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727A -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727A
KR20190094727A KR1020180014205A KR20180014205A KR20190094727A KR 20190094727 A KR20190094727 A KR 20190094727A KR 1020180014205 A KR1020180014205 A KR 1020180014205A KR 20180014205 A KR20180014205 A KR 20180014205A KR 20190094727 A KR20190094727 A KR 20190094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assword
registe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혜
장세영
한재혁
정헌기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4727A/ko
Publication of KR2019009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G07C9/00039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data carrier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도어락과;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부와; 이동단말기가 접근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자동으로 도어락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잠금장치는 출입문에 설치되어 출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출입문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출입문이 닫히면 자동으로 잠기는 장치를 말한다.
사무실, 공장, 가정 등의 현관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잠금장치의 경우 비밀번호를 알지 못하면 출입문을 열지 못하게 되고 별도의 열쇠 없이도 개폐가 가능하다는 장점에 의해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종래의 경우, 출입자가 잠금장치에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ID카드를 접촉해야만 잠금장치가 해제되므로, 잠금장치의 개폐를 위해서는 출입자의 인증 행위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출입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타인에게 비밀번호의 노출이 가능하므로 보안상의 한계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 없이도 사용자를 인증하여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타인에게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는, 도어락과;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부와; 이동단말기가 접근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등록된 이동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와 서버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서버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비밀번호가 상기 키패드를 통해서 입력되면, 등록된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제어방법은, 이동단말기가 접근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를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와 잠금장치 또는 서버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잠금장치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서버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제어방법은,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비밀번호가 잠금장치의 키패드를 통해서 입력되면, 등록된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비밀번호 입력 없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하기 때문에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 입력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비밀번호의 노출을 방지하고 신속한 잠금 해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3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10)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증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1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 일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잠금장치(30)를 나타낸 것으로, 발명의 요지를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 외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디스플레이부, 모터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30)는 통신부(310), 메모리(320), 키패드(330), 도어락(340), 감지센서(350), 제어부(37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310)는 이동 단말기(10) 또는 서버(50)와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320)는 잠금장치(3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하나 이상의 등록된 이동 단말기의 식별정보, 잠금장치(30)의 비밀번호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3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키패드(330)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3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잠금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33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330)는 출입문의 바깥쪽과 안쪽 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330)를 이용하여 도어락(340)의 잠금 해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잠금장치(30)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340)은 출입문을 잠그거나 해제하는 것으로, 출입문과 인접한 다른 구조물을 고정시킨다. 상기 도어락(340)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며 그 형상이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35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출입문의 안쪽에서 즉, 실내에서 사용자가 잠금장치(30)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350)는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나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70)는 응용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잠금장치(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7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동작들을 본 발명의 잠금장치(3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70)는 기설정된 거리 내로 이동 단말기(10)가 접근하면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서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의 고유번호, 예를 들어 맥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는데,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정보와 상기 메모리(320)에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여기서, 비밀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숫자, 문자, 기호, 바코드, 영상,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상기 메모리(320)에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340)의 잠금상태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메모리(320)에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비밀번호가 상기 키패드(330)를 통해서 입력되면, 상기 메모리(320)에 등록된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동일 근거리 통신망(동일 와이파이)에 접속 중인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고 메시지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출입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리는 문자, 영상,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제어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잠금장치(30)의 제어방법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제어부(370)는 기설정된 거리 내로 이동 단말기(10)가 접근하면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서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11). 이때, 상기 제어부(370)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기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통신부(310)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다른 거리감지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는데,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정보와 상기 메모리(320)에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만약, 상기 메모리(320)에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있다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반대로 상기 메모리(320)에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없다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310)를 제어한다(S13).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가 수신되면(S14),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메모리(320)에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S15).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가 상기 메모리(320)에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동일하다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도어락(34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S16), 반대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도어락(340)의 잠금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사용자가 출입문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나가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350)는 사용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70)에 알리하고,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도어락(340)의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마찬가지로 발명의 요지를 설명하는 데에 필요한 일부 구성요소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 외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10), 잠금장치(30), 서버(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은 출입자가 많거나 출입문이 다수개인 장소, 예를 들어 관광서나 회사에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에 포함된 잠금장치(30)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서버(5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다르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 제어시스템의 구동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잠금장치(30)의 제어부(370)는 기설정된 거리 내로 이동 단말기(10)가 접근하면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서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70)는 이동 단말기(10)가 상기 기설정된 거리 내로 접근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통신부(310)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다른 거리감지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는데,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정보와 상기 서버(50)에 기저장된 식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서버(50)에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있다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반대로 상기 서버(50)에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없다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에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를 상기 서버(50)에 기저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가 상기 서버(50)에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동일하다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도어락(34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반대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도어락(340)의 잠금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서버(50)에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비밀번호가 상기 키패드(330)를 통해서 입력되면, 상기 서버(50) 또는 등록된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3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동일 근거리 통신망(동일 와이파이)에 접속 중인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50)를 통해서 기등록된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고 메시지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출입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리는 문자, 영상,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이동 단말기 30: 잠금장치
310: 통신부 320: 메모리
330: 키패드 340: 도어락
350: 감지센서 370: 제어부
50: 서버

Claims (10)

  1. 도어락과;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통신부와;
    이동단말기가 접근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등록된 이동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비밀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와 서버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서버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키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비밀번호가 상기 키패드를 통해서 입력되면, 등록된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6. 이동단말기가 접근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비밀번호를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와 서버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잠금장치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비밀번호를 서버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기저장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비밀번호가 잠금장치의 키패드를 통해서 입력되면, 등록된 이동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80014205A 2018-02-05 2018-02-05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KR20190094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205A KR20190094727A (ko) 2018-02-05 2018-02-05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205A KR20190094727A (ko) 2018-02-05 2018-02-05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727A true KR20190094727A (ko) 2019-08-14

Family

ID=67621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205A KR20190094727A (ko) 2018-02-05 2018-02-05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47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730B1 (ko) * 2019-09-27 2020-10-23 (주) 즐거운미래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527258A (zh) * 2023-06-30 2023-08-01 深圳市旭子科技有限公司 密码锁的解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730B1 (ko) * 2019-09-27 2020-10-23 (주) 즐거운미래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527258A (zh) * 2023-06-30 2023-08-01 深圳市旭子科技有限公司 密码锁的解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527258B (zh) * 2023-06-30 2023-09-22 深圳市旭子科技有限公司 密码锁的解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8124B (zh) 用于控制访问的远程应用
KR101588197B1 (ko) 자동 개폐 가능한 도어락 장치 및 도어락의 자동 개폐 방법
EP3039657B1 (en) Owner access point to control the unlocking of an entry
Shanthini et al. IoT enhanced smart door locking system
US8176323B2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authentication methodology using standard and private frequency RFID tags
KR101726356B1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도어록 개폐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103229184A (zh) 用于对安全资源的访问的方法和系统
EP3129569B1 (en) Temporarily pairing a mobile device with a peripheral device
KR2014011563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84620B2 (en) Access control device, access control system an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5200590B2 (ja) 車両遠隔操作システム
JP202214263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90094727A (ko)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KR102063569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CN111542027A (zh) 安全设备的支持网络的控制
KR20170071869A (ko) 비콘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도어락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2367696B1 (ko)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US10825272B1 (en) Image data access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11080955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assage barrier mechanism
KR102211272B1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방법
JP2008306534A (ja) 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制御装置
KR20160109899A (ko) 모바일, 이를 이용한 자물쇠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3763603B (zh) 信息处理装置、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便携终端
JP2015149608A (ja) 履歴データ通知システム
KR20150142914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