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9656A - 스위치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9656A
KR20080009656A KR1020070073597A KR20070073597A KR20080009656A KR 20080009656 A KR20080009656 A KR 20080009656A KR 1020070073597 A KR1020070073597 A KR 1020070073597A KR 20070073597 A KR20070073597 A KR 20070073597A KR 20080009656 A KR20080009656 A KR 20080009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utton
slide
hous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엠. 크리스토퍼
랸 피. 라이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0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6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along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H01H2025/004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operating member being depressable perpendicular to the other directi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lide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조합형 활주 푸쉬 버튼 스위치가 개시된다. 조합형 스위치는 하우징(102)에 결합된 활주 버튼 스위치(101)를 포함한다. 활주 스위치 버튼은 하우징에 활주 스위치 버튼을 활주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핑거부(202)를 포함하고, 핑거부는 하우징에 대하여 활주 스위치 버튼의 활주 작용의 기능으로서 제2 스위치(108)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작동부를 갖는다. 활주 스위치 버튼은 활주 스위치 버튼의 하우징에 대해 제1 활주 위치(300)로 위치설정될 때, 포플 돔 스위치(106)와 맞물리도록 활주 작용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푸쉬 버튼 운동으로 이동한다.
활주 푸쉬 버튼 스위치, 하우징, 핑거부, 포플 돔 스위치, 제1 활주 위치

Description

스위치 및 그 작동 방법{A SWITCH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합형 푸쉬 버튼 슬라이더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헤드셋과 같은 전자 장치는 장치를 제어하고, 또한 동시에 버튼 갯수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최소 갯수의 버튼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총 세 개의 버튼에 대해 모드 선택 스위치 및 그 후 볼륨 제어 스위치로 겸용하는, 유닛을 켜고 끄는 전원 스위치가 있다. 먼저 장치에 전원을 켜기 위해 전원/모드 선택 버튼이 가압되고, 일단 전원이 켜지면, 버튼은 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소수의 버튼을 갖는 이들 소정의 무선 헤드셋은 귀에 직접 운반되고, 사용자가 적절한 버튼을 위해 주위를 더듬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동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능성을 향상시키면서 세 개의 버튼 설계를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전원 온 오프 기능성을 갖는, 시장의 대부분의 헤드셋은 푸쉬 버튼(가압 및 보유)의 인터페이스가 통합되었다. 하나의 단일 작동 버튼 내에 다중 특징부를 배치하는 것과, 또한 다른 기능 및 광 지시에 대한 일정 시한 유지를 갖는 것으로 인해 혼란스러운 제품이 제조되고, 의도하지 않은 작동이 유발된다.
다른 해결법은 스위치 및/또는 비마모성 기구의 추가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한다. 이들 장치는 사용자 및 대부분의 제품에 더 혼동되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또한 무조건 사용될 수도 없다.
본 개시의 다양한 태양, 특징 및 장점은 아래 설명된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 상세한 설명의 신중한 고려를 토대로 당업자에게는 보다 충분히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면은 명확함을 위해 간략화될 수도 있고 반드시 일정 비례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유사한 참조번호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통해 예시의 방식으로 도시되고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도면의 요소가 간략함 및 명료함을 위해 도시되고 반드시 일정 비례로 그려진 것은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의 소정의 요소의 치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의 향상을 돕기 위해 다른 요소에 대하여 과장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조합형 활주 푸쉬 버튼이 개시된다. 조합형 스위치는 하우징에 결합된 활주 스위치 버튼을 포함한다. 활주 스위치 버튼은 하우징에 활주 스위치 버튼을 활주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핑거부를 포함하고, 핑거부는 하우징에 대해 활주 스위치 버튼의 활주 작용의 기능으로서 제1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작동부를 갖는다. 활주 스위치 버튼이 하우징에 대해 제1 활주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활주 스위치 버튼은 포플 돔 스위치(popple dome switch)와 맞물리도록 활주 작용에 대한 수직한 방향으로 푸쉬 버튼 운동으로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프 스프링은 활주 스위치 버튼과 하우징 사이에 결합된다. 리프 스프링은 눌려진 제2 버튼 위치로부터 제1 버튼 위치로 활주 스위치 버튼을 복귀시킨다. 활주 스위치 버튼의 활주 작용은 장치를 켜고 끈다. 푸쉬 버튼 운동은 장치를 제어하고, 수행된 작동은 버튼이 푸쉬되는 시간과, 버튼이 푸쉬되는 기간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우선 본 발명이 방법 단계의 조합으로 존재함을 알 수 있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의 잇점을 갖는,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상세로 개시 내용을 불명료하게 만들지 않도록,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적절한 이들 특정 상세만을 보여주는 도면의 전통적인 기호에 의해 사용된, 방법 단계들이 도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임의의 실제의 이러한 관계 또는 이러한 실체물 또는 활동 사이의 순서를 반드시 요구 또는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실체물 및 활동으로부터 하나의 실체물 또는 활동을 단지 구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또는 임의의 다른 변 형들은 배타적이지 않은 포함 관계를 커버하도록 의도되므로, 요소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공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는 단지 이들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고 이러한 공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특별히 열거되지 않고 본래 갖고 있지 않는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포함하다"에 의해 선행된 요소는 다른 제한사항 없이, 요소를 포함하는 공정,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추가의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조합형 푸쉬 버튼 활주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조합형 활주 버튼 스위치의 예시적인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활주 스위치 버튼(101)은 하우징(102)에 의해 활주가능하게 지지된다. 하우징(102)은 제1 스위치(106) 및 제2 스위치(108)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104)을 지지한다. 제1 스위치(106)는 제1 작동 방법에 의해 작동되고 제2 스위치(108)는 제2 작동 방법에 의해 작동된다. 제1 스위치(106)는 장치의 모드를 제어 또는 장치의 일정한 특징부를 작동시키는 제어 스위치이다. 제2 스위치(108)는 전원을 켜고 끄기 위한 전원 스위치이다. 활주 스위치 버튼이 전원 꺼진 구성에 있을 때, 제1 스위치(106)는 물리적으로 불능이 된다. 하우징은 포플 돔 작동기 아암(112)를 포함한다. 포플 돔 작동기 아암(112)은 활주 버튼 스위치(101)와 제1 스위치(106) 사이에서 연장된다. 포플 돔 작동기 아암(112)은 활주 버튼 스위치가 회로 기판(104)을 향하 여 눌려질 때, 활주 버튼 스위치(101)가 포플 돔 작동기 아암(112)과 맞물리고 그 후 차례로 제1 스위치(106)와 맞물리도록 만곡된다.
일 실시예에서, 조합형 활주 버튼 스위치는 활주 버튼 스위치(101)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다음에 해제된 후에, 제1 위치로 버튼을 복귀시키도록 리프 스프링(116)을 포함한다. 눌려지지 않은 또는 오프 위치에 활주 버튼 스위치를 복귀 또는 유지하도록 다른 버튼 복귀 장치가 채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활주 버튼 스위치(101)는 활주 버튼 스위치(101)가 본래대로 형성하게 하거나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게 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은 눌려지지 않은 위치로 활주 버튼 스위치(101)를 복귀시키도록 활주 버튼 스위치(101)와 회로 기판 등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활주 스위치 버튼(101)은 본 실시예에서 화살표(111)로 나타낸 방향으로 외부로 전후로 활주한다. 활주 스위치 버튼은 하우징(102)의 빈틈인 슬롯(120, 122, 124, 126)의 하우징(102)에 대해 활주한다. 도2는 조합형 활주 버튼 스위치의 예시적인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핑거부(202, 204, 206)는 하우징(102)에 활주 버튼 스위치(101)를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활주 스위치 버튼(101)은 하우징(102)의 리세스된 영역(118) 내에서 활주한다. 활주 버튼 스위치(101)의 활주 작용의 결과로 제1 핑거부(202)는 제2 스위치(108)의 토글 아암(110)과 맞물린다. 활주 버튼 스위치(101)가 제1 스위치로부터 멀리 활주될 때, 제2 스위치의 토글 아암은 오프 또는 개방 회로 위치로 제1 스위치(106)를 토글한다. 활주 버튼 스위치(101)가 제1 스위치를 향해 활주될 때, 제2 스위치의 토글 아암(110)은 회로를 완료시키고 장치를 켜는 온 또는 폐쇄 위치로 토글한다.
활주 버튼 스위치(101)는 또한 활주 운동의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활주 버튼 스위치(101)는 제1 스위치(106)와 맞물리도록 푸쉬 버튼 운동으로 수직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는 제1 스위치(106)에 대해 수직한 운동에 의해 작동되는 포플 돔 스위치(106)이다.
도3에는 "온" 구성(300)의 활주 버튼 스위치(101)의 단면도가 예시적인 실시예로 도시된다. 활주 버튼 스위치가 제1 스위치(106)를 작동시키기 위해 "온" 구성(300)에 있을 때, 활주 버튼 스위치(101)는 단지 눌려질 수도 있다. 활주 버튼 스위치(101)는 포플 돔 작동기 아암(112)과 맞물리는 제1 스위치 작동부(302)를 갖는다. 활주 버튼 스위치(101)가 "온" 구성(300)으로 정렬될 때, 제1 스위치 작동부(302)는 그 후 포플 돔 스위치(106)를 작동시키는 포플 돔 작동기 아암(112)과 정렬 및 맞물린다. 본 실시예에서, 포플 돔 스위치(106)는 모멘터리 스위치이고, 작동 모드를 포함하는 장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도4는 본 실시예의 오프 위치에 있는 제2 위치의 스위치(1010)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스위치(108)는 핑거부(202)에 의해 맞물려지고, 오프 위치로 토글된다. 오프 위치에서, 활주 버튼 스위치(101)의 빈틈(304)은 포플 돔 작동기 아암(112)과 정렬된다. 활주 버튼 스위치(101)는 포플 돔 스위치를 작동시키고, 활주 버튼 스위치(101)가 오프 위치에 있을 때 제1 스위치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플 돔 작동기 아암(112)과 접촉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헤드셋(Bluetooth headset)의 작동 방법은 온 위치(300)로 활주 버튼 스위치(101)를 활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후 포플 돔 스위치(106)를 작동시키도록 푸쉬 버튼 운동으로 활주 버튼 스위치를 누른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을 켠 후 즉시 포플 돔 스위치(106)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블루투스 헤드셋을 예를 들어, 발견 모드에 놓는다. 일 초의 기간 동안 활주 버튼 스위치(101)를 보유하는 단계는 콜 세션을 작동시킨다. 콜 세션 후에, 사용자는 콜 세션을 종료시키기 위해 활주 버튼 스위치(101)를 잠시 누를 수도 있다. 사용자는 그 후 블루투스 헤드셋을 끄기 위해 오프 위치로 활주 버튼 스위치를 활주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 및 그 최상의 모드가 발명자에 의한 점유를 달성하고 이를 당업자로 하여금 제조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한 많은 균등물들이 존재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 사상을 일탈함 없이 그에 대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아닌, 후속의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조합형 활주 버튼 스위치의 예시적인 상부 사시도.
도2는 조합형 활주 버튼 스위치의 예시적인 하부 사시도.
도3은 제1 위치에서의 스위치의 예시적인 단면도.
도4는 제1 위치에서의 스위치의 예시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활주 스위치 버튼
104 : 회로 기판
106 : 제1 스위치
108 : 제2 스위치
110 : 토글 아암
118 : 리세스 영역
112 : 작동기 아암
202 : 핑거부

Claims (1)

  1. 조합형 푸쉬 버튼 활주 스위치이며,
    내부에 수납된 회로 기판을 갖는 하우징과,
    회로 기판 상에 휴대된 제1 스위치와,
    회로 기판 상에 휴대된 제2 스위치와,
    하우징에 활주가능하게 결합된 활주 스위치 버튼과,
    하우징에 활주 스위치 버튼을 활주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활주 스위치 버튼으로부터 연장되고, 작동부를 갖는 핑거부와,
    활주 스위치 버튼과 제2 스위치 사이에 결합된 작동기 아암을 포함하고,
    활주 스위치 버튼은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작동부는 하우징에 대한 활주 스위치 버튼의 활주 작용의 기능으로서 제1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활주 스위치 버튼은, 활주 스위치 버튼이 하우징에 대해 제1 활주 위치에 위치설정될 때, 포플 돔 스위치와 맞물리도록 활주 작용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푸쉬 버튼 운동으로 이동하는 조합형 푸쉬 버튼 활주 스위치.
KR1020070073597A 2006-07-24 2007-07-23 스위치 및 그 작동 방법 KR200800096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59,611 US20080029374A1 (en) 2006-07-24 2006-07-24 Switch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US11/459,611 2006-07-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656A true KR20080009656A (ko) 2008-01-29

Family

ID=3852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597A KR20080009656A (ko) 2006-07-24 2007-07-23 스위치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029374A1 (ko)
EP (1) EP1883089A3 (ko)
KR (1) KR20080009656A (ko)
CN (1) CN101114548A (ko)
BR (1) BRPI0705736A (ko)
CA (1) CA2593175A1 (ko)
MX (1) MX20070088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35767A (zh) * 2004-08-12 2007-09-12 普洛希典有限公司 被取代的苯乙酰胺及其作为葡糖激酶激活剂的用途
CN101527214B (zh) * 2008-03-07 2011-02-16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键结构及具有该键结构的电子装置
US8400263B2 (en) * 2008-11-19 2013-03-19 Honda Motor Co., Ltd. Sliding key fob
US8188838B2 (en) * 2008-11-19 2012-05-29 Honda Motor Co., Ltd. Sliding key fob
CN102044349B (zh) * 2009-10-15 2014-01-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TWI426536B (zh) * 2009-11-24 2014-02-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子裝置
FR2954576B1 (fr) * 2009-12-18 2012-12-21 Somfy Sas Dispositif de commande et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CN102841675B (zh) 2011-06-23 2017-07-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移动终端输入控制方法
CN103775728B (zh) * 2012-10-19 2016-05-25 郑美丽 阀体的定位结构
CN105895431B (zh) * 2014-12-22 2020-03-31 施耐德电气(澳大利亚)有限公司 按钮开关组件和操作部分
CN112242259B (zh) * 2020-11-11 2023-09-08 歌尔科技有限公司 按键组件及智能腕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6981A (en) * 1962-03-26 1965-06-01 Ryan Aeronautical Company Push button switch override clip
US5689095A (en) * 1993-09-20 1997-11-18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witching device
JPH0719932U (ja) * 1993-09-20 1995-04-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JP3064801B2 (ja) * 1994-03-29 2000-07-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ックスイッチ
DE29611275U1 (de) * 1996-06-27 1996-09-26 Siemens Ag Schalteinrichtung für Fernsprechapparate
NO994723L (no) * 1998-12-09 2000-06-13 Ziad Badarneh Anordning ved tastatur
US6998546B1 (en) * 2005-02-18 2006-02-14 Lear Corporation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JP4446925B2 (ja) * 2005-04-28 2010-04-07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3089A2 (en) 2008-01-30
BRPI0705736A (pt) 2008-06-03
CN101114548A (zh) 2008-01-30
MX2007008862A (es) 2009-01-08
CA2593175A1 (en) 2008-01-24
US20080029374A1 (en) 2008-02-07
EP1883089A3 (en)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9656A (ko) 스위치 및 그 작동 방법
WO2016074588A1 (zh) 可切换有声、无声的光电开关
AU2002321881A1 (en) Appliance control system with auxiliary inputs
EP3721317B1 (en) Orientation specific control
EP1579587B1 (en)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11564332B (zh) 复合式按键结构及应用其的无线电子装置
ATE406128T1 (de) Elektrisches gerät zum erhitzen von flüssigkeiten
WO2005078561A3 (en) Quiet mouse
JP4484942B1 (ja) マイクロフォン装置
TW200928896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4299824A (zh) 可切换有声/无声的微动开关
KR20230092951A (ko)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의 긴급 기능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WO2017170520A1 (ja) コントロール器
TW201025387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245647A1 (en) Two-Stage Power Button
RU2810307C2 (ru)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ATE333231T1 (de) Sicherheitsschalter für küchengeräte
JP2008108427A (ja) スライドノブ構造及びスイッチ構造並びに携帯電子機器
TW200939273A (en) A key structur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key structure
JP3036265U (ja) スイッチ作動ボタン保持構造
TWI351630B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
TWI436392B (zh) 具有切換按壓模式功能之按鍵裝置以及電子設備
JP2008010314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TW201429357A (zh) 手持電子裝置
JP2005033743A (ja) ワンタッチで開く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