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249A -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249A
KR20230103249A KR1020210193998A KR20210193998A KR20230103249A KR 20230103249 A KR20230103249 A KR 20230103249A KR 1020210193998 A KR1020210193998 A KR 1020210193998A KR 20210193998 A KR20210193998 A KR 20210193998A KR 20230103249 A KR20230103249 A KR 20230103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vet
cover member
inner tube
cover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735B1 (ko
Inventor
오승학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
Priority to KR1020210193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735B1/ko
Publication of KR2023010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61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e.g. bag-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10Edg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61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e.g. bag-like
    • A47G2009/0269Devices for use in fitting blanket or duvet enclosing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동일한 크기의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봉제함으로써, 삽입홀을 통해 커버 내측으로 손을 넣은 상태로 커버부재의 내측에 구비된 연결끈을 이불속통의 고리부와 간단하게 묶거나 푸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Blanket cover for easy binding of inside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동일한 크기의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봉제함으로써, 삽입홀을 통해 커버 내측으로 손을 넣은 상태로 커버부재의 내측에 구비된 연결끈을 이불속통의 고리부와 간단하게 묶거나 푸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은 취침시 사용자의 몸을 덮어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함으로써 편안한 수면을 취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보온성을 유지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하고 쾌적한 잠자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불은 그 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지퍼가 형성되는 이불커버와, 상기 이불커버의 내측에 수용되는 속통으로 구성되며, 지퍼를 통해 속통을 이불커버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불커버 내부에 수용된 속통을 편평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사람이 각 모서리를 잡아주어 고정시킨 다음 각 모서리 부분을 실로 바느질하여 묶어야 하는 등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이불카바'가 등록실용신안 제20-0436132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포낭형상의 이불카바(1)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형성한 레이스(1a)의 박음질부분 아래쪽의 좌우 양단에서 중심부쪽으로 상부 좌측지퍼(2)와 상부 우측지퍼(3)를 횡방향(폭방향)으로 부착하고, 이 중심부에서 이불카바(1)의 하단까지 종방향(길이방향)으로 하부지퍼(4)를 부착하며 상기 이불카바(1)의 내면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끈(1b)을 형성하고 이 이불카바(1)에 끼워지는 이불본체(5)의 외피 가장자리에도, 상기한 이불카바(1)의 체결끈(1b)의 대응위치에 동일한 수의 체결끈(5a)을 형성하여 체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이불카바(1)의 내면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끈(1b)이 형성되며, 이불본체(5)의 외피 가장자리에 체결끈(5a)이 형성되어 체결끈(1b,5a)의 결합을 통해 이불카바(1)와 이불본체(5)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이불카바(1)의 개방단부를 통해 사용자가 손을 깊숙이 넣어 이불카바(1)의 체결끈(1b)을 찾고 대응되는 위치의 이불본체(5)의 체결끈(5a)을 서로 매듭하여 결속시켜야 하므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냅 단추를 이용하여 이불 커버와 이불 속통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불이 등록특허 제10-1533926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원단(30)을 재단하여 이불 커버(10)의 상부층(11)을 형성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원단(30)을 재단하여 이불 커버(10)의 하부층(14)을 형성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이불 커버(10)의 상부층(11)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스냅 단추(12)의 암요면(13)을 배열하여 고정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이불 커버(10)의 상부층(11)과 하부층(14)을 일체로 밀착시킨 후, 재봉질 마감하는 제 4 단계;와, 원단(30)을 재단하여 이불 속통(20)의 상부층(21)를 형성시키는 제 5 단계;와, 상기 원단(30)을 재단하여 이불 속통(20)의 하부층(24)을 형성시키는 제 6 단계;와, 상기 이불 속통(20)의 상부층(21)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스냅 단추(22)의 수요면(23)을 배열하여 고정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이불 속통(20)의 상부층(21)과 하부층(24) 사이에 솜 또는 털과 깃털로 이루어진 다운을 투입한 후. 공간을 재봉질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이불 속통(20)을 이불 커버(10) 내부 공간부(15)에 수용시킨 후, 스냅 단추(12)(22)의 암요면(13)과 수요면(23)을 서로 결착하여 하나의 이불(40)로 형성되는 제 9 단계;로 제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이불 커버와 이불 속통의 외주면에 배열된 다수의 스냅 단추가 각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 혼자서도 손쉽게 이불 커버 내부에 이불 속통을 끼우거나 분리할 수 있고, 또한 이불에 형성되는 스냅 단추는 타측의 이불에 고정된 스냅 단추와 연결되면서 이불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나, 이불 커버와 이불 속통의 외주면에 배열된 다수의 스냅단추를 일일이 결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이불 커버의 상부에 눕는 경우, 다수의 스냅단추에 의해 사용자의 몸이 가압됨에 따라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132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39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크기의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봉제함으로써, 삽입홀을 통해 커버 내측으로 손을 넣은 상태로 커버부재의 내측에 구비된 연결끈을 이불속통의 고리부와 간단하게 묶거나 푸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는,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가 포개진 상태로 봉제되며, 다수의 고리부가 구비된 이불속통이 내부에 수용되어 결속되도록 상기 고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연결끈이 구비되는 이불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는 그 테두리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는 봉제 과정에서 상기 이불속통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이불커버의 연결끈 및 상기 이불속통의 고리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의 타측 모서리 끝 부분에서 상기 연결끈의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의 제조방법은, 원단을 재단하여 이불커버의 상부커버부재를 형성시키는 제1단계; 원단을 재단하여 이불커버의 하부커버부재를 형성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를 포갠 상태로 그 테두리를 봉제하되, 이불속통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봉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상기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봉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크기의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봉제함으로써, 삽입홀을 통해 커버 내측으로 손을 넣은 상태로 커버부재의 내측에 구비된 연결끈을 이불속통의 고리부와 간단하게 묶거나 푸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에 이불속통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의 삽입홀을 통해 이불속통을 이불커버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의 구성을 보인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에 이불속통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의 삽입홀을 통해 이불속통을 이불커버에 결합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100)는 상부커버부재(110)와 하부커버부재(120)가 포개진 상태로 봉제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고리부(11)가 구비된 이불속통(10)이 내부에 수용되어 결속되도록 상기 고리부(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연결끈(111,121)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끈(111,121)은 상부커버부재(110) 또는 하부커버부재(120)의 어느 일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부재(110)와 하부커버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제 과정에서 이불속통(10)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데, 이불속통(10)이 수용된 상태에서 개방된 일측이 마감처리되도록 중앙부에 위치하는 연결끈(111,121)은 상부커버부재(110)와 하부커버부재(120)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부재(110)와 하부커버부재(120)에 각각 위치하는 연결끈(111,121)을 상기 고리부(11)에 결속함에 따라 개방된 일측이 마감처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부재(110)와 하부커버부재(120)는 그 테두리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130)이 형성되도록 봉제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홀(130)을 통해 사용자의 손을 넣어서 이불커버(100)의 내측에 구비된 연결끈(121)을 이불속통(10)의 고리부(11)와 간단하게 묶거나 푸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이불속통(10)을 이불커버(100) 내측에 간단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삽입홀(130)이 구비됨에 따라 이불속통(10)을 이불커버(100)의 내측에 결합시 또는 세탁 등을 위해 이불속통(10)을 이불커버(100)로부터 분리시 이불커버(100)의 개방된 일측과 대향되는 위치의 이불속통(10)을 이불커버(100) 내측에 간단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홀(130)은 상기 이불커버(100)의 연결끈(111,121) 및 상기 이불속통(10)의 고리부(11)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커버부재(110)와 하부커버부재(120)의 타측 모서리 끝 부분에서 상기 연결끈(111,121)의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을 재단하여 이불커버(100)의 상부커버부재(110)를 형성시키고, 동일한 방식을 통해 원단을 재단하여 이불커버(100)의 하부커버부재(120)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상부커버부재(110)와 하부커버부재(120)를 포갠 상태로 그 테두리를 봉제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커버부재(110)와 하부커버부재(120)는 이불속통(10)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봉제되며, 그 양측면은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130)이 형성되도록 봉제되는데, 상기와 같이 동일한 크기의 상부커버부재(110)와 하부커버부재(120)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130)이 형성되도록 봉제함으로써, 삽입홀(130)을 통해 이불커버(100) 내측으로 손을 넣은 상태로 이불커버(100)의 내측에 구비된 연결끈(111,121)을 이불속통(10)의 고리부(11)와 간단하게 묶거나 푸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이불속통 11: 고리부
100: 이불커버 110: 상부커버부재
111: 연결끈 120: 하부커버부재
121: 연결끈 130: 삽입홀

Claims (3)

  1.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가 포개진 상태로 봉제되며, 다수의 고리부가 구비된 이불속통이 내부에 수용되어 결속되도록 상기 고리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연결끈이 구비되는 이불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는 그 테두리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는 봉제 과정에서 상기 이불속통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이불커버의 연결끈 및 상기 이불속통의 고리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의 타측 모서리 끝 부분에서 상기 연결끈의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3. 원단을 재단하여 이불커버의 상부커버부재를 형성시키는 제1단계;
    원단을 재단하여 이불커버의 하부커버부재를 형성시키는 제2단계; 및
    상기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를 포갠 상태로 그 테두리를 봉제하되, 이불속통이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봉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3단계를 통해 상기 상부커버부재와 하부커버부재를 봉제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면에 사용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도록 봉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의 제조방법.
KR1020210193998A 2021-12-31 2021-12-31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2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998A KR102602735B1 (ko) 2021-12-31 2021-12-31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998A KR102602735B1 (ko) 2021-12-31 2021-12-31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249A true KR20230103249A (ko) 2023-07-07
KR102602735B1 KR102602735B1 (ko) 2023-11-20

Family

ID=8715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998A KR102602735B1 (ko) 2021-12-31 2021-12-31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7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41A (ja) * 1996-07-26 1998-02-10 Yamadatakashi Shoten:Kk 布団カバー
KR200436132Y1 (ko) 2006-10-25 2007-06-12 박영선 이불카바
JP2014061112A (ja) * 2012-09-21 2014-04-10 Rong-Jun Huang 二層式掛け布団及びその布団カバー
KR101533926B1 (ko) 2014-05-22 2015-07-03 박종웅 탈부착 기능을 갖는 이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341A (ja) * 1996-07-26 1998-02-10 Yamadatakashi Shoten:Kk 布団カバー
KR200436132Y1 (ko) 2006-10-25 2007-06-12 박영선 이불카바
JP2014061112A (ja) * 2012-09-21 2014-04-10 Rong-Jun Huang 二層式掛け布団及びその布団カバー
KR101533926B1 (ko) 2014-05-22 2015-07-03 박종웅 탈부착 기능을 갖는 이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735B1 (ko) 202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6319A1 (en) Integrated bedding cover system and method
US8015636B2 (en) Cornerless sheets
US4172300A (en) Pouch zipper blanket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nd utilizing same
US6415442B1 (en) Infant wrap
US6735783B2 (en) Head covering with pouch
US20110258749A1 (en) Blanket
US20130117933A1 (en) Bed covering
US20070061964A1 (en) Muti-Entry/Egress Sleeping Bag
US4534065A (en) Blanket garment wrap
US5418979A (en) Zipperless, snapless, laceless infant sac with car safety seating capability
US10154743B1 (en) Split blanket
KR101533926B1 (ko) 탈부착 기능을 갖는 이불의 제조방법
KR20230103249A (ko) 이불속통 결속이 용이한 이불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395116A1 (en) Thread-fit fitted sheet for mattresses
US20170318990A1 (en) Multi-pieced bedding cover
JP3193594U (ja) 寝具カバー
JP3235984U (ja) 和服
KR200301657Y1 (ko) 베갯잇의 교환이 용이한 베개
JP3046249U (ja) 掛けふとんおよびふとんカバー
KR102039841B1 (ko) 부분 확장성을 갖는 이불커버
KR200301658Y1 (ko) 베갯잇의 교환이 용이한 베개
CN212629901U (zh) 身体覆盖物
JP3080134U (ja) 天然ムートン付き掛布団
KR200436132Y1 (ko) 이불카바
KR200263948Y1 (ko) 베갯잇의 교환이 용이한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