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175A -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175A
KR20160121175A KR1020150050812A KR20150050812A KR20160121175A KR 20160121175 A KR20160121175 A KR 20160121175A KR 1020150050812 A KR1020150050812 A KR 1020150050812A KR 20150050812 A KR20150050812 A KR 20150050812A KR 20160121175 A KR20160121175 A KR 20160121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value
terminal
door
door lock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692B1 (ko
Inventor
조성민
송용진
김태원
강호수
권순목
지무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69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6Mechanical aspects of locks whose actuation is dependent on geographical location, e.g. by means of a GPS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인증 정보 및 접근 열기 상태 값을 가지는 단말 및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단말로부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FOR DOOR LOCK,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OOR LO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락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가 인증된 무선 단말기를 소지한 채로 실외에서 도어에 접근하면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락 제어 기술에 의하면, 인증된 무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지 실외에 있는지를 구분할 수 없어 종종 오동작하게 된다. 즉, 인증된 무선 단말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오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복도식 아파트에서 인증된 무선 단말기가 실내에서 도어 인근에 존재하고, 외부인이 도어 앞을 지나가는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4728호(2013.02.1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락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인증 정보 및 접근 열기 상태 값을 가지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단말로부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일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단말이 가지는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말이 실외에 있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고, 상기 단말이 실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상기 단말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 값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장치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만 도달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은, 도어락 장치에서, 도어 인근의 단말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인증된 단말로부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단말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활성화 상태 값에서 비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내로 들어왔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도어가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실내로 들어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실내로 들어오지 않은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단말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내에서 실외로 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실내에서 실외로 나간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단말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은, 단말에서, 도어락 장치의 요청에 따라 인증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활성화 상태 값 또는 상기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 장치가 장착된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활성화 상태 값에서 비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 장치가 장착된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도어에 장착되고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도어 인근의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수신한 인증 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 인증된 단말로부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확인하는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 및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잠금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은,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이 가지는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은, 상기 단말이 실외에 있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고, 상기 단말이 실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단말기가 접근 열기 상태 값을 가지도록 하고, 무선 단말기가 실외에 있으면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변경하며, 무선 단말기가 실내에 있으면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에만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환경을 나타낸 블럭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락 제어 시스템(100)은 무선 단말기(102) 및 도어락 장치(104)를 포함한다. 무선 단말기(102)와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네트워크(106)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무선 네트워크(106)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UWB(Ultra Wide Band), BCC(Body Coupled Commun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셀룰라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2)의 예들은 스마트 폰, 휴대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등의 모바일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2)는 도어락 장치(104)의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일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2)는 도어락 장치(104)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도어락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 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2)는 도어락 장치(104)의 인증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도어락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2)는 도어락 장치(104)의 요청에 따라 접근 열기(Proximity Open) 상태 값을 도어락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락 장치(104)는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서는 경우에만 도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즉,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도 도어가 잠금 해제되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무선 단말기(102)에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저장하고,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를 잠금 해제하여 도어가 오픈되도록 하고,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가 오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및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지게 된다.
무선 단말기(102)는 도어락 장치(104)의 요청에 따라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무선 단말기(102)는 도어락 장치(104)의 요청에 따라 이를 비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무선 단말기(102)는 도어락 장치(104)의 요청에 따라 이를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에 장착되고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4)는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는 경우, 인근의 무선 단말기(102)로 인증 요청을 전송하여 인근의 무선 단말기(102)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가 인증된 기기인 경우, 무선 단말기(102)로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요청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한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4)는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가 오픈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가 오픈된 이후에 무선 단말기(102)로 접근 열기 상태 변경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도어락 장치(104)는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활성화 상태 값에서 비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하라는 요청을 무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실내에서 도어를 열고 실외로 나가는 경우, 무선 단말기(102)로 접근 열기 상태 변경 요청을 전송하여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활성화 상태 값으로 재차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사용자가 외부에 있는 경우(즉,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102)를 소지하고 있으므로, 무선 단말기(102)가 외부에 있는 경우)에는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즉, 무선 단말기(102)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비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에만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4)는 물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201). 도어락 장치(104)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통해 물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락 장치(104)의 터치 여부(즉, 누군가가 도어락 장치(104)를 터치했는지 여부)를 통해 물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락 장치(104)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물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 201의 확인 결과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인근의 무선 단말기(102)로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S 203). 도어락 장치(104)는 인증 요청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물체가 도어락장치(104)의 사용자이고,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102)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무선 단말기(102)는 도어락 장치(104)로 인증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어락 장치(104)는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한다(S 205). 구체적으로, 도어락 장치(104)는 인증 요청을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인증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된 물체가 사람이 아니거나 사람이더라도 컴퓨팅 장치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 도어락 장치(104)가 인증 요청을 전송하더라도 인증 정보가 수신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어락 장치(104)는 인증 요청을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신한 인증 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4)는 수신한 인증 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 정보가 동일한 경우,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 205의 확인 결과, 인증이 성공한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인증된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 207).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로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요청하여 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 207의 확인 결과,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209).
단계 S 209의 확인 결과, 무선 단말기(102)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S 211). 즉,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이라 하더라도 무선 단말기(102)가 도어락 장치(104)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RSSI : Received Singnal Strength Indication)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세기 미만인 경우(즉, 기 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이라 하더라도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의 응답 신호 유무에 따라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이라 하더라도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락 장치(104)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범위에만 도달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응답 신호가 없는 경우(즉, 기 설정된 거리를 벗어난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이라 하더라도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 209의 확인 결과, 무선 단말기(102)가 기 설정된 거리 이상 떨어져 있지 않은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도어를 오픈시킨다(S 213). 여기서는, 도어락 장치(104)가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도어를 자동 오픈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락 장치(104)가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도어가 오픈될 수 있도록 하고, 도어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열리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 207의 확인 결과,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이 아닌 경우(즉,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S 215).
다음으로,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로 접근 열기 상태 변경을 요청한다(S 217). 즉,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도어를 오픈시킨 경우,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활성화 상태 값에서 비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무선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무선 단말기(102)는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활성화 상태 값에서 비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게 된다.
한편,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가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219). 단계 S 219의 확인 결과, 도어가 닫힌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왔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221).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로부터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즉, 무선 단말기(102))가 실내로 들어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무선 단말기(102)는 가속도 센서 및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무선 단말기(102)의 움직임 정보(무선 단말기(102)가 어느 방향으로 어느 속도로 움직이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움직임 정보를 도어락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104)는 실내에 설치된 AP(Access Point) 등의 무선 통신 장치들을 통해 무선 단말기(102)가 실내로 들어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실내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가 무선 단말기(102)와 무선 연결되거나 무선 단말기(102)가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사실을 도어락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락 장치(104)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 221의 확인 결과,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오지 않은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무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S 223). 예를 들어, 도어가 오픈되었다 하더라도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볼 일이 생각나서 실내로 들어가지 않고 다시 도어를 닫고 자리를 뜰 수 있다. 그 후,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도어락 장치(104)에 접근하여 도어의 잠금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하려고 할 때,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오히려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이므로, 도어의 잠금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는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수동으로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한 후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실내로 들어오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예시적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이 상기 방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301). 여기서, 별도의 인증 절차(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절차) 없이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경우는 실내에 있던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단계 S 301의 확인 결과, 도어가 열렸다 닫히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실외로 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303).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로부터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즉, 무선 단말기(102))가 실내에서 실외로 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104)는 실내에 설치된 AP(Access Point) 등의 무선 통신 장치들을 통해 무선 단말기(102)가 실내에서 실외로 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실내에 설치된 무선 통신 장치는 무선 단말기(102)와 무선 연결이 끊겨지거나 무선 단말기(102)가 기 설정된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실을 도어락 장치(104)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락 장치(104)는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실내에서 실외로 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 303의 확인 결과,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실외로 나간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무선 단말기(102)로 전송한다(S 305).
이와 같이,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밖으로 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킴으로써, 무선 단말기(102)의 사용자가 실외에서 실내로 들어가려고 할 때,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수동으로 변경하지 않아도 도어의 잠금 상태를 자동으로 해제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4)는 통신 모듈(401), 물체 감지 모듈(403), 인증 모듈(405),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407), 잠금 제어 모듈(409), 및 도어 상태 확인 모듈(411)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401)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06)를 통해 무선 단말기(102)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모듈(401)은 무선 단말기(102)로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401)은 무선 단말기(102)로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401)은 무선 단말기(102)로 접근 열기 상태 값의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통신 모듈(401)은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401)은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401)은 댁내에 설치된 통신 장비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물체 감지 모듈(403)은 물체가 도어락 장치(104)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물체 감지 모듈(403)은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그 이외의 다양한 감지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인증 모듈(405)은 도어락 장치(104)의 인근에 위치한 무선 단말기(102)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 모듈(405)은 통신 모듈(401)을 통해 도어락 장치(104)의 인근에 위치한 무선 단말기(102)로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인증 모듈(405)은 통신 모듈(401)이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무선 단말기(102)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407)은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확인한다.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407)은 통신 모듈(401)을 통해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무선 단말기(10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407)은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지 비 활성화 상태 값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407)은 통신 모듈(401)을 통해 접근 열기 상태 값의 변경을 무선 단말기(102)로 요청할 수 있다.
잠금 제어 모듈(409)은 무선 단말기(102)의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한다.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잠금 제어 모듈(409)은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잠금 제어 모듈(409)은 도어의 잠금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어 상태 확인 모듈(411)은 도어락 장치(104)가 장착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확인한다. 도어가 닫히는 경우, 도어락 장치(104)는 도어를 잠금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환경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무선 통신 환경(500)은 무선 단말기(102)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각 구성은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않았더라도 그 구성에 적합한 컴포넌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512),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514) 및 버스(56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12)는 버스(560)와 연결되고, 버스(560)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514)를 포함하여 무선 단말기(10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프로세서(512)에 연결한다.
프로세서(512)는 무선 단말기(10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512)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5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5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512)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무선 단말기(102)로 하여금 소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514)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예컨대, 애플리케이션(530)에 포함되는 명령어),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애플리케이션(530)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514)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530)은 프로세서(51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소정의 집합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메모리(516) 및 저장 장치(518)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514)의 예이다. 메모리(516)에는 프로세서(51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가 로딩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16)에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메모리(516)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저장 장치(518)는 정보의 저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착탈 가능하거나 착탈 불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518)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무선 단말기(10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무선 단말기(10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570)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5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20)는 버스(560)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57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520)를 통해 무선 단말기(10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570)는 포인팅 장치,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 음성 입력 장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도어락 제어 시스템
102 :무선 단말기
104 :도어락 장치
401 : 통신 모듈
403 : 물체 감지 모듈
405 : 인증 모듈
407 :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
409 : 잠금 제어 모듈
411 : 도어 상태 확인 모듈

Claims (24)

  1. 인증 정보 및 접근 열기 상태 값을 가지는 단말; 및
    상기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단말로부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도어락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인, 도어락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도어락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위치에 따라 상기 단말이 가지는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도어락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말이 실외에 있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고, 상기 단말이 실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도어락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도어락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상기 단말이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도어락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 값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는, 도어락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만 도달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응답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는, 도어락 제어 시스템.
  10. 도어락 장치에서, 도어 인근의 단말에 대해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인증된 단말로부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단말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활성화 상태 값에서 비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비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내로 들어왔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도어가 닫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실내로 들어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실내로 들어오지 않은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단말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내에서 실외로 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실내에서 실외로 나간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 상기 단말의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
  17. 단말에서, 도어락 장치의 요청에 따라 인증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요청에 따라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서, 상기 활성화 상태 값 또는 상기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도어락 제어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 장치가 장착된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활성화 상태 값에서 비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도어락 제어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단계는,
    상기 도어락 장치가 장착된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비 활성화 상태 값에서 활성화 상태 값으로 변경시키는, 도어락 제어 방법.
  21. 도어에 장착되고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락 장치로서,
    상기 도어 인근의 단말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수신한 인증 정보와 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모듈;
    인증된 단말로부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확인하는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 및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에 따라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제어하는 잠금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인 경우 도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도어락 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은,
    상기 도어를 기준으로 상기 단말이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단말이 가지는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도어락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은, 활성화 상태 값 또는 비 활성화 상태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이고,
    상기 접근 열기 상태 확인 모듈은,
    상기 단말이 실외에 있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고, 상기 단말이 실내에 있는 경우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이 비 활성화 상태 값이 되도록 상기 접근 열기 상태 값을 변경시키는 요청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도어락 장치.



KR1020150050812A 2015-04-10 2015-04-10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26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812A KR102326692B1 (ko) 2015-04-10 2015-04-10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812A KR102326692B1 (ko) 2015-04-10 2015-04-10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175A true KR20160121175A (ko) 2016-10-19
KR102326692B1 KR102326692B1 (ko) 2021-11-15

Family

ID=5725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812A KR102326692B1 (ko) 2015-04-10 2015-04-10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047A (ko) 2016-12-16 2018-06-2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912A (ko) * 2003-11-24 2005-05-27 블루솔텍(주) 무선 도어 잠금 장치의 오동작 방지 제어 방법
KR20060058315A (ko) * 2004-11-25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잠금 해정되는 도어록장치
KR101234728B1 (ko) 2011-09-01 2013-02-19 (주)아이티씨이오코리아 숫자 또는 그래픽 키 패드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912A (ko) * 2003-11-24 2005-05-27 블루솔텍(주) 무선 도어 잠금 장치의 오동작 방지 제어 방법
KR20060058315A (ko) * 2004-11-25 200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잠금 해정되는 도어록장치
KR101234728B1 (ko) 2011-09-01 2013-02-19 (주)아이티씨이오코리아 숫자 또는 그래픽 키 패드를 이용한 도어락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047A (ko) 2016-12-16 2018-06-2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692B1 (ko) 202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3887B1 (en) Hands-free access control
KR102495293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 출입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0360743B2 (en) Wireless reader system
US9430888B2 (en) Access control in location tracking system
US9533576B2 (en) Control of a user equipment based on in-vehicle position
US11237243B2 (en) Method,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whether a portable key device is located in an active area in relation to a barrier
US9892271B2 (en) Device loc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with device user identification using a thermal signature
US101812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at access point
JP6148189B2 (ja) ドア開制御システム
KR102290509B1 (ko) 도어락 장치 및 상기 도어락 장치에서의 잠금 해제 방법
KR20160121175A (ko) 도어락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361605B2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communication
KR101944753B1 (ko) 출입관리시스템 및 출입관리방법
EP3043324B1 (en) Access monitor using wireless devices
KR102227461B1 (ko) 멀티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 방법
US11468725B2 (en) Method for door open/close detection
US20230214948A1 (en) Method to operate the devices for real estate showings
US20210295625A1 (en) Electronic device, an access control device, and related methods
JP2023129909A (ja) 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JP2023129911A (ja) ドアロック制御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CA2761263A1 (en) Access control in location tra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