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8739A - 감 꼭지 제거기 - Google Patents

감 꼭지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8739A
KR20230098739A KR1020210187892A KR20210187892A KR20230098739A KR 20230098739 A KR20230098739 A KR 20230098739A KR 1020210187892 A KR1020210187892 A KR 1020210187892A KR 20210187892 A KR20210187892 A KR 20210187892A KR 20230098739 A KR20230098739 A KR 20230098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ersimmon
rotary blade
long hol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재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팜텍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팜텍
Priority to KR1020210187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8739A/ko
Publication of KR2023009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8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감 꼭지 제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 꼭지 제거기는 감 꼭지가 삽입되는 장공이 일측 벽면에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일측 벽면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축의 양 단부에 회전칼날이 결합하는 회전칼날조립체 및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장공이 중심에 오도록 상기 케이싱의 벽면 외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감의 꼭지가 상기 장공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꼭지 삽입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 꼭지 제거기{Persimmon stalk remover}
본 발명은 감 꼭지를 반자동으로 한 번에 두 개씩 제거할 수 있는 감 꼭지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감을 수확할 때 감 나무에서 꼭지를 절단하고 수확하면 꽃받침 위로 돌출된 꼭지가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감 꼭지를 제거하지 않고 적재하거나 운반하면 서로 부딪혀 상처가 발생하여 상품성과 저장성이 떨어지므로 반드시 꼭지 제거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현재 감 꼭지 제거작업은 도 1과 같이 인력으로 손가위를 이용해 하나하나 감꼭지 제거 해야해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99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63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997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감 수확시 적재 및 운반에 앞서 감 꼭지를 반자동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감 꼭지 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 꼭지가 삽입되는 장공이 일측 벽면에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측 벽면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축의 양 단부에 회전칼날이 결합하는 회전칼날조립체; 및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장공이 중심에 오도록 상기 케이싱의 벽면 외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감의 꼭지가 상기 장공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꼭지 삽입대;를 포함하는 감 꼭지 제거기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칼날조립체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칼날결합부재와, 상기 칼날결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칼날과 칼날결합부재에는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마련되어 상기 회전칼날과 칼날결합부재의 결합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꼭지 삽입대는 상기 케이싱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된 원형 테두리 형태로 상기 원형 테두리는 상기 케이싱의 벽면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한 번에 두 개씩 반 자동으로 감 꼭지를 삽입하여 절단함으로써 작업 속도가 향상되며, 감 꼭지를 절단하는 회전칼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감 꼭지 제거작업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 꼭지 제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감 꼭지 제거기의 내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감 꼭지 제거기의 후면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감 꼭지 제거기의 회전칼날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 꼭지 제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감 꼭지 제거기의 내부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감 꼭지 제거기의 후면 내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감 꼭지 제거기의 회전칼날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내측에서 회전하는 회전칼날조립체(20)와, 케이싱(10)의 외측에 장착된 꼭지 삽입대(30)와 회전칼날조립체(2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0)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일측에 경사진 벽면을 제공하는 함체 형태로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벽면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장공(11)이 마련되며, 상부에 구동모터(40)를 키거나 끄기 위한 스위치(1)가 마련된다.
감 꼭지가 삽입되는 두 장공(11)의 거리는 작업자가 감을 쥐고 양팔로 감 꼭지를 삽입하기 적당한 거리이다. 꼭지가 삽입되는 구멍이 너무 크면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있고 너무 작으면 감 꼭지를 삽입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감 꼭지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일측으로 길이가 긴 장공(11)을 형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약간만 감의 방향으로 조절하여도 감 꼭지가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후술하는 회전칼날(25)이 장공(1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며 회전할때 케이싱(10) 벽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였다.
회전 칼날조립체(20)는 장공(11)에 삽입된 감 꼭지를 회전하는 칼날로 제거하는 것으로 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한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40)의 구동축과 구동벨트(42)로 연결되는 종동풀리(21)와, 종동풀리(21)에 연결되는 종동축(22)과, 종동축(22)을 지지하는 브라켓(23)과, 종동축(22)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칼날결합부재(24)와, 칼날결합부재(24)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칼날(25)을 포함한다.
회전칼날(25)은 칼날결합부재(24)에 양 측면에 방향을 달리하여 한 쌍으로 결합된다. 또한, 회전칼날(25)과 칼날결합부재(24)에는 다수의 볼트 체결공(26)이 마련되어 회전칼날(25)과 칼날결합부재(24)의 결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회전칼날(25)이 칼날결합부재(24)로부터 돌출되는 전후방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칼날(25)이 칼날결합부재(24)로부터 많이 돌출될수록 회전시 케이싱(10)의 장공(11)을 통해 회전칼날(25)이 외부로 많이 노출된다. 회전칼날(25)이 장공(11)을 통해 외부로 많이 노출되며 회전할수록 감 꼭지를 더 깊이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감의 과육도 손상될 수 있으므로 감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회전칼날(25)의 결합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회전칼날조립체(20)는 케이싱(10) 내측에 위치하므로 회전시 회전칼날(25)의 일부만 제외하고 케이싱(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가 회전칼날(25)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최소화된다.
꼭지 삽입대(30)는 회전칼날(20)이 위치한 케이싱(10)의 벽면의 외측에 돌출된 원형 테두리 형태로 부착된다. 꼭지 삽입대(30)의 중심에는 장공(11)이 위치하게 되며, 원형 테두리는 케이싱(10) 벽면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원형 테두리 내측 벽면에 경사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감을 삽입할때 중심부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구동스위치(41)를 작동시킨 후 양손으로 수확한 감을 꼭지 방향이 꼭지 삽입대(30)를 향하도록 밀어 넣으면 장공(11)으로 꼭지가 삽입되면서 회전칼날(25)에 의해 꼭지가 제거된다. 이때 회전칼날(2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꼭지를 절단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최소화되며, 한 번에 두 개씩 꼭지를 제거할 수 있어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케이싱 20: 회전칼날조립체
30: 꼭지 삽입대 40: 구동모터

Claims (3)

  1. 감 꼭지가 삽입되는 장공이 일측 벽면에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측 벽면 내측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축의 양 단부에 회전칼날이 결합하는 회전칼날조립체; 및
    상기 케이싱에 형성된 장공이 중심에 오도록 상기 케이싱의 벽면 외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감의 꼭지가 상기 장공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꼭지 삽입대;를 포함하는 감 꼭지 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칼날조립체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축과, 상기 종동축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칼날결합부재와, 상기 칼날결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칼날과 칼날결합부재에는 다수의 볼트 체결공이 마련되어 상기 회전칼날과 칼날결합부재의 결합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감 꼭지 제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꼭지 삽입대는 상기 케이싱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된 원형 테두리 형태로 상기 원형 테두리는 상기 케이싱의 벽면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마련되는 감 꼭지 제거기.
KR1020210187892A 2021-12-26 2021-12-26 감 꼭지 제거기 KR20230098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892A KR20230098739A (ko) 2021-12-26 2021-12-26 감 꼭지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892A KR20230098739A (ko) 2021-12-26 2021-12-26 감 꼭지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8739A true KR20230098739A (ko) 2023-07-04

Family

ID=8715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892A KR20230098739A (ko) 2021-12-26 2021-12-26 감 꼭지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8739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25A (ko) 2015-09-24 2017-04-03 이새벽 다목적 과일 박피장치
KR102049979B1 (ko) 2018-08-29 2019-11-28 김상현 감 가공장치용 꼭지 제거날과,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감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25A (ko) 2015-09-24 2017-04-03 이새벽 다목적 과일 박피장치
KR102049979B1 (ko) 2018-08-29 2019-11-28 김상현 감 가공장치용 꼭지 제거날과, 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감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131B1 (ko) 식품 슬라이서의 절단편 이탈 안내장치
WO2007140301A1 (en) Shade cutter
KR20170049914A (ko) 밤 외피 절개장치
US20070271896A1 (en) Leaf Stripper
KR20230098739A (ko) 감 꼭지 제거기
KR200399454Y1 (ko) 마늘 줄기 절단기
CA2374201A1 (en) Sawdust-free wood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642833B1 (ko) 세절기의 칼날 맞물림 간격의 자동 조절장치
HU222616B1 (hu) Vágó- és szállítóberendezés szárasnövényekhez
US20180125009A1 (en) Window strip corn husker
KR101855588B1 (ko) 가지 절단장치용 절단 가이드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지 절단장치
JPH10234216A (ja) 草刈用カッター
CN112889507A (zh) 一种绿化苗木定向嫁接培植系统
KR101025646B1 (ko) 콩나물 뿌리 절단 장치
GB1014274A (en) Crop processing device
JP2986634B2 (ja) 除雄装置
US1506679A (en) Coring and seeding device
JPS595528Y2 (ja) 農用チッパ−における被切削材料の掻込装置における安全装置
CN215548937U (zh) 一种多功能的玉米切断机
JP4284529B2 (ja) 野菜収穫機
KR200264118Y1 (ko) 마늘 줄기 절단장치
JP2011087509A (ja) 茎葉刈取り機
JP2010247283A (ja) パイプ保持具およびパイプ用切断機
JP6593861B2 (ja) ホールクロップ収穫機
JP2019083734A (ja) ブレードを備えた作物調製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