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767A -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767A
KR20230093767A KR1020210182660A KR20210182660A KR20230093767A KR 20230093767 A KR20230093767 A KR 20230093767A KR 1020210182660 A KR1020210182660 A KR 1020210182660A KR 20210182660 A KR20210182660 A KR 20210182660A KR 20230093767 A KR20230093767 A KR 20230093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rihydroxy
crystallization
isoflavones
cellu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강영규
백흥수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21018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3767A/ko
Publication of KR20230093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원에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올 및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 효능 물질로 매우 유용한 화합물로 알려져 있는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결정 석출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피부 흡수도를 증진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CRYSTALLIZATION OF TRIHYDROXY ISOFLAVONE}
본 개시물에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콩 유래의 물질인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은 항산화, 보습, UVB에 의한 피부암 발병 저해 등의 효과가 뛰어나서 피부에 대한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있어 왔다. 하지만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고 (< 4 μg/mL) 결정성이 높아 실제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가격 경쟁력과 사용감 증진을 위해 물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난용성 물질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난용성 물질을 가용화할 수 있는 용매를 이용하거나 물의 함량을 최소화해야 하는데, 이는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거나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다.
최근에는 무독성 고리형 올리고당 전달체 (non-toxic cyclic oligosaccharides carrier)인 HPBCD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를 이용하여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용해도를 약 200배 이상 증가시킨 바 있으나, 증가된 용해도에 비해 매우 낮은 피부 흡수 증가율 (약 4배)을 보여 여전히 한계를 나타내었다. 유효한 효과를 얻기 위해 많은 양의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사용하는 것은 제형의 단가 상승과 안정도 저하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KR 10-2012-0118946 A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폴리올 및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은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은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판디올, 글리세레스-26 및 부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전체 중량 대비 50배 내지 900배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전체 중량 대비 4배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 및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1 : 0.01 내지 0.5의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이 개선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이 5 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이 5 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종류에 따른 조성물 내 결정 형성 상태를 비교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피부 흡수 정도를 receptor phase로부터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피부 흡수 정도를 Strat M membrane으로부터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폴리올 및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또는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은 이소플라본 구조체에 3개의 수산화기가 결합된 것으로, 예컨대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인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은 결정성이 높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지 않아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다. 본 개시물은 피부 효능 물질로 매우 유용한 화합물로 알려져 있는 난용성 물질인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결정 석출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피부 흡수도를 증가시켜 주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조성물은 물의 함량이 높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내에서도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피부 흡수도 및 사용감을 증가시켜 종래 낮은 용해도와 낮은 피부 흡수도로 인해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어려웠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판디올, 글리세레스-26 및 부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히프로멜로오스라고도 불리우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HPM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25 ℃에서 점도가 2.4 내지 6.0 mPa·s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25 ℃에서 점도가 2.4 내지 6.0 mPa·s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HPMC)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판디올, 글리세레스-26 및 부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판디올이고,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은 부틸렌 글라이콜이고,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의 적정 함량은 폴리올 종류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전체 중량 대비 50배 내지 900배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폴리올 함량이 너무 적으면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을 상온에서 충분히 용해시키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폴리올 함량이 증가하면 상대적으로 물을 많이 함유할 수 없기 때문에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거나 사용감이 나빠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전체 중량 대비 50배 이상, 60배 이상, 70배 이상, 80배 이상, 90배 이상 또는 100배 이상이고 900배 이하, 800배 이하, 700배 이하, 600배 이하, 500배 이하, 400배 이하, 300배 이하, 200배 이하 또는 100배 이하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전체 중량 대비 70배 내지 150배, 70배 내지 130배 또는 70배 내지 100배의 중량 비율로 사용된 것이 사용감 및 결정 석출 억제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전체 중량 대비 4배 이상 또는 4배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함량이 너무 낮으면 결정 석출이 발생할 수 있고,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함량이 너무 높으면 결정이 석출되지는 않지만 점도가 증가되어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전체 중량 대비 4배 이상, 5배 이상, 6배 이상, 7배 이상, 8배 이상, 9배 이상 또는 10배 이상이고 40배 이하, 35배 이하, 30배 이하, 25배 이하, 20배 이하, 15배 이하, 10배 이하 또는 5배 이하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전체 중량 대비 4배 내지 40배, 5배 내지 30배, 6배 내지 20배 또는 6배 내지 10배의 중량 비율로 사용된 것이 사용감 및 결정 석출 억제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 및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1 : 0.01 내지 0.5의 중량비 또는 0.01 내지 0.1의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이 개선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 및 의약외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은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적은 함량으로, 예컨대 0.01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1 중량% 또는 0.05 내지 0.1 중량%로 함유할 때에도 우수한 항산화 및/또는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물의 함량이 80 내지 9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이 5 중량% 이하 또는 0.5 내지 5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조성물 내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결정이 석출되지는 않지만 점도가 증가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은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적은 함량으로, 예컨대 0.01 내지 0.5 중량%, 0.01 내지 0.1 중량% 또는 0.05 내지 0.1 중량%로 함유할 때에도 우수한 항산화 및/또는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물의 함량이 80 내지 9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이 5 중량% 이하 또는 0.5 내지 5 중량%인 것일 수 있다. 조성물 내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면 결정이 석출되지는 않지만 점도가 증가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낮은 용해도와 결정 석출로 인해 다량의 물을 함유하기가 어렵다. 반면, 본 개시물에 따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내 물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적정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될 수 있는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 (制汗)제, 정제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성분은 본 개시물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오일, 영양에센스, 팩, 패취,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및 새도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개시물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물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 중 하나인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이용하여 피부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기제를 대상으로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용해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용해도가 높은 기제는 용해도가 낮은 기제에 비해 소량으로도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을 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물을 함유할 수 있어 사용감이 더욱 증진될 수 있다.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기제 1 mL에 과량의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넣고 37±0.5 ℃에서 200 rpm으로 흔들어 주면서 (Shaking incubator, SI 600R, JEIO TECH, Korea)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10,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멤브레인 필터 (0.2 μm)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메탄올로 희석하여 HPLC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부터 각 기재에 대한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용해도를 산출하여 표 1에 표기하였다.
Measured (mg/mL)
프로필렌 글라이콜 (Propylene Glycol) 10.19±1.20
에탄올 (Ethanol) 9.35±0.98
프로판디올 (Propanediol) 14.18±1.13
글리세린 (Glycerin) 0.18±0.02
글리세레스-26 (Glycereth-26) 12.14±2.60
부틸렌 글라이콜 (butylene glycol) 11.24±0.44
증류수 (DW) 0.03
그 결과, 프로판디올, 글리세레스-26 및 부틸렌 글라이콜이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에 대하여 10 mg/mL 이상의 높은 용해도를 보였으며, 피부 자극이 적어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에 적합한 기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에 대해 적합한 기제로 확인된 부틸렌 글라이콜을 다양한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와 조합하여 냉장 보관 이후 조성물 내 결정 형성 상태를 확인하였다.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메틸셀룰로오스 (MC, Methocel A, Dow 社),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HEC, Natrosol, Ashland 사),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HPC, Klucel, Ashland 사) LF 등급 및 히프로멜로오스 (Hypromellose, Shinetsu 社) 2910의 3, 4.5, 6 mPa.s 타입을 준비하였다.
부틸렌 글라이콜 (BG) 10 g에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0.1 g을 용해시켜 제1 용액을 제조하였다. 표 2에 나타낸 폴리머 1 g을 각각 정제수 88.9 g에 녹여 제2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2 용액에 제1 용액을 적하하여 혼합액 상태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일주일 동안 냉장 보관하는 가속 조건에서 조성물 내 결정 형성 상태를 확인하였다.
  MC HEC HPC LF Hypromellose 3 Hypromellose 4.5 Hypromellose 6
Viscosity
(Vis.; mPa.s)
12.0-18.0 7.1-13.3 6.0-10.0 2.4-3.6 4.0-6.0 4.8-7.2
실험군 1 2 3 4 5 6 7
BG 10 10 10 10 10 10 10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0.1 0.1 0.1 0.1 0.1 0.1 0.1
MC 1
HEC 1
HPC LF 1
HPMC 3 1
HPMC 4.5 1
HPMC 6 1
DW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석출여부 1 3 3 2 5 5 4
(석출 여부: 5-매우 양호, 4-양호, 3-보통, 2-나쁨, 1-매우 나쁨)
그 결과, 표 3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은 실험군 1에서는 다량의 석출이 발생하였으나, 실험군 5 내지 7에서는 양호 또는 매우 양호한 상태의 결정 형성 상태를 보였다. 특히, 실험군 5 및 6에서는 결정 석출이 확인되지 않았다.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용해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실험을 진행할 수 없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매우 양호한 결정 형성 상태를 보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Hypromellose 3)를 사용하여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첨가량에 따른 조성물 내 결정 형성 상태를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실험군 8 9 10
BG 10 10 10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0.1 0.1 0.1
HPMC 3 0.8 0.6 0.4
DW to 100 to 100 to 100
석출여부 5 5 4
(석출 여부: 5-매우 양호, 4-양호, 3-보통, 2-나쁨, 1-매우 나쁨)
그 결과,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함량이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중량 대비 4배 이하가 되기 시작하면 결정이 조금씩 석출되기 시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중량 대비 4배를 초과하여 사용할 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용해도가 높다 하더라도 조성물 내 결정 형성 상태에 피부 흡수도가 달라지고, 종종 결정이 없는 상태의 제형에서 피부 흡수가 더 낮게 나타나는 연구 결과가 있으므로,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피부 흡수 정도를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석출 여부가 매우 나쁨, 보통 및 매우 양호로 측정된 실험군 1, 2 및 5에 대해 프란츠 확산 세포 시스템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사용하여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의 흡수도를 측정하였다. Donor와 receptor phase 사이에 인체 피부와 유사한 Strat M membrane (Merck Millipore, USA)을 고정시켰고, receptor phase는 10% 에탄올로 채우고 항온 수조를 통해 온도를 37±1 ℃로 유지하였다. 24시간 후, receptor phase를 채취하고, Strat M membrane을 분리하여 워싱한 후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추출하여, HPLC로 정량하였다.
그 결과, 석출 여부가 매우 나쁨, 보통 및 매우 양호의 순서대로 피부 흡수 정도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Receptor phase에서는 석출 여부가 매우 나쁨으로 측정된 실험군 1의 경우 정량 한계 미만이었으나, 석출 여부가 매우 양호로 측정된 실험군 5는 실험군 2에 비해 5배 이상의 흡수량을 나타내었다 (도 2 참조). Strat M Membrane에서 추출한 것에 대해서는 실험군 1에 비해 실험군 2는 2배 이상, 실험군 5는 8배 이상의 높은 흡수량을 나타내었다 (도 3 참조).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2에서 매우 양호한 결정 형성 상태를 보인 폴리올과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사용하여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 종류에 따른 조성물 내 결정 형성 상태를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으로는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과 함께 6,7,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및 제니스테인 (Genistein, 4',5,7-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사용하였다.
실험군 5 11 12
BG 10 10 10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0.1
6,7,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 0.1
제니스테인 0.1
HPMC 3 1 1 1
DW to 100 to 100 to 100
석출여부 5 2 3
(석출 여부: 5-매우 양호, 4-양호, 3-보통, 2-나쁨, 1-매우 나쁨)
그 결과, 6,7,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은 부틸렌 글라이콜 (BG)에 용해가 잘 되지 않았으며 같은 조건에서 실험군 5에 비해 나쁜 수준의 결정 형성 상태를 보였다. 또한, 제니스테인은 같은 조건에서 실험군 5에 비해 보통 수준의 결정 형성 상태를 보였다.
이상, 본 개시물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개시물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폴리올 및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은 7,3',4'-트리하이드록시이소플라본을 포함하는 것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프로판디올, 글리세레스-26 및 부틸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전체 중량 대비 50배 내지 900배로 사용되는 것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은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전체 중량 대비 4배 이상으로 사용되는 것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및 셀룰로오스계 폴리머는 1 : 0.01 내지 0.5의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8.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이 개선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이 5 중량% 이하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이 개선된 피부 외용제 조성물.
  10.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셀룰로오스계 폴리머의 함량이 5 중량% 이하인,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82660A 2021-12-20 2021-12-20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KR20230093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60A KR20230093767A (ko) 2021-12-20 2021-12-20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660A KR20230093767A (ko) 2021-12-20 2021-12-20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767A true KR20230093767A (ko) 2023-06-27

Family

ID=8694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660A KR20230093767A (ko) 2021-12-20 2021-12-20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37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946A (ko) 2011-04-20 2012-10-30 (주)아모레퍼시픽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946A (ko) 2011-04-20 2012-10-30 (주)아모레퍼시픽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5298B1 (ko)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조성물
CN111265420A (zh) 一种高效保湿舒敏修护组合物及其应用
JP2009149624A (ja) 皮膚用化粧料
KR20220095126A (ko) 물리적으로 가교된 고분자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을 포함하는 겔 조성물 및 키트
KR20190001136A (ko) 올리고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리프팅 팩 조성물
KR102585227B1 (ko) 폴리페놀계 유효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EP3777825A1 (en) Composition of freeze-dried formulation, cosmetic kit for external use on skin including the same, and its use
KR20200060837A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JP2009096769A (ja) 発酵セルロース含有化粧料
KR20230093767A (ko) 트리하이드록시 이소플라본의 결정 석출 억제용 조성물
JPH09221410A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US20210022981A1 (en) Hyaluronic acid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and a method f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applying the same onto the skin
KR20190061789A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의 수용화 혼합물과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의 수용화 방법
KR960008315B1 (ko) 외용 겔 기제
JP2000319116A (ja) 安定化された没食子酸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外用剤組成物
TWI805601B (zh) 醫藥組成物及抑制其形成結晶的方法
JP2009084243A (ja) 角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角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を含む皮膚外用剤、化粧料、医薬部外品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JP2020011936A (ja) 皮膚外用ジェル製剤
KR102565060B1 (ko) 가교된 히알루론산 겔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30421A (ko) 트랜스 쿠미닉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645531B1 (ko) 게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을 함유하는 액정젤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03383A (ko) 높은 제형 안정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6882B1 (ko) 벤조산아마이드 화합물 및 용해보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JP3351954B2 (ja) 乳化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