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2465A -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 Google Patents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465A
KR20230092465A KR1020210181874A KR20210181874A KR20230092465A KR 20230092465 A KR20230092465 A KR 20230092465A KR 1020210181874 A KR1020210181874 A KR 1020210181874A KR 20210181874 A KR20210181874 A KR 20210181874A KR 20230092465 A KR20230092465 A KR 20230092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material
packaging
separation
assembly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용
오근석
조유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1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2465A/ko
Priority to PCT/KR2022/015516 priority patent/WO2023113181A1/ko
Publication of KR20230092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하는 오븐용 조리 도구를 포장하는 포장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제1 포장재(110) 및 상기 제1 포장재(110)와 맞닿는 제2 포장재(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110)는 상기 제2 포장재(120)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120)는 상기 제1 포장재(110)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12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100)는 상기 조리실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조리실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110) 및 상기 제2 포장재(120)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포장재(110)를 향하는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포장재(110)의 길이는 상기 제2 포장재(120)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PACKAGING ASSEMBLY AND OVEN COMPRISING THE SAME}
이하의 실시예는 포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오븐은 일반적으로 조리실, 조리실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 및 히터에서 발생한 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유동을 형성하는 팬을 포함한다. 오븐은 조리실 내부에서 순환하는 열을 통해 조리실 내부에 있는 음식을 조리한다.
오븐은 히터가 사용하는 열원에 따라서, 전자식 오븐, 가스식 오븐 그리고 전기식 오븐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자오븐, 다시 말해서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물분자들을 서로 마찰시키는 방식으로 열을 발생시킨다. 가스식 오븐은 가스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전기 오븐은 열선과 같은 전열 히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은 본체, 본체 내부에 형성되어 조리될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는 조리실 및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부에 포장되는 액서세리 또는 조리 도구를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는 포장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장재들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포장을 완료할 수 있는 포장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여러 액서세리 또는 조리 도구를 파손되지 않게 수용할 수 있는 포장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븐의 내부 공간에 포장 어셈블리를 수용시켜 고객 인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오븐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하는 오븐용 조리 도구를 포장하는 포장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맞닿는 제2 포장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는 상기 제2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는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2 포장재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하는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포장재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포장재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공동 구비하는 가전 제품의 액서세리를 포장하는 포장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맞닿는 제2 포장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는 상기 제2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는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2 포장재가 맞닿을 때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는 상기 공동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공동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2 포장재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하는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포장재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포장재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상기 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개방되는 육면체의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상기 본체의 상기 일측에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상기 일측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조리실에 수용되는 포장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는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맞닿는 제2 포장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는 상기 제2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는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2 포장재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하는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포장재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포장재의 길이보다 길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는,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분리 리브는, 상기 제1 포장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는,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분리 리브는, 상기 제2 포장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내부에 포장되는 액서세리 또는 조리 도구를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장재들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포장을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한정된 공간 내에서 여러 액서세리 또는 조리 도구를 파손되지 않게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븐의 내부 공간에 포장 어셈블리를 수용시켜 고객 인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트레이형 조리 도구가 배치된 상태에서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다용도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에어 프라이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7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스팀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8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스팀용 글래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스팀용 트레이에 배치될 수 있는 스팀용 서브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와이어형 조리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스팀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의 제1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의 제2 포장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와 포장 어셈블리에 수용될 수 있는 조리 도구의 수용 관계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의 제1 포장재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의 제2 포장재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액서세리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액서세리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1)의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1)의 측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오븐(1)은 오븐(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본체(10) 내부에 마련되고 본체(10)의 일측으로 개방되는 조리실(30), 상기 본체(10)와 함께 오븐(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조리실(30)을 본체(10)의 일측에서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6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는 본체(10)의 제1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x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전면 패널(11), 본체(10)의 제2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z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상부 패널(13), 본체(10)의 제3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y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측면 패널(12) 및 전면 패널(11)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후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븐(1)은 빌트 인(built-in) 또는 붙박이로 설치될 수 있어서, 측면 패널(12) 및 후면 패널 등은 일반적인 사용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측면 패널(12) 및 후면 패널 등은 열 효율적 관점에서 설계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측면 패널(12) 및 후면 패널이 노출되는 것을 막기위한 외장 액서세리(미도시) 또는 가니시(미도시) 등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전면 패널(11) 및 측면 패널(12)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는 흡입 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조리실(30)과 상부 패널(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전장실(60)이 외부와 기체 소통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전장실(60)에 배치될 수 있는 전장품들을 냉각하기 위함이다. 전장실(60)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조리실(30)은 본체(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제1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x방향)의 전면이 개구(31)로 개방된 6면체 형상일 수 있다. 조리실(30)의 개구(31)를 통해 사용자는 조리실(30)에 음식물을 위치시킬 수 있고 조리 중 또는 조리 완료 후에 음식물을 조리실(30)에서 꺼낼 수 있다.
조리실(30)의 제2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z방향) 측에는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히터(40)는 전류가 저항을 가진 물체에 흐를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전열기일 수 있고, 이외에도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스 히터일 수도 있다. 오븐(1)의 히터(40)는 상술한 전열기 또는 가스 히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40)가 전열기인 경우에는 히터(40)가 배치되는 조리실(30)의 상면에서 히터(40)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열선들은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간격을 지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히터(40)에 포함될 수 있는 열선은 동심원 형태로 조리실(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사각형 형태로 조리실(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히터(40)의 위치는 설계상 이유에 따라서 조리실(30)의 제2 방향 (도 1 내지 3에서 +z방향) 측이 아닌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40)는 조리실(30)의 제3 방향(도 1 내지 3에서 +y방향)측의 내측면 및/또는 반대측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히터(40)는 복수 개의 서브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히터(미도시) 중 하나는 조리실(30)의 제2 방향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제3 방향을 향하는 측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3 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서브 히터(미도시)는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개별적으로 발열할 수 있다.
조리실(30)의 제1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x방향)의 반대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x방향) 측에는 조리실(30)에 공급된 열을 강제로 유동시키기 위한 순환 팬(51) 및 순환 팬(51)을 가동시키기 위한 순환 모터(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 팬(51)이 작동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리실(30) 내부에 배치된 음식물은 히터(40)에 가까운 부분(예 : 히터(40)가 조리실(30)에서 상기 제2 방향 측의 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음식물의 상기 제2 방향을 향한 부분)만 집중적으로 가열될 것이나, 순환 팬(51) 및 순환 모터(50)를 포함하는 순환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순환 팬(51) 및 순환 모터(50)를 포함하는 순환 장치에 의하여 조리실(30) 내의 열을 강제로 유동시킴으로써 음식물의 전 부분이 가열될 수 있다.
순환 팬(51)의 제1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x방향)측에는 조리실(30) 내에서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과 순환 팬(51)이 위치하는 공간을 구분 짓는 팬 커버(32)가 배치될 수 있다. 팬 커버(32)는 순환 팬(51) 및/또는 순환 모터(50)에 음식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 팬(51) 및/또는 순환 모터(50)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와이어링 등의 전장 액서세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전장 액서세리가 음식물의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합선 등의 이유로 순환 팬(51) 및/또는 순환 모터(50)가 고장날 수 있기 때문에 팬 커버(32)는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순환 팬(51)의 회전하는 블레이드에 음식물이 접촉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의 회전력으로 인해 음식물이 파쇄될 수 있고 조리실(30)의 내부가 오염될 수 있어서, 팬 커버(32)는 오븐(1)의 관리와 청결을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팬 커버(32)에는 순환 팬(51)이 임펠링(impel)하는 공기가 조리실(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통공(33)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33)은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홀은 곡선의 슬릿(slit)일 수 있다.
조리실(30)에는 조리실(30)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리실(30)의 상하 공간을 나눌 수 있는 슬라이더가 삽입될 수 있다. 조리실(30)의 제3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y방향) 측 및 그 반대측의 측벽에는 슬라이더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예: 슬릿 또는 홈)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실(30)은 2개 이상의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단열 재질로 구성되어 분할된 조리실(30)들을 간의 온도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에는 슬라이더에 의해 분할된 공간들이 서로 유체 소통할 수 있게 관통 홀 또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고, 이 경우 슬라이더가 조리실(3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때 분할된 공간들이 서로 유체 소통할 수 있게 개방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언급한 슬라이더 외에 조리실(30)의 공간을 좌우로 분할할 수 있는 디바이더가 조리실(3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더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공간은 상기 언급한 복수 개의 서브 히터(미도시)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본체(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 힌지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조리실(30)의 개구(31)는 도어(20)에 의해 개폐된다. 도어(20)의 제2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z방향)측 단부에는 조리실(30)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도어 핸들(21)이 배치될 수 있다. 도어 핸들(21)은 제3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y방향)을 향해 길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도어 핸들(21)의 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태의 파지부를 잡고 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도어(20)는 조리실(30)의 개구(31)의 제3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y방향)측의 단부 또는 그 반대측의 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20)는 z축을 기준으로 본체(10)에 대해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어(20)의 상부에는 도어 덕트(22)가 마련될 수 있고, 도어 덕트(22)는 도어(20) 내부의 고온의 공기를 도어(20)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 홀(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의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도어(20) 내부로 흡입하는 공기 유입구(25)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어(20)는 투명한 부재(예: 플라스틱, 강화유리 등)(미도시)와 투명한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의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부착된 강화 유리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투명한 강화 유리와 지지 프레임의 관통부를 통해 조리실(30)의 내부의 음식의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도어(20)는 예를 들면 조리실(30)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게 하기 위하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설계될 수 있다. 이 때 오븐(1)은 조리실(30) 내부에 위치한 음식물의 조리 상태를 디스플레이 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표시를 위한 정보 수집을 위해 조리실 내부에 관찰 수단(예: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30) 및 상부 패널(13) 사이에는 전장실(60)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60)에는 오븐에 구비될 수 있는 각종 파트 유닛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장품들이 수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장품에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장실(60)에 배치되는 전장품들은 온도 변화에 민감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실(30)과는 달리 가열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븐의 조리실(30)의 온도는 섭씨 150도 내지 450도까지 상승될 수 있고, 조리실(30)의 고온과 직접적으로 가열되지 않는 전장실(60) 사이의 온도 차이 때문에, 열 이동이 생길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븐(1)에는 히터(40)로부터의 전달되는 열을 감소시키기 위한 단열 수단 및/또는 전장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장실(60)과 조리실(30) 사이에는 히터(4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막기 위한 단열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단열재(미도시)는 조리실(30)에 공급된 열이 조리실(30)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기위해, 조리실(30) 외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장실(60)에는 냉각 수단으로써 냉각 팬(61)이 구비될 수 있다. 냉각 팬(61)의 회전으로 전장실(60) 내부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장품들을 냉각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 패널(12)에 형성되는 흡입 홀(14)을 통해 공기가 흡입될 수 있고, 흡입되는 공기는 냉각 팬(61)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한 유동으로써 전장품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전장실(60)의 제1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x방향) 측 또는 도어(20)의 제2 방향(예: 도 1 내지 3에서 +z방향) 측에는 컨트롤 패널(70)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패널(70)에는 오븐(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한 사용자의 상호작용으로써 동작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은 오븐의 전원 상태, 도어(20)의 개폐상태, 히터(40), 순환 팬(51) 및/또는 냉각 팬(61)의 동작 상태 조리실(30)의 온도, 및/또는 조리실(30)의 구획 별 온도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조리실(30) 내부의 목표 온도, 가열 시간 등에 관련된 동작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측에는 터치 스크린과 별도로 구비되는 조작부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회전가능한 다이얼 노브(dial knob), 클릭 스위치 또는 슬라이더 등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트레이형 조리 도구(80)(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가 배치된 상태에서의 도어(2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오븐의 조리실(30)의 바닥면에 음식물을 위치시키고 오븐을 작동시켜서 음식을 조리할 수 있지만, 조리실(30)에 음식물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하여 조리실(30)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또는 조리 대상인 음식물이 예를 들어 조리실(30)의 상부에 위치하는 히터에 더욱 가깝게 하기 위하여 또는 음식물을 조리실(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가열된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로써 음식물의 하부면까지 골고루 익히기 위하여,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조리 도구(80)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로부터 흘러나오는 수분 또는 기름이 조리실로 유출되지 않도록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가 사용될 수 있다.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는 예를 들어 조리실(30)의 바닥면에 놓일 수 있고, 상기 언급한 조리실(30) 내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더의 상부 표면에 놓일 수 있다. 또한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는 슬라이더 없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가 조리실 내 측벽에 삽입되게 하는 슬릿 또는 홈에 직접 삽입될 수 있다.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의 재질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는 적어도 일부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강철, 주철,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는 적어도 일부가 유리 또는 세라믹 등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는 예를 들어 내열성이 강한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재료들은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의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의 형태도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의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조리실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트레이(81)가 도시된다. 다용도 트레이(81)는 상기 언급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용도 트레이(81)는 예를 들어 음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811) 및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실 내의 측벽에 직접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더 형상(8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에어 프라이용 트레이(82)가 도시된다. 에어 프라이용 트레이(82)는 예를 들어 음식의 하면에 열을 효과적으로 전도시키기 위해서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에어 프라이용 트레이(82)는 음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821) 및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는 배출공(82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공(823)을 통해 음식물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이 에어 프라이용 트레이(82)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음식물이 기름에 의해 튀겨지지 않고 주로 복사열 및 대류열에 의해 조리될 수 있다.
또한 에어 프라이용 트레이(82)에는 예를 들어 조리가 완료된 후 사용자가 가열된 트레이를 직접 만지지 않고서 조리실 내에서 트레이를 제거할 수 있게 트레이 주위로 파지 구조(822)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구조(822)는 열 전도성이 낮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선형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에어 프라이용 트레이(82)도 상기 언급한 다용도 트레이(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더 형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스팀용 트레이(83)가 도시되고,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스팀용 글래스(84)가 도시되고,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스팀용 트레이(83)에 배치될 수 있는 스팀용 서브 트레이(85)가 도시된다.
스팀용 트레이(83)는 예를 들어, 음식을 찌기 위해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8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팀용 트레이(83)는 음식물이 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게 하는 스팀용 서브 트레이(85)가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831) 상부에 배치될 수 있게 하는 스팀용 서브 트레이 안착면(8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팀용 트레이(83)는 스팀용 트레이(83)의 일측 및 타측에 파지부(8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용도에 따라 스팀용 트레이(83) 대신 스팀용 글래스(84)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스팀용 트레이(83)는 예를 들어,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831)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물을 수용시키더라도 충분한 물 높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또한 물이 끓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조리실의 양 측벽에 직접 슬라이딩 될 정도로 크기가 큰 다른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에 비하여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스팀용 서브 트레이(85)는 음식물을 배치시킬 수 있는 배치면(851) 및 스팀용 트레이(83)의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831)에 수용된 물이 분무화 된 후 스팀용 서브 트레이(85)를 통과하여 음식물을 찔 수 있게 하는 배출공(8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와이어형 조리 도구(86)의 사시도이다. 와이어형 조리 도구(86)는 음식물이 놓일 수 있는 석쇠부(861)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거나 조리실의 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86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쇠부(861)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의 간격은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배치될 수 있는 스팀 파이프(87)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의 제1 포장재(110)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의 제2 포장재(120)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와 포장 어셈블리(100)에 수용될 수 있는 조리 도구의 수용 관계 및 결합 관계를 도시한다.
포장 어셈블리(100)는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리 도구(80)(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 등)를 수용할 수 있고, 이들을 일측과 타측에서 수용하기 위해 도 12를 참조하면 포장 어셈블리(100)는 제1 포장재(110) 및 제1 포장재(110)와 맞닿는 제2 포장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포장재(110) 및 제2 포장재(12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들이 맞닿는 면은 하나의 육면체가 한 평면으로 절단된 면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포장재(110) 및 제2 포장재(120)가 맞닿는 면은 곡면일 수 있다.
제1 포장재(110) 및 제2 포장재(120)는 맞닿음으로써 연결되어 하나의 포장 어셈블리(100)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제1 포장재(110) 및 제2 포장재(120)는 스티로폼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포장재(110)의 내부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1 포장재(110)는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2 포장재(120)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 공간(111)은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 도구의 크기에 따라서 조리 도구를 더욱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게 개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 포장재(110)를 관통함으로써 연장하여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 공간(111)에는 후술할 것과 같이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를 제 위치에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분리 리브(예 : 도 19의 제1 분리 리브(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 공간(111)은 후술할 제2 수용 공간(도 14의 제2 수용 공간(121))과 연결되어서 하나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포장재(110)는 제1 수용 공간(111)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추가 수용 공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가 수용 공간(112)에는 예를 들어 스팀 파이프(예 : 도 11의 스팀 파이프(87))가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추가 수용 공간(112)을 확장 시킬수록 제1 포장재(110)에 사용되는 재료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포장재(120)의 내부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제2 포장재(120)는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1 포장재(110)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1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용 공간(1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가 맞닿을 때 제1 수용 공간(111)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용 공간(121)은 제1 수용 공간(111)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 도구의 크기에 따라서 조리 도구를 더욱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게 개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 포장재(120)를 관통함으로써 연장하여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 공간(121)에는 제1 수용 공간(111)과 마찬가지로 제2 분리 리브(예 : 도 19의 제2 분리 리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포장재(120)는 제1 포장재(110)와 마찬가지로 제2 수용 공간(121)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추가 수용 공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기능과 이에 의한 장점은 도 13의 제1 추가 수용 공간(112)와 같다.
도 15를 참조하여, 조리 도구(80)는 점선을 따라 제1 수용 공간(111)에 진입하여 수용될 수 있고, 이후 제2 포장재(120)가 조리 도구(80)의 제1 포장재(110)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수용하여 커버함으로써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가 맞닿게 되고 조리 도구(80)의 포장이 완료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포장 어셈블리(100)가 조리실에 수용된 상태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포장 어셈블리(100)는 조리실(예 : 도 2의 조리실(30))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예 : 육면체)을 가질 수 있어서 조리실(예 : 도 2의 조리실(30)) 내에 알맞게 수용될 수 있다.
도 16에는 제2 포장재(120)가 제1 방향(예 : 도 16의 +x방향)을 향하도록 포장 어셈블리(100)가 조리실(예 : 도 2의 조리실(30))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포장 어셈블리(100)의 배치 배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장재(110)가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또한 포장 어셈블리(100)의 육면체의 치수에 따라서 포장 어셈블리(100)는 조리실 내에서 제1 포장재(110)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조리 도구(예 : 도 15의 조리 도구(80))를 수용하는 포장 어셈블리(100)를 오븐의 조리실에 수용시킴으로써 오븐을 고객에게 인도할 때 조리 도구를 오븐과 별도로 고객에게 인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로써 운송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오븐 하나만을 운송할 수 있게 되어 노동력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운송 시의 조리 도구의 분실 위험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포장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조리 도구를 조리실에 수용시킴으로써, 포장 어셈블리(100) 없이 단순히 조리 도구를 조리실에 수용시켜 운송시킬 때보다 조리 도구 및 오븐의 파손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어셈블리(100) 없이 조리 도구를 조리실에 수용시킨다면 조리 도구는 운송 중에 조리실 내부에서 운송 상태에 따라 흔들리면서 조리실 내부에 충격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포장 어셈블리(100)는 조리 도구들끼리 운송 중에 부딪히지 않게 제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후술할 제1 분리 리브(예 : 도 19의 제1 분리 리브(113)) 및 제2 분리 리브(예 : 도 19의 제2 분리 리브(123))는 조리 도구들끼리 부딪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의 측면도이다. 도 17에는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제 1방향(예 : 도 17에서 +x방향)에 따른 길이가 표시되어 있다. 제1 포장재(11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1)는 제2 포장재(120)의 상기 제2 방향에 따른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장재(11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1)는 제2 포장재(12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2)의 1.4배 내지 2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장재(11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1)가 제2 포장재(12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2)보다 긴 경우에 조리 도구(예 : 도 15의 조리 도구(80))가 제1 포장재(110)에 수용된 이후 제2 포장재(120)에 쉽게 수용되게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예를 들어, 제1 포장재(110)의 제1 수용 공간(예 : 도 13의 제1 수용 공간(111))은 수용하기 위한 조리 도구(예 : 도 15의 조리 도구(80))의 형상에 딱 맞게 형성되는 것보다는 이들을 제1 포장재(110)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 공차를 둔 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공차로 인하여, 제1 포장재(110)에 수용된 조리 도구(예 : 도 15의 조리 도구(80))는 제1 수용 공간(예 : 도 13의 제1 수용 공간(111))의 설계 공차의 범위 내에서 기울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기울어짐은 조리 도구(예 : 도 15의 조리 도구(80))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 부분이 제 위치(예 : 조리 도구가 기울어지지 않았을 때의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조리 도구(예 : 도 15의 조리 도구(80))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 부분을 제2 포장재(120)에 수용 시키기 위해서는, 제2 포장재(120)의 제2 수용 공간(예 : 도 14의 제2 수용 공간(121))의 설계 공차 범위 내로 위치를 조정해야 한다.
상기 언급한 제1 포장재(110) 및 제2 포장재(120)에 조리 도구(예 : 도 15의 조리 도구(80)) 수용을 어렵게 하는 기울어짐 문제는 상기 언급한 것처럼 제1 포장재(11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1)를 제2 포장재(12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2)보다 길게 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제1 포장재(11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1)가 길수록, 조리 도구(예 : 도 15의 조리 도구)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더 멀리 있는 부분을 제1 포장재(110)가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울어짐 문제는 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포장재(11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1)를 183 mm로 제2 포장재(12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2)를 107 mm로 설계하고, 비교예로 제1 포장재(11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1)를 145 mm로 제2 포장재(12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2)를 145 mm로 설계하였다. 전자의 경우 길이의 비율(L1/L2)은 1.7배이고, 후자의 경우 길이의 비율은 1배이다. 이 두가지 경우로 실험한 결과, 후자의 비교예의 경우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 도구(예 : 도 15의 조리 도구(80))는 최대 2.5도가 기울어 졌고, 전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의 경우 최대 1.5도가 기울어졌다. 이를 통하여 포장 어셈블리(100)의 조립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울어짐의 개선 정도는 L1/L2의 비가 커질수록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포장재(11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1)를 제1 포장재(110)의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길이(L2)에 비해 무한정 길게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스티로폼 사출 성형으로 제작되는 제1 포장재(110)가 금형에서 쉽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L1/L2는 최대 2 배로 설정되는 것이 제작 공정상 바람직하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의 평면도이고,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의 제1 포장재(110)의 B-B선(도 17)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의 제2 포장재(120)의 A-A선(도 17)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의 D-D선(도 18)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어셈블리(100)의 C-C 선(도 18)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2를 함께 참조하여 제1 포장재(110)와 제2 포장재(120)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9을 참조하면, 제1 포장재(110)는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11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113)는 제1 포장재(110)의 내면으로부터 제1 수용 공간(111)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포장재(110)의 내면으로부터 제1 수용 공간(111)의 중심을 향해 연속되게 돌출 형성된 제1 분리 리브(113)가 도시된다.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분리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고, 도시된 단면은 제1 분리 리브(113)의 단면이다.
제1 분리 리브(113)는 분리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제1 포장재(110)의 내면으로부터 각 방향에서 각각 RL1, RL2 또는 RL3 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 공간(111)의 내면을 둘러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분리 리브(113) 중 일부는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포장재(110)의 내면의 전체를 둘러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 구간에서만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리 리브(113)의 각 방향에 따른 부분들의 돌출 길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다시 도 19를 참조하면,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제1 분리 리브(113)가 도시된다. 제1 포장재(110)에 형성되는 제1 수용 공간(111)은 제1 포장재(110) 내에서 일측이 개방된 임의의 곡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1 분리 리브(113)는 이러한 임의의 곡면에서 돌출된 모든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제1 분리 리브(113)는 돌출되는 길이, 돌출된 부분의 두께 및 돌출되는 형상에서 다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113)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들의 배열 방향 및 배열 간격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한 제1 분리 리브(113) 사이의 간격은 수용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113)는 제1 방향(예 : 도 19에서 +u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어셈블리(100)는 한정된 공간(예 : 도 2의 조리실(30))에 수용되기 위해 그에 맞게 크기와 형상이 지정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한정된 공간 내에서 보다 큰 조리 도구(예 : 도 15의 조리 도구)를 수용시키기 위해 대각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수용 공간(111)은 제1 분리 리브(113)에 의해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리 리브(113) 중 일부는 제1 수용 공간(111)을 3개의 구역으로 구획화 할 수 있고, 제1 분리 리브(113) 중 나머지 일부는 3개의 구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 공간(111)은 제1 구역(1111), 제2 구역(1112) 및 제3 구역(1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역(1111), 제2 구역(1112) 및 제3 구역(1113)의 각각에는 상기 언급했던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 및/또는 와이어형 조리 도구(예 : 도 10의 와이어형 조리 도구(86))의 일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포장재(120)는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123)는 제2 포장재(120)의 내면으로부터 제2 수용 공간(121)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2 포장재(120)의 내면으로부터 제2 수용 공간(121)의 중심을 향해 연속되게 돌출 형성된 제2 분리 리브(123)가 도시된다.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분리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고, 도시된 단면은 제2 분리 리브(123)의 단면이다.
제2 분리 리브(123)는 분리 리브가 형성되지 않은 제2 포장재(120)의 내면으로부터 각 방향에서 각각 RL4, RL5 또는 RL6 만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리 리브(123)도 제1 분리 리브(113)와 마찬가지로 일부가 연속 또는 전체 면을 둘러서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0을 참조하면,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제2 분리 리브(123)가 도시된다. 제1 포장재(1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2 포장재(120)에 형성되는 제2 수용 공간(121)은 제2 포장재(120) 내에서 일측이 개방된 임의의 곡면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2 분리 리브(123)는 이러한 임의의 곡면에서 돌출된 모든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제2 분리 리브(123)는 돌출되는 길이, 돌출된 부분의 두께 및 돌출되는 형상에서 다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123)는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들의 배열 방향 및 배열 간격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한 제2 분리 리브(123) 사이의 간격은 수용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123)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제2 수용 공간(121)은 제2 분리 리브(123)에 의해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분리 리브(123) 중 일부는 제2 수용 공간(121)을 3개의 구역으로 구획화 할 수 있고, 제2 분리 리브(123) 중 나머지 일부는 3개의 구역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용 공간(121)은 제4 구역(1211), 제5 구역(1212) 및 제6 구역(1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구역(1211), 제5 구역(1212) 및 제6 구역(1213)의 각각에는 상기 언급했던 트레이형 조리 도구(예 : 도 5의 다용도 트레이(81)) 및/또는 와이어형 조리 도구(예 : 도 10의 와이어형 조리 도구(86))의 제1 구역(1111), 제2 구역(1112) 및 제3 구역(1113)에 수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을 함께 참조하면, 제1 분리 리브(113) 및 제2 분리 리브(123)의 형성되는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구역(1111) 및 제4 구역(1211), 제2 구역(1112) 및 제5 구역(1212), 제3 구역(1113) 및 제6 구역(1213)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리 리브(113) 및 제2 분리 리브(123)는 제1 포장재(110) 및 제2 포장재(120)가 맞닿는 부분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도 21 및 도 22를 함께 참조하여, 제1 분리 리브(113) 및 제2 분리 리브(123)의 돌출 길이 및 돌출한 부분의 두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포장재(110)의 제1 분리 리브(113)는 제2 포장재(120)를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리브 요소(1131), 제1 리브 요소(1131)와 연결되는 제2 리브 요소(1132) 및 제3 리브 요소(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브 요소(1131)의 돌출 길이(RL1)는 제1 리브 요소(1131)가 연속하는 전 구간에서 일정할 수 있고, 제2 리브 요소(1132) 또는 제3 리브 요소(1133)를 향할수록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2 리브 요소(1132)의 돌출 길이(RL2) 및 제3 리브 요소(1133)의 돌출 길이(RL3)도 각각의 연속하는 전 구간에서 일정할 수 있고 구간에 따라서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브 요소(1131)와 제2 리브 요소(1132)가 연결되는 부분 및 제1 리브 요소(1131)와 제3 리브 요소(1133)가 연결되는 부분은 각진 모서리가 생기지 않도록 라운딩될 수 있다.
제1 포장재(110)의 제2 분리 리브(123)는 제1 포장재(110)를 향하여 돌출하는 제4 리브 요소(1231), 제4 리브 요소(1231)와 연결되는 제5 리브 요소(1232) 및 제6 리브 요소(12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리브 요소(1231)의 돌출 길이(RL4)는 제4 리브 요소(1231)가 연속하는 전 구간에서 일정할 수 있고, 제5 리브 요소(1232) 또는 제6 리브 요소(1233)를 향할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제5 리브 요소(1232)의 돌출 길이(RL5) 및 제6 리브 요소(1233)의 돌출 길이(RL6)도 각각의 연속하는 전 구간에서 일정할 수 있고 구간에 따라서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리브 요소(1231)의 돌출 길이(RL4)는 제1 리브 요소(1131)의 돌출 길이(RL1) 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제4 리브 요소(1231)의 돌출 길이(RL4)는 제5 리브 요소(1232)의 돌출 길이(RL5) 및 제6 리브 요소(1233)의 돌출 길이(RL6)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리브 요소(1231)의 돌출 길이(RL4)는 다른 모든 리브 요소들의 돌출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적어도 일부에서 제1 포장재(110)를 향하여 미돌출된 제2 분리 리브(123)의 제4 리브 요소(1231)가 도시된다. 이는 도 21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분리 리브 부분이다. 도 21에서 특정 부분의 제2 리브 요소(1132)가 점선으로 표시되어서 미돌출된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2 리브 요소(1132)에서 미돌출된 일부분은 다른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1을 참조하여, 제2 리브 요소(1132)의 돌출된 부분의 제 1방향(예 : 도 19의 +u방향)으로 측정된 두께(RT4)는 제1 리브 요소(1131)의 돌출된 부분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측정된 두께(RT1)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두께(RT4)는 0일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것 같이, 제2 분리 리브(123)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짧거나 또는 얇거나 또는 미돌출됨으로써 와이어형 조리 도구(86)(예 : 도 10의 와이어형 조리 도구(86))와 같이 얇은 재료로 구성된 조리 도구를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얇은 재료로 구성된 조리 도구는 제1 수용 공간(111) 및 제2 수용 공간(121) 내에서 설계 공차에 의해 더 크게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크게 기울어질 수 있는 도구가 수용되는 부분의 제2 분리 리브(123)의 일부를 삭제 또는 다른 부분에 비해 짧게함으로써, 그 부분에서 생길 수 있었던 잠재적인 간섭없이 도구를 수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내부에 조리실(30)을 구비하는 오븐용 조리 도구(80)를 포장하는 포장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제1 포장재(110) 및 상기 제1 포장재(110)와 맞닿는 제2 포장재(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110)는 상기 제2 포장재(120)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120)는 상기 제1 포장재(110)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12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100)는 상기 조리실(3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30)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포장재(110) 및 상기 제2 포장재(120)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포장재(110)를 향하는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포장재(110)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포장재(12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110)는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1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분리 리브(113)는, 상기 제1 포장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111)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120)는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12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분리 리브(123)는 상기 제2 포장재(12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공간(121)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리브(113) 및 상기 제2 분리 리브(123)는 맞닿는 부분에서 돌출되는 정도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리브(113)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기 복수의 제1 분리 리브들(113)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2 분리 리브(123)는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 2 분리 리브들(123)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리브(123)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분리 리브(113)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리브(123)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는 상기 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의 돌출 길이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리브(123)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미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리브(123)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2 분리 리브(123) 중 상기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상기 제1 분리 리브(113) 중 일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110)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포장재(120)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의 1.4 배 내지 2 배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110)는 상기 제1 수용 공간(111)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추가 수용 공간(112)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120)는 상기 제2 수용 공간(121)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추가 수용 공간(122)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110) 및 상기 제2 포장재(120)가 맞닿을 때, 상기 제1 수용 공간(111)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121)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추가 수용 공간(112) 및 상기 제2 추가 수용 공간(122)이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장 어셈블리(100)는 육면체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11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123)는 상기 육면체에서 대각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공간(111)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121)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형 조리 도구(86) 및 하나 이상의 트레이형 조리 도구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제1 추가 수용 공간(112) 및 상기 제2 추가 수용 공간(122)에는 스팀용 파이프가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수용 공간(111)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121)은 2개 이상의 구역으로 구획화될 수 있고, 상기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는 상기 와이어형 조리 도구(86) 및 상기 트레이형 조리 도구가 함께 수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형 조리 도구 및 상기 트레이형 조리 도구가 함께 수용되는 구역에서, 제2 분리 리브(123)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제2 분리 리브(123)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다른 부분보다 짧은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123) 중 상기 하나의 구역에 위치하는 제2 분리 리브(123)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다른 제2 분리 리브(123)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보다 짧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공동 구비하는 가전 제품의 액서세리를 포장하는 포장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제1 포장재(110) 및 상기 제1 포장재(110)와 맞닿는 제2 포장재(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110)는 상기 제2 포장재(120)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120)는 상기 제1 포장재(110)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12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110) 및 상기 제2 포장재(120)가 맞닿을 때 상기 제1 수용 공간(111)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121)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100)는 상기 공동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공동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110) 및 상기 제2 포장재(120)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포장재(110)를 향하는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포장재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포장재(12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110)는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1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분리 리브(113)는 상기 제1 포장재(11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111)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120)는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12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분리 리브(123)는 상기 제2 포장재(12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공간(121)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분리 리브(123)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분리 리브(113)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리브(113)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제1 분리 리브들(113)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열될 수 있고, 상기 제2 분리 리브(123)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상기 제2 분리 리브들(123)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열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11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123)는 육면체 형상의 포장 어셈블리(100) 내에서 대각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븐(1)에 있어서, 상기 오븐(1)은, 본체(10), 상기 본체(10)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10)의 일측으로 개방되는 육면체의 조리실(30), 상기 조리실(30)을 상기 본체(10)의 상기 일측에서 개폐하는 도어(20), 상기 본체(10)의 상기 일측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70) 및 상기 조리실(30)에 수용되는 포장 어셈블리(1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100)는 제1 포장재(110) 및 상기 제1 포장재(110)와 맞닿는 제2 포장재(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110)는 상기 제2 포장재(120)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11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120)는 상기 제1 포장재(110)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12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100)는 상기 조리실(30)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30)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110) 및 상기 제2 포장재(120)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포장재(110)를 향하는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포장재(110)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포장재(120)의 길이보다 길수 있고, 상기 제1 포장재(110)는,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1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분리 리브(113)는, 상기 제1 포장재(11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111)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포장재(120)는,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12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분리 리브(123)는, 상기 제2 포장재(120)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공간(121)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분리 리브(123)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분리 리브(113)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 이하일 수 있다.
1 : 오븐
10 : 본체
20 : 도어
30 : 조리실
80 : 악세사리
100 : 포장 어셈블리
110 : 제1 포장재
120 : 제2 포장재

Claims (20)

  1. 내부에 조리실을 구비하는 오븐용 조리 도구를 포장하는 포장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맞닿는 제2 포장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장재는 상기 제2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장재는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2 포장재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하는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포장재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포장재의 길이보다 긴,
    포장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는,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 리브는, 상기 제1 포장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포장재는,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리 리브는, 상기 제 2 포장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는,
    포장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리브 및 상기 제2 분리 리브는 맞닿는 부분에서 돌출되는 정도가 동일한,
    포장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리브는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 1 분리 리브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분리 리브는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 2 분리 리브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열되는,
    포장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 이하인,
    포장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는 상기 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의 돌출 길이 이하인,
    포장 어셈블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미돌출된,
    포장 어셈블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2 분리 리브 중 상기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상기 제1 분리 리브 중 일부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두께 이하인,
    포장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2 포장재의 상기 제1 방향의 길이의 1.4 배 내지 2 배인,
    포장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는 상기 제1 수용 공간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추가 수용 공간을 갖고,
    상기 제2 포장재는 상기 제2 수용 공간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추가 수용 공간을 갖는,
    포장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2 포장재가 맞닿을 때,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추가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추가 수용 공간이 연결되는,
    포장 어셈블리.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어셈블리는 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는 포장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는, 상기 육면체에서 대각선으로 배열되는,
    포장 어셈블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형 조리 도구 및 하나 이상의 트레이형 조리 도구가 수용되고,
    상기 제1 추가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추가 수용 공간에는 스팀용 파이프가 수용되는,
    포장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은 2개 이상의 구역으로 구획화되고,
    상기 구역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는 상기 와이어형 조리 도구 및 상기 트레이형 조리 도구가 함께 수용되는,
    포장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형 조리 도구 및 상기 트레이형 조리 도구가 함께 수용되는 구역에서, 제2 분리 리브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은 제2 분리 리브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다른 부분보다 짧은 돌출 길이를 가지는,
    포장 어셈블리.
  17. 내부에 공동 구비하는 가전 제품의 액서세리를 포장하는 포장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맞닿는 제2 포장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장재는 상기 제2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장재는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2 포장재가 맞닿을 때, 상기 제1 수용 공간 및 상기 제2 수용 공간은 연결되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는 상기 공동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공동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2 포장재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하는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포장재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포장재의 길이보다 긴,
    포장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재는,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 리브는, 상기 제1 포장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포장재는,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리 리브는, 상기 제2 포장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 이하인,
    포장 어셈블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리브는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1 분리 리브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2 분리 리브는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제2 분리 리브들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배열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는 육면체 형상의 포장 어셈블리 내에서 대각선으로 배열되는,
    포장 어셈블리.
  20. 오븐에 있어서,
    상기 오븐은,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 개방되는 육면체의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상기 본체의 상기 일측에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상기 일측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조리실에 수용되는 포장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는,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1 포장재와 맞닿는 제2 포장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포장재는 상기 제2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1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장재는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해 개방되는 제2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포장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실에 대응되는 외부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포장재 및 상기 제2 포장재가 맞닿는 면으로부터 상기 제1 포장재를 향하는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1 포장재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에 따른 상기 제2 포장재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포장재는, 하나 이상의 제1 분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 리브는, 상기 제1 포장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포장재는, 하나 이상의 제2 분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분리 리브는, 상기 제2 포장재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2 수용 공간의 중심을 향해 적어도 일부가 연속되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제1 분리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돌출 길이 이하인,
    오븐.
KR1020210181874A 2021-12-17 2021-12-17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20230092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874A KR20230092465A (ko) 2021-12-17 2021-12-17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PCT/KR2022/015516 WO2023113181A1 (ko) 2021-12-17 2022-10-13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874A KR20230092465A (ko) 2021-12-17 2021-12-17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465A true KR20230092465A (ko) 2023-06-26

Family

ID=8677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874A KR20230092465A (ko) 2021-12-17 2021-12-17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92465A (ko)
WO (1) WO202311318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7511Y1 (en) * 1994-08-17 1997-09-30 Daewoo Electronics Co Ltd Protective airbag for tray of microwave oven
KR200150810Y1 (ko) * 1996-07-09 1999-07-15 윤종용 전자레인지의 포장 완충물
JP6293022B2 (ja) * 2014-09-01 2018-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用梱包構造
CN211108961U (zh) * 2019-08-30 2020-07-2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吸油烟机的包装组件
CN213922324U (zh) * 2020-11-23 2021-08-10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包装结构及烹饪器具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181A1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2274C2 (ru) Печь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варианты)
US8333183B2 (en) Cooking range including an air circulation mechanism
US9803873B2 (en) Oven range appliance
US11846431B2 (en) Cooking apparatus
CA2461794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peedcooking oven
US10006639B2 (en) Appliance side panel with air channel
EP3680556B1 (en) Cooking appliance
US10948193B2 (en) Fan assembly for a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JP5666040B1 (ja) 加熱調理器
JP2005300053A (ja) 加熱調理器
US10024547B2 (en) Cooling system for an oven appliance
KR20230092465A (ko)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JP4778840B2 (ja) 加熱調理器
KR20220041605A (ko) 조리기기
KR20110015784A (ko) 조리기기
JP4576296B2 (ja) 加熱調理器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CN218044819U (zh) 一种双锅分区的空气炸烤箱
KR20050062794A (ko) 피자오븐 겸용 전자렌지
AP470A (en) Oven with electrical heating element.
JP2018071929A (ja) オーブン装置
JP5624242B1 (ja) 加熱調理器
JP5688478B1 (ja) 加熱調理器
JP5785648B2 (ja) 加熱調理器
JP5805293B1 (ja) 加熱調理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