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641A -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및 회전광원램프 - Google Patents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및 회전광원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641A
KR20230102641A KR1020210192936A KR20210192936A KR20230102641A KR 20230102641 A KR20230102641 A KR 20230102641A KR 1020210192936 A KR1020210192936 A KR 1020210192936A KR 20210192936 A KR20210192936 A KR 20210192936A KR 20230102641 A KR20230102641 A KR 20230102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current value
leds
faulty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641A/ko
Publication of KR20230102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Othe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6Abnormalities, e.g. fail-saf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회전광원램프(1)에 적용된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은 회전되는 LED 모듈(50)의 원형 배열 또는 선형 배열로 제1,...,N LED CHIP(60A~60N) 중 발생된 미점등 LED의 기존 전류값을 변경 전류값으로 하여 고장 LED로 확인하고, 상기 고장 LED의 전류값을 0으로 설정하는 주변 LED 전류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80) 또는 주변부 LED의 기존 전류값을 변경 전류값으로 설정하는 모터 전압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90)이 포함됨으로써 고장 LED의 광량을 주변부 LED의 광량 증대로 보완하여 고장 LED 교체 없는 제1,...,N LED CHIP(60A~60N)의 배광 성능 유지로 램프의 배광 성능이 만족되도록 하고, 특히 LED 고장 판단 후 램프의 고장여부를 운전석 클러스터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LED 고장 후 작동 수명 증대와 함께 AS 기회비용 저감도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및 회전광원램프{Method for Detecting and Compensating Fault of Rotating Light Source and Lamp Thereof}
본 발명은 회전광원램프의 고장 대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 배열 LED 사이의 LED 고장을 주변부 정상 LED로 보완해 주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및 회전광원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용 램프 시스템은 빔 패턴을 다양하게 구현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를 위해 램프 시스템으로 LAM(LED ASSY MODULE)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LAM은 광원으로 적용된 다수개의 LED(Light Emitting Diode) 각각을 전기 회로로 연결하고, 패턴 제어 신호에 의한 LED 그룹화로 빔 패턴을 생성함으로써 다양한 빔 패턴 구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LED를 이용한 램프 시스템은 빔 패턴 다양화로 소비자 만족을 높여주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JP 2020-100398 A
하지만, 상기 LAM은 외장형 LAM 또는 내장형 LAM으로 램프 시스템에 적용됨으로써 LED의 고장에 대한 A/S 효율 및 경제성이 크게 낮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LAM은 다수의 LED 중 하나 또는 몇 개의 LED 만 고장 나는 경우, 다수의 LED 들이 모두 정상 상태임에도 상기 외장형 LAM은 LAM 전부를 교체하여야 하고 반면 상기 내장형 LAM은 램프 전부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상기 LAM은 고장난 LED의 광원을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램프 시스템의 조명 기능 저하를 가져와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시야 확보 또는 후방 차량 운전자의 전방 차량 시인성 저하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원형 배열 LED 별 동작 상태 감지로 검출된 LED 고장을 고장 LED에 지정된 전류값의 인접 LED 지정, 주변부 LED 광량 증대, 고장 LED 위치에서 회전 속도 증대, 주변부 LED 위치에서 회전 속도 증대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주변부 정상 LED가 보완해 줌으로써 고장난 LED 교체 없이도 램프의 배광성능이 만족되도록 하고, 특히 LED 고장 판단 후 램프의 고장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LED 고장 후 작동 수명 증대와 함께 AS 기회비용 저감도 가능한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및 회전광원램프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은 동력부에 의한 LED 모듈(50)의 움직임으로 상기 LED 모듈에 배열된 제1,...,N LED CHIP의 LED 각각이 제어기에 의해 전류 인가 후 차단되거나 또는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되고, 미점등 LED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미점등 LED를 고장 LED로 하고, 고장/저장 모드를 작동시키는 신속 대응 제어, 운전자 알림과 함께 고장/저장 모드를 작동시키는 운전자 알림 신속 대응 제어, 주변 LED를 매칭하는 LED 조정 제어, 주변 LED 전류 증가로 상기 고장 LED 광량을 보상하는 전류가변제어, 및 상기 동력부의 모터 전압 증가로 상기 고장 LED 광량을 보상하는 전압가변제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동력부의 모터 정지로 미점등 LED 점검을 종료하는 램프 구동 정지 확인 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N LED CHIP은 상기 LED 모듈에 원형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류 인가 후 차단 또는 상기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은 LED 각각의 점등 위치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미점등 LED는 상기 LED 모듈의 움직임 마다 확인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LED 조정 제어의 단계는 상기 미점등 LED의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하는 단계, 상기 미점등 LED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점등 LED를 상기 고장 LED로 특정하고, 상기 고장 LED를 기준으로 하여 주변부 LED의 전류값 변경하며, 메모리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하는 단계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류가변제어의 단계는 상기 미점등 LED의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하는 단계, 상기 미점등 LED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점등 LED를 상기 고장 LED로 특정한 후 주변부 LED 수량을 결정하고, 상기 주변부 LED 수량에 대해 상기 변경 전류값을 동일하게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변경 전류값을 LED 분배 전류값으로 다르게 인가하며, 메모리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하는 단계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압가변제어의 단계는 상기 미점등 LED의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하는 단계, 상기 미점등 LED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점등 LED를 상기 고장 LED로 특정한 후 주변부 LED 수량을 결정하고, 상기 주변부 LED 수량에 대해 전류값을 설정하며, 상기 동력부의 모터 인가 전압을 일정하게 증가시켜 상기 제1,...,N LED CHIP의 움직임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하거나 또는 상기 모터 인가 전압을 상기 고장 LED 및 상기 주변부 LED의 점등 위치에서만 증가시켜 상기 제1,...,N LED CHIP의 움직임을 부분적으로 빠르게 하며, 메모리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하는 단계로 수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변경 전류값은 상기 기존 전류값보다 높게 설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변경 전류값은 상기 미점등 LED의 점등 위치에서 고장여부가 확인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메모리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은 상기 주변부 LED의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변경 전류값은 상기 주변부 LED가 상기 고장 LED에서 멀어질수록 작게 설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메모리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은 상기 주변부 LED의 기존 전압값을 상기 모터 인가 전압값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 인가 전압값은 상기 주변부 LED가 상기 고장 LED에서 멀어질수록 작게 설정되며, 상기 모터 인가 전압값은 상기 주변부 LED의 기존 전류값을 유도전류로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변경시켜 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운전자 알림은 차량 운전석의 클러스터에 대한 정보 송출로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광원램프는 동력부에 의한 LED 모듈의 움직임 중 전류 인가 후 차단 또는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으로 제1,...,N LED CHIP에서 발생된 고장 LED로 확인하고, 상기 고장 LED에 대한 주변부 LED의 기존 전류값이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변경되는 전류가변제어 또는 전압가변제어로 상기 고장 LED의 광량을 상기 주변부 LED의 광량 증대로 보완하여 상기 제1,...,N LED CHIP의 배광 성능을 유지시켜 주는 제어기; 및 상기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갱신 및 저장하는 LED 별 전류값 테이블 또는 상기 모터 인가 전압값을 갱신 및 저장하는 LED 별 전압값 테이블이 구비된 메모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고장 LED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회전광원램프에 적용된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은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원형 배열 LED의 회전광원에 LED 고장모드의 광량 보완이 적용됨으로써 하나 이상의 LED 고장 상황에서도 램프의 배광성능을 만족하여 준다. 둘째, 다수개의 LED 고장 상황에서도 고장난 LED의 주변부 정상 LED를 통해 램프의 배광성능이 유지됨으로써 어떠한 LED 고장 상황에서도 운전자의 불편함이 개선된다. 셋째, LED 고장 시 램프 점등 유지 및 배광 성능 확보를 통한 시야 확보로 야간 주행 시 램프 성능 저하에 따른 사고 방지가 가능하다. 넷째, LED 고장 후 작동 수명 증대가 가능하면서 LED 고장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 A/S 효율을 높이고 A/S 기회비용 저감도 가능하다. 다섯째, 램프 시스템에 외장형 LAM 또는 내장형 LAM으로 적용되어 단 하나의 LED 고장시에도 LAM 전부를 교체하거나 램프 전부를 교체하지 않음으로써 경제성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의 다양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이 적용된 회전광원램프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광원램프에 적용된 제어기의 동작 상태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정상 및 고장 시 회전광원램프의 점등 상태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LED 고장 시 LED 전류 제어로 램프 점등 유지 및 배광 성능 확보가 이루어지는 상태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LED 고장 시 LED 회전속도 제어로 램프 점등 유지 및 배광 성능 확보가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광원램프의 고장 감지 및 대응 방법은 S1, S10, S20, S30, S100의 고장모드 및/또는 저장모드를 수행하는 신속 대응 제어(도 1참조), S2, S10, S20, S30, S100, S200의 고장 경고와 함께 고장모드 및/또는 저장모드를 수행하는 운전자 알림 신속 대응 제어(도 2참조), S3, S50, S60, S70, S100의 고장 LED 기반 주변 LED 매칭을 수행하는 LED 조정 제어(도 3참조), S4, S50, S60, S80, S100의 주변 LED 전류증가에 의한 주변 LED 광량으로 고장 LED 광량을 보상해주는 전류가변제어(도 4참조), 및 S5, S50, S60, S90, S100의 모터 전압증가에 의한 주변 LED 잔류 광량으로 고장 LED 광량을 보상해주는 전압가변제어(도 5참조) 중 어느 하나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광원램프의 고장 감지 및 대응 방법은 고장 LED 부근의 LED들을 보완 작동시켜 하나 이상의 LED 고장 상황이더라도 램프 점등 유지 및 배광 성능 확보를 통한 시야 확보, 시야 확보를 통한 사고 방지, 고장 후 작동 수명 증대를 통한 AS기회비용 저감 등이 가능하며, 특히 기존과 동일한 램프 구성에서도 단 하나의 LED 고장 시 LAM 전부 또는 램프 전부를 교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회전광원램프(1)의 구성을 예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광원램프(1)는 동력부(10), 회전부(20), LED 모듈(50), 위치 신호 송신부(80), 제어기(100) 및 전원부(200)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동력부(10)는 회전부(2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적용하고, 전원 공급과 구동을 위해 신호 송신부(80)와 전기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부(20)는 LED 모듈(50)을 회전시키며, 회전력 송신부(30)와 회전력 수신부(40) 및 전력 수신부(43)로 구성된다.
일례로 단면 C-C와 같이, 상기 회전력 송신부(30)는 인접각(K)을 갖고 배열된 제1,...,N 스테이터(31A‘~31N’)로 형성된다. 그리고 단면 B-B와 같이, 상기 회전력 수신부(40)는 제1,...,N 영구 자석(40A‘~40N’)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력 수신부(43)는 제1,...,N 전력 수신 레그(43A~43N)로 구성되어 제1,...,N 영구 자석(40A‘~40N’)의 인접한 2개의 영구 자석 사이에 1개의 전력 수신 레그로 위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N 전력 수신 레그(43A~43N)는 제1,...,N 영구 자석(40A‘~40N’)과 제1,...,N 스테이터(31A‘~31N’)의 회전력에 의한 자기력 변화로 부터 회전력 → 자기력 → 전력 변환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일례로 상기 LED 모듈(50)은 LED CHIP(60)과 LED 회로부(70)로 구성된다. 단면 A-A에서, 상기 LED 회로부(70)는 원형 단면을 갖는 중공 원기둥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LED CHIP(60)은 LED 회로부(70)의 외경(71)에 부착되어 LED 회로부(70)의 전기회로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LED CHIP(60)의 제1,...,N LED CHIP(60A~60N)은 외부 어레이 배열되나 필요 시 내부 어레이 배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LED CHIP(60)은 제1,...,N LED CHIP(60A~60N)(N은 2 이상의 정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N LED CHIP(60A~60N)의 각각은 인접 LED CHIP 간 인접각(K)을 갖고 LED 회로부(70)의 외경(71)에 부착된다. 이 경우 상기 LED CHIP(60)을 구성하는 제1,...,N LED CHIP(60A~60N)의 각각은 통상적인 LED CHIP과 동일한 구조 및 동작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LED CHIP(60)은 제1,...,N LED CHIP(60A~60N)(N은 2 이상의 정수)를 LED 회로부(70)의 중공 원기둥 구조물에 원형 배열 구조로 예시되나, 이는 LED 회로부(70)의 중공 원기둥 구조물에 선형 왕복 배열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LED 회로부(70)의 구조물 형상변경에 맞춰 다양한 배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LED 회로부(70)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이용하여 제조되므로 전원 공급 및 신호 송수신을 위한 전기회로(도 7 참조)를 내장하며, PCB의 전기회로는 위치 신호 송신부(80)가 보내준 신호와 동기신호 생성이 이루어지기 위한 전원 및 신호 회로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위치 신호 송신부(80)는 내부에 전원 라인과 신호 라인을 구비 한 소정 길이의 막대 바 형태로 LED 회로부(70)의 안쪽으로 원형 단면의 중심(O)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됨으로써 LED CHIP(60)의 제1,...,N LED CHIP(60A~60N) 중 서로 마주하는 하나의 LED CHIP과 동기화 상태에서 이어진 전원으로 해당 LED에 전류 인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신호 송신부(80)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서 전원 공급 및 신호 송신을 위한 전기회로를 내장하고, LED CHIP(60)의 LED 별 작동위치를 제어기(100)의 동작 상태 감지부(도 7 참조)로 전송함으로써 제어기(100)에서 고장 LED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위치 신호 송신부(80)는 회전부(20)의 회전력 수신부(40)로 회전되는 LED 모듈(50)의 LED 회로부(70)의 회전에 대해 1 회전 당 LED CHIP(60)의 제1,...,N LED CHIP(60A~60N) 중 서로 마주하는 하나의 LED 또는 그 주변부 포함 다수개의 LED를 동기화하여 점등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제어기(100)는 동작 상태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상태 감지부는 LED 회로부(70)와 연계되어 위치 신호 송신부(80)의 LED 작동위치 신호로 정상 및 고장 LED를 확인 및 구별함으로써 LED CHIP(60)의 제1,...,N LED CHIP(60A~60N) 각각에 대한 광량을 제어하여 준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기(100)는 고장광원 점검(S10~S30)/고장광원 확인(S40~S70)/램프 배광성능 유지(S80~S100)/램프 이상 외부 알림(S200)을 수행하는 로직 또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메모리(101)를 구비하고, 중장처리장치로 작동한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101)는 LED 어레이 테이블 및 고장 LED 저장 기능도 수행한다.
일례로 상기 전원부(200)는 동력부(10)와 함께 회전광원램프(1)를 구성하는 부품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며, 별도의 배터리 또는 차량 탑제용 배터리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의 상기 회전광원램프(1)의 고장 감지 및 대응 방법을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주체는 제어기(100)이며, 제어대상은 동력부(10)의 모터 및 LED 모듈(50)의 제1,...,N LED CHIP(60A~60N)이다.
도 1의 신속 대응 제어(S1, S10, S20, S30, S100)를 참조하면, 상기 신속 대응 제어는 S1의 모터 회전 횟수를 N=1로 설정하여 모터가 구동되는 단계, S10의 제N LED 전류 인가 후 차단 단계, S20의 제N LED 중 고장여부 확인 단계, S30의 고장모드 및/또는 저장모드 작동 단계, S100의 램프 구동 정지 확인 단계로 수행된다.
또한 도 2의 운전자 알림 신속 대응 제어(S2, S10, S20, S30, S100, S200)를 참조하면, 상기 운전자 알림 신속 대응 제어는 S2의 모터 회전 횟수를 N=1로 설정하여 모터가 구동되는 단계, S10의 제N LED 전류 인가 후 차단 단계, S20의 제N LED 중 고장여부 확인 단계, S30의 고장모드 및/또는 저장모드 작동 단계, S100의 램프 구동 정지 확인 단계, S200의 램프 이상 외부 알림 단계로 수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광원램프(1)의 구동은 전원부(200)의 전원 공급된 동력부(10)를 통한 회전부(20)와 LED 모듈(5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LED 모듈(50)의 회전은 위치 신호 송신부(80)의 점등 신호에 맞춰 LED CHIP(60)의 제1,...,N LED CHIP(60A~60N) 각각이 점등 위치에서 점등된다. 이 경우 상기 LED 모듈(50)은 제1,...,N LED CHIP(60A~60N)이 모두 점등된 후 소등되고, 이어지는 다음 1회전에서도 동일하게 반복됨으로써 회전광원램프(1)의 조명 기능 상태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LED 모듈(50)은 원형 배열구조에 적용되는 회전됨으로 예시되나, 이는 선형 왕복 배열 구조에선 회전대신 1회 왕복 직선운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N LED 전류 인가 후 차단(S10)은 LED 모듈(50)이 1 회전하는 동안 제1,...,N LED CHIP(60A~60N)이 점등 위치에서 1,2,3,...,N과 같이 순차적으로 점등된 후 소등되는 상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0)는 위치 신호 송신부(80)의 LED 작동위치 신호를 받고, LED 회로부(70)와 연계한 동작 상태 감지부에서 제1,...,N LED CHIP(60A~60N) 각각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점등 및 미점등으로 LED 고장 여부를 확인한다.
그러므로 상기 LED 고장여부 확인(S20)은 제어기(10)가 동작 상태 감지부로 감지한 제1,...,N LED CHIP(60A~60N)를 위치 신호 송신부(80)의 LED 작동위치 신호와 매칭 하여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기 제N LED 중 고장여부 확인(S20)에서, 미점등 LED 감지가 없는 경우(즉, 모든 LED 점등) “N = M+1”이므로 “N번째 LED = 1번째 LED”와 같이 같아진 상태에 맞춰 N=1 리셋 후 S10의 제N LED 전류 인가 후 차단 단계로 반복 작업이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제1,...,N LED CHIP(60A~60N) 중 고장난 LED 점등 안됨으로써 전류 인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면 미점등 LED 감지 경우 S30의 고장모드 및/또는 저장모드 작동 단계로 전환한다.
일례로 상기 고장모드 및/또는 저장모드 작동(S30)은 미점등 LED를 N번째 LED로 하여 고장모드로 진입하고, 동시에 N번째 LED를 미점등 LED로 하여 저장모드로 진입한다. 이 경우 상기 미점등 N번째 LED는 고장 LED로 확정하지 않음으로써 저장모드에 저장된 LED 테이블 목록이 아직 갱신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LED 모듈(50)이 정상 모드와 고장 모드에서 제1,...,N LED CHIP(60A~60N)의 배광 성능을 예시한다.
일례로 상기 정상 모드는 모든 LED가 정상 LED이므로 LED 모듈(50)의 1회전에서 제1,...,N LED CHIP(60A~60N)의 순차 점등 시 모든 LED가 점등됨으로써 LED 모듈(50)의 배광 성능이 변화되지 않는다. 반면 상기 고장 모드는 정상 LED 중 N번째 LED가 미점등 LED이므로 LED 모듈(50)의 1회전에서 제1,...,N LED CHIP(60A~60N)의 순차 점등 시 모든 LED 사이에서 N번째의 미점등 LED가 점등되지 않음으로써 LED 모듈(50)의 배광 성능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기(10)는 도 1의 신속 대응 제어와 도 2의 운전자 알림 신속 대응 제어 중 S10~S20 단계에서 제1,...,N LED CHIP(60A~60N) 중 특정한 LED를 미점등 LED로 감지한 경우, S30 단계로 미점등의 N번째 LED를 고장 LED로 하는 고장모드와 함께 저장모드에 저장된 LED 테이블 목록을 갱신하여 고장 LED를 저장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램프 구동 정지 확인(S100)은 구동부(50)의 모터 정지로 판단되고, 모터 구동 지속 시 S10의 제N LED 전류 인가 후 차단 단계로 복귀하는 반면 모터 정지 시 도 1의 신속 대응 제어 및 도 2의 운전자 알림 신속 대응 제어를 종료한다.
특히 도 2의 상기 램프 이상 외부 알림(S200)은 제N LED 중 고장여부 확인(S20)에서 고장 LED가 특정된 경우, 제어기(10)는 차량 운전석의 클러스터에 대한 정보 송출로 운전자 알림을 구현하고, 이를 통해 상기 고장 LED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 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는 차량 운전석의 클러스터(Cluster)에 구비된 경고등 및/또는 부저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의 상기 LED 조정 제어(S3, S50, S60, S70, S100)를 참조하면, 상기 LED 조정 제어는 S3의 LED 전류값 변경(예, 기존 전류값 A-> 변경 전류값 B) 적용 후 모터 회전 횟수를 N=1로 설정하여 모터가 구동되는 단계, S50의 제N LED에 전류값 인가 후 차단 단계, S60의 제N LED 중 고장여부 확인 단계, S70의 고장 LED 기반 주변 LED 매칭 단계, S100의 램프 구동 정지 확인 단계로 수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기(10)는 LED 고장 신호 입력에 맞춰 LED 제어 신호를 위치 신호 송신부(80)와 LED 회로부(70)로 출력함으로써 제1,...,N LED CHIP(60A~60N)의 모든 LED가 기존 전류값 A 대신 변경 전류값 B로 점등된 후 소등되고, 이러한 LED 모듈(50)의 1회전을 통해 LED 전류값 변경(S3)/전류값 B 적용 제N LED에 전류값 인가 후 차단(S50)이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변경 전류값 B는 기존 전류값 A 대비 더 큰 값으로 적용된다.
이로부터 상기 제N LED 중 고장여부 확인(S60)은 전류값 B 적용 시 S10~S30에서 1차로 확인한 미점등의 N번째 LED의 점등 여부로 이루어지고, 만약 미점등 N번째 LED의 점등이 이루어진 경우 “N = M+1”이므로 “N번째 LED = 1번째 LED”와 같이 같아진 상태에 맞춰 N=1 리셋 후 S50의 전류값 B를 전체 LED에 인가 후 차단 단계로 반복 작업이 수행되며, 반면 미점등 N번째 LED의 점등이 없는 경우 고장 모드(도 9 참조)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미점등 N번째 LED가 고장 LED로 특정된다.
그 결과 상기 고장 LED 기반 주변 LED 매칭(S70)은 고장 LED로 특정된 미점등 N번째 LED를 제어기(100)의 메모리(101)(도 6 참조)에 저장 또는 갱신한다.
일례로 상기 고장 LED 기반 주변 LED 매칭(S70)은 전체 LED 중 고장 LED로 특정된 미점등 N번째 LED에 전류값 B=0을 저장하고, 상기 미점등 N번째 LED를 기준으로 하여 N+X번째에 B=d,… B=d’’’/N+1번째에 B=c/N-1번째에 B=b 저장, …B=a’’’/N-Y번째에 B=a과 같이 서로 다른 전류값(a...a’’’,b, d …d’’’)을 저장함으로써 고장 LED에 대한 전류값 B=0과 차별화 하여 준다. 이 경우 상기 a...a’’’,b, d …d’’’는 0보다 큰 전류값이다.
그러므로 상기 고장 LED 기반 주변 LED 매칭(S70)은 상기 미점등 LED를 상기 고장 LED로 특정하고, 상기 고장 LED를 기준으로 하여 주변부 LED의 전류값을 변경하며, 상기 주변부 LED의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설정하여 메모리(101)의 LED 별 전류값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한다.
또한 도 4의 상기 전류가변제어(S4, S50, S60, S80, S100)를 참조하면, 상기 전류가변제어는 S4의 LED 전류값 변경(예, 기존 전류값 A-> 변경 전류값 B) 적용 후 모터 회전 횟수를 N=1로 설정하여 모터가 구동되는 단계, S50의 제N LED에 전류값 인가 후 차단 단계, S60의 제N LED 중 고장여부 확인 단계, S80의 주변 LED 전류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 단계, S100의 램프 구동 정지 확인 단계로 수행된다. 이 경우 S4 단계는 도 3의 S3 단계와 동일하며, S50 단계 및 S60 단계는 도 3의 S50 단계 및 S60 단계와 동일하다.
도 9의 상기 전류가변제어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00)는 고장 LED로 특정한 미점등 N번째 LED의 전류값을 0으로 하고, 그 주변부 LED들을 우측방향 LED(즉, 반시계방향)과 좌측방향 LED(즉, 시계방향)으로 구분하여 우측방향 LED의 주변 LED들을 고장 -1 LED ~ 고장 -Y LED로 지정하고, 이를 통해 주변 LED 전류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80)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변 LED 전류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80)은 S81의 주변 LED 수량 결정 단계, S82의 주변 LED 전류값 설정 단계로 수행된다.
일례로 상기 주변 LED 수량 결정(S81)은 전류가변제어 진입에 따른 회전속도 또는 회전 반경에 따른 주변 LED 수량 결정(S81)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미점등 N번째 LED(즉, 고장 LED)는 0으로 하지 않아도 고장으로 인해 작동 하지 않으므로 전류값은 0으로 적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전류값을 0으로 적용함은 쇼트고장 방지를 위해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주변 LED 전류값 설정(S82)은 메모리(101)의 LED 별 전류값 테이블을 참조하면, 상기 LED 모듈(50)의 제1,...,N LED CHIP(60A~60N)에 대해 특정된 고장 LED를 전류값=0으로 하면서 고장 LED와 인접된 주변부의 정상 LED 별 전류값을 b,a''',a/c,d''',d와 같이 순차적으로 가변시켜 주변 LED에 적용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전류값 b,a''',a/c,d''',d의 크기는 b>a'''>a/c>d'''>d로 적용되며, “>”는 두 값의 크기 순서를 의미하며, N은 고장 LED 수량을 M은 전체 LED 수량을 의미한다.
그 결과 상기 LED 별 전류값 테이블은 제1,...,N LED CHIP(60A~60N) 중 고장 LED와 그 주변부의 정상 LED에 적용된 기존의 설정 전류값을 0,b,a''',a/c,d''',d로 변경하고, 상기 고장 LED에 영향을 주지 않는 나머지의 정상 LED에는 기존의 설정 전류값을 그대로 적용한다. 이 경우 상기 고장 LED 는 설정 전류값을 0으로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주변 LED 전류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80)은 LED 전류 제어 진입, 회전속도 또는 회전 반경에 따른 주변 LED 수량 결정, 주변 LED 전류값 설정, 주변 LED 전류값 분배 필요성 결정 및 LED 전류값 인가 또는 LED 분배 전류값 인가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기(100)는 주변 LED 전류값 분배 필요성 결정을 통해 고장 LED 주변부의 정상 LED에 대하여 LED 전류값 인가 또는 LED 분배 전류값 인가를 결정한다. 이 경우 상기 주변 LED 전류값은 LED 별 전류값 테이블의 고장-1 정상 LED의 전류값=b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LED 전류값은 고장-1 정상 LED에 적용된 전류값=b/전류값=c와 동일하며, 상기 LED 분배 전류값은 고장 -1 LED ~ 고장 -Y LED에 적용된 전류값=b/전류값=c, 전류값=a'''/d''',전류값=a/전류값=d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기 주변 LED 전류값 분배 필요성이 적용됨은, LED 모듈(50)의 제1,...,N LED CHIP(60A~60N)은 회전 반경이 클수록 고장-X/Y 숫자가 작아져 고장 LED인 N부근의 범위를 줄여 함이 LED 전류값 인가로 반영하기 위함이고, 반면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고장-X/Y 숫자가 커져 고장 LED인 N부근의 범위를 넓혀야 함이 LED 분배 전류값 인가로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빠른 회전 속도에서는 N+1 의 증대량을 줄이면서 N+2와 나눌 수 있다.
그러므로 광량-시간 선도를 참조하면, 상기 LED 모듈(50)의 1회전 시 제1,...,N LED CHIP(60A~60N) 중 고장 LED는 점등 위치에서 전류값=0으로 점등되지 않으나 고장 LED과 인접한 고장-1 정상 LED는 점등 위치에서 전류값=b로, 그 다음 인접한 고장-2 정상 LED는 점등 위치에서 전류값=a'''로, 가장 멀게 인접한 고장-Y 정상 LED는 점등 위치에서 전류값=a로 점등됨으로써 제1,...,N LED CHIP(60A~60N)의 전류값 증가로 점등되지 않는 고장 LED 주변부의 고장-1~고장-Y 정상 LED에 대한 광량 증대가 이루어진다.
그 결과 상기 회전광원램프(1)는 제1,...,N LED CHIP(60A~60N) 중 하나 이상의 고장 LED 발생시에도 주변부의 정상 LED에 대한 전류값 증대로 광량을 증대함으로써 램프 배광 성능이 만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주변 LED 전류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80)은 S100의 램프 구동 정지 시까지 지속되고, 상기 미점등 LED를 상기 고장 LED로 특정한 후 주변부 LED 수량을 결정하고, 상기 주변부 LED 수량에 대해 상기 변경 전류값을 동일하게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변경 전류값을 LED 분배 전류값으로 다르게 인가하며, 상기 주변부 LED의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설정하여 메모리(101)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한다.
그리고 도 5의 전압가변제어(S5, S50, S60, S90, S100)를 참조하면, 상기 전압가변제어는 S5의 LED 전류값 변경(예, 기존 전류값 A-> 변경 전류값 B) 적용 후 모터 회전 횟수를 N=1로 설정하여 모터가 구동되는 단계, S50의 제N LED에 전류값 인가 후 차단 단계, S60의 제N LED 중 고장여부 확인 단계, S90의 모터 전압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 단계, S100의 램프 구동 정지 확인 단계로 수행된다. 이 경우 S5 단계는 도 3의 S3 단계 및 도 4의 S4 단계와 동일하며, S50 단계 및 S60 단계는 도 3 및 도 4의 S50 단계 및 S60 단계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S90의 모터 전압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90)은 S91의 주변 LED 수량 결정 단계, S92의 주변 LED 전류값 설정 단계, S93의 N부근 모터 속도 증대 단계로 수행된다. 이 경우 S91 단계 및 S92 단계는 도 4의 S81 단계 및 S82 단계와 동일하다.
일례로 상기 N부근 모터 속도 증대(S93)은 도 10의 전압가변제어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00)는 고장 LED로 특정한 미점등 N번째 LED의 전류값을 0으로 하고, 그 주변부 LED들을 우측방향 LED(즉, 반시계방향)과 좌측방향 LED(즉, 시계방향)으로 구분하여 우측방향 LED의 주변 LED들을 고장 -1 LED ~ 고장 -Y LED로 지정하며, 동시에 동력부(10)의 전압을 고장 LED, 고장 -1 LED ~ 고장 -Y LED과 각각 매칭함으로써 동력부(10)의 모터 제어가 설정된다.
이로부터 메모리(101)의 LED 별 전압값 테이블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기(100)는 전압의 가변값은 고장 LED와 고장 -1 LED에서 전압 증가량을 최대로 한 후 고장 -2 LED ~ 고장 -Y LED로 갈수록 전압 증가량을 줄여줌으로써 전압의 가변값과 매칭 된 고장 -1 LED ~ 고장 -Y LED의 전류값은 회전속도 증가시 자연스럽게 유도 전류량 증대로 해당 LED의 인가 전류도 증대되는 특성으로 고장 -1 LED ~ 고장 -Y LED의 전류값이 b,a''',a/c,d''',d와 같이 순차적으로 가변된다.
특히 상기 고장 LED는 전압의 가변값 변화에 관계없이 전류값=0이 적용되며, 상기 고장 LED에 영향을 주지 않는 나머지의 정상 LED에는 기존의 설정 전압을 그대로 적용한다. 이 경우 상기 고장 LED 는 설정 전류값을 0으로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압은 해당 LED의 인가 전류 증대를 가져오는 유도 전류량 증대를 매칭 시켜 가변값을 설정함으로써 도 4의 주변 LED 전류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80)에서 설정된 전류값 b,a''',a/c,d''',d가 고장 -1 LED ~ 고장 -Y LED에 동일한 값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10)에 대한 전압의 가변은 제1,...,N LED CHIP(60A~60N)의 전류값에 대한 설정 없이도 동일하게 전류값을 b,a''',a/c,d''',d로 증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기(100)는 모터 보호 필요성 결정을 통해 제1,...,N LED CHIP(60A~60N)에 대한 전체 회전속도 증대 또는 부분회전속도 증대(고장 LED 위치 회전속도 증대) 를 결정한다.
일례로 상기 전체 회전속도 증대는 전체 회전속도를 증대하여 연속 사용이 가능하고, 상기 부분회전속도 증대(고장 LED 위치 회전속도 증대) 는 전류값을 고장 LED부근으로 저장된 LED가 가까워질 수록 전류값을 순차적으로 높였다 낮추는 방식으로 일시적으로 고장 LED 부근의 회전속도만 높임으로써 고장 LED부근의 회전속도가 기존의 회전 속도보다 빨라진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 보호 필요성을 적용함은, 회전속도의 가변으로 전체 속도를 증가하여도 되지만 동력부(10)에 적용된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 수명을 위하여 고장 LED 및 그 주변부만 속도를 증가할 수 있음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광량-시간 선도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부(10)의 전압은 기존의 설정값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제1,...,N LED CHIP(60A~60N)의 고장 LED 점등 위치를 최대값으로 한 후 인접한 고장-1~고장-Y 정상 LED 점등 위치로 갈수록 줄어 들다 정상 LED 점등 위치에서 다시 기존의 설정값으로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1,...,N LED CHIP(60A~60N)은 고장 LED와 함께 가장 가까운 주변부 LED가 기타 정상 LED 대비 보다 빠르게 점등위치를 벗어나면서 동시에 전류값=0으로 점등되지 않은 고장 LED 주변부의 고장-1~고장-Y 정상 LED에 대한 광량 증대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고장 LED 는 설정 전류값을 0으로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광원램프(1)는 하나 이상의 고장 LED 발생시에도 동력부(10)의 전압 증대를 통한 제1,...,N LED CHIP(60A~60N)의 회전속도 증가로 고장 LED 및 그 주변부의 고장-1~고장-Y 정상 LED에 대한 유도 전류값 증가로 광량을 증대함으로써 램프 배광 성능이 만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터 전압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90)은 S100의 램프 구동 정지 시까지 지속되고, 상기 미점등 LED를 상기 고장 LED로 특정한 후 주변부 LED 수량을 결정하고, 상기 주변부 LED 수량에 대해 변경 전류값 및 모터 인가 전압을 설정하며, 상기 변경 전류값 및/또는 상기 모터 인가 전압값으로 메모리(101)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광원램프(1)에 적용된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은 LED 모듈(50)의 원형 배열 또는 선형 배열로 제1,...,N LED CHIP(60A~60N) 중 발생된 미점등 LED의 기존 전류값을 변경 전류값으로 하여 고장 LED로 확인하고, 상기 고장 LED의 전류값을 0으로 설정하는 주변 LED 전류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80) 또는 주변부 LED의 기존 전류값을 변경 전류값으로 설정하는 모터 전압증가에 의한 고장 LED 광량 보상(S90)이 포함됨으로써 고장 LED의 광량을 주변부 LED의 광량 증대로 보완하여 고장 LED 교체 없는 제1,...,N LED CHIP(60A~60N)의 배광 성능 유지로 램프의 배광 성능이 만족되도록 하고, 특히 LED 고장 판단 후 램프의 고장여부를 운전석 클러스터로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LED 고장 후 작동 수명 증대와 함께 AS 기회비용 저감도 가능하다.
1 : 회전광원램프
10 : 동력부 20 : 회전부
30 : 회전력 송신부 31A‘~31N’ : 제1,...,N 스테이터
40 : 회전력 수신부 40A‘~40N‘ : 제1,...,N 고정 레그
43 : 전력 수신부 43A~43N : 제1,...,N 전력 수신 레그
50 : LED 모듈 60 : LED CHIP
60A~60N : 제1,...,N LED CHIP
70 : LED 회로부 80 : 위치신호 송신부
100 : 제어기 101 : 메모리
200 : 전원부

Claims (16)

  1. 동력부에 의한 LED 모듈(50)의 움직임으로 상기 LED 모듈에 배열된 제1,...,N LED CHIP의 LED 각각이 제어기에 의해 전류 인가 후 차단되거나 또는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되고, 미점등 LED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미점등 LED를 고장 LED로 하고, 고장/저장 모드를 작동시키는 신속 대응 제어, 운전자 알림과 함께 고장/저장 모드를 작동시키는 운전자 알림 신속 대응 제어, 주변 LED를 매칭하는 LED 조정 제어, 주변 LED 전류 증가로 상기 고장 LED 광량을 보상하는 전류가변제어, 및 상기 동력부의 모터 전압 증가로 상기 고장 LED 광량을 보상하는 전압가변제어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동력부의 모터 정지로 미점등 LED 점검을 종료하는 램프 구동 정지 확인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N LED CHIP은 상기 LED 모듈에 원형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인가 후 차단 또는 상기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은 LED 각각의 점등 위치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미점등 LED는 상기 LED 모듈의 움직임 마다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조정 제어의 단계는
    상기 미점등 LED의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하는 단계,
    상기 미점등 LED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점등 LED를 상기 고장 LED로 특정하고, 상기 고장 LED를 기준으로 하여 주변부 LED의 전류값 변경하며, 메모리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하는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가변제어의 단계는
    상기 미점등 LED의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하는 단계,
    상기 미점등 LED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점등 LED를 상기 고장 LED로 특정한 후 주변부 LED 수량을 결정하고, 상기 주변부 LED 수량에 대해 상기 변경 전류값을 동일하게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변경 전류값을 LED 분배 전류값으로 다르게 인가하며, 메모리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하는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가변제어의 단계는
    상기 미점등 LED의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하는 단계,
    상기 미점등 LED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미점등 LED를 상기 고장 LED로 특정한 후 주변부 LED 수량을 결정하고, 상기 주변부 LED 수량에 대해 전류값을 설정하며, 상기 동력부의 모터 인가 전압을 일정하게 증가시켜 상기 제1,...,N LED CHIP의 움직임을 전체적으로 빠르게 하거나 또는 상기 모터 인가 전압을 상기 고장 LED 및 상기 주변부 LED의 점등 위치에서만 증가시켜 상기 제1,...,N LED CHIP의 움직임을 부분적으로 빠르게 하며, 메모리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하는 단계
    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7.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전류값은 상기 기존 전류값보다 높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변경 전류값은 상기 미점등 LED의 점등 위치에서 고장여부를 확인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9.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은 상기 주변부 LED의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변경 전류값은 상기 주변부 LED가 상기 고장 LED에서 멀어질수록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LED 테이블을 갱신 및 저장은 상기 주변부 LED의 기존 전압값을 상기 모터 인가 전압값으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모터 인가 전압값은 상기 주변부 LED가 상기 고장 LED에서 멀어질수록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모터 인가 전압값은 상기 주변부 LED의 기존 전류값을 유도전류로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변경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알림은 차량 운전석의 클러스터에 대한 정보 송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15. 동력부에 의한 LED 모듈의 움직임 중 전류 인가 후 차단 또는 변경 전류값 인가 후 차단으로 제1,...,N LED CHIP에서 발생된 고장 LED로 확인하고, 상기 고장 LED에 대한 주변부 LED의 기존 전류값이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변경되는 전류가변제어 또는 전압가변제어로 상기 고장 LED의 광량을 상기 주변부 LED의 광량 증대로 보완하여 상기 제1,...,N LED CHIP의 배광 성능을 유지시켜 주는 제어기; 및
    상기 기존 전류값을 상기 변경 전류값으로 갱신 및 저장하는 LED 별 전류값 테이블 또는 상기 모터 인가 전압값을 갱신 및 저장하는 LED 별 전압값 테이블이 구비된 메모리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램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고장 LED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광원램프.
KR1020210192936A 2021-12-30 2021-12-30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및 회전광원램프 KR20230102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936A KR20230102641A (ko) 2021-12-30 2021-12-30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및 회전광원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936A KR20230102641A (ko) 2021-12-30 2021-12-30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및 회전광원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641A true KR20230102641A (ko) 2023-07-07

Family

ID=87154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936A KR20230102641A (ko) 2021-12-30 2021-12-30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및 회전광원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64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0398A (ja) 2015-03-26 2020-07-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および灯具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0398A (ja) 2015-03-26 2020-07-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および灯具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2927B2 (en) Extended life LED fixture with central controller and LED lamps
EP1860368A2 (en) Light emitting diode signal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n indication using the same
JP2009302295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車両用照明装置
KR102277248B1 (ko) 제어장치 및 점등 시스템
JP5828636B2 (ja) 航空機用照明装置
CA2354473A1 (en) Drive circuit for leds and an associated operating method
EP2722226B1 (en) Light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lamp
JP2015076265A (ja) Led照明灯
JP7003769B2 (ja) 車両用光源制御装置及び車両用光源制御プログラム
KR20230102641A (ko) 회전광원 고장 감지 대응 방법 및 회전광원램프
JP2006216304A (ja) 駆動回路
US5023515A (en) Redundant lamp control circuit
KR200421550Y1 (ko) 방향지시등을 겸비한 아웃사이드 미러
KR101596394B1 (ko) 예비광원이 구비되어 led고장시 백업이 이루어지는 등명기
US10210796B2 (en) Lighting device and movable body
JP2002270011A (ja) 車両の灯火制御装置
JP2014116354A (ja) 発光素子駆動装置、照明装置
CN110798928A (zh) 电子装置、用于控制照明装置的方法和机动车辆照明装置
EP2938923A1 (en) Warning lighting system using led beacon arrays with a single master power supply
US2018027093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first and a second light-emitting unit of a motor vehicle, and circuit arrangement
JP2009181696A (ja) Led表示灯
US7005805B2 (en) Back light circuit of LCD in an electric refrigerator
US8665576B2 (en) Fuse circuits
JP6923352B2 (ja) 制御装置及び配光制御システム
KR101349047B1 (ko) 차량용 엘이디 구동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