에 상당하는 질산마그네슘을 용해시킨 수용액에 50℃에서 1시간 침지함으로써 이온 교환 처리를 실시하였고, 수세, 건조함으로써 Mg형 카르복실기를 갖는 Mg염형 가교 폴리아크릴레이트 섬유(이하 '아크릴 섬유'라 한다)를 얻었다.
상기 아크릴 섬유와 대나무 섬유를 중량비 5:5로 합사하여 커버사를 제조하였다.
2) 테리사 제조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극세사(극세화한 섬도가 60D/72F)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저융점 폴리에스테르사 0.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심사로 하고 상기 제조된 커버사로 심사 표면을 Z연으로 감아(커버하여) 테리사를 제조하였다.
3) 테리직물의 제조
30면 번수의 면섬유를 포함하는 면사를 지경사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를 포함하는 2성분 중공 이형단면사를 위사로 사용하였다.
면사와 테리사를 교호로 배열한 후 면사에 장력을 강하게 주고, 테리사에는 면사에 가한 장력의 1/2 힘으로 당겨주어 테리사가 느슨하게 되도록 한다. 이렇게 배열된 것을 편의상 경사라고 한다.
경사 사이로 위사인 중공사를 두 올을 위입하고 가볍게 바디침시킨 다음 세번째 위사를 윕하고 강하게 바디침시켜 위사 3올이 모두 바닥부(지조직)에 들어가도록 하고, 이러한 작업을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이런 작업을 반복하면 단단하게 잡아당겨진 지경사는 늘어지지 않으나 테리사는 위사 3올과 조합돼 제직되면서 파일을 형성시켜 테리직물을 제조하였다.
분산염료(C.I. Disperse Red 60, (주)LG화학) 1 중량%, 캐리어(트리크롤로벤제) 1 중량% 및 물 98 중량%로 구성된 1차 염액 조성물을 담은 욕조에 제조된 테리직물을 투입하여 98℃에서 1시간 동안 1차 염색하였다.
1차 염색이 끝난 테리직물은 수세 없이 1차 염액 조성물을 욕조에서 배출하고 바로 정련표백 처리액을 투입하여 98℃에서 30분간 정련표백 단계를 수행하였다.
정련표백 단계가 끝난 후 동일 욕조에서 처리액을 배출하고 2차 염액 조성물을 욕조에 투입하여 2차 염색단계를 수행하였다. 이 때 2차 염액 조성물의 온도는 60℃, 처리시간은 1시간이었다. 상기 2차 염액 조성물은 반응성염료(Lanasol CE, CIBA Specialty Chemicals) 1 중량%, 물 99 중량%로 구성하였다.
염색 공정이 끝나면 동일 욕조에서 2차 염액 조성물을 제거하고, 쇼핑제(PROTEPON RSA, 프로텍스코리아사) 1중량%가 첨가된 소핑액을 투입하여 98℃에서 30분간 진행하였다.
소핑 공정 후 동일 욕조에서 소핑액을 제거한 후 유연제(cse-920, 청산켐텍사)owf 1%가 첨가된 유연액을 투입하여 40℃에서 30분간 진행하였다.
소핑 공정이 끝난 후 충분히 수세, 건조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목욕가운용 테리직물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상기 대나무 섬유와 폴리아크릴레이트 섬유를 중량비 4:6로 합사하여 커버사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대나무 섬유와 폴리아크릴레이트 섬유를 중량비 3:7로 합사하여 커버사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대나무 섬유와 폴리아크릴레이트 섬유를 중량비 8:2로 합사하여 커버사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대나무 섬유 100%로 커버사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폴리아크릴레이트 섬유 100%로 커버사를 제조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된 Mg형 가교 폴리아크릴레이트 섬유 10 중량부를 합사하여 습윤발열섬유를 제조하고, 상기 습윤발열섬유를 심사로 하고 대나무 섬유 100%를 커버사로 하여 테이사를 제조하였고,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대나무 섬유와 폴리아크릴레이트 섬유를 중량비 5:5로 합사하여 커버사를 제조하고, 바닥부(지조직)의 위사로 중공사가 아닌 40면 번수의 면사를 포함하는 면사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최초온도(℃) 최대 상승 온도(℃) 온도 상승 폭(℃) 흡습발열성(℃)
실시예 1 33.8 41.1 7.3 5.3
실시예 2 33.9 42.1 8.2 7.2
실시예 3 33.8 41.9 8.1 7.1
비교예 1 33.9 39.2 5.3 5.0
비교예 2 33.8 38.7 4.9 4.6
비교예 3 33.8 42.7 8.9 8.6
비교예 4 33.8 38.2 4.4 4.1
비교예 5 33.9 39.2 5.3 5.0
상기 표 2는 흡습 발열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ㄳ이고, 표 2에서와 같이 아크릴 섬유가 포함되면 흡습발열현상이 발생했으며, 아크릴 섬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흡습발열온도는 다소 높아졌다. 실시예 1과 비교예 5와 같이 테리직물 내에 중공사가 포함되면 온도상승분이 조금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크릴 섬유로부터 발생하는 흡습발열을 중공사에 의해 목욕가운과 피부 사이에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아크릴 섬유 100%로 이루어진 비교예 3은 흡습발열온도가 가장 높으나 목욕가운이 속건성이 감소하여 다소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Thermal resistance, CLO 0.78 0.57 0.81
표 3은 보온성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CLO값 1은 휴식 중인 사람이 섭씨 21도 또는 화씨 71도의 실내 온도에서 열적 편안함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의복의 양과 같다.
다운 재킷의 CLO값이 0.55이고, 파카의 CLO값이 0.7인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된 목욕가운용 테리직물의 CLO값이 0.57 이상이라는 것은 보온성 효과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12)

  1. 면사를 포함하는 지경사, 테리사 및 중공사를 포함하는 위사로 제직된 테리직물로 형성되고,
    상기 테리사는 극세사를 포함하는 심사, 상기 심사를 커버링하는 커버사는 대나무 섬유와 아크릴 섬유의 혼방사를 포함하는 목욕가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는 환형 단면 또는 이형 단면이고, 상기 중공사 단면의 중앙에는 원형의 중공부가 형성된 목욕가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는 2성분 사이드 바이 사이드 중공복합사이고, 상기 2성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에틸렌 고분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프로필렌 고분자,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고분자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고분자인 목욕가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는 대나무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폴리에틸렌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목욕가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리사는 심사 표면을 커버사로 T/M 200 내지 500으로 꼬아 감은 것인 목욕가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는 총 70~100개의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져 총 섬도가 100 내지 300 데니어인 목욕가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리사는 극세사를 포함하는 심사를, 대나무 섬유와 아크릴 섬유의 혼방사를 포함하는 커버사로 연사한 후 열처리하여 커버사가 심사에 고착되는 것인 목욕가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10~130℃의 열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목욕가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사는 대나무 섬유와 아크릴 섬유의 혼합 중량비가 3:7 내지 7:3인 목욕가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분할형 극세사 또는 해도형 폴리에스테르 극세사를 포함하는 목욕가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심사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의 중량비가 2:8 내지 3:7인 목욕가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경사는 20 내지 40 면 번수(cotton yarn number)의 면사를 포함하는 것인 목욕가운.
KR1020210194102A 2021-12-31 2021-12-31 보온성과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목욕 가운 KR20230103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102A KR20230103304A (ko) 2021-12-31 2021-12-31 보온성과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목욕 가운
DE102022115132.8A DE102022115132A1 (de) 2021-12-31 2022-06-15 Bademantel mit hervorragendem wärmeschutz und waschbeständigkeit
PCT/KR2022/021549 WO2023128626A1 (ko) 2021-12-31 2022-12-28 보온성과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목욕 가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102A KR20230103304A (ko) 2021-12-31 2021-12-31 보온성과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목욕 가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304A true KR20230103304A (ko) 2023-07-07

Family

ID=8676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102A KR20230103304A (ko) 2021-12-31 2021-12-31 보온성과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목욕 가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03304A (ko)
DE (1) DE102022115132A1 (ko)
WO (1) WO202312862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420A (ko) 2014-05-09 2015-11-18 (주)우리타올컴퍼니 목욕가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0731B2 (ja) * 1996-04-12 2004-03-29 ユニチカ株式会社 微細孔中空ポリアミド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09380B1 (en) * 2003-04-22 2003-12-18 Newclean Co Ltd Quick-drying bathrobe
CN100595361C (zh) 2007-08-29 2010-03-24 浙江恒逸集团有限公司 一种多异多功能涤纶复合竹节纱及其生产方法
KR101595874B1 (ko) * 2013-02-14 2016-02-19 주식회사 한신타올공업 대나무섬유를 이용한 테리구조를 가지는 다층 타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다층 타월
KR20180117367A (ko) * 2017-04-19 2018-10-29 주식회사 엘브이컴퍼니 중공면사를 포함하는 흡한속건 타월
CN107541830B (zh) 2017-08-15 2019-03-08 张家港思淇科技有限公司 一种纱线及成纱工艺及防护性纺织品及编织方法和设备
KR101918944B1 (ko) * 2018-02-05 2018-11-15 삼두염색 주식회사 항균 타월의 제조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균 타월
CN212375450U (zh) 2020-06-19 2021-01-19 苏州市星京泽纤维科技有限公司 一种超仿棉涡流纺纱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420A (ko) 2014-05-09 2015-11-18 (주)우리타올컴퍼니 목욕가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115132A1 (de) 2023-07-06
WO2023128626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83235B (zh) 生态抑菌透气柔滑梭织面料
JP4358894B2 (ja) 後染め用繊維素材
CN107268157B (zh) 一种纺织毛巾面料
CN1973081A (zh) 内外层异性纯棉织物及其生产方法
JP5074590B2 (ja) 吸水速乾性織編物
CN108779585A (zh) 纱线和布帛以及纤维制品
CN103374776A (zh) 一种涤锦交织弹性织物及其生产方法
DE102013101470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igen Handtuchs mit einer Frotteestruktur unter Benutzung einer Bambusfaser und damit hergestelltes mehrschichtiges Handtuch
WO2008098420A1 (en) Process for preparing multifunctional moisture management textiles
KR101595874B1 (ko) 대나무섬유를 이용한 테리구조를 가지는 다층 타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다층 타월
KR101946409B1 (ko) 냉감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냉감 원단
EP1411165A1 (en) FIBER STRUCTURE HAVING HIGH WHITENESS AND HIGH MOISTURE−ABSORBING AND RELEASING PROPERTY,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5778400B2 (ja) 吸水速乾性織物
KR20230103304A (ko) 보온성과 세탁 내구성이 우수한 목욕 가운
WO2003001934A1 (en) Moisture management double face woven fabric
CN110923902A (zh) 单向导湿面料的制备方法
JP2014101598A (ja) 布帛
KR102230480B1 (ko) 습윤발열섬유를 이용한 타월의 제조방법
KR101131492B1 (ko) 염색견뢰도가 우수한 극세사 직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고흡수성 의류
CN110714256A (zh) 一种防紫外防晒面料及其生产方法
JP2010255130A (ja) 染色された吸水速乾性織編物の製造方法
JP2005171427A (ja) 交織織物
JP2008150728A (ja) 吸水速乾性織編物
JP7434675B2 (ja) カチオン染料可染性再生セルロース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繊維構造物
KR101533264B1 (ko) 극세사를 날개사로 하는 샤넬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