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892A - 벤딩 장치 - Google Patents

벤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892A
KR20230099892A KR1020210189324A KR20210189324A KR20230099892A KR 20230099892 A KR20230099892 A KR 20230099892A KR 1020210189324 A KR1020210189324 A KR 1020210189324A KR 20210189324 A KR20210189324 A KR 20210189324A KR 20230099892 A KR20230099892 A KR 20230099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s bar
grip
bend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017B1 (ko
Inventor
조찬기
박건영
황범진
한태홍
안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21018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017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movably-arranged forming men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8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or through a curved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combined with measuring of bends or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버스바를 다양한 위치로 절곡시키는 벤딩부 및 버스바의 일부분을 다양한 각도로 비틀림 변형시키는 그립부와 회동부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버스바 가공이 가능한 벤딩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벤딩 장치는 회동판을 회동시키도록 형성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판의 후방에서 버스바를 상기 회동판의 중앙을 관통시키며 전방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피딩부, 일단은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구동을 통해 상기 벤딩부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 승강모터가 배치되는 승강부, 상기 회동판 및 피딩부의 전방에서 상기 승강부와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를 벤딩시키도록 형성되는 벤딩부 및 상기 승강부의 타측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결합되고,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바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그립이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벤딩 장치{BEND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벤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버스바를 가공시키는 벤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들은 스위블 장치를 통해 회동이 가능하고, 시트의 회동에 따라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들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어, 차량 내부에서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및 캠핑카들 내부의 편의장치들을 통해 차량 내부에서 탑승자들이 향유할 수 있는 편의사양들이 증가하고 있고, 이런 추세를 따라 시트의 위치변경에 따른 공간활용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및 캠핑카의 경우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탑승자가 착석하는 부분을 제외한 시트의 나머지 부품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구조 변경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위치로 이동되는 시트와 차량의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시트와 차량을 연결시키는 버스바의 형태를 차량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시키는 벤딩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148호는 다단 벤딩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8090호는 동파이프 연결관 자동 벤딩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버스바를 다양한 위치로 절곡시키거나 비틀림 가공시키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버스바를 다양한 위치로 절곡시키는 벤딩부 및 버스바의 일부분을 다양한 각도로 비틀림 변형시키는 그립부와 회동부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버스바 가공이 가능한 벤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벤딩 장치는 회동판을 회동시키도록 형성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판의 후방에서 버스바를 상기 회동판의 중앙을 관통시키며 전방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피딩부, 일단은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구동을 통해 상기 벤딩부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 승강모터가 배치되는 승강부, 상기 회동판 및 피딩부의 전방에서 상기 승강부와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를 벤딩시키도록 형성되는 벤딩부 및 상기 승강부의 타측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결합되고,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바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그립이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벤딩 장치는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버스바를 절단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딩부는 상기 피딩부의 전방에서 상기 승강부와 결합되는 벤딩본체, 상기 벤딩본체에서 상부로 돌출되고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승하강 또는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버스바의 양측에 밀착되는 가이드부재들이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유닛 및 상기 제1 회동유닛의 외측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 원기둥 형태의 가압부재들이 형성되는 제2 회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동유닛은 상부로 돌출된 로드를 승하강시키도록 형성되는 승강액츄에이터 및 일단 외측면에는 제1 회동모터와 기어 연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들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들 사이에 상기 버스바가 측방향으로 삽입가능한 홈이 형성되는 제1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동유닛은 일단 외측면에는 제2 회동모터와 기어 연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재들과 연결되는 제2 회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딩부는 상하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본체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모터와 기어 연결되는 렉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피딩부의 타측에서 그립부 회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는 리드스크류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그립본체 및 상기 그립본체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측에 연결된 액츄에이터의 구동으로 이동되는 상기 그립을 구비한 그립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벤딩 장치는 피딩부의 버스바 배출 구동, 회동부의 회동에 의한 벤딩부 및 그립부의 회전 구동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버스바의 가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벤딩 장치는 버스바와 결합되는 하부그립 및 상부그립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므로, 그립부를 통한 다양한 사이즈의 버스바 가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벤딩 장치의 피딩부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피딩부에 연결되는 회동부, 승강부, 벤딩부, 그립부 및 절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승강부 및 벤딩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회동부, 승강부, 벤딩부, 그립부 및 절단부가 원위치로 회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벤딩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들.
도 6은 도 2의 절단부의 구동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벤딩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장치(100)는 피딩부(200), 회동부(300), 승강부(400), 벤딩부(500), 그립부(600) 및 절단부(700)를 포함한다.
벤딩 장치(100)는 피딩부(200)에서 전방을 향해 피딩되는 버스바(10)를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인 일측, 타측,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시키고 트위스트 형태로 변형시키며, 절단부(700)를 통해 변형된 버스바(10)를 자동으로 절단시킨다.
후술될 피딩부(200, 회동부(300), 승강부(400), 벤딩부(500), 그립부(600) 및 절단부(700)가 형성되는 위치는 도 4 및 5의 승강부(400) 및 벤딩부(500)가 피딩로드(24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피딩부(200)는 컨베이어(210), 레벨링 롤러유닛(220), 버스바 피딩유닛(230) 및 피딩로드(240)를 포함한다.
피딩부(200)의 일단은 육면체의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어 권취된 상태에서 권출되는 버스바(10)가 내부로 유입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내부로 유입된 버스바(10)를 전방으로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 컨베이어(210)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버스바(10)를 사이에 두고 버스바(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레벨링 롤러들을 포함한다.
컨베이어(210)를 지나는 버스바(10)는 권출되면서 상기 제1 레벨링 롤러들에 의해 전후방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펼쳐지면서 이동되고, 버스바(1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절곡된 부분들이 일직선 방향으로 교정된다.
레벨링 롤러유닛(220)은 컨베이어(210)의 전방에 연결되고, 컨베이어(210)에서 피딩되는 버스바(10)의 상부면 및 저면이 평면을 형성하도록 가공시킨 후 전방의 버스바 피딩유닛(230)으로 버스바(10)를 피딩시킨다.
레벨링 롤러유닛(220)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고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버스바(10)를 사이에 두고 버스바(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버스바(10)의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2 레벨링 롤러들을 포함한다.
버스바 피딩유닛(230)은 레벨링 롤러유닛(220)의 전방에 연결되고, 레벨링 롤러유닛(220)에서 피딩되는 버스바(10)를 전방에 배치되는 피딩로드(240)로 버스바(10)를 밀어낸다.
버스바 피딩유닛(230)은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버스바(10)의 하부 및 상부에 배치되며 버스바(10)와 밀착되고,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피딩롤러들을 포함한다.
상기 피딩롤러들의 외측면에는 접착력이 높은 고분자 소재가 부착되어 버스바(10)의 상부면 또는 저면과 밀착되고, 동일한 수직선상에서 버스바(10)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피딩롤러들은 버스바(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2개 이상이 배치된다.
피딩로드(240)의 일단은 회동부(300)의 내부에서 버스바 피딩유닛(230)에서 버스바(10)를 배출시키는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버스바(10)의 단면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배면 일부분이 전방으로 함몰되어 버스바(10)가 이동되는 삽입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피딩로드(240)의 타단은 일단에서 일단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회동부(30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면서 벤딩부(500)의 직후방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회동부(300)는 회동본체(310), 후방회동모터(320), 제1 풀리(330), 벨트(340), 제2 풀리(350) 및 회동판(360)을 포함한다.
회동부(300)는 피딩부(200)의 전방에 배치되어 피딩로드(24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회동부(3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승강부(400)와 결합되어 피딩로드(240)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승강부(40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킨다.
구체적으로, 회동본체(310)는 버스바 피딩유닛(230)의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후방회동모터(320), 제1 풀리(330), 벨트(340) 및 제2 풀리(350)를 커버하는 육면체의 케이스 형태로 형성된다.
후방회동모터(320)는 피딩부(200) 또는 회동본체(310)의 내부에서 피딩로드(240)의 일단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구동축은 제1 풀리(330)와 결합되어 제1 풀리(33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킨다.
제1 풀리(330)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벨트(340)와 맞물리는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후방회동모터(320)의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후방회동모터(320)의 구동축과 결합된다.
벨트(340)의 일단은 제1 풀리(330)의 일측, 타측 및 하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풀리(330)에 형성된 돌출부들과 맞물리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 풀리(350)의 외측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벨트(340)는 제1 및 제2 풀리(330, 350)들의 외측면을 둘러싸면서 제1 및 제2 풀리(330, 350)들과 맞물리고, 후방회동모터(320)의 구동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풀리(350)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벨트(340)의 타단 일측, 타측 및 상부 내측면과 맞물리는 돌출부들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피딩로드(240)의 일단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다.
회동판(360)은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회동본체(310)의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배면 중앙 일부분이 제2 풀리(350)의 전면에 결합되며, 후방회동모터(32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의해 피딩로드(240)의 연장 방향을 축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회동판(360)은 후술될 승강부(400)와 결합되고, 승강부(400) 및 승강부(400)에 연결된 벤딩부(500), 그립부(600) 및 절단부(700)는 후방회동모터(320)의 구동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된다.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0)는 승강본체(410), 제1 승강모터(420) 및 피니언기어(430)를 포함한다.
승강부(400)의 일단은 회동부(300)의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피딩로드(240)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의 회동판(360)의 전면 일부분과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벤딩부(500)와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승강본체(410)의 일단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배면은 회동판(360)의 전면 일부분과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제1 승강모터(420) 및 피니언기어(430)를 둘러싸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벤딩부(500)의 벤딩본체(510)와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승강모터(42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승강본체(4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제1 승강모터(42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동축은 피니언기어(430)의 배면과 결합된다.
피니언기어(430)는 제1 승강모터(420)의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승강본체(410)의 내부로 삽입된 후술될 랙기어(540)의 타측면에 맞물리도록 제1 승강모터(420)의 구동축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승강모터(420)에서 돌출된 구동축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43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 랙기어(540)를 포함하는 벤딩부(500)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500)는 피딩로드(240)의 타단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승강부(400)의 타단과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구동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버스바(10)를 일측, 타측, 하부 또는 상부를 향해 절곡시킨다.
벤딩부(500)는 벤딩본체(510), 제1 회동유닛(520), 제2 회동유닛(530) 및 랙기어(5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벤딩본체(510)의 일단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승강본체(410)의 타단 전면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 회동유닛(520) 및 제2 회동유닛(530)을 커버한다.
제1 회동유닛(520)은 승강액츄에이터(521), 제1 회동모터(522), 제1 기어(523), 제1 회동부재(524), 제1 가이드부재(525) 및 제2 가이드부재(526)를 포함한다.
제1 회동유닛(520)은 벤딩본체(510)의 내부에서 벤딩본체(5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하부로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승하강 및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부착된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25, 526)들을 통해 버스바(10)를 절곡시킨다.
구체적으로, 승강액츄에이터(521)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은 벤딩본체(510)의 내부 바닥면에 결합되며, 상부로 돌출되는 승강로드는 제1 회동부재(524)의 일단 하부에 결합된다.
승강액츄에이터(521)의 구동으로 상기 승강로드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승강로드의 이동으로 제1 회동부재(524)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제1 회동모터(522)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승강액츄에이터(521)의 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벤딩본체(5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전방 상부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 회동구동축이 제1 기어(523)와 결합된다.
제1 기어(523)는 제1 회동모터(522)의 제1 회동구동축의 상단에 결합되고, 외측면은 제1 회동부재(524)의 일단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제1 회동모터(52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제1 회동부재(524)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제1 기어(523)와 맞물리는 나사산(524a)들이 제1 회동부재(524)의 외측면을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나사산(524a)들 각각은 제1 기어(523)의 상하부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길도록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되고, 제1 회동부재(524)가 승강액츄에이터(521)의 구동에 의해 상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나사산(524a)은 제1 기어(523)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은 일단의 상부면 중앙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벤딩본체(510)의 상부를 향해 일부분이 돌출되고, 승강액츄에이터(521) 및 제1 회동모터(52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의 상하부 연장방향을 축으로 승하강 또는 회동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524a)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고, 승강부(400) 및 벤딩부(500)가 회동판(360)의 회동에 의해 일측 및 상부 방향으로 90도 각도 만큼 회동된 상태에서 제1 회동부재(524)가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면 버스바(10)가 홈(524a)에 삽입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재(525)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버스바(10)의 일측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 일측 방향쪽 상부면에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된다.
제1 가이드부재(525)의 타단은 일단의 상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일단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1 가이드부재(525)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환 형태의 제1 가이드홈(527)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재(526)의 일단은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버스바(10)의 타측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 타측 방향쪽 상부면에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된다.
제2 가이드부재(526)의 타단은 일단의 상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일단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가이드부재(526)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환 형태의 제2 가이드홈(528)이 형성된다.
버스바(10)의 일측 및 타측 일부분은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25, 526)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가이드홈(527, 528)에 각각 삽입되고, 버스바(10)가 가공되는 과정에서 버스바(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제2 회동유닛(530)은 일부분이 제1 회동유닛(520)의 상단 외측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부로 연장된 상기 승강로드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벤딩본체(5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벤딩본체(510)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2 회동유닛(530)의 상단 일부분의 상부면에는 제1 및 제2 가압부재(534, 535)들이 결합되고, 제2 회동유닛(530)의 회동에 따라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 전방으로 돌출된 버스바(10)의 일부분을 일측, 타측,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절곡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 회동유닛(530)은 제2 회동모터(531), 제2 기어(532), 제2 회동부재(533), 제1 가압부재(534) 및 제2 가압부재(535)를 포함한다.
제2 회동모터(531)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벤딩본체(510)의 내부에서 제1 회동모터(522)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의 벤딩본체(510)와 결합된다.
제2 회동모터(531)의 전방 상부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2 회동구동축은 제2 기어(532)와 결합되고, 제2 회동모터(53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의해 제2 기어(532)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제2 기어(532)는 제2 회동모터(531)의 상기 제2 회동구동축의 상단에 결합되고, 외측면은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을 둘러싸는 제2 회동부재(533)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제2 회동부재(533)의 일단은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면에 제2 기어(532)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벤딩본체(5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 상부면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2 회동부재(533)의 타단 외측면은 베어링을 통해 상기 승강로드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벤딩본체(510)와 결합되고, 제1 회동부재(524)는 제2 회동부재(533)의 내부에서 회동되거나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다.
제1 가압부재(534)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2 회동부재(533)의 타단 일측 방향에 해당되는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2 가압부재(535)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제2 회동부재(533)의 타단 타측 방향에 해당되는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판(360)의 전면을 주시하는 상태에서 회동판(36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도 각도만큼 회동(정회전)된 상태에서 제1 회동부재(524)가 승강액츄에이터(521)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면, 버스바(10)의 일부분이 홈(524a)에 삽입된다.
버스바(10)가 홈(52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회동부재(524)의 전방으로 돌출된 버스바(10)의 끝단 일부분은 제2 회동부재(533)의 정회동에 의해 제1 가압부재(534)가 하부를 향해 이동되면서 하부를 향해 절곡되고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 외측면과 밀착된다.
이 후 버스바(10)가 피딩부(200)에 의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고, 제2 회동부재(533)의 역회전으로 제2 가압부재(535)가 전방 및 상부를 향해 이동되면서 버스바(10)의 끝단 일부분에 인접한 후방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제1 회동부재(524)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제1 및 제2 가압부재(534, 535)들이 원위치로 이동되고, 제1 회동부재(524)가 승강액츄에이터(521)의 구동으로 일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회동판(360)의 역회전에 의해 벤딩부(500)가 원위치로 이동된다.
제1 회동부재(524)가 승강액츄에이터(521)에 의해 일측 방향을 향해 이동된 상태에서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 일부분은 제2 회동부재(533)의 타단보다 타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버스바(10)는 제2 회동부재(533)의 타측에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동부재(524)는 일측을 향해 이동되어 버스바(10)와 분리되고, 버스바(10) 및 제2 회동부재(533)의 사이에 배치된다.
벤딩부(500)가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홈(524a)에서 분리된 버스바(10)의 양측면 일부분들은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25, 526)들 각각의 사이에 배치되고, 버스바(10)는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25, 526)들과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2(c) 도면을 참조하면, 벤딩부(500)가 원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 상부면이 제2 회동부재(533)의 타단 상부면보다 높은 수평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버스바(10) 주위에서 벤딩부(500)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는 제2 가이드부재(526)의 제2 가이드홈(528)으로 버스바(10)의 타측 일부분이 원활하게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500)가 원위치로 이동되고, 제1 회동부재(524)의 타단 상부면이 하강되어 제2 회동부재(533)의 타단 상부면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회동부재(524)가 소정의 각도만큼 정회전되면 제2 가이드부재(526)가 전방 및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고, 버스바(10)는 제2 가이드홈(528)으로 삽입되며 제2 가이드부재(526)와 밀착된다.
제1 및 제2 회동부재(524, 533)의 상부면을 상부에서 주시하는 경우, 제1 및 제2 회동부재(524, 533)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이 정회전 구동이고, 제1 및 제2 회동부재(524, 53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동이 역회전 구동이다.
버스바(10)의 타측면이 제2 가이드부재(526)와 밀착된 상태에서 제2 회동부재(533)가 소정의 각도만큼 역회전되어 제1 가압부재(534)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버스바(10)가 제1 가압부재(534)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절곡된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제1 가압부재(534)에 의해 버스바(10)가 타측 방향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제1 회동부재(524)가 소정의 각도만큼 역회전되어 원위치로 이동되고, 제2 가이드부재(526)는 버스바(10)와 분리된다.
도 2 및 5를 참조하면, 버스바(10)가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25, 526)들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승강모터(420)의 구동으로, 벤딩부(500) 전체가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되고, 제1 및 제2 가이드부재(525, 526)들은 버스바(10)의 하부에 해당되는 수평선상으로 이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600)는 그립부 회동모터(610), 리드스크류(620), 베어링 브라켓(625), 너트(630), 레일(640), 그립본체(650), 그립유닛(660) 및 그립부 액츄에이터(670)를 포함한다.
그립부(600)는 승강부(400)의 타측 및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승강부(400)와 결합되고, 그립유닛(660) 및 그립부 액츄에이터(670)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립유닛(660)에 형성된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들은 그립부 액츄에이터(670)의 구동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고, 그립유닛(660) 및 그립부 액츄에이터(670)가 버스바(10)의 타측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이 일측으로 이동되면,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은 버스바(10)의 상부면 및 저면에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5를 참조하면, 그립부 회동모터(610)는 승강본체(410)의 타측 후방 및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승강본체(41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전방에 배치되는 리드스크류(620)의 일단과 결합되어 구동에 따라 리드스크류(6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리드스크류(620)의 일단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그립부 회동모터(6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베어링 브라켓(625)과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너트(630)는 리드스크류(620)를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면은 리드스크류(620)와 나사 결합되어 리드스크류(620)의 회동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일측면은 그립본체(650)와 결합된다.
레일(640)의 일단은 그립본체(650)의 하부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승강본체(41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그립본체(650)의 일단 타측면은 너트(630) 및 피딩로드(240)의 사이에서 너트(630)의 일측에 결합되고 하부는 레일(640)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레일(64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그립본체(650)는 그립부 회동모터(6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되는 리드스크류(620)에 의해 너트(630)와 함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립유닛(660)은 그립케이스(661), 홀더(662), 하부그립(663), 상부그립(664) 및 조정부재(665)를 포함한다.
그립유닛(660)은 그립본체(650)의 타단 전면에 결합되고, 타측에 결합되는 그립부 액츄에이터(670)의 구동에 따라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이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버스바(10)와 결합된다.
그립유닛(660)은 버스바(1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판(36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따라 회동되면서 밀착된 버스바(10)의 후방에 해당되는 버스바(10)의 일부분을 뒤틀림 변형시킨다.
구체적으로, 버스바(10)가 피딩로드(240)에 의해 고정되고, 그립유닛(660)과 결합된 상태에서 그립유닛(660)이 회동판(360)에 의해 회동되면, 버스바(10)의 일부분은 전후방 연장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뒤틀려진다.
그립케이스(661)는 일측면에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시키는 일측개구부(661a)가 형성된 육면체의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면이 그립부 액츄에이터(67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홀더(662)의 일단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그립케이스(661)의 내부로 삽입되며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그립부 구동로드(671)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의 일측면 전방 및 후방에 해당되는 일부분이 일측방향으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삽입홈(662a)의 전후방을 커버한다.
하부그립(663)의 일단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홈(662a)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662)의 타단과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상부그립(664)의 일단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삽입홈(662a)의 상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662)의 타단과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하부그립(663)의 타단 상부에 버스바(10)의 두께 이상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조정부재(665)는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의 타단을 상하부로 관통하며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과 볼트 결합되는 볼트 형태로 형성되고, 작업자는 조정부재(665)를 회전시켜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의 타단 사이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립부 액츄에이터(670)는 그립케이스(661)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구동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부 구동로드(671)가 그립케이스(661)의 내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된다.
그립부 구동로드(671)의 일단은 그립케이스(661)의 내부에서 그립부 액츄에이터(670)에 연결되고, 타단은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홀더(662)의 일단 타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홀더(662),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은 그립부 액츄에이터(670)의 구동에 따라 그립케이스(661)의 내부에서 일측 개구부(661a)를 지나 그립케이스(661)의 일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그립케이스(661)의 내부로 이동된다.
그립본체(650), 그립유닛(660) 및 그립부 액츄에이터(670)가 그립부 회동모터(610)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면, 그립케이스(661)가 버스바(10)의 타측에 배치된다.
그립케이스(661)가 버스바(10)의 타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그립부 액츄에이터(670)가 구동되면 홀더(662),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이 그립케이스(661)의 일측으로 돌출되고 버스바(10)는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 사이에 삽입되며, 버스바(10)의 저면 및 상부면 각각은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과 각각 밀착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그립부 액츄에이터(670)가 버스바(10)의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그립부 액츄에이터(670)가 구동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들 사이에 버스바(10)가 삽입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버스바(10)가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의 사이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부(300)의 회동판(360)이 90도 각도만큼 정회전되면, 버스바(10)는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의 회전에 의해 뒤틀림 변형된다.
회동판(360)은 버스바(10)의 뒤틀림 변형된 부분이 일부분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만큼 91~100도 각도만큼 정회전된 후 1~10도 각도만큼 역회전될 수 있다.
이 때,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에 밀착되는 버스바(10)의 일부분은 91~100도 각도만큼 뒤틀림 변형된 후 일부분 복원되어도 90도로 뒤틀림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버스바(10)는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에 의해 뒤틀린 변형부재(12), 변형부재(12)의 후방에 해당되고 상부면 및 하부면이 상부 및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후방부재(11) 및 일측면과 타측면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하는 전방부재(13)로 가공된다.
도 2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700)는 측면모터(710), 크랭크암(720), 커넥팅로드(730) 및 블레이드 유닛(740)을 포함한다.
절단부(700)는 승강부(400)의 일측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승강부(400)와 결합되고, 상단에 위치되는 블레이드 유닛(74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버스바(10)를 절단시키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측면모터(710)는 승강본체(4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육면체 형태의 모터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구동축은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크랭크암(720)과 결합된다.
크랭크암(720)은 원형판 형태로 형성되어 측면모터(710)의 상부에서 측면모터(710)의 구동축과 결합되어 측면모터(7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커넥팅로드(730)의 일단은 크랭크암(720)의 상부에서 크랭크암(720)의 상부 테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타측을 향해 로드 형태로 연장되어 블레이드 유닛(740)과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결합된다.
블레이드 유닛(740)의 일단은 커넥팅로드(730)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피딩로드(240)의 하부에 위치되는 승강본체(410)의 전면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블레이드 유닛(740)은 측면모터(7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따라 커넥팅로드(730)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고, 타단 상부에 돌출된 블레이드(742)는 버스바(1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버스바(10)를 절단시킨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본체(741)의 일단은 브라켓을 통해 커넥팅로드(730)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승강본체(410)의 전면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 결합된다.
블레이드(742)는 타측을 향해 날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저면은 블레이드본체(741)의 타단 상부면 중앙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버스바(10)의 일측에서 버스바(1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도 6(b)에서 버스바(10)의 변형부재(12)가 가공되고, 도 6(c)에서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은 버스바(10)와 분리된 후 그립케이스(661)의 내부로 삽입되며, 그립본체(650), 그립부 액츄에이터(670) 및 그립유닛(660)은 후방을 향해 이동되어 피딩로드(24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립부(600)가 후방으로 이동된 후 버스바(10)가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으로 배출되어 후방부재(11)가 외부에 노출되고, 이후에 블레이드 유닛(740)이 하강되면서 블레이드(742)가 후방부재(11)의 후방 끝단을 절단시킨다.
절단부(700)의 구동에 의해 완성된 버스바 완성품은 후방부재(11), 변형부재(12), 전방부재(13), 제1 절곡부재(14), 제2 절곡부재(15) 및 제3 절곡부재(16)로 구성된다.
벤딩 장치(100)를 통해 가공되는 버스바 완성품은 차량의 시트와 차량의 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연결부재로써 사용되고, 비틀림 가공되는 변형부재(12)의 비틀림에 의해 각도가 조정되는 후방부재(11)는 시트의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후방부재(11)가 시트의 커넥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절곡부재(14)는 차량의 바닥에 설치된 레일의 내부로 삽입되어 차량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고, 시트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차량의 전원과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벤딩 장치(100)는 차량의 시트와 차량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버스바 완성품을 가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피딩부(200)의 버스바(10) 배출 구동, 회동부(300)의 회동에 의한 벤딩부(500) 및 그립부(600)의 회전 구동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버스바(10)의 가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벤딩 장치는 버스바(10)와 결합되는 하부그립(663) 및 상부그립(664)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므로, 그립부(600)를 통한 다양한 사이즈의 버스바(10)의 가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벤딩 장치
200: 피딩부
300: 회동부
400: 승강부
500: 벤딩부
600: 그립부
700: 절단부

Claims (7)

  1. 회동판을 회동시키도록 형성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판의 후방에서 버스바를 상기 회동판의 중앙을 관통시키며 전방으로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피딩부;
    일단은 상기 회동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구동을 통해 상기 벤딩부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 승강모터가 배치되는 승강부;
    상기 회동판 및 피딩부의 전방에서 상기 승강부와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를 벤딩시키도록 형성되는 벤딩부; 및
    상기 승강부의 타측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결합되고,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버스바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그립이 형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한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버스바를 절단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피딩부의 전방에서 상기 승강부와 결합되는 벤딩본체;
    상기 벤딩본체에서 상부로 돌출되고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승하강 또는 회동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버스바의 양측에 밀착되는 가이드부재들이 돌출 형성되는 제1 회동유닛; 및
    상기 제1 회동유닛의 외측을 둘러싸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 원기둥 형태의 가압부재들이 형성되는 제2 회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동유닛은,
    상부로 돌출된 로드를 승하강시키도록 형성되는 승강액츄에이터; 및
    일단 외측면에는 제1 회동모터와 기어 연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들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들 사이에 상기 버스바가 측방향으로 삽입가능한 홈이 형성되는 제1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동유닛은,
    일단 외측면에는 제2 회동모터와 기어 연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가압부재들과 연결되는 제2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하부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벤딩본체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모터와 기어 연결되는 렉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피딩부의 타측에서 그립부 회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는 리드스크류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그립본체; 및
    상기 그립본체의 전방에 결합되고, 타측에 연결된 액츄에이터의 구동으로 이동되는 상기 그립을 구비한 그립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 장치.




KR1020210189324A 2021-12-28 2021-12-28 벤딩 장치 KR102639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324A KR102639017B1 (ko) 2021-12-28 2021-12-28 벤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9324A KR102639017B1 (ko) 2021-12-28 2021-12-28 벤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892A true KR20230099892A (ko) 2023-07-05
KR102639017B1 KR102639017B1 (ko) 2024-02-22

Family

ID=8715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9324A KR102639017B1 (ko) 2021-12-28 2021-12-28 벤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9892A (zh) * 2023-11-28 2023-12-29 山东贝斯特集成房屋有限公司 斜撑杆弯曲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960A (ko) * 2009-07-13 2011-01-20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벤딩장치
CN106541003A (zh) * 2017-01-04 2017-03-29 中山精达特克机械有限公司 全方位长短管一体弯管机
KR20180094552A (ko) * 2017-02-16 2018-08-24 한국철강산업(주) 3차원 철근 밴딩 장치
KR102204523B1 (ko) * 2019-10-31 2021-01-18 김경천 볼 플런저를 이용한 파이프 밴딩유닛
KR102251692B1 (ko) * 2020-01-23 2021-05-17 동재공업(주) 다축 프리 벤딩머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5960A (ko) * 2009-07-13 2011-01-20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벤딩장치
CN106541003A (zh) * 2017-01-04 2017-03-29 中山精达特克机械有限公司 全方位长短管一体弯管机
KR20180094552A (ko) * 2017-02-16 2018-08-24 한국철강산업(주) 3차원 철근 밴딩 장치
KR102204523B1 (ko) * 2019-10-31 2021-01-18 김경천 볼 플런저를 이용한 파이프 밴딩유닛
KR102251692B1 (ko) * 2020-01-23 2021-05-17 동재공업(주) 다축 프리 벤딩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9892A (zh) * 2023-11-28 2023-12-29 山东贝斯特集成房屋有限公司 斜撑杆弯曲设备
CN117299892B (zh) * 2023-11-28 2024-02-13 山东贝斯特集成房屋有限公司 斜撑杆弯曲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017B1 (ko) 2024-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99892A (ko) 벤딩 장치
CN113182968B (zh) 一种铝合金型材加工系统
CN117199963A (zh) 一种全自动剥线压接设备
CN205645523U (zh) 一种扁线的自动卷绕设备
JP2017010769A (ja) 電線ツイスト装置
CN107755497B (zh) 一种金属护套轧纹机
CN111015233B (zh) 一种管材自动弯管切割机
CN112289519A (zh) 一种线缆加工机器人
CN111509520A (zh) 一种端子组装机
CN115780884A (zh) 一种智能数控纵剪加工处理装置及其方法
CN202742370U (zh) 一种电动式升降修车躺板
KR20120098236A (ko) 4-방향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CN112122495B (zh) 一种自动原料切断装置
CN104550442B (zh) 一种圆弧形钢板仓顶板成型机
CN215546371U (zh) 一种焊接筛网翻面装置
CN212884724U (zh) 一种用于汽车线束生产加工的切割装置
CN102554069B (zh) 一种预绞丝自动折弯机
CN110887752B (zh) 一种电线电缆弯曲测试装置
CN221093174U (zh) 一种五金加工用铁线送料箱
CN113400712B (zh) 纸碗机的碗口卷边装置
CN105197427B (zh) 电缆剥线钳取用装置
CN111906598B (zh) 一种工字轮自动矫正机以及自动矫正方法
CN117300440A (zh) 一种多层板材可选芯材的焊丝制备装置及方法
CN220561680U (zh) 一种pvc软管裁断机的送料机构
CN115102091B (zh) 一种架空地线修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