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166A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166A
KR20230097166A KR1020237018703A KR20237018703A KR20230097166A KR 20230097166 A KR20230097166 A KR 20230097166A KR 1020237018703 A KR1020237018703 A KR 1020237018703A KR 20237018703 A KR20237018703 A KR 20237018703A KR 20230097166 A KR20230097166 A KR 2023009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leaning
steering
washing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르스텐 슈타트
Original Assignee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filed Critical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9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62Other vehicle fittings for cleaning
    • B60S1/64Other vehicle fittings for cleaning for cleaning vehicle interiors, e.g. built-in vacuum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3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etween in-use and out-of-use positions, e.g. to improve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2Hand le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으로 잡고 조향 명령을 입력하도록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조향 입력 장치(4)를 갖는, 차량(1)을 조향하는 조향 유닛(3)을 구비한 차량(1)으로서, 상기 조향 입력 장치(4)는 차량 운전자가 조향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수동으로 잡을 수 있는 단일 부재 또는 복수 부재의 그립면(5)을 구비하고, 상기 그립면(5)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8)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조향 입력 장치(4)는 차량 운전자가 잡을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차량 운전자가 잡을 수 없는 비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도록 차량(1)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 장치(8)는 상기 차량(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박스(9)를 구비하고, 이 세척 박스는 상기 그립면(5)을 세척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11)을 구비하거나 포함하고,
상기 조향 입력 장치(4)는 사용 위치에서는 적어도 상기 그립면(5)의 영역에서 상기 세척 박스(9) 외부에 배치되는 반면, 비사용 위치에서는 적어도 상기 그립면(5)의 영역에서 상기 세척 박스(9)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조향 입력 장치의 그립면(gripping surface)은 다양한 이유로 세척 및 특히 소독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질병의 확산 또는 전염과 관련하여 위생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카풀 또는 차량 공유 시 여러 운전자가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조향 입력 장치의 그립면을 세척해야 할 필요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 특허공개공보 DE 10 2013 002 539 A1호로부터 일반적인 차량으로서, 수동으로 잡고 조향 명령을 입력하도록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조향 휠 형태의 조향 입력 장치를 갖는, 차량을 조향하는 조향 유닛을 구비하고, 조향 입력 장치는 차량 운전자가 조향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수동으로 잡을 수 있는 단일 부재 또는 복수 부재의 그립면을 갖는, 일반적인 차량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차량은 그립면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도 구비한다. 공지된 차량에서, 세척 장치는 예를 들어 계기판에 수용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 하우징에는 세척 장치의 세척 헤드가 수용된다. 세척 절차를 위해 이 세척 헤드가 하우징 밖으로 펼쳐지거나 확장될 수 있고, 세척 헤드는 세척 작동을 위해 조향 휠로서 형성되는 조향 입력 장치의 원주부 구간을 감싼다. 조향 축을 중심으로 한 조향 휠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립면과 세척 헤드 사이의 상대 운동이 달성되어, 조향 휠의 전체 원주부에 걸쳐 그립면이 세척될 수 있다. 세척 헤드는 조향 휠의 감싸이는 각각의 원주부 세그먼트에 용액을 살포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용액은 세제 및/또는 소독제를 포함한다. 또한 세척 헤드에는 수용되는 원주부 구간을 기계적으로 세척하는 세척면 및/또는 균 및 미생물을 멸균하기 위해 전자 빔을 방출하는 방사선원이 제공될 수 있다. 공지된 차량에서 조향 휠 세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조향 휠은 각각의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현재 사용 위치에서 세척 헤드가 조향 휠의 각 원주부 구간을 둘러쌀 수 있는 출발 위치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세척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의 비교적 복잡한 동기화가 필요하다.
독일 공개특허공보 DE 10 2019 114 717 A1호에는 수동으로 잡고 조향 명령을 입력하는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조향 입력 장치, 특히 조향 휠을 갖는 차량이 공지되어 있다. 조향 휠은 움직이고 접힐 수 있는 조향 휠 지지암에 힌지 연결되고, 따라서 조향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확장된 사용 위치와 수축된 비사용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조향 휠은 비사용 위치에서 조향 휠 지지암과 함께 팔걸이에 배치된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독일 공개특허공보 DE 11 2015 002 234 T5호는 적어도 조향 휠 림이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는 온도 조절된 조향 휠을 설명한다.
본 발명이 다루는 문제는, 특히 그립면의 효율적인 세척을 특징으로 하는, 위에 설명된 유형의 차량에 대해 개선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복잡성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는 본 발명에 따라 독립항의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은 조향 입력 장치가 차량 운전자가 잡을 수 있는 확장된 사용 위치와 차량 운전자가 잡을 수 없는 수축된 비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게 차량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조정 가능하게 형성된다는 일반적인 개념을 근거로 한다. 또한 세척 유닛이 차량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박스를 구비하고, 이 세척 박스가 그립면을 세척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을 갖거나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또한, 조향 입력 장치가 사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적어도 그립면 영역에서 세척 박스 외부에 배치되는 반면, 비사용 위치에서는 적어도 그립면 영역에서 세척 박스 내부에 배치되도록 조향 입력 장치와 세척 박스의 조정성이 상호 동기화된다. 조향 입력 장치가 비사용 위치일 때 세척 박스에 수납 또는 위치 결정됨으로써 각각의 세척 유닛의 형성에 있어서 다양한 바람직한 방법이 생겨난다. 전체 그립면이 세척 박스 내에 배치되므로, 예컨대 세제가 차량 실내에 도달하여 오염을 초래할 위험 없이 액상 세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율 주행을 하도록 형성된 차량에는, 차량 실내 내부에 배치된 사용 위치에서 차량 실내 외부에 배치된 비사용 위치로 조정될 수 있는 조향 입력 장치가 이미 빈번하게 제공된다는 인식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조향 입력 장치는 완전히 계기판에 수용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이러한 차량에서 각각의 비사용 위치에서는 차량 운전자가 조향 입력 장치를 더 이상 잡지 않는다는 것이 또한 고려되었다. 이러한 비사용 위치에 대해 조향 입력 장치의 수용 공간이 어차피 제공되는 이러한 차량의 경우, 어차피 존재하는 이러한 수용 공간이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세척 박스로 구성 또는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 시너지가 사용되고, 이로 인해 본원에 개시된, 세척 장치를 포함한 차량의 복잡성이 줄어든다.
그립면은 특히 버튼, 스위치, 패들 시프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기본적으로 각각의 임의의 차량, 특히 육상 차량, 선박 또는 항공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로 차량(road vehicle), 그리고 특히 승용차이다.
목적에 부합하게 조향 입력 장치는 사용 위치에서 차량 실내로 돌출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세척 박스는 사용 위치와 비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향 입력 장치가 조정될 수 있는 개방 상태와, 비사용 위치로 조정된 조향 입력 장치가 차량 실내로부터 분리된 폐쇄 상태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박스 내부 공간이 차량 실내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차량 실내와 바람직하지 않은 상호 작용이 발생하는 일 없이 박스 내부 공간 내에서 조향 입력 장치의 그립면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로 인해 특히 액상 및 기상 형태의 세제를 사용할 수 있고 방사선 조사가 수행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의 조정은 기본적으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향 입력 장치의 선형 이동을 생각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의 단일 또는 다중 선회 또는 접힘도 생각할 수 있다.
세척 박스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도록, 세척 박스를 두 개의 부재로 형성하여 예를 들어 상호 상대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박스 하부와 박스 상부를 갖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세척 박스가 차량 실내를 향한 개구부를 갖추고, 이 개구부를 통해 조향 입력 장치가 세척 박스 안으로 수축될 수 있거나 세척 박스 밖으로 확장될 수 있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세척 박스는 이 개구부를 폐쇄하는 덮개를 추가로 갖출 수 있다. 특히 이 덮개는 폐쇄 상태에서 같은 평면을 이루도록 계기판 안에 삽입될 수 있다.
세척 박스는 단일 세척 유닛 또는 복수의 세척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세척 유닛의 복수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되며, 이러한 실시예들은 대안적으로 그리고 임의의 조합으로 누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세척 유닛이 그립면을 기계적으로 세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척 유닛은 탄성이 있는 세척 요소, 예를 들어 강모, 핑거, 돌기 또는 스펀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유체가 높은 압력으로 그립면에 제공되어 유체 제트, 즉 액체 제트 또는 가스 제트를 이용한 기계식 세척이 습식 또는 건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특히 음식 찌꺼기 등이 특히 효과적으로 그립면에서 제거된다.
목적에 부합하게 각각의 세척 유닛과 그립면 간의 상대 운동이 생성되도록 이러한 또는 다른 세척 장치가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그립면을 기계적으로 세척하는 세척 유닛과 연결하는 경우 유리하다. 예를 들어 세척 박스가 위치 고정된 조향 입력 장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될 수 있다. 회동 운동, 진동 또는 양방향 직선 운동 또는 회전 운동을 생각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상대 운동을 생성하도록 조향 입력 장치도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기계적으로 세척하는 세척 유닛의 세척 요소에 가스 스트림이 제공되어, 세척 요소, 예를 들어 강모, 핑거, 돌기 등이 그립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기계적 세척을 위해 유체 제트를 생성하는 노즐이 그립면을 따라 조정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세척액을 이용하여 그립면의 화학적 세척을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세척 유닛이 그립면에 세척액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척액은 특히 지방 분해 성분 및/또는 소독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세척 유닛이 그립면을 기계적으로 세척하는 제1 세척 요소와 제1 세척 요소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제2 세척 요소를 구비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세척액은 그립면에 직접적으로가 아니라 간접적으로 공급된다. 이를 위해, 그립면을 기계적으로 세척하는 제1 세척 요소, 예컨대 스펀지, 강모, 핑거 또는 돌기에 세척액이 공급되어 궁극적으로 기계적 세척이 습식으로 이루어지고 화학적 세척이 포함된다. 동시에 이로 인해 제1 세척 요소도 함께 세척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세척 유닛은 그립면에 자외선 광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UVA 광 및/또는 UVB 광 및/또는 UVC 광의 공급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맥락에서 그립면에 광촉매, 예컨대 티타늄 산화물, 특히 이산화 티타늄(TiO2)을 예를 들어 그립면을 코팅하는 형태로 공급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UV 광은 그립면에서 광촉매 자가 세척을 생성하는 적합한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이 조치에 의해 그립면의 효과적인 미생물 세척이 실현된다. 티타늄 산화물과 관련하여 적합한 파장은 390 nm 범위일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세척 유닛이 액상 또는 기상 형태의 소독제를 그립면에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소독에 의해 특히 박테리아, 곰팡이 및 바이러스가 그립면에서 살균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소독용 세척 유닛은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세척하는 세척 유닛과 연결하여 사용되나, 시간적으로 기계적 또는 화학적 세척 후에만 사용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세척 유닛이 그립면을 건조시키도록 형성되어 건조 유닛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세척 유닛은 조향 장치를 그립면 영역에서 직접 가열하는 히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은 예를 들어 적외선 방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립면을 건조시키는 세척 유닛이 온도 조절된 공기 흐름을 생성하여 그립면에 공급하는 것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가 그립면에 관리제를 도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립면은 차량의 가격에 따라 목재, 가죽, 인조 가죽 또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이 그립면에 다소 부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페이스트 또는 크림일 수 있는 관리제를 사용함으로써 그립면의 품질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관리 유닛은 관리제를 도포하는 대응하는 관리 요소를 갖출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탄성이 있는 관리 요소, 예를 들어 강모, 핑거, 돌기 또는 스펀지를 여기서 다시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조향 입력 장치와 세척 박스 또는 적어도 각각의 관리 유닛 또는 각각의 관리 요소 간의 상대 운동과 연결하여 관리제가 도포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세척 박스 안에 배치되는 조향 입력 장치의 영역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세척 박스가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조향 입력 장치가 적어도 그립면 영역에서 차량 실내에 우세한 온도로 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립면을 냉각 및/또는 가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이 정차해 있을 때 및 차량의 자율 주행 중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박스 내부 공간에서 조향 입력 장치가 온도 조절되도록, 세척 박스는 예를 들어 공조 장치의 배관 시스템, 특히 난방, 환기 및 에어 컨디셔닝을 의미하는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 공조 장치 또는 HVAC 시스템의 온도 조절된 공기 흐름이 세척 박스를 통해 안내되어 적어도 그립면 영역에서 조향 입력 장치에 온도 조절된 공기 흐름이 공급될 수 있다.
세척 박스는 자신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그립면 영역에서 조향 입력 장치의 음의 형태(negative form)처럼 본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그립면의 기계적 세척을 위해 제공되는 그립 요소가 이 음의 형태를 따라 분포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세척 유닛은 그립면의 오염을 식별하는 센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세척 장치는 그립면에 직접 배치되는 센서일 수 있다. 차량의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어 그립면을 스캐닝하는 광학 센서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세척 절차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세척 유닛이 구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자율 주행 모드 또는 그립면 세척이 가능한 다른 차량 상태를 식별하기 위해 차량 제어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중요한 특징 및 이점은 종속항들, 도면들 및 도면을 참조한 관련 도면의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위에서 언급되었고 아래에서 설명할 특징들이 각각 언급되는 조합으로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들 또는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언급되었고 아래에서 언급될 상위 유닛, 예를 들어 별도로 지칭되는 유닛, 장치 또는 어셈블리의 구조 부재는 이 단위의 별도의 구조 부재 또는 구성 요소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도면들에서 다르게 도시되는 경우라도 이 단위의 전체 영역 또는 구간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도시되고 이하의 설명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며, 동일한 도면 번호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적용된다.
도면에서, 각각 개략적으로:
도 1은 조향 입력 장치가 사용 위치로 조정된 조향 유닛과 세척 장치를 갖는 차량을 크게 단순화하여 배선도 형태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조향 입력 장치가 비사용 위치로 조정된, 도 1과 같은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다양한 세척 유닛을 갖는 세척 박스를 크게 단순화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조향 입력 장치가 다양한 위치에 있는 차량을 단순화하여 도시하는 등각투상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8 내지 도 10과 같은 도면이나 다른 조향 입력 장치인 경우를 도시하는 등각투상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계기판(2)에 대해 횡방향으로 단순화된 단면으로 도시된 차량(1)은,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향 명령을 조향 유닛(3)에 입력할 때 사용될 수 있고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조향 입력 장치(4)를 갖는 차량(1)을 조향하는 조향 유닛(3)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차량 운전자는 조향 입력 장치(4)를 수동으로 잡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조향 입력 장치(4)는 차량 운전자에 의해 조향 유닛(3)에 조향 명령이 입력되도록 수동으로 잡을 수 있는 단일 부재 또는 복수 부재의 그립면(5)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조향 입력 장치(4)는 원주부를 따라 연장되는 단일 부재의 그립면(5)을 갖는 조향 휠로 형성된다. 순전히 예시로 도 8 및 도 9에는 그립 요소(6)를 구비하나, 그 외에는 조향 휠과 마찬가지로 작동될 수 있는 다른 조향 입력 장치(4)가 도시된다. 이 경우 그립면(5)은 복수 부재로 구성되고 두 그립 요소(6)에 분포되어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은 순전히 예시로 두 개의 조향 봉(steering rod)(7)을 포함하여 형성된 조향 입력 장치(4)를 도시한다. 이 경우 그립면(5)은 복수 부재로 구성되고 두 조향 봉(7)에 분포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차량(1)은 그립면(5)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8)를 구비한다. 세척 장치(8)는 차량(1) 또는 계기판(2)에 배치된 세척 박스(9)를 구비하고, 이 세척 박스는 박스 내부 공간(10)을 감싸고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11)을 갖거나 포함한다. 도 11 내지 도 13의 예시에서 세척 장치(8)는 차량 시트 옆에 차량 실내(12)의 바닥 구조물에 배치되는 두 개의 세척 박스를 갖는다.
조향 입력 장치(4)는 차량 운전자가 잡을 수 있는, 도 1에 도시되는 사용 위치와 차량 운전자가 잡을 수 없는, 도 2에 도시된 비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사용 위치에서 조향 입력 장치(4)는 세척 박스(9) 외부에 위치하고, 차량 실내(12)로 돌출된다. 도 2에 따르면, 조향 입력 장치(4)는 비사용 위치에서 세척 박스(9) 안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 조향 입력 장치(4)를 나머지 조향 유닛(3)과 연결하는 조향 암(13)이 붕괴식(collapsible) 또는 접이식(foldable) 또는 신축 자재식(telescopic)으로 또는 기타 적합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세척 박스(9)는 자신의 박스 내부 공간(10)에서 목적에 부합하게 각각의 조향 입력 장치(4)에 대한 음의 형태로 설계된다. 이는 예를 들어 각각 사용된 세척 유닛(11)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목적에 부합하게 세척 박스(9)가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 도 10 및 도 13에 각각 폐쇄 상태가 도시되는 반면, 도 8, 도 9, 도 11 및 도 12는 개방 상태를 도시한다. 개방 상태에서 조향 입력 장치(4)는 사용 위치와 비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폐쇄 상태에서 비사용 위치로 조정된 때 조향 입력 장치(4)는 차량 실내(12)로부터 분리된다. 이를 위해 도 3 내지 도 7의 예시에서,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가 가능하도록 상호 상대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상부(14) 및 하부(15)를 갖도록 세척 박스(9)가 두 개의 부재로 설계된다. 그에 비해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1 내지 도 13의 예시에서는, 세척 박스(9)가 개구부(16), 즉 이를 통과하여 조향 입력 장치(4)가 차량 실내(12)와 박스 내부 공간(10)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또한 목적에 부합하게 세척 박스(9)는 폐쇄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이 개구부(16)를 폐쇄하는 덮개(17)를 구비한다. 도 10의 예시에서, 덮개(17)는 폐쇄 상태에서 같은 평면을 이루도록 계기판(2) 안에 배치된다. 도 11 내지 도 13의 예시에서, 덮개(17)는 각각의 조향 봉(7)의 선단측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11)이 그립면(5)을 기계적으로 세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이를 위해 세척 유닛(11)은 그립면을 기계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그립면(5)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예를 들어 탄성이 있는 세척 요소(18)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이 세척 요소(18)는 예를 들어 스펀지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따르면, 이 세척 요소(18)는 복수의 강모 또는 핑거 또는 돌기일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세척 장치(8)는 양방향 화살표로 도시된, 각각의 세척 유닛(11) 또는 각각의 세척 요소(18)와 그립면(5) 간의 상대 운동(19)이 생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 운동(19)이 형성되도록 전체 세척 박스(9)가 움직여질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조향 입력 장치(4)를 그에 대응하여 움직이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세척 유닛(11)은 그립면(5)에 세척액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세척액을 공급하는 상응하는 공급관과 세척액을 배출하는 배출관(21)이 도시된다. 추가로, 세척 유닛(11)은 그립면(5)에 액상 또는 기상 형태의 소독제를 공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독제 또한 공급관(20)을 통해 공급되고 경우에 따라 배출관(21)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이러한 또는 다른 세척 유닛(11)이 그립면(5)을 건조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면(5)을 건조시키기 위해 추가의 공급관(22)을 통해 건조한 및/또는 가열된 공기 흐름이 박스 내부 공간(1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배출 공기는 상응하는 배출관(2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목적에 부합하게 조향 입력 장치(4)가 세척 박스(9) 안으로 이동되기 전에, 기계적 세척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제1 세척 요소(18)에 제2 세척 요소(24)를 이용하여 세척액이 공급되도록 각각의 세척 유닛(11)이 설계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계적 세척 절차가 습식으로 즉, 세척액과 관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따르면, 그립면(5)을 기계적으로 세척하는 데에 핑거 형태 또는 돌기 형태의 세척 요소(18)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그립면(5)에 대한 이 세척 요소(18)의 상대 운동은 공급관(25)을 통해 압축 공기가 특히 펄스 형태로 공급됨으로써 구현되고, 압축 공기는 배출관(26)을 통해 다시 배출될 수 있다.
도 7에 따르면, 이러한 또는 다른 세척 유닛(11)이 그립면(5)에 UV 광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면(5)에 UV 광 조사를 가능하게 하는 적합한 UV 광원(27)이, 박스 내부 공간(10)을 향하는 세척 박스(9)의 내부면의 적합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7에 따르면, 전체 박스 내부 공간(10)에 UV 광이 공급될 수 있어서, 세척 요소(18)에도 UV 조사가 이루어진다. UV 광을 이용하여 복수의 미생물 오염 물질이 살균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립면(5)이 광촉매를 예를 들어 적합한 코팅 형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UV 광이 그립면(5)에서 광촉매 자가 세척을 생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그에 상응하여 이를 위해 적합한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촉매로서 티타늄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파장은 390 nm가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세척 장치(8)는 관리제를 그립면(5)에 도포할 수 있는 관리 장치(28)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이를 위해 노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또한 기본적으로 세척제를 공급하기에도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별도의 시스템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그립면(5)의 세척 및 소독 후에 그리고 그립면(5)의 건조 후에 관리제가 도포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이어서, 조향 입력 장치(4)가 사용 위치로 조정된 후, 예를 들어 조향 입력 장치에서 다시 관리제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 요소(18)가 자가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세척 박스(9)가 박스 내부 공간(10)에 배치된 조향 입력 장치(4)를 온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세척 박스(9)가 공조 장치(29)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박스(9)가 공조 장치(29)의 배관 시스템(30)에 연결될 수 있어서, 박스 내부 공간(9)이 배관 시스템(30)으로 흐르는 온도 조절된 공기에 의해 관류된다. 따라서 조향 입력 장치(4)가 바람직하게 온도 조절되고, 특히 냉각 또는 가열된다.

Claims (10)

  1. 수동으로 잡고 조향 명령을 입력하도록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조향 입력 장치(4)를 갖는, 차량(1)을 조향하는 조향 유닛(3)을 구비한 차량(1)으로서,
    상기 조향 입력 장치(4)는 차량 운전자가 조향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수동으로 잡을 수 있는 단일 부재 또는 복수 부재의 그립면(5)을 구비하고, 상기 그립면(5)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8)를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조향 입력 장치(4)는 차량 운전자가 잡을 수 있는 사용 위치와 차량 운전자가 잡을 수 없는 비사용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도록 차량(1)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 장치(8)는 상기 차량(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 박스(9)를 구비하고, 이 세척 박스는 상기 그립면(5)을 세척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11)을 구비하거나 포함하고,
    상기 조향 입력 장치(4)는 사용 위치에서는 적어도 상기 그립면(5)의 영역에서 상기 세척 박스(9) 외부에 배치되는 반면, 비사용 위치에서는 적어도 상기 그립면(5)의 영역에서 상기 세척 박스(9)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입력 장치(4)는 사용 위치에서 차량 실내(12)로 돌출되고,
    상기 세척 박스(9)는 사용 위치와 비사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조향 입력 장치(4)가 조정될 수 있는 개방 상태와, 비사용 위치로 조정된 조향 입력 장치(4)가 차량 실내로부터 분리된 폐쇄 상태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11) 또는 상기 세척 유닛(11)은 상기 그립면(5)을 기계적으로 세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8)는 상기 각각의 세척 유닛(11)과 상기 그립면(5) 간의 상대 운동(19)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11) 또는 상기 세척 유닛(11)은 상기 그립면(5)에 세척액을 공급하도록 형성되고,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11) 또는 상기 세척 유닛(11)은 그립면(5)을 기계적으로 세척하는 제1 세척 요소(18)와 제1 세척 요소(18)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제2 세척 요소(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1) 또는 상기 세척 유닛(11)은 상기 그립면(5)에 UV 광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1) 또는 상기 세척 유닛(11)은 상기 그립면(5)에 액상 또는 기상 형태의 소독제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 유닛(11) 또는 상기 세척 유닛(11)은 상기 그립면(5)을 건조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8)는 상기 그립면(5)에 관리제를 도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 장치(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박스(9)는 상기 조향 입력 장치(4)에서 상기 세척 박스 안에 배치되는 영역을 온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1).
KR1020237018703A 2020-12-07 2021-11-19 차량 KR202300971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007463.4 2020-12-07
DE102020007463.4A DE102020007463A1 (de) 2020-12-07 2020-12-07 Fahrzeug
PCT/EP2021/082360 WO2022122349A1 (de) 2020-12-07 2021-11-19 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166A true KR20230097166A (ko) 2023-06-30

Family

ID=7882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703A KR20230097166A (ko) 2020-12-07 2021-11-19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51953B2 (ko)
EP (1) EP4255778A1 (ko)
JP (1) JP7431385B2 (ko)
KR (1) KR20230097166A (ko)
CN (1) CN116568588A (ko)
DE (1) DE102020007463A1 (ko)
WO (1) WO20221223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3331B2 (ja) 1997-09-10 2006-07-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装置
JP2005225279A (ja) 2004-02-10 2005-08-25 Toyot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操作装置
KR20060112475A (ko) 2005-04-27 2006-11-01 양원동 은 나노 와 향이 함유된 항균 핸들
DE102013002539A1 (de) 2013-02-13 2014-03-13 Daimler Ag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s Lenkradkranzes eines Kraftfahrzeuglenkrades
US20150329137A1 (en) 2014-05-13 2015-11-19 Gentherm Canada Ltd. Conditioned steering wheel
DE102014017616A1 (de) 2014-11-28 2016-06-02 Audi Ag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Reinigung eines Fahrzeug-Lenkrads
CH711640B1 (de) 2015-10-09 2019-06-28 Rinspeed Ag Lenkvorrichtung mit mindestens einem umklappbaren Lenkradsegment oder Lenkradhebel und dessen Verwendung.
JP6368959B2 (ja) 2016-05-19 2018-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およ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JP6895324B2 (ja) 2017-06-27 2021-06-30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7211515B4 (de) 2017-07-06 2020-10-1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Desinfizierung wenigstens einer Handfläche in einem Kraftfahrzeug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18210924B4 (de) 2017-09-08 2020-06-04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Funktionseinheit für ein Fahrzeug mit Lenkmodul
US11124219B2 (en) 2018-06-04 2021-09-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wable vehicle interface
CN208897149U (zh) 2018-09-17 2019-05-24 浙江梵隆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多功能方向盘机构
CN109318979B (zh) 2018-09-28 2020-01-10 盐城同济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防滑汽车方向盘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31385B2 (ja) 2024-02-14
JP2023549419A (ja) 2023-11-24
WO2022122349A1 (de) 2022-06-16
US20230391294A1 (en) 2023-12-07
US11951953B2 (en) 2024-04-09
DE102020007463A1 (de) 2022-06-09
CN116568588A (zh) 2023-08-08
EP4255778A1 (de)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624B1 (ko) 침대 살균 시스템
US6605260B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terilizing a member
US6279589B1 (en) Container clean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utilizing ozone
US8506900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gent to objects
KR200452289Y1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열풍 건조 및 소독 겸용 손소독기
JP2008240374A (ja) 便座装置
JP2019103816A (ja) 殺菌装置
US6312645B1 (en) Container with collapsible pouch for cleaning or sterilization
KR20160076548A (ko) 화장용 붓 세척 및 살균건조기
CN111496808A (zh) 一种具有自洁消毒功能的医用机器人
KR20230097166A (ko) 차량
US20100294322A1 (en) Method for the mechanical treatment of a re-usable medical product
CA2734879A1 (en) Cleaning and disinfection instrument with adjustable nozzle
KR101512381B1 (ko) 에스컬레이터 핸드레일 살균소독기
KR200425416Y1 (ko) 손잡이용 살균장치
KR102548413B1 (ko) 차량 실내 먼지털이개
KR102422985B1 (ko) 자외선 반도체 광원과 광촉매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통합 살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070066675A (ko) 자외선 살균 밀대식 청소기
CN116018162A (zh) 用于清洁车辆表面的装置和方法
CN211431442U (zh) 一种全自动卸妆美容一体装置
JP4294128B2 (ja) 内視鏡洗浄装置及び内視鏡
JP2021062769A (ja) 車両用シート
JP2007534436A (ja) 殺菌装置のための洗浄機器
KR102544914B1 (ko) 미용도구 살균장치
KR102355076B1 (ko) 자동화 초음파 살균 세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