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1349A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1349A
KR20230101349A KR1020210191381A KR20210191381A KR20230101349A KR 20230101349 A KR20230101349 A KR 20230101349A KR 1020210191381 A KR1020210191381 A KR 1020210191381A KR 20210191381 A KR20210191381 A KR 20210191381A KR 20230101349 A KR20230101349 A KR 20230101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control
terminal
control terminal
wireless connection
conn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3833B1 (ko
Inventor
이창석
배재범
이훈희
홍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21019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83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9138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383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1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은 복수의 출입문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들 각각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복수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 중에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US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통신 장비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 키와 같이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문을 계폐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문을 계폐하는 출입 통제 장치에서 일정 거리 안에 근거리 통신 기능이 포함된 단말이 위치하여 출입 통제 장치와 단말 간의 무선 통신이 연결되는 경우, 문을 개방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출입 통제 장치가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를 계속 방사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문을 통과한 후에도 사용자의 단말이 무선 통신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안에 위치하는 경우, 이미 통과한 사용자를 위하여 문을 계속 개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개인 단말기가 수신 가능한 범위 안에 있는 모든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고,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을 재인증하여 출입문이 재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단말기가 출입문이 개방된 후,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을 재인증하여 출입문이 재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은 복수의 출입문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들 각각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복수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 중에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은 상기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상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개방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의 상기 개방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 명령을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의 접속을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은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는,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의 상기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 명령의 전송한 이력들 중에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개방 명령을 전송한 이력을 검색하고, 개방 명령을 전송한 이력이 있는 출입 통제 단말기를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은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및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동작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개인 단말기가 상기 동작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범위 안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개인 단말기의 위치가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은 상기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상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은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은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아닌 경우,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복수의 출입문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들 각각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하며, 상기 복수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 중에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개인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상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개방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개방 명령을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의 접속을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개방 명령의 전송한 이력들 중에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개방 명령을 전송한 이력을 검색하고, 개방 명령을 전송한 이력이 있는 출입 통제 단말기를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및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동작 범위를 설정하고, 개인 단말기가 상기 동작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범위 안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개인 단말기의 위치가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고,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개인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상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상기 개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아닌 경우,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개인 단말기가 수신 가능한 범위 안에 있는 모든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고,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을 재인증하여 출입문이 재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개인 단말기가 출입문이 개방된 후,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을 재인증하여 출입문이 재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을 재인증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통과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출입문의 출입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과였는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사용자 움직임의 동선을 지정해줄 수 있으므로, 철저한 보안이 필요한 시설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재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 하드웨어 없이 재인증을 방지함으로써, 하드웨어 장치에 대한 제약 없어 다양한 출입장치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동작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동작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단말기(110)와 적어도 하나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복수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을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와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로 표시하였으나,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실시예에 따라 3개 이상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하나의 출입 통제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개인 단말기(110)는 BLE(Bluetooth Low Energy), 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radio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다.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는 근거리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출입문(121)에 설치되어 출입문(121)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출입문(121)을 폐쇄함으로써,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는 범위(122) 안에 제1 출입 통신 단말기(1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결을 요청하는 무선 연결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또한,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근거리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출입문(131)에 설치되어 출입문(131)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출입문(131)을 폐쇄함으로써, 사용자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범위(132) 안에 제2 출입 통신 단말기(13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연결을 요청하는 무선 연결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출입 통제 단말기의 인증 내역을 기초로 개방 명령을 전송할 출입 통제 단말기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이 재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와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로부터 각각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10)는 수신한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와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 중에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개인 단말기(110)는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기(110)는 수신한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개방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 단말기(110)는 개방 명령을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의 접속을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기(110)는 수신한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개인 단말기(110)는 개방 명령의 전송한 이력들 중에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개방 명령을 전송한 이력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기(110)는 개방 명령을 전송한 이력이 있는 출입 통제 단말기를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개인 단말기(110)가 출입문이 개방된 후,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이 재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및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동작 범위를 설정하고, 개인 단말기가 동작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범위 안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기(110)의 위치가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10)는,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개방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출입을 인증하여 출입문을 개방하였다는 결과를 수신한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개방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아닌 경우,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개인 단말기(110)가 수신 가능한 범위 안에 있는 모든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고,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110)을 재인증하여 출입문이 재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개인 단말기(110)가 출입문이 개방된 후,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110)을 재인증하여 출입문이 재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110)을 재인증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통과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출입문의 출입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과였는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사용자 움직임의 동선을 지정해줄 수 있으므로, 철저한 보안이 필요한 시설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은 재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 하드웨어 없이 재인증을 방지함으로써, 하드웨어 장치에 대한 제약 없어 다양한 출입장치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동작 일례이다.
단계(210)에서 사용자(200)는 출입문(121) 앞에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에 개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는 수신한 개방 명령에 포함된 개인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200)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200)가 인증된 경우,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는 출입문(121)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는 사용자(200)를 인증하였다는 출입 인증 결과를 개인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가 출입문(121)을 개방하였다는 이력을 출입 통제 단말기 내역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사용자(200)는 출입문(121)을 통과하였으나, 출입문(131)을 통과하기 전의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와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로부터 각각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기(110)는 수신한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단말기 내역에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가 출입문(121)을 개방하였다는 이력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에게는 개방 명령을 전송하지 않고,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에게만 개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단계(230)에서 수신한 개방 명령에 포함된 개인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200)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200)가 인증된 경우,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출입문(131)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개방 명령을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출입문(121)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사용자(200)를 인증하였다는 출입 인증 결과를 개인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10)는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20)가 출입문(131)을 개방하였다는 이력을 출입 통제 단말기 내역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출입문(121)을 통과하였으나, 출입문(131)을 통과하기 전의 상태에서 수행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31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15)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310), 및 단계(315)에서 수신한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 및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 및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아닌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단계(32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 및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33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수신한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출입 통제 단말기 내역을 확인하여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 단말기(110)는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식별하기 위한 시간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단말기(110)는 사용자가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에 가입하는 시점에서 1초 내지 60초 사이의 값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값, 또는 15초와 같은 디폴트 값을 시간 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 구간은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 내역에 포함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출입문을 개방하였다는 이력의 발생 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할 수 있다. 이력의 발생 시간과 현재 시간 간의 차이가 시간 구간에 포함되는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이력에 포함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와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 중에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식별된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에게는 개방 명령을 전송하지 않고,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에게만 개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350)에서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단계(340)에서 수신한 개방 명령에 포함된 개인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출입문(131)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개방 명령을 수신하지 못하였으므로, 출입문(121)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계(360)에서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사용자(200)를 인증하여 출입문(131)을 개방하였다는 출입 인증 결과를 개인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37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20)가 출입문(131)을 개방하였다는 이력을 출입 통제 단말기 내역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38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360)에서 수신한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개방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 단말기(110)는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의 식별 정보를 접속 차단 리스트에 등록함으로써,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가 전송하는 무선 연결 신호를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일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동작 일례이다.
단계(410)에서 사용자(400)는 출입문(121) 앞에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에 개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는 수신한 개방 명령에 포함된 개인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200)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400)가 인증된 경우,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는 출입문(121)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는 개방 명령에 따라 사용자의 출입을 인증하여 출입문을 개방하였다는 결과를 개인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결과를 수신한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개인 단말기(110)의 위치가 동작 범위(122)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400)는 출입문(121)을 통과하였으나,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가 무선 연결 신호를 방사하는 동작 범위(122)를 벗어나지 못한 상태이므로,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400)가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가 무선 연결 신호를 방사하는 동작 범위(132) 안으로 진입하였음에도 개인 단말기(110)는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개인 단말기(110)의 위치가 동작 범위(122)를 벗어난 것을 확인하고,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10)는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단말기(110)는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수신한 개방 명령에 포함된 개인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400)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400)가 인증된 경우,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출입문(131)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는 사용자(200)를 인증하였다는 출입 인증 결과를 개인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110)는 개인 단말기(110)의 위치가 동작 범위(132)를 벗어날 때까지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출입 통제 단말기(50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일 수도 있고,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일 수도 있다.
단계(51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및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동작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개인 단말기(110)가 동작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범위 안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개인 단말기(110)가 동작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범위 안에 위치하는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개인 단말기(110)의 위치가 동작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단계(52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개인 단말기(110)의 위치가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53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500)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540)에서 수신한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출입 통제 단말기(500)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단말기(500)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아닌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단계(55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단말기(500)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56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56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500)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565)에서 출입 통제 단말기(500)는 단계(560)에서 수신한 개방 명령에 포함된 개인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출입 통제 단말기(500)는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단계(570)에서 출입 통제 단말기(500)는 사용자를 인증하여 출입문을 개방하였다는 출입 인증 결과를 개인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575)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500)가 출입문을 개방하였다는 이력을 출입 통제 단말기 내역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58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61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와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로부터 각각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단계(32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610)에서 수신한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의 식별 정보 및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의 식별 정보를 검색하여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 및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 및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아닌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단계(62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 및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63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610)에서 수신한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출입 통제 단말기 내역을 확인하여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64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제1 출입 통제 단말기(120)와 제2 출입 통제 단말기(130) 중에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65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66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출입문을 개방하였다는 이력을 출입 통제 단말기 내역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67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640)에서 수신한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개방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 단말기(110)는 개방 명령을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의 접속을 차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71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및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동작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72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개인 단말기(110)가 동작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범위 안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개인 단말기(110)가 동작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범위 안에 위치하는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개인 단말기(110)의 위치가 동작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단계(72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개인 단말기(110)의 위치가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73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단계(74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500)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75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740)에서 수신한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아닌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단계(750)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110)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 개인 단말기(110)는 단계(76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76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출입 통제 단말기는 수신한 개방 명령에 포함된 개인 단말기(110)의 식별 정보에 따라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인증된 경우, 출입 통제 단말기는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단계(77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사용자를 인증하여 출입문을 개방하였다는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78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출입 통제 단말기가 출입문을 개방하였다는 이력을 출입 통제 단말기 내역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790)에서 개인 단말기(110)는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인 단말기가 수신 가능한 범위 안에 있는 모든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고,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을 재인증하여 출입문이 재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 단말기가 출입문이 개방된 후,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을 재인증하여 출입문이 재개방되거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과한 출입문의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을 재인증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통과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출입문의 출입에 대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과였는지 여부를 식별함으로써, 사용자 움직임의 동선을 지정해줄 수 있으므로, 철저한 보안이 필요한 시설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재인증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 하드웨어 없이 재인증을 방지함으로써, 하드웨어 장치에 대한 제약 없어 다양한 출입장치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 또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개인 단말기
120: 제1 출입 통제 단말기
130: 제2 출입 통제 단말기

Claims (19)

  1. 복수의 출입문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들 각각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복수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 중에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상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개방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 명령을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의 접속을 차단하도록 설정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는,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개방 명령의 전송한 이력들 중에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개방 명령을 전송한 이력을 검색하고, 개방 명령을 전송한 이력이 있는 출입 통제 단말기를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식별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
  6.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및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동작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개인 단말기가 상기 동작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범위 안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개인 단말기의 위치가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상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에 수행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아닌 경우,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복수의 출입문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들 각각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각각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식별하며, 상기 복수의 출입 통제 단말기들 중에서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개인 단말기
    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상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개방 기능을 설정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개방 명령을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의 접속을 차단하도록 설정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개방 명령의 전송한 이력들 중에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개방 명령을 전송한 이력을 검색하고, 개방 명령을 전송한 이력이 있는 출입 통제 단말기를 이전에 통과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식별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
  16.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위치 및 출입 통제 단말기들 각각의 동작 범위를 설정하고, 개인 단말기가 상기 동작 범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범위 안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개인 단말기의 위치가 동작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고, 출입 통제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연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에게 개방 명령을 전송하는 개인 단말기
    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개방 명령을 수신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부터 상기 개방 명령에 따른 사용자의 출입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기초로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인 경우,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로 상기 개방 신호를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기는,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한 출입 통제 단말기가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아닌 경우, 개인 단말기에 등록된 출입 통제 단말기가 상기 무선 연결 신호를 전송할 때까지 상기 무선 통신 기능을 활성화한 상태로 대기하는 근거리 통신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0210191381A 2021-12-29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67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381A KR102673833B1 (ko) 2021-12-29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381A KR102673833B1 (ko) 2021-12-29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349A true KR20230101349A (ko) 2023-07-06
KR102673833B1 KR102673833B1 (ko) 2024-06-10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8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 credential reader
US20140145823A1 (en) Access control system
JP2006350682A (ja) 書類管理システム
KR20190045501A (ko) 스마트기기 무선 통신과 파라볼라 안테나를 이용한 게이트 자동인증 시스템
KR20230101349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
US10694043B2 (en) Allowing access to a device responsive to secondary signals previously associated with authorized primary input
KR102673833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통제 방법 및 시스템
US20170099135A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communications method
US111635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 credential reader
KR101762625B1 (ko) Nfc 태그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 여부 확인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보안 시스템
JP4258459B2 (ja) 移動物体検出システム
KR20190094727A (ko)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KR20180134547A (ko)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JP2013025377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0958431B1 (ko) Rfid 보안 시스템 및 rfid 보안 방법
JP5696246B1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rfタグ、セキュリティ装置及び入退場管理方法
JP2007170019A (ja) ゲート管理システム、ゲート管理装置
EP3962022B1 (en) Control method based on user authentication using detection sensor and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86022A (ko) 출입문 개방 시스템
EP43527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king an access control decision
KR102587695B1 (ko) 위겐드 신호를 이용한 부가 출입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160121175A (ko)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01344A (ko) 인증키를 사용하지 않는 근거리 통신 출입 인증 방법 및 시스템
JP6303859B2 (ja) 通行管理システム
KR20220132170A (ko)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