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605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605A
KR20220041605A KR1020200125073A KR20200125073A KR20220041605A KR 20220041605 A KR20220041605 A KR 20220041605A KR 1020200125073 A KR1020200125073 A KR 1020200125073A KR 20200125073 A KR20200125073 A KR 20200125073A KR 20220041605 A KR20220041605 A KR 20220041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ent
bracket
fram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청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605A/ko
Priority to EP21196764.1A priority patent/EP3974731A1/en
Priority to US17/484,434 priority patent/US20220099305A1/en
Publication of KR2022004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1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ealings for doors or transparent pan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조리실의 입구에 배치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와 도어가 접촉하는 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밀폐하는 패킹부재, 및 도어의 하부에 결합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하부로 이동하는 이물질이 패킹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조리실에 음식물을 넣고 고온의 분위기에서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에서 기름 등의 이물질이 대량으로 방출될 수 있다. 특히, 닭고기와 같은 육류를 고온에서 조리하는 경우에 닭의 기름이 대량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이 조리실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조리실에는 밀폐를 위한 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고온의 이물질이 패킹에 접촉하는 경우에, 패킹은 고온의 이물질에 의해 부식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고온의 이물질에 의한 패킹의 부식, 파손으로 패킹은 밀폐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온의 이물질이 조리실 외부로 누출되어 사용자를 다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실에 구비되는 패킹의 밀페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패킹이 고온의 이물질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조리기기의 구조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패킹부재가 고온의 이물질에 의해 녹거나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기기에 브라켓을 배치하여 내측글래스의 하부로 흘러내리는 고온의 이물질이 패킹부재의 하부프레임에 쌓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이 복수의 절곡부위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도어에 밀착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도어의 내측글래스에 흘러내리는 고온의 이물질이 패킹의 하부프레임에 닿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를 가진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조리실의 입구에 구비되어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패킹부재와,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패킹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어 하부프레임에 이물질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은 복수의 절곡된 부위를 가지므로, 도어의 내측 표면에서 흘러내리는 유동성이 강한 액체 또는 겔(gel) 상태의 이물질의 유동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이물질이 브라켓과 도어의 접촉부위의 틈새를 통해 도어의 하단부로 계속 흘러 하부프레임과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브라켓은 도어의 복수의 절곡된 부위 중 적어도 일부는 내측 표면과 밀착하도록 구비되어, 브라켓과 도어의 접촉부위의 틈새를 없애거나 현저히 줄여, 브라켓과 도어의 접촉부위의 틈새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조리실의 입구에 배치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와 도어가 접촉하는 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밀폐하는 패킹부재, 및 도어의 하부에 결합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하부로 이동하는 이물질이 패킹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도어의 하부에 결합하는 베이스부, 및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패킹부재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베이스부에 대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 제1절곡부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및 제2절곡부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첨단부와 연결되는 제3절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단부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패킹부재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은 판재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첨단부는, 판재가 특정부위에서 폴딩(folding)되어 한 쌍의 판재가 서로 맞닿은 폴딩부위가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첨단부는, 끝단에 폴딩부위의 일부가 배치되고, 끝단이 라운딩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은, 제2절곡부와 제3절곡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브라켓이 도어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3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도어에 장착되는 내측글래스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는, 제1절곡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셀, 및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제1절곡부의 양측 단부에서 절곡되고 제1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제2셀을 포함하고, 제2셀은 도어와 결합을 위한 제1결합홀을 구비하고, 도어는 제1결합홀과 대응하는 부위에 베이스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절곡부는 도어와 결합을 위해 제1결합홀의 형성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결합홀을 구비하고, 도어는 제3결합홀과 대응하는 부위에 제1절곡부의 결합을 위한 제4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다.
도어는, 브라켓의 양측에 브라켓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도어가 닫힌상태를 유지하는 로커, 로커가 장착되고,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브라켓이 배치되는 제1프레임, 제1프레임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둘러싸고,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3프레임, 제3프레임에 장착되는 핸들, 제3프레임의 중앙부에 장착되고, 도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글래스, 및 제1프레임의 중앙부에 장착되고,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다.
첨단부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내측글래스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의 일면은 도어의 하단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제1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절곡부의 일면은 내측글래스의 하단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제3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글래스의 일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조리실을 개폐하고,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제1프레임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둘러싸고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3프레임과, 제3프레임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외측글래스와, 제1프레임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내측글래스를 포함하는 도어, 조리실의 입구에 배치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와 도어가 접촉하는 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밀폐하는 패킹부재, 및 도어의 하부에 결합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의 하부로 이동하는 이물질이 패킹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도어의 하부에 결합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패킹부재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첨단부,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베이스부에 대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 제1절곡부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및 제2절곡부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첨단부와 연결되는 제3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판재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첨단부는, 판재가 특정부위에서 폴딩되어 한 쌍의 판재가 서로 맞닿은 폴딩부위가 단부에 구비되고, 끝단이 라운딩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첨단부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패킹부재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브라켓은 제2절곡부와 제3절곡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브라켓이 도어에 결합한 상태에서 제3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도어에 장착되는 내측글래스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의 일면은 도어의 하단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제1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되고, 제2절곡부의 일면은 내측글래스의 하단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제3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글래스의 일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어의 내측하부에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패킹부재와 상하방향으로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패킹부재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브라켓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브라켓이 도어의 내측표면 즉, 내측글래스로부터 흘러내리는 고온의 이물질이 패킹부재의 하단부에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고온의 이물질이 패킹부재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패킹부재가 녹거나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패킹부재의 첨단부에 원래의 판재의 두께의 2배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폴딩부위를 마련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충격에도 상기 첨단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패킹부재의 첨단부의 끝을 전술한 구조와 같이 두껍게 만들고 라운딩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얇고 샤프한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첨단부의 끝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더라도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서는, 브라켓이 복수의 절곡부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브라켓이 도어에 견고하게 결합하면 이러한 절곡부위들이 도어의 표면과 밀착하거나 조리기기에 대하여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내측글래스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고온의 이물질이 브라켓과 도어의 접촉부위의 틈새를 따라 패킹부재쪽으로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와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2개의 조리실(30)을 구비하므로, 각각의 조리실(30)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2개의 도어(10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300)도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조리실(30)과 2개의 도어(100)는 그 폭이 서로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그 구조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2개의 브라켓(300)도 조리실(30)의 폭에 대응하도록 각각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그 구조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도면 상에서 앞쪽에 있는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조리실(30)의 구조와, 이에 대응하는 폭이 상대적으로 작은 도어(100)의 구조와 이에 장착되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브라켓(3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내부에 조리실(30)이 형성되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본체(10)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21)이 제공된다.
쿡탑부(20)의 중앙부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부(22)가 구비된다. 상기 가열부(22)는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열부(22)는 전기를 이용하는 인덕션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이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가열부(22)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0)이 위치한다.
조리실(30)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0)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조리실(30)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4)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0)의 하측에도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5)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30)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6)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부(36)은 컨벡션모터(36a), 상기 컨벡션모터(36a)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여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컨벡션팬(36b), 상기 컨벡션팬(36b)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컨벡션히터(36c)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벡션부(36)는, 조리실(30)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6)는, 조리실(30) 내부공간의 공기를 가열하고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0)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0)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조리실(30)의 양측 벽에는 랙(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랙(40)에는 음식물을 담은 용기가 거치될 수 있다. 음식물을 담은 용기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랙(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전면에는 조리실(30)을 개폐하는 도어(100)가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10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전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30)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0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00)를 회전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150)이 설치된다. 핸들(150)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10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그리고 도어(100)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와 조리실(30)에 구비되는 장치들을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2)의 조작스위치는 버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knob)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22)가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되는 경우에, 노브로 구비되는 입력부(52)는 밸브조절부(54)와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는 노브를 회전시키는 등의 조작을 통해 밸브조절부(54)를 조절하여 가스밸브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52)를 조작하여 가열부(22)를 점화 또는 소화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의 유동량을 조절하여 가열부(22)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조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53)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3)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중 쿡탑부(20)와 조리실(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 및 도어(100)의 상부가 위치하며, 조리기기는 컨트롤패널(51)과 도어(100)에 의해 전장실(50)의 전면이 차폐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3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30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조리기기는 패킹부재(200) 및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재(200)는 조리실(30)의 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와 상기 도어(100)가 접촉하는 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밀폐할 수 있다.
패킹부재(200)는 조리실(30)의 입구에서 조리실(30)의 벽에 장착될 수 있다. 패킹부재(200)는 조리실(30)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조리실(30)의 입구에 장착되어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200)는 조리실(30)의 입구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200)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10)에는 본체(10)에 형성되는 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패킹부재(200)의 상단부 및 측면부에도 상기 결합돌출부(22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닫히면 조리실(30)의 입구와 도어(100)의 조리실(30)과 접촉하는 부위 사이에 생기는 빈틈을 밀폐하여, 조리실(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뜨거운 기체가 상기 빈틈사이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거나, 반대로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빈틈을 통해 조리실(3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패킹부재(200)가 조리실(30)의 입구와 도어(100) 사이의 빈틈을 밀폐함으로써, 조리를 진행하는 동안 고온의 물질이 조리기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빈틈으로 외부로부터 조리실(3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조리실(30)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상기 패킹부재(200)는 가볍고, 내열성이 우수하고,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빈틈을 밀폐하는 성질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재질은 예를 들어, 실리콘고무가 있다. 따라서, 패킹부재(200)는 실리콘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리콘고무는 고온에도 녹지 않으며 물리적인 특성이 변하지 않으므로, 고온의 분위기에서 작동하는 장치의 패킹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조리실(30) 내부에서 고온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안에 상기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이물질이 실리콘고무 재질의 패킹부재(200)에 유입되면 패킹부재(200)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예를 들어, 닭고기 등의 육류 음식물을 조리실(30)에 넣고 가열하여 조리하는 경우, 육류의 기름이 조리실(30) 내부에 나오게 되고, 기름은 고온을 유지하면서 튀거나 비산하여 도어(100)의 내측글래스(170)에 부착될 수 있다.
도어(100)의 내측글래스(170)에 부착된 고온의 유동성이 강한 액체 또는 겔(gel) 상태의 이물질, 예를 들어 육류 음식물에서 나오는 기름은 내측글래스(170)의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물질이 내측글래스(170)의 하부로 흘러내려 패킹부재(200) 중 상기 내측글래스(17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프레임(210)에는 고온의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패킹부재(200)에 쌓인 고온의 이물질은 고온의 분위기에서 패킹부재(200)와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패킹부재(200)는 녹거나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이는 고온에서 견디는 내열성이 양호한 실리콘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패킹부재(200)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에 브라켓(300)을 배치하여 내측글래스(170)의 하부로 흘러내리는 고온의 이물질이 패킹부재(200)의 하부프레임(210)에 쌓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브라켓(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브라켓(300)은 도어(100)로부터 조리실(30)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도어(30)의 구조를 형성하고 다양한 부품을 장착하는 프레임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도어(100)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100)의 하부로 이동하는 이물질이 상기 패킹부재(200)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브라켓(300)은 복수의 절곡부위를 가진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탄성 복원력이 양호하고, 고온에서 내부식성이 양호한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브라켓(30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합금, 구리, 구리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300)은 표면에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내부식성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코팅층의 재질은 조리실(30)의 내부의 고온과 이물질이 접촉하는 경우에도 물리적 또는 화학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예를 들어, 상기 브라켓(300)은 판재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재질의 판재를 브라켓(300)의 외형을 가지도록 자르고, 자른 판재를 벤딩(bending)장치를 이용하여 절곡부를 형성함으로서 상기 브라켓(300)을 제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브라켓(300)은 사출성형, 주조, 용접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브라켓(300)은 베이스부(310), 첨단부(320), 제1절곡부(330), 제2절곡부(340) 및 제3절곡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는 상기 도어(100)의 하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310)는 제1셀(311) 및 제2셀(3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셀(311)은 절곡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0)이 도어(100)에 장착되면 제1셀(311)은 조리기기에 대하여 대체로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셀(312)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제1절곡부(330)의 양측 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1셀(311)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브라켓(300)이 도어(100)에 장착되면 제2셀(312)은 조리기기에 대하여 대체로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셀(312)은 도어(100)와 결합을 위한 제1결합홀(312a)을 구비할 수 있다.
첨단부(320)는 베이스부(310)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200)의 하단부 즉, 하부프레임(210)과 상기 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첨단부(320)는 패킹부재(200)의 상면(211)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첨단부(320)는,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300)이 도어(100)에 장착되면, 조리기기에 대하여 대체로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첨단부(320)가 조리기에 장착되면, 첨단부(320)는 조리기기의 전후방향으로 하부프레임(210)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첨단부(320)는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패킹부재(200)의 하단부 즉, 하부프레임(2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00)의 상부에서 첨단부(320)와 패킹부재(200)의 하부프레임(210)을 바라보면, 하부프레임(210)은 첨단부(3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첨단부(320)의 상부의 내측글래스(170)에 부착되는 고온의 유동성이 큰 이물질이 내측글래스(170) 아래로 흐르더라도, 첨단부(320)에 쌓이게 되고 하부프레임(210)까지 흘러내리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제1절곡부(330)는 베이스부(310)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310)에 대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300)이 도어(100)에 장착되면, 제1절곡부(330)는 조리기기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절곡부(330)는 도어(100)와 결합을 위해 상기 제1결합홀(312a)의 형성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결합홀(331)을 구비할 수 있다.
제2절곡부(340)는 제1절곡부(330)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300)이 도어(100)에 장착되면, 제2절곡부(340)는 조리기기에 대하여 대체로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절곡부(350)는 제2절곡부(340)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첨단부(32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300)이 도어(100)에 장착되면, 제3절곡부(350)는 조리기기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어(100)의 내측하부에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패킹부재(200)와 상하방향으로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패킹부재(200)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브라켓(30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브라켓(300)이 도어(100)의 내측표면 즉, 내측글래스(170)로부터 흘러내리는 고온의 이물질이 패킹부재(200)의 하단부에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고온의 이물질이 패킹부재(200)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패킹부재(200)가 녹거나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첨단부(320)는 판재가 특정부위에서 폴딩(folding)되어 한 쌍의 상기 판재가 서로 맞닿은 폴딩부위(321)가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첨단부(320)는 끝단(321a)에 상기 폴딩부위(321)의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끝단(321a)이 라운딩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부위(321)는 판재를 두겹으로 접어서 형성될 수 있다. 참단부에 폴딩부위(321)게 존재함으로써, 첨단부(3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어(100)에서 조리실(30)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첨단부(320)의 구조로 인해, 상기 첨단부(320)는 외력에 의한 충격을 빈번히 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첨단부(320)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킹부재(200)의 첨단부(320)에 원래의 판재의 두께의 2배 이상의 두께를 가지도록 폴딩부위(321)를 마련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충격에도 상기 첨단부(320)가 비틀리거나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위(321)는 끝단(321a)이 라운딩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판재를 첨단부(320)의 적절한 부위에서 벤딩하여 두겹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벤딩지점의 외측이 구부러져서 상기 라운딩 형상의 끝단(321a)이 만들어질 수 있다.
첨단부(320)에서 판재가 2겹으로 겹쳐진 폴딩부위(321)가 형성되고, 상기 폴딩부위(321)의 일부인 첨단부(320)의 끝단(321a)이 라운딩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브라켓(300)은 도어(10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조리를 위해 도어(1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브라켓(300)과 접촉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200)의 첨단부(320)의 끝을 전술한 구조와 같이 두껍게 만들고 라운딩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얇고 샤프한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첨단부(320)의 끝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더라도 이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00)은 상기 제2절곡부(340)와 상기 제3절곡부(350)가 이루는 각도 즉, 사잇각(X)이 90°보다 작은 예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잇각(X)은 예를 들어, 70°내지 88°, 더욱 바람직하게는 80°내지 87°로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브라켓(300)은 도어(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3절곡부(350)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100)에 장착되는 내측글래스(170)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잇각(X)이 예각으로 구비되었지만, 브라켓(300)이 결합기구에 의해 도어(100)에 견고하게 결합하면, 제2절곡부(340)와 제3절곡부(350)는 탄성변형하여 상기 사잇각(X)이 커지게 되어 대략 90°가 될 수 있다.
제2절곡부(340)와 제3절곡부(350)가 탄성변형함으로써, 브라켓(300)이 도어(100)에 견고하게 결합하면, 제3절곡부(350)는 도어(100)의 내측글래스(170) 표면에 밀착할 수 있다. 이때, 제3절곡부(350)는 조리기기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로 인해, 제3절곡부(350)는 도어(100)의 내측글래스(170) 표면에 밀착하고, 따라서, 제3절곡부(350)와 내측글래스(170) 사이의 빈틈은 없어지거나 매우 협소해 질 수 있고, 도어(100)의 내측글래스(170)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고온의 이물질이 이러한 빈틈을 따라 브라켓(300)과 도어(100)의 접촉부위의 틈새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10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단면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브라켓(300)은 각각 베이스부(310)와 제1절곡부(330)에서 볼트와 같은 결합기구들에 의해 각각 도어(100)의 하단면과 내측면 하부에 견고하게 결합하고, 도어(100)가 개방되어 조리기기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눕도록 회전하면 브라켓(300)도 이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가 개방되어 조리기기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누운상태에서는 첨단부(320)가 조리기기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300)과 도어(100)의 접촉부위의 틈새로 중력에 의한 이물질의 침투는 더이상 발생하지 않으며, 조리기기의 작동이 중단되고 도어(100)가 개방되면, 첨단부(320)의 일면에 쌓인 고온의 이물질은 냉각될 수 있다.
사용자는 첨단부(320)에 쌓여 냉각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내측글래스(170)에서 흘러내려 첨단부(320)의 일면에 쌓인 이물질 제거하여, 상기 이물질이 패킹부재(200)의 하부프레임(210)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 도어(100)와 브라켓(30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어(100)는, 로커(110), 제1프레임(120), 제2프레임(130), 핸들(150), 외측글래스(160) 및 내측글래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커(110)는 브라켓(300)의 양측에 상기 브라켓(30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어(100)가 닫힌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로커(110)는 전체적으로 후크(hook)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도어(100)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도어(100)에 힌지결합할 수 있다.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로커(110)는 본체(10)에 구비되는 걸림구조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100)는 단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어(100)가 개방되는 때에는 로커(110)는 도어(100)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전하여 본체(10)에 구비되는 상기 걸림구조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사용자는 핸들(150)을 이용하여 도어(100)를 개방할 수 있다.
제1프레임(120)은 상기 로커(110)가 장착되고,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20)의 중앙부에는 내측글래스(170)가 장착될 수 있고, 하부에는 브라켓(30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120)은 대략적으로 바(bar) 형상을 가진 판재들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하고, 다양한 장치와 구조를 장착하기 위해 그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은 상기 제1프레임(120)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130)은 제1프레임(120)을 이루는 각 판재들을 서로 연결 및 결합시키거나, 제1프레임(120)과 제3프레임(140)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프레임(140)은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120)과 상기 제2프레임(130)을 둘러싸고, 상기 도어(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조리기기의 전방부의 외관의 대부분은 제3프레임(140)이 차지한다.
핸들(150)은 제3프레임(140)의 전면에 장착되고, 사용자는 핸들(150)을 사용하여 도어(100)를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다.
외측글래스(160)는 제3프레임(140)의 중앙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글래스(160)는 단열을 위해 여러 겹의 글래스로 구비될 수도 있다.
내측글래스(170)는 제1프레임(120)의 중앙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00)가 닫힌 경우, 상기 내측글래스(170)는 조리실(30)의 입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외측글래스(160)와 내측글래스(170)는 투명유리 또는 반투명유리 재질로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가 투명재질로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내측글래스(170)와 외측글래스(160)를 통해 조리실(30)에서 음식이 조리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다. 사용자의 관찰의 편의를 위해, 조리실(30)에는 적절한 위치에 조명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310)의 제2셀(312)에는 제1결합홀(312a)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100)는 제1결합홀(312a)과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베이스부(310)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홀(312c)을 구비할 수 있다. 제1프레임(120)의 하단면 즉, 도어(100)의 하단면은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 상기 제2결합홀(312c)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나사못 등으로 구비되는 제1결합기구(312b)를 제1결합홀(312a)과 제2결합홀(312c)에 체결하여 브라켓(300)의 베이스부(310)를 도어(100)에 체결할 수 있다.
제2절곡부(340)는 제1결합홀(312a)의 형성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결합홀(331)을 구비할 수 있다. 도어(100)는 상기 제3결합홀(331)과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제1절곡부(330)의 결합을 위한 제4결합홀(331a)을 구비할 수 있다. 제1프레임(120)의 측면 하부는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 상기 제4결합홀(331a)이 형성될 수 있다.
볼트, 나사못 등으로 구비되는 제2결합기구(331b)를 제3결합홀(331)과 제4결합홀(331a)에 체결하여 브라켓(300)의 제2절곡부(340)를 도어(100)에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결합기구(312b)와 제2결합기구(331b)는 각각의 길이방향이 서로 교차하도록 브라켓(300) 및 도어(100)에 체결되고, 이로인해 브라켓(300)은 도어(10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300)은 도어(100)의 내측 하부와 상기 도어(100)의 하단면을 형성하는 제1프레임(120)에 장착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도어(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브라켓(3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첨단부(320)는 상기 내측글래스(170)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내측글래스(170)에서 흘러내리는 고온의 이물질은 첨단부(320)의 일면, 즉 도 3에서 첨단부(320)의 상면에 쌓이게 되고 내측글래스(170)의 하단까지 흐르지 않는다.
이로 인해, 브라켓(30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도어(100)가 개방됨과 동시에 이물질이 내측글래스(170) 하단까지 흘러내려 결국 조리기기 외부의 실내 바닥면에 떨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의 일면은 상기 도어(100)의 하단면 즉, 제1프레임(120)의 하단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절곡부(330)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100)의 내측면 즉, 제1프레임(120)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베이스부(310)의 상면은 도어(100)의 하단면과 대향되고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기구(312b)를 견고하게 체결하면, 베이스부(310)의 상면과 도어(100)의 하단면은 서로 밀착하고, 이로 인해, 베이스부(310)와 도어(100)의 접촉부위의 틈새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310)의 상면은 중력의 방향과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놓인 평면상에 배치되므로, 베이스부(310)의 상면에 침투한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도어(100)의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결합기구(331b)를 견고하게 체결하면, 제1절곡부(330)의 일면과 도어(100)의 일면은 서로 밀착하고, 이로 인해, 제1절곡부(330)와 도어(100)의 접촉부위의 틈새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절곡부(340)의 일면은 상기 내측글래스(170)의 하단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절곡부(350)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글래스(170)의 일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절곡부(340)의 상면은 중력의 방향과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놓인 평면상에 배치되므로, 제2절곡부(340)의 상면에 침투한 이물질이 중력에 의해 도어(100)의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절곡부(340)와 제3절곡부(350)의 사잇각(X)은 예각으로 형성되어, 브라켓(300)이 도어(100)에 결합하는 경우에 탄성변형에 의하여 제3절곡부(350)는 내측글래스(170)의 일면에 밀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내측글래스(170)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린 이물질이 제3절곡부(350)와 내측글래스(170)의 접촉부위의 틈새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브라켓(300)이 복수의 절곡부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브라켓(300)이 도어(100)에 견고하게 결합하면 이러한 절곡부위들이 도어(100)의 표면과 밀착하거나 조리기기에 대하여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내측글래스(170)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고온의 이물질이 브라켓(300)과 도어(100)의 접촉부위의 틈새를 따라 패킹부재(200)쪽으로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본체 20: 쿡탑부
21: 상판 22: 가열부
30: 조리실 34: 상부히터
35: 하부히터 36: 컨벡션부
36a: 컨벡션모터 36b: 컨벡션팬
36c: 컨벡션히터 40: 랙
50: 전장실 51: 컨트롤패널
52: 입력부 53: 디스플레이
54: 밸브조절부 100: 도어
110: 로커 120: 제1프레임
130: 제2프레임 140: 제3프레임
150: 핸들 160: 외측글래스
170: 내측글래스 200: 패킹부재
210: 하부프레임 220: 결합돌출부
300: 브라켓 310: 베이스부
311: 제1셀 312: 제2셀
312a: 제1결합홀 312b: 제1결합기구
312c: 제2결합홀 320: 첨단부
321: 폴딩부위 321a: 폴딩부위의 끝단
330: 제1절곡부 331: 제3결합홀
331a: 제4결합홀 331b: 제2결합기구
340: 제2절곡부 350: 제3절곡부
X: 사잇각

Claims (15)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의 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가 접촉하는 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밀폐하는 패킹부재; 및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하부로 이동하는 이물질이 상기 패킹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첨단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및
    상기 제2절곡부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첨단부와 연결되는 제3절곡부
    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패킹부재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판재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첨단부는,
    상기 판재가 특정부위에서 폴딩(folding)되어 한 쌍의 상기 판재가 서로 맞닿은 폴딩부위가 단부에 구비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부는,
    끝단에 상기 폴딩부위의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끝단이 라운딩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절곡부와 상기 제3절곡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도어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3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내측글래스에 밀착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셀; 및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제1절곡부의 양측 단부에서 절곡되고 상기 제1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제2셀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셀은 상기 도어와 결합을 위한 제1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제1결합홀과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베이스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홀을 구비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는 상기 도어와 결합을 위해 상기 제1결합홀의 형성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3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제3결합홀과 대응하는 부위에 상기 제1절곡부의 결합을 위한 제4결합홀을 구비하는,
    조리기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브라켓의 양측에 상기 브라켓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상태를 유지하는 로커;
    상기 로커가 장착되고,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이 배치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둘러싸고,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3프레임;
    상기 제3프레임에 장착되는 핸들;
    상기 제3프레임의 중앙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글래스; 및
    상기 제1프레임의 중앙부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측글래스
    를 포함하고,
    상기 첨단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내측글래스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은 상기 도어의 하단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곡부의 일면은 상기 내측글래스의 하단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글래스의 일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12.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고,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모서리 부위에 배치되는 제2프레임과, 중앙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을 둘러싸고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3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외측글래스와, 상기 제1프레임의 중앙부에 장착되는 내측글래스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의 입구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가 접촉하는 부위에 발생하는 틈새를 밀폐하는 패킹부재; 및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하부로 이동하는 이물질이 상기 패킹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도어의 하부에 결합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의 상면을 덮도록 구비되는 첨단부;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절곡부;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절곡부; 및
    상기 제2절곡부로부터 절곡되고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첨단부와 연결되는 제3절곡부
    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판재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첨단부는,
    상기 판재가 특정부위에서 폴딩되어 한 쌍의 상기 판재가 서로 맞닿은 폴딩부위가 단부에 구비되고, 끝단이 라운딩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첨단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패킹부재의 하단부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2절곡부와 상기 제3절곡부가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이 상기 도어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3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내측글래스에 밀착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은 상기 도어의 하단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절곡부의 일면은 상기 내측글래스의 하단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절곡부의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글래스의 일면에 밀착하도록 구비되는,
    조리기기.
KR1020200125073A 2020-09-25 2020-09-25 조리기기 KR20220041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073A KR20220041605A (ko) 2020-09-25 2020-09-25 조리기기
EP21196764.1A EP3974731A1 (en) 2020-09-25 2021-09-15 Cooking appliance
US17/484,434 US20220099305A1 (en) 2020-09-25 2021-09-24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073A KR20220041605A (ko) 2020-09-25 2020-09-25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05A true KR20220041605A (ko) 2022-04-01

Family

ID=7777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073A KR20220041605A (ko) 2020-09-25 2020-09-25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99305A1 (ko)
EP (1) EP3974731A1 (ko)
KR (1) KR202200416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9999A1 (en) * 2022-09-20 2024-03-28 Whirlpool Corporation Auxiliary heating assembly with compliant connection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261A (en) * 1978-01-16 1981-10-20 Chambers Corporation Method of mounting a thermal insulating door gasket
DE29922260U1 (de) * 1999-12-18 2000-03-09 Rehau Ag & Co Dichtungssystem für die Abdichtung einer Backzelle, insbesondere für die Tür eines pyrolytisch reinigenden Ofens
DE20321760U1 (de) * 2003-06-02 2009-08-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mit Isolierverglasung und damit ausgestattetes Haushaltsgerät
US20110186029A1 (en) * 2010-02-04 2011-08-04 Swayze Daniel J Sealing System For Combination Oven
KR101960820B1 (ko) * 2012-10-08 2019-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EP3161385A1 (en) * 2014-06-26 2017-05-0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Domestic oven having a door with two door wings
DE202016103077U1 (de) * 2016-06-09 2016-07-13 Rational Aktiengesellschaft Dichtung für ein Gargerät und Gargerät
KR102467315B1 (ko) * 2017-09-29 2022-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US10688327B2 (en) * 2017-12-14 2020-06-2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Oven appliance and a flame arrester for an oven appliance
AU2019353597A1 (en) * 2018-10-01 2021-02-2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ealing system for an oven cav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9999A1 (en) * 2022-09-20 2024-03-28 Whirlpool Corporation Auxiliary heating assembly with compliant connection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9305A1 (en) 2022-03-31
EP3974731A1 (en)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1543B2 (en) Cooking oven with anti-condensation door
US7874289B2 (en) Door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US9803873B2 (en) Oven range appliance
US10523851B2 (en) Camera assembly for an oven appliance
KR102428720B1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EP3680556B1 (en) Cooking appliance
US10440245B1 (en) Oven appliance camera assembly including a light shield
US9016270B2 (en) Window mounting for thermal expansion in an oven appliance
CA2426073C (en) Oven door assembly
KR20220041605A (ko) 조리기기
US9335055B2 (en) Oven appliance
US3439669A (en) Supporting means for shutter of oven door window
KR100697458B1 (ko) 전면유리형 오븐도어
KR100562107B1 (ko) 도어 어셈블리
KR101079402B1 (ko) 과열방지 오븐도어
KR101224269B1 (ko) 오븐
KR100676137B1 (ko) 전기오븐렌지
JPH07243653A (ja) オーブン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KR101231322B1 (ko) 가스 오븐 레인지의 오븐 도어 손잡이 체결구조
KR100700758B1 (ko) 전기오븐의 사이드트림 결합구조
KR20080062782A (ko) 빌트인 타입의 오븐 설치구조
KR20230092465A (ko) 포장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JPH04306419A (ja) 高周波加熱装置の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