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547A -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 Google Patents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547A
KR20180134547A KR1020170072402A KR20170072402A KR20180134547A KR 20180134547 A KR20180134547 A KR 20180134547A KR 1020170072402 A KR1020170072402 A KR 1020170072402A KR 20170072402 A KR20170072402 A KR 20170072402A KR 20180134547 A KR20180134547 A KR 20180134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smart storage
request signal
authentication number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235B1 (ko
Inventor
김철현
김승훈
김수민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엔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엔시드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2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235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07C2009/0082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remotely by lines 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관함 사용 방법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개폐를 위한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도어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METHOD OF CONTROLLING SMART STORAGE BOX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보관함으로 CCTV, 교통 신호 제어기, 가로등 제어기 등의 고가의 장비를 보호한다.
최근에는 고가의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보관함을 스마트하게 개발한다.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제2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사용 가능 여부 및 개폐 가능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의 도어(또는 문)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관함 사용 방법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개폐를 위한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도어를 개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요청 신호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대한 사용 요청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요청 신호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ID(identific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는 일회성 인증 번호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장치에 대한 ID 정보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해 이미 등록된 ID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보관함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제2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인증 번호가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 및 최근 인증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요청 신호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대한 개폐 요청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최근 인증 번호는 가장 최근에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도어 개폐에 사용된 인증 번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관함을 개폐하기 위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1 요청 신호 및 제2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기와, 상기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제2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도어를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요청 신호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대한 사용 요청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요청 신호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대한 개폐 요청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1 요청 신호는 사용자의 장치 ID(identific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장치 ID(identification)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해 이미 등록된 ID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2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인증 번호가 가장 최근에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도어 개폐에 사용된 인증 번호인 최근 인증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관함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며에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관함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시스템(10)은 사용자 장치(100), 스마트 보관함(2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를 포함한다.
스마트 보관함(200)은 고가의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보관함일 수 있다. 이때, 고가의 장비는 CCTV, 교통 신호 제어기, 가로등 제어기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보관함(200)은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를 포함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정한 것으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의 구현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스마트 보관함(200)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스마트 보관함(200) 외에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요청 신호를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1 요청 신호를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및 스마트 보관한 제어 서버(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요청 신호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대한 사용 요청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1 요청 신호는 Phone NO, MAC ADD 등을 포함한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ID(identific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2 요청 신호를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요청 신호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대한 개폐 요청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2 요청 신호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인증 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로부터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에 대한 개폐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가 개폐된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로부터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에 대한 개폐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장치(100)는 개폐 완료 신호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로부터 인증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로부터 생성된 인증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인증 번호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가 생성한 인증 번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로부터 최근 인증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최근 인증 번호는 가장 최근에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 개폐에 사용된 인증 번호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PC(personal computer), 데이터 서버, 또는 휴대용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e-북(e-book),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또는 스마트 밴드(smart band)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에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보관함(200)이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에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제2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개폐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및 개폐 제어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 및 개폐 가능 여부 중에서 어느 하나를 판단하고 스마트 보관함(200)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및 인증 요청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인증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제2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개폐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에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에 대한 개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및 인증 요청 메시지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인증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에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 및 스마트 보관함 제서 서버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신 장애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와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 간에 발생되는 통신 장애라고 가정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송수신기(211) 및 컨트롤러(213)를 포함한다.
송수신기(211)는 유선 및 무선 통신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211)는 인터넷 통신망,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LAN), 무선 LAN, Wi-Fi, LF, Xbee, Zigbee, Blue-Tooth 및 Beacon 등 다양한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기(211)는 제1 요청 신호, 제2 요청 신호, 인증 번호 및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에 대한 개폐 제어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송수신기(211)는 Blue-Tooth 통신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제1 요청 신호 및 생성된 인증 번호가 포함된 제2 요청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211)는 유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로부터 개폐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송수신기(211)는 유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로부터 최근 인증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211)는 Blue-Tooth 통신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최근 인증 번호가 포함된 제2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211)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 제2 요청 신호 및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에 대한 개폐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송수신기(211)는 유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에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 및 생성된 인증 번호가 포함된 제2 요청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송수신기(211)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2 요청 신호를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에 즉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211)는 사용자 장치(100)에 개폐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송수신기(211)는 Blue-Tooth 통신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개폐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213)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13)는 송수신기(2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13)는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213)는 제1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ID 정보가 스마트 보관함(200)을 사용하기 위해 이미 등록된 ID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미 등록된 ID 정보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ID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미도시)는 컨트롤러(213)의 내부 및 외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구현될 수 있다.
이후에, 컨트롤러(213)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13)는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보관함(200)이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컨트롤러(213)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213)는 생성된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송수신기(211)를 통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213)는 제2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컨트롤러(213)는 제2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인증 번호가 최근 인증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최근 인증 번호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최근 인증 번호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최근 인증 번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후에, 컨트롤러(213)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13)는 개폐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 및 개폐 제어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러(213)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에 대한 개폐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를 개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트롤러(213)는 개폐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를 개폐할 수 있다.
컨트롤러(213)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에 대한 개폐 완료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13)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에 대한 개폐 정보를 포함한 개폐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213)는 생성된 개폐 완료 신호를 송수신기(211)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송수신기(310) 및 컨트롤러(33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310)는 유선 및 무선 통신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기(310)는 인터넷 통신망,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LAN), 무선 LAN, Wi-Fi, LF, Xbee, Zigbee, BlueTooth 및 Beacon 등 다양한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기(310)는 제1 요청 신호, 제2 요청 신호 및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송수신기(310)는 유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로부터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 및 제2 요청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송수신기(310)는 Wi-Fi 통신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기(310)는 인증 번호 및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에 대한 개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송수신기(310)는 Wi-Fi 통신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생성된 인증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310)는 유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에 개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수신기(310)는 Wi-Fi 통신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최근 인증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기(310)는 유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에 최근 인증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330)는 송수신기(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컨트롤러(330)는 제1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ID 정보가 스마트 보관함(200)을 사용하기 위해 이미 등록된 ID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이미 등록된 ID 정보는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ID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미도시)는 컨트롤러(330)의 내부 및 외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구현될 수 있다.
이후에, 컨트롤러(33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는 인증 번호를 검색 및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보관함(200)이 사용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컨트롤러(330)는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기 위한 최근 인증 번호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최근 인증 번호는 컨트롤러(330)가 생성한 후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최근 인증 번호일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330)는 검색된 최근 인증 번호를 송수신기(310)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330)는 검색된 최근 인증 번호를 송수신기(310)를 통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에 주기적으로(또는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치(100)에 전송하기 위한 인증 번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신호(또는 인증 번호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컨트롤러(33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에 사용되는 새로운 인증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인증 번호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패를 위한 인증 번호일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인증 번호는 일회성 인증 번호일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330)는 생성된 인증 번호를 송수신기(310)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제2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컨트롤러(330)는 제2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인증 번호가 생성된 인증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 컨트롤러(33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330)는 개폐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에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에 대한 개폐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보관함(200)이 개폐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컨트롤러(33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가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컨트롤러(330)는 생성된 개폐 제어 신호를 송수신기(310)를 통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3)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 중에서 어느 하나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스마트 보관함(200)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1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제1 요청 신호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대한 사용 요청 신호일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 중에서 어느 하나는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0).
예를 들어,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 중에서 어느 하나는 제1 요청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ID 정보가 스마트 보관함(200)을 사용하기 위해 이미 등록된 ID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 중에서 어느 하나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사용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를 위한 인증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 보관함(200)에 대한 사용이 가능한 경우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인증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인증 번호는 일회성 인증 번호일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인증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S440).
일 예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와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 간에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사용자 장치(10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최근 인증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에 최근 인증 번호를 주기적으로(또는 지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인증 번호는 가장 최근에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 개폐에 사용된 인증 번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와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 간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사용자 장치(100)에 생성된 인증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 중에서 어느 하나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제2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50).
예를 들어, 제2 요청 신호는 스마트 보관함(200)에 대한 개폐 요청 신호일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 및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 중에서 어느 하나는 제2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60).
일 예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와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 간에 통신 장애가 발생한 경우,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제2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인증 번호가 최근 인증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와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 간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제2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인증 번호가 생성된 인증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에,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는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스마트 보관함(200)의 개폐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를 개폐할 수 있다(S470).
일 예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가 판단한 개폐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를 개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210)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로부터 개폐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 보관함(200)의 도어(또는 문)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개폐 제어 신호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서버(300)가 판단한 개폐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스마트 보관함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개폐를 위한 인증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도어를 개폐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청 신호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대한 사용 요청 신호이고,
    상기 제1 요청 신호는 사용자 장치에 대한 ID(identification)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는 일회성 인증 번호인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장치에 대한 ID 정보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해 이미 등록된 ID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보관함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제2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인증 번호가 상기 생성된 인증 번호 및 최근 인증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청 신호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대한 개폐 요청 신호이고,
    상기 최근 인증 번호는 가장 최근에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도어 개폐에 사용된 인증 번호인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4. 스마트 보관함을 개폐하기 위한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1 요청 신호 및 제2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상기 제1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및 상기 제2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도어를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청 신호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대한 사용 요청 신호이고,
    상기 제2 요청 신호는 상기 스마트 보관함에 대한 개폐 요청 신호이고,
    상기 제1 요청 신호는 사용자의 장치 ID(identification) 정보
    를 포함하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장치 ID(identification)가 상기 스마트 보관함을 사용하기 위해 이미 등록된 ID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2 요청 신호에 포함된 인증 번호가 가장 최근에 상기 스마트 보관함의 도어 개폐에 사용된 인증 번호인 최근 인증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스마트 보관함 제어 장치.
KR1020170072402A 2017-06-09 2017-06-09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935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02A KR101935235B1 (ko) 2017-06-09 2017-06-09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402A KR101935235B1 (ko) 2017-06-09 2017-06-09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47A true KR20180134547A (ko) 2018-12-19
KR101935235B1 KR101935235B1 (ko) 2019-01-04

Family

ID=6500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402A KR101935235B1 (ko) 2017-06-09 2017-06-09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0117A (zh) * 2019-03-22 2019-06-21 常州大学怀德学院 钥匙保管箱、钥匙保管系统和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7746A (ko) 2022-09-15 2024-03-22 주식회사 몰드 스마트 물품 보관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20117A (zh) * 2019-03-22 2019-06-21 常州大学怀德学院 钥匙保管箱、钥匙保管系统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235B1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4503B1 (en) Identifying false positives in malicious domain data using network traffic data logs
EP3117361B1 (en) Behavioral analysis for securing peripheral devices
KR20210133251A (ko) 액세스 제어를 위한 판독기 조정
US9600670B2 (en) Provisioning location-based security policy
US1161679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omalous activity of an IoT device
KR101723098B1 (ko) 네트워크 제어 보안
CN108428451B (zh) 语音控制方法、电子设备和语音控制系统
CN109787943A (zh) 一种抵御拒绝服务攻击的方法及设备
CN105765597A (zh) 使用行为合同来预先识别可能的恶意隐匿程序行为
CN105637833A (zh) 基于配置通道来预先识别可能的恶意行为
CN108021805A (zh) 检测Android应用程序运行环境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08668B1 (ko)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되는 파일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05749A1 (en) Detecting A Rogue Access Point Using Network-Independent Machine Learning Models
US99902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using device pairings with docking stations
KR101935235B1 (ko) 스마트 보관함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971790B1 (ko) 통합된 분석 모델에 기초하여 이상 행동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924433B (zh) 由受控制的加密密钥管理保护的软件模块的安全进入和退出
KR102072288B1 (ko) GANs을 이용한 보안 로그 데이터의 이상 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884129B1 (ko) 머신 러닝을 사용한 사물 인터넷 센서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97745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by near field communication
Walter The personal fog: an architecture for limiting wearable security vulnerabilities
KR102104703B1 (ko) IoT 환경의 LoRa 디바이스에서 선택적 암호화 적용을 통한 보안성 강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US9853691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terminal application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285729B1 (ko) 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 및 방법
CN108140095A (zh) 分布式大数据安全体系架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