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489A - 밴드케이블 - Google Patents

밴드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489A
KR20230092489A KR1020210181920A KR20210181920A KR20230092489A KR 20230092489 A KR20230092489 A KR 20230092489A KR 1020210181920 A KR1020210181920 A KR 1020210181920A KR 20210181920 A KR20210181920 A KR 20210181920A KR 20230092489 A KR20230092489 A KR 2023009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and
fixing
counterpar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2463B1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10181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24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9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489A/ko
Priority to KR1020230167088A priority patent/KR20230169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2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2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링이나 케이블의 외경이 변경되거나, 상대물의 두께가 변경되어도 신규 개발할 필요가 없는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는 와이어링 고정부를 포함하여 와이어링의 위치를 상대물에 고정하는 밴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와이어링 고정 시, 일단이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링 외주를 가압하며,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리브의 타단 사이의 간격이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밴드케이블 {Bandcable}
본 발명은 와이어링을 상대물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링을 감싸 고정하는 밴드부와 밴드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대물에 고정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밴드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밴드케이블은 와이어링을 차체 등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 도 1에 종래 밴드케이블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의 밴드케이블은 차체 등 패널 형상의 제1상대물에 삽입되는 앵커(1)와, 앵커 단부와 함께 제1상대물의 양면을 지지하는 앵커받침(2)과, 앵커받침(2)의 일측에 형성되어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는 밴드부(3)와, 밴드부의 일측에서 밴드부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체결후크(4) 및 체결란스(5)와, 밴드부에서 연장되어 케이블 형상의 제2상대물의 외주를 감아 연결하기 위한 후크(6)와, 후크 단부에서 후크(6)의 입구 부분을 좁히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2상대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밴드케이블은 자동차 내에서 와이어링을 차체 등에 고정하기 위해 다수 사용될 수 있고, 그 예로 상기 제1상대물은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힌지부가 되고, 제2상대물은 트렁크 리드 케이블이 될 수 있다. 한편 트렁크 리드 케이블 외경은 종래에 Ø5만 존재하였으나, 최근 원가 절감 차원에서 Ø4 사이즈가 신규 개발되고 있다. 또한 와이어링은 최근 전기차 및 전장품 개발과 함께 외경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밴드케이블의 밴드부 또는 후크의 크기가 정해진 사이즈에만 적용 가능하게 되어 있어, 외경이 다른 케이블이나 와이어링을 공채(sub)하면 와이어링 및 케이블 왜곡(처짐)이 발생하여 소음, 품질 및 미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와이어링이나 케이블을 새로 개발할때 사이즈에 따라 밴드케이블도 신규 개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밴드케이블의 밴드부(3) 내측에는 와이어링 외주를 압박하여 와이어링의 위치를 고정하는 리브(8)가 십여 개의 복수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리브 때문에 도면 대비 밴드부가 잘못 위치해 있을 경우, 유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밴드케이블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점에서 와이어링의 테이핑을 생략하여야 한다. 따라서 와이어링 외주에 연속적으로 테이핑을 적용하다가 이 밴드케이블을 적용하는 부위에만 테이핑을 미적용하여야 하여, 테이핑을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하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효율성이 매우 낮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니즈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밴드케이블의 앵커(1)는 단부에 턱이 1단으로 적용되어 있어, 상기 턱과 앵커받침 사이에 차체 등이 맞물리게 되는데, 상기 턱과 앵커받침 사이의 거리가 하나로 정하여져 있어, 밴드케이블의 적용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밴드케이블을 적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와이어링이나 케이블의 외경이 변경되거나, 상대물의 두께가 변경되어도 신규 개발할 필요가 없는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밴드케이블과 와이어링의 결합 위치가 잘못되더라도 위치를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밴드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밴드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는 와이어링 고정부를 포함하여 와이어링의 위치를 상대물에 고정하는 밴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와이어링 고정 시, 일단이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링 외주를 가압하며,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리브의 타단 사이의 간격이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리브는, 일단이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된 막대 형상이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절곡 부위를 포함하여, 타단이 상기 밴드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링 고정 시, 상기 고정리브의 타단이 상기 와이어링을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리브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보다 상기 밴드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변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링 고정 시, 상기 변형부에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베이스부 및 걸림부 사이의 거리가 축소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와이어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의 내측 단부 모서리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상대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 상기 제1상대물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란스; 및 상기 제1상대물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 측에 형성되는 받침부; 를 포함하며, 상기 란스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상대물의 홀에 걸리도록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는 상기 란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란스의 타단부가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상대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 상기 제1상대물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란스; 및 상기 제1상대물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 측에 형성되는 받침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가장자리가 전부 상기 제1상대물의 타면에 접하도록 오목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케이블 형상의 제2상대물에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 형성된 입구부와, 상기 제2상대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입구부 및 안착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의 폭은 상기 입구부 및 안착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의 타측에는 후크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결합부에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결합부 및 삽입부는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며,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맞물리는 결합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후크결합부 및 삽입부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크결합부 및 삽입부는 삽입 방향을 축으로 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는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에 복수 개의 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 밴드케이블에 따르면 제1고정리브 및 제2고정리브가 유동적으로 와이어링을 가압, 지지하도록 구성한 바, 와이어링의 외경이 다소 변경되더라도 밴드케이블을 별도로 개발하지 않고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링의 고정 위치가 잘못되더라도, 좌우 유동이 용이하므로 밴드케이블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앵커부에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를 형성하여 앵커를 다단 형성함에 따라, 클립 홀이 형성된 상대물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밴드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앵커부의 받침부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앵커부가 상대물에 회전하지 않고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후크의 중간부 형상에 의하여 외경이 상이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어, 케이블 사이즈가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밴드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와 와이어링 고정부가 다양한 각도로 체결될 수 있어, 동일한 밴드케이블을 복수 위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 와이어링 및 상대물의 사이즈 변경 또는 와이어링 고정 위치에 대하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종래 사이즈가 맞지 않아 야기되었언 소음, 품질 및 미관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밴드케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밴드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밴드케이블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제1고정리브를 확대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도 3에서 제2고정리브를 확대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밴드케이블의 와이어링 고정부와 후크부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A 부분 및 B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밴드케이블의 와이어링 고정부와 후크부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밴드케이블의 와이어링 고정부가 복수 개의 각도로 조립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밴드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밴드케이블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서 제1고정리브를 확대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도 3에서 제2고정리브를 확대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밴드케이블의 와이어링 고정부와 후크부의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A 부분 및 B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밴드케이블의 와이어링 고정부와 후크부 체결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밴드케이블의 와이어링 고정부가 복수 개의 각도로 조립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밴드케이블을 판 형의 제1상대물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부(10)와, 와이어링을 감싸 고정하는 와이어링 고정부(20)와, 밴드케이블을 케이블 형상의 제2상대물에 고정하기 위한 후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앵커부(10)는, 와이어링 고정부(20)의 일측에 배치되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물로 형성될 수 있다. 앵커부(10)는 몸체(11)가 와이어링 고정부(2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란스(12)의 일단이 몸체(1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와이어링 고정부(20)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때, 란스(12)의 타단은 몸체(11)로부터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몸체(11) 연장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란스(12)는 몸체(11)의 양 측 또는 사방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란스(12)의 단부에는 제1걸림부(14) 및 제2걸림부(15)가 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14) 및 제2걸림부(15)는 란스(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이에 따라 다단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란스(12)는 탄성변형을 하므로, 제1상대물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제1걸림부(14)에, 제1상대물의 두께가 얇은 경우 제2걸림부(15)에 상대물이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대물의 두께가 다양하더라도 동일한 밴드케이블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앵커부(10)는 와이어링 고정부(20) 측에 형성되는 받침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3)는 란스(12)와 함께 제1상대물의 양 면을 지지하며, 외측면이 오목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한 면이 제1상대물에 접하여 지지하는 면이 되며, 이 때 받침부(13)의 가장자리 전체가 제1상대물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밴드케이블이 쉽게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와이어링 고정부(20)는,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싸기 위해 일측이 개폐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밴드부(21)를 포함한다. 개폐를 위해 밴드부(21)는 일단에 체결후크(31)가 형성되고, 타단에 체결후크(31)가 결합되는 체결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23)의 개구부에는 체결란스(24)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체결후크(31)와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21)의 내주면에는 고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리브는 밴드부(21)에 와이어링 고정 시, 와이어링을 지지하거나 가압하기 위한 수단이다. 고정리브는 일단이 밴드부(21)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와이어링 외주에 접하도록 형성 및 배치된다.그리고 밴드부(21)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리브의 타단 사이의 간격이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와이어링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동일한 밴드케이블 적용이 가능하게 한다.
고정리브의 제1 실시예로서, 제1고정리브(25)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제1고정리브(25)의 일단은 밴드부(21)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일단과 타단 사이, 바람직하게는 일단에 인접한 측에 절곡 부위가 형성되어, 타단은 밴드부(21)의 둘레방향에서 내측에 치우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는 와이어링의 수납 공간을 확보하면서 와이어링을 가압, 지지하기 위함이다. 도 4 를 보면 제1고정리브(25)의 타단과 와이어링 내주면 사이의 거리 h가 변할 수 있으며, 와이어링의 외경이 커지면 도 4 (b)와 같이 탄성에 의해 제1고정리브(25)의 타단이 눌리며 와이어링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리브의 제2 실시예로서, 제2고정리브(26)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하면, 제2고정리브(26)는 밴드부(21)의 내주면에 리브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부(26a), 베이스부(26a)보다 밴드부(21)의 내측에 배치되는 걸림부(26b) 및 베이스부(26a)와 걸림부(26b)를 연결하는 변형부(26c)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6b)와 베이스부(26a)가 패널의 형상이라면, 변형부(26c)는 폭이 좁아 상대적으로 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변형을 용이하게 유발하기 위함이다. 또한 걸림부(26b)의 단부 모서리(26d), 즉 와이어링에 접하는 모서리는, 밴드부(21)의 외측 방향으로 요입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와이어링과의 접촉 부위를 늘리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와이어링 고정 시, 도 5 (b)와 같이 변형부(26c)에 변형이 발생하여 베이스부(26a) 및 걸림부(26b) 사이의 거리 d가 축소되며, 와이어링의 외경이 커지면 d는 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라 본 발명 밴드케이블로 콜게이트 튜브가 적용된 와이어링 고정 시, 제2고정리브(26)가 콜게이트 튜브의 골 부분에 끼워져, 와이어링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2고정리브(26)의 단부 모서리(26d)의 양측면은 모따기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콜게이트 튜브의 골에 제2고정리브(26)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제1고정리브(25) 및 제2고정리브(26)에 의해 본 발명은 와이어링 번들 증대 시 밴드케이블 신규 개발이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링 고정부(20)에는 후크부(30)와의 결합을 위해 후크결합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결합부(27)는 외주에 결합돌기(28)가 돌출형성될 수 있고, 결합돌기(28)는 후크부(30)와 결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이 라운드형(28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크부(30)의 원활한 삽입을 위한 구조이다. 후크부(30)와의 연결관계는 후술한다.
또한 후크결합부(27)는 밴드부(21)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후크결합부(27)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두 가지 모두 가능하며, 후크부(30)와의 연결관계는 후술한다.
후크부(30)는, 후크(31)로 케이블 형상의 제2상대물에 밴드케이블을 고정한다. 후크(31)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서 제2상대물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일측에 개구된 입구부(31a)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상대물이 고정되는 안착부(31b)가 형성되며, 입구부(31a)와 안착부(31b) 사이에 중간부(31c)가 형성된다. 중간부(31c)는 입구부(31a)와 안착부(31b)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상대물이 삽입될 때, 입구부(31a)에서 중간부(31b)를 벌리며 삽입되고, 이후 안착부(31b)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케이블의 외경이 커지더라도 케이블의 외주를 따라 후크(31)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케이블의 사이즈 변경 시에도 밴드케이블을 신규 개발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구부(31a)의 일 측에는 이탈방지돌기(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돌기(32)는 입구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특히 단부가 중간부(31b)를 향하는 것이 기능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후크(31) 일측에는 와이어링 고정부(20)와 결합을 위해 삽입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삽입부(33)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그 예시로 삽입부(33)와 후크결합부(27)가 8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후크결합부(27) 및 삽입부(33)가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링 고정부(20)를 후크부(30)에 4가지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와이어링을 고정하고자 하는 방향이나 위치가 상이한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후크결합부(27) 및 삽입부(33)는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며,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28)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28)에 맞물리는 결합홈(34)이 요입 형성되어, 후크결합부(27) 및 삽입부(33)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후크결합부(27)의 내측 공간(27a)에 삽입부(33)가 삽입되고, 후크결합부(27)에 결합돌기(28)가, 삽입부(33)에 결합홈(34)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후크결합부(27)가 삽입부(33)에 삽입되거나, 결합돌기(28) 및 결합홈(34)이 반대 구성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구성별로 세부 구성을 나누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일부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도출될 수 있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앵커부 11 몸체
12 란스 13 받침부
14 제1걸림부 15 제2걸림부
20 와이어링 고정부 21 밴드부
22 체결후크 23 체결홈
24 체결란스 25 제1고정리브
26 제2고정리브 26a 베이스부
26b 걸림부 26c 변형부
26d 모서리 27 후크결합부
28 결합돌기 28a 라운드형
30 후크부 31 후크
31a 입구부 31b 안착부
31c 중간부 32 이탈방지돌기
33 삽입부 34 결합홈

Claims (10)

  1.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는 와이어링 고정부를 포함하여 와이어링의 위치를 상대물에 고정하는 밴드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링의 외주를 감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고정리브;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와이어링 고정 시, 일단이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와이어링 외주를 가압하며,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리브의 타단 사이의 간격이 유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는, 일단이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된 막대 형상이며,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절곡 부위를 포함하여, 타단이 상기 밴드부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링 고정 시, 상기 고정리브의 타단이 상기 와이어링을 탄성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에 리브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보다 상기 밴드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걸림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걸림부를 연결하는 변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 시, 상기 변형부에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베이스부 및 걸림부 사이의 거리가 축소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와이어링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내측 단부 모서리는 중앙부가 외측으로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상대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
    상기 제1상대물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란스; 및
    상기 제1상대물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 측에 형성되는 받침부;
    를 포함하며,
    상기 란스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상대물의 홀에 걸리도록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는 상기 란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란스의 타단부가 다단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상대물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는,
    상기 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
    상기 제1상대물의 일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 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란스; 및
    상기 제1상대물의 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 측에 형성되는 받침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는, 가장자리가 전부 상기 제1상대물의 타면에 접하도록 오목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의 타측에 형성되며, 케이블 형상의 제2상대물에 끼워져 고정되는 후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 형성된 입구부와, 상기 제2상대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입구부 및 안착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의 폭은 상기 입구부 및 안착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의 타측에는 후크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결합부에 결합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결합부 및 삽입부는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며,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맞물리는 결합홈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후크결합부 및 삽입부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결합부 및 삽입부는 삽입 방향을 축으로 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는 상기 와이어링 고정부에 복수 개의 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케이블.
KR1020210181920A 2021-12-17 2021-12-17 밴드케이블 KR102652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20A KR102652463B1 (ko) 2021-12-17 2021-12-17 밴드케이블
KR1020230167088A KR20230169010A (ko) 2021-12-17 2023-11-27 밴드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920A KR102652463B1 (ko) 2021-12-17 2021-12-17 밴드케이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7088A Division KR20230169010A (ko) 2021-12-17 2023-11-27 밴드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489A true KR20230092489A (ko) 2023-06-26
KR102652463B1 KR102652463B1 (ko) 2024-03-28

Family

ID=869477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920A KR102652463B1 (ko) 2021-12-17 2021-12-17 밴드케이블
KR1020230167088A KR20230169010A (ko) 2021-12-17 2023-11-27 밴드케이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7088A KR20230169010A (ko) 2021-12-17 2023-11-27 밴드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524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871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200305324Y1 (ko) * 2002-11-18 2003-02-26 경신공업 주식회사 다단형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200393275Y1 (ko) * 2005-04-13 2005-08-22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JP2016116371A (ja) * 2014-12-16 2016-06-23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ンド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0871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차량용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200305324Y1 (ko) * 2002-11-18 2003-02-26 경신공업 주식회사 다단형 와이어 하네스 고정클립
KR200393275Y1 (ko) * 2005-04-13 2005-08-22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의 정렬부재
JP2016116371A (ja) * 2014-12-16 2016-06-23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バンド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010A (ko) 2023-12-15
KR102652463B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8349A (en) Grommet structure
US4839937A (en) Grommet structure
US7332678B2 (en) Button style cord connector
US7297874B2 (en) Fixture for long member
US20070254525A1 (en) Button style cord connector
US20150144378A1 (en) Grommet
JP2008278724A (ja) プロテクタ
JP2012239353A (ja) グロメット
JP3729399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用クリップ
JP2020072583A (ja) 連結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230092489A (ko) 밴드케이블
JP2005537167A (ja) ケーブル保持装置
HU225511B1 (en) Element for connection with a gutter or the lik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element
US10518723B2 (en) Grommet
JPH07193949A (ja) 電線固定具
JP7178300B2 (ja) グロメットインナ及びグロメット
JP2000255341A (ja) ワイヤハーネスの支持構造
JP2018133872A (ja) クリップ固定構造及びプロテクタ
KR102270740B1 (ko) 밴드케이블
KR101996459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 구조
JP2022022145A (ja) 角度付きハウジング部品および角度付きハウジングアセンブリ
JPH10326635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H0741935Y2 (ja) ボルト差込式クリップ
CN101089402A (zh) 风扇扇框及其接合结构
KR102095499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