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1703A -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1703A
KR20230091703A KR1020210181079A KR20210181079A KR20230091703A KR 20230091703 A KR20230091703 A KR 20230091703A KR 1020210181079 A KR1020210181079 A KR 1020210181079A KR 20210181079 A KR20210181079 A KR 20210181079A KR 20230091703 A KR20230091703 A KR 20230091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vehicle
unit
detection unit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윤
윤상헌
강승훈
Original Assignee
남기윤
주식회사 한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윤, 주식회사 한화건설 filed Critical 남기윤
Priority to KR102021018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1703A/ko
Publication of KR20230091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7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5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combined with a d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기류 변경 유닛; 상기 출입구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 상기 출입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2 미세먼지 감지 유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유닛; 및 상기 제1, 2 미세먼지 감지 유닛 및 상기 차량 감지 유닛을 통해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DUST INFLOW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다양한 환경문제들이 발생되고 있다. 사람들이 생활하는 실내 공간에서는 공기 청정 장치등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활용되고 있으나, 실내 공간과 실외 공간을 완전히 단절시킬 수 없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진다.
특히 외부의 차량이 출입하는 주차장 출입구의 경우, 항상 열려있어서 차량과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에 여전히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출입에 의한 미세먼지 유입을 방지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기류 변경 유닛; 상기 출입구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 상기 출입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2 미세먼지 감지 유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유닛; 및 상기 제1, 2 미세먼지 감지 유닛 및 상기 차량 감지 유닛을 통해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공기의 유입부 및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입구의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 부재,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 및 배출부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미세먼지 감지 유닛에 따른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작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2 미세먼지 감지 유닛에 따른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미세먼지 감지 유닛에 따른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 감지 유닛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미세먼지 감지 유닛에 따른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감지 유닛은 상기 기류 변경 유닛보다 기 설정된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의 크기,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상기 본체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틸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상기 본체 부재의 상하 방향 분사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상기 공기 분사 부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회전 속도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진입 속도에 따라 상기 공기 분사 부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출부는 후광전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대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 감지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제1 높이의 차량을 감지하는 하부 센서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의 차량을 감지하는 상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 부재의 후방 상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아래쪽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은, 차량에 진입에 의한 외부 미세 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외부의 미세 먼지 농도에 따라 기류 변경 유닛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어, 작동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진입하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기류 변경 유닛의 작동 상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각 구성 간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기류 변경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기류 변경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의 기류 변경 유닛을 복수개로 구비한 경우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류 변경 유닛의 상하 방향 회전에 따른 공기의 배출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감지 유닛을 통해 차량의 위치에 따른 공기의 배출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은 건물의 지하 주차장과 같이 외부의 차량이 실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구현되는 어떠한 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건물의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각 구성 간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기류 변경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의 기류 변경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기류 변경 유닛을 복수개로 구비한 경우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류 변경 유닛의 상하 방향 회전에 따른 공기의 배출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감지 유닛을 통해 차량의 위치에 따른 공기의 배출 방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은, 기류 변경 유닛(110), 제1 미세먼지 감지 유닛, 제2 미세먼지 감지 유닛, 차량 감지 유닛(140) 및 제어 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기류 변경 유닛(110)은 차량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차량과 함께 유입되는 미세 먼지의 기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기류 변경 유닛(110)은 본체 부재(111)와 공기 분사 부재(115)를 포함한다.
본체 부재(111)는 차량이 출입되는 출입구의 천장에 결합될 수 있다. 본체 부재(111)의 전방에는 내부의 공기 분사 부재(115)를 통해 차량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배출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부(112)의 형상은 베르누이 정리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후광전협의 형상으로, 전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배출부(112)의 형상은 슬릿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을 자명하다. 공기 분사 부재(115)에서 생성되는 공기가 배출부(112)를 통하여 차량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본체 부재(111)의 후방에는 차량과 함께 아래쪽으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부(113)는 공기 분사 부재(115)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배출부(112)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후방의 유입부(113)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아래쪽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재(117)가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117)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 부재(111)의 후방 상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7)는 제조 단계에서 본체 부재(111)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부재(117)와 본체 부재(111)가 각각 제조된 이후 용접이나 볼트와 같은 기계적인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본체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 부재(115)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분사 부재(115)는 상기 본체 부재(111)에 설치되고, 차량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공기 분사 부재(115)는 차량과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차량의 주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 분사 부재(115)는 인덕션 타입의 팬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분사 부재(115)는 본체 부재(111)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공기 분사 부재(115)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공기 분사 부재(115)는 좌우 방향,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공기 분사 부재(115)의 회전 속도가 서로 같거나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류 변경 유닛(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류 변경 유닛(110)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이경우 각각의 기류 변경 유닛(110)은 본체 부재(111)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 부재(111)의 일측에는 이웃하는 본체 부재(11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볼트 결합, 끼움 결합, 마그네틱 결합등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기류 변경 유닛(110)은 본체 부재(111)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틸팅 부재(118), 본체 부재(111)의 상하 방향 분사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조절 부재(11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류 변경 유닛(110)은 내부의 공기 분사 부재(11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 속도 제어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회전 속도 제어 부재는 복수개의 공기 분사 부재(115) 각각에 대해 회전 속도를 서로 같거나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차장의 출입구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120)은 설치된 위치의 주변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120)은 감지된 현재의 외부 미세 먼지 농도를 제어 유닛(160)에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120)의 감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기류 변경 유닛(110)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제2 미세 먼지 감지 유닛(130)은 출입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차장 내부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미세 먼지 감지 유닛(130)은 설치된 위치의 주변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 먼지의 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미세 먼지 감지 유닛(130)은 감지된 현재의 주차장의 내부 미세 먼지 농도를 제어 유닛(160)에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미세 먼지 감지 유닛(130)의 감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기류 변경 유닛(110)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차량 감지 유닛(140)은 출입구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량 감지 유닛(140)은 출입구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감지 유닛(140)은 출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의 크기, 위치, 진입 속도 및/또는 대수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 감지 유닛(140)은 감지된 결과를 제어 유닛(16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감지 유닛(140)은 기류 변경 유닛(110)보다 기 설정된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감지 유닛(140)을 통해 차량의 이동이 감지되면, 차량이 기류 변경 유닛(110)까지 도달하기 이전에 작동이 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감지 유닛(140)은 출입구와 인접하게 설치되거나, 기류 변경 유닛(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감지 유닛(140)은 출입구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제1 높이의 차량을 감지하는 하부 센서(1402) 및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의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상부 센서(14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 감지 유닛(140)은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 센서(1402)를 통해 경차와 같이 상대적으로 전고가 낮은 차량의 진입이 감지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센서(1401)를 통해 트럭과 같이 상대적으로 전고가 높은 차량의 진입이 감지될 수 있다. 상부 센서(1401) 및 하부 센서(1402)는 출입구 전방의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양 측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부 센서(1401) 및 하부 센서(1402)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또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센서(1401) 및 하부 센서(1402)를 이용하여 차량의 크기(폭, 높이)를 감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차량 감지 유닛(140)은 상술한 레이저 센서뿐만 아니라, 라이다(Lidar), 초음파 센서 및/또는 비젼(Vision) 방식으로 차량을 인식하는 영상 촬영 장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차량의 크기, 속도,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공지된 어떠한 기술도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어 유닛(160)은 차량 감지 유닛(140), 제1,2 미세 먼지 감지 유닛 및 기류 변경 유닛(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어 유닛(160)은 차량 감지 유닛(140), 제1,2 미세 먼지 감지 유닛을 통해 기류 변경 유닛(1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류 변경 유닛(110)의 동작 상태는 작동의 시작과 중단, 그리고 작동 방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60)은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120)으로부터 수신된 외부 미세먼지 감지 결과에 따라 기류 변경 유닛(110)의 작동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160)은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120)을 통해 감지된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기류 변경 유닛(110)의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제어 유닛(160)은 상기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120)에 따른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 감지 유닛(140)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기류 변경 유닛(110)의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 제어 유닛(160)은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120)에 따른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차량 감지 유닛(140)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더라도 기류 변경 유닛(110)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160)은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120) 따른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판정되면,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120) 또는 별도의 알람 유닛(190)을 통해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60)은 상기 제2 미세 먼지 감지 유닛(130)에 따른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류 변경 유닛(11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160)은 감지된 차량이 진입한 이후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류 변경 유닛(110)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160)은 현재 내부 미세 먼지 농도가 안정된 상태라도, 출입구를 통해 차량이 계속적으로 진입되고 있는 경우는 기류 변경 유닛(110)의 작동이 중단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60)은 차량 감지 유닛(14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크기, 위치, 속도, 대수 등을 통해 기류 변경 유닛(110)의 작동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차량 감지 유닛(14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위치에 따라 기류 변경 유닛(110)의 본체 부재(111)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 감지 유닛(14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크기에 따라 본체 부재(111)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예컨대 경차와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차량은 전고가 낮기 때문에 이에 맞춰 지상과 가까운 위치를 향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본체 부재(111)를 아래쪽으로 틸팅시키는 것이다. 또는 트럭과 같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차량은 전고가 높기 때문에 이에 맞춰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를 향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본체 부재(111)를 위쪽으로 틸팅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현재 진입하는 차량의 상태를 추종하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60)은 차량 감지 유닛(140)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진입 속도에 따라 상기 공기 분사 부재(11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진입 속도가 빠른 경우, 공기 분사 부재(115)의 회전 속도를 높게 하여 차량과 함께 유입되는 미세먼지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진입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공기 분사 부재(115)의 회전 속도를 낮추어 전력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60)은 차량 감지 유닛(140)을 통해 현재 출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이 복수대인 경우, 복수개로 배치되는 기류 변경 유닛(110)을 차량의 대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기류 변경 유닛(110)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기류 변경 유닛(110)은 제어 유닛(160)을 통해 각 차량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향해 회전되어 대응되는 차량을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은, 차량에 진입에 의한 외부 미세 먼지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외부의 미세 먼지 농도에 따라 기류 변경 유닛(11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어, 작동의 효율성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진입하는 차량의 상태에 따라 기류 변경 유닛(110)의 작동 상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기류 변경 유닛
111: 본체 부재
112: 배출부
113: 유입부
115: 공기 분사 부재
117: 가이드 부재
118: 틸팅 부재
119: 각도 조절 부재
120: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
130: 제2 미세 먼지 감지 유닛
140: 차량 감지 유닛
1401: 상부 센서
1402: 하부 센서
160: 제어 유닛
190: 알람 유닛

Claims (14)

  1. 차량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기류 변경 유닛;
    상기 출입구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1 미세 먼지 감지 유닛;
    상기 출입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제2 미세먼지 감지 유닛;
    상기 출입구를 통해 진입하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감지 유닛; 및
    상기 제1, 2 미세먼지 감지 유닛 및 상기 차량 감지 유닛을 통해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공기의 유입부 및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출입구의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 부재,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량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분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 및 배출부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미세먼지 감지 유닛에 따른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작동을 시작하고,
    상기 제2 미세먼지 감지 유닛에 따른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작동을 중단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미세먼지 감지 유닛에 따른 외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 감지 유닛에 의해 차량의 진입이 감지되면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작동을 시작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미세먼지 감지 유닛에 따른 내부 미세먼지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의 작동을 중단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 유닛은 상기 기류 변경 유닛보다 기 설정된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의 크기, 속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상기 본체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틸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상기 본체 부재의 상하 방향 분사 각도를 제어하는 각도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상기 공기 분사 부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회전 속도 제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된 차량의 진입 속도에 따라 상기 공기 분사 부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후광전협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감지 유닛에 의해 감지되는 차량의 대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 유닛은 상기 출입구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제1 높이의 차량을 감지하는 하부 센서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의 차량을 감지하는 상부 센서를 포함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기류 변경 유닛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의 후방 상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아래쪽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KR1020210181079A 2021-12-16 2021-12-16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KR20230091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079A KR20230091703A (ko) 2021-12-16 2021-12-16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079A KR20230091703A (ko) 2021-12-16 2021-12-16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703A true KR20230091703A (ko) 2023-06-23

Family

ID=8699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079A KR20230091703A (ko) 2021-12-16 2021-12-16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17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1654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верью с обнаружением препятствий
KR100496110B1 (ko) 슬라이딩 도어를 제어하는 안전 검출 시스템
EP0991581B1 (en) A safety system for detecting small objects approaching closing doors
JP4189318B2 (ja) 排気装置
US10449844B2 (en) Device for generating air cutrains, in particular for a railway vehicle
US20220373212A1 (en)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G183326A1 (en) Elevator with safe position sensor
KR20230091703A (ko)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GB2563474B (en) An active airflow inhibiting apparatus
KR20150109796A (ko) 지하철 환기 및 제연 시스템
US7040978B2 (en) Sliding door device
JP2003193745A (ja) 自動ドア
KR20120133801A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JP4712414B2 (ja) 回転ドア
KR102375790B1 (ko) 차량 출입 공간 미세 먼지 유입 방지 시스템
JP2006144244A (ja) 自動ドアセンサおよび自動ドアの開閉制御方法
KR100527136B1 (ko) 버스 출입문을 통한 배기 오염물질 유입 차단 시스템
JP2508889B2 (ja) スポットエアコンの制御装置
KR102106739B1 (ko) 온도제어에 의한 동파방지 겸용 스마트 환기 제어장치
KR0131279Y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2600648B1 (ko) 미스트 기능을 갖는 캐노피구조
KR100189113B1 (ko) 공기조화기의토출구개폐장치및그방법
CN216281607U (zh) 导烟板的防撞装置和油烟机
KR101378562B1 (ko) 공기 흡출기 및 이를 위한 증속유도 케이싱
GB2564805B (en) An air multipli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