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848A -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848A
KR20230096848A KR1020220162387A KR20220162387A KR20230096848A KR 20230096848 A KR20230096848 A KR 20230096848A KR 1020220162387 A KR1020220162387 A KR 1020220162387A KR 20220162387 A KR20220162387 A KR 20220162387A KR 20230096848 A KR20230096848 A KR 2023009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optical body
auxiliary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샤거
토마스 에들레츠베르거
토마스 케른
마누엘 파흐른그루버
다니엘 마더
위르겐 바흐세네거
파트릭 비펠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9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Thick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2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7Array of lenses or refra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for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21W2102/15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having inclined and horizontal cutoff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7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 F21W2102/18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for overhead sig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위한 광학 시스템(1)에 관한 것이며, 상기 광학 시스템(1)은 적어도 2개의 광학체(2a, 2b)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체들은 각각 광 입력 결합 영역(3); 광 출력 결합 영역(4); 및 광학 시스템(2a, 2b)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원거리장 광 분포 내에 명암 경계를 형성하기 위한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를 구비하여 광학체(2a, 2b)를 한정하는 측면 표면(5);을 포함하며, 광학 시스템(2a, 2b)은 적어도 2개의 보조 광학 요소(7a, 7a)를 포함하며, 각각의 광학체(2a, 2b)에는 하나의 보조 광학 요소(7a, 7b)가 할당되며, 제1 보조 광학 요소(7a)는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2a)의 광 입력 결합 영역(3) 상으로 제1 입력 결합 방향을 따라서 광빔들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 보조 광학 요소(7b)는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2b)의 광 입력 결합 영역(3) 상으로 제2 입력 결합 방향을 따라서 광빔들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며, 제1 보조 광학 요소(7a)와 제1 광학체(2a)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제2 보조 광학 요소(7b)와 제2 광학체(2b)는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의 명암 경계의 아래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OPTICAL SYSTEM FOR A MOTOR VEHICLE HEADLIGH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위한 광학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광학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광학체를 포함하며, 이들 광학체는 각각 하기 특징들, 즉
광학체 내로 광빔들의 입력 결합(input-coupling)을 위한 광 입력 결합 영역;
광학체 내로 입력 결합된 광빔들의 출력 결합(output-coupling)을 위한 광 출력 결합 영역이며, 상기 광 출력 결합 영역은 투영 렌즈로서 형성되고, 상기 투영 렌즈는 광축 및 초점면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광 출력 결합 영역; 및
광학체를 한정하면서 광학체 내로 입력 결합된 광빔들을 편향시키기 위한 측면 표면(lateral surface)이며, 상기 측면 표면은 광 입력 결합 영역과 광 출력 결합 영역 사이에서 뻗어 있되, 측면 표면의 일 섹션은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optically-effective diaphragm edge)를 구비한 빔 조리개(beam diaphragm)로서 형성되고,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는 광학 시스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원거리장 광 분포(far-field light distribution) 내에 명암 경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빔 조리개로서 형성되는 측면 표면의 섹션은 정의되는 평면에 위치하는 것인, 상기 측면 표면;을 포함하며,
투영 렌즈와 빔 조리개는, 투영 렌즈의 광축이 정의된 평면에 위치하고 빔 조리개의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는 투영 렌즈의 초점면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며,
광학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보조 광학 요소(auxiliary optical element)를 포함하되, 각각의 광학체에는 하나,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보조 광학 요소가 할당되고, 각각의 보조 광학 요소는 광원을 포함하여,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의 광 입력 결합 영역 상으로 광원의 광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로부터는 일반적인 광학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광학 시스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광 분포들은 정해진 법적 규정들을 충족한다. 한편, 법적 요건을 능가하는 추가 요건들이 충족되어야 할 때, 통상 추가 요건을 충족하는 추가 조명 장치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높은 비용과 결부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완화하거나 해소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광 분포의 생성을 개선하는데 이용되는 광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갖는 광학 시스템을 통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적어도 2개의 보조 광학 요소 중 제1 보조 광학 요소는,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의 광 입력 결합 영역 상으로 제1 입력 결합 방향을 따라서 제1 광빔 다발로서 자체에 할당된 광원의 광빔들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며, 제1 광빔 다발은, 광 입력 결합 영역을 경유한 입력 결합 이후, 그 제1 광빔 다발이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 상에서 광학체의 광축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단면 평면에서 최고 광빔 밀도를 보유하는 방식으로, 광학체의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의 영역 내로 집광되며, 제1 광빔 다발의 제1 부분은 빔 조리개에 의해 차단되고, 제1 광빔 다발의 제2 부분은 조리개 에지부를 통과하여 투영 렌즈의 방향으로 전파되며, 제1 입력 결합 방향은 광학체의 광축에 대해 제1 입력 결합 각도(input-coupling angle)로 배향되며,
적어도 2개의 보조 광학 요소 중 제2 보조 광학 요소는,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의 광 입력 결합 영역 상으로 제2 입력 결합 방향을 따라서 제2 광빔 다발로서 자체에 할당된 광원의 광빔들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며, 제2 광빔 다발은, 광 입력 결합 영역을 경유한 입력 결합 이후, 그 제2 광빔 다발이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 상에서 광학체의 광축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단면 평면에서 최고 광빔 밀도를 보유하는 방식으로, 광학체의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의 영역 내로 집광되며, 제2 광빔 다발의 제1 부분은 빔 조리개에 의해 차단되고, 제2 광빔 다발의 제2 부분은 조리개 에지부를 통과하여 투영 렌즈의 방향으로 전파되며, 제2 입력 결합 방향은 광학체의 광축에 대해 제2 입력 결합 각도로 배향되며,
제1 보조 광학 요소와 제1 광학체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1 광 다발을 방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방사하도록 구성되되,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직선인 명암 경계를 보유하고, 이런 명암 경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HH-라인의 아래에 위치하며,
제2 보조 광학 요소와 제2 광학체는,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2 광 다발을 방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방사하도록 구성되되,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의 명암 경계의 아래에 위치한다.
그렇게 하여, 합성된 원거리장 광 분포가 동일한 광학 시스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또한, 복수의 보조 광학 요소 역시도 단일의 광학체에 할당될 수 있다. 이들 보조 광학 요소는 광학체의 광 입력 결합 영역을 대칭으로 조명할 수 있지만, 비대칭으로도 조명할 수 있다. 광학체의 입력 결합면은,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 상으로 입사광을 집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영 렌즈의 초점면은 특정 곡률을 보유하는 페츠발 표면(Petzval surface)으로서 해석될 수 있으며, 빔 조리개의 조리개 에지부는, 조리개 에지부가 페츠발 표면 내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투영 렌즈의 페츠발 표면을 뒤따른다. 그렇게 하여, 조리개 에지부에 의해 생성되는 명암 경계의 선명한 매핑이 달성될 수 있다. 광학 시스템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면서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와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로 합성되는 전체 원거리장 광 분포는 특히 로우빔 광 분포이다.
또한,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1 기울기(gradient)를 보유하고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2 기울기를 보유할 수 있되, 제1 기울기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의 명암 경계를 통과하는 수직 교점을 따라서 결정되고 제2 기울기는 제2 원거리장 광 분포의 명암 경계를 통과하는 수직 교점을 따라서 결정되며, 제1 기울기는 제2 기울기보다 더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는 로우빔 광 분포 내에서의 지점들 50V와 50R에서 기설정되는 휘도 값들을 충족한다. 광 분포의 명암 전이부의 정량화는 명암 경계를 통과하는 수직 교점을 따르는 기울기의 최댓값을 통해 수행된다. 이를 위해, 0.1° 간격의 측정점들에서 조도의 대수(logarithm)가 계산되고 그 차가 구해지며, 그럼으로써 기울기 함수를 획득하게 된다. 이런 함수의 최댓값은 HD(명암) 경계의 기울기로서 지칭된다. 이런 정의는 사람의 휘도 지각(brightness perception)을 부정확하게만 시뮬레이션하기 때문에, 상이하게 지각되는 HD 라인들은 동일한 측정 기울기 값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HD 라인들이 유사하게 보이는 경우 상이한 기울기들이 측정될 수 있다. 명암 경계의 기울기의 의미 및 측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하여 UN ECE 규정 지침 "UN-R 123/02 Suppl. 2, 67~69쪽"이 참조된다. 또한, "독일 연방 고속도로 연구 기관의 보고서, 자동차 공학집 F65호, 능동적 차량 안전에 대한 NCAP와 관련한 차량 조명의 평가를 위한 기준 개발, 37쪽"도 참조된다.
또한,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1 광 다발은, 광학 시스템까지 25m의 거리에 위치하는 원거리장에서,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2 광 다발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제1 광 다발과 제2 광 다발은 광학 시스템의 전방으로 최대 200㎜의 거리에 위치하는 근거리장에서는 중첩이 없다. 지점 50V는 ECE 준수 측정 스크린에서 수평 0° 및 수직 -0.86°에 위치한다. 지점 50R은 ECE 준수 측정 스크린에서 수평 -1.72° 및 수직 -0.86°에 위치한다. 근거리장으로서 간주되는 영역은 투영 렌즈의 초점 길이의 10배 길이보다 더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체와 제2 광학체는 구조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생산 비용이 감소된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또한, 제1 입력 결합 각도와 제2 입력 결합 각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제1 입력 결합 각도는 제2 입력 결합 각도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광학체의 광축들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광학 요소와 제2 보조 광학 요소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되, 특히 광원의 광이 각각의 광학체의 방향으로 방사될 때 경유하는, 제1 및 제2 보조 광학 요소의 광 출력 결합면들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렇게 하여, 광 출력 결합면들의 크기를 통해, 상응하는 광학체 내로 입력 결합될 수 있는 광량이 가변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또한, 제1 보조 광학 요소와 제1 광학체는, 제1 보조 광학 요소의 광 출력 결합면의 중심점과; 제1 광학체의 조리개 에지부와 제1 광학체의 광축의 교점; 간의 차이로서 정의되는 제1 이격 간격에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보조 광학 요소와 제2 광학체는, 제2 보조 광학 요소의 광 출력 결합면의 중심점과; 제2 광학체의 조리개 에지부와 제2 광학체의 광축의 교점; 간의 차이로서 정의되는 제2 이격 간격에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되, 제1 이격 간격은 제2 이격 간격보다 더 작다. 제2 광학체까지 제2 보조 광학 요소의 상대적으로 더 큰 이격 간격을 통해, 제2 광학체 및 제2 보조 광학 요소에 의해 방사될 수 있는 제2 광 다발은 제1 광 다발보다 더 넓을 수 있다. 또한, 제2 광 다발은 제1 광 다발보다 더 낮은 조도를 보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광 다발과 제2 광 다발로 형성되는 전체 광 다발(이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와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로 형성될 수 있는 전체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할 수 있음)은 제1 광 다발보다 더 넓고 더 균질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체와 제1 보조 광학 요소는 수직으로 제2 광학체 및 제2 보조 광학 요소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본원 광학 시스템이 매우 조밀하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또한, 제1 광학체는, 제1 광학체의 투영 렌즈와 제2 광학체의 투영 렌즈가 제1 광학체의 광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호 간에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방식으로, 제2 광학체에 상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체 및/또는 제2 광학체의 광 입력 결합 영역은 만곡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체 및/또는 제2 광학체의 광 입력 결합 영역은 구대(spherical segmen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제1 광학체 내로, 그리고/또는 제2 광학체 내로 광 입력 결합은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또한, 제1 광학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면서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1 광 다발은 제1 수평 방사 각도를 보유할 수 있고, 제2 광학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면서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2 광 다발은 제2 수평 방사 각도를 보유할 수 있되, 제1 수평 방사 각도는 제2 수평 방사 각도보다 더 작다. 수평 평면에서 원거리장 광 분포의 방사 폭이 수평 방사 각도로서 해석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보다 더 넓을 수 있다. 특히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는 법적 (폭) 요건들을 충족할 수 있고,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에 비해 더 넓은 영역을 조명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체는 중앙 원거리장 광 분포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광학체는 분산(decentral) 원거리장 광 분포를 생성할 수 있되, 분산 원거리장 광 분포는 중앙 원거리장 광 분포의 좌측 또는 우측 테두리 상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3개의 광학체가 제공될 수 있되, 제2 광학체는 중앙 원거리장 광 분포의 좌측 영역을 조명하고, 제3 광학체는 중앙 원거리장 광 분포의 우측 영역을 조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체 원거리장 광 분포는 3개의 부분 원거리장 광 분포로 합성되되, 개별 부분 광 분포들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광학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제1 또는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각각 휘도 최댓값을 보유할 수 있되, 제2 광학체의 광축은 제1 광학체의 광축에 대해 0°보다 더 큰 경사각으로 경사지며, 경사각은, 제2 원거리장 광 분포의 휘도 최댓값 또는 휘도 최댓값 범위가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의 휘도 최댓값 또는 휘도 최댓값 범위 이내가 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달리 말하면, 제1 광학체는 제2 광학체에 대해 경사져 있을 수 있되, 경사각은 바람직하게는 0°보다 더 크다.
또한, 경사각은 0.1° 내지 0.5°일 수 있으며, 특히 0.3°일 수 있다. 경사각은 바람직하게는 0.1°와 5° 사이이며, 특히 0.1°와 3° 사이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와 1° 사이이다.
또한, 제1 광학체와 제2 광학체 사이에 차광 요소(shading-off element)가 배치될 수 있되, 상기 차광 요소는, 제1 보조 광학 요소에 의해 제2 광학체의 방향으로 방사되는 산란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차광 요소는 조리개일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체의 광 입력 결합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4개의 측면 에지부(lateral edge)를 통해 한정될 수 있되, 수직 방향으로 가장 높게 위치하는 (상부 에지부로서 지칭될 수 있는) 측면 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에지 섹션을 포함하며, 이런 에지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비만곡된 에지 섹션 사이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수직 평면에 위치하고 수직 방향에서는 가장 높게 위치하는 측면 에지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2개의 측면 에지부는 균일하게 오목하거나 볼록한 곡률을 보유하며, 특히 수직 방향으로 가장 깊게 위치하면서 상부 에지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하부 에지부로서 지칭될 수 있는 측면 에지부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가장 높게 위치하는 측면 에지부는 실질적으로 s자 형태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가장 높게 위치하는 측면 에지부는 특히 일정하지 않거나 변화하는 곡률(측면 에지부를 따라서 기호를 변경하는 곡률)을 보유하되, 나머지 측면 에지부들은, 볼록하거나 오목할 수 있는,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곡률을 보유한다. 수직 방향으로 가장 깊게 위치하는 에지부, 즉 하부 에지부는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특히 제1 광학체의 광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에서는 상부 에지부보다 보조 광학 요소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만곡된 에지 섹션을 통해, 25m ECE 측정 스크린 상에서 세그먼트(segment) 10(수직 -4°에서의 세기)인 광은 감소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광도는, 광 분포의 하부 경계, 특히 수평인 하부 경계 상에서 균질화될 수 있다.
또한, 제2 광학체는 제2 광 입력 결합 영역과, 수직으로 자신의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를 포함할 수 있되, 제2 광 입력 결합 영역을 경유하여 광학체 내로 입력 결합되는 광은 제2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 상에 부딪치며, 제2 조리개 에지부는, 제2 보조 광학 요소와 상호 작용하면서 추가 광 분포, 특히 표지광(signlight) 광 분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보조 광학 요소와 제2 보조 광학 요소는,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각각 하나의 광 출력 결합면을 포함할 수 있되, 상기 평면은 제1 광학체의 광축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된다.
또한, 빔 조리개로서 형성되는 측면 표면의 섹션이 그 내에 위치하는 곳인 정의된 평면은, 본원 광학 시스템이 자동차 헤드라이트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평면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조 광학 요소의 광원들은 동일한, 바람직하게는 평면인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조 광학 요소의 광원들은 동일한, 바람직하게는 평면인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헤드라이트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 개시의 의미에서 원거리장 광 분포로서 해석되는 경우는 측정 스크린 상에서 보일 수 있는 광 분포이되, (광학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조명의 검사를 위한) 측정 스크린은 광학 시스템(또는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의 전방에서 25m 거리에 광학 시스템의 광축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비대칭 로우빔 및/또는 하이빔에 대한 자동차 헤드라이트 승인 조건을 규정하고 있는 유엔 유럽 경제 위원회(UN/ECE)의 규정 제1호가 참조된다.
본원 명세서의 범주에서 "위에", "아래에", "수평으로", "수직으로"란 용어들은, 광학 시스템이 자동차 헤드라이트 내에 장착된 이후 정상적인 사용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방향의 지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스템의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보조 광학 요소를 포함한 광학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보조 광학 요소를 포함한 광학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광 분포를 나타낸 등조도 다이어그램(isolux diagram)이다.
도 5는 보조 광학 요소를 포함한 또 다른 광학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광 분포를 나타낸 또 다른 등조도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광학체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재차 광학체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시스템의 제1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되, 광학 시스템(1)은 적어도 2개의 광학체(2a, 2b),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광학체(2a, 2b, 2c, 2d)를 포함한다. 광학체(2a, 2b, 2c, 2d)들은 바람직하게는 구조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실시형태는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광학체(2)와 이들 광학체(2)에 할당된 보조 광학 요소(7)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4에는, 광학체(2a)의 상세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4개의 도시된 광학체(2a, 2b, 2c, 2d) 각각은 광학체(2a, 2b, 2c, 2d) 내로 광원의 광빔들의 입력 결합을 위한 광 입력 결합 영역(3), 및 광학체(2a, 2b, 2c, 2d) 내로 입력 결합된 광빔들의 출력 결합을 위한 광 출력 결합 영역(4)을 포함한다. 광 출력 결합 영역(4)은 투영 렌즈(4a)로서 형성되며, 상기 투영 렌즈(4a)는 광축(x) 및 초점면(f)을 포함한다.
각각의 광학체(2a, 2b, 2c, 2d)는, 광학체(2a, 2b, 2c, 2d) 내로 입력 결합된 광빔들을 편향시키도록 형성되는 측면 표면(5)을 통해 한정된다. 측면 표면(5)은 광 입력 결합 영역(3)과 광 출력 결합 영역(4) 사이에서 뻗어 있되, 측면 표면(5)의 일 섹션은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를 포함한 빔 조리개(6)로서 형성된다. 각각의 광학체(2a, 2b, 2c, 2d)의 광 입력 결합 영역(3)은 만곡된 표면으로서 형성된다.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는 광학 시스템(1)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원거리장 광 분포 내에서 명암 경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되, 빔 조리개로서 형성되는, 측면 표면(5)의 섹션은 정의된 평면에 위치한다. 정의된 평면은, 광학 시스템(1)이 자동차 헤드라이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평면이다.
광학체(2a, 2b, 2c, 2d)들의 투영 렌즈(4a) 및 빔 조리개(6)는, 투영 렌즈(4a)의 광축(x)이 정의된 평면에 위치하고 빔 조리개(6)의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는 투영 렌즈(4a)의 초점면(f)에 위치하거나, 또는 투영 렌즈(4a)의 페츠발 표면을 뒤따르는 방식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된다. 광학체(2a, 2b, 2c, 2d)들은, 광학체(2a, 2b, 2c, 2d)들의 투영 렌즈(4a)들이 수직으로 상호 간에 겹쳐져, 그리고 수평으로는 상호 간에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된다.
광학 시스템(1)은 적어도 2개의 보조 광학 요소(7a, 7b),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d)를 포함하되, 각각의 광학체(2a, 2b, 2c, 2d)에는 정확히 하나의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d)가 할당되며, 각각의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d)는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여,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2a, 2b, 2c, 2d)의 광 입력 결합 영역 상으로 광원의 광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d)는,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2a, 2b, 2c, 2d)의 광 입력 결합 영역 상으로 정해진 입력 결합 방향을 따라서 광빔 다발로서 자체에 할당된 광원의 광빔들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되, 광빔 다발은, 광 입력 결합 영역(3)을 경유한 입력 결합 이후, 그 광빔 다발이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 상에서 광학체(2a)의 광축(x)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단면 평면에서 최고 광빔 밀도를 보유하는 방식으로 집광된다. 입력 결합 방향들은 각각 광학체(2a, 2b, 2c, 2d)의 광축에 대해 입력 결합 각도(α1 ~ α4)로 배향된다. 입력 결합 각도(α1 ~ α4)들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d)들은 상이하게 형성되되, 특히 광원의 광이 광학체(2a, 2b, 2c, 2d)의 방향으로 방사될 때 경유하는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d)들의 광 출력 결합면(8)들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된다.
수직에서 최상위 보조 광학 요소(7a)와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2a)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1 광 다발을 방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방사하도록 구성되되,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직선인 명암 경계를 보유하며, 이런 명암 경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HH-라인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2 보조 광학 요소(7b)와, 수직에서 최상위 광학체(2a)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2 광학체(2b)는,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2 광 다발을 방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방사하도록 구성되되,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의 명암 경계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1 기울기를 보유하고,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2 기울기를 보유하되, 제1 기울기는 제2 기울기보다 더 작다.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는 특히 로우빔 광 분포의 지점 50V 및 50R에서 기설정된 휘도 값들을 충족한다. 제1 광 다발과 제2 광 다발은 광학 시스템(1)까지 25m의 거리에 위치하는 원거리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 간에 중첩된다. 제1 광 다발과 제2 광다발은 광학 시스템(1)의 전방에서 최대 200㎜의 거리에 위치하는 근거리장에서는 중첩이 없다.
제2 광학체(2b)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3 광학체(2c)는 제3 보조 광학 요소(7c)를 포함하되, 제3 광학체(2c)와 제3 보조 광학 요소(7c)는 바람직하게는 추가 광 기능, 예컨대 표지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표지광 광 기능의 생성을 위해, 제3(또는 각각의 다른) 광학체(2c)는 제2 광 입력 결합 영역과, 수직으로 자신의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b)를 포함한다(도 7 참조). 제2 광 입력 결합 영역을 경유하여 광학체(2c) 내로 입력 결합되는 광은 제2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 상에 부딪칠 수 있되, 제2 조리개 에지부는, 제2 보조 광학 요소와 상호 작용하면서 표지광 광 기능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d)는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2a, 2b, 2c, 2d)까지,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d)의 광 출력 결합면(8)의 중심점과; 광학체(2a, 2b, 2c, 2d)의 조리개 에지부(6a)와 광학체(2a, 2b, 2c, 2d)의 광축(x)의 교점; 간의 차이로서 정의되는 정해진 이격 간격에 배치된다. 4개의 광학체(2a, 2b, 2c, 2d)와 이들 광학체에 할당되는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들은 수직으로 서로 겹쳐서 배치된다.
도 1에 따르는 실시형태에서, 최상위 광학체(2a)와 최상위 보조 광학 요소(7a) 간의 이격 간격은 가장 작으며, 그리고 수직으로 그 아래에 위치하는 광학체(2b, 2c, 2d)들의 경우 순차적으로 보다 더 커진다. 도 1에 따르는 실시형태에서, 4개의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d)는 하나의 평면에, 또는 평면 인쇄회로기판(9) 상에 배치되되, 평면은 수직 평면이다.
도 2에 따르는 실시형태에서, 4개의 보조 광학 요소(7a, 7b, 7c, 7d)는 하나의 평면에, 또는 평면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배치되되, 평면은 수직 평면에 대해 0°미만의 각도(< 0°)에 배향된다.
도 4a에는, 도 4에 따르는 광학체(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광 분포의 등조도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광학체(2)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광학체(2)의 광 입력 결합 영역(3)은 4개의 측면 에지부를 통해 한정되되, 수직 방향으로 가장 높게 위치하는 측면 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에지 섹션(10a)을 포함하며, 이런 에지 섹션은 2개의 비만곡된 에지 섹션(10b) 사이에 배치된다. 만곡된 에지 섹션을 통해서는, 광학체(2) 및 이 광학체(2)에 할당된 보조 광학 요소(7)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광 분포 내에서, 광 분포의 수평 하부 경계 상에서의 광도는 균질화될 수 있다. 이런 영역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세그먼트 10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좌측 및 우측에서 최상위 측면 에지부에 인접하는 측면 에지부들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볼록한 곡률을 보유한다. 수직 방향으로 최하위 측면 에지부는 실질적으로 직선일 수 있다. 최상위 측면 에지부에 이어지는 측면 에지부들뿐만 아니라 최하위 측면 에지부는 각각 볼록하게, 또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에는, 도 5에 따르는 광학체(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광 분포의 등조도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의 경우, 수평선이 -4°(이른바 세그먼트 10)에서 도 4a에서보다 더 직선으로 연장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상대적으로 보다 더 직선인 연장부는 광 입력 결합 영역(3)의 만곡된 에지 섹션을 통해 야기된다.
도 6에는, 광학체(2)의 또 다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광학체(2)는 반구형 리세스부(11)를 포함하고, 이런 반구형 리세스부를 통해서는, 투영 렌즈(4a) 상에서 출력 결합 시 광이 광 분포 내의 세그먼트(10) 상에 부딪치지 않는 방식으로, 입력 결합된 광이 편향된다. 리세스부(11)는 자신의 작용과 관련하여 2개의 비만곡된 에지 섹션(10b) 사이에 배치되는 만곡된 에지 섹션(10a)을 포함하여 수직 방향으로 가장 높게 위치하는 측면 에지부에 대한 대안의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광학체의 변형예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도 5에 따르는 광 기능이 생성될 수 있다.

Claims (15)

  1.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위한 광학 시스템(1)으로서, 상기 광학 시스템(1)은 적어도 2개의 광학체(2a, 2b)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체들은 각각 하기 특징들, 즉
    광학체(2a, 2b) 내로 광빔들의 입력 결합을 위한 광 입력 결합 영역(3);
    광학체(2a, 2b) 내로 입력 결합된 광빔들의 출력 결합을 위한 광 출력 결합 영역(4)이며, 상기 광 출력 결합 영역(4)은 투영 렌즈(4a)로서 형성되고, 상기 투영 렌즈(4a)는 광축(x) 및 초점면(f)을 포함하는 것인, 상기 광 출력 결합 영역(4);
    광학체(2a, 2b)를 한정하면서 광학체(2a, 2b) 내로 입력 결합된 광빔들을 편향시키기 위한 측면 표면(5)이며, 상기 측면 표면(5)은 광 입력 결합 영역(3)과 광 출력 결합 영역(4) 사이에서 뻗어 있되, 측면 표면(5)의 일 섹션은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를 구비한 빔 조리개(6)로서 형성되고,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는 광학 시스템(2a, 2b)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원거리장 광 분포 내에 명암 경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빔 조리개(6)로서 형성되는 측면 표면(5)의 섹션은 정의되는 평면에 위치하는 것인, 상기 측면 표면(5);을 포함하며,
    투영 렌즈(4a)와 빔 조리개(6)는, 투영 렌즈(4a)의 광축(x)이 정의된 평면에 위치하고 빔 조리개(6)의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는 투영 렌즈(4a)의 초점면(f)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며,
    광학 시스템(2a, 2b)은 적어도 2개의 보조 광학 요소(7a, 7a)를 포함하되, 각각의 광학체(2a, 2b)에는 하나,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보조 광학 요소(7a, 7b)가 할당되고, 각각의 보조 광학 요소(7a, 7b)는 광원을 포함하여,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2a, 2b)의 광 입력 결합 영역(3) 상으로 광원의 광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보조 광학 요소(7a, 7b) 중 제1 보조 광학 요소(7a)는,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2a)의 광 입력 결합 영역(3) 상으로 제1 입력 결합 방향을 따라서 제1 광빔 다발로서 자체에 할당된 광원의 광빔들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광빔 다발은, 상기 광 입력 결합 영역(3)을 경유한 입력 결합 이후, 상기 제1 광빔 다발이 상기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 상에서 상기 광학체(2a)의 광축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단면 평면에서 최고 광빔 밀도를 보유하는 방식으로, 상기 광학체(2a)의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의 영역 내로 집광되며, 상기 제1 광빔 다발의 제1 부분은 상기 빔 조리개(6)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제1 광빔 다발의 제2 부분은 상기 조리개 에지부(6a)를 통과하여 상기 투영 렌즈(4a)의 방향으로 전파되며, 제1 입력 결합 방향은 상기 광학체(2a)의 광축에 대해 제1 입력 결합 각도(α1)로 배향되며,
    상기 적어도 2개의 보조 광학 요소(7a, 7b) 중 제2 보조 광학 요소(7b)는, 자체에 할당된 광학체(2b)의 광 입력 결합 영역(3) 상으로 제2 입력 결합 방향을 따라서 제2 광빔 다발로서 자체에 할당된 광원의 광빔들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광빔 다발은, 상기 광 입력 결합 영역(3)을 경유한 입력 결합 이후, 상기 제2 광빔 다발이 상기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 상에서 상기 광학체(2b)의 광축에 대해 직각으로 위치하는 단면 평면에서 최고 광빔 밀도를 보유하는 방식으로, 상기 광학체(2b)의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a)의 영역 내로 집광되며, 상기 제2 광빔 다발의 제1 부분은 상기 빔 조리개(6)에 의해 차단되고, 상기 제2 광빔 다발의 제2 부분은 상기 조리개 에지부(6a)를 통과하여 상기 투영 렌즈(4a)의 방향으로 전파되며, 제2 입력 결합 방향은 상기 광학체(2b)의 광축에 대해 제2 입력 결합 각도(α2)로 배향되며,
    상기 제1 보조 광학 요소(7a)와 상기 제1 광학체(2a)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1 광 다발을 방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방사하도록 구성되되,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직선인 명암 경계를 보유하고, 상기 명암 경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하게 HH-라인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보조 광학 요소(7b)와 상기 제2 광학체(2b)는,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2 광 다발을 방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방사하도록 구성되되,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의 명암 경계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1 기울기를 보유하고 상기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제2 기울기를 보유하되, 제1 기울기는 상기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의 명암 경계를 통과하는 수직 교점을 따라서 결정되고 제2 기울기는 상기 제2 원거리장 광 분포의 명암 경계를 통과하는 수직 교점을 따라서 결정되며, 제1 기울기는 제2 기울기보다 더 작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는 로우빔 광 분포 내에서의 지점들 50V와 50R에서 기설정되는 휘도 값들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1 광 다발은, 상기 광학 시스템(1)까지 25m의 거리에 위치하는 원거리장에서, 상기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2 광 다발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되, 바람직하게는 제1 광 다발과 제2 광 다발은 상기 광학 시스템(1)의 전방으로 최대 200㎜의 거리에 위치하는 근거리장에서는 중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체(2a)와 상기 제2 광학체(2b)는 구조적으로 동일하고, 제1 입력 결합 각도(α1)와 제2 입력 결합 각도(α2)는 상이하며, 특히 상기 제1 광학체(2a) 및 상기 제2 광학체(2b)의 광축들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광학 요소(7a)와 상기 제2 보조 광학 요소(7b)는 상이하게 형성되되, 특히 상기 광원의 광이 각각의 광학체(2a, 2b)의 방향으로 방사될 때 경유하는, 상기 제1 보조 광학 요소(7a) 및 상기 제2 보조 광학 요소(7b)의 광 출력 결합면(8)들은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광학 요소(7a)와 상기 제1 광학체(2a)는, 상기 제1 보조 광학 요소(7a)의 광 출력 결합면(8)의 중심점과; 상기 제1 광학체(2a)의 조리개 에지부(6a)와 상기 제1 광학체(2a)의 광축(x)의 교점; 간의 차이로서 정의되는 제1 이격 간격에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보조 광학 요소(7b)와 상기 제2 광학체(2b)는, 상기 제2 보조 광학 요소(7b)의 광 출력 결합면(8)의 중심점과; 상기 제2 광학체(2b)의 조리개 에지부(6a)와 상기 제2 광학체(2b)의 광축(x)의 교점; 간의 차이로서 정의되는 제2 이격 간격에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되, 제1 이격 간격은 제2 이격 간격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체(2a)와 상기 제1 보조 광학 요소(7a)는 수직으로 상기 제2 광학체(2b) 및 상기 제2 보조 광학 요소(7b)의 위쪽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광학체(2a)는, 상기 제1 광학체(2a)의 투영 렌즈(4a)와 상기 제2 광학체(2b)의 투영 렌즈(4a)가 상기 제1 광학체(2a)의 광축(x)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호 간에 오프셋되어 배치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광학체(2b)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광학체(2a) 및/또는 상기 제2 광학체(2b)의 광 입력 결합 영역(3)은 만곡된 표면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광학체(2a) 및/또는 상기 제2 광학체(2b)의 광 입력 결합 영역(3)은 구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체(2a)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면서 상기 제1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1 광 다발은 제1 수평 방사 각도를 보유하고, 상기 제2 광학체(2b)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면서 상기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를 형성하는 제2 광 다발은 제2 수평 방사 각도를 보유하되, 상기 제1 수평 방사 각도는 상기 제2 수평 방사 각도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체(2a) 또는 상기 제2 광학체(2b)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제1 또는 제2 원거리장 광 분포는 각각 휘도 최댓값을 보유하되, 상기 제2 광학체(2b)의 광축(x)은 상기 제1 광학체(2a)의 광축(x)에 대해 0°보다 더 큰 경사각으로 경사지며, 경사각은, 상기 제2 원거리장 광 분포의 휘도 최댓값 또는 휘도 최댓값 범위가 상기 제1 원거리장 광 분포의 휘도 최댓값 또는 휘도 최댓값 범위 이내가 되는 방식으로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각은 0.1° 내지 0.5°이며, 특히 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체(2a)와 상기 제2 광학체(2b) 사이에 차광 요소가 배치되되, 상기 차광 요소는, 상기 제1 보조 광학 요소(7a)에 의해 상기 제2 광학체(2b)의 방향으로 방사되는 산란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체(2a)의 광 입력 결합 영역(3)은 바람직하게는 4개의 측면 에지부를 통해 한정되되, 수직 방향으로 가장 높게 위치하는 측면 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에지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에지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비만곡된 에지 섹션 사이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수직 평면에 위치하고 수직 방향에서는 가장 높게 위치하는 측면 에지부의 아래에 위치하는 측면 에지부들은 균일하게 오목하거나 볼록한 곡률을 보유하며, 수직 방향으로 가장 깊게 위치하는 측면 에지부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체(2b)는 제2 광 입력 결합 영역과, 수직으로 자신의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6)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광 입력 결합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광학체(2b) 내로 입력 결합되는 광은 상기 제2 광학적 유효 조리개 에지부 상에 부딪치며, 상기 제2 조리개 에지부는, 상기 제2 보조 광학 요소와 상호 작용하면서 추가 광 분포, 특히 표지광(signlight) 광 분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광학 요소(7a)와 상기 제2 보조 광학 요소(7b)는,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는 각각 하나의 광 출력 결합면(8)을 포함하되, 상기 평면은 상기 제1 광학체(2a)의 광축(x)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 조리개(6)로서 형성되는 상기 측면 표면(5)의 섹션이 그 내에 위치하는 곳인 정의된 평면은, 상기 광학 시스템(1)이 자동차 헤드라이트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평면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보조 광학 요소(7a) 및 상기 제2 보조 광학 요소(7b)의 광원들은 동일한, 특히 평면인 표면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보조 광학 요소(7a) 및 상기 제2 보조 광학 요소(7b)의 광원들은 동일한, 특히 평면인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라이트.
KR1020220162387A 2021-12-23 2022-11-29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 KR202300968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217502.0 2021-12-23
EP21217502.0A EP4202289A1 (de) 2021-12-23 2021-12-23 Optiksystem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848A true KR20230096848A (ko) 2023-06-30

Family

ID=7916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2387A KR20230096848A (ko) 2021-12-23 2022-11-29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광학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08427B2 (ko)
EP (1) EP4202289A1 (ko)
JP (1) JP7482977B2 (ko)
KR (1) KR20230096848A (ko)
CN (1) CN116336411A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8539B2 (ja) 2006-10-24 2012-02-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前照灯
JP2008277130A (ja) * 2007-04-27 2008-11-13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DE102007040760B4 (de) * 2007-08-29 2016-03-24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Projektionsmodul eines Fahrzeugscheinwerfers
JP5248833B2 (ja) 2007-10-12 2013-07-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灯具
JP2009134962A (ja) 2007-11-29 2009-06-18 Stanley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型前照灯
DE102012211613A1 (de) * 2012-07-04 2014-01-09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chtmodul
CN106415121B (zh) 2014-06-27 2018-12-2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照明装置
US10451239B2 (en) * 2014-07-08 2019-10-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dlight module and headlight device
CN112443806B (zh) * 2016-01-13 2022-09-09 三菱电机株式会社 前照灯模块
JP6725322B2 (ja) 2016-05-24 2020-07-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モジュール
EP3653926B1 (de) * 2018-11-19 2022-02-16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sowie kraftfahrzeugscheinwerfer
JP7218041B2 (ja) * 2019-05-21 2023-02-0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導光体及び車両用灯具ユニット
WO2021038855A1 (ja) * 2019-08-30 2021-03-04 三菱電機株式会社 前照灯モジュール及び前照灯装置
EP3789658A1 (de) * 2019-09-06 2021-03-10 ZKW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04175A1 (en) 2023-06-29
US11808427B2 (en) 2023-11-07
JP7482977B2 (ja) 2024-05-14
JP2023094577A (ja) 2023-07-05
EP4202289A1 (de) 2023-06-28
CN116336411A (zh)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1248B2 (en) Lamp module for a glare-free motor vehicle high beam
CN108431491B (zh) 用于车辆的前照灯
JP4782064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US7108412B2 (en) Headlamp for vehicle
US9546766B2 (en) Light module for a motor vehicle headlamp
US20150241009A1 (en) Motor vehicle headlamp
CN108954213A (zh) 具有包括微型投影仪的光模块的机动车前照灯
US9097401B2 (en) Light module for motor-vehicle headlight
KR102143845B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EP2500628B1 (en) Vehicle headlamp
US20070236950A1 (en) Headlight assembly having strongly trained cut-off
JP2707391B2 (ja) プロジェクタ型前照灯
US7997778B2 (en) Vehicle light
CN105659025A (zh) 具有带正方形散射函数的微结构的光学结构
US7645061B2 (en) Headlight assembly
CN107525001B (zh) 车辆用灯具
JP6713869B2 (ja) 車両用灯具
CN105683649A (zh) 用于机动车前照灯的照明设备的光学结构
US9879837B2 (en) Optical structure for signal light
JP2014212115A (ja) 自動車の光学モジュールならびに照明および/または信号装置
KR20230036131A (ko)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조명 장치
KR102293083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조명 장치 및 자동차 헤드램프
CN113195969B (zh) 用于机动车前照灯的照明设备以及机动车前照灯
CN112204301B (zh) 用于前照灯的前场光模块
CN109668108B (zh) 形成被分为清晰上部分和模糊下部分的光图案的照明模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