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801A -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801A
KR20120133801A KR1020110052652A KR20110052652A KR20120133801A KR 20120133801 A KR20120133801 A KR 20120133801A KR 1020110052652 A KR1020110052652 A KR 1020110052652A KR 20110052652 A KR20110052652 A KR 20110052652A KR 20120133801 A KR20120133801 A KR 20120133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elevator car
elevator
doo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4093B1 (ko
Inventor
박동기
문성준
Original Assignee
박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기 filed Critical 박동기
Priority to KR102011005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093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8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ar or cage and wells
    • B66B13/285Toe guards or apr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히는 중에 승객이나 물체가 카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대향하는 승강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감지센서 모듈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승객이나 물체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1열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 모서리와 엘리베이터 카 실 사이의 틈새를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ELEVATOR ENTRAN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비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운행을 방지하고 승객을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피스 빌딩이나 아파트, 근린 생활시설의 고층화와 집적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상황에서, 건축법 등의 규정에 의해 일정 높이와 면적 이상의 건축물(건축법 제64조에서는 6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2천 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로 규정하고 있다)에 대하여는 엘리베이터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어, 향후 엘리베이터의 사용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터는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편리함과 이동 및 운반 등의 능률성을 제고시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엘리베이터를 이용에 따른 안전사고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사고의 원인에는 제조불량이나 보수부실, 관리부실, 이용자 과실 등이 있는데, 엘리베이터의 경우는 특히 엘리베이터 카 도어(이하 '카 도어'라 한다) 및 승강장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갑자기 승객이나 물체가 엘리베이터 카(이하 '카'라 한다) 내부로 진입하려고 할 때 미처 다 진입하지 못한 상태에서 신체의 일부가 카 도어에 걸려 넘어지거나 신체 또는 물체의 일부가 카 도어 사이에 끼인 채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와, 승강장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예가 많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사용중인 엘리베이터에는 카 도어 구동장치에 도어스위치를 설치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혀야만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도록 하거나, 카 도어에 승객이나 물체가 끼었을 때 도어를 자동으로 다시 열리게 하는 문닫침 안전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문닫힘 안전장치로서는 승객이나 물체가 카 도어가 부딪힐 때 발생하는 슈(Shoe)장치의 이상 변위에 의해 스위치가 자동으로 동작하면서 카 도어를 다시 개방하는 기계식 방식이나, 카 도어에 인접한 카 내측에 설치한 포토센서나 광센서 등에서 승객이나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였을 때 카 도어를 다시 개방하는 광전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문닫힘 안전장치의 경우는 그 동작원리가 단순하여 안전수단으로서의 신뢰성이 비교적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승객이나 물체가 도어와 서로 충돌하는 것을 검출하는 방식이어서 탑승시에 불안감이나 불쾌감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카 도어가 거의 닫힌 상태에서 특히 카 도어의 하측으로부터 발과 같이 폭이 좁은 신체의 일부 또는 물체가 진입하는 경우에는 이를 미처 감지하지 못하여 제어부에서 카 도어가 닫힌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승객의 신체나 물체의 일부가 카 도어 사이에 끼인 채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어 큰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토센서 등을 이용한 광전식 문닫힘 안전장치에서도 그 설치위치에 따라서는 감지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카 도어가 거의 닫힌 상태에서 특히 카 도어의 하측에서 발과 같이 폭이 좁은 신체의 일부 또는 물체가 카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이를 미처 감지(검출)하지 못하여 승객의 신체나 물체의 일부가 카 도어 사이에 끼인 채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어 큰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또 카의 바닥면 또는 이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포토센서 등은 승객의 신발이나 물체와의 마찰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거나 그 기능을 잃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슈장치나 포토센서 등을 이용한 문닫힘 안전장치의 경우에는 카의 바닥면과 승강장의 바닥면이 일치하지 않거나 카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감지(검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승강장 및 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더라도 이를 감지(검출)하지 못하여 승객의 안전사고 내지는 엘리베이터의 큰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히는 중에 승객이나 물체가 카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의 정상 정지위치에서 정지하였는지의 여부와 기울어짐 없이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비정상위치일 경우 이를 경보하고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정지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장 및/또는 카 도어가 닫히지 않은 채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여 경보 및 엘리베이터의 운행 정지를 시키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실(sill)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대향하는 승강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감지센서 모듈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승객이나 물체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1열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 모서리와 엘리베이터 카 실 사이의 틈새를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고,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개방되면 ON되고,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힐 때에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근접한 감지센서부터 순차적으로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엘리베이터 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은 엘리베이터 카 폭의 1/4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 측벽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로 연장 설치된 에이프런(apron)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제1열 감지센서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제2열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 모서리의 측벽부분을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며,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한 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거나, 엘리베이터 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열되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은 엘리베이터 카 폭의 1/4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에서 상기 제1열 감지센서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은 제2열 감지센서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때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열 감지센서 또는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들이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가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제어방법은, 제어부에서의 도어열림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열리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대향하는 승강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감지센서 모듈에 구비되며 승강장 모서리와 엘리베이터 카 실 사이의 틈새를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제1열 감지센서가 ON되는 단계; 상기 제1열 감지센서에서 승객 또는 물체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열 감지센서에서 승객 또는 물체가 검출되지 않을 때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히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1열 감지센서 중에서 도어에 근접한 감지센서부터 순차적으로 OFF되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 중에서 ON 상태인 감지센서에서 승객이나 물체가 검출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도어를 완전히 닫거나 다시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제1열 감지센서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제2열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2열 감지센서에서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때 승강장 모서리의 측벽부분을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로 검출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제2열 감지센서에서 승강장 모서리의 측벽부분이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지 않을 때 비정상위치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는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카 내부로 진입하는 승객이나 물체를 검출하는 제1열 감지센서가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에 이에 대향하는 승강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감지센서 모듈에 구비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폭이 좁은 승객의 발이나 물체가 진입하더라도 이를 정확하게 검출하여 카 도어를 다시 개방할 수 있으므로 승객의 안전사고를 더욱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상기 감지센서 모듈이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면에 설치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카 실의 하부 측벽 또는 에이프런에 설치함으로써 승객의 신발이나 물체와의 마찰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됨으로써 장시간 안정되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에 의하여 승객이나 물체의 진입을 검출함은 물론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장의 정상 정지위치에서 정지하였는지의 여부와 기울어짐 없이 평형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함께 검출하여 비정상위치일 경우 이를 경보하고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정지시킴으로써 승객의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엘리베이터의 더 큰 고장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에 의하면, 제2열 감지센서에 의하여 승강장 및/또는 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운행하는 경우에도 이를 검출하여 경보 및 엘리베이터의 운행정지를 시킬 수 있으므로 승객의 안전사고 예방에 큰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인 감지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감지센서 모듈의 설치 위치와 감지센서가 검출신호를 송출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참조할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인 감지센서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감지센서 모듈의 설치위치와 검출신호를 송출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는, 엘리베이터 카(30, 이하 '카'라 한다)의 실(sill, 30a, 이하 '카 실'이라 한다)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대향하는 승강장(20)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감지센서 모듈(10)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10)에서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32, 이하 '카 도어'라 한다)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센서 모듈(10)은 카(30) 내부로 승객이나 물체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1열 감지센서(A1,2,3,…n)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는 카(30)가 승강장(20)의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20) 모서리와 카 실(30a) 사이의 틈새를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는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에서 승객이나 물체가 검출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카 도어(32)를 완전히 닫고 카(30)를 지정된 승강층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한편, 만일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로부터 승객이나 물체가 검출된 신호가 수신되면 카 도어(32)를 다시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는 도 1에서 카(30)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는 카(30)의 폭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A1과 An) 사이의 폭이 카(30) 폭의 1/4 ~ 3/4 정도면 충분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카 도어(32)가 닫히는 도중에 승객이나 물체가 카(30) 내부로 진입할 때 안전상 문제가 되는 경우는 카 도어(32)가 상당 부분 닫힌 상태가 되었을 때인데, 제1열 감지센서(A1,2,3,…n)의 폭이 카(30)의 폭 중앙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폭만을 가져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는 카 도어(32)가 개방되면 ON되고, 카 도어(32)가 닫힐 때에는 카 도어(32)에 근접한 감지센서(A1과 An)부터 순차적으로 OFF된다. 그 이유는, 만일 카 도어(32)가 닫힐 때에도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가 계속 ON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는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가 카 도어(32)와 함께 닫히는 승강장 도어(33)를 카(30) 내부로 진입하는 물체로 오인하여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를 카 실(30a) 하부에 설치한 감지센서 모듈(10)에 구비시킴으로써 승객의 신발이나 물체와의 마찰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장시간 안정되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상기 감지센서 모듈(10)을 카 실(30a) 하부 측벽(31)에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감지센서 모듈(10)은 승강장(20)과 마주보는 카 실(30a) 하부로 연장 설치된 에이프런(apron)이나 브라켓 등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감지센서 모듈(10)에 카 도어(32)가 닫히는 도중에 카(30) 내부로 진입하는 승객이나 물체를 검출하기 위한 제1열 감지센서(A1,2,3,…n)만이 구비된 경우를 설명하였는데, 카(30)가 승강장(20)의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는, 상기 감지센서 모듈(10)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제2열 감지센서(B1,2,3,…n)를 더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열 감지센서(B1,2,3,…n)는 카(30)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20) 모서리의 측벽부분을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한다.
여기서, 카(30)의 정상위치라는 것은 카(30)의 바닥면과 승강장(20) 바닥면이 서로 일치하는 것은 물론, 카(3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제2열 감지센서(B1,2,3,…n)는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와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와 마찬가지로 카(30)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할 수도 있고, 또 카(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부분적으로만 배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열 감지센서(B1,2,3,…n)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B1과 Bn) 사이의 폭이 카(30) 폭의 1/4 ~ 3/4 정도여도 무방하며, 그 이유는 전술한 제1열 감지센서(A1,2,3,…n)에서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의 경우는 승객이나 물체의 진입을 비교적 넓은 범위로 검출하는 것이 필요한 반면, 상기 제2열 감지센서(B1,2,3,…n)의 경우는 카(30)의 정상위치 여부만을 판단하면 되므로, 상기 제2열 감지센서(B1,2,3,…n)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B1과 Bn) 사이의 폭은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A1과 An) 사이의 폭보다 작아도 무방하다.
전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제1열 감지센서(A1,2,3,…n)와 제2열 감지센서(B1,2,3,…n)는 예컨대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 이미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승객 또는 물체를 검출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종류의 센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승강장(20)에서 탑승을 대기중에 있는 승객 또는 카(30) 내부에 탑승한 승객의 버튼조작에 의해 카(30)가 해당 승강층으로 이동한 후 정지하면, 제어부에서는 카 도어(32)를 개방시킨다.
카 도어(32)가 개방되면, 감지센서 모듈(10)의 제1열 감지센서(A1,2,3,…n)가 ON된다. 이때,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는 승강장 모서리와 카 실(30a) 사이의 틈새로 검출신호를 송출하게 되는데, 만일 제1열 감지센서(A1,2,3,…n)에서 물체를 검출한 신호(A1,2,3,…n=1, 여기서 "1"은 물체를 검출한 경우를 가리키며, 반대로 물체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는 "0"으로 표기한다. 이하에서는 제1열과 제2열 감지센서에 대하여 상기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설명한다)를 제어부에 보내게 되면 이는 카(30) 내부로 승객이 진입하고 있는 것이므로, 제어부는 카 도어(32)를 열림상태로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 모듈(10)에 제1열 감지센서(A1,2,3,…n)와 제2열 감지센서(B1,2,3,…n)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와 제2열 감지센서(B1,2,3,…n)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비교 연산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열 감지센서(A1,2,3,…n)로부터의 신호가 "0"이고 제2열 감지센서(B1,2,3,…n)로부터의 신호가 "1"인 경우 제어부에서는 카(30)가 승강장의 정상위치에 정지한 것으로 판단하지만, 만일 제1열 감지센서(A1,2,3,…n)로부터의 신호가 "0"이고 제2열 감지센서(B1,2,3,…n)로부터의 신호가 "0"이거나 "0"과 "1"이 혼재한 경우는 제어부에서 카(30)가 승강장의 정상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정지하였거나 카(30)가 기울어진 경우로 판단하는 한편, 이와 반대로 만일 제1열 감지센서(A1,2,3,…n)로부터의 신호가 "1"이고 제2열 감지센서(B1,2,3,…n)로부터의 신호가 "1"이거나 "0"과 "1"이 혼재한 경우는 제어부에서 카(30)가 승강장의 정상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정지하였거나 카(30)가 기울어진 경우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킨다.
제어부에서 카(30)가 정상적인 정지위치에 있다고 판단하면, 카 도어(32)는 열림상태를 유지하며, 정상적인 열림 대기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만일 승객이나 물체가 카(30)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제1열 감지센서(A1,2,3,…n)가 검출하면 카 도어(32)를 계속하여 열림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정상적인 열림 대기시간이 경과하고 제1열 감지센서(A1,2,3,…n)에서 승객이나 물체의 진입을 검출하지 않으면, 제어부에서는 카 도어(32)를 닫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1열 감지센서(A1,2,3,…n)는 카(30)의 중앙을 향하여 양쪽에서 이동해 오는 카 도어(32)에 근접한 감지센서부터 중앙쪽 감지센서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OFF된다.
만일, 카 도어(32)가 완전히 닫힐 때까지 제어부에 중앙쪽에서 ON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A1,2,3,…n=0), 제어부는 카 도어(32)를 완전히 닫고 엘리베이터를 운행 대기상태로 유지하거나, 카(30) 내부 또는 다른 승강층의 승객의 버튼조작이 있으면 이에 따라 해당하는 승강층으로 카(30)를 이동시킨다.
그런데, 카 도어(32)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중앙쪽에서 ON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가 제어부에 수신되면(ON상태인 Ax=1), 이는 승객 또는 물체가 카(30) 내부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 되므로, 제어부는 다시 카 도어(32)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카 도어(32)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운행되어 카(30)가 이동하는 경우도 간혹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카 도어(32)와 함께 연동하는 승강장 도어(33)도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2열 감지센서(B1,2,3,…n)의 검출신호는 전체가 "0"이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0"으로 검출되게 되며, 제어부에서는 경보를 발하는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정지시킨다.
전술한 설명에서, 제2열 감지센서(B1,2,3,…n)는 제1열 감지센서(A1,2,3,…n)와 마찬가지로 카 도어(32)가 완전히 열리거나 닫힐 때 ON 또는 OFF되도록 하거나, 아니면 계속하여 ON상태를 유지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루어진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감지센서 모듈 A1,2,3,…n : 제1열 감지센서
B1,2,3,…n : 제2열 감지센서 20 : 승강장
30 : 엘리베이터 카(또는 카) 30a : 엘리베이터 카 실(또는 카 실)
31 : 엘리베이터 카 실의 하부 측벽(또는 에이프런)
32 : 엘리베이터 카 도어(또는 카 도어)
33 : 승강장 도어

Claims (14)

  1.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대향하는 승강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감지센서 모듈과, 상기 감지센서 모듈에서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로 승객이나 물체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가 폭 방향으로 배열된 제1열 감지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제1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 모서리와 엘리베이터 카 실 사이의 틈새를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고,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개방되면 ON되고,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힐 때에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근접한 감지센서부터 순차적으로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은 엘리베이터 카 폭의 1/4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 측벽 또는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로 연장 설치된 에이프런(apron)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제1열 감지센서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제2열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승강장 모서리의 측벽부분을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며,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에서 정지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한 신호를 제어부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폭 전체에 걸쳐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 감지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열되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은 엘리베이터 카 폭의 1/4 ~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 감지센서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은 제2열 감지센서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감지센서 사이의 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때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열 감지센서 또는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들이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가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11. 제어부에서의 도어열림 신호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열리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의 실 하부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대향하는 승강장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감지센서 모듈에 구비되며 승강장 모서리와 엘리베이터 카 실 사이의 틈새를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는 복수 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제1열 감지센서가 ON되는 단계;
    상기 제1열 감지센서에서 승객 또는 물체의 진입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제1열 감지센서에서 승객 또는 물체가 검출되지 않을 때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히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닫힐 때 상기 제1열 감지센서 중에서 도어에 근접한 감지센서부터 순차적으로 OFF되는 단계;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 중에서 ON 상태인 감지센서에서 승객이나 물체가 검출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도어를 완전히 닫거나 다시 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제1열 감지센서로부터 아래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열 감지센서와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 개의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제2열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2열 감지센서에서 엘리베이터 카 도어가 완전히 열렸을 때 승강장 모서리의 측벽부분을 향하여 검출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로 검출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제2열 감지센서에서 승강장 모서리의 측벽부분이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지 않을 때 비정상위치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제어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는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지 않으면 엘리베이터 카가 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1열 감지센서와 제2열 감지센서의 검출된 신호가 동일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비정상위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경보를 발함과 동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제어방법.
KR1020110052652A 2011-06-01 2011-06-01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KR10132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52A KR101324093B1 (ko) 2011-06-01 2011-06-01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652A KR101324093B1 (ko) 2011-06-01 2011-06-01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801A true KR20120133801A (ko) 2012-12-11
KR101324093B1 KR101324093B1 (ko) 2013-10-31

Family

ID=4751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652A KR101324093B1 (ko) 2011-06-01 2011-06-01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6899A (zh) * 2019-09-05 2019-12-3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带框玻璃电梯轿厢门出入口监测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5529B (zh) 2015-07-27 2020-01-31 奥的斯电梯公司 监测系统、具有监测系统的电梯门系统和方法
US11148908B2 (en) 2018-10-25 2021-10-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with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open do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8459A (ja) * 1994-02-14 1995-08-2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昇降機の敷居段差報知装置および戸閉まり報知装置
JPH11335043A (ja) * 1998-05-21 1999-12-0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ドアの安全装置
JP5297895B2 (ja) 2009-05-27 2013-09-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5577636B2 (ja) 2009-07-06 2014-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出入口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6899A (zh) * 2019-09-05 2019-12-3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带框玻璃电梯轿厢门出入口监测系统
CN110626899B (zh) * 2019-09-05 2023-07-2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带框玻璃电梯轿厢门出入口监测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093B1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7258B2 (ja) 昇降路アクセス検知システム
US8113320B2 (en) Fire evacuation support system and fire door control device
EP2080725B1 (en) Elevator system
JP5001170B2 (ja) エレベータ安全システム
CN109923056B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JP5474167B1 (ja) エレベータの乗車検知システム
WO2011111096A1 (ja) 安全位置センサ付きエレベータ
JP201322089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システム
US9751727B1 (en) Elevator entry and exit system and method with exterior sensors
JP2004534707A (ja) エレベータシャフトの底部および/または頂部に実質的な保護区域を有するエレベータ設備、およびこれ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5297895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WO2007066375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2011230920A (ja) エレベータの点検作業用安全装置
KR101324093B1 (ko)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보호장치 및 제어방법
KR102099668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기 도어 안전잠금장치
CN205500480U (zh) 轿厢电梯门区入口监视保护系统
JP2012162342A (ja) エレベータ安全装置、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543668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7254037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KR101121896B1 (ko) 안전사고 방지기능을 가지는 에스컬레이터
JP5032999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20045240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KR102530062B1 (ko) 엘리베이터 운행 모드 전환 시스템
KR102535832B1 (ko) 엘리베이터용 주의 환기장치
JP7449494B2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