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5834A - 발전 제어 장치, 발전 제어 방법,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발전 제어 장치, 발전 제어 방법,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834A
KR20230095834A KR1020220178210A KR20220178210A KR20230095834A KR 20230095834 A KR20230095834 A KR 20230095834A KR 1020220178210 A KR1020220178210 A KR 1020220178210A KR 20220178210 A KR20220178210 A KR 20220178210A KR 20230095834 A KR20230095834 A KR 20230095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power
generation control
power demand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루 가와타니
나오유키 가와사키
미츠마사 고가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9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8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Controlling of the sharing of output between th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466Scheduling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s, e.g. connecting or disconnecting generators to meet a given dem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1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fossil origin, e.g. diesel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선박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의 변동에 기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발전 제어 장치 등을 제공한다.
발전 제어 장치(6)는, 투입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전하는 복수의 디젤 발전기(21, 22, 23)가 마련되는 선박에 있어서의 발전 제어 장치(6)이며, 전력 수요를 취득하는 전력 수요 취득부(61)와,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에 합계가 동등하고, 또한, 각 디젤 발전기(21, 22, 23)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를 대략 최소로 하는 각 디젤 발전기(21, 22, 23)의 지정 발전량을 도출하는 지정 발전량 도출부(62)와, 지정 발전량 도출부(62)가 도출한 지정 발전량에 기초하여 디젤 발전기(21, 22, 23)를 제어하는 발전 제어부(6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발전 제어 장치, 발전 제어 방법, 기억 매체{POWER GENERATION CONTROL DEVICE, POWER GENERATION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발전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육상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기 등의 다수의 발전기에 의해 구성되는 전력 계통의 수급 제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기억된 각 발전기의 출력과 연료비의 관계에 기초하여, 예측된 전력 수요에 대하여 각 발전기의 연료비가 가장 저렴해지는 예측 출력이 연산되어 당해 각 발전기에 배분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90419호 공보
본 발명자는, 디젤 발전기 등의 복수의 발전기를 구비하는 선박에 있어서의 발전 제어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검토하였다. 항행 중의 선박에서는 발전기에서 사용 가능한 연료의 양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각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을 가능한 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전력 수요의 정확한 예측 및 다수의 발전기의 입출력 관계에 기초하는 복잡한 연산을 수반하는 방법은 선박에는 부적합하다. 선박에서는, 항행 중의 해상이나 천후, 사이드 스러스터 등의 전기 동력 장치의 사용 상황에 따라, 전력 수요가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전력 수요의 예측이 극히 어렵다. 또한, 전력 수요의 변동이 큰 항행 중에, 각 발전기의 입출력 관계에 기초하는 복잡한 연산을 행하고 있었던 것에서는, 발전량이 전력 수요에 추종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고, 최악의 경우에는 전원 상실(블랙아웃)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목적은, 선박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의 변동에 기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발전 제어 장치 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의 발전 제어 장치는, 투입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전하는 복수의 발전기가 마련되는 선박에 있어서의 발전 제어 장치이며, 전력 수요를 취득하는 전력 수요 취득부와, 전력 수요에 합계가 동등하고, 또한, 각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를 대략 최소로 하는 각 발전기의 지정 발전량을 도출하는 지정 발전량 도출부와, 지정 발전량에 기초하여 발전기를 제어하는 발전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전력 수요 취득부가 취득한 전력 수요에 따라, 각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를 대략 최소로 하는 각 발전기의 지정 발전량이 정해지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각 발전기의 입출력 관계에 기초하는 복잡한 연산을 행하지 않고, 기동적으로 각 발전기에 필요한 양의 전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발전 제어 방법이다. 이 방법은, 투입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전하는 복수의 발전기가 마련되는 선박에 있어서의 발전 제어 방법이며, 전력 수요를 취득하는 전력 수요 취득 스텝과, 전력 수요에 합계가 동등하고, 또한, 각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를 대략 최소로 하는 각 발전기의 지정 발전량을 도출하는 지정 발전량 도출 스텝과, 지정 발전량에 기초하여 발전기를 제어하는 발전 제어 스텝을 구비한다.
또한, 이상의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본 발명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기록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사이에서 변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의 변동에 기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용의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디젤 발전기의 출력과 연비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발전 제어부에 의한 제1 발전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발전 제어부에 의한 제2 발전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용의 전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지구 상의 해면의 영역 분할의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전력 수요 맵의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발전 제어부의 발전 제어 처리를 간결하게 도시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용의 전원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전원 시스템(1)은, 투입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교류 전력을 발전시키는 복수의 디젤 발전기(21, 22, 23)(이하에서는 디젤 발전기(2)라고 총칭함)와, 디젤 발전기(2)가 발전시킨 교류 전력을 선박의 각 부(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선내 부하(51) 및/또는 전기 동력 장치(52))에 배전하는 AC 배전반(3)과, AC 배전반(3)으로부터의 교류 전력을 선박의 각 부로의 배전에 적합한 주파수 및/또는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4)와, 발전 제어 장치(6)를 구비한다.
각 디젤 발전기(2)는, 투입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회전 동력을 출력하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부와, 당해 회전 동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도시하지 않은 발전부를 구비한다. 디젤 발전기(2)의 엔진부는 디젤 엔진에 의해 구성되지만, 발전기의 엔진부는 다른 종류의 기관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복수(도 1의 예에서는 3개)의 디젤 발전기(2)가 발전시킨 교류 전력은 AC 배전반(3)에서 집약되어, 인버터(4)를 통해 선내 부하(51) 및/또는 전기 동력 장치(52)에 급전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선내 부하(51)는, 선내의 모든 전기 설비나 전기 기기로부터 후술하는 전기 동력 장치(52)를 제외한 것을 의미하고, 전형적으로는 선내의 조명이나 공조 등의 각종 전기 설비, 선실 등에 마련되는 콘센트(플러그 소켓)에 접속되는 각종 전기 기기를 포함한다.
전기 동력 장치(52)는, 선박 자체 및/또는 크레인, 윈치, 유압 설비, 공기 압력 설비 등의 선박 설비를 구동하는 장치의 총칭이다. 전기 동력 장치(52)만으로 구동되는 선박은 전기선이라고 불리고, 전기 동력 장치(52)와 디젤 엔진 등의 비전기 동력 장치의 조합으로 구동되는 선박은 하이브리드선이라고 불린다. 하이브리드선은, 엔진부(디젤 발전기(2)), 발전부(디젤 발전기(2)), 모터(전기 동력 장치(52)), 프로펠러(전기 동력 장치(52))가 직렬로 접속되는 시리즈 방식의 것이어도 되고, 엔진부가 직접적으로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할 수 있음과 함께, 엔진부의 회전 동력에 기초하여 발전부가 발전한 전력에 의해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할 수 있는 모터가 병렬적으로 마련되는 패럴렐 방식의 것이어도 된다.
디젤 발전기(2) 및 인버터(4)를 제어하는 발전 제어 장치(6)는, 전력 수요 취득부(61)와, 지정 발전량 도출부(62)와, 발전 제어부(63)와, 기록부(64)와, 지정 발전량 보정부(65)를 구비한다. 이들 기능 블록은, 컴퓨터의 중앙 연산 처리 장치,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컴퓨터에 접속되는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 자원과, 그것들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실현된다. 컴퓨터의 종류나 설치 장소는 불문하고, 상기의 각 기능 블록은, 단일의 컴퓨터의 하드웨어 자원으로 실현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로 분산한 하드웨어 자원을 조합하여 실현해도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전 제어 장치(6)의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는, 선박 내의 컴퓨터에서 실현해도 되고, 선박 내의 컴퓨터와 통신 가능한 선박 외의 컴퓨터에서 실현해도 된다.
전력 수요 취득부(61)는, 각 디젤 발전기(2)의 발전량의 합계가 되는, 선내 부하(51) 및/또는 전기 동력 장치(52)의 전력 수요 또는 총 필요 전력을 취득한다. 전력 수요 취득부(61)는, 선내 부하(51) 및/또는 전기 동력 장치(52)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력 수요를 취득해도 되고, 선박이 있는 재선 영역에 따라서 후술하는 전력 수요 맵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전력 수요 예측을 취득해도 된다.
지정 발전량 도출부(62)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에 따라서 일의적으로 정해지는 각 디젤 발전기(2)의 지정 발전량이며, 그것들의 합계가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와 동등한 지정 발전량을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지정 발전량 도출부(62)는, 입력으로서의 전력 수요와 출력으로서의 각 디젤 발전기(2)의 지정 발전량을 대응짓는 테이블, 또는, 입력으로서의 전력 수요에 기초하여 출력으로서의 각 디젤 발전기(2)의 지정 발전량을 산출하는 다항식 등의 함수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를 P0, 제1 디젤 발전기(21)의 지정 발전량을 P1, 제2 디젤 발전기(22)의 지정 발전량을 P2, 제3 디젤 발전기(23)의 지정 발전량을 P3으로 각각 두면, 지정 발전량 도출부(62)는 입력 P0에 대하여 일의적인 출력(P1, P2, P3)을 부여하는 광의의 함수로서 기능한다. 또한, 항상 P0=P1+P2+P3이 성립한다. 상세한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예를 들어 P0=20의 경우에는 (P1, P2, P3)=(20, 0, 0) 등이 되고, 제1 디젤 발전기(21)가 모든 전력 수요를 발전시킨다. 또한, P0=40의 경우에는 (P1, P2, P3)=(20, 20, 0) 등이 되고, 제1 디젤 발전기(21) 및 제2 디젤 발전기(22)가 전력 수요를 절반씩 발전시킨다.
각 디젤 발전기(2)의 지정 발전량(P1, P2, P3)은, 각 디젤 발전기(2)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를 대략 최소로 하는 발전량이고, 각 디젤 발전기(2)의 발전량(이하에서는 출력이라고도 함)과 연료 소비량(이하에서는 연비라고도 함)의 관계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제N(N은 자연수) 디젤 발전기(2N)의 발전량을 나타내는 출력 PN[kW]은, 엔진부의 토크 TN[Nm]과 회전수 NN[rpm]에 의해 결정되고, PN=2πTNNN/60/1000×ηgen으로 표시된다(ηgen: 디젤 발전기(2N)의 발전 효율). 이 때문에, 엔진부의 토크 TN 및 회전수 NN의 적어도 어느 것을 변경함으로써, 상기의 식을 따라서 제N 디젤 발전기(2N)의 출력 PN 즉 발전량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디젤 발전기(2)로부터 교류 전력이 공급되는 선내 부하(51)는 일정 주파수(예를 들어 60Hz)의 교류 전력만으로 동작 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엔진부의 회전수 NN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발전부에 선내 부하(51)의 요구에 맞는 일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엔진부의 회전수 NN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엔진부의 토크 TN의 변화에 따라 제N 디젤 발전기(2N)의 출력 PN이 변화한다. 이하에서는, 제N 디젤 발전기(2N)의 출력 PN[kW]을, 제N 디젤 발전기(2N)의 정격 출력 또는 최대 출력 PNmax[kW]에 대한 비율 PN/PNmax[%]로 나타낸다.
제N 디젤 발전기(2N)의 단위 발전량당 연료 소비량을 나타내는 연비 FN[g/kWh]은 연비 효율이라고도 불리고, 제N 디젤 발전기(2N)의 측정된 연료 소비량을 WN[g], 측정된 발전량을 EN[kWh](출력 PN에 비례함)으로 두면, FN=WN/EN으로 표시된다. 단위 발전량당 연료 소비량 FN이 적을수록 연비 또는 연비 효율이 좋고, 단위 발전량당 연료 소비량 FN이 많을수록 연비 또는 연비 효율이 나쁘다.
도 2는, 제N 디젤 발전기(2N)의 출력 PN(발전량 EN에 비례함)과 연비 FN(발전량 EN당 연료 소비량)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N 디젤 발전기(2N)의 출력 PN이 정격 출력 PNmax의 약 60%보다 낮은 저출력 영역에서는, 발전량 EN당 연료 소비량이 많아 연비 효율이 나쁜 것을 알 수 있다. 제N 디젤 발전기(2N)의 출력 PN이 정격 출력 PNmax의 약 60%보다 높은 고출력 영역에서는, 발전량 EN당 연료 소비량이 적어 연비 효율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고출력 영역의 확대도인 도 2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출력 영역 내에서도 연비가 최소(Fmin)가 되는 최적 출력(도 2의 예에서는 85%)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제N 디젤 발전기(2N)의 연료 소비량 FN은, 제N 디젤 발전기(2N)가 최적 출력으로 발전하고 있는 경우에 최소가 된다.
단, 선내 부하(51)나 전기 동력 장치(52)의 전력 수요가 극히 작은 경우에는, 비교적 큰 최적 출력(85%)으로 제N 디젤 발전기(2N)를 가동할 수 없다. 반대로, 선내 부하(51)나 전기 동력 장치(52)의 전력 수요가 극히 큰 경우에는, 최적 출력(85%)보다 큰 출력으로 제N 디젤 발전기(2N)를 가동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제N 디젤 발전기(2N)를 항상 최적 출력으로 가동하면 된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디젤 발전기(2)가 복수(예를 들어 3개) 마련되는 경우, 디젤 발전기(21, 22, 23)마다 발전량과 연료 소비량의 관계가 다른 경우도 있고, 각 디젤 발전기(21, 22, 23)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ΣFN=F1+F2+F3)가 대략 최소가 되는 발전량의 조(P1, P2, P3)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대한 연산 시간을 요한다. 전력 수요의 변동이 큰 항행 중인 선박에서는, 각 디젤 발전기(2)의 발전량을 신속히 전력 수요에 추종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렇게 복잡한 연산을 행하고 있을 여유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은 복잡한 연산을 선박의 항행 전에 미리 행하여 두고, 그 결과로서의 테이블이나 다항식 등의 함수를 지정 발전량 도출부(62)에 미리 보유시킨다. 선박의 항행 중에는, 전력 수요 취득부(61)에 의해 수시 취득되는 선내 부하(51) 및/또는 전기 동력 장치(52)의 총 전력 수요 P0를, 지정 발전량 도출부(62)가 미리 작성 완료된 테이블이나 다항식에 입력하면, 각 디젤 발전기(21, 22, 23)의 지정 발전량의 조(P1, P2, P3)가 바로 얻어진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각 디젤 발전기(2)의 입출력 관계에 기초하는 복잡한 연산을 행하지 않고, 기동적으로 각 디젤 발전기(2)에 필요한 양의 전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
지정 발전량 도출부(62)가 합계 전력 수요 P0를 테이블이나 다항식에 입력하여 도출하는 각 디젤 발전기(21, 22, 23)의 지정 발전량 P1, P2, P3(단 P0=P1+P2+P3)은 각 디젤 발전기(21, 22, 23)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 ΣFN(=F1+F2+F3)이 대략 최소가 되는 발전량이다. 여기에서 「대략 최소」란, 주어진 전력 수요 P0에 대한 각 디젤 발전기(21, 22, 23)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 ΣFN의 연산 상 또는 이론 상의 최솟값 또는 극솟값을 Fmin으로 둔 경우에, 각 디젤 발전기(21, 22, 23)의 실제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 ΣFN이 Fmin 이상 Fmin×1.1 미만(Fmin≤ΣFN<Fmin×1.1), 더욱 바람직하게는 Fmin 이상 Fmin×1.05 미만(Fmin≤ΣFN<Fmin×1.05)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발전 제어부(63)는, 지정 발전량 도출부(62)가 전력 수요 P0으로부터 일의적으로 도출한 지정 발전량(P1, P2, P3)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젤 발전기(21, 22, 23)에 발전시킨다. 예를 들어, P0=20, (P1, P2, P3)=(20, 0, 0)이라고 하는 상기의 예에서는, 발전 제어부(63)는 하나의 디젤 발전기(21)에 발전시켜, P0=40, (P1, P2, P3)=(20, 20, 0)이라고 하는 상기의 예에서는, 발전 제어부(63)는 2개의 디젤 발전기(21, 22)에 발전시킨다.
도 3은, 발전 제어부(63)에 의한 제1 발전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횡축의 「합계 전력」은,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 P0을, 전원 시스템(1)의 정격 출력 또는 최대 출력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다. 종축의 「각 발전기 출력」은, 각 디젤 발전기(21, 22, 23)의 출력 P1, P2, P3을, 각각의 정격 출력 또는 최대 출력 P1max, P2max, P3max에 대한 비율 P1/P1max, P2/P2max, P3/P3max로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전력 수요 P0이 0%로부터 100%까지 단조롭게 증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력 수요 P0이 0%로부터 증가를 개시하면, 처음에는 하나의 디젤 발전기(21)만이 발전한다. 이때, 지정 발전량 도출부(62)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 P0(0% 내지 약 33%)에 따라, P1, P2, P3 중 P1만이 영이 아니게 되는 지정 발전량(P1, P2, P3)=(P1, 0, 0)을 도출하고 있다. P0=P1+P2+P3이기 때문에, P1=P0이다(단, 단위는 [%]가 아닌, [kW] 등으로 맞출 필요가 있음). 전력 수요 P0이 약 33%가 되면,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은 정격 발전량 또는 상한 발전량인 100%에 달한다. 거기에서 전력 수요 P0이 더 증가하면, 하나의 디젤 발전기(21)만으로는 전력 수요 P0을 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발전 제어부(63)는 새로운 디젤 발전기(22)를 기동한다.
전력 수요 P0이 약 33 내지 35%일 때,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은 100%인 채로, 부족분은 새롭게 기동된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가 약 0%로부터 늘어남으로써 보충된다. 전력 수요 P0이 약 36%에 달하면. 새롭게 기동된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가 약 55%로 급준하게 증가함과 함께,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이 100%로부터 약 55%로 급준하게 감소한다. 이것은, 첫 번째의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을 100%로 유지한 채 두 번째의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를 0%로부터 서서히 높인 경우의 종합적인 연료 소비량 F1(100%)+F2(0%)보다, 첫 번째의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을 약 55%로 단번에 낮추고 두 번째의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를 약 55%로 단번에 높인 경우의 종합적인 연료 소비량 F1(약 55%)+F2(약 55%)쪽이 작아지는, 즉 연비 효율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연비 특성이 다른 복수의 디젤 발전기(2)를 마련한 경우, 종합적인 연료 소비량을 최적화 또는 최소화하기 위한 각 디젤 발전기(2)의 출력은 서로 다르다.
이상과 같이, 도 3에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전력 수요 P0의 증가에 따라 발전 제어부(63)가 새로운 디젤 발전기(22)를 기동하는 경우,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1)의 발전량 E1 또는 출력 P1이 100%로부터 약 55%로 감소한다. 반대로, 도 3에서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전력 수요 P0의 감소에 따라 발전 제어부(63)가 기동 완료의 일부의 디젤 발전기(22)를 정지시키는 경우, 정지되지 않은 디젤 발전기(21)의 발전량 E1 또는 출력 P1이 약 55%로부터 100%로 증가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약 33%의 전력 수요 P0이, 가동시키는 디젤 발전기(2)의 수를 1과 2 사이에서 전환하는 역치가 된다. 전력 수요 P0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기동 역치가 되고, 그것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은 경우에는 새로운 디젤 발전기(22)가 기동된다. 전력 수요 P0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정지 역치가 되고, 그것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넘은 경우에는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2)가 정지된다.
전력 수요 P0에 대한 총 발전량(E1+E2+E3)의 부족에 의해 야기되는 블랙아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력 수요 P0이 기동 역치까지 증가한 경우에는 바로 새로운 디젤 발전기(22)를 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력 수요 P0이 정지 역치까지 감소한 경우에는 바로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2)를 정지시키는 것은 아니고, 당해 정지 역치 이하의 상태가 소정의 유예 시간에 걸쳐서 계속된 경우에 한하여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2)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예 시간을 마련함으로써, 전력 수요 P0이 일시적으로 정지 역치를 하회한 후에 빠르게 정지 역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2)를 정지시키지 않고 2개의 디젤 발전기(21, 22)에서 여유를 갖고 전력 수요 P0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블랙아웃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전력 수요 P0이 약 33%의 제1 기동 역치로부터 증가를 개시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디젤 발전기(21, 22)가 발전한다. 이때, 지정 발전량 도출부(62)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 P0(약 35% 내지 약 65%)에 따라, P1, P2, P3 중 P1, P2가 영이 아니게 되는 지정 발전량(P1, P2, P3)=(P1, P2, 0)을 도출하고 있다. 전력 수요 P0이 약 65%가 되면,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 및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는 정격 발전량 또는 상한 발전량인 약 100%에 달한다. 거기에서 전력 수요 P0이 더 증가하면, 2개의 디젤 발전기(21, 22)에서는 전력 수요 P0을 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발전 제어부(63)는 새로운 디젤 발전기(23)를 기동한다.
이때, 새롭게 기동된 디젤 발전기(23)의 출력 P3이 약 0%로부터 약 65%로 급준하게 증가함과 함께,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1, 22)의 출력 P1, P2가 약 100%로부터 약 65%로 급준하게 감소한다. 이것은,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디젤 발전기(21, 22)의 출력 P1, P2를 약 100%로 유지한 채 세 번째의 디젤 발전기(23)의 출력 P3을 0%로부터 서서히 높인 경우의 종합적인 연료 소비량 F1(약 100%)+F2(약 100%)+F3(0%)보다,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디젤 발전기(21, 22)의 출력 P1, P2를 약 65%로 단번에 낮추고 세 번째의 디젤 발전기(23)의 출력 P3을 약 65%로 단번에 높인 경우의 종합적인 연료 소비량 F1(약 65%)+F2(약 65%)+F2(약 65%)쪽이 작아지는, 즉 연비 효율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도 3에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전력 수요 P0의 증가에 따라 발전 제어부(63)가 새로운 디젤 발전기(23)를 기동하는 경우,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1, 22)의 발전량 E1, E2 또는 출력 P1, P2가 약 100%로부터 약 65%로 감소한다. 반대로, 도 3에서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전력 수요 P0의 감소에 따라 발전 제어부(63)가 기동 완료의 일부의 디젤 발전기(23)를 정지시키는 경우, 정지되지 않은 디젤 발전기(21, 22)의 발전량 E1, E2 또는 출력 P1, P2가 약 65%로부터 약 100%로 증가한다. 도 3의 예에서는, 약 65%의 전력 수요 P0이, 가동시키는 디젤 발전기(2)의 수를 2와 3 사이에서 전환하는 역치가 된다. 전력 수요 P0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기동 역치가 되고, 그것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은 경우에는 새로운 디젤 발전기(23)가 기동된다. 전력 수요 P0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정지 역치가 되고, 그것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넘은 경우에는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3)가 정지된다.
전력 수요 P0에 대한 총 발전량(E1+E2+E3)의 부족에 의해 야기되는 블랙아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력 수요 P0이 기동 역치까지 증가한 경우에는 바로 새로운 디젤 발전기(23)를 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력 수요 P0이 정지 역치까지 감소한 경우에는 바로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3)를 정지시키는 것은 아니고, 당해 정지 역치 이하의 상태가 소정의 유예 시간에 걸쳐서 계속된 경우에 한하여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3)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예 시간을 마련함으로써, 전력 수요 P0이 일시적으로 정지 역치를 하회한 후에 빠르게 정지 역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3)를 정지시키지 않고 3개의 디젤 발전기(21, 22, 23)에서 여유를 갖고 전력 수요 P0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블랙아웃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전력 수요 P0이 약 65%의 제2 기동 역치로부터 증가를 개시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3개의 디젤 발전기(21, 22, 23)가 발전한다. 이때, 지정 발전량 도출부(62)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 P0(약 65% 내지 100%)에 따라, P1, P2, P3의 모두가 영이 아니게 되는 지정 발전량(P1, P2, P3)을 도출하고 있다. 전력 수요 P0이 최댓값인 100%가 되면,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 디젤 발전기(23)의 출력 P3은 정격 발전량 또는 상한 발전량인 100%에 달한다.
도 4는, 발전 제어부(63)에 의한 제2 발전 제어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전력 수요 P0이 0%로부터 100%까지 단조롭게 증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력 수요 P0이 0%로부터 증가를 개시하면, 처음에는 하나의 디젤 발전기(21)만이 발전한다. 이때, 지정 발전량 도출부(62)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 P0(0% 내지 약 25%)에 따라, P1, P2, P3 중 P1만이 영이 아니게 되는 지정 발전량(P1, P2, P3)=(P1, 0, 0)을 도출하고 있다. P0=P1+P2+P3이기 때문에, P1=P0이다(단, 단위는 [%]가 아닌, [kW] 등으로 맞출 필요가 있음). 전력 수요 P0이 약 25%가 되면,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은 정격 발전량(100%)보다 작은 기동 역치(70%)에 달한다.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은, 원칙적으로 기동 역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된다(전력 수요 P0이 약 70%를 초과하는 영역을 제외함). 이 때문에 전력 수요 P0이 약 25%로부터 더 증가하면, 출력 70%의 하나의 디젤 발전기(21)만으로는 전력 수요 P0을 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발전 제어부(63)는 새로운 디젤 발전기(22)를 기동한다.
새롭게 기동된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는, 처음에는 완만하게 증가하여 계속해서 급준하게 증가한다. 전력 수요 P0이 약 25% 내지 약 30%의 영역에서는, 출력 P1이 기동 역치의 70%로 유지된 상태에서 출력 P2가 소정의 기울기 a2로 완만하게 증가한다. 계속하여 전력 수요 P0이 약 30%에 달하면, 새롭게 기동된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가 50%로 급준하게 증가함과 함께,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이 기동 역치의 70%로부터 50%로 급준하게 감소한다. 이것은, 첫 번째의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을 70%로 유지한 채 두 번째의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를 기울기 a2로 완만하게 계속하여 높인 경우의 종합적인 연료 소비량 F1(70%)+F2(약 25%)보다, 첫 번째의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을 50%로 단번에 낮추고 두 번째의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를 50%로 단번에 높인 경우의 종합적인 연료 소비량 F1(50%)+F2(50%)쪽이 작아지는, 즉 연비 효율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도 4에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전력 수요 P0의 증가에 따라 발전 제어부(63)가 새로운 디젤 발전기(22)를 기동하는 경우,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1)의 발전량 E1 또는 출력 P1이 70%로부터 50%로 감소한다. 반대로, 도 4에서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전력 수요 P0의 감소에 따라 발전 제어부(63)가 기동 완료의 일부의 디젤 발전기(22)를 정지시키는 경우, 정지되지 않은 디젤 발전기(21)의 발전량 E1 또는 출력 P1이 50%로부터 70%로 증가한다. 도 4의 예에서는, 약 25%의 전력 수요 P0이, 가동시키는 디젤 발전기(2)의 수를 1과 2 사이에서 전환하는 역치가 된다. 전력 수요 P0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기동 역치가 되고, 그것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은 경우에는 새로운 디젤 발전기(22)가 기동된다. 전력 수요 P0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정지 역치가 되고, 그것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넘은 경우에는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2)가 정지된다.
전력 수요 P0에 대한 총 발전량(E1+E2+E3)의 부족에 의해 야기되는 블랙아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력 수요 P0이 기동 역치까지 증가한 경우에는 바로 새로운 디젤 발전기(22)를 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력 수요 P0이 정지 역치까지 감소한 경우에는 바로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2)를 정지시키는 것은 아니고, 당해 정지 역치 이하의 상태가 소정의 유예 시간에 걸쳐서 계속된 경우에 한하여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2)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예 시간을 마련함으로써, 전력 수요 P0이 일시적으로 정지 역치를 하회한 후에 빠르게 정지 역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2)를 정지시키지 않고 2개의 디젤 발전기(21, 22)에서 여유를 갖고 전력 수요 P0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블랙아웃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에 대하여 정격 발전량(100%)보다 작은 기동 역치(70%)를 설정함으로써, 새롭게 기동되는 디젤 발전기(22)가 가동하기 전에 급격한 전력 수요 P0의 증가가 일어났다고 해도,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을 긴급하게 기동 역치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블랙아웃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정격 발전량보다 작은 기동 역치에 의해,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에 긴급 시에 있어서의 대응 여력이 생긴다.
계속해서, 전력 수요 P0이 약 25%로부터 증가를 개시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2개의 디젤 발전기(21, 22)가 발전한다. 이때, 지정 발전량 도출부(62)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 P0(약 25% 내지 약 45%)에 따라, P1, P2, P3 중 P1, P2가 영이 아니게 되는 지정 발전량(P1, P2, P3)=(P1, P2, 0)을 도출하고 있다. 전력 수요 P0이 약 45%가 되면,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 및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는 정격 발전량(100%)보다 작은 기동 역치(70%)에 달한다. 디젤 발전기(21, 22)의 출력 P1, P2는, 원칙적으로 기동 역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된다(전력 수요 P0이 약 70%를 초과하는 영역을 제외함). 이 때문에 전력 수요 P0이 약 45%로부터 더 증가하면, 출력 70%의 2개의 디젤 발전기(21, 22)만으로는 전력 수요 P0을 조달할 수 없기 때문에, 발전 제어부(63)는 새로운 디젤 발전기(23)를 기동한다.
새롭게 기동된 디젤 발전기(23)의 출력 P3은, 처음에는 완만하게 증가하여 계속해서 급준하게 증가한다. 전력 수요 P0이 약 45% 내지 약 55%의 영역에서는, 출력 P1, P2가 기동 역치의 70%로 유지된 상태에서 출력 P3이 소정의 기울기 a3으로 완만하게 증가한다. 계속하여 전력 수요 P0이 약 55%에 달하면, 새롭게 기동된 디젤 발전기(23)의 출력 P3이 약 55%로 급준하게 증가함과 함께,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1, 22)의 출력 P1, P2가 기동 역치의 70%로부터 약 55%로 급준하게 감소한다. 이것은,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디젤 발전기(21, 22)의 출력 P1, P2를 70%로 유지한 채 세 번째의 디젤 발전기(23)의 출력 P3을 기울기 a3으로 완만하게 계속해서 높인 경우의 종합적인 연료 소비량 F1(70%)+F2(70%)+F3(약 20%)보다,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디젤 발전기(21, 22)의 출력 P1, P2를 약 55%로 단번에 낮추고 세 번째의 디젤 발전기(23)의 출력 P3을 약 55%로 단번에 높인 경우의 종합적인 연료 소비량 F1(약 55%)+F2(약 55%)+F2(약 55%)쪽이 작아지는, 즉 연비 효율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도 4에서 좌측에서 우측을 향하는 전력 수요 P0의 증가에 따라 발전 제어부(63)가 새로운 디젤 발전기(23)를 기동하는 경우,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1, 22)의 발전량 E1, E2 또는 출력 P1, P2가 70%로부터 약 55%로 감소한다. 반대로, 도 4에서 우측에서 좌측을 향하는 전력 수요 P0의 감소에 따라 발전 제어부(63)가 기동 완료의 일부의 디젤 발전기(23)를 정지시키는 경우, 정지되지 않은 디젤 발전기(21, 22)의 발전량 E1, E2 또는 출력 P1, P2가 약 55%로부터 70%로 증가한다. 도 4의 예에서는, 약 45%의 전력 수요 P0이, 가동시키는 디젤 발전기(2)의 수를 2와 3 사이에서 전환하는 역치가 된다. 전력 수요 P0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기동 역치가 되고, 그것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넘은 경우에는 새로운 디젤 발전기(23)가 기동된다. 전력 수요 P0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정지 역치가 되고, 그것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넘은 경우에는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3)가 정지된다.
전력 수요 P0에 대한 총 발전량(E1+E2+E3)의 부족에 의해 야기되는 블랙아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력 수요 P0이 기동 역치까지 증가한 경우에는 바로 새로운 디젤 발전기(23)를 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력 수요 P0이 정지 역치까지 감소한 경우에는 바로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3)를 정지시키는 것은 아니고, 당해 정지 역치 이하의 상태가 소정의 유예 시간에 걸쳐서 계속된 경우에 한하여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3)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예 시간을 마련함으로써, 전력 수요 P0이 일시적으로 정지 역치를 하회한 후에 빠르게 정지 역치를 상회한 경우에는,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3)를 정지시키지 않고 3개의 디젤 발전기(21, 22, 23)에서 여유를 갖고 전력 수요 P0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블랙아웃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젤 발전기(21, 22)의 출력 P1, P2에 대하여 정격 발전량(100%)보다 작은 기동 역치(70%)를 설정함으로써, 새롭게 기동되는 디젤 발전기(23)가 가동하기 전에 급격한 전력 수요 P0의 증가가 일어났다고 해도, 디젤 발전기(21, 22)의 출력 P1, P2를 긴급하게 기동 역치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블랙아웃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정격 발전량보다 작은 기동 역치에 의해, 디젤 발전기(21, 22)의 출력 P1, P2에 긴급 시에 있어서의 대응 여력이 생긴다.
계속해서, 전력 수요 P0이 약 55%로부터 증가를 개시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3개의 디젤 발전기(21, 22, 23)가 발전한다. 이때, 지정 발전량 도출부(62)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 P0(약 55% 내지 100%)에 따라, P1, P2, P3의 모두가 영이 아니게 되는 지정 발전량(P1, P2, P3)을 도출하고 있다. 전력 수요 P0이 최댓값인 100%가 되면, 디젤 발전기(21)의 출력 P1, 디젤 발전기(22)의 출력 P2, 디젤 발전기(23)의 출력 P3은, 70%의 기동 역치보다 큰 정격 발전량 또는 상한 발전량인 100%에 달한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기록부(64)는, 입출력 특성 기록부(641)와 누적 운전 시간 기록부(642)를 구비한다. 입출력 특성 기록부(641)는, 선박의 항행 중의 각 디젤 발전기(2)의 발전량과 연료 소비량을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디젤 발전기(2)의 출력(발전량에 상당함)과 연비(연료 소비량에 상당함)의 관계가 입출력 특성 기록부(641)에 의해 기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디젤 발전기(2)의 연비 특성은 지정 발전량 도출부(62)가 보유하고 있는 테이블이나 다항식의 기초이기 때문에, 입출력 특성 기록부(641)가 기록한 각 디젤 발전기(2)의 연비 특성이 당초의 것에서 괴리하고 있는 경우, 지정 발전량 보정부(65)가, 입출력 특성 기록부(641)의 기록에 기초하여 지정 발전량을 도출하는 테이블이나 다항식을 보정한다. 또한, 지정 발전량 보정부(65)를 마련하지 않고, 지정 발전량 도출부(62)가, 입출력 특성 기록부(641)의 기록에 기초하여 직접적으로 지정 발전량을 도출해도 된다.
누적 운전 시간 기록부(642)는, 각 디젤 발전기(2)의 누적 운전 시간을 기록한다. 발전 제어부(63)는, 누적 운전 시간 기록부(642)가 기록한 누적 운전 시간이 짧은 디젤 발전기(2)에 우선적으로 발전시킨다. 도 3이나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력 수요 P0이 0%로부터 증가를 개시하면, 처음에는 하나의 디젤 발전기(2)만이 발전한다. 여기서, 항상 동일한 디젤 발전기(2)(예를 들어 제1 디젤 발전기(21))를 맨 처음에 가동시키면, 당해 디젤 발전기(2)의 열화가 진행해 버린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디젤 발전기(21)의 누적 운전 시간이 제2 디젤 발전기(22) 또는 제3 디젤 발전기(23)의 누적 운전 시간보다 유의미하게 긴 경우, 발전 제어부(63)는 맨 처음에 가동시키는 디젤 발전기(2)를 제2 디젤 발전기(22) 또는 제3 디젤 발전기(23)로 변경한다. 이것은, 전력 수요 P0의 증가에 따라 두 번째의 디젤 발전기(2)를 기동하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예를 들어, 제1 디젤 발전기(21)가 기동 완료로 제2 디젤 발전기(22) 또는 제3 디젤 발전기(23)의 어느 것을 새롭게 기동하는 경우, 제2 디젤 발전기(22) 및 제3 디젤 발전기(23) 중 누적 운전 시간이 짧은 것이 우선적으로 기동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선박용의 전원 시스템(1)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제1 실시 형태(도 1)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발전 제어 장치(6)는, 전력 수요 취득부(61)와, 지정 발전량 도출부(62)와, 발전 제어부(63)와, 전력 수요 맵 보유부(66)와, 재선 영역 검지부(67)와, 선박 이동 검지부(681)와, 근방 영역 추정부(682)와, 소비 전력 측정부(683)와, 전력 수요 맵 갱신부(684)와, 관련 정보 취득부(685)와, 전력 수요 보정부(686)를 구비한다.
전력 수요 맵 보유부(66)는, 선박이 항행할 수 있는 영역마다 각 디젤 발전기(2)의 발전량의 합계인 전력 수요 예측을 기록한 전력 수요 맵을 보유한다. 도 6은, 지구 상의 해면 영역 분할의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180도로부터 +180도의 경도를 0.1도 단위로 구획하여 x축 방향(도 6의 가로 방향)으로 0으로부터 3599의 3600개의 x축 구간으로 분할하고, -90도로부터 +90도의 위도를 0.1도 단위로 구획하여 y축 방향(도 6의 세로 방향)으로 0으로부터 1799의 1800개의 y축 구간으로 분할하고 있다. 이 결과, 지구 또는 세계 지도가 3600×1800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또한, 도 6에 세계 지도는 메르카토르 도법으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각 영역의 치수나 면적이 정확하지는 않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박이 항행하는 바다만을 영역 분할하면 충분하고, 육지의 영역 분할은 불필요하다. 또한, 특정한 해역만을 항행하는 선박에 대해서는, 당해 해역만을 영역 분할하면 충분하다.
도 7은, 전력 수요 맵 보유부(66)가 보유하는 전력 수요 맵의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다. 작은 직사각 형상의 각 영역에는, 각 디젤 발전기(2)의 필요 발전량의 합계인 전력 수요 예측 또는 총 필요 전력이 기록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3개의 디젤 발전기(21, 22, 23)가, 각각 「0%」로부터 「100%」의 전력을 발전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각 영역의 전력 수요 예측의 최솟값은 「0」이고(3개의 디젤 발전기(21, 22, 23)의 모두가 발전할 필요가 없음), 각 영역의 전력 수요 예측의 최댓값은 「300」이다(3개의 디젤 발전기(21, 22, 23)의 모두가 「100%」로 발전할 필요가 있음).
각 영역의 전력 수요 예측의 값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선박의 과거 항행 시의 각 영역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 바람직하게는 최대 소비 전력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선박의 과거 항행 시의 최대 소비 전력이 「100」 「120」 「80」이었던 영역에 대해서는, 이들 중에서 최대의 「120」이 전력 수요 예측으로서 기록된다. 이들의 평균값 또는 중앙값인 「100」을 전력 수요 예측으로서 기록해도 되지만, 과거에 실제로 있었던 「120」의 전력 수요 예측이 발생한 경우에는 발전량이 부족해 버리기 때문에, 가능한 한 큰 「120」을 전력 수요 예측으로서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력 수요 맵의 작성에 사용되는 선박은, 발전 제어 장치(6)가 마련되는 선박에 한하지는 않고, 발전 제어 장치(6)가 마련되는 선박과는 다른 선박이어도 된다.
재선 영역 검지부(67)는, 전력 수요 맵 보유부(66)가 보유하는 전력 수요 맵 중의 각 영역 중 선박이 항행 중인 재선 영역을 검지한다. 예를 들어, 재선 영역 검지부(67)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성 측위 시스템을 이용하는 선박 측위부(671)에 의해, 선박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재선 영역을 검지한다. 혹은, 재선 영역 검지부(67)는, 항해 계획 보유부(672)가 보유하고 있는 선박의 항해 계획 및 계시부(673)가 계측하는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항해 계획에 준하는 선박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여 재선 영역을 검지한다.
전력 수요 취득부(61)는, 재선 영역 검지부(67)가 검지한 재선 영역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을, 전력 수요 맵 보유부(66)가 보유하고 있는 전력 수요 맵으로부터 취득한다. 발전 제어부(63)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에 따라서 정해지는 수의 디젤 발전기(2)를, 선박이 당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에 기동한다.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로 도시되는 항행 개시 포인트로부터, ★로 도시되는 항행 종료 포인트까지, 선박이 항행하는 것으로 한다. 「1」로부터 「9」의 숫자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은 「1」의 영역으로부터 「9」의 영역을 순차 재선 영역으로 하면서 항행한다.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전력 수요 예측을 취득하는 재선 영역의 근방 영역의 범위는 임의이지만, 이하에서는 재선 영역을 둘러싸는 한 바퀴의 8개의 영역을 근방 영역으로 한다. 변형예로서 재선 영역을 둘러싸는 두 바퀴의 24개의 영역을 근방 영역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전력 수요 예측을 취득하는 재선 영역의 근방 영역의 범위는, 선박의 이동 속도(선박 이동 검지부(681)에서 측정됨)에 따라서 바꾸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선박의 이동 속도가 작을 때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전력 수요 예측을 취득하는 재선 영역의 근방 영역의 범위를 좁게 하고, 선박의 이동 속도가 클 때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전력 수요 예측을 취득하는 재선 영역의 근방 영역의 범위를 넓게 한다.
전력 수요 취득부(61)는, 재선 영역 검지부(67)가 검지하는 「1」로부터 「9」의 각 재선 영역의 주위의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을, 전력 수요 맵 보유부(66)가 보유하고 있는 전력 수요 맵으로부터 취득한다. 이하에서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하는 전력 수요 예측이, 「0」 이상 「80」 미만인 경우에 하나의 디젤 발전기(2)가 기동 또는 가동되고, 「80」 이상 「160」 미만인 경우에 2개의 디젤 발전기(2)가 기동 또는 가동되고, 「160」 이상인 경우에 3개의 디젤 발전기(2)가 기동 또는 가동되는 것으로 한다.
선박이 재선 영역 「1」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7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1」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70」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나의 디젤 발전기(2)를 앞서서 기동한다. 선박이 재선 영역 「2」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8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2」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8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앞서서 기동한다. 여기서, 하나의 디젤 발전기(2)는 재선 영역 「1」에서 기동 완료이기 때문에, 재선 영역 「2」에서는 새롭게 하나의 디젤 발전기(2)가 기동된다.
선박이 재선 영역 「3」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9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3」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9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앞서서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4」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0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4」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0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앞서서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5」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2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5」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2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앞서서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6」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4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6」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4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앞서서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7」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6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7」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60」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개의 디젤 발전기(2)를 앞서서 기동한다. 여기서, 2개의 디젤 발전기(2)는 이전의 재선 영역에서 기동 완료이기 때문에, 재선 영역 「7」에서는 새롭게 하나의 디젤 발전기(2)가 기동된다. 선박이 재선 영역 「8」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8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8」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80」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개의 디젤 발전기(2)를 앞서서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9」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9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9」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90」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개의 디젤 발전기(2)를 앞서서 가동시킨다.
도 8은, 이상의 발전 제어부(63)의 발전 제어 처리를 간결하게 도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같이, 발전 제어부(63)는, 재선 영역 「1」에서는 근방 영역의 최대 전력 수요 예측 「70」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나의 디젤 발전기(2)를 미리 가동시키고, 재선 영역 「2」에서는 근방 영역의 최대 전력 수요 예측 「8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미리 가동시키고, 재선 영역 「3」에서는 근방 영역의 최대 전력 수요 예측 「9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미리 가동시키고, 재선 영역 「4」에서는 근방 영역의 최대 전력 수요 예측 「10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미리 가동시키고, 재선 영역 「5」에서는 근방 영역의 최대 전력 수요 예측 「12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미리 가동시키고, 재선 영역 「6」에서는 근방 영역의 최대 전력 수요 예측 「14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미리 가동시키고, 재선 영역 「7」에서는 근방 영역의 최대 전력 수요 예측 「160」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개의 디젤 발전기(2)를 미리 가동시키고, 재선 영역 「8」에서는 근방 영역의 최대 전력 수요 예측 「180」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개의 디젤 발전기(2)를 미리 가동시키고, 재선 영역 「9」에서는 근방 영역의 최대 전력 수요 예측 「190」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개의 디젤 발전기(2)를 미리 가동시킨다.
이상의 예에서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각 재선 영역을 둘러싸는 8개의 근방 영역의 최대 전력 수요 예측을 취득했지만, 선박 이동 검지부(681)가 검지하는 선박의 이동 방향이나 이동 속도 또는 항해 계획 보유부(672)가 보유하고 있는 선박의 항해 계획에 기초하여, 선박이 향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근방 영역을 추정하는 근방 영역 추정부(682)를 이용함으로써, 추정된 근방 영역의 전력 수요 예측을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선택적으로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어, 재선 영역 「7」에 있는 선박이 (다음) 재선 영역 「8」을 향하고 있는 것을 근방 영역 추정부(682)가 추정할 수 있었던 경우, 전력 수요 취득부(61)는 (다음) 재선 영역 「8」의 전력 수요 예측 「160」만을 취득해도 된다.
계속해서, 이상의 예와는 반대로, 선박이 ★로 도시되는 항행 개시 포인트로부터, ▲로 도시되는 항행 종료 포인트까지, 선박이 항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하여 재선 영역의 숫자는 이상의 예와 동일하게 한다. 따라서, 선박은 「9」의 영역으로부터 「1」의 영역을 순차 재선 영역으로 하면서 항행한다.
선박이 재선 영역 「9」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9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9」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90」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개의 디젤 발전기(2)를 기동한다. 선박이 재선 영역 「8」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8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8」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80」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개의 디젤 발전기(2)를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7」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6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7」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60」에 대응할 수 있도록 3개의 디젤 발전기(2)를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6」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4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6」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4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가동시킨다. 여기서, 이전의 재선 영역 「7」에서는 3개의 디젤 발전기(2)가 기동 완료이기 때문에, 선박이 전력 수요 예측 「140」의 근방 영역에 들어가면 세 번째의 디젤 발전기(2)를 정지할 수 있도록, 선박이 재선 영역 「6」에 있는 동안에 정지 준비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박이 전력 수요 예측 「140」의 근방 영역에 들어간 경우에도 즉시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를 정지시키는 것은 아니고, 선박이 당해 근방 영역 내에 소정의 유예 시간에 걸쳐서 계속하여 체재한 경우에 한하여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예 시간을 마련함으로써, 선박이 전력 수요 예측 「140」의 근방 영역에 들어간 직후에 예를 들어 전력 수요 예측 「160」의 영역으로 재이동한 경우에는,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를 정지 시키지 않고 3개의 디젤 발전기(2)에서 여유를 갖고 전력 수요 예측 「160」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블랙아웃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 예측에 따라서 정해지는 디젤 발전기(2)의 수가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의 수보다 작아진 후, 그 상태가 소정의 유예 시간에 걸쳐서 계속된 경우, 발전 제어부(63)는 기동 완료의 일부의 디젤 발전기(2)를 정지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5」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2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5」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2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4」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10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4」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10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3」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9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3」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9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2」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8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2」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80」에 대응할 수 있도록 2개의 디젤 발전기(2)를 가동시킨다.
선박이 재선 영역 「1」에 있을 때, 8개의 근방 영역에 있어서의 최대의 전력 수요 예측은 「70」이다. 따라서, 발전 제어부(63)는, 선박이 근방 영역에 들어가기 전(즉 선박이 재선 영역 「1」에 있는 동안)에, 전력 수요 예측 「70」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나의 디젤 발전기(2)를 가동시킨다. 여기서, 이전의 재선 영역 「2」에서는 2개의 디젤 발전기(2)가 기동 완료이기 때문에, 선박이 전력 수요 예측 「70」의 근방 영역에 들어가면 두 번째의 디젤 발전기(2)를 정지할 수 있도록, 선박이 재선 영역 「1」에 있는 동안에 정지 준비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박이 전력 수요 예측 「70」의 근방 영역에 들어간 경우에도 바로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를 정지시키는 것은 아니고, 선박이 당해 근방 영역 내에 소정의 유예 시간에 걸쳐서 계속하여 체재한 경우에 한하여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를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예 시간을 마련함으로써, 선박이 전력 수요 예측 「70」의 근방 영역에 들어간 직후에 예를 들어 전력 수요 예측 「80」의 영역으로 재이동한 경우에는, 기동 완료의 디젤 발전기(2)를 정지시키지 않고 2개의 디젤 발전기(2)에서 여유를 갖고 전력 수요 예측 「80」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블랙아웃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전력 수요 맵의 예에서는 모든 영역의 형상이나 면적이 균일했지만, 각 영역의 형상이나 면적은 임의이고 영역마다 달라도 된다. 특히, 항만에서 소정 거리 내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영역의 평균 면적을, 항만에서 소정 거리 외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영역의 평균 면적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만에 가까운 해역에서는, 다른 선박, 육지, 해상 또는 해중의 장해물 등을 회피하기 위하여 섬세하고 치밀한 조선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승선 직후 또는 하선 직전을 위하여 하역 설비나 선내의 전력 수요가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전력 수요 맵의 영역 면적을 작게 함(예를 들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위도 및 경도를 0.01도 간격으로 함)으로써, 전력 수요에 따른 섬세하고 치밀한 발전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항만에서 먼 해역에서는 전력 수요의 변동도 작기 때문에, 전력 수요 맵의 영역 면적을 크게 함(예를 들어,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위도 및 경도를 1도 간격으로 함)으로써 발전 제어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항만에 가까운 해역에서는, 사이드 스러스터나 하역 설비 등의 전기 동력 장치(52)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승선 후의 거주 공간의 셋업이나 하선 준비를 위하여 선내 부하(51)도 커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항만에서 소정 거리 내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영역의 전력 수요 예측의 평균이, 항만에서 소정 거리 외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영역의 전력 수요 예측의 평균보다 커진다.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가 항만에 상당한다.
도 5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소비 전력 측정부(683)는, 선박의 항행 시의 각 재선 영역에 있어서의 선내 부하(51) 및/또는 전기 동력 장치(52)의 소비 전력을 측정한다. 전력 수요 맵 갱신부(684)는, 소비 전력 측정부(683)가 측정한 각 재선 영역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에 기초하여, 전력 수요 맵 보유부(66)가 보유하고 있는 전력 수요 맵을 갱신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재선 영역 「1」에 있어서의 실제의 소비 전력이 「80」이었던 경우, 전력 수요 맵에 기록되어 있었던 「60」의 전력 수요 예측보다 크기 때문에, 전력 수요 맵 갱신부(684)는 재선 영역 「1」의 전력 수요 예측을 새롭게 측정된 「80」으로 갱신한다. 이에 의해, 당해 선박이나 다른 선박이 장래 이 해역을 항행할 때의 발전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관련 정보 취득부(685)는, 선박의 주변 해상, 선박의 주변 천후, 선박의 탑승인수, 시간대, 전기 동력 장치(52)의 사용 상황, 선박의 항행 속도(선박 이동 검지부(681)에서 측정됨), 현재의 소비 전력(소비 전력 측정부(683)에서 측정됨) 등의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전력 수요 보정부(686)는, 관련 정보 취득부(685)가 취득한 관련 정보의 적어도 어느 것에 기초하여,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전력 수요 예측을 보정한다. 예를 들어, 도 7의 재선 영역 「1」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70」의 전력 수요 예측을 취득한 경우에, 선박의 주변 해상이 극히 평온하고, 선박의 주변 천후가 극히 양호, 선박의 탑승인수가 극히 적은, 전력 소비가 극히 적은 심야 등의 시간대, 모든 전기 동력 장치(52)가 불사용, 선박의 항행 속도가 일정 이상이기 때문에 사이드 스러스터나 하역 설비 등의 전기 동력 장치(52)가 사용될 가능성이 극히 낮은, 재선 영역 「1」에 있어서의 현재의 소비 전력이 도 7의 전력 수요 맵에 도시되는 「60」보다 극히 작은 등의, 실제의 전력 수요 예측이 전력 수요 맵의 전력 수요 예측보다 작은 것을 시사하는 관련 정보가 얻어진 경우, 전력 수요 보정부(686)는 전력 수요 취득부(61)가 취득한 「70」의 전력 수요 예측을 예를 들어 「60」으로 보정한다. 또한, 전력 수요 맵 값과, 당해 전력 수요 맵 값이 갱신된 때의 관련 정보를 한데 묶어서 기록해 두면, 당해 관련 정보에 의한 전력 수요 보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실시 형태는 예시이고, 그러한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여러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장치의 기능 구성은 하드웨어 자원 또는 소프트웨어 자원에 의해, 혹은 하드웨어 자원과 소프트웨어 자원의 협동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프로세서, ROM, RAM, 그 밖의 LSI를 이용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자원으로서 오퍼레이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 형태 중, 복수의 기능이 분산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은, 당해 복수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집약하여 형성해도 되고, 반대로 복수의 기능이 집약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당해 복수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산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기능이 집약되어 있는지 분산되어 있는지에 상관없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1: 전원 시스템
2: 디젤 발전기
3: AC 배전반
4: 인버터
6: 발전 제어 장치
51: 선내 부하
52: 전기 동력 장치
61: 전력 수요 취득부
62: 지정 발전량 도출부
63: 발전 제어부
64: 기록부
65: 지정 발전량 보정부
66: 전력 수요 맵 보유부
67: 재선 영역 검지부
641: 입출력 특성 기록부
642: 누적 운전 시간 기록부
671: 선박 측위부
672: 항해 계획 보유부
673: 계시부
681: 선박 이동 검지부
682: 근방 영역 추정부
683: 소비 전력 측정부
684: 전력 수요 맵 갱신부
685: 관련 정보 취득부
686: 전력 수요 보정부.

Claims (15)

  1. 투입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전하는 복수의 발전기가 마련되는 선박에 있어서의 발전 제어 장치이며,
    전력 수요를 취득하는 전력 수요 취득부와,
    상기 전력 수요에 합계가 동등하고, 또한, 상기 각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를 대략 최소로 하는 상기 각 발전기의 지정 발전량을 도출하는 지정 발전량 도출부와,
    상기 지정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를 제어하는 발전 제어부를
    구비하는 발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발전량은, 상기 각 발전기의 발전량과 연료 소비량의 관계에 기초하여 정하는, 발전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전기의 발전량과 연료 소비량을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지정 발전량 도출부는, 상기 기록부의 기록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 발전량을 도출하는,
    발전 제어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발전량 도출부는, 입력으로서의 상기 전력 수요와 출력으로서의 상기 각 발전기의 지정 발전량을 대응짓는 테이블, 또는, 입력으로서의 상기 전력 수요에 기초하여 출력으로서의 상기 각 발전기의 지정 발전량을 산출하는 함수를 구비하는, 발전 제어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요의 증가에 따라 상기 발전 제어부가 새로운 발전기를 기동하는 경우, 기동 완료의 발전기의 발전량의 증가를 정지시키는, 발전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요의 증가에 따라 상기 발전 제어부가 새로운 발전기를 기동하는 경우, 기동 완료의 발전기의 발전량을 감소시키는, 발전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요의 증가에 따라 기동 완료의 각 발전기의 발전량이 소정의 각 기동 역치까지 증가한 경우, 상기 발전 제어부는 새로운 발전기를 기동하는, 발전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동 역치는 상기 각 발전기의 정격 발전량보다 작은, 발전 제어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요의 감소에 따라 상기 발전 제어부가 기동 완료의 일부의 발전기를 정지시키는 경우, 정지되지 않은 발전기의 발전량의 감소를 정지시키는, 발전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요의 감소에 따라 상기 발전 제어부가 기동 완료의 일부의 발전기를 정지시키는 경우, 정지되지 않은 발전기의 발전량을 증가시키는, 발전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수요가 소정의 정지 역치까지 감소한 후, 당해 정지 역치 이하의 상태가 소정의 유예 시간에 걸쳐서 계속된 경우, 상기 발전 제어부는 기동 완료의 일부의 발전기를 정지시키는, 발전 제어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전기의 누적 운전 시간을 기록하는 누적 운전 시간 기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발전 제어부는, 상기 누적 운전 시간이 짧은 발전기에 우선적으로 발전시키는, 발전 제어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발전기가 발전시키는 전력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선박을 구동하는 전기 동력 장치에서 소비시키는, 발전 제어 장치.
  14. 투입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전하는 복수의 발전기가 마련되는 선박에 있어서의 발전 제어 방법이며,
    전력 수요를 취득하는 전력 수요 취득 스텝과,
    상기 전력 수요에 합계가 동등하고, 또한, 상기 각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를 대략 최소로 하는 상기 각 발전기의 지정 발전량을 도출하는 지정 발전량 도출 스텝과,
    상기 지정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를 제어하는 발전 제어 스텝을
    구비하는 발전 제어 방법.
  15. 투입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전하는 복수의 발전기가 마련되는 선박에 있어서의 발전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기억 매체이며,
    전력 수요를 취득하는 전력 수요 취득 스텝과,
    상기 전력 수요에 합계가 동등하고, 또한, 상기 각 발전기의 연료 소비량의 합계를 대략 최소로 하는 상기 각 발전기의 지정 발전량을 도출하는 지정 발전량 도출 스텝과,
    상기 지정 발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발전기를 제어하는 발전 제어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발전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기억 매체.
KR1020220178210A 2021-12-22 2022-12-19 발전 제어 장치, 발전 제어 방법, 기억 매체 KR202300958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208184A JP2023092890A (ja) 2021-12-22 2021-12-22 発電制御装置、発電制御方法、発電制御プログラム
JPJP-P-2021-208184 2021-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834A true KR20230095834A (ko) 2023-06-29

Family

ID=8694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210A KR20230095834A (ko) 2021-12-22 2022-12-19 발전 제어 장치, 발전 제어 방법,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92890A (ko)
KR (1) KR20230095834A (ko)
CN (1) CN1164120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0419A (ja) 2011-10-17 2013-05-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系統の需給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0419A (ja) 2011-10-17 2013-05-13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系統の需給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412026A (zh) 2023-07-11
JP2023092890A (ja)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1712B (zh) 用于操作载具的控制系统
JP6044922B2 (ja) 船舶のハイブリッド運航システムおよびハイブリッド運航船
JP5777346B2 (ja) 船舶電力監視システム、船舶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定期航路船舶の電力監視方法
JP7300038B2 (ja) 電力システム並びに電力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JP6000118B2 (ja) 運航支援システム、及び運航支援方法
US20150035286A1 (en) Methods of operating dual fed systems
KR101712474B1 (ko) 전기 추진 선박용 제어 장치
Sørensen Marine control systems
JP2008024187A (ja) 舶用電気推進装置
JP6678564B2 (ja) 船舶用ハイブリッド推進装置
JP2013209018A5 (ko)
JP5737969B2 (ja) 船舶の電力制御方法及び船舶電力制御システム
JP6271410B2 (ja) 船舶機器メンテナンス判定装置
US9446833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 of the RPM of at least one main engine of a vessel
KR20230095834A (ko) 발전 제어 장치, 발전 제어 방법, 기억 매체
KR20230095835A (ko) 발전 제어 장치, 발전 제어 방법, 기억 매체
JP5787212B2 (ja) 船舶用ハイブリッド式推進システム
Bucci et al. Hybrid-electric solutions for the propulsion of a luxury sailing yacht
JP5025176B2 (ja) 電気推進船の制御装置
JP2016078478A (ja) 船舶の電力制御方法及び船舶
JP6941962B2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装置、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04972A (ko) 선박의 비상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JP6450277B2 (ja) 電気推進船
Hutton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s for the US coast guard's 270-ft medium endurance cutter
WO2017097334A1 (en) Engine parameter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