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089A - 차량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089A
KR20230096089A KR1020237018227A KR20237018227A KR20230096089A KR 20230096089 A KR20230096089 A KR 20230096089A KR 1020237018227 A KR1020237018227 A KR 1020237018227A KR 20237018227 A KR20237018227 A KR 20237018227A KR 20230096089 A KR20230096089 A KR 20230096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child
axis
shield
impact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8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트룬
토마스 밀러
이안 파웰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9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front guard 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 시트(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K)를 수용하는 본체(11) 및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는 충격 실드(12)를 포함하고, 상기 어린이 시트는 적어도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 시작 시 및/또는 차량 시트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 동안, 예를 들어 정면 충돌 시 본체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의 초기 상태에서 어린이의 무게 중심(S)이 어린이 회전축(51)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낮고,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되어, 어린이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기 시작하자마자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린이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41, 42, 60)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낮고,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되어,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충격 실드가 본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
본 발명은 모터차량 및 모터차량의 차량 시트에 배치된 어린이 시트(child seat)을 포함하는 시스템, 대응하는 어린이 시트 및 모터차량의 차량 시트에 어린이 시트를 배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DE 20 2012 102 223 U1에는 충격 실드가 있는 모터차량용 어린이 시트가 설명되어 있다. 여기서, 하나의 가로(transverse) 벨트 섹션뿐만 아니라 충격 실드(impact shield) 또는 어린이를 고정(holding)하기 위한 두 개의 가로 벨트 섹션을 제공하여, 두 벨트 섹션이 서로 오프셋되도록 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를 통해 어린이의 회전이 방지된다(counteracted)(가로 벨트 섹션이 하나만 있는 솔루션과 비교하여). 그러나 이 솔루션은 아직 설계 및 안전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어린이 시트에 또는 차량 시트 상에 어린이를 안전하게 고정시키는 충격 실드가 있는 모터차량용 어린이 시트를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사고 발생 시 어린이(또는 어린이의 상체)의 회전에 따른 위험은 가능한 한 감소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 시트와 모터차량을 포함하는 대응 시스템 및 모터차량의 차량 시트에 어린이 시트를 배치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목적은 차량, 특히 모터차량, 및 차량, 특히 모터차량의 차량 시트에 배치된 어린이 시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해결되며, 상기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 및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 충격 실드를 구비하고, 상기 어린이 시트는, 적어도 초기 상태에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특히 차량 시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본체와 함께) 및/또는 (모터)차량의 (특히 갑작스런) 감속의 경우에 또는 정면 충돌(차량 전방에 있는 구조물과의 충돌)의 경우에 본체에 대한 어린의 회전 시작 시, 어린이 회전축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되어, 어린이의 무게 중심이 어린이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기 시작하자마자 어린이가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본체에 대해 회전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되어, 충격 실드가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본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 아이디어는 어린이를 위한 모터차량 시트에 대한 (일반적인) 조립 또는 배치의 경우 어린이의 무게 중심이 (적어도 대략적으로) 각각의 회전축의 레벨에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약간) 아래에 있도록 어린이 회전축 또는 충격 실드 회전축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어린이 시트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린이의 (과도한) 회전이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방지될 수 있다. 추가 구조적 조치(예를 들어 DE 20 2012 102 223 U1에 설명된 바와 같은 회전 방지 추가 구조와 같은)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안전 개선은 건설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된다.
각각의 회전축이 위치하는 레벨은 특히 각각의 회전축이 위치하는 수평면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린이의 무게 중심은 무게 중심이 이 레벨에서 최대 8 cm, 바람직하게는 최대 5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2 cm, 가능하게는 최대 1 cm.만큼 벗어난 경우(위로 및/또는 아래로) 이 레벨(또는 대응하는 수평면)에 "대략" 있어야 한다.
특히, 어린이의 무게 중심은 각각의 레벨보다 최대 10 cm, 바람직하게는 최대 7 cm, 가능하게는 최대 3 cm, 및/또는 이 레벨보다 최소 0.5 cm 또는 최소 1 cm 아래에 있는 경우 각각의 레벨(또는 해당 레벨)보다 "약간" 낮은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어린이의 무게 중심이 해당 레벨(또는 해당 레벨에 상응하는 레벨)보다 최대 10cm, 바람직하게는 최대 7cm, 가능하면 최대 3cm 아래에 있거나 이 레벨보다 최소 0.5cm 또는 최소 1cm 아래에 있는 경우 해당 레벨보다 "약간" 아래에 있는 것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어쨌든, 적어도 대략 상기 레벨에 있거나 또는 (약간만)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어린이가 비교적 적게 (예를 들어 충격 실드 아래에서 또는 충격 실드 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어린이 회전축은, 특히 (적어도)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에, 어린이가 본체에 대해 (주어진 시간에) 회전하는 회전축(아마도 회전축 중 하나)이 되도록 의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린이 회전축은 충격 실드의 상부 후방 에지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충격 실드 회전축은 충격 실드가 본체에 대해 (주어진 시간에) 회전하는 회전축(아마도 회전축 중 하나)이 되도록 의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격 실드 회전축(또는 축들)은 또한 어린이 회전축(축들)을 형성할 수 있다.
어린이 및/또는 충격 실드 회전축(이하 약칭: "회전축" 또는 "각각의 회전축")은 어린이 및/또는 충격 실드의 전체 회전 동안 동일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고(예를 들어, 차량 시트가 적어도 본질적으로 견고하거나 단단하도록 설계된 경우 및/또는 지지 풋(support foot)의 형태와 같이 어린이 시트에 대해 회전 방지 조치가 취해진 경우 본체에 대해, 아마도 또한 차량 시트에 대해), 또는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회전축 및/또는 어린이의 무게 중심(수평면의 투영에 대해, 어린이 시트 및/또는 본체의 최하단 지점에 대한 높이 측면에서 및/또는 어린이 시트 및/또는 본체의 최전방 지점에 대한 거리 측면에서)이 이동/재배치 된다면, 각각의 (기하학적) 조건(위에서 설명한 회전축에 대한 무게중심의 배치뿐만 아니라, 회전축 또는 서로 다른 회전축에 대한 무게중심의 후속 정의 조건에 대해서도)은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및/또는 최대 20°의 회전 각도 범위(차량 시트에 대한 본체의 회전 및/또는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회전)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회전축(또는 서로에 대해 고려되는 여러 회전축)에 대한 어린이 무게 중심의 추가 정의 또는 선호되는 기하학적 관계가 위에 및/또는 아래에 정의되어 있는 한, 각각의 조건은, 명시적으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예를 들어 정면 충돌 시와 같이 차량의 (갑작스런) 감속의 경우 어린이 또는 충격 실드의 각 회전이 시작될 때, 그리고 필요한 경우 각 회전의 추가 과정에서도 충족되는 것이 바람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는 (모터)차량(예를 들어 카 또는 트럭)의 차량 시트에 배치(장착)되도록 구성된 어린이 시트이다. 어린이 시트는 본체(특히 좌석 섹션을 포함함) 및 충격 실드를 포함한다. 좌석 섹션은 좌석 영역 및 (선택적으로) 좌측 및/또는 우측 지지 섹션을 정의할 수 있다(특히 충격 실드를 지지하거나 보강하기 위해 및/또는 측면 이동 또는 측면 가속의 경우에, 예를 들어 측면 충격의 경우에 어린이를 측면으로 지지하기 위해).
본체는 어린이 시트를 차량 시트에 부착하기 위한 제1 고정(fastening) 수단(예를 들어, 아이소픽스 고정 수단 및/또는 래치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 시트가 차량 시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차량 벨트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본체는 본체가 차량 시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차량 벨트를 가이드하기 위한 대응하는 가이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고 및/또는 충격 실드는 본체와 충격 실드가 모두 차량 시트에 고정되도록 차량 벨트를 가이드하기 위한 대응하는 가이드 메커니즘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음).
어린이 시트는 등받이, 헤드레스트, 어린이를 측면으로 지지하기 위한 측면 부재(측면 윙)(예를 들어 측면 충격의 경우), 지지 레그, 상단 테더(tether) 및/또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충격 실드는 바람직하게는 어린이를 본체에 고정하기 위해 어린이 시트의 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특히 제거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충격 실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치수적으로 안정된 것이 바람직하다(특히 자체 무게 및/또는 경미한 외력에 의해서만 접히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충격 실드는 플라스틱(적어도 비례적, 예를 들어 적어도 중량 80%)으로 만들어지고 및/또는 쿠션(예를 들어 발포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실드는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의 고체 및/또는 비다공성 재료(플라스틱)로 형성될 수 있다. 충격 실드는 적어도 30 부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부피%의 다공성 재료(특히 발포 플라스틱, 예를 들어 EPS 또는 EPP)로 형성될 수 있다. 충격 실드의 무게는 최소 200 g 또는 최소 500 g 및/또는 최대 5 kg 또는 최대 2 kg일 수 있다.
충격 실드는 (특히 적어도 차량 시트에 대한 어린이의 전방 가속에 대해) 어린이를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중간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충격 실드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바람직하게는 좌측 및 우측) 섹션(홀딩 섹션/구속 섹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대응 (측면) 지지 섹션에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충격 실드는 충격 실드(특히 본체와 충격 실드 모두)가 차량 시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차량 벨트를 그에 따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되는 경우 충격 실드가 본체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어린이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시트에서 전방 대향 배치를 위해 구성된다(어린이가 이동 방향을 향하도록). 특히, 주행 방향은 어린이 시트에 착석한 어린이가 (앞을 향할 때) 주행 방향을 향하게 하여 차량이 직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차량(직진 주행하는)이 예를 들어 정면 충돌로 인해 (급격한) 감속을 받는 경우 어린이 및 어린이 시트는 주행 방향으로 작용하는 관성력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좌측' 및 '우측' 표시는 이동 방향과 관련하여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특히 어린이의 좌측 어깨는 좌측에 있고 어린이의 우측 어깨는 우측에 있도록). 위 또는 아래(up or down), 위/위(above/upper) 또는 아래/아래(below/under), 위/위(upper/top) 또는 아래/아래(lower/bottom), 수평 또는 수직과 같은 표시는 바람직하게는 중력 벡터의 방향과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동적 상황이 설명된 경우, 해당 표시는 적어도 어린이 또는 충격 실드가 회전하는 시점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적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 해당 표시는 적어도 (차량에 대한 감속의 경우) 예를 들어 본체에 대한 어린이 또는 충격 실드의 회전이 시작되는 경우 및/또는 가속이 전혀 없거나 약간만 있는(또는 일반적인 교통 상황) 정상적인 사용 상황이 있는 경우(갑작스러운 감속과 반대)의 시점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격 실드의 내부 표면은 특히 어린이를 향하는 표면, 특히 어린이의 복부를 향하는 표면이어야 한다. 충격 실드의 외부 표면은 특히 어린이의 복부에서 멀어지는 표면이어야 한다. 이러한 표면은 평평하거나 돌출부 및/또는 리세스가 없는(적어도 중요하지 않을 수 있음) 것이 가능하다(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
정상적인 사용 상황은 특히 어린이 시트가 차량 시트에 배치(장착)되고(특히 어린이 시트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어린이가 어린이 시트에 의해 안전하게 지지되고 고정되는(특히 어린이 시트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린이 시트가 배치 또는 장착된) 차량의 차량 시트의 착석 영역은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2°, 여전히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5°의 기울기(특히 후방에서 전방으로 상승하는)를 가질 수 있다.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 시트가 차량 시트에 장착될 때 차량 시트의 착석 표면을 향하는 하부면을 갖는다.
평평한 수평면에 어린이 시트를 배치한 것을 출발점으로 삼아, 어린이 시트는 평평한 수평 시작면에 대해 0 ~ 30°, 바람직하게는 8 ~ 22°,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략) 15° 사이의 각도를 갖는 평평한 표면에 배치할 경우의 방향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급감속(또는 급감속을 동반한 이벤트)이란 특히 차량(예를 들어 승용차)의 정상적인 주행과 비교하여 급가속(또는 급감속)이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특히, 충돌(정면 충돌) 또는 기타 사고는 급격한 감속을 수반하는 이벤트로 이해해야 한다. 특히, 가속(또는 감속)이 너무 높아서 차량에서 에어백과 같은 능동 보호 장치가 작동하는 경우 이러한 감속은 급감속 이벤트로 이해될 수 있다. 급감속 이벤트 동안 감속은 2 g, 심지어 3 g, 심지어 5 g 또는 8 g를 초과할 수 있다(또는 이러한 제한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급감속 이벤트로 이해됨). 특히, UN ECE-R44 또는 UN ECE-R129(각각 출원일 또는 우선일 기준 유효, UNECE 웹사이트 www.unece.org 에서 검색 가능)에서 "정면 충돌(frontal crash)"로 설명되는 충격("충돌")은 급감속 이벤트로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는 (일체형) 벨트가 있는 어린이 시트(또는 충격 실드가 없는 어린이 시트)에 비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이는 예를 들어 과거 소비자 단체에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특히 안전성 측면에서)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특히 좋은 결과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2019년 6월에 발표된) 슈티프퉁 바렌테스트의 연구에 따르면, 최고 등급을 받은 5개 어린이 시트(체중 9 ~ 36 kg의 어린이용)는 모두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지는 않다. 충격 실드가 없는 어린이 시트가 여전히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는 아마도 알려진 건설적인 솔루션(높은 안전 요건을 갖춘)이 비교적 정교하기 때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조치에 의해 훨씬 더 높은 안전 요건이 충족될 수 있다는 것이 달성된다. 기본적으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는 (구속된) 어린이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 이러한 회전은 어린이의 회전을 위한 잠재적인 회전축에 대한 어린이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따라 어린이가 충격 실드 아래에서 또는 충격 실드 위에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는 충격 실드와 함께 및/또는 충격 실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잠재적인 회전축은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부착에 따라, 특히 나머지 자유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및/또는 충격 실드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체는 어린이가 앉을 수 있는 좌석 영역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 섹션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어린이를 측면으로 지지하기 위한 측면 지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충격 실드는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중간 섹션과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지지 섹션에서 스스로를 지지하는(할 수 있는) 측면 섹션을 가질 수 있다.
본체의 (특히 상기) 좌석 영역의 전방 섹션은 어린이를 구속하기 위한 융기부(elevation)(바람직하게는 중앙에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융기부(벌지(bulge))는 어린이의 허벅지 사이 및/또는 충격 실드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융기부는 충격 실드와 접촉하기에 충분히 높을 수 있다(충격 실드가 사용 중일 때).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예를 들어 조정 가능한 충격 실드의 경우), 융기부와 충격 실드 사이에 간격(gap)이 남을 수 있다. 융기부는 어린이가 충격 실드 아래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충격 실드와 함께 또는 충격 실드와 관련하여). 융기부는 1 cm 이상 또는 2 cm 이상 및/또는 최대 10 cm일 수 있다. 융기부는 적어도 5 ㎠ 또는 적어도 10 ㎠ 및/또는 최대 200 ㎠ 또는 최대 100 ㎠의 면적(베이스 상의 돌출부에서)을 가질 수 있다. 융기부는 커버(예를 들어 섬유 커버)로 덮혀질 수 있으므로 어린이가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동안에는 보이지 않거나 거의 보이지 않는다.
어린이 시트, 특히 그 본체는 어린이 시트(또는 본체)를 차량 시트, 특히 차량 시트의 제1 고정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수단(바람직하게는 아이소픽스 고정 수단 및/또는 래치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수단은 적어도(또는 정확히) 두 개의 고정 구조(예를 들어 아이소픽스 고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 수단은 (차량 시트에 대해) 어린이 시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린이 시트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수단은 특히 아이소픽스 고정 구조 및/또는 래치 고정 구조 및/또는 차량 벨트용 고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어린이 시트 회전(어린이 시트 회전축을 중심으로)은 예를 들어 차량 시트의 좌석 섹션 및/또는 등받이 섹션 및/또는 지지 레그 및/또는 상단 테더 및/또는 기타 장치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어린이 시트 회전축은 특히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 시 어린이 시트 또는 적어도 그 본체가 회전하는 축을 의미한다. 이러한 어린이 시트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 수단(예를 들어 아이소픽스 고정 구조물)을 통과할 수 있다.
어린이 시트(예를 들어, 본체 및/또는 충격 실드)는 어린이 시트가 차량 시트에 부착될 수 있도록 차량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어린이 시트(특히 본체)는 차량 시트에 대한 본체 회전축 또는 어린이 시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충격 실드는 회전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견고하게(그러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탈착 가능 및/또는 비파괴적으로 탈착 가능, 바람직하게는 도구 없이 탈착 가능) 본체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충격 실드는 이동(translation)과 관련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단단하게 본체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 특히 탈착 가능 및/또는 비파괴적으로 분리 가능, 도구 없이 분리 가능함). 본체에 대한 적어도 실질적으로 견고한 연결에 의해, 특히 연결 구조 자체는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상대적 회전 또는 상대적 이동을 방지하거나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충격 실드의 상대적 회전 또는 상대적 이동은 본체에 대해 방해가 될 수 있다(높은 가속도의 경우 성형체(moulded body) 또는 본체의 불가피한 구부러짐 또는 변형은 제외). 최소한 (피할 수 없는) 변형이 너무 작아서 충격 실드(특히 충격 실드의 어떤 섹션이나 지점도 없음)가 본체에 대해 20°보다 큰 각도 또는 10°보다 큰 각도로 회전(pivoted)될 수 있어야 한다. 충격 실드가 적어도 회전과 관련하여 견고하게 구성된 경우, 어린이는 갑작스러운 감속 시 충격 실드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충격 실드의 형상 및/또는 충격 실드에 대한 어린이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라 다름). 이 경우, 어린이 회전축은 충격 실드의 라인(에지)에 의해 정의되거나 어린이의 회전 동안 (내부 및/또는 상부) 충격 실드 표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 회전 축(회전 시작 시)은 충격 실드의 상단, 내부 에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어린이 회전축은 충격 실드의 표면에 위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내부 표면에, 및/또는 적어도 회전 과정에서 상부 표면(또는 정확히 상부와 내부 표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어린이 회전 동안의 어린이 회전축은 적어도 단계적으로(아마도 적어도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이동할 수 있고 및/또는 고정된 상태로(적어도 단계적으로, 아마도 적어도 회전의 초기 단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어린이 회전축은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과 일치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충격 실드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단, 연결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본체로부터 멀어지거나 본체를 향한 방향으로의 순수한(pure) 이동은 허용되지 않을 수 있음). 충격 실드는 (정확히) 하나의 회전축 또는 (정확히) 두 개의 회전축 또는 두 개 이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병진 운동(translational movement)은 차단되거나 적어도 제한될 수 있다(완전히 차단되지는 않음).
충격 실드와 본체 사이의 연결은 기본적으로 기존의 회전축을 정의할 수도 있지만, 다시 (아마도 완전히) 차단 및/또는 차단할 수 있다(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본체와 다른 한편으로는 충격 실드의 구조물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및/또는 회전을 방지하는 정지 및/또는 지지 표면 등을 형성함으로써). 그러나 아래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언급된 회전축은 항상 적어도 일부 회전을 허용해야 한다(이는 제한될 수 있음). 이것은, 또한, 예를 들어 충격 실드가 본체의 대응하는 구조에 직접 인접하고 그것에 대해 가압되지만(회전 시), 이 구조는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실질적인) 회전이 일어날 수 있는 방식으로 산출된다.
실시예에서, 어린이 시트는 충격 실드를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은 정확히 하나 또는 정확히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회전축에 대한 충격 실드의 (본체에 대한)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은 본체에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한 본체의 각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섹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제1 섹션 및/또는 충격 실드에 링크되는 충격 실드의 각 측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제2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또는 충격 실드의 링크는 특히 회전을 허용하는 조인트(회전 조인트)가 각각의 부분(본체 또는 충격 실드)에 고정된 방식으로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체에 대한 링크는 벨트 텅(tongue)과 같이 본체에 (단단히) 연결 가능한(하지만 분리 가능한) 부재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인트는 상대적 회전을 허용하는 모든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벨트 텅의 아일릿(eyelet)에 있는 벨트는 예를 들어 비틀림(twisting)에 의해 아일릿 영역의 특성으로 인해 벨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함).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또는 정확히 하나 또는 정확히 두 개, 예를 들어 각 측면에 하나씩) 관절식(articulated) 조인트가 본체와 충격 차폐물 사이의 연결 섹션에 제공될 수 있습니다.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능하면 완전히) 강성(rigid)일 수 있다(대응하는 관절식 연결부와 분리될 수 있지만 완전히 강성일 수도 있음).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벨트(또는 벨트 섹션)를 갖는 것과 같이 치수적으로 불안정하게(적어도 섹션에서, 가능하게는 완전히) 설계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충격 실드는 본체에 대해 적어도 하나(또는 정확히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또는 정확히 두 개) 또는 적어도 세 개(또는 정확히 세 개)의 충격 실드 회전축(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격 실드는 본체에 대해 적어도 하나(또는 정확히 하나)의 제1 및/또는 적어도 하나(또는 정확히 하나)의 제2 충격 실드 회전축 및/또는 적어도 하나(또는 정확히 하나)의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각각의) 제2 및/또는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적어도 본체에 대한 어린이 회전의 시작 시) (각각의)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적어도 본체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각각의)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으로부터 벗어난다.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 위에 위치한다(적어도 어린이 회전의 시작 시 및/또는 본체에 대한 어린이 회전 시작 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제1 충격 실드 회전축 앞에 있다(상기 두 시점이 발산하는(diverge) 한, 전술한 두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서). 충격 실드 회전축은 특히 충격 실드가 본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제1 충격 실드 회전축만 또는 제2 충격 실드 회전축만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이 제공될 수 있다(그러나 추가 충격 실드 회전축은 없을 수도 있음).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에 더하여, 추가 충격 실드 회전축,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또는 정확히 하나)의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본체에 대한 링크에 의해 정의된다(및 추가적으로 충격 실드에 대한 링크 또는 충격 실드에 대한 링크 없이). 각각의 장치(예를 들어 본체 또는 충격 실드물)에 대한 링크 아래에서 특히 링크를 형성하는 조인트가 각각의 장치(본체 또는 충격 실드)에 대해 고정되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고정된 것은 특히 예를 들어 최대 3 cm까지 미미한 움직임이 가능하거나 거의 없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현재의 경우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이 본체에 대한 링크에 의해 정의되는 경우, 이는 특히 충격 실드 회전축 자체가 본체에 대해 이동할 수 없거나 상대적으로 미미하게만 이동할 수 있음을 의미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충격 실드 회전축은 네 가지 유형 중 하나에 할당될 수 있다(결정적(conclusive)이거나 비결정적이라고 이해될 수 있음). 제1 유형은 대응하는 충격 실드 회전축이 본체에 대해 움직이지 않는(또는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유형은 대응하는 충격 실드 회전축 자체가 충격 실드에 대해 움직일 수 없다는 사실(또는 충격 실드에 대해 고정적임)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유형은 대응하는 충격 실드 회전축이 본체와 충격 실드 모두에 대해 그 자체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예를 들어, 이러한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이 제1 및 제2 충격 실드 회전축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4 유형(다시 제1 유형과 제2 유형 모두의 하위 유형으로 간주될 수 있음)에서, 충격 실드 회전축은 본체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그 자체로 움직일 수 없음) 충격 실드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이는 특히 기능적 관점에서 볼 때 충격 실드 회전축이 정확히 하나라는 것을 의미함).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은 본체와 충격 실드 사이의 연결부를 충격 실드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예를 들어 벨트 또는 벨트 섹션)의 링크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어린이의 무게 중심(적어도 차량 시트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본체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은 적어도 대략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 또는 레벨 아래(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간)에 위치하거나 및/또는 제2 충격 실드 회전축 후방에 위치한다(여기서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은 고려되는 각 시점에서 유일한 충격 실드 회전축이거나 가능하게는 최상단 및/또는 최전방 충격 실드 회전축일 수도 있음).
어린이의 무게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차량 시트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충격 실드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적어도 대략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레벨 상) 또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 위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 아래 및/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충격 실드 회전축 전방(또는 앞뒤 방향에 대해 뒤쪽 또는 동일한 레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을 연결하고 이에 수직인 연결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어린이 시트의 하부측에 대해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및/또는 10° 초과의 각도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러한 연결 라인은 충격 실드가 본체 상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및/또는 수직 및/또는 전면-후면 평면의 섹션에 대한 이러한 지지 표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면 라인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oriented). 실질적으로 평행은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평행한 구성에 대해 최대 20° 또는 최대 10° 또는 최대 5°의 각도 편차를 포함한다.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에 대한 충격 실드의 회전은 바람직하게는 충격 실드가 지지되는 (특히 상기) 지지 표면에 힘을 가하는 충격 실드에서 (적어도 그러한 회전의 시작에서) 발생한다. 이 힘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지향된다.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은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수직인 구성에 대해 최대 20° 또는 최대 10° 또는 최대 5°의 각도 편차를 포함한다.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은 충격 실드의 하단부 위에 (적어도 차량 시트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본체에 대한 어린이 회전 시작 시) 및/또는 충격 실드가 본체에서 지지되는 (특히 상기) 지지 표면의 하단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축들)은 어린이 시트 회전축, 바람직하게는 본체 회전축 위에 배치되며,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린이 시트 또는 그 본체가 차량 시트에 대해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의 무게 중심이 적어도 대략적으로 어린이 회전축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특히 초기 상태에서 최상부)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에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회전하는 동안 또는 (예를 들어 회전의 다른 단계 동안 필요한 경우 결합하여) 어린이 회전축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특히 초기 상태에서 가장 높은)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에 대해 위쪽으로 이동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어린이의 무게 중심은 각각의 레벨보다 적어도 약간 아래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 레벨보다 적어도 약간 위의 중간 및/또는 최종 상태로 회전하는 동안 (적어도 단계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역동성(dynamic)을 통해, 간단한 조치로 어린이를 특히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시스템 또는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가 점진적으로 회전하는 동안 적어도 또는 정확히 어린이의 회전 방향의 반전(본체 및/또는 차량에 대해)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어린이 또는 대응하는 더미는 시스템의 일부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어린이(또는 더미)는 어린이 시트에 위치된다(특히 고정 포지셔닝(positioning) 및 충격 실드의 조정에 의해 고정됨).
상기 언급된 목적은 차량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특히 상기 시스템을 위한(또는 상기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어린이 시트에 의해 추가로 해결되며,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 및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 충격 실드를 포함하고, 어린이 시트는 적어도 (차량 시트 또는 차량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갑작스러운) 감속 동안, 예를 들어 정면 충돌의 경우 본체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의 초기 상태에서 어린이의 무게 중심이 어린이 회전축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어린이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자마자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린이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고 및/또는 적어도 어린이 시트가 차량 좌석 표면에 배치될 때 어린이 시트는 수평에 대해(또는 어린이 시트가 수평의 평평한 평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0° 및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및 최대 22°,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및 최대 18°,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5°의 각도로 경사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기하학적(geometric)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각도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각도에 적용되어야 하지만, 가능하면 전체 각각의 각도 범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추가 특징은 상기 시스템에 대한 위의 설명에서 도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어린이 시트 특징을 가지며, 특히 차량은 (가상적으로) 상기 특징을 갖거나 어린이 시트가 장착될 수 있는 차량 좌석 표면을 갖는 기초로 간주될 수 있고, 차량 좌석 표면은 적어도 0° 및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및 최대 22°,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및 최대 18°, 예를 들어 적어도 약 15°의 각도를 갖는다. (각각의) 기하학적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각도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각도에 적용되어야 하지만, 선택적으로 전체 각각의 각도 범위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의 제공 및/또는 상기 어린이 시트의 제공으로 차량의 차량 시트에 어린이 시트를 배치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되며, 상기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와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 충격 실드를 포함하고,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의 무게 중심이 적어도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차량 시트에 대한 또는 차량에 대한) 및/또는 차량이 감속하는 동안, 예를 들어 정면 충돌에서 본체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초기 상태에서, 어린이가 본체를 기준으로 회전하기 시작하자마자 어린이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어린이 회전축이 위치하는 레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이 위치하는 레벨보다 적어도 대략적으로 같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된다. 이 방법은 어린이 시트에 어린이를 배치하는 단계, 특히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정면 충돌 시 상기 어린이 시트 및/또는 상기 시스템에 의해 및/또는 상기 배치 방법에 따라 상기 어린이 시트 및 그 안에 존재하는 어린이를 고정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위에서 설명한 기하학적 관계의 동적 변화가 있을 때, 상기 고정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동적 변화를 겪어야 한다.
시스템 또는 어린이 시트에 대한 위(및 다음) 설명에서 추가 프로세스 특징이 도출된다. 상응하는 기능적 특징은 바람직하게는 특정 프로세스 단계로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회전 가능성이 위에서 언급된 경우, 이는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이 대응하는 회전(동작으로서)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 시트에 대한 어린이 시트의 부착은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의 제1 연결 지점을 갖는 어린이 시트 회전축을 정의하여, 어린이 시트가 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적어도) 두 개의 제1 연결 지점은 예를 들어 아이소픽스 또는 래치 고정 지점 또는 차량 무릎 벨트의 고정 지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어린이 시트 회전축에 대한 회전은 예를 들어 차량 시트의 시트 부분과 등받이 및/또는 지지 레그, 상단 테더 등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충격 실드는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회전, 바람직하게는 또한 변위가 실질적으로 배제되도록 어린이 시트의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해제 가능하게, 특히 완전히 해제 가능하게).
그런 다음, 갑작스러운 감속의 경우, 어린이가 충격 실드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충격 실드의 형상 및 충격 실드에 대한 어린이의 무게 중심 위치에 따라 다름). 어린이의 회전축은 충격 실드의 정의된 라인(에지)이거나 어린이가 회전하는 동안 (내부 및/또는 위쪽) 충격 실드 표면(또는 충격 실드 측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충격 실드의 형상 및 위치는 어린이의 무게 중심이 어린이의 회전축을 통과하는 수평면 내에 있거나 그러한 수평면 약간 아래에 있도록 선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특히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은 제2 및/또는 제3 실시예)에서, 충격 실드는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변위가 제한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방식으로 충격 실드 고정 수단에 의해 어린이 시트의 본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고정은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회전을 허용하고 다수의 축(적어도 하나의 축)이 정의되어 있다. 일부 개수의 정의된 축은 포지티브 연결(예를 들어 충격 실드와 본체 사이)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개수의 정의된 축이 차단되면 충격 실드와 본체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기능적으로) 제1 실시예로 축소된다.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하나(또는 그 이상)의 제1 부분(들)은 본체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각각 좌측 또는 우측 지지 섹션 내에 또는 적어도 근접하게 본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일체로 몰딩됨).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부분은 또한 각각의 제2 연결 지점(예를 들어, 벨트 버클)에서 본체에(바람직하게는 각각 좌측 또는 우측 지지 섹션 내에 또는 적어도 근접하게)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부분은 각각의 연결 지점이 통과하고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을 정의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또는 본체에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음).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하나(또는 그 이상)의 제2 부분(들)은 충격 실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충격 실드에 일체로 성형됨)(바람직하게는 각각 충격 실드의 좌측 또는 우측 측면 섹션 상에). 대안적으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2 부분은 충격 실드 상의 각각의 제3 연결 지점(바람직하게는 정확히 2개, 특히 좌우에 각각 하나씩)에 형성될 수 있다.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2 부분은 대응하는 연결 지점을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따라서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을 정의하거나 충격 실드에 고정적으로(강하게) 연결될 수 있다.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및 제2 부분은 충격 실드가 본체에 부착되도록 각각의 제4 연결 지점(연결 장소)에서 서로 협력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제1 및 제2 부분이 서로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때,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및 제2 부분은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을 정의할 수 있다(또는 강성으로 형성됨).
제2 실시예에서,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부착은 단지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에 대한 회전을 허용할 수 있고, 추가의 (차단된) 축은 충격 실드 고정 수단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충격 실드 축은 위(제1, 제2 또는 제3) 충격 실드 축일 수 있다. 2개 이상의 충격 실드 축이 일치하여 공통(단일)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기능적으로) 오직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을 갖는 실시예에서,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부분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2 부분은 충격 실드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충격 실드 회전 축이 일치하도록 상응하는 연결 지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연동) 축은 (기능적으로)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회전에 대해 가능한 유일한 축일 수 있다(적어도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 제1 및 제2 섹션 사이의 가능한 작동 연결이 강성 연결을 형성하거나 각 연동 회전 축과 일치하는 경우). 여기서, 위 및 아래에서 강성(및/또는 고정된) 연결을 언급할 때, 이는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지만, 갑작스러운 감속 시 치수적으로 안정적인 연결처럼 작동(예를 들어 조여짐)하는(또는 적어도 이 경우에는 그 형태를 유지하는) 치수적으로 불안정한 연결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부분은 본체 주위에 (제1 충격 실드 회전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고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2 부분은 충격 실드에 강성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부분은 본체에 고정 부착될 수 있고,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2 부분은 충격 실드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제2 충격 실드 회전 축을 중심으로). 다시, 결과적인 제1 또는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은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회전을 위한 유일한 (가능한) 축이 될 것이다(단,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연결이 고정된 연결을 형성하거나 각각 제1 또는 제2 충격 실드 회전축과 일치하는 경우).
또한,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부분은 본체에 견고하게(고정식으로) 부착될 수 있고, 충격 실드 체결 수단의 (각각의) 제2 부분은 충격 실드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제1 부분 및 (각각의) 제2 부분은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을 중심으로 충격 실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은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에 대해 유일하게 가능한 회전축일 수 있다(예를 들어, 충격 실드와 본체가 예를 들어 고정 베어링의 핀을 통해 서로 피벗식으로 부착된 경우). 핀 및/또는 베어링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충격 실드의 좌측 및 우측 측면 섹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부착은 2개의 (발산) 축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추가로 차단된 축은 충격 실드 고정 수단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2개의 축은 제1 충격 실드 회전축 및/또는 제2 충격 실드 회전축 및/또는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축이 일치하여 2개의 축 중 하나를 집합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제1 충격 실드 회전축 및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이 모두 존재하고(일치하지 않고), 충격 실드 패스너(fastener)의 (각각) 제1 및 제2 부분 사이에 강성 연결이 존재하는 경우에 실현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이 존재할 때, 이들 중 2개가 일치하고 추가 충격 실드 회전축이 일치하는 충격 실드 회전축과 분리되는(또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우,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은 제1 및 제2 충격 실드 회전축 중 하나와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갖는) 또 다른 가능성은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부분이 (제1 충격 실드 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본체에 부착되고 (각각의) 제2 부분이 고정된다는 것이다.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이 충격 실드에 견고하게 부착되거나,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부분이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2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제2 충격 실드 축에 대해) 충격 실드에 고정되고, 제3 충격 실드 회전축은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의 (각각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의 협력에 의해 형성되고 제1 또는 제2 충격 실드 회전축과 분리된다.
두 개의 (발산하는) 충격 실드 회전축은 두 개의 좌측 및 두 개의 우측 연결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어린이는 충격 실드과 함께 회전할 수 있고(충격 실드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과 반대로), 및/또는 하나(또는 그 이상)의 회전축(축들)은 어린이 회전축과 일치할 수 있다. 어린이의 무게 중심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회전축(제2 실시예들에서)이 위치하는 수평면 내에 있거나,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둘(또는 그 이상)의 회전축(제3 실시예들에서)이 그러한 평면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하는 수평면 내에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어린이의 무게 중심은 충격 실드 회전축 중 하나가 위치하는 2개의 수평 평면 사이에 우치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의 무게 중심은 수평 평면 위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은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이 위치하는 수평면 및/또는 그 아래에 위치한다. 특히, 2개의 충격 실드 회전축 중 하나가 다른 충격 실드 회전축에 대해 더 전방 및/또는 더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어린이의 무게 중심은 2개의 충격 실드 회전축의 상부 또는 전방이 위치하는 수평면보다 (바람직하게는 약간) 아래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충격 실드가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본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면 지지 섹션(또는 각각의 우측 및 좌측 지지 섹션)에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상기 힘은 (각각의) 지지 섹션의 지지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이것은 제3 실시예 또는 하부 및/또는 후방 축(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에 대한 회전에 대해 특히 바람직하다.
2개의 회전축은 2개의 좌측 및 2개의 우측 연결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위에서 설명한 대로). 각도 A의 제1 변은 두 개의 좌측 연결 지점을 통한 라인의 측면 투영(projection)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각도 A의 제2 변은 본체 바닥의 측면 투영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A는 60°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일 수 있고 및/또나 A는 10° 초과, 바람직하게는 15° 초과일 수 있다. 특히, A는 25°와 45° 사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지지 섹션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지지 섹션은 본체의 바닥(또는 본체의 바닥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 대해 각도 B를 형성할 수 있고, 이는 70° 미만, 바람직하게는 55° 미만 및/또는 1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15°보다 크다. 특히, 상기 각도는 25°와 45° 사이일 수 있다.
어린이 시트가 지지 레그를 갖는 경우(및/또는 어린이 시트에 예를 들어 두 개의 아이소픽스 연결부 외에 차량에 대해 제3 강성 연결부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 각도 A 및/또는 B가 위에 표시된 것보다 (적어도 약간) 작으면(예를 들어 10° 작으면) (지지 레그 및/또는 다른 제3 강성 연결부가) 어린이 시트 회전축에 대한 회전을 비교적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린이 시트 또는 시스템은 (갑작스러운) 감속(즉, 평면을 가로지르는) 동안 어린이의 무게 중심이 어린이 회전축 및/또는 충격 실드 회전축이 위치하는 평면 아래의 위치에서 해당 평면의 반대편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시스템 또는 어린이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갑작스러운) 감속의 이벤트 동안 본체에 대해 어린이가 충격 실드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고 및/또는 (후속적으로) (갑작스러운) 감속의 이벤트 동안 또는 이후에 충격 실드 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충격 실드를 본체에 고정하는 구현에 따라, 두 가지 측면(충격 실드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및 충격 실드와 함께 어린이의 회전)이 어린이 시트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이동이 (적어도 일부)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충격 실드가 본체에 부착되는 벨트가 조여질 때). 이와 관련하여, 충격 실드는 (갑작스러운) 감속, 특히 UN ECE-R44 및/또는 UN ECE-R129에 정의된 정면 충격("정면 충돌")에 따라 10 cm 미만, 바람직하게는 5 cm 미만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본체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순수하게) 병진 이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전방 이동은 충격 실드의 해당 최전방 지점을 측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및/또는 치수적으로 불안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벨트(또는 벨트 섹션), 적어도 하나의 밴드(또는 그 섹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또는 그 구성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갑작스런 감속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태-안정적인 방식으로 거동한다(예를 들어, 이 경우 작용하는 힘에 의해 신장되는 벨트 섹션과 같이, 이에 따라 형태의 변화는 예를 들어 뒤틀림 및/또는 꼬임에 의해 벨트의 미리 정의된 지점에서만 발생함).
어린이의 무게 중심은 어린이 시트에 실제로 착석한 어린이의 무게 중심이거나 시트가 설계(또는 승인)된 크기 및/또는 무게의 어린이의 무게 중심일 수 있다.
편의상, 더미의 무게 중심은 더미가 어린이 시트에 장착되어 어린이 시트에 고정된 상태(규정에 따라)에서도 무게 중심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UN ECE-R129(본 설명의 출원일 또는 우선일 및/또는 2013년 12월 31일에 유효함)에서와 같은 Q-더미로 이해될 수 있다. Q-더미는 Q0, Q1, Q1.5, Q3, Q6 및 Q10 크기로 존재하며, Q 뒤의 숫자는 더미가 해당하는 어린이의 (대략적인) 나이를 나타낸다.
본 시트는 특히 최소 높이에서 최대 높이까지의 어린이용으로 승인되어야 하며, 여기서 최소 높이는 적어도 60 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cm일 수 있고 및/또는 최대 높이는 최대 130 cm, 바람직하게는 최대 116 cm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시트는 적어도 Q1 또는 Q1.5에서 Q6까지의 더미(또는 해당 더미에 의해 복제된 어린이)를 위해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무게 중심도 이러한 더미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하고 특정 조건이 필요한 경우(다른 위치 또는 장소와 관련하여, 특히 회전축과 관련하여), 조건은 언급된 더미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바람직하게는 최소 3개의 더미, 가능하면 모든 더미).
또한, 더미(또는 더미로 시뮬레이션될 어린이)의 크기는 상당히 편차가 크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좌석 표면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수평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이 좌석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약 19 cm(거리 = 최단 거리) 떨어진 지점을 무게중심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등받이 지지 표면(즉, 어린이의 등이 기대는 어린이 시트 또는 등받이 섹션의 표면)에서 (적어도 약) 5 ~ 10 cm 떨어진 지점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등받이 섹션과 좌석 섹션이 서로에 대해 조정 가능한 경우(또는 좌석 섹션에 대해 등받이 섹션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는 경우), 각각의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기울기 위치에 적용되어야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든 기울기 설정에 대해, 아마도 최대 가능한 기울기 변화의 총량 중 적어도 절반에 해당하는 기울기 조정 범위의 일부 범위에 적용되어야 한다.
본체가 자체적으로 조절 가능한 경우, 예를 들어 시트 부재가 조절 가능한(또는 본체의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는) 베이스가 있는 어린이 시트의 경우, 각각의 조건은 적어도 하나의 기울기 위치에 적용되어야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모든 기울기 설정에 대해, 최대 가능한 기울기 변화의 총량 중 절반에 대한 기울기 조정 범위의 일부 범위에 적용되어야 한다.
충격 실드가 본체에 대해 (회전 및/또는 병진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경우, 각각의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에 적용되어야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체 또는 모든 회전 조정 가능성의 절반 이상 및/또는 전체 또는 모든 병진 조정 가능성의 절반 이상에 적용되어야 한다.
충격 실드에는 (능동) 보호 장치(예를 들어 에어백)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필수는 아님), 각각의 조건은 적어도 능동 보호 장치가 트리거되지 않는 경우에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급된 표준 UN ECE-R129는 구체적으로 "규정 번호 제129호 - 모터차량 탑승 시 사용되는 강화된 어린이 보호 장치 승인에 관한 통일 규정(ECRS; enhanced child restraint systems)" 또는 예를 들어 2013년 7월 9일 및/또는 2013년 12월 31일 기준 및/또는 우선권 또는 출원일 기준의 E/ECE/324/Riv.2/Add.128 - E/ECE/TRANS/505/Riv.2/Add.128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체 휴머네틱스(Humanetics)의 더미를 더미로 사용할 수 있다. 추가 정보는 제조업체 휴머네틱스의 설명서(표준 UN ECE-R129도 참조)에서 찾을 수 있다.
현재 문맥에서, 어린이의 회전(예를 들어 차량 시트 또는 본체와 관련하여)에 관한 경우, 어린이의 무게 중심 회전이 특히 고려되어야 한다((예를 들어, 몸통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관련된 헤드의 피칭(pitching) 동작이 아님). 충돌 상황의 이벤트에서, 어린이 신체의 개별 부위(특히 몸통)가 다른 부위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어린이 신체의 개별 부위(특히 몸통)가 다른 부위에 대해 회전하는 경우, 무게중심으로 계속 간주되는 지점은 초기 상태의 어린이 또는 더미의 무게중심이라는 점에서 특히 무시해야 한다. 그러나, 항상 현재 무게 중심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변경되지 않는 (추정된) 바람직한 무게 중심은 특히 어린이의 몸통 내에서 항상 동일한 위치에 있어야 하는 무게 중심으로, 더미 또는 어린이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차량이 정지 상태 또는 일반적인 주행 상황에 있을 때)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위치에 해당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추가 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도출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차량 시트에 장착된 어린이 시트의 개략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충격 상황 동안의 도 3에 따른 어린이 시트를 도시하고;
도 5는 충격 상황이 진행될 때 도 3 및 도 4에 따른 어린이 시트를 도시하고;
도 6은 충격 상황이 더 진행되는 동안 도 3 내지 도 5에 따른 어린이 시트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따른 도면을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따른 도면을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하고 동일하게 작용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체(11)와 충격 실드(1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10)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체(11)는 좌석 섹션(13)과 (옵션) 헤드레스트(15)가 있는 등받이 섹션(14)을 포함한다. 본체는 제1 고정 수단(16)(여기서는 선택적으로 두 개의 아이소픽스(Isofix) 고정 구조로 구성됨)을 구비한다. 충격 실드(12)는 제2 고정 수단(충격 실드 고정 수단)(17)을 통해 본체(11)에 부착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제2 고정 수단(17)은 적어도 제1 부분(특히 벨트 버클의 형태)과 제2 부분(대응하는 벨트 텅(tongue)(21)을 포함함)을 포함한다. 제1 부분(18) 및 제2 부분(19)은 각 측면(즉, 각각 좌측 및 우측)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측면은 다른 고정 솔루션(예를 들어, 비분리형 고정 또는 다른 분리형 고정)을 갖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예에서, (각각의) 제1 부분(18)(벨트 버클)은 특히 일체형으로 좌석 섹션(13)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2 부분(19)은 벨트 텅(21) 외에 벨트 또는 벨트 섹션(20)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충격 실드 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거나 배치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정면 사고(frontal accident)의 경우(벨트(20)가 조여져 있다고 가정할 수 있는 경우, 또는 그 자체로 유연한 벨트 대신에 강성 부재가 있을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부재가 적어도 여기서 추가 설명을 위해 고려될 수 있음), 충격 실드(12)는 두 지점(장소 또는 위치)(바람직하게는 어린이 시트의 각 측면)에서 (본체(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먼저, 벨트(20)를 벨트 텅(21)에 고정하면 이 지점 또는 영역(또는 대응 축;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는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에 해당할 것임)을 중심으로 충격 실드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벨트(20)는 충격 실드 상의 적어도 하나의 벨트 가이드 메커니즘(22)에 장착되며, 이에 따라 추가 벨트 가이드(22)는 도 1에서 인식되지 않고(도 2 참조), 따라서 추가 회전 가능성을 허용한다(도 3 내지 6에 따른 개략도에서, 이는 아래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에 대응함).
개별 회전축과 그 위치가 아래에 설명되는 한, 회전축이 각각의 경우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아야 하더라도(예를 들어 벨트의 비틀림을 고려하여), 이것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리세스 또는 가이드 및/또는 유지 구조(25)의 중심을 통해(그리고 실제로 측면 방향으로) 진행된다고 가정(또는 추정)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회전축은 해당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물의 중심이 위치한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즉, 벨트(20)는 각각의 제3 연결 지점(연결 위치)(26)에서 충격 실드(12)에 연결될 수 있고, 각각의 제4 연결 지점(연결 위치)(27)에서 각각의 벨트 텅 또는 (삽입될 때) 해당 벨트 버클 또는 일반적으로 본체(11)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제3 연결 지점(26) 및 (각각의) 제4 연결 지점(27)은 이들 위치에 대한 벨트(20)의 회전을 허용하고, 따라서 충격 실드를 위한 각각의 회전축(충격 실드 회전축)을 정의한다.
좌석 섹션(13)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측면 윙(2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각각) (충격 실드(12)를 지지하기 위한) 대응하는 지지 표면(29)을 형성한다. 제3 및 제4 연결 지점(26, 27) 사이에서, 벨트(20)(도시된 측면도에서 또는 측방향 돌출부에서)는 (각각의) 지지 표면(29)(또는 지지 표면(29)과 충격 실드(12)의 측면 섹션(30) 사이의 접촉 라인)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시트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좌석 섹션(13)의 좌석 영역(32)뿐만 아니라 각 측면(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의 지지 표면(29)을 형성하는 지지 섹션(33)이 여기서 보여질 수 있다. 또한, 충격 실드는 중간 섹션(34)과 (특히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측면 섹션(30)을 (각 측면에)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간 섹션(34)은 어린이를 고정하도록, 특히 충격이 가해졌을 때 그것을 억제하기 위해 설계된다. 측면 섹션(30)은 어린이를 측면(예를 들어 어린이의 허벅지)으로 고정하거나 및/또는 충격 실드가 지지 섹션(33)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융기부(elevation)(돌출부(bulge))(36)는 좌석 섹션(32)의 전면 섹션의 중앙에서 볼 수 있다. 이 융기부(36)를 통해 어린이는 특정 충격 실드와 효과적으로 협력하여 효과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도 3은 차량 시트(100)에 설치된 어린이 시트(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어린이 시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어린이 시트와 같이 추가적인 구조적 세부 사항을 고려하여 설계하거나, 다른 (특정)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다.
충격 실드(12)는 제1 충격 실드 회전축(41) 및 (적어도 원칙적으로는 또한) 제2 충격 실드 회전축(42)을 중심으로 본체(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어린이 시트(11)는 제1 고정 수단(16)을 통해 차량 시트(100)에 부착된다(특히, 이 고정 수단은 아이소픽스 고정 수단으로 설계될 수 있음).
도 3은 차량이 정지 또는 정상 주행(비정상적으로 높은 가속 없이)할 때 어린이 시트(11) 및 차량 시트(100)의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차량 시트는 수평에 대해 기울기(inclination)(43)를 갖는다. 따라서, 어린이 시트(10)도 수평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진다(inclined). 도 3에 도시된 각도는 더 작거나(또는 더 클 수 있음) 심지어 0일 수도 있다. 어쨌든, 도 3에 따른 초기 구성에서, 어린이(K)의 무게 중심(S)은 제2 충격 실드 회전축(42)의 레벨보다 (약간) 아래에 있을뿐만 아니라 제1 충격 실드 회전축(41)의 레벨보다 위에 있다. 또한, 무게 중심(S)은 제2 충격 실드 회전축(42) 뒤에 있고 제1 충격 실드 회전축(41) 앞에 있다.
도 4에서, 도 3의 어린이 시트는 이제 (갑작스러운) 감속 이벤트의 시작(예를 들어 정면 충돌의 경우)에서 도시된다. 이제 전체 어린이 시트(10)가 어린이 시트 회전축(45)을 중심으로(특히, 아이소픽스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차량 시트(100)의 패딩(padding)이 압축된다. 도 4에 도시된 시점에서, 본체(11)에 대한 충격 실드(12)의 회전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적어도 실질적으로 시작되지 않음). 오히려, 어린이(K)와 충격 실드(12)가 어린이 시트 회전축(45)을 중심으로 전체 어린이 시트(10) 또는 본체(11)의 회전을 추종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차일드(K)의 무게 중심(S)은 여전히 제2(상부) 충격 실드 회전축(42) (적어도 약간) 아래이지만 도 3에 따른 위치보다 훨씬 아래에 있다.
도 5는 도 4 이후의 상황을 (간단히) 도시한다. 어린이 시트 회전축(45)을 중심으로 한 어린이 시트(10)의 회전은 계속된다. 동시에(특히 갑작스러운 감속 이벤트의 이전 과정이 시스템에서 빠져나왔을뿐만 아니라 해당 회전 속도의 감소를 수반하는 어린이 시트 쿠션의 저항으로 인해), 충격 실드(12) 및 어린이(K)는 본체(11)에 대한 회전 운동을 시작했다. 충격 실드(12)는 제1 충격 실드 회전축(41)을 중심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회전하지 않는다(특히 각각의 지지 표면(29)에 의한 지지로 인해). 오히려, 충격 실드는 제2 충격 실드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적어도 실질적으로) 회전한다. 어린이(K)는 충격 실드와 함께 회전하여 충격 실드 아래 방향으로(또는 충격 실드의 전단부가 최소한 약간 위로 올라가는 방식으로) 회전한다. 어린이(K)의 무게 중심(S)은 여기서 (적어도 대략적으로) 제2 충격 실드 회전축(42)이 위치하는 수평면에 있고, 또한 제1 충격 실드 회전축(41)이 위치하는 수평면보다 (비교적 상당히) 위에 있다. 전체적으로, 충격 실드(12)와 어린이(K)는 어린이 시트(10)의 우측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본체에 대해)으로 회전한다. 본체에 대한 충격 실드의 상대적인 회전은 특히 지지 표면이 더 이상 충격 실드와 정확히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볼 수 있다.
도 6은 도 5 이후의 상황을 (간단히) 도시한다. 어린이 시트 회전축(45)에 대한 어린이 시트(10)의 회전은 이제 종료된다(예를 들어, 어린이 시트(10)의 착석 섹션이 프레임과 같은 차량 시트의 고정된 지지 구조에 도달함에 따라). 동시에, 충격 실드(12)는 이제 제2 충격 실드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어린이(K)의 무게 중심(S)은 이제 제2 충격 실드 회전축(42)이 있는 수평면보다 적어도 약간 위에 있다). 대체로, 이러한 유형의 조정(회전 방향의 반전 발생 포함)에 의해 충격 실드 또는 어린이가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이 간단한 방식으로 방지된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6과 유사하게) 차량 시트(100)에 장착된 정상 위치(차량이 정지 상태이거나 과도한 가속이 없는 정상 주행 상황일 때)의 어린이 시트(10)를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어린이 시트(10) 및 차량 시트(11)는 일반적으로 도 1과 도 2 및 도 3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필수 사항은 아님). 이에 대한 차이점은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따른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충격 실드(12)는 여기서 본체(11)에 대해 고정된다(적어도 고정된 상태). 구체적으로, 충격 실드(12)에는 이를 위해(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위로 돌출하는) 돌출부(50)가 제공될 수 있다(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충격 실드(12)는 또한 본체 상의 리세스와 맞물릴 수 있는 대응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물론, 고정 연결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이는 특히 적어도 회전이 없고 병진운동이 가능하지 않도록 조정될 수 있는 연결임). 충격 실드(12)는 어린이 회전축(51)(차량 시트(100)에 대한 전방 가속의 경우에 어린이가 회전하는 축)을 정의하는 후방 상부 에지를 갖는다. 어린이(K)의 무게 중심(S)은 이 언린이 회전축 아래에 있다. 또한 도 7에서(도 3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어린이 시트(100)는 바람직하게는 어린이 시트 회전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K)의 무게 중심(S)뿐만 아니라 어린이 회전축(51)은 감속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특히 어린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시작되기 전, 아마도 그 직후에) 서로에 대해 이동하여, 필요한 경우 어린이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한 어린이(K)의 회전이 충격 실드 위의 방향으로 발생하도록 하고(또는 충격 실드(12) 아래의 방향으로의 회전으로부터 충격 실드(12) 위의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반전됨), 이로써 충격 실드(12) 아래의 회전의 경우, 대응하는 어린이 회전축은 충격 실드(12)의 하부 후방 에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8은 차량 시트(100)에 설치된, 정상적인 사용 상황에서 어린이 시트의 추가 실시예의 추가 (매우 개략적인) 예시를 도시한다. 여기서도, 어린이 시트(10)는 도 1 및 도 2 또는 도 3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아래에 설명된 편차를 고려하여).
여기서, 충격 실드(12)는 단일 충격 실드 회전축(60)에 대해서만 본체(11)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다른 솔루션이 가능함) 본체에 돌출부(50)가 제공될 수 있으며(아마도 적어도 측면도에서 또는 도 7에서와 같이 단면으로 형성됨), 이로써 충격 실드(12)는 예를 들어 로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핀을 통해 이 돌출부에 장착될 수 있다. 어린이(K)의 무게 중심(S)이 충격 실드 회전축(60) 아래에 있지만, 어린이 시트 회전축(45)에 대한 어린이 시트(10)의 회전은 충격 실드 회전축(60)에 대한 회전이 시작되기 전(또는 그 직후)에 무게 중심(S)과 충격 실드 회전축(60)(동시에 어린이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음)을 서로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충격 실드 회전축(60)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이 (즉시) 충격 실드(12) 위의 방향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충격 실드 아래 방향(충격 실드(12)의 후방 하부 코너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축에 대해)의 회전으로부터 충격 실드 위 방향의 회전으로 반전되도록 한다.
이 시점에서, 개별적으로 그리고 임의의 조합으로 취해진 위에서 설명된 모든 부분, 특히 도면에 도시된 세부 사항은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으로 청구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것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친숙하다.
또한, 가능한 한 가장 광범위한 보호 범위가 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발명은 추가 특징과 함께 설명되는 특징에 의해 구체화될 수도 있다(이러한 추가 특징이 반드시 포함되지 않더라도). 둥근 괄호와 "특히(in particular)"/"특히(particularly)"라는 용어는 각 문맥에서 특징의 선택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임을 명시적으로 지적한다(반대로, 그러한 식별 없이 해당 문맥에서 특징이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님).
K 어린이
S 무게 중심
10 어린이 시트
11 본체
12 충격 실드
13 좌석 섹션
14 등받이 섹션
15 헤드레스트
16 제1 고정 수단(어린이 시트 고정 수단)
17 제2 고정 수단(충격 실드 고정 수단)
18 제1 부분
19 제2 부분
20 벨트
21 벨트 텅
22 벨트 가이드
25 리세스
26 제3 연결 지점
27 제4 연결 지점
28 윙
29 지지면
30 측면 섹션
32 좌석 영역
33 지지 섹션
34 중간 섹션
36 융기부
41 제1 충격 실드 회전축
42 제2 충격 실드 회전축
43 기울기
45 어린이 시트 회전축
50 돌출부
51 어린이 회전축
60 충격 실드 회전축
100 차량 시트

Claims (15)

  1. 차량 및 차량의 차량 시트(100)에 배치되는 어린이 시트(10)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어린이 시트(10)는 어린이(K)를 수용하는 본체(11) 및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 충격 실드(12)를 구비하고, 상기 어린이 시트(10)는, 적어도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 시작 시 및/또는 차량 시트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 동안, 예를 들어 정면 충돌 동안 상기 본체(11)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의 초기 상태에서, 어린이의 무게 중심(S)이,
    어린이 회전축(51)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되어, 어린이가 상기 본체(11)에 대해 회전하기 시작하자마자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린이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41, 42, 60)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되어, 상기 충격 실드(12)가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11)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1)는 어린이가 앉을 수 있는 좌석 영역(32)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좌석 섹션(13) 및 바람직하게는 어린이를 측면으로 지지하기 위한 측면 지지 섹션(33)을 포함하고, 및/또는
    충격 실드(12)는 어린이(K)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섹션(34) 및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11)의 지지 섹션에서 스스로를 지지하는 측면 섹션(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1)의 좌석 영역(32)의 전방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어린이를 구속하기 위해 중앙에 위치한 융기부(elevation)(3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린이 시트(10), 특히 그 본체(11)는 어린이 시트(10)를 차량 시트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수단(16), 바람직하게는 아이소픽스(Isofix) 고정 수단 및/또는 래치 고정 수단을 갖고, 및/또는
    어린이 시트(10), 특히 그 본체(11) 및/또는 충격 실드(12)는 어린이 시트(10)가 차량 시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차량 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메커니즘을 갖고, 및/또는
    어린이 시트(10), 특히 본체(11)는 차량 시트(100)에 대해 어린이 시트 회전축 또는 본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격 실드(12)는 회전 및/또는 병진운동에 대해, 특히 회전에 대해 본체(11)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견고하게 -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린이 회전축(51)은 충격 실드(12)의 표면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어린이 회전의 시작 시, 상부 또는 내부 표면에 놓이고, 및/또는
    어린이 회전축(51)은, 어린이의 회전 동안, 적어도 단계적으로, 가능하게는 적어도 초기 회전 단계에서, 충격 실드(12)에 대해 스스로 변위하고 및/또는 적어도 단계적으로, 가능하게는 적어도 초기 회전 단계에서, 충격 실드(12)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격 실드(12)는 바람직하게는 순수한 병진운동을 허용하지 않고 회전 이동 가능할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본체(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본체(11)에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한 정확히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 또는 정확히 두 개의 충격 실드 회전축 또는 둘 이상의 충격 실드 회전축에 대해 회전 이동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은 적어도 일시적으로 어린이 회전축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린이 시트(10)는 충격 실드(12)를 본체(11)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충격 실드 고정 수단은 바람직하게,
    정확히 1개 또는 정확히 2개 또는 2개 이상의 충격 실드 회전축에 대한 충격 실드(12)의 회전을 허용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섹션, 바람직하게는 본체(11)에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한, 본체(11)의 각 측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섹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섹션, 바람직하게는 충격 실드(12)에 연결되거나 연결가능한, 충격 실드(12)의 각 측면에 있는 제2 섹션을 갖고, 및/또는
    본체(11)와 충격 실드(12) 사이의 연결 섹션에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 또는 두 개의 관절식(articulated) 연결부(들)를 갖고,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능하게는 완전하게, 가능하게는 상응하는 관절식 연결부로부터 떨어져서 견고하게 형성되고, 및/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능하게는 완전하게, 치수적으로 불안정하게 형성되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벨트 섹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격 실드(1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4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42) 충격 실드 회전축을 중심으로 본체(11)에 대해 회전 가능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에서 벗어나고(deviate), 적어도 차량 시트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본체(11)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특히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 위에 위치하고 및/또는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의 전방에 위치하거나 제1 충격 실드 회전축과 일치하며, 선택적으로 다음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은 본체(11)와 충격 실드(12)를 본체(1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의 링크에 의해 정의되며, 선택적으로 충격 실드에 대한 추가 링크에 의해 정의되고; 및/또는
    -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은 본체(11)와 충격 실드(12)를 충격 실드(12)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의 링크에 의해 정의되고; 및/또는
    - 어린이의 무게 중심(S)은 적어도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적어도 대략적으로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 또는 그 아래에 위치하고 및/또는 제2 충격 실드 회전축 뒤에 위치하고, 및/또는
    - 어린이의 무게 중심(S)은 적어도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적어도 대략적으로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에 위치하거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고 및/또는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의 앞에 위치하고; 및/또는
    - 본체는 하부측을 가지며, 제1 및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을 연결하고 그에 수직인 연결 라인은 어린이 시트의 하부측에 대해 60°미만, 바람직하게는 50°미만 및/또는 10°이상의 각도를 갖고 및/또는 충격 실드(12)가 본체(11)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및/또는
    -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에 대한 충격 실드(12)의 회전은 충격 실드(12)로 하여금 본체(11) 상에 충격 실드(12)가 지지되는 지지면에 힘을 가하도록 하고, 상기 힘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향하고, 및/또는
    - 제1 충격 실드 회전축은 충격 실드(12)의 하단부 및/또는 충격 실드(12)가 본체(11) 상에 지지되는 지지 표면의 하단부 위에 배치되고, 및/또는
    - 제1 및/또는 제2 충격 실드 회전축은 어린이 시트 회전축, 바람직하게는 본체 회전축 위에 배치되며, 어린이 시트(10) 또는 그 본체(11)가 차량 시트에 대해 회전함.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린이 시트(10)는 회전하는 동안 어린이의 무게 중심(S)이 적어도 대략 어린이 회전축(5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41, 42, 60)의 레벨에 유지되도록 구성되거나 어린이 회전축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의 레벨에 대해 위쪽으로, 특히 이 레벨보다 적어도 약간 아래의 초기 위치로부터 이 레벨보다 적어도 약간 위의 중간 및/또는 최종 상태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린이 시트(10)는 어린이의 회전이 진행되는 동안 본체(11) 및/또는 차량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방향의 적어도 또는 정확히 한 번의 반전(reversal)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린이는 어린이 시트(10)에 제공되고 바람직하게는 위치되고, 특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특히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차량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10)로서, 상기 어린이 시트(10)는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11) 및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 충격 실드(12)를 포함하며, 상기 어린이 시트(10)는 적어도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 동안, 예를 들어 정면 충돌 동안 상기 본체(11)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의 초기 상태에서 어린이의 무게 중심(S)이,
    어린이 회전축(51)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되어, 어린이가 상기 본체(11)에 대해 회전하기 시작하자마자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린이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고,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어린이 시트가 수평에 대해 최소 0° 및 최대 30°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어린이 시트(10)가 차량 좌석 표면에 배치될 때,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41, 42, 60)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되는 어린이 시트(10).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린이 시트 특징부를 포함하는 어린이 시트(10).
  15. 바람직하게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 및/또는 제13항 또는 제14항에 따른 어린이 시트(10)를 제공하여, 차량의 차량 시트에 어린이 시트(10)를 배치하는 방법으로, 상기 어린이 시트(10)는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11) 및 어린이를 고정하기 위한 충격 실드(12)를 포함하며, 상기 어린이 시트(10)는 적어도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 및/또는 차량의 갑작스러운 감속 동안, 예를 들어 정면 충돌 동안 상기 본체(11)에 대한 어린이의 회전 시작 시의 초기 상태에서 어린이의 무게 중심(S)이,
    어린이 회전축(51)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되어, 어린이가 상기 본체(11)에 대해 회전하기 시작하자마자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어린이가 본체에 대해 회전하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충격 실드 회전축이 위치하는 레벨과 적어도 대략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약간 낮도록 구성되는 어린이 시트(10)의 배치 방법.
KR1020237018227A 2020-10-30 2021-10-25 차량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 KR202300960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20106242.5U DE202020106242U1 (de) 2020-10-30 2020-10-30 Kindersitz mit einem Fangkörper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DE202020106242.5 2020-10-30
PCT/EP2021/079526 WO2022090147A1 (de) 2020-10-30 2021-10-25 Kindersitz mit einem fangkörper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089A true KR20230096089A (ko) 2023-06-29

Family

ID=7851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8227A KR20230096089A (ko) 2020-10-30 2021-10-25 차량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373363A1 (ko)
EP (1) EP4237282A1 (ko)
JP (1) JP2023550272A (ko)
KR (1) KR20230096089A (ko)
CN (1) CN117083200A (ko)
DE (1) DE202020106242U1 (ko)
WO (1) WO20220901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7248C2 (de) * 1971-09-22 1982-09-02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Schalenförmiger Kindersitz fü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wagen
FR2318056A1 (fr) * 1975-07-17 1977-02-11 Peugeot Dispositif de retenue pour passager de vehicule
JPS5936520Y2 (ja) * 1981-10-23 1984-10-08 二村 鉦治 自動車用シ−ト用幼児用椅子
US5427432A (en) * 1993-11-18 1995-06-27 Lisco, Inc. Adjustable shield for car seat
DE102012100707B4 (de) 2012-01-30 2022-11-17 Cybex Gmbh Kindersitz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0106242U1 (de) 2022-02-01
JP2023550272A (ja) 2023-12-01
WO2022090147A1 (de) 2022-05-05
US20230373363A1 (en) 2023-11-23
EP4237282A1 (de) 2023-09-06
CN117083200A (zh) 202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1621B1 (en) Child safety seat with structural support
JP5420579B2 (ja) エネルギー吸収装置を備えた安全チャイルドシート
CN104114409B (zh) 用于车辆的儿童座椅和儿童座椅的撞击防护物
WO2006123169A1 (en) Child safety seat
EP2613965B1 (en) Rotating child safety seat
JP2008503378A (ja) 子供用安全キャリアのベース
JP2001057920A (ja) コンバーチブルヘッドレスト
US6575494B1 (en) Active head restraint with gas bag module
EP3409532B1 (en) Portable car seat
KR20230096089A (ko) 차량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
US10899252B2 (en) Child safety seat with belted pivot link
JP5229524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EP3712009B1 (en) Child safety seat
JP2024521387A (ja) 自動車シートに取り付けるためのインパクトシールド付きチャイルドシート
US20160304005A1 (en) Vehicle seat assembly accommodating a rear facing child seat
KR100569365B1 (ko) 자동차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장치
JP2019171955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WO2005075242A1 (en) Head restra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