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730B1 -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730B1
KR102169730B1 KR1020190119268A KR20190119268A KR102169730B1 KR 102169730 B1 KR102169730 B1 KR 102169730B1 KR 1020190119268 A KR1020190119268 A KR 1020190119268A KR 20190119268 A KR20190119268 A KR 20190119268A KR 102169730 B1 KR102169730 B1 KR 102169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al
removal box
cover
control unit
integrat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화
심상열
변영재
오병영
Original Assignee
(주) 즐거운미래
이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즐거운미래, 이현화 filed Critical (주) 즐거운미래
Priority to KR102019011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2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e.g. grit or salt 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으로 제설함의 위치를 포함한 제설함 정보를 관리하고, 더 나아가 제설함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위성으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설함과, 상기 제설함과 통신하여 제설함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제설함의 설치정보와 비교하여 제설함의 설치 및 수거와 유실을 관리하는 통합관제부가 구성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합관제부가 제설함으로부터 제설함의 위치정보를 직접 수신하므로 제설함의 현재 위치가 설치 위치와 달라지더라도 제설함을 찾아서 수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설함의 위치 관리 뿐만 아니라 제설제의 투입/사용 관리 및 원격 잠금관리가 가능하여 제설제의 오남용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제설함 내부로 쓰레기나 오물 투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설함의 덮개부를 원격으로 닫을 수 있어서 제설함의 덮개가 열린 상태로 방치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now removal box}
본 발명은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으로 제설함의 위치를 포함한 제설함 정보를 관리하고, 더 나아가 제설함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겨울철 강설이나 강우 후 기온이 떨어져 인도나 도로가 빙판이 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해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설제를 도로 인근에 보관하기 위해 제설함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설함은 겨울철이 다가오면 도로의 곡선 구간이나 도로에 그늘지는 구간 등과 같은 빙판길이 되기 쉽고 빙판길 발생 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큰 각각의 수많은 도로 인근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설제가 사용되지 않는 계절에는 수거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제설함의 설치, 수거 및 관리를 위해 종래에도 제설함을 관리하고자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5779호(발명의 명칭 : 제설함과 그 운영 방법 ;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제설함의 일 측에 부착된 NFC 태그부를 인식한 무선단말의 앱과 통신하며 상기 제설함의 다른 일 측에 구비된 제어모듈과 통신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설함에 부착된 NFC 태그부의 코드정보와 상기 제설함에 구비된 제어모듈에 구비된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제설함에 부착된 NFC 태그부에 지정된 근접 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상기 NFC 태그부로부터 코드정보를 리딩한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리딩된 코드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2 단계;
상기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코드정보와 함께 수신된 위치정보를 상기 NFC 태그부를 부착한 제설함의 위치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코드정보와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제설함의 위치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상기 제설함에 구비된 제어모듈로부터 상기 제설함에 보관된 제설제의 잔량을 센싱한 센싱정보와 상기 제어모듈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제설함관리정보를 수신하는 제4 단계;
상기 센싱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제설함에 보관된 제설제의 충전을 결정하는 제5 단계;
상기 제설제의 충전 결정 시 상기 센싱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설함에 충전할 제설제 충전량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코드정보와 고유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제설제 충전량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제6단계; 및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제설함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설함에 보관된 제설제의 충전을 요청하는 제설제충전요청정보를 제공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은 제설함의 설치 시, 설치자가 소지한 무선단말기로 제설함에 부착된 NFC 태그부를 찍어서 무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설함의 위치정보로 결정하므로 제설함의 위치 및 관리를 위한 정보 등록이 용이하고, 네트워크통신을 통해 각 도로변에 배치된 제설함에 보관되고 있는 제설제의 용량 체크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이는 제설함의 설치 시 무선단말기의 위치이고, 제설함 자체는 위치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제설함이 강우나 산사태 등으로 유실되거나 자동차 등의 충격으로 제설함이 도로 밖으로 떨어지는 등과 같이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이를 찾을 수 없으며, 단순히 제설함 내부에 보관된 물체의 용량만을 체크하기 때문에 제설함에 보관된 물체가 제설제인지 쓰레기인지 구별할 수 없고, 제설함을 누구나 열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제설제가 오남용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서 제설제의 필요 시 사용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577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설함과 직접 통신하여 원격으로 제설함의 위치를 포함한 제설함 정보를 관리하고, 더 나아가 제설함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성으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설함과, 상기 제설함과 통신하여 제설함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제설함의 설치정보와 비교하여 제설함의 설치 및 수거와 유실을 관리하는 통합관제부가 구성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설함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덮개감시부와, 상기 덮개부를 닫는 덮개닫기부와, 상기 덮개부의 닫힘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덮개부를 제설함에 고정시키는 잠금부와, 제설함 내부에 보관된 제설제의 무게와 부피를 센싱하는 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제설함과 통신하여 제설함 덮개 닫기 관리, 원격 잠금관리, 제설제 투입/사용 관리 및 오물투입 관리를 통합하여 관제하는 통합관제부가 구성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성으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설함의 위치정보를 통합관제부가 입력받아 제설함의 설치정보와 비교하여 제설함의 설치 및 수거와 유실을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관제부가 제설함으로부터 덮개감시부의 감시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덮개감시부의 감시정보에서 제설함의 덮개가 오픈 상태이면 해당 제설함과 통신하여 덮개닫기부를 통해 덮개부를 닫아 제설함 덮개 닫기를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관제부가 날씨 예보에 따라 제설함과 통신하여 잠금부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원격 잠금관리를 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관제부가 제설함과 통신하여 제설함의 초음파센서와 무게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정보와 제설제 패턴을 비교하여 제설함에 오물투입을 판단하여 오물투입을 관리하는 단계가 구성된 제설함 원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통합관제부가 제설함으로부터 제설함의 위치정보를 직접 수신하므로 제설함의 현재 위치가 설치 위치와 달라지더라도 제설함을 찾아서 수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설함의 위치 관리 뿐만 아니라 제설제의 투입/사용 관리 및 원격 잠금관리가 가능하여 제설제의 오남용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제설함 내부로 쓰레기나 오물 투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설함의 덮개부를 원격으로 닫을 수 있어서 제설함의 덮개가 열린 상태로 방치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제설함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덮개감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설함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고, 색으로 실시간 제설제 잔량을 표시하도록 관리자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지도영상을 예시한 도면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방법의 실시예 중 제설함 덮개 단기를 관리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방법의 실시예 중 원격 잠금관리를 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1로 도시하였고, 제설함의 구체적인 실시 구성을 도 2로 예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은 한 철 사용을 위해 도로의 인근에 설치와 수거가 반복되는 다수개의 제설함(200)이 내장된 GPS(250) 등을 통해 스스로의 위치를 인식하여 자신의 위치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이를 수신하는 통합관제부(100)에서 관리하고, 도 4로 예시한 바와 같이, 제설함(200)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는 위치맵을 관리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므로 제설함(200)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 및 수거될 수 있도록 하며, 유실되거나 분실됨을 파악할 수 있으면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수거가 용이하도록 통합관제부(100)를 통해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위성으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설함(200)과,
상기 제설함(200)과 통신하여 제설함(200)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제설함(200)의 설치정보와 비교하여 제설함(200)의 설치 및 수거와 유실을 관리하는 통합관제부(10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설함(200)의 위치 관리 뿐만 아니라 통합관제부(100)를 통해 원격으로 제설함(200)의 덮개 닫기 관리, 잠금관리, 제설제 보충 및 사용 관리, 오물투입 관리 등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설함(200)은 제설함(200)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210)와,
상기 덮개부(210)의 상태를 감지하는 덮개감시부(220)와,
상기 덮개부(210)를 닫는 덮개닫기부(230)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통합관제부(100)가 제설함(200)으로부터 덮개감시부(220)의 감시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덮개감시부(220)의 감시정보에서 제설함(200)의 덮개가 오픈 상태이면 덮개닫기부(230)를 통해 해당 제설함(200)의 덮개부(210)를 원격으로 닫음으로써 제설함(200)의 덮개가 열려 있을 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인 쓰레기나 오물 투척이 용이하게 되는 문제점, 빗물 침투에 따른 염화칼슘의 흡습성으로 인해 제설제가 굳는 현상 발생의 문제점, 제설제 오남용 및 분실 발생이 증대될 수 있는 문제점 등을 해소 및 방지할 수 있도록 제설함(200) 덮개 닫기 관리를 원격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덮개감시부(220)는 도 3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제설함(200)의 덮개가 닫히면 눌리는 스위치(221), 덮개에 설치되는 자이로센서(222) 등의 출력을 입력받는 제설함프로세서(223)와, 통합관제부(1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224)가 구성되어 덮개의 움직임 또는 닫힘 여부를 감시 및 판단하고, 이를 통합관제부(100)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덮개닫기부(230)는 통합관제부(100)의 원격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설함프로세서(223)의 제어로 작동되도록 제설함(200)과 덮개의 연결부분에 설치된 모터, 전동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200)은 제설함(200)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210)와,
상기 덮개부(210)의 닫힘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덮개부(210)를 제설함(200)에 고정시키는 잠금부(240)가 구성되고,
상기 통합관제부(100)가 날씨 예보에 따라 제설함(200)과 통신하여 잠금부(240)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원격 잠금관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제설함(200)은 도로나 인도에 눈이 내려 쌓여서 미끄럽게 되거나 녹은 눈 또는 비온 뒤 추워져서 빙판길이 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해소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제설제를 보관하는 것이어서 비나 눈이 내리지 않는 맑은 날씨에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때에는 제설제의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제설함(200)의 덮개가 닫혀 있더라도 비 강설 시, 비 강우 시에 제설 목적이 아닌 이유로 제설함(200)의 덮개를 열고 제설제를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설제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시에는 상기 잠금부(240)에 의해 덮개부(210)가 열리지 않도록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강설, 강우 예보 시 또는 강설, 강우 시 이러한 날씨 예보를 입력받은 통합관제부(100)가 각 제설함(200)에 잠금해제 명령 데이터를 통신하면 이를 수신한 제설함(200)들은 잠금부(24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므로 잠금이 풀리도록 할 수 있어서 정상적인 제설제 사용에는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상시에 오물 투척이나 제설제 도난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잠금부(240)는 제설함(200)과 덮개 사이에 작동되는 락 장치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잠금부(240)는 비상 잠금 해지를 위해 관리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관리자 단말기(300)와 비밀번호가 포함된 락 해지 정보를 RFID, NFC, 블루투스 등의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하여 현장에서 즉시 비상 잠금 해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설함(200) 또는 덮개의 외부에 노출 시 강제 락 해지가 시도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제설함(200) 내부에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200)은 제설함(200)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210)와,
상기 덮개부(210)에 구성되어 제설함(200) 내부의 부피를 센싱하는 초음파센서(260)와,
상기 제설함(200)의 바닥에 구성되어 제설함(200)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무게를 센싱하는 무게센서(270)가 구성되고,
상기 통합관제부(100)가 제설함(200)과 통신하여 제설함(200)의 초음파센서(260)와 무게센서(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정보에 의해 제설함(200)의 제설제 투입과 사용을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덮개부(210)의 닫기 관리 및 원격 잠금관리가 가능하여 오물 투입이나 제설제 분실이 방지되는 동시에 제설제 투입과 사용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설함(200)에 보관되어 있는 것이 쓰레기나 오물이 아닌 정상적인 제설제일 수 있는 것이어서 제설제를 꺼내서 사용하는 양과, 보관량 부족 시 투입되는 양을 정확하게 센싱 및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제설함(200)에 쓰레기가 채워져 있어서 제설제 부족을 센싱하지 못 하게 됨에 따라 제설에 차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200)은 제설함(200)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210)와,
상기 덮개부(210)의 상태를 감지하는 덮개감시부(220)와,
상기 덮개부(210)에 구성되어 제설함(200) 내부의 부피를 센싱하는 초음파센서(260)와,
상기 제설함(200)의 바닥에 구성되어 제설함(200)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무게를 센싱하는 무게센서(270)가 구성되고,
상기 덮개감시부(220)가 덮개부(210)의 닫힘 인식 시 상기 통합관제부(100)가 제설함(200)과 통신하여 제설함(200)의 초음파센서(260)와 무게센서(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정보와 제설제 패턴을 비교하여 제설함(200)에 오물투입을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기(300)에 해당 제설함(200)의 오물투입을 알림하여 오물투입을 관리할 수 있다.
날씨나 날씨 예보에 따라 제설함(200)의 잠금부(240)가 잠금해제 상태일 수 있으며, 제설제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일정량으로 포장되어 투입 또는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량 단위로 투입되거나 사용되는 제설제 패턴이 데이터화 될 수 있다. 또한 제설제 투입과 사용 관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설제 패턴을 산출하거나 제설제 포장 단위 무게에 따라 적층량을 산출하여 제설제 패턴을 설정하고, 상기 덮개감시부(220)가 덮개부(210)의 닫힘 인식 시 상기 통합관제부(100)가 해당 제설함(200)과 통신하여 제설함(200)의 초음파센서(260)와 무게센서(2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정보와 제설제 패턴을 비교하여 유사/비유사로 오물투입을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겨울철의 비나 눈이 내리거나 예보된 시기에 잠금부(240)의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오물투입을 감시 및 관리하므로 제설함(200)에 보관된 제설제의 보관량을 정확히 관리할 수 있으며, 오물투입 판단 시 관리자 단말기(300)로 즉각적인 알림이 가능하여 제설함(200) 내부의 오물제거가 가능하고, 더 나아가 오물투입 발생 시간과 주변 CCTV 등에 의해 특정하여 오물투입자를 식별 및 검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제설함 원격 관리 방법은 도 5 내지 도 7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성으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설함(200)의 위치정보를 통합관제부(100)가 입력받아 제설함(200)의 설치정보와 비교하여 제설함(200)의 설치 및 수거와 유실을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관제부(100)가 제설함(200)으로부터 덮개감시부(220)의 감시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덮개감시부(220)의 감시정보에서 제설함(200)의 덮개가 오픈 상태이면 해당 제설함(200)과 통신하여 덮개닫기부(230)를 통해 덮개부(210)를 닫아 제설함(200) 덮개 닫기를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관제부(100)가 날씨 예보에 따라 제설함(200)과 통신하여 잠금부(240)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원격 잠금관리를 하는 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설함(200) 덮개 닫기를 관리하는 단계는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제설함(200)의 덮개가 닫히면 눌리는 스위치(221)의 출력 정보와 상기 덮개에 설치된 자이로센서(222)의 출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덮개감시부(220)의 제설함프로세서(223)가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제설함프로세서(223)가 제설함(200) 덮개 열림을 판단하거나 제설함프로세서(223)가 입력받은 출력 정보를 통신부(224)를 통해 통합관제부(100)로 전송하여 통합관제부(100)에서 제설함(200) 덮개 열림을 판단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실시되는 덮개 열림 판단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제설함프로세서(223)가 제설함(200) 덮개 닫힘을 판단하거나 제설함프로세서(223)가 입력받은 출력 정보를 통신부(224)를 통해 통합관제부(100)로 전송하여 통합관제부(100)에서 제설함(200) 덮개 닫힘을 판단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실시되는 덮개 닫힘 판단 단계와,
상기 덮개 열림 판단 단계에서 덮개 열림 판단 후 일정시간 내에 해당 제설함(200)의 덮개 닫힘 판단이 되지 않는 경우 해당 제설함(200)의 덮개닫기부(230)가 통합관제부(100)의 원격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설함프로세서(223)의 제어로 덮개의 닫기 작동을 실시하는 덮개 닫기 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잠금관리를 하는 단계는 도 7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통합관제부(100)가 입력된 날씨 정보 중 지역별 비와 눈이 내릴 확률과, 지역별 현재 기온 및 강우/강설량에 따라 제설제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설제 사용 판단 단계와,
상기 제설제 사용 판단 단계에서 제설제 사용이 판단되면 통합관제부(100)가 해당 지역에 위치한 제설함(200)으로 잠금해제 명령 데이터를 통신하는 잠금해제 명령 단계와,
상기 잠금해제 명령 단계에서 잠금해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한 제설함(200)의 잠금부(240)가 잠금해제되는 원격 잠금해제 단계와,
잠금부(240)가 관리자 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비밀번호를 수신 시 수신된 비밀번호가 인증되면 잠금해제되는 비상 잠금해제 단계와,
상기 제설제 사용 판단 단계에서 제설제 사용이 판단되지 않으면 통합관제부(100)가 해당 지역에 위치한 제설함(200)으로 잠금 명령 데이터를 통신하는 잠금 명령 단계와,
상기 잠금 명령 단계에서 잠금 명령 데이터를 수신한 제설함(200)의 잠금부(240)가 잠금되는 원격 잠금 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통합관제부(100)가 제설함(200)으로부터 제설함(200)의 위치정보를 직접 수신하므로 제설함(200)의 현재 위치가 설치 위치와 달라지더라도 제설함(200)을 찾아서 수거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설함(200)의 위치 관리 뿐만 아니라 제설제의 투입 및 사용 관리와 원격 잠금관리가 가능하여 제설제의 오남용 또는 분실을 방지하고, 제설함(200) 내부로 쓰레기나 오물 투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설함(200)의 덮개부(210)를 원격으로 닫을 수 있어서 제설함(200)의 덮개가 열린 상태로 방치될 때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통합관제부 200:제설함 210:덮개부
220:덮개감시부 221:스위치 222:자이로센서
223:제설함프로세서 224:통신부 230:덮개닫기부
240:잠금부 250:GPS 260:초음파센서
270:무게센서 300:관리자 단말기

Claims (8)

  1. 삭제
  2. 위성으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설함과,
    상기 제설함과 통신하여 제설함의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제설함의 설치정보와 비교하여 제설함의 설치 및 수거와 유실을 관리하는 통합관제부가 구성된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설함은 제설함의 입구를 덮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덮개감시부와,
    상기 덮개부를 닫는 덮개닫기부와,
    상기 덮개부에 구성되어 제설함 내부의 부피를 센싱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제설함의 바닥에 구성되어 제설함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무게를 센싱하는 무게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통합관제부가 제설함으로부터 덮개감시부의 감시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덮개감시부의 감시정보에서 제설함의 덮개가 오픈 상태이면 덮개닫기부를 통해 해당 제설함의 덮개부를 원격으로 닫도록 제설함 덮개 닫기 관리를 하고,
    상기 덮개감시부가 덮개부의 닫힘 인식 시 상기 통합관제부가 제설함과 통신하여 제설함의 초음파센서와 무게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정보와 제설제 패턴을 비교하여 제설함에 오물투입을 판단하고,
    상기 통합관제부가 관리자 단말기에 해당 제설함의 오물투입을 알림하여 오물투입을 관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닫힘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덮개부를 제설함에 고정시키는 잠금부가 구성되고,
    상기 통합관제부가 날씨 예보에 따라 제설함과 통신하여 잠금부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원격 잠금관리를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관제부가 제설함과 통신하여 제설함의 초음파센서와 무게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정보에 의해 제설함의 제설제 투입과 사용을 관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위성으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제설함의 위치정보를 통합관제부가 입력받아 제설함의 설치정보와 비교하여 제설함의 설치 및 수거와 유실을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관제부가 제설함으로부터 덮개감시부의 감시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덮개감시부의 감시정보에서 제설함의 덮개가 오픈 상태이면 해당 제설함과 통신하여 덮개닫기부를 통해 덮개부를 닫아 제설함 덮개 닫기를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관제부가 날씨 예보에 따라 제설함과 통신하여 잠금부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원격 잠금관리를 하는 단계와,
    상기 통합관제부가 제설함과 통신하여 제설함의 초음파센서와 무게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싱정보와 제설제 패턴을 비교하여 제설함에 오물투입을 판단하여 오물투입을 관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설함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함 원격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함 덮개 닫기를 관리하는 단계는 제설함의 덮개가 닫히면 눌리는 스위치의 출력 정보와 상기 덮개에 설치된 자이로센서의 출력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덮개감시부의 제설함프로세서가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제설함프로세서가 제설함 덮개 열림을 판단하거나 제설함프로세서가 입력받은 출력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통합관제부로 전송하여 통합관제부에서 제설함 덮개 열림을 판단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실시되는 덮개 열림 판단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제설함프로세서가 제설함 덮개 닫힘을 판단하거나 제설함프로세서가 입력받은 출력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통합관제부로 전송하여 통합관제부에서 제설함 덮개 닫힘을 판단하도록 하는 것 중 어느 하나가 실시되는 덮개 닫힘 판단 단계와,
    상기 덮개 열림 판단 단계에서 덮개 열림 판단 후 일정시간 내에 해당 제설함의 덮개 닫힘 판단이 되지 않는 경우 해당 제설함의 덮개닫기부가 통합관제부의 원격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제설함프로세서의 제어로 덮개의 닫기 작동을 실시하는 덮개 닫기 단계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함 원격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잠금관리를 하는 단계는 통합관제부가 입력된 날씨 정보 중 지역별 비와 눈이 내릴 확률과, 지역별 현재 기온 및 강우/강설량에 따라 제설제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제설제 사용 판단 단계와,
    상기 제설제 사용 판단 단계에서 제설제 사용이 판단되면 통합관제부가 해당 지역에 위치한 제설함으로 잠금해제 명령 데이터를 통신하는 잠금해제 명령 단계와,
    상기 잠금해제 명령 단계에서 잠금해제 명령 데이터를 수신한 제설함의 잠금부가 잠금해제되는 원격 잠금해제 단계와,
    잠금부가 관리자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비밀번호를 수신 시 수신된 비밀번호가 인증되면 잠금해제되는 비상 잠금해제 단계와,
    상기 제설제 사용 판단 단계에서 제설제 사용이 판단되지 않으면 통합관제부가 해당 지역에 위치한 제설함으로 잠금 명령 데이터를 통신하는 잠금 명령 단계와,
    상기 잠금 명령 단계에서 잠금 명령 데이터를 수신한 제설함의 잠금부가 잠금되는 원격 잠금 단계가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함 원격 관리 방법.
KR1020190119268A 2019-09-27 2019-09-27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69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268A KR102169730B1 (ko) 2019-09-27 2019-09-27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268A KR102169730B1 (ko) 2019-09-27 2019-09-27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730B1 true KR102169730B1 (ko) 2020-10-23

Family

ID=73039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268A KR102169730B1 (ko) 2019-09-27 2019-09-27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418A (ko) * 2021-12-17 2023-06-2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스마트 제설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222A (ko) * 1995-11-02 1997-06-26 한승준 자동차의 원격제어장치
JP2010002425A (ja) * 2009-09-16 2010-01-07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異物検査装置
KR101848702B1 (ko) * 2017-08-03 2018-04-13 주식회사 이룸커뮤니케이션즈 스마트 제설함 및 제설함 관리시스템
KR20190015779A (ko) 2017-08-07 2019-02-15 다현산업 주식회사 제설함과 그 운영 방법
JP2019024808A (ja) * 2017-07-28 2019-0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KR20190094727A (ko) * 2018-02-05 2019-08-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2222A (ko) * 1995-11-02 1997-06-26 한승준 자동차의 원격제어장치
JP2010002425A (ja) * 2009-09-16 2010-01-07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異物検査装置
JP2019024808A (ja) * 2017-07-28 2019-0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KR101848702B1 (ko) * 2017-08-03 2018-04-13 주식회사 이룸커뮤니케이션즈 스마트 제설함 및 제설함 관리시스템
KR20190015779A (ko) 2017-08-07 2019-02-15 다현산업 주식회사 제설함과 그 운영 방법
KR20190094727A (ko) * 2018-02-05 2019-08-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418A (ko) * 2021-12-17 2023-06-2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스마트 제설함
KR102648673B1 (ko) * 2021-12-17 2024-03-18 대한민국 스마트 제설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09901B (zh) 使用街道级图像增强车辆的自动驾驶模式的方法
JP6902774B2 (ja) データ収集装置、道路状態評価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297150B2 (en) Low-power vehicle detection
US11562601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linked to the condition and/or behavior of a vehicle and/or of a tire
KR100785137B1 (ko) 컴퓨터화된 주차시설 운영시스템 및 방법
JP7052343B2 (ja) 自律移動体および情報収集システム
US20140067265A1 (en) Road condition tracking and presentation
CN102722997A (zh) 一种停车位检测方法及系统
KR102169730B1 (ko) 제설함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9817001B (zh) 虚拟屏障系统
CN109413206A (zh) 运输装置行驶轨迹判断方法、计算机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080994B2 (en) Smart road sensor
WO2014186359A1 (en) Surface detection and indicator
KR101750939B1 (ko) 주행차량을 이용한 기상상태-기반 노면상태 예측 시스템 및 예측 방법
CN111599123A (zh) 智能井盖监控系统
CN109147380A (zh) 一种便于导航的停车场智能管理系统
KR20120045960A (ko) 노변 주차 공간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9637156B (zh) 一种车辆在位检测方法与系统
CN115003564B (zh) 用于自动关闭车辆行李箱盖的系统
KR102475003B1 (ko) IoT(internet of things)를 이용한 제설 작업 관리 시스템
WO2020202356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共有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CN114708701B (zh) 一种基于智能井盖的出行安全信息监测方法及系统
JP3742810B2 (ja) 路面状況検出システム
CN113643167A (zh) 具备轨迹追踪暨预测以及停留时间监视的安防监控方法
US20200122521A1 (en) System for assessing the condition of a vehicle, installed near a road infra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