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951A -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951A
KR20230092951A KR1020237016008A KR20237016008A KR20230092951A KR 20230092951 A KR20230092951 A KR 20230092951A KR 1020237016008 A KR1020237016008 A KR 1020237016008A KR 20237016008 A KR20237016008 A KR 20237016008A KR 20230092951 A KR20230092951 A KR 20230092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mobile electronic
case
actuator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빗 비. 바넷
Original Assignee
팝소켓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팝소켓 엘엘씨 filed Critical 팝소켓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09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manual activation of emergency-service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larm System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케이스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케이스 본체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는 적어도 2개의 버튼 접근 수단을 포함하고,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물리적 버튼을 포함한다.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작동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작동기는 2개 이상의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맞물림 부재는, 버튼 접근 수단과 협력하여,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케이스가 장착되고 작동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누른다. 맞물림 부재는 작동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본 출원은 2020년 10월 23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105,145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의 쉬운 활성화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또는 애드-온(add-on)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는 전형적으로, 특정 시퀀스로 또는 임계 시간량 동안, 디바이스 상의 다수의 물리적 버튼을 누를 시에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내장된 긴급 기능이 갖춰져 있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과정일 수 있고, 실제 긴급상황에서 실행하기가 특히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일부 사용자는 신체적 제약으로 인해 동시에 또는 필요한 기간 동안 다수의 버튼을 누를 수 없을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케이스 본체는 적어도 2개의 버튼 접근 수단을 포함하며,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물리적 버튼을 포함한다. 케이스는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작동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작동기는 2개 이상의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맞물림 부재는, 버튼 접근 수단과 협력하여,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케이스가 장착되고 작동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누르도록 구성된다. 맞물림 부재는 작동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버튼 접근 수단 각각은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버튼 접근 수단 각각은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가요성 또는 반강성 버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작동기는 케이스 본체의 대향 측면에 힌지식으로 부착된 레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맞물림 부재는 작동기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된 제1 탭 및 작동기의 제2 측면 상에 형성된 제2 탭을 포함하고, 작동기의 제1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1 측면에 부착되고, 작동기의 제2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2 측면에 부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작동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i) 2개 이상의 버튼 접근 수단 중 하나와 협력하는 제1 탭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1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하고, (ii) 2개 이상의 버튼 접근 수단 중 또 다른 하나와 협력하는 제2 탭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2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물리적 버튼과 제2 물리적 버튼을 거의 동시에 누르는 것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활성화 기능에 대응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작동기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기계적-전기적 조립체에 의해 인가된 힘에 의해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작동기는 케이스 본체의 대향 측면들과 미끄러질 수 있게 맞물리는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는 사용자가 슬라이드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게 하는 일체로 형성된 사용자 제어 부재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맞물림 부재는 작동기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된 제1 날개 및 작동기의 제2 측면 상에 형성된 제2 날개를 포함하고, 작동기의 제1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1 측면에 부착되고, 작동기의 제2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2 측면에 부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작동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i) 2개 이상의 버튼 접근 수단 중 하나와 협력하는 제1 날개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1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하고, (ii) 2개 이상의 버튼 접근 수단 중 또 다른 하나와 협력하는 제2 날개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2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물리적 버튼과 제2 물리적 버튼을 거의 동시에 누르는 것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활성화 기능에 대응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상이한 동작 위치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a 및 2b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상이한 동작 위치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예에 따르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기계적 또는 기계적-전기적 조립체는, 특정 시퀀스로 또는 임계 시간량 동안, 디바이스 상의 다수의 물리적 버튼을 누르는 것을 포함하는 긴급 기능 활성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 활성화 시퀀스에 대응하는 다중 지점 입력으로 변환되는 단일 지점 사용자 입력을 사용하여 작동된다.
기계적 또는 기계적-전기적 조립체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 케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애드-온 조립체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기계적 조립체의 경우, 조립체의 작동은,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기계적 구성요소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복수의 물리적 버튼이 동시에 눌려지게 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지정된 수조작력을 사용자가 인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눌려지는 버튼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의 활성화에 요구되는 시퀀스 또는 지속기간에 대응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기계적-전기적 조립체의 경우에, 조립체의 작동은 사용자가 지정된 수조작력을 인가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이 수조작력은 조립체의 전기 회로를 활성화시키며, 이 전기 회로는 차례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다수의 물리적 버튼이 동시에 눌려지게 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기계적 구성요소에 결합되고, 여기서 역시, 눌려지는 버튼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의 활성화에 요구되는 시퀀스 또는 지속기간에 대응한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개시가 긴급 기능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어 제시되지만, 개시된 발명은 다수의 버튼/스위치의 누름을 요구하거나 또는 연장된 시간 기간 동안 단일 버튼의 누름을 요구하는 임의의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기능,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전원 켜기, 리셋 수행, 스크린샷 찍기 등의 맥락에서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는 것이 동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케이스(100)가 장착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스(100)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 케이스의 측방향 측면들 상에 부착된 기계적 레버(120) 형태의 작동기를 포함하고, 케이스의 어느 한 측면 상의 탭(125) 형태의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케이스(100)는 케이스(100)의 양 측면 모두 또는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된 버튼 접근 수단[예를 들어, 복수의 버튼/개구(130a 내지 13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케이스(100)는 더 많거나 적은 버튼 접근 수단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버튼/개구(130a 내지 130c)는 케이스(100)가 장착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과 정렬하도록 케이스(100)를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버튼 접근 수단[예를 들어, 버튼/개구(130a 내지 130c)]은, 케이스(100)가 장착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덮고 수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케이스 본체(110)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가요성 또는 반강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버튼 접근 수단[예를 들어, 버튼/개구(130a 내지 130c)]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이 통과해 돌출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접근 수단[예를 들어, 버튼/개구(130a 내지 130c)]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버튼을 덮고 수용하는 가요성 또는 반강성 재료를 포함하는지, 또는 버튼 접근 수단[예를 들어, 버튼/개구(130a 내지 130c)]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이 통과해 돌출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는지에 관계없이, 케이스(100)는 케이스(100)가 장착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튼에 대한 접근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접근로는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모바일 디바이스 버튼이 외부의 기계적 힘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도 1a 및 도 1b를 계속 참조하면, 도 1a는 작동기, 예를 들어 레버(120)의 제1 동작 위치를 도시하고, 여기서 레버(120)는 수직 위치에 있고, 그 결과 맞물림 부재, 예를 들어 탭(125)은 버튼/개구(130a 및 130c)에 각각 인접하지만 접촉하지 않는다. 도 1b는 레버(120)가 이제 수직 위치로부터 비스듬한 위치로 이동되고, 그 결과, 탭(125)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위에서 이동하게 되어 버튼/개구(130a 및 130c)에 의해 정의된 영역에서 기계적 힘을 인가하게 되는 레버(120)의 제2 동작 위치를 도시한다. 그 결과,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이 눌려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조립체에 의해 다중 지점 입력[예를 들어, 버튼/개구(130a 및 130c) 둘 다에 대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변환되는 단일의 간단한 입력 지점[레버(120)를 아래로 누르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다중 지점 입력은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 활성화 시퀀스에 대응한다.
또한, 케이스(100)는, 임의의 연장된 기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유지되지 않고 다중 지점 입력을 유리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버튼/개구(130a 및 130c)의 위치에 대응하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물리적 버튼이 사용자가 레버(120)와의 접촉을 정지한 후에도(특정 실시예에서 바람직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편향된 힌지가 달리 갖춰지지 않은 한) 탭(125)에 의해 계속 눌려질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탭(125)의 길이는 모바일 디바이스 버튼 위치에 따라, 또는 하부 버튼/개구(130b)에 대응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버튼과 같은 추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 버튼을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 변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스(200)는 케이스 본체(210), 슬라이드(220) 형태의 작동기 및 선택적 후방 판(230)을 포함한다. 작동기, 예를 들어 슬라이드(2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측면 표면을 따라 본체(210)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220)는 본체(210)의 내부(또는 외부) 측면 표면에 합치하고 이와 미끄러질 수 있게 맞물리도록 구성된 대향 측면들 상에 배치된 만곡된 날개부의 형태의 맞물림 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드(220)는 이하에 도 3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220)를 작동하기 위한 사용자 접촉 지점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제어 부재(225)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 후방 판(230)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후방 보호를 제공하고/제공하거나 슬라이드(220)를 본체(21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 후방 판(230)이 사용될 때, 슬라이드(220)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자 제어 부재(225)에 대한 사용자 접근로를 제공하도록 접근 포트(235)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는 도 1a 및 도 1b의 버튼/개구(130a 내지 130c)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면서 케이스(200)가 장착된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물리적 버튼의 위치에 유사하게 대응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개구(도면 부호 없음)를 갖도록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200)의 2개의 상이한 동작 위치를 도시하는, 도 2a 및 도 2b의 케이스(200)가 장착된 모바일 디바이스(300)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320a)에서, 슬라이드(220)는 그것의 만곡된 날개부가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모든 물리적 버튼들(310a 내지 310c) 아래에 위치되도록 하부 위치에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는, 모바일 디바이스(300)에 장착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300)의 물리적 버튼(310a 내지 310c)의 위치에 대응하는 도 1a 및 도 1b의 버튼/개구(130a 내지 130c)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하나 이상의 버튼/개구(도면 부호 없음)로 구성된다.
슬라이드(220)가 케이스(200)의 내부(또는 외부) 측면 표면과 미끄러질 수 있게 맞물리는 것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220)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제어 부재(225)에 접촉하고 이를 위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제1 위치(320a)로부터 제2 위치(320b)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위치(320b)가 제1 위치(320a)보다 높기 때문에, 슬라이드(220)의 만곡된 날개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0)의 대응하는 버튼/개구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물리적 버튼(310b 및 310c)의 상부 위로 미끄러져 이들을 누를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조립체에 의해 다중 지점 입력[예를 들어, 버튼(310b 및 310c) 둘 다를 누르는 것]으로 변환되는 단일의 간단한 입력 지점[사용자 제어 부재(225)를 위로 미끄러지게 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다중 지점 입력은 바람직하게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 활성화 시퀀스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스(200)는 사용자 입력을 유지하지 않고 다중 지점 입력을 유리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사용자가 사용자 제어 부재(225)와의 접촉을 정지한 후에도 버튼(310b, 310c)이 슬라이드(220)의 날개부에 의해 계속 눌려질 것[특정 실시예에서 바람직할 수 있는 제1 위치(320a)를 향한 편향이 달리 갖춰지지 않는 한]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슬라이드(220)의 날개부는 이 예에서 버튼(310b 및 310c)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지만, 날개부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220)가 제2 위치(320b)에 있을 때 버튼(310b)이 통과해 튀어나와 눌려지지 않은 채로 유지되는 노치(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제2 위치(320b)에서 버튼(310a 및 310b)과 맞물리지만 310c와 맞물리지 않도록, 또는 심지어 버튼(310a 및 310c)과 맞물리지만 310b와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동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2개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전술된 바와 같이, 기계적-전기적 조립체뿐만 아니라 다수의 다른 기계적-전용 조립체를 포함하는 다수의 다른 구성이 본 개시내용의 범주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특정 요소,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여러 곳에서 나오는 "일 실시예에서"라는 문구 모두가 꼭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는 "결합된" 및 "연결된"이라는 표현을 그들의 파생어와 함께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는 2개 이상의 요소가 직접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용어 "결합된"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용어 "결합된"은 또한 2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지만, 여전히 서로 협력하거나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는 이러한 맥락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포함한다(includes)", "포함하는(including)", "갖는다(has)", "갖는(having)" 또는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요소들의 목록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는 반드시 이들 요소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고유한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포괄적 또는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조건 A 또는 B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충족된다: A는 참이고 (또는 존재하고) B는 거짓이다 (또는 존재하지 않다), A는 거짓이고 (또는 존재하지 않고) B는 참이다 (또는 존재한다), 및 A및 B 둘 다 참이다 (또는 존재한다).
또한, 부정 관사("a" 또는 "an")의 사용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소 및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단지 편의를 위해 그리고 다양한 실시예의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하기 위해 행해진다. 본 설명은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읽혀져야 하며, 단수는 또한 달리 의미됨이 명백하지 않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도면 내의 요소들은 단순성 및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고 반드시 축척에 맞게 그려진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들 내의 요소들 중 일부의 치수 및/또는 상대 위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이해를 개선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상업적으로 실현가능한 실시예에서 유용하거나 필요한, 통상적이지만 잘 이해되는 요소는 이들 다양한 실시예의 보여주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종종 도시되지 않는다.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몇몇 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었지만, 임의의 예에서의 임의의 특징은 다른 예에서의 다른 특징과 조합되거나 다른 특징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예들이 본원에 개시되었지만,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범위 내에서 개시된 예에 대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전술된 실시예에 관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조합은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9)

  1.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케이스이며: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케이스 본체 - 케이스 본체는 적어도 2개의 버튼 접근 수단을 포함하고,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물리적 버튼을 포함함 -; 및
    케이스 본체에 결합되고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작동기 - 작동기는 2개 이상의 맞물림 부재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맞물림 부재는, 버튼 접근 수단과 협력하여,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케이스가 장착되고 작동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누르고,
    맞물림 부재는 작동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누르지 않는,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버튼 접근 수단 각각은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개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버튼 접근 수단 각각은 케이스 본체에 형성된 가요성 또는 반강성 버튼을 포함하는,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케이스 본체의 대향 측면에 힌지식으로 부착된 레버를 포함하는,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맞물림 부재는 작동기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된 제1 탭 및 작동기의 제2 측면 상에 형성된 제2 탭을 포함하고, 작동기의 제1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1 측면에 부착되고, 작동기의 제2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2 측면에 부착되는,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작동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i) 2개 이상의 버튼 접근 수단 중 하나와 협력하는 제1 탭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1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하고, (ii) 2개 이상의 버튼 접근 수단 중 또 다른 하나와 협력하는 제2 탭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2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하는,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제1 물리적 버튼 및 제2 물리적 버튼을 거의 동시에 누르는 것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활성화 기능에 대응하는,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사용자에 의해 또는 기계적-전기적 조립체에 의해 인가된 힘에 의해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케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케이스 본체의 대향 측면들과 미끄러질 수 있게 맞물리는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케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는 사용자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를 이동시키게 하는 일체로 형성된 사용자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스.
  11. 제9항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맞물림 부재는 작동기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된 제1 날개 및 작동기의 제2 측면 상에 형성된 제2 날개를 포함하고, 작동기의 제1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1 측면에 부착되고, 작동기의 제2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2 측면에 부착되는, 케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작동기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i) 2개 이상의 버튼 접근 수단 중 하나와 협력하는 제1 날개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1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하고, (ii) 2개 이상의 버튼 접근 수단 중 또 다른 하나와 협력하는 제2 날개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2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하는, 케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제1 물리적 버튼 및 제2 물리적 버튼을 거의 동시에 누르는 것이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활성화 기능에 대응하는, 케이스.
  14.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케이스이며: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케이스 본체 - 케이스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케이스 버튼 또는 개구를 포함하고,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물리적 버튼을 포함함 -; 및
    케이스 본체의 대향 측면에 힌지식으로 부착되고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레버 - 레버는 적어도 2개의 탭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탭은, 적어도 2개의 케이스 버튼 또는 개구와 협력하여,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케이스가 장착되고 레버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누르고,
    적어도 2개의 탭은, 레버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누르지 않는, 케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탭은 레버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된 제1 탭 및 레버의 제2 측면 상에 형성된 제2 탭을 포함하고, 레버의 제1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1 측면에 부착되고, 레버의 제2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2 측면에 부착되는, 케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레버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i) 적어도 2개의 케이스 버튼 또는 개구와 협력하는 제1 탭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1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하고, (ii) 적어도 2개의 케이스 버튼 또는 개구 중 또 다른 것과 협력하는 제2 탭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2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하는, 케이스.
  17.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케이스이며: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케이스 본체 - 케이스 본체는 적어도 2개의 케이스 버튼 또는 개구를 포함하고,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물리적 버튼을 포함함 -; 및
    케이스 본체의 대향 측면들과 미끄러질 수 있게 맞물리고 적어도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 슬라이드는: (i) 사용자가 슬라이드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게 하는 일체로 형성된 사용자 제어 부재 및 (ii) 제1 날개 및 제2 날개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제1 날개 및 제2 날개는, 적어도 2개의 케이스 버튼 또는 개구와 협력하여,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에 케이스가 장착되고 슬라이드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누르고,
    제1 날개 및 제2 날개는 슬라이드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물리적 버튼을 누르지 않는, 케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날개는 슬라이드의 제1 측면 상에 형성되고, 제2 날개는 슬라이드의 제2 측면 상에 형성되고, 슬라이드의 제1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1 측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드의 제2 측면은 케이스 본체의 제2 측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케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슬라이드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i) 적어도 2개의 케이스 버튼 또는 개구와 협력하는 제1 날개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1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하고, (ii) 적어도 2개의 케이스 버튼 또는 개구 중 또 다른 것과 협력하는 제2 날개는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대응하는 제2 물리적 버튼이 눌려지게 하는, 케이스.
KR1020237016008A 2020-10-23 2021-10-15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202300929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105145P 2020-10-23 2020-10-23
US63/105,145 2020-10-23
PCT/US2021/055164 WO2022086811A1 (en) 2020-10-23 2021-10-15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feature activatio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951A true KR20230092951A (ko) 2023-06-26

Family

ID=8125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008A KR20230092951A (ko) 2020-10-23 2021-10-15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995975B2 (ko)
EP (1) EP4233178A1 (ko)
JP (1) JP2023546600A (ko)
KR (1) KR20230092951A (ko)
CN (1) CN116349139A (ko)
AU (1) AU2021364695A1 (ko)
CA (1) CA3195462A1 (ko)
CO (1) CO2023004784A2 (ko)
MX (1) MX2023004694A (ko)
WO (1) WO2022086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081515A1 (en) 2022-09-13 2024-03-14 ohSnap, Inc. Grip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1858B2 (en) * 2014-01-03 2016-03-08 Incipio, Llc Co-molded multi-layered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US9795044B2 (en) * 2011-08-22 2017-10-17 Catalyst Lifestyle Limited Waterproof case
US20130214018A1 (en) * 2012-02-21 2013-08-22 Yu Long Zhang Cellular Telephone Case
US9101188B2 (en) * 2012-05-08 2015-08-1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integral stand
US20160156754A1 (en) 2012-11-16 2016-06-02 Manuel Cotelo Cell phone case with illuminated magnifier
US9755444B2 (en) 2013-02-25 2017-09-05 Mophie, Inc. Protective case with switch cover
US9473192B2 (en) 2015-03-10 2016-10-18 Incipio, Llc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having cover with opaque and transparent regions
US9571149B2 (en) * 2015-04-09 2017-02-14 Griffin Technology, Inc. Tablet computer case
US9917937B1 (en) * 2016-12-27 2018-03-13 Incipio, Llc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camera ring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95462A1 (en) 2022-04-28
AU2021364695A1 (en) 2023-05-18
WO2022086811A1 (en) 2022-04-28
CN116349139A (zh) 2023-06-27
CO2023004784A2 (es) 2023-06-20
JP2023546600A (ja) 2023-11-06
US11995975B2 (en) 2024-05-28
US20220130229A1 (en) 2022-04-28
EP4233178A1 (en) 2023-08-30
MX2023004694A (es)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2296A2 (en) Key structure of keyboard device
US4468542A (en) Keyboard assembly
KR20080009656A (ko) 스위치 및 그 작동 방법
TW201537599A (zh) 電子裝置
KR20230092951A (ko)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JP5571487B2 (ja) 電子機器
JP4484942B1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
TW200832470A (en) Switch
JP2007157644A (ja) スイッチ装置
US5579903A (en) Cam follower assembly for use in a latching switch
CN104981119B (zh) 电子装置
CN108241435B (zh) 防水键盘
JP2011141972A (ja) 防滴スライドスイッチおよび電子機器
KR20080082792A (ko)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TWI500059B (zh) 按鍵結構
US9001043B2 (en) Mouse device
JP5281538B2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US5376764A (en) Three-way switch
JP6604642B1 (ja) ロッカースイッチのスライド操作変換用アダプタ。
RU2810307C2 (ru)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WO2016041516A1 (zh) 按键开关、按键单元及电脑键盘
JP5056451B2 (ja) 操作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
JPH0317376Y2 (ko)
JPH0322502A (ja) スライドツマミの取付け構造
JP2868378B2 (ja) タッチラッチのロック解除防止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