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994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994A
KR20230099994A KR1020210189493A KR20210189493A KR20230099994A KR 20230099994 A KR20230099994 A KR 20230099994A KR 1020210189493 A KR1020210189493 A KR 1020210189493A KR 20210189493 A KR20210189493 A KR 20210189493A KR 20230099994 A KR20230099994 A KR 20230099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pattern
light source
unit
heat dissipa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1129B1 (ko
Inventor
구자원
박종욱
양용정
옥경배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9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129B1/ko
Priority to CN202211562595.0A priority patent/CN116357910A/zh
Publication of KR2023009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7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모듈을 통하여 하이 빔 패턴과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 및 상기 램프 모듈을 수용하는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램프 모듈은,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빔 패턴 형성부와,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의 열을 배출하는 방열부와,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에서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렌즈, 및 상기 램프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 방열부 및 렌즈를 수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측 브라켓 및 하측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 방열부 및 렌즈는 상기 하측 브라켓에 동일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설치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듈을 통하여 하이 빔 패턴과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를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헤드 램프는 야간과 같이 주변 환경이 어두운 상황에서 차량을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로우 빔 모듈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하이 빔 모듈을 별도로 구비하여 차량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로우 빔 모듈과 하이 빔 모듈을 위한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간의 비효율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을 위한 부품을 개별적으로 마련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증가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로우 빔 패턴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모듈이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차량용 램프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8669호 (2015.10.2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모듈을 통하여 하이 빔 패턴과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 및 상기 램프 모듈을 수용하는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램프 모듈은,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빔 패턴 형성부와,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의 열을 배출하는 방열부와,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에서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렌즈, 및 상기 램프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 방열부 및 렌즈를 수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측 브라켓 및 하측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 방열부 및 렌즈는 상기 하측 브라켓에 동일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램프 하우징에 대한 상기 브라켓의 자세 조절을 위한 자세 조절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방출시키거나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홀을 포함한다.
상기 하측 브라켓은 상기 방열부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방열홀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브라켓 및 하측 브라켓은 걸림 결합 및 볼트 결합된다.
상기 렌즈는 상기 상측 브라켓 및 하측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다.
상기 렌즈의 일부는 상기 상측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렌즈의 다른 일부는 상기 하측 브라켓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램프 모듈은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빔 패턴 형성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 제2 빔 패턴 형성부 및 방열부는 일방향으로 적층되어 상기 브라켓에 수용된다.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는, 제1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1 광을 반사시키는 제1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패턴 형성부는, 제2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을 반사시키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 제2 빔 패턴 형성부 및 방열부는 상기 방열부, 제2 광원부, 제2 리플렉터, 제1 광원부 및 제1 리플렉터의 순서로 상기 하측 브라켓에 적층된다.
상기 방열부, 제1 광원부, 제1 리플렉터, 제2 광원부 및 제2 리플렉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측 브라켓에 볼트 결합된다.
상기 방열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밀착하여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의 열을 배출한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1 광원부에 밀착하여 상기 제1 광원부의 열을 흡수하는 제1 방열 플레이트와, 상기 제2 광원부에 밀착하여 상기 제2 광원부의 열을 흡수하는 제2 방열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방열 플레이트 및 제2 방열 플레이트의 열을 브라켓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방열 플레이트 및 제2 방열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상기 제2 리플렉터에 결합된다.
상기 제1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하이 빔 패턴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하나의 모듈을 통하여 하이 빔 패턴과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도가 향상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부품이 일측 방향으로 적층되어 차량용 램프가 조립되기 때문에 제조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램프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램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로우 빔 패턴 및 하이 빔 패턴의 합성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램프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7은 상측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측 브라켓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9는 하측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광원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1 리플렉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실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광원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2 리플렉터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1 빔 패턴 형성부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방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제2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하측 브라켓에 방열부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방열부에 제2 광원부 및 제2 리플렉터가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방열부 및 제2 리플렉터에 제1 광원부 및 실드가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제1 광원부에 제1 리플렉터가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하측 브라켓에 렌즈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하측 브라켓에 상측 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램프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램프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로우 빔 패턴 및 하이 빔 패턴의 합성 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램프 모듈(20) 및 램프 하우징(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램프 모듈(20)은 광을 조사하여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램프 모듈(20)은 복수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램프 모듈(20)은 제1 빔 패턴 및 제2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램프 하우징(30)은 램프 모듈(20)을 수용할 수 있다. 램프 모듈(20)은 램프 하우징(30)에 수용되어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램프 모듈(20)이 램프 하우징(30)에 수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2개 이상의 램프 모듈(20)이 램프 하우징(30)에 수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램프 모듈(20)은 동일한 빔 패턴을 형성하거나 서로 상이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램프 하우징(30)은 차량의 차체(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가 전조등인 경우 램프 하우징(30)은 차량의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의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램프 하우징(30)의 개구에는 커버 렌즈(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30)에 커버 렌즈가 결합된 경우 외부로부터 밀폐된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수용 공간에 램프 모듈(20)이 수용될 수 있다. 수용 공간에는 램프 모듈(20)뿐만 아니라 램프 모듈(2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이 수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램프 모듈(20)은 브라켓(500),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방열부(300) 및 렌즈(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500)은 램프 하우징(30)에 결합되고,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방열부(300) 및 렌즈(400)를 수용할 수 있다. 브라켓(500)은 상측 브라켓(510) 및 하측 브라켓(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브라켓(510) 및 하측 브라켓(520)은 서로 결합되어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방열부(300) 및 렌즈(4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방열부(300) 및 렌즈(400)는 브라켓(500)에 수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500),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방열부(300) 및 렌즈(400)는 상호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운용될 수 있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00)는 제1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00)는 제1 광원부(110), 제1 리플렉터(120) 및 실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광원부(110)는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제1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는 제1 광원(111)(도 10 참조) 및 제1 기판(112)(도 10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111)은 제1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원(111)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기판(112)은 제1 광원(111)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111)이 제1 기판(112)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112)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제1 광원(111)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광원(111)은 제1 기판(112)에서 전달된 전력으로 제1 광을 발생시켜 조사할 수 있다.
실드(130)는 제1 광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원(111)에서 조사된 제1 광 중 일부는 실드(130)에 의해 차단되어 렌즈(400)로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실드(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 빔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리플렉터(120)는 제1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리플렉터(120)는 복수의 제1 광원(111)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반사부(121)(도 1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반사부(121)는 복수의 제1 광원(111)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반사부(121)가 대응하는 제1 광원(111)의 제1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2 빔 패턴 형성부(200)는 제2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빔 패턴 형성부(200)는 제2 광원부(210) 및 제2 리플렉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광원부(210)는 제2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제2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광원부(210)는 제2 광원(211)(도 13 참조) 및 제2 기판(212)(도 1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원(211)은 제2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광원(211)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기판(212)은 제2 광원(211)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광원(211)이 제2 기판(212)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판(212)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이를 제2 광원(211)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광원(211)은 제2 기판(212)에서 전달된 전력으로 제2 광을 발생시켜 조사할 수 있다.
제2 리플렉터(220)는 제2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2 리플렉터(220)는 복수의 제2 광원(211)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반사부(221)(도 14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반사부(221)는 복수의 제2 광원(211)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반사부(221)가 대응하는 제2 광원(211)의 제2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방열부(300)는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200)의 열을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부(300)는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의 열을 배출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300)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에 밀착하여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의 열을 배출할 수 있다.
렌즈(400)는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200)에서 조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400)는 제1 리플렉터(120) 및 제2 리플렉터(220)에 의해 반사된 제1 광 및 제2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렌즈(400)는 상측 브라켓(510) 및 하측 브라켓(520)에 끼움 결합되어 브라켓(50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400)의 일부는 상측 브라켓(510)에 끼움 결합되고, 렌즈(400)의 다른 일부는 하측 브라켓(5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500)과 렌즈(400)의 결합 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4 및 도 25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렌즈(400)에서 투과된 제1 광이 제1 빔 패턴을 형성하고, 렌즈(400)에서 투과된 제2 광이 제2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이고, 제2 빔 패턴은 하이 빔 패턴일 수 있다. 로우 빔 패턴은 차량 전방의 근거리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빔 패턴이고, 하이 빔 패턴은 차량 전방의 원거리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빔 패턴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로우 빔 패턴(LP)은 컷 오프 라인(CL)을 포함할 수 있다. 컷 오프 라인(CL)은 빔 패턴 형성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경사진 라인일 수 있다. 컷 오프 라인(CL)을 기준으로 로우 빔 패턴(LP)의 좌측 및 우측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로우 빔 패턴(LP)은 집중 광 영역(LHZ) 및 확산 광 영역(LSZ)을 포함할 수 있다. 집중 광 영역(LHZ)은 광이 집중되어 형성된 빔 패턴을 나타내고, 확산 광 영역(LSZ)은 집중 광 영역(LHZ)의 가장자리에 광이 확산되어 형성된 빔 패턴을 나타낸다. 즉, 확산 광 영역(LSZ)에 비하여 집중 광 영역(LHZ)은 높은 밝기를 나타낼 수 있다.
집중 광 영역(LHZ)은 운전자의 관심이 집중되는 근거리 전방 영역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으로서, 집중 광 영역(LHZ)에 의해 차량의 근거리 전방 시야가 보다 원활하게 확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로우 빔 패턴(LP) 및 하이 빔 패턴(HP)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로우 빔 패턴(LP) 및 하이 빔 패턴(HP)이 동시에 형성되는 경우 로우 빔 패턴(LP) 및 하이 빔 패턴(HP)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중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로우 빔 패턴(LP) 및 하이 빔 패턴(HP)은 상호간에 중첩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우 빔 패턴(LP)의 경계에 대응되도록 하이 빔 패턴(HP)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방열부(300) 및 렌즈(400)는 하측 브라켓(520)에 동일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및 방열부(300)는 일방향으로 적층되어 브라켓(500)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00)는 제1 광원부(110), 제1 리플렉터(120) 및 실드(130)를 포함하고, 제2 빔 패턴 형성부(200)는 제2 광원부(210) 및 제2 리플렉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 제1 리플렉터(120), 실드(130), 제2 광원부(210), 제2 리플렉터(220), 방열부(300) 및 렌즈(400)는 하측 브라켓(520)에 동일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측 브라켓(520)의 내부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측 브라켓(520)이 마련된 상태에서 제1 광원부(110), 제1 리플렉터(120), 실드(130), 제2 광원부(210), 제2 리플렉터(220), 방열부(300) 및 렌즈(400)는 하측 브라켓(520)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진입하여 하측 브라켓(52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방열부(300) 및 렌즈(400)가 브라켓(500)에 설치되는 것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0 내지 도 25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램프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라켓(500)은 램프 하우징(30)에 대한 브라켓(500)의 자세 조절을 위한 자세 조절 커넥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조절 커넥터(600)는 브라켓(500)의 서로 다른 복수의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세 조절 커넥터(600)는 3개 이상이 브라켓(500)의 서로 다른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세 조절 커넥터(600)는 구형 베어링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조절 커넥터(600)는 구형 베어링이 구비된 자세 조절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 조절부는 램프 하우징(30)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30)에 대한 복수의 자세 조절부의 길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램프 하우징(30)에 대한 브라켓(500)의 자세가 조절될 수 있다.
램프 하우징(30)에 대한 브라켓(500)의 자세가 조절됨에 따라 렌즈(400)를 투과하는 광의 조사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램프 모듈(20)이 램프 하우징(30)에 설치된 이후에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자세 조절 커넥터(600)가 이용될 수 있다. 브라켓(500)에 자세 조절 커넥터(600)가 구비됨에 따라 램프 하우징(30)에 대한 램프 모듈(20)의 자세 조절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7을 통하여 램프 모듈(20)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세부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상측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상측 브라켓의 하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측 브라켓(510)은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방열부(300) 및 렌즈(4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브라켓(510)은 브라켓(500)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방출시키거나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홀(5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 제2 광원부(210) 및 방열부(30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환기홀(511)을 통해 브라켓(5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측 브라켓(510)은 렌즈(400)의 일부가 끼움 결합 가능한 결합홈(512)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400)는 결합홈(512)에 끼움 결합되어 브라켓(500)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홈(512)은 상측 브라켓(510)이 하측 브라켓(520)의 방향으로 진입할 때 렌즈(400)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브라켓(520)의 내부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측 브라켓(520)이 마련된 상태에서 상측 브라켓(510)이 하측 브라켓(520)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진입할 때 렌즈(400)가 결합홈(5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측 브라켓(510)은 걸림 돌기(51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513)는 하측 브라켓(520)에 구비된 걸림부(523)(도 9 참조)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측 브라켓(510)은 자세 조절 커넥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조절 커넥터(600)는 램프 하우징(30)에 대한 브라켓(500)의 자세 조절에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하측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하측 브라켓(520)은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방열부(300) 및 렌즈(4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 브라켓(520)은 방열부(300)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방열홀(5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열부(300)는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핀은 방열홀(521)을 통해 브라켓(50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방열부(300)의 열은 방열핀을 통해 브라켓(5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측 브라켓(520)은 렌즈(400)의 일부가 끼움 결합 가능한 결합홈(522)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400)는 결합홈(522)에 끼움 결합되어 브라켓(500)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홈(522)은 렌즈(400)가 특정 방향으로 하측 브라켓(520)의 방향으로 진입할 때 렌즈(400)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측 브라켓(520)의 내부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측 브라켓(520)이 마련된 상태에서 렌즈(400)가 하측 브라켓(520)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진입할 때 렌즈(400)가 결합홈(5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하측 브라켓(520)은 걸림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523)은 링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걸림부(523)는 상측 브라켓(510)에 구비된 걸림 돌기(513)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하측 브라켓(520)은 적어도 하나의 볼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 결합부는 볼트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열부(300), 제1 광원부(110), 제1 리플렉터(120), 제2 광원부(210) 및 제2 리플렉터(220) 중 적어도 하나는 하측 브라켓(52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하측 브라켓(520)에 볼트 결합되지 않은 부품은 볼트 결합된 다른 부품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하측 브라켓(5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측 브라켓(510) 및 하측 브라켓(520)은 걸림 결합 및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볼트 결합부 중 일부는 상측 브라켓(510)과의 볼트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하측 브라켓(520)은 자세 조절 커넥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 조절 커넥터(600)는 램프 하우징(30)에 대한 브라켓(500)의 자세 조절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광원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광원부(110)는 제1 광원(111) 및 제1 기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111)이 제1 기판(112)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111)은 제1 곡률을 갖는 원호(ARC1)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111) 중 인접한 제1 광원(111) 간의 간격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m1에 비하여 m2가 크고, m2에 비하여 m3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111) 중 중심에 배치된 제1 광원(111)은 제1 빔 패턴의 중심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고, 복수의 제1 광원(111) 중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광원(111)은 제1 빔 패턴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111) 중 중심에 배치된 제1 광원(111) 간의 간격이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광원(111) 간의 간격에 비하여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1 빔 패턴의 중심 영역으로 광이 집중될 수 있다.
도 11은 제1 리플렉터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리플렉터(120)는 복수의 제1 반사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반사부(121)는 복수의 제1 광원(111)에서 조사된 제1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리플렉터(120)는 보조 반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반사부(122)는 복수의 제1 반사부(121)에서 일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제1 광원(111) 중 일부 제1 광원(111)에서 조사된 제1 광이 보조 반사부(122)에 반사될 수 있다.
보조 반사부(122)에 반사된 제1 광은 렌즈(400)를 투과하여 보조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조 빔 패턴은 시그널 빔 패턴일 수 있다. 시그널 빔 패턴은 차량의 전방 상측에 형성되어 도로 표지판의 인식에 이용되는 빔 패턴일 수 있다.
도 12는 실드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실드(130)는 차단 영역(131), 통과 영역(132) 및 컷 오프 형성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130)의 전체 영역 중 차단 영역(131)으로 전달된 광은 차단 영역(131)에서 차단되어 렌즈(400)로 전달되지 않거나 차단 영역(131)에 반사된 이후에 렌즈(4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드(130)의 전체 영역 중 통과 영역(132)으로 전달된 광은 통과 영역(132)을 통과하여 렌즈(400)로 전달될 수 있다.
컷 오프 형성부(133)는 차단 영역(131)과 통과 영역(13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컷 오프 형성부(133)는 통과 영역(132)을 통과하는 광을 일정 형상으로 차단하여 로우 빔 패턴(LP)에 컷 오프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로우 빔 패턴(LP)에 포함된 컷 오프 라인(CL)은 컷 오프 형성부(133)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3은 제2 광원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광원부(210)는 제2 광원(211) 및 제2 기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이 제2 광원(211)이 제2 기판(212)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광원(211)은 제2 곡률을 갖는 원호(ARC2)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광원(211) 중 인접한 제2 광원(211) 간의 간격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n1에 비하여 n2가 크고, n2에 비하여 n3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광원(211) 중 중심에 배치된 제2 광원(211)은 제2 빔 패턴의 중심 영역으로 광을 조사하고, 복수의 제2 광원(211) 중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광원(211)은 제2 빔 패턴의 가장자리 영역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광원(211) 중 중심에 배치된 제2 광원(211) 간의 간격이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 광원(211) 간의 간격에 비하여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2 빔 패턴의 중심 영역으로 광이 집중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광원(211)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ARC2)의 길이(이하, 제2 원호 길이라 한다)는 복수의 제1 광원(111)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ARC1)의 길이(이하, 제1 원호 길이라 한다)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광원(211) 중 양측 말단에 배치된 제2 광원(211) 간의 거리는 복수의 제1 광원(111) 중 양측 말단에 배치된 제1 광원(111) 간의 거리에 비하여 작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제2 광원(211)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ARC2)의 제2 곡률은 복수의 제1 광원(111)에 의해 형성되는 원호(ARC1)의 제1 곡률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원호 길이가 제1 원호 길이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고, 제2 곡률이 제1 곡률에 비하여 크게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제2 광원(211)은 복수의 제1 광원(111)에 비하여 보다 작은 영역으로 광을 집중시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빔 패턴(HP)은 로우 빔 패턴(LP)에 비하여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으로 광이 집중됨에 따라 하이 빔 패턴(HP)은 보다 먼 거리에 대한 야간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제2 리플렉터의 평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리플렉터(220)는 복수의 제2 반사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반사부(221)는 복수의 제2 광원(211)에서 조사된 제2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2 리플렉터(220)는 실드 결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드 결합부(222)는 실드(130)의 결합을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 결합부(222)는 볼트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드(130)는 볼트가 이용되어 실드 결합부(22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5는 제1 빔 패턴 형성부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200)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00)는 제2 빔 패턴 형성부(200)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빔 패턴 형성부(100)에서 조사된 제1 광은 렌즈(400)를 투과하면서 하측 방향으로 조사되어 제1 빔 패턴을 형성하고, 제2 빔 패턴 형성부(200)에서 조사된 제2 광은 렌즈(400)를 투과하면서 상측 방향으로 조사되어 제2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6은 방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방열부(300)는 제1 방열 플레이트(310), 제2 방열 플레이트(320) 및 방열핀(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방열 플레이트(310)는 제1 광원부(110)에 밀착하여 제1 광원부(110)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제2 방열 플레이트(320)는 제2 광원부(210)에 밀착하여 제2 광원부(210)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방열 플레이트(310) 및 제2 방열 플레이트(320)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열 플레이트(310)는 제2 방열 플레이트(320)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열 플레이트(310) 및 제2 방열 플레이트(320)는 계단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방열 플레이트(310) 및 제2 방열 플레이트(320)는 높이만 상이한 것이 아니라 렌즈(400)와의 거리가 다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1 방열 플레이트(310)는 제2 방열 플레이트(320)에 비하여 렌즈(400)와의 거리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방열 플레이트(310)는 제2 방열 플레이트(320)에 비하여 렌즈(400)와의 거리가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200)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1 광원부(110)는 제2 광원부(210)에 비하여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는 제1 방열 플레이트(310) 및 제2 방열 플레이트(320)에 밀착하여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의 높이는 제1 방열 플레이트(310) 및 제2 방열 플레이트(3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방열핀(330)은 제1 방열 플레이트(310) 및 제2 방열 플레이트(320)의 열을 브라켓(5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방열핀(330)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제1 방열 플레이트(310) 및 제2 방열 플레이트(320)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330)은 상호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각 방열핀(330)으로 전달된 열은 방열핀(330) 간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방열핀(330)은 하측 브라켓(520)에 구비된 방열홀(521)을 통해 브라켓(5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방열핀(330)에 의해 방열부(300)의 열이 브라켓(5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나의 방열부(300)를 이용하여 제1 광원부(110) 및 제2 광원부(210)의 방열이 수행됨에 따라 램프 모듈(20)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7은 렌즈의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렌즈(400)는 광 투과부(410) 및 끼움 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부(410)는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200)에서 조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투과부(410)는 제1 리플렉터(120)에 의해 반사된 제1 광 및 제2 리플렉터(220)에 의해 반사된 제2 광이 투과시킬 수 있다.
끼움 결합부(420)는 브라켓(500)에 구비된 결합홈(512, 5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끼움 결합부(420)가 결합홈(512, 522)에 삽입됨에 따라 렌즈(400)가 브라켓(500)에 고정될 수 있다. 끼움 결합부(420)는 광 투과부(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끼움 결합부(420)는 광 투과부(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 결합부(420)는 광 투과부(410)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광 투과부(410)는 브라켓(500)의 결합홈(512, 522)에 간섭되지 않고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및 제2 빔 패턴 형성부(200)의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도 18은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빔 패턴 형성부(100)는 제1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 광원(111)에서 조사된 광은 제1 반사부(121)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400)로 전달될 수 있다. 렌즈(400)를 투과한 광은 하측 방향으로 조사되면서 제1 빔 패턴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9는 제2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이 조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 빔 패턴 형성부(200)는 제2 빔 패턴의 형성을 위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광원(211)에서 조사된 광은 제2 반사부(221)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400)로 전달될 수 있다. 렌즈(400)를 투과한 광은 상측 방향으로 조사되면서 제2 빔 패턴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5를 통하여 램프 모듈(20)이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하측 브라켓에 방열부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은 방열부에 제2 광원부 및 제2 리플렉터가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는 방열부 및 제2 리플렉터에 제1 광원부 및 실드가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은 제1 광원부에 제1 리플렉터가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4는 하측 브라켓에 렌즈(400)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5는 하측 브라켓에 상측 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제1 광원부(110), 제1 리플렉터(120), 실드(130), 제2 광원부(210), 제2 리플렉터(220), 방열부(300) 및 렌즈(400)는 하측 브라켓(520)에 동일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하측 브라켓(520)의 내부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측 브라켓(520)이 마련된 상태에서 제1 광원부(110), 제1 리플렉터(120), 실드(130), 제2 광원부(210), 제2 리플렉터(220), 방열부(300) 및 렌즈(400)는 하측 브라켓(520)을 향하여 하측 방향으로 진입하여 하측 브라켓(520)에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500)에 수용되는 부품 중 일부는 사전에 설정된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빔 패턴 형성부(100), 제2 빔 패턴 형성부(200) 및 방열부(300)는 방열부(300), 제2 광원부(210), 제2 리플렉터(220), 제1 광원부(110) 및 제1 리플렉터(120)의 순서로 하측 브라켓(520)에 적층될 수 있다.
이하, 램프 모듈(20)이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측 브라켓(520)의 내부 바닥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측 브라켓(520)이 마련된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방열부(300)는 하측 브라켓(520)을 향하여 진입할 수 있다. 방열부(300)는 별도의 고정 수단 없이 하측 브라켓(520)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 광원부(210) 및 제2 리플렉터(220)는 하측 브라켓(520)을 향하여 진입할 수 있다.
제2 광원부(210)가 방열부(300)에 적층된 이후에 제2 리플렉터(220)가 제2 광원부(210)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리플렉터(220)는 볼트(BT)가 이용되어 하측 브라켓(52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방열부(300), 제2 광원부(210) 및 제2 리플렉터(2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제2 리플렉터(220)가 하측 브라켓(520)에 볼트 결합됨에 따라 방열부(300), 제2 광원부(210) 및 제2 리플렉터(220) 모두가 하측 브라켓(52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광원부(110) 및 실드(130)는 하측 브라켓(520)을 향하여 진입할 수 있다.
제1 광원부(110)는 방열부(300)에 적층되고, 실드(130)는 제2 리플렉터(220)에 적층될 수 있다. 실드(130)는 제2 리플렉터(2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드(130)는 볼트(BT)가 이용되어 제2 리플렉터(220)의 실드 결합부(222)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실드(130)는 제2 리플렉터(220)를 통하여 하측 브라켓(52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리플렉터(120)는 하측 브라켓(520)을 향하여 진입할 수 있다. 제1 리플렉터(120)는 제1 광원부(110)에 적층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렌즈(400)는 하측 브라켓(520)을 향하여 진입할 수 있다.
렌즈(400)에 구비된 끼움 결합부(420)는 하측 브라켓(520)에 구비된 결합홈(522)에 삽입되어 렌즈(400)와 하측 브라켓(520) 간의 끼움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측 브라켓(510)은 하측 브라켓(520)을 향하여 진입할 수 있다.
상측 브라켓(510)이 하측 브라켓(520)에 밀착하면서 상측 브라켓(510)의 걸림 돌기(513)가 하측 브라켓(520)의 걸림부(523)에 삽입되면서, 상측 브라켓(510)과 하측 브라켓(520) 간의 걸림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측 브라켓(510)은 볼트(BT)가 이용되어 하측 브라켓(520)에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측 브라켓(510)과 하측 브라켓(520)은 걸림 결합 및 볼트 결합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측 브라켓(510)이 하측 브라켓(520)에 결합되면서 제1 리플렉터(120)는 상측 브라켓(510)에 압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측 브라켓(510)이 하측 브라켓(520)에 결합되면서 렌즈(400)에 구비된 끼움 결합부(420)는 상측 브라켓(510)에 구비된 결합홈(512)에 삽입되어 렌즈(400)와 상측 브라켓(510) 간의 끼움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렌즈(400)는 상측 브라켓(510) 및 하측 브라켓(520)에 의해 압박되어 브라켓(500)에 고정될 수 있다. 별도의 결합 수단이 이용되지 않음에 따라 렌즈(400)의 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램프 모듈(20)을 구성하는 각 부품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호간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부품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램프 모듈(20)의 조립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수행되고,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도 램프 모듈(20)의 조립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램프 모듈(20)을 구성하는 부품 중 일부가 적층됨에 따라 볼트(BT)와 같은 결합 수단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램프 모듈(20)의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결합 수단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차량용 램프 20: 램프 모듈
30: 램프 하우징 100: 제1 빔 패턴 형성부
110: 제1 광원부 111: 제1 광원
112: 제1 기판 120: 제1 리플렉터
130: 실드 200: 제2 빔 패턴 형성부
210: 제2 광원부 211: 제2 광원
212: 제2 기판 220: 제2 리플렉터
300: 방열부 310: 제1 방열 플레이트
320: 제2 방열 플레이트 330: 방열핀
400: 렌즈 410: 광 투과부
420: 끼움 결합부 500: 브라켓
510: 상측 브라켓 511: 환기홀
512: 결합홀 513: 걸림 돌기
520: 하측 브라켓 521: 방열홀
522: 결합홈 523: 걸림부

Claims (17)

  1. 광을 조사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 및
    상기 램프 모듈을 수용하는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램프 모듈은,
    제1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빔 패턴 형성부;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의 열을 배출하는 방열부;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에서 조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렌즈; 및
    상기 램프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 방열부 및 렌즈를 수용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측 브라켓 및 하측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 방열부 및 렌즈는 상기 하측 브라켓에 동일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설치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램프 하우징에 대한 상기 브라켓의 자세 조절을 위한 자세 조절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방출시키거나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환기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브라켓은 상기 방열부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방열홀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브라켓 및 하측 브라켓은 걸림 결합 및 볼트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상측 브라켓 및 하측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차량용 램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일부는 상기 상측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렌즈의 다른 일부는 상기 하측 브라켓에 끼움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모듈은 제2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빔 패턴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 제2 빔 패턴 형성부 및 방열부는 일방향으로 적층되어 상기 브라켓에 수용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는,
    제1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1 광을 반사시키는 제1 리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패턴 형성부는,
    제2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을 반사시키는 제2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 형성부, 제2 빔 패턴 형성부 및 방열부는 상기 방열부, 제2 광원부, 제2 리플렉터, 제1 광원부 및 제1 리플렉터의 순서로 상기 하측 브라켓에 적층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 제1 광원부, 제1 리플렉터, 제2 광원부 및 제2 리플렉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측 브라켓에 볼트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에 밀착하여 상기 제1 광원부 및 제2 광원부의 열을 배출하는 차량용 램프.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1 광원부에 밀착하여 상기 제1 광원부의 열을 흡수하는 제1 방열 플레이트;
    상기 제2 광원부에 밀착하여 상기 제2 광원부의 열을 흡수하는 제2 방열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방열 플레이트 및 제2 방열 플레이트의 열을 브라켓의 외부로 배출하는 방열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 플레이트 및 제2 방열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16.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실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드는 상기 제2 리플렉터에 결합되는 차량용 램프.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빔 패턴은 하이 빔 패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210189493A 2021-12-28 2021-12-28 차량용 램프 KR102661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93A KR102661129B1 (ko) 2021-12-28 2021-12-28 차량용 램프
CN202211562595.0A CN116357910A (zh) 2021-12-28 2022-12-07 车辆用灯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493A KR102661129B1 (ko) 2021-12-28 2021-12-28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994A true KR20230099994A (ko) 2023-07-05
KR102661129B1 KR102661129B1 (ko) 2024-04-26

Family

ID=8691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493A KR102661129B1 (ko) 2021-12-28 2021-12-28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61129B1 (ko)
CN (1) CN11635791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903A (ja) * 2007-02-22 2008-09-04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KR20110021546A (ko) * 2009-08-26 2011-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KR20150118669A (ko) 2014-04-14 2015-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용 레이저 광학계
KR20200079753A (ko) * 2018-12-26 2020-07-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0494435Y1 (ko) * 2016-12-12 2021-10-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903A (ja) * 2007-02-22 2008-09-04 Ichikoh Ind Ltd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KR20110021546A (ko) * 2009-08-26 2011-03-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KR20150118669A (ko) 2014-04-14 2015-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램프용 레이저 광학계
KR200494435Y1 (ko) * 2016-12-12 2021-10-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200079753A (ko) * 2018-12-26 2020-07-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57910A (zh) 2023-06-30
KR102661129B1 (ko) 202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4128B2 (en) Lamp unit of vehicle headlamp
EP2620697B1 (en) Vehicle lighting unit with projection lens and led
EP1447616B1 (en) Vehicular headlamp
JP5831788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EP2481974B1 (en) Vehicle headlamp
US9587794B2 (en) Headlamp assembly with multiple high aspect ratio lenses
KR101606772B1 (ko) 차량용 멀티 어레이 엘이디 칩 및 이를 구비하는 헤드램프
EP2644971B1 (en) Vehicle headlamp
KR20120034049A (ko) 주간 주행등을 갖는 조명 시스템
KR20180043038A (ko) 매트릭스 sbl 광학계를 갖는 헤드램프
US20230041578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JP3201358U (ja) 車のライト
CN114688494A (zh) 车辆用灯具
KR20230099994A (ko) 차량용 램프
WO2021025136A1 (ja) 車両用灯具
KR102224433B1 (ko) 차량용 램프
KR20210128244A (ko)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160125693A (ko) 차량용 램프
KR20230099808A (ko) 차량용 램프
KR10180712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6048773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CN209926250U (zh) 用于车辆的前照灯
CN219955120U (zh) 车辆用灯具
EP3865765A1 (en) Light device for vehicle
KR20220132745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